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금천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금천군은 황해북도 남부에 위치한 군으로, 예성강 유역에 자리 잡고 있다. 동쪽으로는 례성강을 경계로 평산군 및 봉천군과 접하며, 서쪽으로는 개성시, 남쪽으로는 개풍군, 북서쪽으로는 토산군, 북쪽으로는 신계군과 인접한다. 주요 산업은 농업이며, 쌀, 콩, 인삼 등의 작물이 생산된다. 역사적으로 고구려 시대에는 굴압현, 신라 시대에는 강음현으로 불렸으며, 고려 시대를 거쳐 조선 시대에 금천군으로 개칭되었다. 일제강점기에는 토산군과 통합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금천군 - 장단군
    장단군은 삼한 시대부터 조선 시대까지 여러 차례 명칭이 변경되었으며, 한국 전쟁 이후 파주군에 편입되어 폐지되었고, 현재는 파주시 장단면과 연천군 장남면으로 나뉘어 있다.
  • 황해북도의 군 - 평산군
    평산군은 황해북도 남부에 위치하며, 멸악산맥과 례성강이 지나고, 고구려 시대에는 대곡군으로 불렸으며, 신숭겸과 유금필의 본관이며, 우라늄 제련 시설 관련 논란이 있었고, 평부선, 청년이천선, 평양-개성 고속도로가 통과하는 지역이다.
  • 황해북도의 군 - 황주군
    황주군은 황해북도 북서부에 위치하며, 벼농사가 성행하고 철광 등 지하자원이 풍부하며, 평부선과 송림선이 지나가고 정방산성 등 명승고적이 있는 지역이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행정 구역 - 평안북도
    평안북도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서북부에 위치하며, 신의주를 도청 소재지로 하여 3개의 시와 22개의 군으로 구성되어 있고, 압록강과 청천강을 주요 하천으로 하며 대륙성 기후를 보이는 도이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행정 구역 - 창성군
    창성군은 북한 평안북도 북서부에 위치하며 압록강을 경계로 중국과 접하고 험준한 산악 지형과 대륙성 기후를 가진 군으로, 1952년 행정 구역 개편 이후 농업, 잠업, 광업 등을 주요 산업으로 한다.
금천군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황해북도 금천군 위치 지도
황해북도 내 금천군 위치
일반 정보
이름금천군
원어 이름금천군 (金川郡)
로마자 표기 (매큔-라이샤워)Kŭmch'ŏn-gun
로마자 표기 (개정)Geumcheon-gun
위치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황해북도
행정 구역 종류
통계 정보
인구 (2008년)68,216명
면적497.67km²
인구 밀도137.07명/km²
행정 구역
구성1읍, 14리
금천읍
간정리
계정리
룡암리
송현리
신흥리
와일리
원암리
장풍리
적암리
청산리
추일리
학현리
향산리
회양리

2. 지리

동부에는 마식령산맥이 뻗어 북부에 학봉산(鶴鳳山, 562m)·국사봉(國師峰, 402m) 등이 솟고 남동부에 수룡산(秀龍山, 717m)·대둔산(大屯山, 555m)·제석산(帝釋山, 244m) 등이 솟아 례성강임진강 유역을 분리한다. 군의 대부분은 마식령·멸악산맥 간의 하곡을 흐르는 례성강과 동으로부터 유입하는 구연천(九淵川) 유역에 속하고, 군 동부 일부가 임진강 유역에 속하며, 례성강 본류의 금천분지, 구연천 유역의 시변리분지, 림진강 유역의 토산(兎山)분지 등 평지가 있다. 황해북도 남부, 예성강 유역에 위치한다.

2. 1. 인접 지역

서쪽으로 개성시, 남쪽으로 개풍군, 북서쪽으로 토산군, 북쪽으로 해발 562m의 박봉과 신계군에 접해 있다. 동쪽으로는 례성강, 평산군, 황해남도 봉천군과 접해 있다.[1]

3. 기후

기후는 비교적 도내 다른 지역과 같이 기온의 교차가 심한 내륙성을 나타내며 연평균 기온 10.2°C, 1월 평균 기온 -7°C, 8월 평균 기온 25.6°C, 연 강수량은 1,100mm이다.

4. 역사

금천군은 고구려, 조선, 일제강점기를 거쳐 현재에 이르는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다.

강음, 우봉, 토산의 3군으로 이루어졌으며, 1652년 강음과 우봉이 금천으로 통합되었고, 1914년 토산이 금천에 통합되었다가 후에 토산군은 다시 분리되었다.[3]

1952년 12월 행정구역 개편으로 외류면·합탄면·구이면·서천면·토산면 대부분·좌면은 토산군에, 동화면의 5개리는 평산군으로, 나머지 토산면은 철원군으로 넘어갔다. 또한 평산군 평산면의 전도리, 화산리, 장풍군 영북면(해방 당시 개풍군 영북면)의 3개리, 소남면 박연리 등이 금천군에 편입되었다. 1954년 황해도가 황해남도·황해북도로 분리되면서 황해북도에 속하게 되었다.[3]

4. 1. 고대

금천은 고구려의 굴압현(屈押縣)이었고, 신라 경덕왕 때 강음(江陰)현으로 고쳐서 송악군(松嶽郡)의 영현(領縣)으로 되었다. 우봉은 고구려 때 우잠(牛岑)군이었고, 신라 경덕왕 때 우봉군으로 고쳤다. 토산은 고구려 때 오사함달현(烏斯含達縣)이었고, 신라 경덕왕 때 토산으로 고쳐 불렀다.[1] 삼국 시대에는 백제 땅이었으나, 이후 고구려의 판도였다. 통일 신라 시대에는 우봉현으로 불렸고, 한주에 속했다.[2]

4. 2. 고려

고려 건국 후 995년에 관내도 소속 현이 되었다. 1015년에는 서해도 평주에 편입되었고, 1061년에 개성부에 편입되었다.

4. 3. 조선

고려 성립 후 995년, 관내도의 소속 현이 되었다. 1015년에는 서해도 평주에 편입되었다. 1061년에는 개성부에 편입되었다.

조선 성립 후 1395년, 풍해도 (이후 황해도) 우봉현이 되었다. 1652년, 황해도 우봉현과 개성부 강음현이 합병되어 황해도 '''금천군'''으로 개편되었다.[1]

4. 4. 일제강점기

1895년 지방 제도 개혁으로 금천군과 토산군이 분리되어 개성부에 속했다(23부제). 이듬해인 1896년에는 황해도 소속이 되었다(13도제). 일제강점기1914년에 토산군이 폐지되어 그 대부분이 금천군에 편입되었다. 1943년 현재, 13·110가 소속되었다.

면 이름한자
금천면金川面|금천면한국어
고동면古東面|고동면한국어
서북면西北面|서북면한국어
산외면山外面|산외면한국어
우봉면牛峰面|우봉면한국어
웅덕면雄德面|웅덕면한국어
좌면左面|좌면한국어
서천면西泉面|서천면한국어
외류면外柳面|외류면한국어
토산면兎山面|토산면한국어
합탄면合灘面|합탄면한국어
구이면口耳面|구이면한국어
현내면峴內面|현내면한국어


4. 5. 해방 이후

1945년 해방 이후, 금천군 산외면·서북면이 북조선의 연백군에 편입되었다. 이 지역은 1952년에 평천군에 편입되었다.[1] 1947년, 장풍군에서 북면을 편입했고, 1950년에는 서북면과 산외면을 연안군으로 이관하고 12면 103리로 재편했다.[1]

1952년 12월 행정구역 개편으로 외류면·합탄면·구이면·서천면·토산면 대부분·좌면이 토산군에, 동화면의 5개리가 평산군으로, 나머지 토산면이 철원군으로 넘어갔다.[1] 또한 평산군 평산면의 전도리, 화산리, 장풍군 영북면(해방 당시 개풍군 영북면)의 3개리, 소남면 박연리 등이 금천군에 편입되었다.[1]

1952년 12월에 진행된 군면리 통폐합에 따라, 우봉·금천·고동·북·웅덕면 전역과 동화면 일부(1리), 장풍군 영북면 일부(3리)·서남면 일부(1리), 평산군 평산면 일부(2리)를 병합하여 '''금천군'''(1읍 16리)이 재편되었고, 구 금천면에 읍이 설치되었다.[1] 구 금천군 중에서 외류·합탄·좌·구이면 전역과 토산면 일부(10리)는 토산군으로, 동화면의 5리는 평산군으로, 토산면 일부(3리)는 강원도 철원군으로 각각 이관했다.[1]

1954년 황해도가 황해남도·황해북도로 분리되면서 황해북도에 속하게 되었다.[1] 2002년 10월 현재, 1읍 14리가 설치되어 있다.[1]

5. 행정 구역

1993년 현재 금천군은 1개 읍(금천읍(金川邑))과 14개 리(백양리(白陽里), 신강리(新江里), 백마리(白馬里), 남정리(南亭里), 룡성리(龍城里), 현내리(縣內里), 원명리(圓明里), 문명리(文明里), 월암리(月岩里), 계정리(鷄井里), 덕산리(德山里), 강북리(江北里), 강남리(江南里), 량합리(兩合里))로 구성되어 있다.[2]

한글한자
금천읍金川邑
현내리峴內里
강북리江北里
강남리江南里
계정리鷄井里
문명리文明里
남정리南亭里
백마리白馬里
백양리白陽里
량합리兩合里
룡성리龍城里
신강리新江里
덕산리德山里
월암리月岩里
원명리圓明里


6. 교통

평부선 철도가 금천군 서부를 남북으로 통과하며, 계정역·금천역 등이 설치되어 있다. 금천군 동부에는 시변리(市邊里)를 기점으로 하여 연천, 신계, 남천, 이천으로 연결되는 도로가 있다. 례성강을 이용한 수운은 조읍이 중심지이다.[1]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철도성 평부선이 금천군을 지나며, 금천역에 정차한다. 금천읍을 통과하는 고속도로도 있다.[2]

7. 산업

금천군은 농업이 주요 산업이며, 경지는 밭이 넓으나 쌀 생산량도 많다. 콩, 조, 밀, 팥, 인삼, 담배 등 여러 작물을 재배하며, 특히 금천 지역에서 생산되는 콩은 '금천태'라 불리며 품질이 우수하다고 알려져 있다.[1] 인삼 재배는 개풍군의 인삼 재배 지역과 이어지는 곳으로, 도내에서 가장 큰 규모의 재배지이다.[1] 이 외에도 양잠과 목우도 이루어진다.[1] 지하자원으로는 조선계, 평안계 등의 석회암층과 시원대의 편마암층이 분포하여 석면, 몰리브덴, 수은, 진사(辰砂), 사문석(蛇紋石) 등이 생산된다.[1]

8. 관광

금천군의 명승지로는 오조천 절벽의 영수병(映水屛), 임꺽정의 근거지였던 우봉(牛峰), 고려 시대 왕들이 즐겨 찾던 쌍봉동 등이 있다. 고적으로는 청룡포, 민충사(愍忠祠)가 있다. 청룡포는 이괄(李适)의 난 때 반군과 맞서 싸운 충장공 이중로(李重老)가 전사한 곳이며, 민충사에서는 그의 충절을 기려 제사를 지냈는데 지금은 건물은 없어지고 비석만 남아 있다. 명승고적으로는 천신산, 황의산, 용암, 삼성대, 영수사, 민충사비, 원명사, 문수암 등이 있다.[3]

참조

[1] 웹사이트 United Nations Statistics Division; Preliminary results of the 2008 Census of Population of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conducted on 1–15 October 2008 http://unstats.un.or[...] 2018-08-21
[2] 웹사이트 중앙일보 - 아시아 첫 인터넷 신문 http://nk.joins.com/[...] 2009-12-10
[3] 웹사이트 황해북도 금천군 역사 http://www.cybernk.n[...]
[4] 간행물 2008년 인구 조사 http://unstats.un.or[...] 조선중앙통계국 2009-00-00 #날짜 정보가 연도만 제공되어 정확한 날짜를 기재할 수 없음.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