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난카이 해곡 거대지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난카이 해곡 거대지진은 일본 난카이 해곡에서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대규모 지진을 의미하며, 도카이 지진, 도난카이 지진, 난카이 지진이 연동하여 발생할 수 있다. 이 지진은 과거에 여러 차례 발생했으며, 1707년 호에이 지진은 일본 역사상 가장 큰 규모의 지진으로 기록된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지진 발생 시 진원역이 조금씩 다르며, 도쿄 대학 지진 연구소의 세노 데쓰조 교수는 지진을 두 종류로 구분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일본 정부는 난카이 해곡 거대지진의 발생 확률을 평가하고 있으며, 시간 예측 모델과 발생 간격 평가를 통해 지진 발생 시기를 예측하려 하지만, 여러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1900년대 초 이마무라 아키쓰네는 난카이 해역의 거대지진을 연구했으며, 2003년에는 향후 발생할 수 있는 난카이 해곡 지진의 최대 규모를 M8.7로 예상했다. 2011년 도호쿠 지방 태평양 지진 이후에는 연동형지진의 최대 규모를 M9.0으로 상정하고, 이에 따른 피해 시뮬레이션을 진행했다. 일본 기상청은 난카이 해곡 지진 관련 정보를 발표하며, 거대지진경계와 거대지진주의 정보를 제공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연동형 지진 - 호에이 지진
    1707년 난카이 해곡에서 발생한 호에이 지진은 도카이 지진과 난카이 지진이 연동된 대규모 지진으로 에도 시대에 막대한 피해를 야기하고 후지산 호에이 대분화를 촉발했다.
  • 연동형 지진 - 노비 지진
    1891년 네오다니 단층대의 활동으로 발생한 일본 역사상 최대 규모의 내륙 지진인 노비 지진은 기후현 모토스시 부근을 진원으로 하며, 막대한 인명 및 재산 피해와 함께 지진학 발전에 기여하고 일본의 방재 대책 수립의 계기가 되었다.
  • 난카이 해곡 지진 - 1498년 휴가나다 지진
    1498년 휴가나다 지진은 오이타현 사이키시 앞바다에서 발생한 규모 7.0~7.5의 지진으로, 규슈 지역을 중심으로 피해가 발생했으며 난카이 해곡 지진일 가능성도 제기되지만 기록의 신뢰성에 대한 의문도 있다.
  • 난카이 해곡 지진 - 2009년 스루가만 지진
    2009년 8월 11일 시즈오카현 스루가만에서 발생한 규모 6.5의 슬래브 내 지진인 2009년 스루가만 지진은 넓은 지역에 진도 6약의 흔들림을 일으키고, 교통망 차질, 원자력 발전소 자동 정지, 인명 및 시설 피해를 야기했다.
  • 일본의 지진 - 간토 대지진
    1923년 9월 1일 간토 지방 남부에서 발생한 간토 대지진은 대규모 지진과 그로 인한 화재, 여진, 쓰나미로 막대한 피해를 초래했으며, 간토 대학살과 같은 비극을 낳고 일본의 재해 예방 및 도시 계획에 큰 영향을 준 일본 역사상 최악의 자연재해 중 하나이다.
  • 일본의 지진 - 일본 해구
    일본 해구는 태평양판과 오호츠크판의 수렴경계에 위치한 깊고 활발한 지진 활동을 보이는 해구로, 잦은 지진과 쓰나미 위험을 야기하며 지질학적 및 해양생물학 연구의 중요한 대상이다.
난카이 해곡 거대지진
개요
명칭난카이 해곡 거대지진
원어 명칭일본어: 南海トラフ巨大地震 (난카이토라후쿄다이지신)
영어: Nankai megathrust earthquakes
관련 문서도카이·도난카이·난카이 지진
발생 메커니즘
원인난카이 해곡에서의 판 경계 활동
관련 플레이트필리핀해판 (섭입), 유라시아판 또는 아무르판
특징연동형 지진 발생 가능성
참고일반적으로 유라시아판과의 수렴 경계로 간주되지만, 아무르판의 동북일본 동진을 고려해야 한다는 견해도 있음.
과거 지진 기록
주요 지진메이오 지진 (1498년)
게이초 지진 (1605년)
호에이 지진 (1707년)
안세이 도카이 지진 (1854년)
안세이 난카이 지진 (1854년)
쇼와 도난카이 지진 (1944년)
쇼와 난카이 지진 (1946년)
장기 평가과거 지진 기록을 바탕으로 장기적인 지진 발생 가능성 평가
예상 피해
주요 피해지진
쓰나미
건물 붕괴
화재
교통 마비
경제적 피해
예상 진도최대 진도 7 예상
쓰나미 높이최대 34m 예상
피해 범위간토 지방
주부 지방
긴키 지방
주고쿠 지방
시코쿠 지방
규슈 지방
경제적 피해막대한 경제적 손실 예상
대비 및 대응
정부 대책지진 예측 연구 및 감시 강화
쓰나미 경보 시스템 구축
방파제 건설 등 해안 방어 시설 강화
주민 대피 훈련 실시
재해 발생 시 긴급 구조 및 구호 활동 계획 수립
개인 대비비상용품 준비
대피 장소 및 경로 확인
지진 발생 시 행동 요령 숙지
참고 자료
관련 연구http://www.eri.u-tokyo.ac.jp/seno/Papers/jisin.nankai.eq.pdf
https://cais.gsi.go.jp/YOCHIREN/report/kaihou87/12_02.pdf
관련 강연https://www.toray-sf.or.jp/aboutus/pdf/57-h19_1.pdf

2. 지진의 특징

각 구역에 해당하는 지진의 이름을 표시한 난카이 해곡 거대지진의 파열 구역


난카이 해곡은 필리핀해 판과 아무르 판(유라시아판) 사이의 섭입대 표면이다. 혼슈는 섭입하는 판 위에서 발달한 열도에서 형성되었다.[1] 거대 단층 경계는 규슈 남쪽 끝에서 후지산 근처의 오호츠크 미세 판과의 삼중 접합점까지 약 700km 뻗어 있다. 남서쪽 끝에는 덮개 판이 오키나와 판이 되는 또 다른 삼중 접합점이 있다.[2]

해구 경사각은 지표면 근처에서 약 5°에서 혼슈 해안 아래를 지나면서 10°로 증가한다. 지진 반사파 자료 분석에 따르면 일부 변위는 약 25°로 경사진 분기 단층에 의해 발생한다.[3] 이 '메가스플레이' 단층계는 유체 함량이 높은 퇴적암의 두꺼운 부분을 깊숙이 밀어 넣었다. 이 '약한' 구역의 존재는 거대 해구 지진 동안 메가스플레이 단층을 따라 얕은 동시 진원 파열을 유발하여, 이러한 사건으로 인해 발생하는 거대한 쓰나미를 설명할 수 있다.[4]

난카이 해곡 거대지진은 지난 약 1300년 동안 최소 12번의 대규모 지진을 일으킨 것으로 생각된다. 역사적 지진 활동 패턴을 보면 거대지진 표면이 분절되어 있으며, 서쪽에서 동쪽으로 A~E로 통상적으로 명명된 5개의 파열 구역이 식별된다.[5]

난카이 해곡에서 발생하는 해구형지진은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재귀성'과 '연동성'이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또한 난카이 해곡은 약 2천만년 된 젊은 판이 가라앉아 있고 얉으며 온도가 낮아 낮은 각도로 섭입해 판 경계간의 애스패리티도 형성되기 쉬우며 진원도 육지와 가까워 피해가 커지기 쉽다.[265] 난카이 해곡에서 필리핀해판과 유라시아판(아무르판)과의 판 사이 결합력은 100%에 가깝게 거의 완벽히 서로 고착되어 1년에 약 6.5 cm씩 일본 열도를 밀어내는 판의 에너지가 거의 대부분 지진 에너지로만 방출된다고 알려져 있다.

쇼와 난카이 지진은 단순한 판 경계간 지진이 아닌 분기단층(주 단층대에서 분리되어 뻗어있는 미세한 여러 소단층)에서의 단층 미끄러짐을 동반했을 가능성이 추정되는데 난카이 해곡을 따라서 과거에 발생했다고 추정되는 여러 스프레이 분기단층이 다수 확인되었다.[261] 한편 진원지가 넓으면 그에 따라 매우 큰 장주기 지진동 발생도 예상되어 진원에 가까운 평야 지역 대도시인 오사카, 나고야를 비롯한 지역에서 여러 고층 건물이나 오일탱크 등에 여러 피해가 발생할 가능성도 있다.[262]

1498년 메이오 지진 이후부터는 문헌 자료도 풍부하고 발생 간격도 약 100여년 전후로 일정하다고 여겨졌다. 하지만 이 이전에는 도카이도 해역의 지진 발생 기록이 거의 없는데다 1361년 쇼헤이 지진 이전의 지진 발생 간격은 문헌 기록이 거의 남아있지 않아 13세기 전반 시기 발생했다고 추정되는 쓰나미와 토양액상화의 흔적을 여러 곳에 발견해 문헌 기록을 겨우 보완하는 수준이고, 1096년 에이초 지진 이전은 확실한 증거도 거의 발견되지 않아 쓰나미 퇴적물 연구를 토대로 100년과 200년 주기가 번갈아 반복해서 일어난다는 가설도 있다.[251]

난카이 해곡 지진 발생영역 (종래설)[293]
지진조사위원회(2013년)의 구분(휴가나다)난카이도난카이도카이연동시 간격
Z
휴가 해분
A
도사 해분
B
무로토 해분
C
구마 해분
D
엔슈 해분
E
스루가만
이시바시(石橋, 2002)에 따른
발생영역
: 확실
: 확실시
: 가능성 있음
: 설이 있음
: 해일 지진
684년 하쿠호 지진colspan="3" style="background-color:red"|colspan="2" style="background-color:yellow"|colspan="2" style="background-color:gray"|동시기[294]
887년 닌나 지진colspan="5" style="background-color:red"|colspan="2" style="background-color:gray"|동시기[294]
1096년 에이초 지진
1099년 고와 지진
colspan="3" style="background-color:orange; border-right:2px solid black"|colspan="2" style="background-color:red"|colspan="2" style="background-color:orange"|2년 2개월[294] 또는 동시[295][296]
1361년 쇼헤이 지진colspan="3" style="background-color:red; border-right:2px solid black"|colspan="2" style="background-color:red"|colspan="2" style="background-color:gray"|동시기[294][297] 또는 2일[298]
1498년 메이오 지진colspan="2"|colspan="2" style="background-color:orange"|colspan="4" style="background-color:red"|동시 또는 가까운 간격[299]
1605년 게이초 지진colspan="5" style="background-color:magenta"|colspan="2"|불명[294][300]
1707년 호에이 지진style="background-color:gray"|colspan="6" style="background-color:red"|style="background-color:yellow; width:1em"|동시[301]
1854년 안세이 도카이 지진
1854년 안세이 난카이 지진
colspan="3" style="background-color:red; border-right:2px solid black"|colspan="4" style="background-color:red"|32시간[302]
1944년 쇼와 도난카이 지진
1946년 쇼와 난카이 지진
colspan="2"|colspan="2" style="background-color:red; border-right:2px solid black"|colspan="2" style="background-color:red"|colspan="2"|2년[303]



난카이 해곡 지진 발생영역 (재검토)[289]
colspan="2" rowspan="2"|Z
휴가 해분
A
도사 해분
B
무로토 해분
C
구마 해분
D
엔슈 해분
E
스루가만
이전 지진과의 발생 간격
난카이도 해역도카이도 해역
후루무라(古村, 2015) 연구의
발생영역
:확실
:가능성 있음
684년 하쿠호 지진colspan="3" style="background-color:red"|colspan="2" style="background-color:yellow"|colspan="2"|-
887년 닌나 지진colspan="5" style="background-color:red"|colspan="2"|203년203년
1096년 에이초 지진colspan="4"|colspan="2" style="background-color:red"|colspan="2" style="background-color:yellow"|474년209년
1361년 쇼헤이 지진colspan="3" style="background-color:red; border-right:2px solid black"|colspan="2" style="background-color:red"|colspan="2"|265년
1498년 메이오 지진colspan="4"|colspan="4" style="background-color:red"|346년137년
1707년 호에이 지진colspan="6" style="background-color:red"|style="background-color:yellow; width:1em"|209년
1854년 안세이 지진colspan="3" style="background-color:red; border-right:2px solid black"|colspan="4" style="background-color:red"|147년147년
1944/1946년 쇼와 지진colspan="2"|colspan="2" style="background-color:red; border-right:2px solid black"|colspan="2" style="background-color:red"|colspan="2"|92년90년


2. 1. 연동형 지진

난카이 해곡의 지진은 도카이 지진, 도난카이 지진, 난카이 지진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세 지진은 어느 하나가 일어나면 몇 시간에서 몇 년의 간격을 두고, 또는 시간 간격 없이 바로 연동해 발생한다는 것이 정설로 받아들여졌다.[248] 이 지진들은 모두 규모 8 이상인 거대한 지진으로, 지진 자체의 흔들림과 지진해일로 큰 피해를 내왔다.

684년 하쿠호 난카이 지진부터 1946년 쇼와 난카이 지진까지의 지진 발생 및 연동 분석 그림


이후 연구에 따르면 지진이 발생할 때마다 진원이 조금씩 다르다고 밝혀졌다. 예를 들어 1854년 안세이 난카이 지진은 난카이도 해역 전역을 진원으로 발생했지만 1946년 쇼와 난카이 지진은 난카이도 서쪽 1/4 지역은 진원지에서 빠졌다.[249] 도쿄 대학 지진 연구소의 세노 데쓰조 교수는 도카이-도난카이-난카이 3개 지진 분류 체계를 바꿀 필요성을 언급하며 "안세이형 지진"과 "호에이형 지진" 두 종류의 지진으로 구분해야 한다고 주장한다.[250]

난카이 해곡 전역에서 거의 동시에 단층파괴를 일으킨 지진은 규모가 매우 컸으며 1707년 호에이 지진은 일본 역사상 가장 규모가 큰 지진으로 꼽힌다. 1854년 안세이 지진이 쇼와 지진보다 규모가 더 크며,[255] 1707년 호에이 지진이 1854년 안세이 지진보다 규모가 더 크다.

3. 역사



난카이 해곡의 지진은 약 90년에서 150년(중세 이전에는 200년 이상) 간격으로 발생하는 도카이 지진, 도난카이 지진, 난카이 지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세 지진 중 하나가 발생하면 몇 시간에서 몇 년의 간격을 두고, 또는 시간 간격 없이 바로 연동되어 발생한다는 것이 정설로 받아들여졌다. 1605년에 일어난 게이초 지진의 경우에는 난카이 해곡에서 일어난 지진이 아니라는 설이 유력하여, 난카이 해곡 거대지진은 대략 200년 간격으로 일어나는 것이 자연스럽다는 의견도 있다.[248] 가장 최근의 쇼와 시대 지진들은 지진계에 의한 관측 기록이 존재하고, 그보다 오래된 지진들은 지질 조사 및 문헌 자료를 통해 분석되었다. 분석 결과 앞으로도 같은 간격으로 계속 발생할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 이 지진들은 모두 규모 8 이상인 거대한 지진으로, 지진 자체의 흔들림과 지진해일로 큰 피해를 일으켰다.

이후 연구에 따르면 지진이 발생할 때마다 진원이 조금씩 다르다고 밝혀졌다. 예를 들어 같은 난카이도 해역의 지진이라고 하더라도 1854년 안세이 난카이 지진은 난카이도 해역 전역을 진원으로 발생했지만, 1946년 쇼와 난카이 지진은 난카이도 서쪽 1/4 지역은 진원지에서 제외되었다.[249] 한편 도쿄 대학 지진 연구소의 세노 데쓰조 교수는 도카이-도난카이-난카이 3개 지진 분류 체계를 바꿀 필요성을 언급하며, 난카이 해곡 동쪽 끝의 진원지(도난카이 일부와 도카이 전체)와 연동해 시즈오카현 부근까지 단층 파괴가 일어나는 "안세이형 지진"과 이 진원지와는 연동하지 않아 시즈오카현 부근까지는 단층 파괴가 일어나지 않는 "호에이형 지진" 두 종류의 지진으로 구분해야 한다고 주장한다.[250]

1498년 메이오 지진 이후부터는 문헌 자료도 풍부하고 발생 간격도 약 100여 년 전후로 일정하다고 여겨졌다. 하지만 이 이전에는 도카이도 해역의 지진 발생 기록이 거의 없는데다 1361년 쇼헤이 지진 이전의 지진 발생 간격은 문헌 기록이 거의 남아있지 않아 13세기 전반 시기 발생했다고 추정되는 쓰나미와 토양액상화 흔적을 여러 곳에서 발견해 문헌 기록을 겨우 보완하는 수준이고, 1096년 에이초 지진 이전은 확실한 증거도 거의 발견되지 않아 쓰나미 퇴적물 연구를 토대로 100년과 200년 주기가 번갈아 반복해서 일어난다는 가설도 있다.[251] 액상화 흔적 연구의 경우에는 내륙의 단층 지진일 가능성이나 추정 연대의 오차 범위 문제도 있어 더 많은 검토가 필요하다.[252] 판의 상대적 운동과 판 경계의 마찰 특성을 이용한 지진 연동 발생을 시뮬레이션하려는 시도도 있고 연동성은 재현하였으나 지진 발생 간격이 역사 기록과 일치하지 않는 점도 있다.[253][254]

난카이 해곡 전역에서 거의 동시에 단층 파괴를 일으킨 지진은 규모가 매우 컸으며, 1707년 호에이 지진은 일본 역사상 가장 규모가 큰 지진으로 꼽힌다. 1854년 안세이 지진쇼와 지진보다 규모가 더 크며,[255] 1707년 호에이 지진이 1854년 안세이 지진보다 규모가 더 컸다. 예를 들어 고치현 스사키시에서는 안세이 지진 당시 5~6m의 쓰나미가 닥쳤지만 호에이 지진 당시에는 해발 11m 지점까지, 일부 지점에서는 최대 18m가 넘는 쓰나미가 닥쳤다.[256] 도사번의 피해 보고에 따르면 안세이 지진으로 주택 3,082채가 붕괴, 3,202채가 유실, 2,481채가 소실되었으나 호에이 지진에는 5,608채가 붕괴, 11,167채가 유실되었다고 집계되었다.[257] 안세이의 쓰나미로 파괴되어 버려진 마을은 도사번에서 총 4개 마을이었으나 《곡릉기》에 따르면 호에이 지진 당시 버려진 마을은 총 81곳에 달했다.[258] 21세기 들어서면서 고치현 도사시 가니치에서 호에이 지진으로 만들어진 초대형 쓰나미 퇴적물이 발견되었는데, 호에이 지진과 마찬가지로 쓰나미 퇴적물을 남기는 지진 흔적은 300~600년 간격으로 발견된다고 밝혀졌다. 또한 호에이 지진보다 약 2천 년 전으로 추정되는 시기 남은 지층에 두꺼운 쓰나미 퇴적물이 발견되어 호에이 지진의 쓰나미보다 더 높은 쓰나미가 과거에 있었을 가능성이 같이 지적되었다.[245][259][260]

쇼와 난카이 지진은 단순한 판 경계간 지진이 아닌 분기단층(주 단층대에서 분리되어 뻗어있는 미세한 여러 소단층)에서의 단층 미끄러짐을 동반했을 가능성이 추정되는데, 난카이 해곡을 따라서 과거에 발생했다고 추정되는 여러 스프레이 분기단층이 다수 확인되었다.[261] 한편 진원지가 넓으면 그에 따라 매우 큰 장주기 지진동 발생도 예상되어 진원에 가까운 평야 지역 대도시인 오사카, 나고야를 비롯한 지역에서 여러 고층 건물이나 오일탱크 등에 여러 피해가 발생할 가능성도 있다.[262] 이와 관련해 고문헌에서는 종종 반 시간이 넘게 장시간 강한 진동이 이어졌다고 해석할 수 있는 여러 지진 기록이 보이는데, 이는 대지진에 대한 공포감이 과장된 표현을 낳았다고 보는 주장과 반대로 연동형 지진처럼 진원이 매우 넓어지면 단층 파괴가 전달되는 시간이 더 길어져 거기서 또 다른 단층 파괴가 계속 이어지는 등 파괴 시간이 매우 긴 다중 지진이 되어 본진 후 빈발하는 여진과 합쳐져 실제로 느껴지는 지진의 흔들림이 매우 길어진 것을 표현했다는 주장으로 나눠진다.[263][264]

위와 같이 난카이 해곡에서 발생하는 해구형지진은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재귀성'과 여러 고유 지진의 진원지에서 동시에 발생하는 '연동성'이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또한 난카이 해곡은 약 2천만 년 된 젊은 판이 가라앉아 있고 얉으며 온도가 낮아 낮은 각도로 섭입해 판 경계간의 애스패리티도 형성되기 쉬우며 진원도 육지와 가까워 피해가 커지기 쉽다.[265] 난카이 해곡에서 필리핀해판유라시아판(아무르판)과의 판 사이 결합력은 100%에 가깝게 거의 완벽히 서로 고착되어 1년에 약 6.5cm씩 일본 열도를 밀어내는 판의 에너지가 거의 대부분 지진 에너지로만 방출된다고 알려져 있다. 하지만 기이반도 끝부분 시오노곶 해역 부근에 고착력이 약하고 미끄러지기 쉬운 영역이 있으며, 1944년 쇼와 도난카이 지진과 1946년 쇼와 난카이 지진은 모두 이 부근을 진원으로 단층 파괴가 각각 동, 서 방향으로 퍼져나간 것과 관련이 깊다고 알려졌다.[266]

역사 기록상 난카이 해곡의 동쪽 절반과 서쪽 절반의 진원들이 시간차를 두고, 또는 거의 동시에 연동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추정되지만, 이 지진들 중 기기 관측 기록이 존재하는 것은 쇼와 시대의 지진뿐이며,[286][287] 전체적인 사료가 남아 있어 진원지를 특정할 수 있는 것은 에도 시대의 안세이 지진호에이 지진까지다. 그 이전의 지진들은 사료가 부족하여 진원지에 관해 여러 설이 난립하고 있다.[288]게이초 지진은 난카이 해곡 지진이 아예 아닐 가능성을 의심하는 의견도 있다.

종래에는 진원지가 난카이, 도난카이, 도카이 또는 A(도사 해분), B(무로토 해분), C(구마 해분), D(엔슈 해분), E(스루가만)의 세그먼트로 구분되었다.[290] 이 중 A, B가 난카이 지진, C, D가 도난카이 지진, E가 도카이 지진에 해당한다. 하지만 호에이 지진은 도사 해분 남서쪽의 휴가나다 지진도 연동되었을 가능성이 지적되고,[291] 아예 난카이 3연동 지진과는 별개의 거대 지진이라는 설도 등장하고 있다.[292] 1498년의 메이오 지진난카이 지진휴가나다 지진이 연동되었을 가능성이 지적된다.

발생 간격만을 이용하여 지진을 평가하는 방법도 있지만, 이 역시 1605년 게이초 지진을 난카이 해곡 지진으로 포함할지, 684년 하쿠호 지진 이후 모든 지진의 연대를 사용할지, 1361년 쇼헤이 지진 이후인지, 확실한 기록이 남아 있는 1707년 호에이 지진 이후를 사용할지 등에 따라 평균 발생 간격이 크게 달라진다. 여기서는 안세이 지진쇼와 지진처럼 동서로 나눠서 발생한 경우 둘을 합쳐 1사이클로 취급했다.[285]

2013년 기준 30년 내 발생 확률 (시간 예측 모델을 사용하지 않은 경우)
사례평균 발생 간격30년 내 발생 확률 (최대가능도 방법)
하쿠호 지진 이후 전부157.6년10% 정도 (α=0.40)
게이초 지진 제외 하쿠호 지진 이후180.1년6% (α=0.37)
쇼헤이 지진 이후 전부116.9년20% 정도 (α=0.20)
게이초 지진 제외 쇼헤이 지진 이후146.1년10% 정도 (α=0.35)
호에이 지진 이후119.1년30% 정도 (α=0.34)


3. 1. 주요 역사 지진

주요 역사 지진[66][67]
발생일지진 이름진원 영역규모비고
684년 (덴무 13년) 11월 29일하쿠호 지진난카이 해곡 거의 전역M 8.25호에이형 지진일 가능성이 있음[81]
887년 (닌나 3년) 8월 26일닌나 지진난카이도 해역M 8.0~8.5[81]
1096년 (가호 3년) 12월 17일
1099년 (조지 3년) 2월 22일
에이초 지진
고와 지진
도카이도 해역
난카이도 해역
M 8.0~8.52년 2개월 간격으로 발생[81] 혹은 동시 발생[74][75]
1361년 (쇼헤이 16년/고안 원년) 7월 26일
1361년 (쇼헤이 16년/고안 원년) 8월
쇼헤이 지진도카이도 해역
난카이도 해역
M 8.25~8.5동시 발생[81][76] 혹은 2일 간격 발생[104]
1498년 (메이오 7년) 9월 20일메이오 지진도카이도 해역M 8.2~8.4난카이 지진휴가나다 지진이 연동했을 가능성 있음[112]
1605년 (게이초 9년) 12월 16일게이초 지진불명M 7.9~8.0쓰나미 지진으로 추정[81][125]
1707년 (호에이 4년) 10월 28일호에이 지진난카이 해곡 거의 전역M 8.6일본 역사상 가장 큰 규모의 지진으로 꼽힘. 휴가나다 지진도 연동했을 가능성 있음[77]
1854년 (가에이 7년) 12월 23일
1854년 (가에이 7년) 12월 24일
안세이 대지진도카이도 해역
난카이도 해역
M 8.4안세이 도카이 지진안세이 난카이 지진이 32시간 간격으로 발생[150]
1944년 (쇼와 19년) 12월 7일
1946년 (쇼와 21년) 12월 21일
쇼와 지진도난카이 해역
난카이도 해역
M 7.9
M 8.0
쇼와 도난카이 지진쇼와 난카이 지진이 2년 간격으로 발생[157]


4. 지진 발생 확률

일본 지진조사위원회는 난카이 해곡 거대지진의 발생 확률을 평가하고 있다. 2024년 1월 15일 발표에 따르면, 30년 내 발생 확률은 70~80%, 50년 내 발생 확률은 90% 이상이다.[277] 2023년 1월에는 규모 M8~9급의 거대지진이 20년 내 발생할 확률이 "60% 정도"라고 발표했다.[411]

난카이 해곡 거대지진 발생 확률 (일본 지진조사위원회, 2024년 1월 1일 기준)
지진 종류규모(M)30년 내 발생 확률
판 경계간 지진M8-9 규모70% - 80%


4. 1. 시간 예측 모델

시간 예측 모델에 따른 난카이 해곡 거대지진의 발생 예측과 무로츠항의 융기량 비교. 호에이 지진 당시에는 1.8 m(추정), 안세이 지진 당시 1.2 m, 쇼와 지진 당시 1.15 m이다.


BPT 분포에 따른 난카이 해곡 거대지진의 발생 예측. 아래는 2019년 기준 30년 이내 지진 발생 확률의 계산이다.


시간 예측 모델(time predictable model)은 지진으로 발생한 변위량과 다음 지진까지의 회복 시간이 비례한다는 가정으로 세운 모델이다. 슬립 예측 모델(slip predictable model)은 이전 지진부터 쌓인 변형 축적 시간과 지진으로 발생하는 변위량이 비례한다는 가정으로 세운 모델이다. 하지만 두 모델 모두 불완전하여 완벽히 예측하진 못한다고 알려져 있다.[273]

1977년 시마자키 구니히코는 많은 단층이 약하지만 시간 예측 모델을 따라가는 경향이 있기에 난카이 해곡을 따라 발생하는 지진도 시간 예측 모델을 적용할 수 있지 않을까라고 제안했다.[274][275]

다음에 발생할 수 있는 지진은 기존 지진보다 폭넓게 규모 M8~9급으로 가정한다. 고치현 무로토시 무로츠항의 역대 난카이 지진(호에이, 안세이, 쇼와) 융기량과 발생 간격을 기반으로 시간 예측 모델을 적용해 예측한 다음 M8급 지진은 쇼와 난카이 지진으로부터 약 88.2년 후로 추정되며, 이를 통해 계산한 지진 발생 확률은 아래와 같다.[274][275][276]

지진 발생 확률(일본 지진조사위원회 기준)
구역지진 종류2024년 1월 1일 기준
규모(M)30년 내 발생 확률
난카이 해곡판 경계간 지진M8-9 규모70% - 80%[277]



2024년 1월 15일 일본 지진조사연구회가 발표한 자료에서는 난카이 해곡의 지진 발생 확률은 10년 내에 약 30%, 20년 내 약 60%, 30년 내에 약 70-80%, 50년 내 발생 확률은 90% 이상이라고 발표했다.[277]

무로츠항의 쇼와 난카이 지진 당시 융기량은 조위 변화로 계산시 115 cm이며,[278] 안세이 난카이 지진 당시에는 무로츠항을 관리하던 항만 관리인 구보노 가문의 기록에 따르면 약 4척(1.2 m)이고,[279] 호에이 지진 당시에는 구보노 가문의 기록에서 지진 전과 지진 52년 후의 수심 차이인 5척(1.5 m)[279]를 52년간의 변동으로 보정하면 약 1.8 m로 추정된다.[274]

시간 예측 모델로 추정된 88.2년을 평균 활동 간격에 적용하고, 쇼헤이에서 쇼와까지 이르는 지진 활동 간격의 편차로부터 최대가능도 방법으로 구한 변동 계수(표준편차) α의 값은 0.20으로 데이터가 적은 점을 감안해 0.20~0.24로 α를 설정했다. 확률 밀도 함수로 BPT(Brownian Passage Time) 분포를 이용해 30년 이내 발생 확률을 계산했다.[276] 그 다음으로 최대 규모(M9 이상)의 지진이 발생할 가능성도 있지만, 그 발생 빈도는 100~200년 간격으로 발생하는 지진에 비해 확률이 "한 자릿수 이상 낮다"고 발표했다.[280]

시간 예측 모델 적용에는 다음과 같은 여러 문제점이 지적된다.[281]


  • 난카이 해곡을 따라 발생하는 거대지진은 진원이 매우 다양한데도 불구하고 무로츠항의 융기만으로 한번에 평가할 수 있는가?
  • 융기량이 이를 회복하는 시간에 비례한다면 평상시 무로츠항의 침강 속도는 1년에 약 13 mm가 되어야 하지만, 수준 측량에 따른 실제 평상시 침강 속도는 1년에 5~7 mm로 매우 다르다.
  • 시마자키 구니히코가 시간 예측 모델을 적용할 수 있다고 말한 지진은 쇼와 난카이 지진 외 호에이와 안세이 두 지진뿐이다. 하쿠호 지진부터 모델을 적용해본다면 시간 예측 모델은 전혀 맞지 않는다는 연구도 있다.[282]


또한 어떤 지진(이 경우 난카이 해곡 지진)이 다른 지진의 유발지진으로 발생되는 경우가 있다면 발생 시기는 외부 요인인 '유발'에 구속되기 때문에 시간 예측 모델이 성립하지 않는다.[283] 그리고 지각 변동량에 사용된 무로츠항의 수심 변화가 오차가 고려되지 않았고 지진 전 수심 측정일이 불분명한 등 구보노 가문의 기록을 이용한 변동량 자체에 문제가 있어, 많은 문제점이 지적됨에도 마치 과학적 판단만으로 지진 발생 시기를 예측한 것처럼 보이는 상황을 만들었다는 비판도 있다.[284]

4. 2. 발생 간격 평가

난카이 해곡 거대지진의 발생 간격을 평가하는 것은 여러 요인으로 인해 복잡하다.

발생 간격만을 이용하여 지진을 예측하는 방법도 있지만, 이 방법에는 여러 이견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1605년에 발생한 게이초 지진을 포함할지 여부와 어떤 지진들의 연대를 사용할지에 따라 평균 발생 간격이 크게 달라질 수 있다.

5. 예측과 연구

1900년대 초, 도쿄제국대학 교수 이마무라 아키쓰네는 역사 기록에 남아 있는 닌나 지진, 호에이 지진 등 '''오기칠도 대지진'''(五畿七道大地震)이 모두 쓰나미를 동반한 난카이도 해역의 거대지진이며, 역사적으로 반복해서 발생했다고 주장했다.[386][387] 이마무라는 1928년 사비를 들여 난카이 지진연구소(현 도쿄 대학 지진연구소 와카야마 지진관측소)를 설립하기도 했다. 1951년 사와무라 다케오는 쇼와 난카이 지진 발생 후 수로부의 측량 결과 시코쿠 남부의 융기 지각 변동이 밝혀졌고, 이것이 역사지진으로 알려진 무로토곶의 융기 및 고치평야의 침강 지각 변동과 거의 일치한다고 분석했다. 그는 하쿠호 지진부터 쇼와 지진까지 공통된 성질을 가진 역대 난카이도 해역의 진원이 시오노미사키곶에서 아시즈리곶까지 이어지는 대규모 북쪽을 축선으로 가진 역단층선에 줄지어 있으며, 이 충상단층을 "난카이 해곡"이라고 명명했다.[278][388][389]

쓰나미로 만들어진 호수인 가니가이케 호수. 일본 고치현 도사시 마치류 소재.


이후 1960년대 판 구조론이 발달하면서, 1972년 가나모리 히로오는 쇼와 도난카이-난카이 지진의 진원 단층 모델을 통해 두 지진이 난카이 해곡의 판 경계에서 발생했다고 분석했다.[390] 난카이 해곡에서 발생하는 해구형지진은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재귀성'과 여러 고유지진의 진원지에서 동시에 발생하는 '연동성'이라는 특징을 가진다. 난카이 해곡은 약 2천만년 된 젊은 판이 얇고 낮은 각도로 섭입하여 판 경계간의 애스패리티도 형성되기 쉬우며 진원도 육지와 가까워 피해가 커지기 쉽다.[265]

일본 문부과학성의 위탁을 받아 도쿄 대학, 도호쿠 대학, 나고야 대학, 교토 대학, 해양연구개발기구는 "도카이·도난카이·난카이 지진의 연동성 평가 연구 프로젝트"를 2008년부터 2012년까지 진행했다.[405] 2012년 2월에는 해저 지진계와 압력계(쓰나미 계측계)의 관측 장비에 전력을 공급하고 관측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지상국의 위치를 결정했다.[406]

2012년 1월 도쿄 대학과 해양연구개발기구 연구진들은 기이반도 해역에서 도난카이와 난카이 지진 진원역에 걸친 길이 200 km 이상, 높이 500 m~1 km의 매우 큰 분기단층을 발견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과거 도난카이와 난카이가 연동되어 발생했다는 증거로 보인다. 또한 분기단층에서 지진 발생 시 쓰나미가 증폭되어 동시에 활동할 경우 매우 큰 쓰나미가 일어날 가능성이 있다고 발표했다.[407][408]

난카이 해곡은 필리핀해 판과 아무르 판 사이의 섭입대 표면이다. 혼슈는 섭입하는 판 위에서 발달한 열도에서 형성되었다.[1] 해구 경사각은 지표면 근처에서 약 5°에서 혼슈 해안 아래를 지나면서 10°로 증가한다. 지진 반사파 자료 분석에 따르면 일부 변위는 약 25°로 경사진 분기 단층에 의해 발생한다.[3]

난카이 해곡 거대지진은 지난 약 1300년 동안 최소 12번의 대규모 지진을 일으킨 것으로 생각된다. 역사적 지진 활동 패턴을 보면 거대지진 표면이 분절되어 있으며, 서쪽에서 동쪽으로 A~E로 통상적으로 명명된 5개의 파열 구역이 식별된다.[5]

과거 지진 기록, 쓰나미 퇴적물, 지각 변동 등을 분석하여 지진 발생 메커니즘과 예측 모델을 개발하고 있다. 오이타현 사이키시의 하자코류진지 호수는 3,300년 전 지층에서 8차례의 쓰나미 퇴적물이 남았으며 특히 대규모 지진이 이런 쓰나미 퇴적물을 남길 수 있었다. 이 중 3개 층은 역사 이래 1707년 호에이 지진, 1361년 쇼헤이 지진, 684년 하쿠호 지진의 흔적에 해당한다고 추정된다.[399] 고치현 도사시 가니치 호수에서 발견된 쓰나미 퇴적물 분석 결과 호에이 지진 당시의 모래 두께 이상의 굵은 모래를 실어다 나른 쓰나미가 약 2천년 전에 발생했다고 추정되는데[245][260][400] 이는 M9급의 초거대지진으로 나온 흔적으로 추정된다.[401]

쇼와 난카이 지진은 단순한 판 경계간 지진이 아닌 분기단층(주 단층대에서 분리되어 뻗어있는 미세한 여러 소단층)에서의 단층 미끄러짐을 동반했을 가능성이 추정되는데 난카이 해곡을 따라서 과거에 발생했다고 추정되는 여러 스프레이 분기단층이 다수 확인되었다.[261]

2011년 3월 도호쿠 지방 태평양 해역 지진 발생 이후 난카이 해곡 거대지진에 대한 우려가 부각됨에 따라 일본 정부는 중앙방재회의에 "난카이 해곡 거대지진 대책검토워킹그룹"을 설치해 대책검토를 진행했다. 워킹그룹이 2012년 7월 정리한 중간보고서에서는 난카이 해곡에서 예상되는 최대급의 거대지진이 동일본 대지진 이상의 막대한 인적 물적 피해를 발생시킬, 국난이라고 할 수 있는 거대한 재앙이 될 것이라고 평가하고 있다.[269][270][271]

5. 1. 가정 및 시뮬레이션

일본 지진조사위원회는 난카이 해곡 거대지진의 발생 확률을 2024년 1월 1일 기준으로 30년 내에 70~80%로 평가했다.[277] 이는 규모 M8~9급의 지진에 해당한다. 2024년 1월 15일, 일본 지진조사연구회는 난카이 해곡 지진 발생 확률을 10년 내 약 30%, 20년 내 약 60%, 30년 내 약 70~80%, 50년 내 90% 이상으로 발표했다.[277]

지진 발생 확률(일본 지진조사위원회 기준)
구역지진 종류2024년 1월 1일 기준
규모(M)30년 내 발생 확률
난카이 해곡판 경계간 지진M8-9 규모70% - 80%[277]



난카이 해곡 거대지진은 시간 예측 모델(time predictable model)과 슬립 예측 모델(slip predictable model)로 예측한다.[273] 시간 예측 모델은 지진으로 발생한 변위량과 다음 지진까지 회복 시간이 비례한다는 가정에 기반하며, 슬립 예측 모델은 이전 지진부터 쌓인 변형 축적 시간과 지진으로 발생하는 변위량이 비례한다는 가정에 기반한다. 하지만 두 모델 모두 불완전하여 완벽한 예측은 어렵다고 알려져 있다.[273] 1977년 시마자키 구니히코는 난카이 해곡 지진에 시간 예측 모델을 적용할 수 있다고 제안했다.[274][275]

고치현 무로토시 무로츠항의 융기량과 발생 간격을 기반으로 시간 예측 모델을 적용하면, 다음 M8급 지진은 쇼와 난카이 지진으로부터 약 88.2년 후로 추정된다.[274][275][276] 무로츠항의 융기량은 쇼와 난카이 지진 당시 115cm,[278] 안세이 난카이 지진 당시 약 1.2m,[279] 호에이 지진 당시 약 1.8m로 추정된다.[274]

시간 예측 모델은 여러 문제점이 지적된다.[281] 난카이 해곡 거대지진은 진원이 다양한데 무로츠항 융기만으로 평가할 수 있는지, 평상시 무로츠항 침강 속도가 실제와 다른 점, 하쿠호 지진부터 모델을 적용하면 맞지 않는다는 연구 결과 등이 있다.[282] 또한, 유발지진의 경우 시간 예측 모델이 성립하지 않으며,[283] 무로츠항 수심 변화 기록 자체에 문제가 있다는 비판도 있다.[284]

2011년 동일본 대지진 이후, 중앙방재회의는 '난카이 해곡 거대지진 모델 검토회'를 설치하여 최대 M9.0의 지진을 가정하고 진도 분포와 쓰나미 높이를 예측했다.[412] 이는 기존 예상보다 훨씬 큰 규모였다. 검토회장 아베 가쓰유키는 이 지진이 발생하면 "거대 서일본 지진"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413][414][415]

2012년 3월, 검토회는 최대 규모 지진에 대한 진도 분포와 쓰나미 높이를 공개했다.[419] 진도 6 이상 지역은 24개 부현 687개 시정촌으로, 10개 현 153개 시정촌에서 진도 7이 예상되었다. 쓰나미는 도쿠시마현 아난시에서 16.2m, 미에현 시마시에서 24m 등으로 예상되어, 각 지자체는 대책을 재검토했다.[420]

2018년 3월, 간사이 대학의 나가마쓰 신와레 교수와 규슈대학의 미야자키 아쓰시 교수는 지진 발생 후 5년간 일본 정부와 지자체의 복구 비용이 162조 엔에 달한다고 추산했다. 이는 동일본 대지진 당시 복구 비용 32조 엔이나 2017년 일본 국가 일반 회계 예산 97조 엔을 훨씬 넘는 수치이다.

6. 경계 체계

일본 기상청은 난카이 해곡 지진 관련 정보를 발표하여 지진 발생 가능성을 경고하고 있다.[431] 2017년 11월 1일부터 도카이 지진에 한정되었던 경계 체제(도카이 지진 관련 정보)를 재조정하여 "난카이 해곡 지진 관련 정보 (임시)" 및 "난카이 해곡 지진 관련 정보 (정례)" 운영을 시작했다.[432][433] 2019년 5월 31일부터는 "난카이 해곡 지진 임시 정보" 및 "난카이 해곡 지진 관련 해설 정보"로 변경되었다.[223]

6. 1. 정보 발표 기준

일본 기상청은 난카이 해곡 거대지진 발생 가능성이 증가할 경우 난카이 해곡 지진 관련 정보를 발표한다.[431] 2017년 11월 1일, 도카이 지진에 한정되었던 경계 체제(도카이 지진 관련 정보)를 재조정하여 "난카이 해곡 지진 관련 정보 (임시)" 및 "난카이 해곡 지진 관련 정보 (정례)" 운영을 시작했다.[432][433] 발표 기준은 다음과 같다.

  • '''거대지진경계''': 예상 진원역 내 판 경계에서 모멘트 규모 Mw8.0 이상의 지진이 발생했다고 평가한 경우
  • '''거대지진주의''': 감시 영역南海トラフ巨大地震の想定震源域及び同海溝の軸の外側おおむね50km以内の範囲|난카이 해곡 거대지진의 예상 진원지 및 해곡 축선 외곽 50 km 정도까지 안쪽의 범위일본어 내에서 모멘트 규모 Mw7.0 이상의 지진모멘트 규모 Mw7.0 이상의 지진을 빠짐없이 파악하기 위해 규모 추정 오차를 고려하여 일본 기상청 규모 M6.8 이상의 지진 중 속보 단계의 지진을 조사 대상으로 둔다.|모멘트 규모 Mw7.0 이상의 지진을 빠짐없이 파악하기 위해 규모 추정 오차를 고려하여 일본 기상청 규모 M6.8 이상의 지진 중 속보 단계의 지진을 조사 대상으로 한다.일본어이 발생했다고 평가한 경우(거대지진경계에 해당하는 경우는 제외) 또는 상정한 진원역 내 판 경계면에서 평상시와는 다른 슬로우 슬립 현상이 발생했다고 평가한 경우


2024년 8월, 2024년 휴가나다 지진 발생 후, 일본 기상청(JMA)은 난카이 해곡에서의 메가스러스트 지진 위험이 "평소보다 상대적으로 높다"고 경고하며, 일본 역사상 처음으로 "주의" 경보를 발령했다.[9]

참조

[1] 논문 Tectonic evolution of the Japanese island arc system http://www.geo.mtu.e[...] 2009-12-06
[2] 논문 The age and origin of the Pacific islands: a geological overview
[3] 논문 Splay fault and megathrust earthquake slip in the Nankai Trough http://www.terrapub.[...] 2009-12-01
[4] 논문 Broad, weak regions of the Nankai Megathrust and implications for shallow coseismic slip http://www.soest.haw[...] 2009-12-01
[5] 웹사이트 Simulation of Earthquake Generation Process in a Complex System of Faults http://www.jamstec.g[...] 2009-11-14
[6] 논문 Source mechanisms and tectonic significance of historical earthquakes along the Nankai Trough, Japan
[7] 논문 Probability of a great earthquake to recur in the Tokai district, Japan http://www.terrapub.[...] 2009-12-05
[8] 웹사이트 A Disaster Prevention and Earthquake Experience Guide http://www.yia.or.jp[...] 2009-12-05
[9] 뉴스 Japan Warns of Elevated Risk of Giant Earthquake After Strong One Hits https://www.nytimes.[...] 2024-08-08
[10] 뉴스 Japan warns of heightened risk of megaquake https://www.bbc.com/[...] BBC News 2024-08-08
[11] 뉴스 Study: Damage from Nankai quake could hit 1,240 trillion yen http://www.asahi.com[...] 2018-06-08
[12] 웹사이트 「被害は東日本大震災の10倍超」2030~40年に想定される西日本大震災という時限爆弾 https://president.jp[...] 2021-02-20
[13] 뉴스 M7.1 quake hits southwestern Japan, megaquake fear grows https://english.kyod[...] 2024-08-08
[14] 웹사이트 死者23万人、経済被害213兆円推計の南海トラフ 国の対策は https://mainichi.jp/[...] 2024-08-08
[15] 웹사이트 NGDC Tsunami Event Database http://www.ngdc.noaa[...] 2009-11-13
[16] 웹사이트 Catalog of Damaging Earthquakes in the World (Through 2007) http://iisee.kenken.[...] 2009-11-13
[17] 논문 Quaternary tectonic movements in the outer arc on southwest Japan with special reference to seismic crustal deformation
[18] 서적 石橋(2014), p103-107, p152-158.
[19] 서적 石橋(2014), p2-8. p98-107.
[20] 간행물 "南海トラフ巨大地震 -その破壊の様態とシリーズについての新たな考え" http://www.eri.u-tok[...] 東京大学地震研究所
[21] 서적 日本の巨大地震と超巨大地震 https://www.toray-sf[...] 第57回 東レ科学振興会科学講演会記録 2007
[22] 간행물 2011年東北沖超巨大地震が明らかにした超巨大地震の多様性 https://hdl.handle.n[...]
[23] 서적 地震の事典 p582
[24] 서적 理科年表(2018), p734, p736, p737-738, p743.
[25] 간행물 12-2 津波堆積物から見た南海トラフ沿いの巨大地震履歴 https://cais.gsi.go.[...]
[26] Youtube 内閣府 防災 「南海トラフ巨大地震 その時、何が起こるのか」【動画】 https://www.google.c[...]
[27] Youtube 内閣府 防災 「南海トラフ地震 どうする?どうなる?」【動画】 https://www.google.c[...]
[28] 간행물 [講演要旨]1605年慶長地震は南海トラフの地震か? http://www.histeq.jp[...]
[29] 간행물 "南海トラフ巨大地震 -その破壊の様態とシリーズについての新たな考え" http://www.eri.u-tok[...] 東京大学地震研究所
[30] 뉴스 南海トラフ、地震に二つの周期か -津波の堆積物発見 http://www.nishinipp[...] 西日本新聞 2011-09-30
[31] 서적 石橋(2014), p79-80.
[32] 간행물 "巨大地震の連動性と発生間隔の変化のメカニズム" http://www.histeq.jp[...]
[33] 간행물 "次の南海トラフ巨大地震は?東海、東南海、南海地震連動評価研究" http://www.eps.sci.k[...] 京都大学理学研究科
[34] 서적 都司(2012), p133-135.
[35] 서적 都司(2012), p174-180.
[36] 문서 都司(2012), p129-130
[37] 문서 都司(2012), p79
[38] 문서 地震調査委員会 2013-05
[39] PDF 岡村眞委員提供資料 https://www.bousai.g[...] 南海トラフの巨大地震モデル検討会 2011
[40] PDF 地震調査研究推進本部 「南海トラフの地震の長期評価について」 http://www.hiroi.iii[...] 地震調査研究推進本部 2001
[41] PDF 特集記事 南海トラフの巨大地震を考える http://www.jsnds.org[...] 2002
[42] 문서 間城(1995), p10-12
[43] PDF 887年仁和地震が東海・南海巨大地震であったことの確からしさ http://www2.jpgu.org[...] 日本地球惑星科学連合 2000
[44] 문서 中央防災会議 2007
[45] PDF 断層の準静的モデルの構築と歪蓄積過程に関する研究 https://www.eri.u-to[...] 2005
[46] 간행물 西日本大震災に備えよ : 日本列島大変動の時代 http://store.toyokei[...] PHP研究所 2011-06-04
[47] 웹사이트 「被害は東日本大震災の10倍超」2030~40年に想定される西日本大震災という時限爆弾 https://president.jp[...] 京都大学大学院 人間環境学研究科 教授
[48] 웹사이트 史上最悪「スーパー南海地震」発生で東京・横浜・名古屋はどうなる? https://www.news-pos[...] 京都大学大学院 人間環境学研究科 教授
[49] 뉴스 「南海トラフ」集団移転推進 「首都直下」地方に拠点 国の中間報告 読売新聞東京本社 2012-07-20
[50] 문서 中央防災会議 2012
[51] 뉴스 「南海トラフ地震 経済被害1410兆円/土木学会 長期推計/インフラなど復旧が負担」 https://www.nikkei.c[...] 2018-06-07
[52] 문서 T.Lay(2002), p676-681
[53] 웹사이트 5. 地震の繰り返し発生の単純なモデルと東海地域の地殻変動 https://cais.gsi.go.[...] 地震予知連絡会東海部会資料 1977
[54] 논문 Time-predictable recurrence model for large earthquakes https://doi.org/10.1[...] 1980
[55] 문서 地震調査委員会 2013-05
[56] 문서 地震調査委員会 2013-05
[57] PDF 長期評価による地震発生確率値の更新について 平成30年2月更新 http://www.static.ji[...] 地震調査委員会 2018-02
[58] 논문 南海地震に伴つた四國の地盤變動に封する一考察 https://doi.org/10.5[...] 1951
[59] 논문 南海道大地震に關する貴重な史料 https://doi.org/10.1[...] 1930
[60] 문서 地震調査委員会 2013-05
[61] 문서 地震調査委員会 2013-05
[62] 논문 The Time and Slip-Predictable Models Cannot be Dependably Used to Predict Earthquake Behavior 1: Repeating Earthquakes 2012
[63] 문서 遠田(2016), p213-215
[64] 웹사이트 南海トラフ地震の評価に時間予測モデルを適用することに妥当性はあるか? https://confit.atlas[...] JpGU-AGU Joint Meeting 2020 2020
[65] 문서 地震調査委員会 2013-05
[66] 서적 東南海、三河大地震の真相「恐怖のM8」
[67] 문서 間城(1995), 見開き
[68] 문서 矢田(2009), p193-195
[69] PDF 南海トラフ地震の"新しい"地震像 http://www.gensai.na[...] 南海トラフ広域地震防災研究プロジェクト研究交流会 2015
[70] 문서 地震調査委員会 2013-05
[71] 논문 A revised tsunami source model for the 1707 Hoei earthquake and simulation of tsunami inundation of Ryujin Lake, Kyushu, Japan http://onlinelibrary[...] 2011
[72] 간행물 [講演要旨]1707年宝永地震の新地震像(速報) http://www.histeq.jp[...] 2011
[73] 문서 地震調査委員会 2013-05
[74] 논문 文献史料からみた東海・南海巨大地震 https://doi.org/10.5[...]
[75] 문서 「1099年康和南海地震は実在せず、1096年永長地震が東海・南海地震だった」という作業仮説 http://www.histeq.jp[...]
[76] 문서 寒川(1997), p20
[77] 문서 地震調査委員会 2013-05
[78] 문서 地震調査委員会 2013-05
[79] 웹사이트 日本付近のおもな被害地震年代表 http://www.zisin.jp/[...] 日本地震学会 2013-06-04
[80] 웹사이트 震度データベース検索 https://www.data.jma[...] 気象庁 2013-06-04
[81] 문서 地震調査委員会 2013-05
[82] 문서 石橋(2014), p7-8
[83] 간행물 土佐湾湾奥部蟹ヶ池の堆積物中に見られる約2000年前のイベント http://www2.jpgu.org[...] 2011
[84] 문서 寒川(2007), p23-27
[85] 간행물 堆積物から読み解く津波現象 http://www.cgr.mlit.[...] 2011
[86] 서적 東海地震はどんな地震か? http://sk01.ed.shizu[...] 学術図書出版 2008
[87] 문서 寒川(2007), p38-39
[88] 논문 文献史料からみた東海・南海巨大地震 1.14世紀前半までのまとめ https://doi.org/10.5[...] 1999
[89] 논문 白鳳大地震 https://doi.org/10.1[...] 1941
[90] 웹사이트 貞観六〜七年(864〜866初頭)噴火 http://sk01.ed.shizu[...] 2007-03
[91] 간행물 三陸沖から房総沖にかけての地震活動の長期評価(第二版)について https://www.jishin.g[...] 地震調査研究推進本部 地震調査委員会 2011-11-25
[92] 웹사이트 新島向山は本当に886年に噴火したか? http://sk01.ed.shizu[...] 1996-02
[93] 웹사이트 永保三年(1083)噴火 http://sk01.ed.shizu[...] 2007-03
[94] 논문 康和元年土佐における大地震 https://doi.org/10.4[...] 1968
[95] 간행물 [論説]1099年承徳(康和)南海地震は実在せず,1096年嘉保(永長)地震が「南海トラフ全域破壊型」だった可能性―土佐地震記事を含む『兼仲卿記』紙背の官宣旨案の考察― http://www.histeq.jp[...] 2016
[96] 웹사이트 天永三年(1112)伊豆七島の噴火 http://sk01.ed.shizu[...] 2007-03
[97] 문서 寒川(2007), p35, p74-77
[98] 간행물 『平家物語』および『方丈記』に現れた地震津波の記載
[99] 문서 都司(2012), p51-54
[100] 간행물 琵琶湖西岸断層帯の活動性および活動履歴調査 https://www.jishin.g[...] 産業技術総合研究所 2007
[101] 간행물 [講演要旨]13世紀古記録にもとづく未知の東海・南海地震の発生時期検討 http://www.histeq.jp[...] 2005
[102] 논문 Source mechanisms and tectonic significance of historical earthquakes along the Nankai trough, Japan. https://doi.org/10.1[...] 1975
[103] 서적 疑わしい四つの熊野灘地震 1正平十五年(一三六〇)十月五日地震の虚像 東京大学出版会 1989
[104] 논문 総合報告:古地震研究によるプレート境界巨大地震の長期予測の問題点―日本付近のプレート沈み込み帯を中心として― https://doi.org/10.4[...] 1998
[105] 문서 都司(2012), p35-37
[106] 논문 伊勢神宮外宮の被害と1361年康安地震 http://www2.jpgu.org[...] 日本地球惑星科学連合 2011
[107] 간행물 宇佐美遺跡検出の津波堆積物と明応四年地震・津波の再評価 伊東の今・昔 2012
[108] 문서 都司(2012), p37-48
[109] 서적 地震の事典
[110] 문서 石橋(2014), p68
[111] 웹사이트 東京大学地震研究所 地震活動セミナー 第79回「明応七年六月十一日(ユリウス暦1498年6月30日)の日向灘地震は実在したか?」 http://wwweic.eri.u-[...] 東京大学地震研究所 2017-08-21
[112] 보고서 地震調査委員会、2013年5月、説明文26頁および説明文別紙 2013-05
[113] 서적 日本被害地震総覧
[114] 문서 都司(2011), p23-24
[115] 서적 津波、噴火、、、日本列島地震の2000年史 朝日新聞出版 2013
[116] 학술지 明応7年・慶長9年の房総および東海南海道大津波の波源 https://doi.org/10.1[...] 東京大学地震研究所 1976-01
[117] 학술지 東海道沖に起こった歴史津波の数値実験 https://hdl.handle.n[...] 1981
[118] 논문 南海トラフ南方の銭洲断層と1498年明応地震 http://www2.jpgu.org[...] 日本地球惑星科学連合 2013
[119] 웹사이트 永正八年(1511)噴火 http://sk01.ed.shizu[...] 2007-03
[120] 간행물 歴史地震の研究(1) 天正13年11月29日(1586年1月18日)の地震の震害,震度分布および津波について https://hdl.handle.n[...]
[121] 문서 地震当時は改元前であるから「文禄5年」と記録されるが、歴史年表上では改元の年は「慶長元年」のように表記される。
[122] 웹사이트 歴史上の内陸被害地震の事例研究 https://www.eri.u-to[...] 東京大学地震研究所
[123] 서적 日本被害地震総覧
[124] 학술지 1605 (慶長9) 年東海 南海津波地震の地学的意義 http://historical.se[...] 1983
[125] 보고서 地震調査委員会、2013年5月、説明文25-26頁 2013-05
[126] 논문 1605(慶長九)年伊豆-小笠原海溝巨大地震と1614(慶長十九)年南海トラフ地震という作業仮説 2013
[127] 학술지 慶長九年の東海南海兩道の地震津浪に就いて https://doi.org/10.1[...] 1943
[128] 간행물 歴史地震の研究(4) 慶長9年12月16日(1605年2月3日)の地震及び津波災害について https://hdl.handle.n[...] 1981
[129] 보고서 本邦大地震概説 https://hdl.handle.n[...] 1913-03-31
[130] 학술지 有史以來の地震活動より見たる我國各地の地震危險度及び最高震度の期待値 https://hdl.handle.n[...] 1951-10-05
[131] 뉴스 慶長三陸津波:1611年発生、北海道沖M9が原因 平川・北大特任教授が新説発表 毎日新聞 2012-01-26
[132] 뉴스 江戸初期の慶長三陸沖地震 北海道東方沖が震源域か 日本経済新聞 2012-05-24
[133] 간행물 東海沖か房総沖で大地震 1974
[134] 서적 Seismicit in western Japan and long-term earthquake forecasting A. G. U. 1980
[135] 서적 日本被害地震総覧
[136] 보고서 別冊①-3南海トラフ沿いの過去地震の津波断層モデル(図表集) https://www.bousai.g[...]
[137] 보고서 Re-evaluation of Mw of the 1707 Hoei earthquake http://g-ever.org/en[...] 2012
[138] 간행물 歴史地震の研究(5) : 宝永4年10月4日(1707年10月28日)の地震及び津波災害について https://hdl.handle.n[...] 1982
[139] 보고서 7-3 宝永地震の震度分布 http://cais.gsi.go.j[...] 1984
[140] 보고서 1707年宝永地震の震源域は駿河湾奥まで及ばなかったか? https://cais.gsi.go.[...] 1977
[141] 논문 1707年宝永地震震源域の東端位置 https://hdl.handle.n[...] 2005
[142] 문서 地震調査委員会、2013年5月、説明文25頁 2013-05
[143] 문서 都司(2012), p226. 2012
[144] 웹사이트 宝永四年(1707)噴火 http://sk01.ed.shizu[...] 2007-03
[145] 서적 善光寺地震に学ぶ 信濃毎日新聞社 2003
[146] 문서 改元は嘉永7年11月27日(グレゴリオ暦1855年1月15日)であったので、当時の記録は嘉永である。
[147] 문서 宇佐美『最新版 日本被害地震総覧』p151.
[148] 웹사이트 防災対応のための南海トラフ沿いの異常な現象に関する評価基準検討部会とりまとめ(平成30年12月25日公表)別冊 https://www.bousai.g[...] 防災対応のための南海トラフ沿いの異常な現象に関する評価基準検討部会 2023-06-14
[149] 논문 Specification of a soon-to-occur seismic faulting in the Tokai district, central Japan, based upon seismotectonics https://doi.org/10.1[...] 1981
[150] 문서 地震調査委員会、2013年5月、説明文24頁 2013-05
[151] 문서 沢村(1959), p59-60. 1959
[152] 문서 宇佐美『最新版 日本被害地震総覧』p164.
[153] 논문 安政元年南海地震の余震 -歴史的地震の余震の減り方- https://hdl.handle.n[...] 1975
[154] 문서 大木・纐纈(2011), p102-105. 2011
[155] 간행물 4-8「東海地震」と濃尾地震の関係について https://cais.gsi.go.[...] 1979
[156] 논문 Detailed coseismic slip distribution of the 1944 Tonankai Earthquake estimated from tsunami waveforms http://onlinelibrary[...] 2001
[157] 문서 地震調査委員会、2013年5月、説明文23-24頁 2013-05
[158] 문서 中央防災会議、2007年、16-17頁(§1-2-1) 2007
[159] 문서 沢村(1959), p60-61. 1959
[160] 논문 Coseismic slip distribution of the 1946 Nankai earthquake and aseismic slips caused by the earthquake http://link.springer[...] 2001
[161] 문서 委託観測所における地震報告「月別全国地震調査原稿, 昭和21年12月」では震度6の地点もあり。
[162] 논문 三河地震における深溝断層の延長部について https://doi.org/10.4[...] 1972
[163] 논문 濃尾地震と活断層・地震研究 -成果と将来の活動予測- https://doi.org/10.1[...] 2012
[164] 논문 南海道沖大地震の謎 https://doi.org/10.1[...] 1933
[165] 서적 鯰のざれごと 三省堂 1941
[166] 문서 沢村(1959), p61-63. 1959
[167] 문서 沢村(1967), p84-86. 1967
[168] 논문 Tectonic implications of the 1944 Tonankai and the 1946 Nankaido earthquakes https://doi.org/10.1[...] 1972
[169] 웹사이트 2004年インドネシア・スマトラ島西方沖地震津波の教訓 https://www.eri.u-to[...] 2005
[170] 뉴스 防災の日:初の「3連動地震」想定で訓練 http://mainichi.jp/s[...] 2010-09-01
[171] 웹사이트 東海・東南海・南海地震の連動性評価研究プロジェクト 21,22ページ http://www.eri.u-tok[...]
[172] 뉴스 東海・東南海・南海地震で震源域は日向灘に延びる恐れ http://www.nikkei.co[...] 2011-04-21
[173] 웹사이트 地震に備える!特集2011 トップ(西日本編) http://event.yahoo.c[...]
[174] 간행물 ニュートン 2011年9月号 2011-09
[175] 뉴스 東日本大震災6カ月 巨大地震の謎は解明できたのか https://web.archive.[...] 2011-09-11
[176] 문서 日本海溝寄りの領域が連動したことで海底が大きく変異し、津波の巨大化に至った可能性が指摘されている
[177] 논문 M10地震の発生条件:2011年東北沖地震の新しい知見から https://hdl.handle.n[...] 2013
[178] 간행물 津波堆積物に記録された南海地震の繰り返し間隔 http://www2.jpgu.org[...] 日本地球惑星科学連合 2007
[179] 문서 中央防災会議「東北地方太平洋沖地震を教訓とした地震・津波対策に関する専門調査会」(第2回)議事概要について http://www.bousai.go[...]
[180] 뉴스 M9級・超巨大地震! 2000年前、巨大津波か http://www.yomiuri.c[...] 2015-12-05
[181] 문서 津波の数値復元に基づく,漸深海底における津波堆積物形成の検討 http://wwwsoc.nii.ac[...] 日本地球惑星科学連合
[182] 간행물 東海から琉球にかけての超巨大地震の可能性 http://cais.gsi.go.j[...] 2007
[183] 논문 室戸半島の第四紀地殻変動と地震隆起 https://doi.org/10.5[...] 2006
[184] 웹사이트 地震津波・防災研究プロジェクト http://www.jamstec.g[...] 海洋研究開発機構
[185] 웹사이트 南海地震想定震源域「地震・津波観測監視システム」陸上局構築予定地の決定について https://www.jamstec.[...] 海洋研究開発機構
[186] 뉴스 紀伊半島沖海底に「分岐断層」:NHK2012年1月29日 12時6分 http://www3.nhk.or.j[...] NHK 2012-01-29
[187] 뉴스 海底に200キロの活断層 紀伊半島沖の南海トラフ http://www.47news.jp[...] 共同通信
[188] 웹사이트 南海トラフ地震防災対策推進基本計画フォローアップ結果(概要) https://www.bousai.g[...] 内閣府 2022-12-01
[189] 웹사이트 政府の地震調査委員会が2022年1月に公表 https://www.bosai.yo[...] 読売新聞社 2024-03-28
[190] 뉴스 南海トラフ巨大地震 20年以内の発生確率が上昇、「60%程度」に https://www.asahi.co[...] 2024-03-28
[191] 뉴스 震源域、従来想定の2倍に=南海トラフ地震で中間報告-政府 http://www.jiji.com/[...] 時事通信 2011-12-27
[192] 문서 あべかつゆき。(財)地震予知総合研究振興会副理事長・地震調査研究センター長 東京大学名誉教授。1989年東大地震研教授。2008年から地震防災対策強化地域判定会会長、2011年現在文部科学省地震調査委員会委員長。
[193] 문서 南海トラフの巨大地震モデル検討会 中間とりまとめ https://www.bousai.g[...]
[194] 뉴스 震源域、従来想定の2倍に=南海トラフ地震で中間報告-政府 http://www.jiji.com/[...] 時事通信
[195] 뉴스 「巨大西日本地震も」 内閣識者会議、震源域2倍に http://www.chugoku-n[...] 中国新聞
[196] 문서 海岸から400m内陸に位置する高知県土佐市蟹ヶ池では、約2000年前の地層から津波による厚さ50cm以上の堆積物が見つかっている。宝永地震(1707年、M 8.4-9.3)の蟹ヶ池での津波堆積物の厚さを超えるため、より規模の大きいM9クラスの巨大地震が起こった可能性が高いとされている
[197] 문서 2002年以前に見つかった、従来の深さ30kmよりやや深い最大40km付近の領域まで通常とは異なる「深部低周波地震」が発生している領域
[198] 문서 平成23年(2011年)東北地方太平洋沖地震. 震源断層モデルの概念図 https://www.gsi.go.j[...]
[199] 문서 東北地方太平洋沖地震の震源域の最浅部が深さ10kmとされたため
[200] 간행물 南海トラフの巨大地震による震度分布・津波高について(第一次報告)巻末資料 https://www.bousai.g[...] 南海トラフの巨大地震モデル検討会 2012-03-31
[201] 뉴스 南海トラフの地震、震源域拡大 M9を想定 https://news.ntv.co.[...]
[202] 웹사이트 南海トラフの巨大地震モデル検討会(第15回) https://www.bousai.g[...]
[203] 뉴스 最大津波34メートル 南海トラフの巨大地震で新想定 浜岡原発で想定超 http://sankei.jp.msn[...]
[204] 뉴스 「南海トラフ」地震・津波の新想定 http://www3.nhk.or.j[...] NHK 2012-03-31
[205] 웹사이트 【防災危機管理部】 東北地方太平洋沖地震と同等規模の地震を想定した場合の津波浸水予測図(速報版):2011年10月03日 http://www.pref.mie.[...]
[206] 웹사이트 東北地方太平洋沖地震と同等規模の地震が発生した場合に、沿岸各地に50cmの津波が到達するまでの想定時間等一覧表:三重県 2011年12月22日 http://www.pref.mie.[...]
[207] 문서 50cmになるまで4分、19mになるまで13分である。早さ2番目の尾鷲市野浦元行野では50cmになるまで3分、13mになるまで14分である。高さ2番目の志摩市志摩町越賀では16mまで17分である。
[208] 문서 1959年伊勢湾台風後に作られ、195kmは改修されていない。全面改修には約100億円必要。最大の空洞は幅6m、深さ90cm。河田恵昭は『張り子の虎状態』という。三重県は山がちであり可住地面積は約2,000km2しかなく、多くは沿岸部にある。また山岳部は地震や豪雨で崩れやすい
[209] 뉴스 堤防老朽化 津波で崩壊も 2012-01-06
[210] 문서 数分だとすると、地震動の最中に津波が来ることもあり、地震動に対する「一次避難」(机の下に隠れる)や「二次避難」(校庭や屋外に避難する)の時間が、津波避難時間を減らす
[211] 웹사이트 津波高暫定値の公表について:安心とくしま http://anshin.pref.t[...]
[212] 뉴스 3連動地震:津波被害、浸水域2倍以上に 県が新たな予測図公表/徳島:毎日新聞2012年1月21日 http://mainichi.jp/a[...] 2012-01-21
[213] 뉴스 県、津波浸水域を拡大:読売新聞徳島版2012年1月21日 読売新聞徳島版 2012-01-21
[214] 뉴스 読売新聞 2012-05-11
[215] 웹사이트 【高知県版第1弾】南海トラフの巨大地震による津波浸水予測について:更新日 2012年05月10日 http://www.pref.koch[...] 2012-05-10
[216] 문서
[217] 뉴스 南海トラフ地震 津波対策実効性高める必要 読売新聞 2012-07-20
[218] 뉴스 【南海トラフ巨大地震】「防潮堤対策直ちに」松井一郎府知事定例記者会見 https://www.sankei.c[...] 2013-11-07
[219] 뉴스 大阪府予算案、防災関連3割増の312億円 南海トラフに備え https://www.nikkei.c[...] 2015-02-17
[220] 뉴스 南海トラフ地震対策効果、今年度末までに犠牲者11万人減、大阪府がシミュレーション https://www.sankei.c[...] 2018-07-12
[221] 웹사이트 南海トラフ地震について https://www.data.jma[...] 気象庁
[222] 간행물 「南海トラフ地震に関連する情報」の発表について https://www.jma.go.j[...] 気象庁報道発表資料 2017-09-26
[223] 간행물 「南海トラフ地震臨時情報」等の提供開始について https://www.jma.go.j[...] 気象庁報道発表資料 2019-05-31
[224] 문서
[225] 서적 地震と火山の国 岩波書店
[226] 문서
[227] 논문 Origin and evolution of a splay-fault in the Nankai accretionary wedge. 2009-08-16
[228] 웹사이트 海洋研究開発機構 地球深部探査船「ちきゅう」による南海トラフ地震発生帯掘削計画において南海トラフ巨大分岐断層の起源と全歴史を解明 -海溝型巨大地震・津波発生断層の解明に重要な成果- https://www.jamstec.[...] 海洋研究開発機構
[229] 논문 四国沖の海底地質構造と西南日本外帯の第四紀地殻変動 https://doi.org/10.5[...] 1990
[230] 논문 御前崎周辺の第四紀後期地殻変動に関する資料と考察 https://doi.org/10.4[...] 2005
[231] 논문 南海トラフ東部の御前崎周辺の海浜堆積物から推定される1000年スケールで繰り返す隆起イベント http://www.geosociet[...]
[232] 문서
[233] 간행물 南海・東南海・東海の連動発生による強震動と津波の予測 https://www.giroj.or[...] 2010
[234] 서적 四国山脈 毎日新聞社 1959
[235] 서적 東海地震 いつ来るなぜ来るどう備える 清文社 2002
[236] 서적 日本列島の地形学 東京大学出版会 2010
[237] 간행물 GPS データインバージョン http://www.jamstec.g[...] 2009
[238] 웹사이트 東海・東南海・南海地震の連動性評価研究プロジェクト(2010) 東海・東南海・南海地震の連動性評価研究プロジェクト:連動性を考慮した強震動・津波予測及び地震・津波被害予測研究 https://www.jishin.g[...]
[239] 간행물 南海トラフ巨大地震の想定震源域で、海底の詳細な動きを初めて捉えました〜海底地殻変動観測の最新成果〜 https://www.kaiho.ml[...] 海上保安庁 2015-08-18
[240] 문서
[241] 웹인용 日本の巨大地震と超巨大地震 http://www.toray-sf.[...] 第57回 東レ科学振興会科学講演会記録 2007
[242] 논문 2011年東北沖超巨大地震が明らかにした超巨大地震の多様性 https://hdl.handle.n[...] 2013
[243] 문서
[244] 문서
[245] 간행물 12-2 津波堆積物から見た南海トラフ沿いの巨大地震履歴 https://cais.gsi.go.[...] 2011
[246] Youtube 内閣府 防災 「南海トラフ巨大地震 その時、何が起こるのか」【動画】 https://www.google.c[...]
[247] Youtube 内閣府 防災 「南海トラフ地震 どうする?どうなる?」【動画】 https://www.google.c[...]
[248] 논문 [講演要旨]1605年慶長地震は南海トラフの地震か? http://www.histeq.jp[...] 2014
[249] 문서 地震調査委員会
[250] PDF 「南海トラフ巨大地震 -その破壊の様態とシリーズについての新たな考え」 http://www.eri.u-tok[...] 東京大学地震研究所 2011
[251] 뉴스 南海トラフ、地震に二つの周期か -津波の堆積物発見 http://www.nishinipp[...] 西日本新聞 2011-09-30
[252] 문서 石橋(2014), p79-80.
[253] PDF 「巨大地震の連動性と発生間隔の変化のメカニズム」 http://www.histeq.jp[...] 2006
[254] PDF 「次の南海トラフ巨大地震は?東海、東南海、南海地震連動評価研究」 http://www.eps.sci.k[...] 京都大学理学研究科
[255] 문서 都司(2012), p133-135.
[256] 문서 都司(2012), p174-180.
[257] 문서 都司(2012), p129-130.
[258] 문서 都司(2012), p79.
[259] 문서 地震調査委員会 2013-05
[260] PDF 岡村眞委員提供資料 https://www.bousai.g[...] 南海トラフの巨大地震モデル検討会, 第2回会合 2011
[261] PDF 地震調査研究推進本部 「南海トラフの地震の長期評価について」 http://www.hiroi.iii[...] 地震調査研究推進本部 2001
[262] PDF 特集記事 南海トラフの巨大地震を考える http://www.jsnds.org[...] 2002
[263] 문서 間城(1995), p10-12.
[264] PDF 887年仁和地震が東海・南海巨大地震であったことの確からしさ http://www2.jpgu.org[...] 2000
[265] 문서 中央防災会議 2007
[266] PDF 断層の準静的モデルの構築と歪蓄積過程に関する研究 https://www.eri.u-to[...] 2005
[267] 웹사이트 史上最悪「スーパー南海地震」発生で東京・横浜・名古屋はどうなる? https://www.news-pos[...] 京都大学大学院 人間環境学研究科 教授
[268] 서적 西日本大震災に備えよ : 日本列島大変動の時代 PHP研究所 2011-06-04
[269] 뉴스 南海トラフ「国難」首都直下「政府代替拠点を」 http://www.yomiuri.c[...] ヨミウリ・オンライン 2012-07-20
[270] 뉴스 南海トラフ 集団移転推進 読売新聞 2012-07-20
[271] 문서 中央防災会議 2012
[272] 뉴스 「南海トラフ地震 経済被害1410兆円/土木学会 長期推計/インフラなど復旧が負担」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18-06-07
[273] 문서 T.Lay(2002), p676-681.
[274] 문서 5. 地震の繰り返し発生の単純なモデルと東海地域の地殻変動 https://cais.gsi.go.[...] 地震予知連絡会東海部会資料 1977
[275] 논문 Time-predictable recurrence model for large earthquakes https://doi.org/10.1[...] 1980
[276] 문서 地震調査委員会 2013-05
[277] 웹인용 長期評価による地震発生確率値の更新について https://www.static.j[...] 地震調査委員会 2024-01-15
[278] 논문 南海地震に伴つた四國の地盤變動に封する一考察 https://doi.org/10.5[...] 1951
[279] 논문 南海道大地震に關する貴重な史料 https://doi.org/10.1[...] 1930
[280] 문서 地震調査委員会 2013-05
[281] 문서 地震調査委員会 2013-05
[282] 논문 The Time and Slip-Predictable Models Cannot be Dependably Used to Predict Earthquake Behavior 1: Repeating Earthquakes 2012
[283] 문서 遠田(2016)
[284] 웹사이트 南海トラフ地震の評価に時間予測モデルを適用することに妥当性はあるか? https://confit.atlas[...] 2020
[285] 문서 地震調査委員会 2013-05
[286] 서적 東南海、三河大地震の真相「恐怖のM8」 1983
[287] 문서 間城(1995)
[288] 문서 矢田(2009)
[289] 웹사이트 南海トラフ地震の"新しい"地震像 http://www.gensai.na[...] 2015
[290] 문서 地震調査委員会 2013-05
[291] 논문 A revised tsunami source model for the 1707 Hoei earthquake and simulation of tsunami inundation of Ryujin Lake, Kyushu, Japan http://onlinelibrary[...] 2011
[292] 웹인용 [講演要旨]1707年宝永地震の新地震像(速報) http://sakuya.ed.shi[...] 2011
[293] 문서 地震調査委員会 2013-05
[294] 문서 地震調査委員会 2013-05
[295] 논문 文献史料からみた東海・南海巨大地震 http://dx.doi.org/10[...] 1999
[296] 웹인용 「1099年康和南海地震は実在せず、1096年永長地震が東海・南海地震だった」という作業仮説 http://sakuya.ed.shi[...]
[297] 서적 揺れる大地 日本列島の地震史 同朋舎出版 1997
[298] 논문 総合報告:古地震研究によるプレート境界巨大地震の長期予測の問題点―日本付近のプレート沈み込み帯を中心として― 1998
[299] 문서 地震調査委員会 2013-05
[300] 문서 地震調査委員会 2013-05
[301] 문서 地震調査委員会 2013-05
[302] 문서 地震調査委員会 2013-05
[303] 문서 地震調査委員会 2013-05
[304] 문서 地震調査委員会 2013-05
[305] 웹인용 日本付近のおもな被害地震年代表 http://www.zisin.jp/[...] 2013-06-04
[306] 웹사이트 震度データベース検索 https://www.data.jma[...] 2013-06-04
[307] 문서 地震調査委員会 2013-05
[308] 문서 石橋(2014)
[309] 웹사이트 土佐湾湾奥部蟹ヶ池の堆積物中に見られる約2000年前のイベント http://www2.jpgu.org[...] 2011
[310] 문서 寒川(2007)
[311] 웹사이트 堆積物から読み解く津波現象 http://www.cgr.mlit.[...] 2011
[312] 웹사이트 東海地震はどんな地震か? http://sk01.ed.shizu[...] 学術図書出版 2008
[313] 문서 寒川(2007)
[314] 논문 文献史料からみた東海・南海巨大地震 1.14世紀前半までのまとめ https://doi.org/10.5[...] 1999
[315] 논문 白鳳大地震 https://doi.org/10.1[...] 1941
[316] 웹사이트 貞観六〜七年(864〜866初頭)噴火 http://sk01.ed.shizu[...] 2007-03
[317] 간행물 三陸沖から房総沖にかけての地震活動の長期評価(第二版)について https://www.jishin.g[...] 地震調査研究推進本部 地震調査委員会 2011-11-25
[318] 웹사이트 新島向山は本当に886年に噴火したか? http://sk01.ed.shizu[...] 日本火山学会史料火山学ワーキンググループニュースレター『歴史噴火』 1996-02
[319] 웹사이트 永保三年(1083)噴火 http://sk01.ed.shizu[...] 2007-03
[320] 논문 康和元年土佐における大地震 https://doi.org/10.4[...] 『地震 第2輯』 1968
[321] 간행물 [論説]1099年承徳(康和)南海地震は実在せず,1096年嘉保(永長)地震が「南海トラフ全域破壊型」だった可能性―土佐地震記事を含む『兼仲卿記』紙背の官宣旨案の考察― 歴史地震
[322] 웹사이트 天永三年(1112)伊豆七島の噴火 http://sk01.ed.shizu[...] 2007-03
[323] 문서 Sangawa (2007)
[324] 논문 『平家物語』および『方丈記』に現れた地震津波の記載 『建築雑誌』
[325] 문서 Tsuji (2012)
[326] 간행물 琵琶湖西岸断層帯の活動性および活動履歴調査 産業技術総合研究所 2007
[327] 논문 [講演要旨]13世紀古記録にもとづく未知の東海・南海地震の発生時期検討 『歴史地震』 2005
[328] 논문 Source mechanisms and tectonic significance of historical earthquakes along the Nankai trough, Japan. https://doi.org/10.1[...] Tectonophysics 1975
[329] 서적 疑わしい四つの熊野灘地震 1正平十五年(一三六〇)十月五日地震の虚像 東京大学出版会 1989
[330] 문서 Tsuji (2012)
[331] 간행물 伊勢神宮外宮の被害と1361年康安地震 日本地球惑星科学連合2011年大会予稿集
[332] 간행물 宇佐美遺跡検出の津波堆積物と明応四年地震・津波の再評価 伊東市史研究
[333] 문서 Tsuji (2012)
[334] 서적 地震の事典
[335] 서적 Ishabashi (2014)
[336] 웹인용 東京大学地震研究所 地震活動セミナー 第79回「明応七年六月十一日(ユリウス暦1498年6月30日)の日向灘地震は実在したか?」 http://wwweic.eri.u-[...] 東京大学地震研究所 2017-08-21
[337] 간행물 地震調査委員会 2013-05
[338] 서적 日本被害地震総覧
[339] 문서 Tsuji (2011)
[340] 서적 災害列島と地震考古学の課題 朝日新聞出版 2013
[341] 저널 明応7年・慶長9年の房総および東海南海道大津波の波源 https://doi.org/10.1[...] 東京大学地震研究所 1976-01
[342] 논문 東海道沖に起こった歴史津波の数値実験 https://hdl.handle.n[...] 東京大學地震研究所彙報 1981
[343] 간행물 南海トラフ南方の銭洲断層と1498年明応地震 日本地球惑星科学連合2013年大会予稿集
[344] 웹사이트 永正八年(1511)噴火 http://sk01.ed.shizu[...] 2007-03
[345] 논문 歴史地震の研究(1) 天正13年11月29日(1586年1月18日)の地震の震害,震度分布および津波について https://hdl.handle.n[...] 愛知工業大学『愛知工業大学研究報告 B, 専門関係論文集』
[346] 간행물 歴史上の内陸被害地震の事例研究 東京大学地震研究所
[347] 서적 日本被害地震総覧
[348] 저널 1605 (慶長9) 年東海 南海津波地震の地学的意義 https://ci.nii.ac.jp[...] 1983
[349] 간행물 地震調査委員会 2013-05
[350] 간행물 1605(慶長九)年伊豆-小笠原海溝巨大地震と1614(慶長十九)年南海トラフ地震という作業仮説 日本地震学会2013年秋季大会講演予稿集
[351] 논문 慶長九年の東海南海兩道の地震津浪に就いて https://doi.org/10.1[...] 1943
[352] 간행물 歴史地震の研究(4) 慶長9年12月16日(1605年2月3日)の地震及び津波災害について https://hdl.handle.n[...] 1981
[353] 간행물 本邦大地震概説 https://hdl.handle.n[...] 1913-03-31
[354] 간행물 有史以來の地震活動より見たる我國各地の地震危險度及び最高震度の期待値 https://hdl.handle.n[...] 1951-10-05
[355] 뉴스 慶長三陸津波:1611年発生、北海道沖M9が原因 平川・北大特任教授が新説発表 毎日新聞 2012-01-26
[356] 뉴스 江戸初期の慶長三陸沖地震 北海道東方沖が震源域か 日本経済新聞 2012-05-24
[357] 간행물 東海沖か房総沖で大地震 1974
[358] 서적 Seismicit in western Japan and long-term earthquake forecasting A. G. U. 1980
[359] 서적 日本被害地震総覧
[360] 문서 別冊①-3南海トラフ沿いの過去地震の津波断層モデル(図表集) https://www.bousai.g[...] 南海トラフの巨大地震モデル検討会
[361] 문서 Re-evaluation of Mw of the 1707 Hoei earthquake http://g-ever.org/en[...] 2012
[362] 간행물 歴史地震の研究(5) : 宝永4年10月4日(1707年10月28日)の地震及び津波災害について https://hdl.handle.n[...] 1982
[363] 간행물 7-3 宝永地震の震度分布 http://cais.gsi.go.j[...] 1984
[364] 문서 1707年宝永地震の震源域は駿河湾奥まで及ばなかったか? https://cais.gsi.go.[...] 地震予知連絡会東海部会資料 建設省国土地理院 1977
[365] 간행물 1707年宝永地震震源域の東端位置 https://hdl.handle.n[...] 2005
[366] 문서 説明文25頁 2013-05
[367] 서적 p226.
[368] 웹사이트 宝永四年(1707)噴火 http://sk01.ed.shizu[...] 2007-03
[369] 서적 善光寺地震に学ぶ 信濃毎日新聞社 2003
[370] 서적 日本被害地震総覧
[371] 웹인용 防災対応のための南海トラフ沿いの異常な現象に関する評価基準検討部会とりまとめ(平成30年12月25日公表)別冊 https://www.bousai.g[...] 防災対応のための南海トラフ沿いの異常な現象に関する評価基準検討部会 2023-06-14
[372] 논문 Specification of a soon-to-occur seismic faulting in the Tokai district, central Japan, based upon seismotectonics https://doi.org/10.1[...] 1981
[373] 문서 説明文24頁 2013-05
[374] 서적 p59-60.
[375] 서적 日本被害地震総覧
[376] 간행물 安政元年南海地震の余震 -歴史的地震の余震の減り方- https://hdl.handle.n[...] 1975
[377] 서적 p102-105.
[378] 문서 4-8「東海地震」と濃尾地震の関係について https://cais.gsi.go.[...] 1979
[379] 논문 Detailed coseismic slip distribution of the 1944 Tonankai Earthquake estimated from tsunami waveforms http://onlinelibrary[...] 2001
[380] 문서 説明文23-24頁 2013-05
[381] 문서 16-17頁(§1-2-1) 2007
[382] 서적 p60-61.
[383] 논문 Coseismic slip distribution of the 1946 Nankai earthquake and aseismic slips caused by the earthquake http://link.springer[...] 2001
[384] 논문 三河地震における深溝断層の延長部について https://doi.org/10.4[...] 1972
[385] 논문 濃尾地震と活断層・地震研究 -成果と将来の活動予測- https://doi.org/10.1[...] 2012
[386] 논문 南海道沖大地震の謎 https://doi.org/10.1[...] 1933
[387] 서적 鯰のざれごと 三省堂 1941
[388] 문서 沢村(1959), p61-63 1959
[389] 문서 沢村(1967), p84-86 1967
[390] 논문 Tectonic implications of the 1944 Tonankai and the 1946 Nankaido earthquakes https://doi.org/10.1[...] 1972
[391] 간행물 2004年インドネシア・スマトラ島西方沖地震津波の教訓 https://www.eri.u-to[...] 東京大学地震研究所 2005
[392] 뉴스 防災の日:初の「3連動地震」想定で訓練 http://mainichi.jp/s[...] 2010-09-01
[393] 웹인용 東海・東南海・南海地震の連動性評価研究プロジェクト 21,22ページ http://www.eri.u-tok[...] 2024-09-01
[394] 뉴스 東海・東南海・南海地震で震源域は日向灘に延びる恐れ http://www.nikkei.co[...] 2011-05-04
[395] 웹사이트 地震に備える!特集2011 トップ(西日本編) http://event.yahoo.c[...] 20110927
[396] 간행물 ニュートン 2011年9月号 2011-09
[397] 뉴스 東日本大震災6カ月 巨大地震の謎は解明できたのか https://web.archive.[...] 産経新聞/MSN産経ニュース 2011-09-11
[398] 논문 M10地震の発生条件:2011年東北沖地震の新しい知見から https://hdl.handle.n[...] 2013
[399] 간행물 津波堆積物に記録された南海地震の繰り返し間隔 http://www2.jpgu.org[...] 2007
[400] 간행물 中央防災会議「東北地方太平洋沖地震を教訓とした地震・津波対策に関する専門調査会」(第2回)議事概要について http://www.bousai.go[...] 20120710
[401] 뉴스 M9級・超巨大地震! 2000年前、巨大津波か http://www.yomiuri.c[...] 2015-12-05
[402] 간행물 津波の数値復元に基づく,漸深海底における津波堆積物形成の検討 http://wwwsoc.nii.ac[...] 日本地球惑星科学連合
[403] 간행물 東海から琉球にかけての超巨大地震の可能性 http://cais.gsi.go.j[...] 2007
[404] 논문 室戸半島の第四紀地殻変動と地震隆起 https://doi.org/10.5[...] 2006
[405] 웹사이트 地震津波・防災研究プロジェクト http://www.jamstec.g[...] 海洋研究開発機構
[406] 웹사이트 南海地震想定震源域「地震・津波観測監視システム」陸上局構築予定地の決定について https://www.jamstec.[...] 海洋研究開発機構
[407] 뉴스 紀伊半島沖海底に「分岐断層」:NHK2012年1月29日 12時6分 http://www3.nhk.or.j[...] NHK 2012-01-29
[408] 뉴스 海底に200キロの活断層 紀伊半島沖の南海トラフ http://www.47news.jp[...] 共同通信
[409] 웹인용 南海トラフ地震防災対策推進基本計画フォローアップ結果(概要) https://www.bousai.g[...] 内閣府 2022-12-01
[410] 웹인용 政府の地震調査委員会が2022年1月に公表 https://www.bosai.yo[...] 読売新聞社 2024-03-28
[411] 뉴스 南海トラフ巨大地震 20年以内の発生確率が上昇、「60%程度」に https://www.asahi.co[...] 2024-03-28
[412] 웹사이트 震源域、従来想定の2倍に=南海トラフ地震で中間報告-政府 http://www.jiji.com/[...] 2011-12-27
[413] 웹사이트 南海トラフの巨大地震モデル検討会 中間とりまとめ https://www.bousai.g[...]
[414] 뉴스 震源域、従来想定の2倍に=南海トラフ地震で中間報告-政府 http://www.jiji.com/[...] 時事通信
[415] 뉴스 「巨大西日本地震も」 内閣識者会議、震源域2倍に http://www.chugoku-n[...] 中国新聞
[416] 웹사이트 平成23年(2011年)東北地方太平洋沖地震. 震源断層モデルの概念図 https://www.gsi.go.j[...]
[417] 간행물 南海トラフの巨大地震による震度分布・津波高について(第一次報告)巻末資料 https://www.bousai.g[...] 南海トラフの巨大地震モデル検討会 2012-03-31
[418] 뉴스 南海トラフの地震、震源域拡大 M9を想定 https://news.ntv.co.[...]
[419] 웹사이트 南海トラフの巨大地震モデル検討会(第15回) https://www.bousai.g[...]
[420] 뉴스 最大津波34メートル 南海トラフの巨大地震で新想定 浜岡原発で想定超 http://sankei.jp.msn[...]
[421] 뉴스 「南海トラフ」地震・津波の新想定 http://www3.nhk.or.j[...] NHK 2012-03-31
[422] 간행물 【防災危機管理部】 東北地方太平洋沖地震と同等規模の地震を想定した場合の津波浸水予測図(速報版) http://www.pref.mie.[...] 三重県 2011-10-03
[423] 간행물 東北地方太平洋沖地震と同等規模の地震が発生した場合に、沿岸各地に50cmの津波が到達するまでの想定時間等一覧表 http://www.pref.mie.[...] 三重県 2011-12-22
[424] 뉴스 堤防老朽化 津波で崩壊も 読売新聞 2012-01-06
[425] 간행물 津波高暫定値の公表について http://anshin.pref.t[...] 安心とくしま
[426] 뉴스 3連動地震:津波被害、浸水域2倍以上に 県が新たな予測図公表/徳島 http://mainichi.jp/a[...] 毎日新聞 2012-01-21
[427] 뉴스 県、津波浸水域を拡大 読売新聞徳島版 2012-01-21
[428] 뉴스 読売新聞 2012-05-11
[429] 간행물 【高知県版第1弾】南海トラフの巨大地震による津波浸水予測について http://www.pref.koch[...] 高知県 2012-05-10
[430] 뉴스 南海トラフ地震 津波対策実効性高める必要」 読売新聞 2012-07-20
[431] 웹인용 気象庁|南海トラフ地震について {{!}} 南海トラフ地震に関連する情報の種類と発表条件 https://www.data.jma[...] 気象庁(一部改変) 2021-02-14
[432] 웹사이트 南海トラフ地震について https://www.data.jma[...] 気象庁
[433] 간행물 「南海トラフ地震に関連する情報」の発表について https://www.jma.go.j[...] 気象庁報道発表資料 2017-09-26
[434] 문서 화살표가 가리키는 판이 섭입 당하는 판, 그 반대쪽이 섭입하는 판
[435] 문서 소멸된 판
[436] 문서 백악기에서 고제3기에 걸쳐 형성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