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환자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나환자촌은 나병 환자를 격리하고 치료하기 위해 마련된 시설을 의미한다. 역사적으로 다양한 명칭으로 불렸으며, 중세 시대부터 존재했다. 인도에서는 나병 환자를 불가촉천민으로 취급했고, 유럽에서는 교회와 수도원을 중심으로 나환자 수용소가 운영되었다. 동아시아에서는 중국, 일본, 한국 등에서 나환자촌이 운영되었으며, 특히 일본에서는 강제 격리 정책으로 인해 인권 침해 문제가 발생했다. 현재도 일부 지역에 나환자 치료 시설이 존재하지만, 과거 나환자촌 운영 과정에서 발생한 차별과 인권 유린에 대한 비판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나환자촌 - 로벤섬
로벤섬은 남아프리카 공화국 케이프타운 근처에 위치한 섬으로, 정치범 수용소로 사용되다가 1997년부터 박물관으로 운영되며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다. - 검역 - 코로나19 봉쇄
코로나19 봉쇄는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동안 전 세계적으로 시행된 이동 및 사회적 활동 제한 조치로, 사망률 감소 효과에도 불구하고 경제적·사회적 부작용과 정부 대응의 중요성, 그리고 국가별 상이한 영향에 대한 논쟁과 비판이 존재한다. - 검역 - 사회적 거리두기
사회적 거리두기는 감염병 확산을 억제하기 위해 사람들 간 접촉을 줄이는 방법으로, 물리적 거리 유지, 모임 최소화, 장소 회피 등의 행동 변화를 포함하며, 경제적 비용과 심리적 부작용을 야기할 수 있지만, 역사적으로 감염병 유행 시 시행되었고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동안 전 세계적으로 적용되었다. - 나병 - 오타니 요시쓰구
오타니 요시쓰구는 도요토미 히데요시 시대에 활약한 무장으로, 이시다 미쓰나리와의 우정, 나병 투병, 하리마 공략, 임진왜란 참전, 그리고 세키가하라 전투에서의 의로운 죽음으로 알려져 있으며, 그의 출생과 가계, 병명에 대한 여러 설과 쓰루가 성주로서의 통치 또한 주목할 만하다. - 나병 - 리팜피신
리팜피신은 결핵 및 잠재성 뇌막염 치료에 사용되는 주요 항생제이지만, 내성 발달을 억제하기 위해 다른 항생제와 병용 투여해야 하며, 간독성 및 약물 상호작용 등의 부작용이 있을 수 있다.
나환자촌 |
---|
2. 명칭
중세 라틴어에서 나병 환자의 격리 및 치료를 위한 장소는 '''leprosaria''', '''leprosarium''', 또는 '''leprosorium'''으로 알려졌으며, 이 이름들은 때때로 영어에서도 사용된다.[2] 라틴어 domus leprosariala는 영어에서 '나환자 집'으로 번역되었으며,[3] '나환자촌'은 나병 환자 수가 증가함에 따라 유럽 식민주의의 맥락에서 논의되면서 1880년대에 가장 흔한 영어 용어가 되었다. 덜 일반적인 동의어로는 나환자 수용소, 나환자 숙소, 나환자 병원이 있다.[3] 다른 이름들은 예수의 비유 중 하나인 나사로에서 유래되었으며,[4] 중세 시대에 가톨릭 교회에 의해 역사적 인물로 취급되었고, 나병 환자와 십자군 성 라자루스 기사단의 수호 성인이 되었으며, 이들은 예루살렘에서 나환자촌을 관리한 후 다른 지역으로 퍼져나갔다. 이로 인해 나환자촌은 '라자루스 집'[5]으로도 알려지게 되었으며, 베네치아 공화국 스타. 마리아 디 나자렛에 있는 나환자촌과 검역소를 거쳐, '''lazarets''', '''lazarettes''',[6] '''lazarettos''', 그리고 '''lazarettas'''로 불리게 되었다.[7][8] '나환자' 또는 '나병 마을'[10][11]이라는 이름은 중국의 나환자촌에 사용되기도 하는데, 이는 표준 만다린어 이름 ''máfēngcūn'' 麻風村|máfēngcūn|중국어의 번역이다.[9]
3. 역사
인도의 베다와 마누 법전에서 언급된 피부병(kushtha) 중 일부는 나병으로 보이며, 이 질병은 적어도 기원전 2000년경 인도에 나타났다. 인도의 종교 경전과 법률은 공식적인 나환자 정착촌을 조직하지 않았지만, 나병 환자를 불가촉천민으로 취급하여 결혼을 금지했다.[12] 고대 페르시아[13]와 히브리인도 특정 피부병을 부정한 존재로 여겼으나, 특별한 장소를 조직하지는 않았다.
나병은 후기 고대 시대와 중세 초에 유럽 전역으로 확산되었고, 제국 교회는 성직자들이 환자를 치료할 수 있는 나환자 수용소를 위한 기금을 마련했다.[13] 이러한 나병 환자 수용소는 460년 생투아앵, 570년 샬롱쉬르손, 634년 베르됭에 기록되어 있으며,[13] 수도원 기사단이 관리했다.[15] 벨기에 지역에는 십자군 전쟁 이전에 700~800개나 존재했을 수 있다.[13]
역사적 정착촌의 상태에 대해서는 논쟁이 있다. 현재는 암울하고 방치된 곳으로 여겨지지만, 나환자 정착촌의 생활이 격리되지 않은 개인의 삶보다 나쁘지 않았다는 징후도 있다. 중세 시대 질병에 현재 나병 정의를 소급 적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의문도 있다. 당시 나병으로 분류된 질병은 오늘날 별개의 질병으로 분류될 광범위한 피부 질환을 포함한다.[17] 일부 나환자 정착촌은 자체 화폐나 토큰을 발행했는데, 나병 환자가 일반 화폐를 다루면 질병이 퍼질 수 있다고 믿었기 때문이다.[18][19] 오늘날에는 아프리카, 브라질, 중국, 인도 등을 중심으로 나병 환자를 치료하기 위한 나환자 병원이 존재한다.[15]
중국에서는 麻风村|마펑춘중국어이라는 명칭으로 나환자촌이 운영되었다.[15] 일본에서는 기독교 및 불교 선교사들이 나환자 구제 활동을 펼쳤으며, 환자 격리를 위한 목적으로 만들어진 곳도 있었다.
3. 1. 서양
인도 베다와 마누 법전에서 언급된 피부병(kushtha)의 일부는 나병으로 보이며, 기원전 2000년경 인도에 나타났다. 인도의 종교 경전과 법률은 나환자 정착촌을 만들지 않았지만, 나병 환자를 불가촉천민으로 취급하여 결혼을 금지했다.[12] 고대 페르시아[13]와 히브리인도 특정 피부병을 부정한 것으로 여겼으나, 특별한 장소를 조직하지는 않았다. 구약과 신약 성경의 "나병" 언급은 70인역의 고대 그리스어 번역과 라틴어 번역인 불가타 성경에 의한 오해로 보이며, 원래는 건선 같은 다양한 질병을 지칭했다.[14] 나병은 알렉산드로스 대왕과 폼페이우스 군대에 의해 남유럽에 전파되었다. 고대 그리스 의학과 고대 로마 의학 의사들은 다양한 치료법을 옹호했지만, 나환자들을 도시에서 격리했다.[13]
나병은 후기 고대 시대와 중세 초에 유럽 전역으로 확산되었고, 제국 교회는 성직자들이 환자를 치료할 수 있는 나환자 수용소를 위한 기금을 마련했다.[13] 나병 환자 수용소는 460년 생투아앵, 570년 샬롱쉬르손, 634년 베르됭에 기록되어 있으며,[13] 수도원 기사단이 관리했다.[15] 벨기에 지역에는 십자군 전쟁 이전에 700~800개나 존재했을 수 있다.[13] 기독교 민간 전승은 나사로와 부자 비유를 역사적 사건으로 오해하여, 헌데 투성이 거지를 나환자 수호 성인인 성 라자로로 여겼다.[16] 성 라자루스 기사단은 십자군 예루살렘에서 나환자를 돌보기 위해 설립되었고, 이후 유럽 전역에서 나환자 수용소를 운영했다. 일부 정착촌은 산이나 외딴 곳에 위치했고, 일부는 주요 도로에 위치하여 기부를 받았다. 다른 곳은 주요 도시 내 병원과 같았다. 1623년 빈센트 드 폴이 설립한 로마 가톨릭 사도 생활회인 선교회가 파리의 이전 나환자 수용소인 생 라자루스 수도원을 소유하면서, 선교회는 "라자르파" 또는 "라자리스트"라는 이름을 얻었지만, 구성원 대부분은 나환자 돌봄과 관련이 없었다.
역사적 정착촌의 상태에 대한 논쟁이 있다. 현재는 암울하고 방치된 곳으로 여겨지지만, 나환자 정착촌의 생활이 격리되지 않은 개인의 삶보다 나쁘지 않았다는 징후도 있다. 중세 시대 질병에 현재 나병 정의를 소급 적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의문도 있다. 당시 나병으로 분류된 질병은 오늘날 별개의 질병으로 분류될 광범위한 피부 질환을 포함한다.[17] 일부 나환자 정착촌은 자체 화폐나 토큰을 발행했는데, 나병 환자가 일반 화폐를 다루면 질병이 퍼질 수 있다고 믿었기 때문이다.[18][19]
3. 2. 동아시아
중국에서는 麻风村|마펑춘중국어이라는 명칭으로 나환자촌이 운영되었다.[15] 일본에서는 기독교 및 불교 선교사들이 나환자 구제 활동을 펼쳤다. 단순히 환자를 격리하기 위한 목적으로 만들어진 곳도 있었다.
3. 3. 일본
日本일본어의 한센병 요양소는 다음과 같다.[22]
요양소명 (소재지) | 입소자 수 (2020년 5월 기준) |
---|---|
국립 요양소 쇼큐 보양원 (아오모리현) | 58명 |
국립 요양소 도호쿠 신세이엔 (미야기현) | 52명 |
국립 요양소 구리우 라쿠센엔 (군마현) | 54명 |
국립 요양소 타마 전생원 (도쿄도) | 144명 |
국립 스루가 요양소 (시즈오카현) | 46명 |
국립 요양소 나가시마 아이세이엔 (오카야마현) | 139명 |
국립 요양소 오쿠 코묘엔 (오카야마현) | 78명 |
국립 요양소 오지마 세이쇼엔 (가가와현) | 49명 |
국립 요양소 기쿠치 케이후엔 (구마모토현) | 170명 |
국립 요양소 호시즈카 케이아이엔 (가고시마현) | 103명 |
국립 요양소 아마미 와코엔 (가고시마현) | 20명 |
국립 요양소 오키나와 아이라쿠엔 (오키나와현) | 124명 |
국립 요양소 미야코 난세이엔 (오키나와현) | 53명 |
신야마 복생병원 | 4명 |
이 외에도 다음과 같은 기폐병원(1875-1907?) 및 사립 나환자 요양소가 있었다.
- 위폐원 (1894-1942)
- 회춘병원 (1895-1941)
- 미노부 신케이엔 (1906-1992)
- 비와자키 대로원
4. 정치적 측면
과거 나환자촌은 환자 격리와 인권 침해, 차별 등의 문제를 야기했다. 일본에서는 정부의 격리 정책에 대한 비판과 함께 피해자 보상 문제가 제기되었다.
2001년, 일본 정부가 운영하는 일본 나병 환자촌에 대한 사법 심사가 이루어졌고, 일본 정부가 환자들을 부당하게 대우했다는 결론이 내려졌다. 지방 법원은 일본 정부에 전직 환자들에게 보상을 지급하라고 명령했다.[20] 2002년에는 이들 환자촌에 대한 공식 조사가 시작되었고, 2005년 3월에는 이 정책이 강력하게 비판받았다. "일본의 절대적인 격리 정책은... 어떠한 과학적 근거도 가지고 있지 않았다."[21] 이 조사는 정책에 관여한 정부와 의사뿐만 아니라, 정책에 대한 이의 제기가 있었을 때 정부의 편을 반복적으로 들어준 법원과 피해자들의 고통을 제대로 보도하지 못한 언론까지 비판했다.
5. 주요 나환자촌 목록
일제강점기에 설립된 소록도병원은 대표적인 한센병 요양소이다.[15] 이 외에도 여러 나환자촌이 존재했다.
일본의 경우, 2020년 5월 기준으로 여러 국립 요양소가 운영되고 있다.[22]
요양소명(소재지) | 입소자 수[22] |
---|---|
국립 요양소 쇼큐 보양원(아오모리현) | 58명 |
국립 요양소 도호쿠 신세이엔(미야기현) | 52명 |
국립 요양소 구리우 라쿠센엔(군마현) | 54명 |
국립 요양소 타마 전생원(도쿄도) | 144명 |
국립 스루가 요양소(시즈오카현) | 46명 |
국립 요양소 나가시마 아이세이엔(오카야마현) | 139명 |
국립 요양소 오쿠 코묘엔(오카야마현) | 78명 |
국립 요양소 오지마 세이쇼엔(가가와현) | 49명 |
국립 요양소 기쿠치 케이후엔(구마모토현) | 170명 |
국립 요양소 호시즈카 케이아이엔(가고시마현) | 103명 |
국립 요양소 아마미 와코엔(가고시마현) | 20명 |
국립 요양소 오키나와 아이라쿠엔(오키나와현) | 124명 |
국립 요양소 미야코 난세이엔(오키나와현) | 53명 |
과거 일본령 남양청 관할 지역에도 나환자촌이 설치되어 운영되었다.
섬 | 위치 | 개설일 | 폐쇄일 | 비고 |
---|---|---|---|---|
사이판 | 가라판 교외 | 1926년 | 1938년 7월 | 야프 섬 요양소에 통합 |
잘루잇, 엘리 섬 | 1927년 | |||
팔라우, 고롤 섬 | 1931년 | |||
야프, 피켈 섬 | 1932년 | |||
폰페이 섬 |
이외에도 서양, 중국 등 세계 각지에 나환자촌이 존재했다.
5. 1. 현존하는 주요 시설
중국의 나환자촌에는 '나병 마을'이라는 이름이 사용되기도 한다.[9]5. 2. 역사적 시설
중세 라틴어에서 나병 환자의 격리 및 치료를 위한 장소는 '''leprosaria''', '''leprosarium''', '''leprosorium''' 등으로 알려졌다.[2] 라틴어 domus leprosariala는 영어에서 '나환자 집'으로 번역되었으며,[3] '나환자촌'은 1880년대에 가장 흔한 영어 용어가 되었다.[3]인도의 베다와 마누 법전에서는 이 질병에 걸린 사람들을 불가촉천민으로 취급했다. 이 질병은 전염병이자 죄에 대한 신의 형벌로 여겨졌다.[12] 고대 페르시아인[13]과 히브리인은 특정 피부병이 사람들을 부정한 존재로 만들어 사회에 적합하지 않다고 생각했다.[14]
1623년, 빈센트 드 폴이 설립한 로마 가톨릭 사도 생활회인 선교회는 파리에 있던 이전 나환자 수용소인 생 라자루스 수도원을 소유하게 되었고, 이로 인해 선교회 전체가 "라자르파" 또는 "라자리스트"라는 이름을 얻었지만, 구성원 대부분은 나환자를 돌보는 것과는 아무런 관련이 없었다.
역사적 정착촌의 상태에 대해서는 논쟁이 존재한다. 나환자 정착촌 내의 생활이 다른 격리되지 않은 개인의 삶보다 더 나쁘지 않다는 징후도 있다. 심지어 현재 나병의 정의가 중세 시대의 질병에 소급 적용될 수 있는지에 대한 의문도 있다. 당시 나병으로 분류된 질병은 오늘날에는 별개의 질병으로 분류될 광범위한 피부 질환을 포괄한다.[17] 일부 나환자 정착촌은 자체 화폐나 토큰을 발행하기도 했다.[18][19] 오늘날에는 아프리카, 브라질, 중국, 인도 등을 중심으로 나병에 걸린 사람들을 치료하기 위해 전 세계에 나환자 병원이 존재한다.[15]
5. 2. 1. 서양
나병은 알렉산드로스 대왕과 폼페이우스의 군대에 의해 남유럽에 전파되었다고 알려져 있다. 고대 그리스 의학과 고대 로마 의학 의사들은 나환자들을 도시에서 격리할 것을 권고했다.[13] 일부 초기 기독교인들은 예수 그리스도의 본보기를 따르기 위해 나환자 또는 나환자 공동체를 직접 돌보려 노력했으며, 이러한 활동은 니사의 그레고리우스의 카이사레아의 바실의 생애와 같은 성인전에 기록되어 있다.[13]
나병은 후기 고대 시대와 중세 초에 유럽 전역으로 확산된 것으로 보이며, 제국 교회는 나환자 수용소를 위한 기금을 마련했다.[13] 이러한 나병 환자 수용소는 460년 생투아앵 (St-Oyen), 570년 샬롱쉬르손 (Chalon-sur-Saône), 634년 베르됭 (Verdun)에 기록되어 있으며,[13] 그들의 관리는 종종 수도원 기사단에서 제공했다.[15] 현대 벨기에 지역만 해도 십자군 전쟁 이전에 700~800개나 되었을 수 있다.[13]
성 라자루스 기사단은 십자군 예루살렘에서 나환자들을 돌보기 위해 설립되었으며, 이후 유럽 전역에서 다른 나환자 수용소를 운영했다. 일부 정착촌은 격리를 보장하기 위해 산이나 외딴 곳에 위치해 있었고, 일부는 주요 도로에 위치하여 유지를 위한 기부를 받았다. 다른 곳은 주요 도시 내의 병원과 같았다.
역사적 정착촌의 상태에 대해 논쟁이 존재한다. 현재는 암울하고 방치된 곳으로 여겨지지만, 나환자 정착촌 또는 수용소 내의 생활이 다른 격리되지 않은 개인의 삶보다 더 나쁘지 않다는 징후도 있다.
다음은 서양의 나환자촌(나환자 정착촌) 목록이다.
- 칼라우파파 (하와이)
- 차카차카레 (트리니다드 토바고)
- 스피나롱가 (크레타섬): 현재는 사용되지 않음.
- 클리온 요양소 (필리핀)
- 라 데지라드 섬 (과들루프)
- 팜 섬 (오스트레일리아 퀸즐랜드주)
- 루이지애나 나병 환자 수용소 (카르빌, 루이지애나주, 미국)
- 로벤 섬 (남아프리카 공화국 웨스턴케이프주)
5. 2. 2. 일본
요양소명(소재지) | 2020년 5월 기준 입소자 수[22] |
---|---|
국립 요양소 쇼큐 보양원(아오모리현) | 58명 |
국립 요양소 도호쿠 신세이엔(미야기현) | 52명 |
국립 요양소 구리우 라쿠센엔(군마현) | 54명 |
국립 요양소 타마 전생원(도쿄도) | 144명 |
국립 스루가 요양소(시즈오카현) | 46명 |
국립 요양소 나가시마 아이세이엔(오카야마현) | 139명 |
국립 요양소 오쿠 코묘엔(오카야마현) | 78명 |
국립 요양소 오지마 세이쇼엔(가가와현) | 49명 |
국립 요양소 기쿠치 케이후엔(구마모토현) | 170명 |
국립 요양소 호시즈카 케이아이엔(가고시마현) | 103명 |
국립 요양소 아마미 와코엔(가고시마현) | 20명 |
국립 요양소 오키나와 아이라쿠엔(오키나와현) | 124명 |
국립 요양소 미야코 난세이엔(오키나와현) | 53명 |
5. 2. 3. 한국
소록도병원은 일제강점기에 설립된 한센병 요양소이다.[15]5. 2. 4. 과거 일본령 남양청 관할
섬 | 위치 | 개설일 | 폐쇄일 | 비고 |
---|---|---|---|---|
사이판 | 가라판 교외 | 1926년 | 1938년 7월 | 야프 섬 요양소에 통합 |
잘루잇, 엘리 섬 | 1927년 | |||
팔라우, 고롤 섬 | 1931년 | |||
야프, 피켈 섬 | 1932년 | |||
폰페이 섬 |
참조
[1]
논문
Termination of the leprosy isolation policy in the US and Japan : Science, policy changes, and the garbage can model
2005-03-16
[2]
서적
Oxford English Dictionary
https://www.oed.com
Oxford University Press
2022
[3]
서적
Oxford English Dictionary
https://www.oed.com
Oxford University Press
2022
[4]
문서
Luke 16
[5]
서적
Oxford English Dictionary
https://www.oed.com
Oxford University Press
2022
[6]
서적
Oxford English Dictionary
https://www.oed.com
Oxford University Press
2022
[7]
서적
Oxford English Dictionary
https://www.oed.com
Oxford University Press
2022
[8]
서적
A Suggestive Commentary on the New Testament
https://archive.org/[...]
1867
[9]
서적
Harvard Journal of Asiatic Studies
Harvard-Yenching Institute
2011-06
[10]
서적
GoKunming
https://www.gokunmin[...]
2019-06-17
[11]
서적
Sixth Tone
https://www.sixthton[...]
Shanghai United Media Group
2018-10-29
[12]
서적
The Stigmatization of Leprosy in India and Its Impact on Future Approaches to Elimination and Control
2008-01-30
[13]
서적
Leprosy in Ancient and Early Medieval Times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954-07
[14]
서적
Clinical Dermatology
2016-01
[15]
서적
Encyclopedia of Pestilence, Pandemics, and Plaques, Joseph P. Byrne, 2008: Encyclopedia of Pestilence, Pandemics, and Plaques
Greenwood Publishing Group
2008
[16]
웹사이트
Patron Saints Index: Saint Lazarus
http://saints.sqpn.c[...]
[17]
웹사이트
Welcome to American Leprosy Missions!
http://www.leprosy.o[...]
2020-12-15
[18]
서적
Unique Experiment with Currency Notes
1970
[19]
서적
The Numismatic Aspects of Leprosy
D.C. McDonald
1993
[20]
뉴스
Koizumi apologises for leper colonies
http://news.bbc.co.u[...]
2007-03-20
[21]
뉴스
Japan's leprosy policy denounced
http://news.bbc.co.u[...]
2007-03-20
[22]
웹사이트
ハンセン病患者数、療養所入所者数の推移
https://www.pref.kag[...]
2021-05-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