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포 백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남포 백씨는 남포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로, 남포 토성 중 하나이다. 시조는 신라 헌안왕 때 좌간의대부를 지낸 백중학이다. 고려 시대에는 백임지, 백광신 등이 활약했으며, 조선 시대에는 백훈, 백수영 등이 문과에 급제했다. 2015년 대한민국 인구 조사에서 10,907명으로 조사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남포 백씨 - [성씨/가문]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한자 표기 | 藍浦白氏 |
| 관향 | 충청남도 보령시 남포면 |
| 시조 | 백중학(白仲鶴) |
| 중시조 | 백문절(白文節) |
| 주요 인물 | 백임지, 백광신, 백분화, 백이정, 백낙호 |
| 인구 (2015년) | 10,907명 |
| 종친회 웹사이트 | 남포백씨 종친회 |
2. 역사
남포 백씨는 남포 토성 (임·백·이) 중 하나다.
시조 백중학(白仲鶴)은 신라 말기의 문신이자 관리였다. 헌안왕 때 좌간의대부(左諫議大夫)로 간관(諫官)을 지냈다. 자는 운로(雲露), 시호는 익열(益烈)이며, 묘는 남포 쌍계산 혹은 남포 계림산이라 한다.
고려 시대 인물로는 백임지와 백광신 등이 있다.[1]
2. 1. 고려시대
백임지(白任至)는 고려 의종 때 내순검군(內巡檢軍)으로 왕을 호종할 때 소임을 충실히 하여 대정(隊正)이 되었다. 1170년(고려 의종 24) 정중부의 난 이후 무신들이 정권을 잡자 큰 공을 세워 형부시랑(刑部侍郞), 지추밀원사(知樞密院事)에 올랐다.[1]백광신(白光臣)은 신종 때 중서시랑평장사(中書侍郞平章事)를 지냈다. 수태위(守太尉) 문하시랑(門下侍郞) 동중서문하평장사(同中書門下平章事)에 올랐고, 판비서성사(判秘書省事)로 치사(致仕)했다.
3. 본관 연혁
보령시 남포면 일원의 옛 지명이다. 삼한시대에는 마한의 만로국(萬盧國)이었다고 한다. 백제 때는 사포현(寺浦縣)이었고, 757년(신라 경덕왕 16)에 남포현(藍浦縣)으로 고쳐 서림군(西林郡, 서천)에 속하였다. 1018년(현종 9)에 가림군(嘉林郡)에 편입되었다가 후에 감무가 파견되었다. 1397년(태조 6) 병마사 겸 판현사를 두었다가 1466년(세조 12)에 남포현이 되었으며, 마산(馬山)이라 불리기도 하였다. 1895년(고종 32) 홍주부(洪州府) 남포군(藍浦郡)으로 되었다가, 1913년 보령군 남포면(藍浦面)으로 보령군에 편입되었다. 1995년 보령시 남포면이 되었다.
4. 분파
- '''서천 백씨'''(舒川白氏)는 서천의 촌성(裵·'''白''') 중 하나이다.[7] 백이정(白頤正)의 아들인 백세렴(白世廉)이 지청풍군사를 지내고 서천으로 이주하여 생겨난 본관이다.
- '''남해 백씨'''(南海白氏)는 남양 백씨라고도 불리며, 곤명현(昆明縣)의 성(兪·全·文, 玄·'''白''') 중 하나이다.[8] 시조는 조선 성종 때 우봉현감을 지낸 백훈(白勛)이다. 백훈은 백세렴의 아들 백함명(白咸明)의 7세손으로, 남포 백씨에서 분적하였다.
- '''평산 백씨'''(平山白氏)의 시조는 백군영(白君瑛)이다. 백군영은 1360년(공민왕 9) 정몽주, 임박(林樸)에 이어 을과 3등으로 급제하였다. 고려사에서 우왕 때 좌사의(左司議)로 등장하는 백군녕(白君寧)과 동일인으로 추정된다.
5. 인물
- 백중학(白仲鶴, 白仲鶴|백중학중국어, 810년 ~ 886년[2])은 자가 운로(雲路), 시호는 익렬(翼烈)이다.[3] 신라 헌안왕 때 삼중대광(三重大匡) 좌간의대부(左諫議大夫)를 지냈으며,[4] 860년경 남포현(藍浦縣)에 내려와 후학을 양성했다. 부인은 시중(侍中)을 지낸 김탕(金湯)의 딸 경주 김씨이다.[5]
- 백광신(白光臣, 白光臣|백광신중국어, 1135년 ~ 1211년)은 고려 명종 때 이부원외랑(吏部員外郞)을 지내고 동남도(東南道)에 나가 안무하여 공을 세웠다. 여러 벼슬을 거쳐 지정사(知政事)가 되었다. 1200년(신종 3년) 임유를 지공거로, 동지공거(同知貢擧)가 되었다. 신종 때 중서시랑평장사(中書侍郞平章事)를 지냈다. 수태위(守太尉) 문하시랑(門下侍郞) 동중서문하평장사(同中書門下平章事)에 올랐다. 판비서성사(判秘書省事)로 은퇴했다. 1205년(희종 원년) 최충헌의 모정(茅亭)에서 시(詩) 경연을 할 때 심사를 맡아 급제 정공분의 시를 1등으로 뽑았다. 기로회(耆老會)를 만들어 만년을 즐기니 세상 사람들이 그들을 지상선(地上仙)이라 불렀다. 1211년(희종 7년) 77세로 세상을 떠났다.
- 백문절(白文節, 白文節|백문절중국어, 1208년 ~ 1282년)은 고려의 문신이다. 자는 빈연(彬然), 호는 담암(淡巖). 아버지는 좌복야(左僕射) 백경선이다. 고려 고종 때 문과에 급제하여 한림원에서 벼슬하다가 중서사인(中書舍人)·이부시랑(吏部侍郎)·국자좨주(國子祭酒)를 역임하였다. 1278년(충렬왕 4년)에 사의대부(司議大夫)로서 공적이 없는 권세가의 자제들이 관직에 많이 임명되므로 고신(告身)에 서명을 하지 않자 왕의 큰 노여움을 사서 옥에 갇혔다가 풀려났다. 뒤에 국학대사성(國學大司成)·보문각학사(寶文閣學士)가 되었다. 충청남도 보령의 옥산사(玉山祠)에 모셔졌으며, 시호는 문간(文簡)이다.
- 백이정(白頤正, 白頤正|백이정중국어, 1247년 ~ 1323년)은 자가 약헌(若軒), 호는 이재(彝齋)이다. 아버지는 보문각학사(寶文閣學士) 백문절이고, 어머니는 성주 이씨(星州李氏) 참봉 이세주(李世柱)의 딸이다. 1275년(충렬왕 1년) 문과에 급제, 충선왕 때 첨의평리(僉議評理)로 상의회의도감사(商議會議都監事)를 겸했고, 뒤에 상당군(上黨君)에 봉해졌다. 1298년 원(元)이 사신을 보내어 세자를 왕으로 삼고, 8월에 왕을 불러가자 충선왕을 따라 원의 연경(燕京)에서 10년 간 머물렀다. 그 동안 주로 성리학에 깊은 관심을 기울여 연구했고, 귀국할 때 정주(程朱)의 성리서적과 주자의 『가례(家禮)』를 가지고 돌아왔다. 그 뒤 후진 양성에 힘써서, 이제현, 박충좌, 이곡, 이인복, 백문보 등 많은 문인을 배출했으며, 도학과 예학을 발전시키는 데 크게 공헌하였다. 시호는 문헌(文憲)이다. 묘소는 충청남도 보령시 웅천면 평리 양각산(羊角山)에 있으며, 신도비 등이 남아 있다. 유고로는 「연거시(燕居詩)」·「영당요(詠唐堯)」·「한벽루(寒碧樓)」·「여홍애집구(與洪厓集句)」 등의 시구가 전해지고 있다.
- 백은기(白殷基, 白殷基|백은기중국어, 1927년 ~ ) : 서울시립대학교 토목공학과 교수
- 백낙호(白樂皓, 白樂皓|백낙호중국어, 1929년 ~ 2008년) :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학장, 한국음악협회 이사장
6. 과거 급제자
고려시대 문과 급제자 5명,[6]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 4명을 배출하였다.
| 시기 | 급제자 |
|---|---|
| 고려 문과 | 백광신(白光臣) 백분화(白賁華) 백문절(白文節) 백이정(白頤正) 백린 |
| 고려 사마 | 백분화(白賁華) |
| 조선 문과 | 백훈(白勛) 백수영(白受英) 백세진(白世鎭) 백홍수(白弘洙) |
| 무과 | 백동주(白東柱) 백신민(白信敏) 백응선(白應先) |
| 진사시 | 백충원(白忠元) 백영수(白泳洙) |
7. 인구
2015년 대한민국 통계청 인구 조사에서 10,907명으로 조사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고려사』 권100, 열전13
https://terms.naver.[...]
[2]
서적
『대흥백씨(大興白氏) 정축보(丁丑譜)』
1637
[3]
서적
『백씨대동보(白氏大同譜)』
1982
[4]
간행물
『여지승람(與地勝覽)』남포인물(론) 藍浦人物(論)
[5]
서적
『백씨대동보(白氏大同譜)』
1982
[6]
한국학중앙연구원
LST_085_122_0187
[7]
문헌
세종실록 149권, 지리지 충청도 공주목 서천현 조
[8]
문헌
세종실록 149권, 지리지 경상도 진주목 곤남현 조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