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낭포성 섬유증 유발 세포막단백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낭포성 섬유증 유발 세포막단백질(CFTR)은 1989년 발견된 CFTR 유전자에 의해 암호화되며, 5개의 주요 영역으로 구성된 세포막 단백질이다. CFTR은 염소 이온 채널 및 칼륨 이온 통로 역할을 하며, 낭포성 섬유증(CF)의 원인으로, 1,000개 이상의 돌연변이가 보고되었다. 가장 흔한 돌연변이인 델타F508(ΔF508)은 CFTR 단백질의 비정상적인 접힘을 유발하여 기능을 저하시킨다. CFTR 유전자 돌연변이는 CFTR 단백질의 기능을 손상시켜 만성 호흡기 감염, 췌장 기능 부전 등을 유발하며, 콜레라와 같은 질환과도 관련이 있다. CFTR 조절제 개발을 통해 낭포성 섬유증 치료에 기여하고 있으며, 이바카프토르(Ivacaftor)가 2012년 승인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막관통 단백질 - T세포 수용체
    T세포 수용체(TCR)는 T 세포 표면의 이량체 단백질 복합체로, MHC 분자에 결합된 펩타이드를 인식하며, CD3 분자와 복합체를 이루어 신호 전달을 매개하고, V(D)J 재조합을 통해 다양한 항원 특이성을 갖는 T 세포 생성에 기여하여, CAR-T 치료 등 면역 요법 발전에 기여했다.
  • 막관통 단백질 - 인테그린
    인테그린은 세포와 세포 외 기질 사이의 부착과 신호 전달에 관여하는 α와 β 단백질 소단위체로 구성된 이종이량체 막 단백질로서, 다양한 생물학적 과정에 관여하며 일부는 암세포 전이에 기여하고 혈전 관련 질환 치료의 표적이 된다.
낭포성 섬유증 유발 세포막단백질
기본 정보
유전자 기호CFTR
유전자 이름낭포성 섬유증 막 횡단 전도 조절자
CFTR 단백질
CFTR 단백질
염색체7q31.2
위치염색체 7, q 팔, 위치 31.2
별칭ABC35
CF
CFTR/MRP
dJ962F22.2
MRP7
기능
기능세포막을 가로지르는 염화물 이온 채널
관련 질병
관련 질병낭포성 섬유증
외부 링크
OMIM602421
UniProtP08183

2. 역사

낭포성 섬유증을 유발하는 원인이 되는 단백질로, 유전으로 인해 전파되는 열성 돌연변이이다.[133]

해당 유전자는 7번 염색체 장완 31영역에 위치하는 것이 가계분석에서 밝혀졌는데, 1989년에 L.C. Tsui와 F. Collins의 두 연구팀이 분리에 성공하였다.[134]

3. 구조

CFTR 단백질은 크게 5가지 영역으로 나뉜다. 막을 관통하는 2개의 막관통영역(TMD1, TMD2)은 각각 6개의 α-나선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세포질에 위치한 2개의 뉴클레오티드결합 영역(NBD1, NBD2)은 ATP와 결합한다. 조절 영역(R 영역)은 NBD1과 TMD2 사이에 있으며, 다른 ABC 수송체에는 없는 CFTR만의 독특한 구조이다.[99]

R 영역은 PKA에 의해 인산화되고, NBD에 ATP가 결합하면 이온 채널이 열린다.[100] 인산화는 NBD 이합체화 및 개방을 막는 위치에서 무질서한 R 도메인을 제거한다.[48][49] CFTR은 인산화ATP-게이트 음이온 이온 채널로 기능하여 특정 음이온(Cl 등)이 전기화학적 기울기를 따라 흐르는 전기 전도도를 증가시킨다.[1]

단백질의 C-말단은 PDZ 상호작용 도메인에 의해 세포 골격에 고정되어 있고,[101] 아미노-말단은 세포막에 고정되는 라소 모티프의 일부이다.[47] CFTR은 당단백질이며, 신체의 많은 상피 세포 표면에서 발견된다.[45]

사람 CFTR의 탈인산화, ATP 비결합 상태의 전체 구조.


CFTR 단백질은 폐 내부 세포 안팎으로 H2O와 Cl 이온의 흐름을 제어하는 채널 단백질이다.

4. 유전자

7번 염색체 장완 q31.2 위치에 CFTR 유전자가 있으며,[2] 염기쌍 116,907,253에서 117,095,955 사이에 존재한다.[2] 1989년에 L.C. Tsui와 F. Collins의 두 연구팀이 이 유전자를 분리하는 데 성공하였다.[134] CFTR 오소로그는 턱구강동물에서 발견된다.[19][20]

CFTR 유전자는 동물의 핵 DNA 계통 발생 마커로 사용되어 왔다.[19] 이 유전자의 큰 유전체 서열은 포유류의 주요 그룹의 계통 발생을 탐구하는 데 사용되었으며,[23] 태반류의 목을 빈치류, 아프리카진수류, 로라시아류, 진영장목과 설치류의 네 가지 주요 분류군으로 그룹화하는 것을 확인했다.

4. 1. 돌연변이

CFTR 유전자의 돌연변이는 낭포성 섬유증을 유발하는 주요 원인이다. 현재까지 1000가지 이상의 돌연변이가 보고되었으며,[24],[81] 이들은 CFTR 단백질의 기능 이상을 초래한다.

가장 흔한 돌연변이는 ΔF508 (델타F508)로, 전체 돌연변이의 약 70%를 차지한다.[22] ΔF508은 CFTR 유전자의 508번째 위치에서 페닐알라닌(F) 아미노산이 결실되는 돌연변이이다.[25] 이로 인해 CFTR 단백질이 정상적으로 접히지 않고 분해되어 기능 이상을 일으킨다.[25] ΔF508 돌연변이를 가진 사람은 췌장 기능 부전의 영향을 받는 경우가 많다.[22]

ΔF508 (델타F508)의 전체 이름은 CFTRΔF508 또는 F508del-CFTR([https://www.ncbi.nlm.nih.gov/projects/SNP/snp_ref.cgi?rs=113993960 rs113993960])이며, 7번 염색체의 CFTR 유전자 내 특정 돌연변이이다. CFTR 유전자의 507번 및 508번 아미노산 위치에 해당하는 코돈을 포함하는 3개의 뉴클레오타이드가 결실되어, 결국 아미노산 페닐알라닌(F)에 대한 단일 코돈의 손실을 초래한다.[30]

돌연변이의 종류는 다음과 같이 다양하다.

  • 염기 치환
  • 중복
  • 결실
  • 단축


이러한 돌연변이들은 CFTR 단백질이 제 기능을 하지 못하게 하거나, 효율성을 떨어뜨리거나, 빠르게 분해되게 하거나, 충분한 양이 존재하지 않게 만든다.[27],[84]

돌연변이의 분포와 빈도는 인구 집단에 따라 다르며,[25] 이는 유전자 검사 및 상담에 영향을 미친다.

CFTR 유전자 돌연변이가 이형 접합체인 사람에게는 선택적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는 가설이 있다. 돌연변이 CFTR 단백질을 발현하는 세포는 장티푸스의 원인균인 살모넬라의 침입에 저항성을 가지며, 돌연변이 CFTR을 하나만 가진 쥐는 콜레라 독소에 의한 설사에 저항성을 보인다.[28],[85]

다음은 낭포성 섬유증 및 췌장 기능 부전을 유발하는 가장 흔한 돌연변이 목록이다.[29]

변이 cDNA 이름 (5에서 3 순서)변이 단백질 이름변이 레거시 이름rsIDCFTR2의 대립 유전자 수CFTR2의 대립 유전자 빈도췌장 기능 부전 비율 (%)변이 최종 결정 (2020년 7월)
c.1521_1523delCTTp.Phe508delF508delrs113993960990610.6974498%CF 유발
c.1624G>Tp.Gly542XG542Xrs11399395936100.0254298%CF 유발
c.1652G>Ap.Gly551AspG551Drs7552720729860.0210296%CF 유발
c.3909C>Gp.Asn1303LysN1303Krs8003448622460.0158198%CF 유발
c.350G>Ap.Arg117HisR117Hrs7865542118540.0130523%다양한 임상 결과
c.3846G>Ap.Trp1282XW1282Xrs7701089817260.0121599%CF 유발
c.489+1G>T621+1G->Trs7875694113230.0093199%CF 유발
c.1657C>Tp.Arg553XR553Xrs7459732513230.0093197%CF 유발
c.1585-1G>A1717-1G->Ars7671377212160.0085697%CF 유발
c.3718-2477C>T3849+10kbC->Trs7503978211580.0081533%CF 유발
c.2657+5G>A2789+5G->Ars8022456010270.0072343%CF 유발
c.1519_1521delATCp.Ile507delI507delrs1219087456510.0045898%CF 유발
c.3484C>Tp.Arg1162XR1162Xrs747675306510.0045897%CF 유발
c.254G>Ap.Gly85GluG85Ers759613956160.0043485%CF 유발
c.3454G>Cp.Asp1152HisD1152Hrs755419695710.0040224%다양한 임상 결과
c.2051_2052delAAinsGp.Lys684SerfsX382183AA->Grs1219087995420.0038296%CF 유발
c.3528delCp.Lys1177SerfsX153659delCrs1219087475390.0037999%CF 유발
c.1040G>Cp.Arg347ProR347Prs779321965330.0037568%CF 유발
c.1210−12T[5]5Trs18051775160.0036328%다양한 임상 결과
c.2988+1G>A3120+1G->Ars750965515010.0035398%CF 유발
c.1364C>Ap.Ala455GluA455Ers745511285000.0035234%CF 유발
c.3140-26A>G3272-26A->Grs761518044700.0033129%CF 유발
c.1000C>Tp.Arg334TrpR334Wrs1219090114290.0030240%CF 유발
c.1766+1G>A1898+1G->Ars1219087484210.0029699%CF 유발
c.54-5940_273+10250del21kbp.Ser18ArgfsX16CFTRdele2,3not found4170.00294100%CF 유발
c.1679G>Cp.Arg560ThrR560Trs800556103430.0024198%CF 유발
c.617T>Gp.Leu206TrpL206Wrs1219087523330.0023420%CF 유발
c.2052dupAp.Gln685ThrfsX42184insArs1219087863290.0023285%CF 유발
c.262_263delTTp.Leu88IlefsX22394delTTrs1219087693070.0021697%CF 유발
c.178G>Tp.Glu60XE60Xrs772848922960.0020899%CF 유발
c.1477C>Tp.Gln493XQ493Xrs771012172920.0020698%CF 유발
c.579+1G>T711+1G->Trs771883912740.0019398%CF 유발
c.2052delAp.Lys684AsnfsX382184delArs1219087462550.0018098%CF 유발
c.200C>Tp.Pro67LeuP67Lrs3685057532390.0016834%CF 유발
c.3302T>Ap.Met1101LysM1101Krs362107372380.0016869%CF 유발
c.1408A>Gp.Met470ValM470Vrs2139502350.0016546%CF 비유발
c.3276C>A or c.3276C>Gp.Tyr1092XY1092Xrs1219087612250.0015898%CF 유발
c.3196C>Tp.Arg1066CysR1066Crs781942162200.0015598%CF 유발
c.1021_1022dupTCp.Phe342HisfsX281154insTCrs3879063602140.0015199%CF 유발
c.3773dupTp.Leu1258PhefsX73905insTrs1219087892100.0014897%CF 유발
c.1646G>Ap.Ser549AsnS549Nrs1219087552030.0014384%CF 유발
c.1040G>Ap.Arg347HisR347Hrs779321961990.0014024%CF 유발
c.948delTp.Phe316LeufsX121078delTrs1219087441840.0013099%CF 유발
c.1210-33_1210-6GT[12]T[4]5T;TG12not found1820.0012814%다양한 임상 결과
c.3472C>Tp.Arg1158XR1158Xrs798502231790.0012699%CF 유발
c.2834C>Tp.Ser945LeuS945Lrs3975084421670.0011840%CF 유발
c.1558G>Tp.Val520PheV520Frs776469041560.0011098%CF 유발
c.443T>Cp.Ile148ThrI148Trs355162861480.0010488%CF 비유발
c.349C>Tp.Arg117CysR117Crs778341691460.0010324%CF 유발



백인에게 가장 흔한 돌연변이는 ΔF508, G542X, G551D, N1303K, W1282X이다.[86]

4. 2. 델타F508 (ΔF508)

'''델타F508''' ('''ΔF508''')는 7번 염색체의 CFTR 유전자 내 특정 돌연변이로, CFTR 유전자의 507번 및 508번 아미노산 위치에 해당하는 코돈을 포함하는 3개의 뉴클레오타이드가 결실되어 아미노산 페닐알라닌 (F)에 대한 단일 코돈의 손실을 초래한다. 이로 인해 CFTR 단백질은 정상적인 접힘을 거치지 못하고 더 빨리 분해된다.[82] 델타F508 돌연변이를 가진 사람은 이 페닐알라닌 잔기가 결핍되어 제대로 접히지 않는 비정상적인 CFTR 단백질을 생성한다. 이 돌연변이 단백질의 대부분은 추가 처리를 위해 소포체를 벗어나지 못하고 극소량만이 세포막에 도달하며, 불안정해지고 음이온 채널이 드물게 열린다.[30]

낭포성 섬유증을 유발하는 돌연변이는 1000종류 가까이 보고되었으며,[81] 가장 흔한 돌연변이는 ΔF508이다.[82] 이 돌연변이의 두 사본(각 부모로부터 하나씩 상속됨)을 갖는 것은 전 세계적으로 거의 3분의 2의 돌연변이를 차지하며, 낭포성 섬유증 (CF)의 가장 흔한 원인이다.[30]

백인에서 가장 흔한 돌연변이는 다음과 같다.[86]

돌연변이
ΔF508
G542X
G551D
N1303K
W1282X



ΔF508 변이는 유럽의 낭포성 섬유증 사례의 약 50%를 차지하며(지역에 따라 크게 다름),[42] ΔF508 대립유전자 빈도는 약 70%이다.[43] 과학자들은 최초의 변이가 52,000년 전 북부 유럽에서 발생한 것으로 추정한다.[37]

이 치명적인 변이가 자연 선택에 의해 유지된 이유에 대한 한 가지 가설은, 단일 복제본이 콜레라 발병 시 수분 손실을 줄여 긍정적인 효과를 낼 수 있다는 것이다. 또 다른 이론은 CF 보인자(ΔF508의 이형접합자)가 장티푸스에 더 강하다는 것이다. CFTR이 ''살모넬라 타이피''(Salmonella typhi) 박테리아가 장 상피 세포에 침투하는 수용체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38]

4. 2. 1. 영향

CFTR 단백질은 췌장, 창자, 호흡 상피, 외분비선에서 주로 발현된다.[88] 정상적인 CFTR 단백질은 세포막으로 이동하여 염화물과 중탄산염 이온을 세포 밖으로 내보내는 통로 역할을 하고, 동시에 다른 채널 단백질을 통해 나트륨 이온이 세포 안으로 들어오는 것을 막는다.[31] 이러한 두 가지 작용은 이온 기울기를 유지시켜 삼투 현상에 의해 물이 세포 밖으로 이동하도록 돕는다.[31]

ΔF508 돌연변이는 CFTR 단백질이 제대로 접히지 못하게 만들어 소포체(ER)에서 분해되도록 한다.[32] 이 돌연변이를 두 개 가진 (동형 접합체) 경우, CFTR 단백질이 세포막에 거의 존재하지 않아 이온 수송 기능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다.[32] 이는 세포 내 수분 유지 증가와 세포 외 공간의 탈수를 유발하여 신체 여러 부분에 연쇄적인 영향을 미친다. 예를 들어, 기관 상피의 점막이 두꺼워지고, 점액이 끈적해져 섬모 운동을 방해하여 좁은 호흡 통로를 막는다.[33] 또한, 태아 발달 과정에서 점액이 두꺼워져 정관의 선천적 결손을 유발하고, 췌관이 점액으로 막혀 췌장 기능 부전을 일으키며, 세균이 번식하기 쉬운 끈적하고 영양이 풍부한 점액이 쌓여 호흡기 감염 위험을 높인다.[33]

ΔF508 돌연변이를 하나만 가진 (이형 접합체) 보인자는 CFTR 단백질이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거나 아예 존재하지 않아 세포막에서 안정적인 이온 기울기를 유지할 수 없다.[34] 이는 설사 중 수분 손실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일반적으로 세포 내에 Cl 및 Na+ 이온이 쌓이면 세포 밖은 저장액성 용액이 되어 삼투 현상에 의해 물이 세포 안으로 확산된다.[34] 여러 연구에 따르면 이형 접합체 보인자는 낭포성 섬유증과 관련된 여러 증상의 위험이 증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도의 반응성이 증가하거나 폐 기능 저하 위험이 있을 수 있으며, 천명이 있는 경우 만성 폐쇄성 폐 질환의 발병 및 진행 위험이 더 높다.[34] 낭포성 섬유증 유전자 하나만으로도 감염 없이 경미한 폐 이상을 유발할 수 있다.[34]

4. 2. 2. 메커니즘

''CFTR'' 유전자는 7번 염색체의 긴 팔(q) 31.2 위치에 있으며, 1,480개의 아미노산 서열을 암호화한다. 일반적으로 이 유전자의 507번째 위치에 있는 세 개의 DNA 염기쌍 A-T-C (반대 가닥에서는 T-A-G와 쌍을 이룸)는 이소류신에 대한 mRNA 코돈 A-U-C의 템플릿을 형성하고, 인접한 508번째 위치에 있는 세 개의 DNA 염기쌍 T-T-T (A-A-A와 쌍을 이룸)는 페닐알라닌에 대한 코돈 U-U-U의 템플릿을 형성한다.[35]

낭포성 섬유증을 유발하는 돌연변이는 1000종류 가까이 보고되었다.[81] 가장 흔한 돌연변이는 ΔF508이며, 3개의 뉴클레오티드 결실(Δ)로 인해 단백질의 508번째 아미노산인 페닐알라닌(F)이 손실된다.[82] 그 결과 단백질은 정상적인 폴딩을 거치지 못하고 더 빨리 분해된다. ΔF508 돌연변이는 507번째 위치에서 C-G 쌍이 삭제되고 508번째 위치에서 처음 두 개의 T-A 쌍이 삭제되어, DNA 서열 A-T-T (T-A-A와 쌍을 이룸)가 507번째 위치에 남게 되는데, 이는 mRNA 코돈 A-U-U로 전사된다. A-U-U도 이소류신을 암호화하므로 507번째 위치의 아미노산은 변하지 않으며, 돌연변이의 순 효과는 508번째 위치에서 페닐알라닌에 대한 코돈을 생성하는 서열의 삭제("Δ")와 동일하다.[36]

ΔF508 변이에 의해 생성된 페닐알라닌 잔기가 없는 이상 CFTR 단백질은 적절한 폴딩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 단백질은 추가적인 처리를 위해 소포체로부터 이동하지 못한다. 이 변이를 2개의 복제본(부모로부터 각각 1개씩 상속)을 갖는 것이 낭포성 섬유증(CF)의 가장 흔한 원인이며, 전 세계적으로 관찰되는 변이의 약 2/3를 차지한다..

''CFTR'' 유전자의 돌연변이는 이형 접합체의 개체에게 선택적 우위를 제공할 수 있다. 돌연변이형 CFTR 단백질을 발현하는 세포는 장티푸스의 원인균인 살모넬라의 침입에 저항성을 보이며, 돌연변이형 CFTR을 1개만 가진 쥐는 콜레라 독소에 의한 설사에 저항성을 나타낸다.[85]

4. 2. 3. 유병률

ΔF508 변이는 백인 30명 중 1명 꼴로 7번 염색체에 존재하며, 이 변이가 두 유전자 복제본 모두에 존재하면 상염색체 열성 질환인 낭포성 섬유증이 발생한다.[30] 과학자들은 최초의 변이가 52,000년 전 북부 유럽에서 발생한 것으로 추정하지만, 다른 민족의 낭포성 섬유증 환자에게서도 발견된다.[37] 이처럼 젊은 대립유전자 연령은 과거의 선택의 결과일 수 있다.

이 치명적인 변이가 자연 선택에 의해 유지된 이유에 대한 한 가지 가설은, 단일 복제본이 콜레라 발병 시 수분 손실을 줄여 긍정적인 효과를 낼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병원성 ''콜레라균''(Vibrio cholerae)이 유럽에 도입된 것은 18세기 후반이었다.[37] 또 다른 이론은 CF 보인자(ΔF508의 이형접합자)가 장티푸스에 더 강하다는 것이다. CFTR이 ''살모넬라 타이피''(Salmonella typhi) 박테리아가 장 상피 세포에 침투하는 수용체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38]

낭포성 섬유증 ΔF508 이형접합자는 천식 환자들 사이에서 더 많이 나타날 수 있으며, 비보인자보다 폐 기능이 더 나쁠 수 있다.[39][40] 단일 CF 변이 보인자는 일반 인구보다 만성 부비동염 유병률이 더 높다.[41]

유럽의 낭포성 섬유증 사례의 약 50%는 ΔF508 동형접합 변이로 인해 발생하며(지역에 따라 크게 다름),[42] ΔF508 대립유전자 빈도는 약 70%이다.[43] 나머지 사례는 R117H, 1717-1G>A, 2789+56G>A를 포함한 1,500개 이상의 다른 변이로 인해 발생한다.

5. 위치 및 기능

CFTR은 폐, , 췌장, 소화관, 여성 생식[8] 및 정자, 세르톨리 세포를 포함한 남성 생식[9], 부고환[10] 및 정관[11]을 포함한 많은 기관의 상피 세포에서 발견된다.

폐의 기도에서 CFTR은 폐 이온세포라고 불리는 드문 특수 세포에 의해 가장 많이 발현되며,[12][13][14] 피부에서는 피지선과 에크린 땀샘에서 강하게 발현된다.[15] 에크린 땀샘에서 CFTR은 이러한 땀샘의 관을 구성하는 상피 세포의 정단 막에 위치한다.[15]

일반적으로 이 단백질은 염소, 중탄산염 및 싸이오시안산염[16] 이온 (음전하)을 상피 세포 밖에서 기도 표면 액체 및 점액으로 이동시킨다. 양전하를 띤 나트륨 이온이 수동적으로 따라가 점액의 총 전해질 농도를 증가시켜 삼투를 통해 물이 세포 밖으로 이동하게 한다.

기관지 및 난관을 따라 운동성 섬모가 있는 상피 세포에서 CFTR은 정단 세포 막에 위치하지만 섬모에는 위치하지 않는다.[8] 반대로, ENaC (상피 나트륨 채널)은 섬모의 전체 길이를 따라 위치한다.[8]

땀샘에서 결함이 있는 CFTR은 흡수 관에서 염화나트륨 및 싸이오시안산염[17]의 수송 감소를 유발하여 땀이 더 짜게 된다. 이것은 유전자 검사와 함께 종종 진단적으로 사용되는 낭포성 섬유증에 대한 임상적으로 중요한 땀 검사의 근거가 된다.[18]

CFTR은 인산화ATP-게이트 음이온 이온 채널로 기능하여 특정 음이온 (예: Cl)이 전기화학적 기울기를 따라 흐르는 전기 전도도를 증가시킨다. ATP 구동 입체 구조 변화는 CFTR에서 게이트를 열고 닫아 음이온이 전기화학적 기울기를 따라 막을 통과하도록 한다.[1] 이는 ATP 구동 입체 구조 변화가 세포막을 가로지르는 상향 기질 수송에 연료를 공급하는 다른 ABC 단백질과는 대조적이다.

CFTR에서 안쪽을 향하는 입체 구조와 바깥쪽을 향하는 입체 구조 사이를 번갈아 가면서 채널 게이팅이 발생한다. 특히 NBD 이량체화(ATP 결합에 의해 선호됨)는 음이온에 대한 열린 막 통과 경로가 형성되는 바깥쪽을 향하는 입체 구조로의 전환과 결합된다.[51]

6. 임상적 의미

''CFTR'' 유전자의 돌연변이는 낭포성 섬유증의 심각성에 다양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지금까지 200가지 이상의 돌연변이가 구분되었고, 유전자산물의 성질에 따라 4개의 클래스로 분류된다.[134] 흔한 증상으로는 만성 폐 감염, 췌장 기능 부전, 높은 땀 염화물 수치가 있다.[52]

4가지 클래스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134]


  • 클래스 1: 이어맞추기 부위 이상, 틀 이동, 정지 돌연변이(nonsense mutation)에 의해 번역이 도중에 멈추어 정상적인 유전자 산물을 생산할 수 없다.
  • 클래스 2: 처리 이상. 지금까지 조사한 돌연변이의 67%를 차지하는 508번 페닐알라닌의 결실(ΔF508)이 이 형태이다. 단백질의 입체 구조 형성이 이상하게 되어 세포막으로의 위치 이동도 일어나지 않는다.
  • 클래스 3: 돌연변이 산물은 막에 닻 고리가 생기는데 ATP에 의한 활성화에 이상을 나타낸다.
  • 클래스 4: 막에서의 위치 이동, 인산화와 ATP에 의한 조절은 모두 정상이지만 Cl 유량(流量)이 감소한다.


가장 흔한 돌연변이는 ΔF508이며, 3개의 뉴클레오티드 결실(Δ)로 인해 단백질의 508번째 아미노산인 페닐알라닌(F)이 손실된다.[82] 그 결과 단백질은 정상적인 폴딩을 거치지 못하고 더 빨리 분해된다. 다른 대부분의 돌연변이는 빈도가 낮지만, 돌연변이의 분포와 빈도는 집단에 따라 다르다.

돌연변이에는 ''CFTR'' 유전자의 염기 치환, 중복, 결실 및 단축이 있다. 그 결과 단백질은 전혀 기능하지 않거나, 효율적으로 기능하지 않거나, 더 빠르게 분해되거나, 충분한 양이 존재하지 않게 된다.[84]

이러한 특정 유전적 결함을 해결하기 위해 CFTR 조절제와 같은 돌연변이 특이적 치료법이 개발되었다.[52] 질병을 일으키는 돌연변이의 수가 많기 때문에, CF 환자 전체를 대상으로 하는 치료제 개발은 어렵다. 광범위하게 작용하는 약물 후보의 스크리닝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이상적으로는 모든 돌연변이에 대응하는 세포주와 세포 기반 분석법의 라이브러리가 필요하다. 각 돌연변이에 대응하는 클론 세포의 검출 및 분리에는 형광 올리고뉴클레오티드 시그널 프로브와 같은 세포 공학적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83]

6. 1. 관련 질환

선천성 양측성 정관 결손은 CFTR 유전자의 한쪽 복사본에 경미한 돌연변이가 있고, 다른 한쪽 복사본에는 낭포성 섬유증을 유발하는 돌연변이가 있는 남성에게서 주로 나타난다.[66]

낭포성 섬유증은 CFTR 유전자의 돌연변이로 인해 발생하며, 1,800개 이상의 돌연변이가 발견되었다.[66][81][125] 이 돌연변이들은 대부분 CFTR 단백질의 기능을 저해하여, 폐, 췌장 등 여러 기관에서 비정상적으로 두껍고 끈적한 점액이 생성되게 한다.[66] 가장 흔한 돌연변이는 ΔF508로, CFTR 단백질의 508번째 아미노산인 페닐알라닌이 결실된 형태이다.[66][82] 이 변형된 단백질은 세포막에 도달하지 못하고 분해된다.[66] 낭포성 섬유증은 만성 감염을 유발할 수 있는데, 이는 두꺼운 점액이 섬모에 의해 제거되지 않아 박테리아가 번식하기 좋은 환경을 제공하기 때문이다.[66]

콜레라는 콜레라 독소에 의해 CFTR 채널이 과도하게 열리면서 발생한다. 이로 인해 염화물 이온(Cl)이 과다 분비되고, 나트륨 이온(Na+)과 물(H2O)이 함께 소장으로 이동하여 탈수 및 전해질 손실을 초래한다.[68][127]

CFTR 유전자 돌연변이는 이형 접합체인 사람에게 장티푸스콜레라에 대한 저항성을 제공하여 선택적 이점을 줄 수 있다.[85]

7. 상호 작용

낭포성 섬유증 유발 세포막단백질(CFTR)은 다음과 같은 단백질들과 상호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단백질은 설사 치료제인 크로펠레머에 의해 억제된다.

8. 약물 표적

CFTR은 관련 질환 치료법을 찾기 위한 노력에서 약물 표적이 되어왔다. 2012년 FDA은 이바카프토르(상품명: 캘리데코, VX-770으로 개발)를 특정 CFTR 돌연변이를 가진 낭포성 섬유증 환자를 위한 의약품으로 승인했다.[69][70] 버텍스 파마슈티컬스가 낭포성 섬유증 재단과 협력하여 개발한 이바카프토르는 질병의 증상보다는 근본적인 원인을 치료하는 최초의 약물이다.[71] "2012년 가장 중요한 신약"[72] 및 "기적의 약"[73]으로 불렸지만, 연간 300000USD가 넘는 비용이 드는 가장 비싼 약물 중 하나이며, 이는 버텍스에 대한 높은 가격에 대한 비판으로 이어졌다.[132]

참조

[1] 논문 Structure, Gating, and Regulation of the CFTR Anion Channel 2019-01
[2] 논문 Identification of the cystic fibrosis gene: chromosome walking and jumping 1989-09
[3] 웹사이트 Cystic Fibrosis Transmembrane Conductance Regulator (CFTR) Gene {{!}} The Embryo Project Encyclopedia https://embryo.asu.e[...] 2022-09-26
[4] 논문 Identification of the cystic fibrosis gene: cloning and characterization of complementary DNA 1989-09
[5] 논문 Identification of the cystic fibrosis gene: cloning and characterization of complementary DNA 1989-09
[6] 논문 Cystic fibrosis transmembrane conductance regulator protein expression in the male excretory duct system during development 2012-03
[7] 논문 Treatment with tetrahydrocannabinol (THC) prevents infertility in male cystic fibrosis mice 2011-06
[8] 논문 Epithelial sodium channels (ENaC) are uniformly distributed on motile cilia in the oviduct and the respiratory airways 2012-03
[9] 논문 Localization of epithelial sodium channel (ENaC) and CFTR in the germinal epithelium of the testis, Sertoli cells, and spermatozoa 2018-04
[10] 논문 Mapping the sites of localization of epithelial sodium channel (ENaC) and CFTR in segments of the mammalian epididymis 2019-04
[11] 논문 High-resolution imaging of the actin cytoskeleton and epithelial sodium channel, CFTR, and aquaporin-9 localization in the vas deferens null 2020-02
[12] 웹사이트 CF Study Finds New Cells Called Ionocytes Carrying High levels of CFTR Gene https://cysticfibros[...] 2018-08-03
[13] 논문 A revised airway epithelial hierarchy includes CFTR-expressing ionocytes 2018-08
[14] 논문 A single-cell atlas of the airway epithelium reveals the CFTR-rich pulmonary ionocyte 2018-08
[15] 논문 Expression of epithelial sodium channel (ENaC) and CFTR in the human epidermis and epidermal appendages https://zenodo.org/r[...] 2017-06
[16] 논문 A novel host defense system of airways is defective in cystic fibrosis 2007-01
[17] 논문 The antioxidant role of thiocyanate in the pathogenesis of cystic fibrosis and other inflammation-related diseases 2009-12
[18] 논문 Primary hepatocellular carcinoma with severe hypoglycemia: involvement of insulin-like growth factors 1992-04
[19] 웹사이트 OrthoMaM phylogenetic marker: CFTR coding sequence http://www.orthomam.[...] 2010-03-12
[20] 논문 Evolution and Regulation of the Cystic Fibrosis Gene http://espace.librar[...] 2005-06-19
[21] 논문 Molecular mechanisms of CFTR chloride channel dysfunction in cystic fibrosis 1993-07
[22] 웹사이트 Genetics and CF https://med.stanford[...] 2022-10-23
[23] 논문 Confirming the phylogeny of mammals by use of large comparative sequence data sets 2008-09
[24] 웹사이트 The Clinical and Functional TRanslation of CFTR (CFTR2): CFTR2 Variant List History https://www.cftr2.or[...] US CF Foundation, Johns Hopkins University, Cystic Fibrosis Centre at the Hospital for Sick Children in Toronto 2017-08-02
[25] 논문 Toward inclusive therapy with CFTR modulators: Progress and challenges 2017-11
[26] 논문 Cell engineering method using fluorogenic oligonucleotide signaling probes and flow cytometry 2021-05
[27] 논문 Cystic fibrosis 2005-05
[28] 논문 Case studies in cholera: lessons in medical history and science
[29] 웹사이트 CFTR2 https://cftr2.org/ 2021-07-08
[30] 논문 Cystic fibrosis: a worldwide analysis of CFTR mutations--correlation with incidence data and application to screening 2002-06
[31] 논문 Role of airway surface liquid and submucosal glands in cystic fibrosis lung disease 2003-01
[32] 웹사이트 Cystic Fibrosis Research Directions http://www.wrongdiag[...] National Institute of Diabetes and Digestive and Kidney Diseases (NIDDK)
[33] 논문 A new era in the treatment of cystic fibrosis: correction of the underlying CFTR defect 2013-04
[34] 논문 Association of CFTR gene mutation with bronchial asthma http://icmr.nic.in/i[...] 2012-04
[35] NCBI CCDS Report for Consensus CDS: Report for CCDS5773.1 (current version) https://www.ncbi.nlm[...]
[36] 논문 A synonymous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in DeltaF508 CFTR alters the secondary structure of the mRNA and the expression of the mutant protein 2010-09
[37] 웹사이트 Re: Is there a connection between cystic fibrosis and cholera? http://www.madsci.or[...]
[38] 논문 Salmonella typhi uses CFTR to enter intestinal epithelial cells 1998-05
[39] 논문 Fifteen-year follow-up of pulmonary function in individuals heterozygous for the cystic fibrosis phenylalanine-508 deletion 2001-05
[40] 논문 DeltaF508 heterozygosity in cystic fibrosis and susceptibility to asthma 1998-06
[41] 논문 Increased prevalence of chronic rhinosinusitis in carriers of a cystic fibrosis mutation 2005-03
[42] 간행물 ECFS Annual Report: What It Means to the UK https://www.cysticfi[...] Cystic Fibrosis Trust 2018-05-01
[43] 논문 The origin of the major cystic fibrosis mutation (delta F508) in European populations 1994-06
[44] 웹사이트 Genomic DNA sequence http://www.genet.sic[...] 2013-04-06
[45] 웹사이트 CFTR https://hopkinscf.or[...] 2022-10-09
[46] 논문 Structure and function of the CFTR chloride channel 1999-01
[47] 논문 Molecular structure of the ATP-bound, phosphorylated human CFTR 2018-12
[48] 논문 Conformational Changes of CFTR upon Phosphorylation and ATP Binding 2017-07
[49] 논문 Structure and function of the CFTR chloride channel 1999-01
[50] 논문 An apical PDZ protein anchors the cystic fibrosis transmembrane conductance regulator to the cytoskeleton 1998-07
[51] 논문 CFTR channel opening by ATP-driven tight dimerization of its nucleotide-binding domains 2005
[52] 논문 A new era in the treatment of cystic fibrosis: correction of the underlying CFTR defect 2013-04
[53] 논문 Cysteine string protein interacts with and modulates the maturation of the cystic fibrosis transmembrane conductance regulator 2002-08
[54] 논문 A Golgi-associated PDZ domain protein modulates cystic fibrosis transmembrane regulator plasma membrane expression 2002-02
[55] 논문 The PDZ-binding chloride channel ClC-3B localizes to the Golgi and associates with cystic fibrosis transmembrane conductance regulator-interacting PDZ proteins 2003-02
[56] 논문 Accessory protein facilitated CFTR-CFTR interaction, a molecular mechanism to potentiate the chloride channel activity 2000-09
[57] 논문 Protein kinase C epsilon-dependent regulation of cystic fibrosis transmembrane regulator involves binding to a receptor for activated C kinase (RACK1) and RACK1 binding to Na+/H+ exchange regulatory factor 2002-06
[58] 논문 CFTR chloride channels are regulated by a SNAP-23/syntaxin 1A complex 2002-09
[59] 논문 The cystic fibrosis transmembrane conductance regulator interacts with and regulates the activity of the HCO3- salvage transporter human Na+-HCO3- cotransport isoform 3 2002-12
[60] 논문 C-terminal phosphorylation of MRP2 modulates its interaction with PDZ proteins 2003-03
[61] 논문 Peptide binding consensus of the NHE-RF-PDZ1 domain matches the C-terminal sequence of cystic fibrosis transmembrane conductance regulator (CFTR) 1998-05
[62] 논문 The PDZ-interacting domain of cystic fibrosis transmembrane conductance regulator is required for functional expression in the apical plasma membrane 2000-09
[63] 논문 A C-terminal motif found in the beta2-adrenergic receptor, P2Y1 receptor and cystic fibrosis transmembrane conductance regulator determines binding to the Na+/H+ exchanger regulatory factor family of PDZ proteins 1998-07
[64] 논문 E3KARP mediates the association of ezrin and protein kinase A with the cystic fibrosis transmembrane conductance regulator in airway cells 2000-09
[65] 논문 Regulation of CFTR chloride channels by syntaxin and Munc18 isoforms 1997-11
[66] 논문 Genetics of Cystic Fibrosis: Clinical Implications 2016-03
[67] 논문 Progress in therapies for cystic fibrosis 2016-08
[68] 논문 CFTR inhibitors for treating diarrheal disease 2012-09
[69] 논문 Emerging treatments in cystic fibrosis 2009-10
[70] 논문 Ivacaftor: the first therapy acting on the primary cause of cystic fibrosis 2013-04
[71] 웹사이트 Phase 3 Study of VX-770 Shows Marked Improvement in Lung Function Among People with Cystic Fibrosis with G551D Mutation http://www.prnewswir[...] Cystic Fibrosis Foundation 2011-02-23
[72] 웹사이트 The Most Important New Drug Of 2012 https://www.forbes.c[...] 2012-12-27
[73] 웹사이트 The $300,000 Drug https://www.nytimes.[...] 2014-07-18
[74] 논문 The ABC protein turned chloride channel whose failure causes cystic fibrosis 2006-03
[75] 논문 Identification of the cystic fibrosis gene: chromosome walking and jumping 1989-09
[76] 논문 Identification of the cystic fibrosis gene: cloning and characterization of complementary DNA 1989-09
[77] 논문 Cystic fibrosis transmembrane conductance regulator protein expression in the male excretory duct system during development 2012-03
[78] 웹사이트 OrthoMaM phylogenetic marker: CFTR coding sequence http://www.orthomam.[...] 2010-03-12
[79] 논문 Evolution and Regulation of the Cystic Fibrosis Gene http://espace.librar[...] 2014-07-28
[80] 논문 Confirming the phylogeny of mammals by use of large comparative sequence data sets 2008-09
[81] 웹사이트 The Clinical and Functional TRanslation of CFTR (CFTR2): CFTR2 Variant List History US CF Foundation, Johns Hopkins University, Cystic Fibrosis Centre at the Hospital for Sick Children in Toronto 2017-08-02
[82] 논문 Toward inclusive therapy with CFTR modulators: Progress and challenges 2017-11
[83] 논문 Cell engineering method using fluorogenic oligonucleotide signaling probes and flow cytometry 2021-03
[84] 논문 Cystic fibrosis 2005-05
[85] 논문 Case studies in cholera: lessons in medical history and science
[86] 논문 Prevalence of deltaF508, G551D, G542X, and R553X mutations among cystic fibrosis patients in the North of Brazil 2005-01
[87] 논문 Cystic fibrosis: a worldwide analysis of CFTR mutations--correlation with incidence data and application to screening 2002-06
[88] 논문 Role of airway surface liquid and submucosal glands in cystic fibrosis lung disease 2003-01
[89] 논문 Association of CFTR gene mutation with bronchial asthma http://icmr.nic.in/i[...] 2012-04
[90] 문서 CCDS Report for Consensus CDS: Report for CCDS5773.1 (current version) https://www.ncbi.nlm[...] NCBI
[91] 논문 A synonymous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in DeltaF508 CFTR alters the secondary structure of the mRNA and the expression of the mutant protein 2010-09
[92] 웹사이트 Re: Is there a connection between cystic fibrosis and cholera? http://www.madsci.or[...] 2021-05-20
[93] 논문 Salmonella typhi uses CFTR to enter intestinal epithelial cells 1998-05
[94] 논문 Fifteen-year follow-up of pulmonary function in individuals heterozygous for the cystic fibrosis phenylalanine-508 deletion 2001-05
[95] 논문 DeltaF508 heterozygosity in cystic fibrosis and susceptibility to asthma 1998-06
[96] 논문 Increased prevalence of chronic rhinosinusitis in carriers of a cystic fibrosis mutation 2005-03
[97] 문서 ECFS Annual Report: What It Means to the UK https://www.cysticfi[...] Cystic Fibrosis Trust
[98] 논문 The origin of the major cystic fibrosis mutation (delta F508) in European populations 1994-06
[99] 웹사이트 Genomic DNA sequence http://www.genet.sic[...] 2013-04-06
[100] 논문 Structure and function of the CFTR chloride channel 1999-01
[101] 논문 An apical PDZ protein anchors the cystic fibrosis transmembrane conductance regulator to the cytoskeleton 1998-07
[102] 논문 STRUCTURE, GATING, AND REGULATION OF THE CFTR ANION CHANNEL https://discovery.uc[...] 2019-01
[103] 논문 Epithelial sodium channels (ENaC) are uniformly distributed on motile cilia in the oviduct and the respiratory airways 2012-03
[104] 논문 Localization of epithelial sodium channel (ENaC) and CFTR in the germinal epithelium of the testis, Sertoli cells, and spermatozoa 2018-04
[105] 논문 Mapping the sites of localization of epithelial sodium channel (ENaC) and CFTR in segments of the mammalian epididymis 2019-04
[106] 웹사이트 CF Study Finds New Cells Called Ionocytes Carrying High levels of CFTR Gene https://cysticfibros[...] 2018-08-03
[107] 논문 A revised airway epithelial hierarchy includes CFTR-expressing ionocytes 2018-08
[108] 논문 A single-cell atlas of the airway epithelium reveals the CFTR-rich pulmonary ionocyte 2018-08
[109] 논문 Expression of epithelial sodium channel (ENaC) and CFTR in the human epidermis and epidermal appendages https://zenodo.org/r[...] 2017-06
[110] 논문 The antioxidant role of thiocyanate in the pathogenesis of cystic fibrosis and other inflammation-related diseases 2009-12
[111] 논문 Primary hepatocellular carcinoma with severe hypoglycemia: involvement of insulin-like growth factors 1992-04
[112] 논문 Cysteine string protein interacts with and modulates the maturation of the cystic fibrosis transmembrane conductance regulator 2002-08
[113] 논문 A Golgi-associated PDZ domain protein modulates cystic fibrosis transmembrane regulator plasma membrane expression 2002-02
[114] 논문 The PDZ-binding chloride channel ClC-3B localizes to the Golgi and associates with cystic fibrosis transmembrane conductance regulator-interacting PDZ proteins 2003-02
[115] 논문 Accessory protein facilitated CFTR-CFTR interaction, a molecular mechanism to potentiate the chloride channel activity 2000-09
[116] 논문 Protein kinase C epsilon-dependent regulation of cystic fibrosis transmembrane regulator involves binding to a receptor for activated C kinase (RACK1) and RACK1 binding to Na+/H+ exchange regulatory factor 2002-06
[117] 논문 CFTR chloride channels are regulated by a SNAP-23/syntaxin 1A complex 2002-09
[118] 논문 The cystic fibrosis transmembrane conductance regulator interacts with and regulates the activity of the HCO3- salvage transporter human Na+-HCO3- cotransport isoform 3 2002-12
[119] 논문 C-terminal phosphorylation of MRP2 modulates its interaction with PDZ proteins 2003-03
[120] 논문 Peptide binding consensus of the NHE-RF-PDZ1 domain matches the C-terminal sequence of cystic fibrosis transmembrane conductance regulator (CFTR) 1998-05
[121] 논문 The PDZ-interacting domain of cystic fibrosis transmembrane conductance regulator is required for functional expression in the apical plasma membrane 2000-09
[122] 논문 A C-terminal motif found in the beta2-adrenergic receptor, P2Y1 receptor and cystic fibrosis transmembrane conductance regulator determines binding to the Na+/H+ exchanger regulatory factor family of PDZ proteins 1998-07
[123] 논문 E3KARP mediates the association of ezrin and protein kinase A with the cystic fibrosis transmembrane conductance regulator in airway cells 2000-09
[124] 논문 Regulation of CFTR chloride channels by syntaxin and Munc18 isoforms 1997-11
[125] 논문 Genetics of Cystic Fibrosis: Clinical Implications 2016-03
[126] 논문 Progress in therapies for cystic fibrosis 2016-08
[127] 논문 CFTR inhibitors for treating diarrheal disease 2012-09
[128] 논문 Emerging treatments in cystic fibrosis 2009-10
[129] 논문 Ivacaftor: the first therapy acting on the primary cause of cystic fibrosis 2013-04
[130] 웹사이트 Phase 3 Study of VX-770 Shows Marked Improvement in Lung Function Among People with Cystic Fibrosis with G551D Mutation http://www.prnewswir[...] Cystic Fibrosis Foundation 2011-02-23
[131] 웹사이트 The Most Important New Drug Of 2012 https://www.forbes.c[...] 2012-12-27
[132] 웹사이트 The $300,000 Drug https://www.nytimes.[...] 2014-07-18
[133] 웹인용 낭포성섬유증(Cystic Fibrosis), 유전성 내분비 질환, 염색체 및 유전 질환, 의학유전학강좌, 의학유전학센터, 서울아산병원 https://www.amc.seou[...] 2022-03-05
[134] 웹인용 "[네이버 지식백과] 낭포성 섬유증유발세포막단백질 [cystic fibrosis transmembrane-conductance regulator, 囊胞性纖維症誘發細胞膜蛋白質] (생명과학대사전, 초판 2008., 개정판 2014., 강영희)" https://terms.nave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