냉대 습윤 기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냉대 습윤 기후는 쾨펜 기후 구분에서 가장 추운 달의 평균 기온이 0°C 또는 -3°C 이하이고, 평균 기온이 10°C 이상인 달이 4개월 이상인 기후를 의미한다. 이 기후는 여름철 기온과 강수량 분포에 따라 온난한 여름형과 온난한 여름형으로 세분되며, 뚜렷한 사계절과 큰 기온 연교차를 보인다. 습윤 대륙성 기후 지역에서는 다양한 숲이 번성하며, 기후 조건에 따라 봄 밀, 감자, 호밀, 메밀 등이 재배되거나 낙농업과 방목이 이루어진다. 주요 도시로는 서울, 삿포로, 베이징, 모스크바, 시카고 등이 있다. 기후 변화 모델링은 기후대의 변화를 예측하는 데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냉대 습윤 기후 | |
---|---|
지도 | |
기후 특성 | |
Köppen 기후 구분 | Dfa, Dfb, Dwa, Dwb, Dsa, Dsb |
온도 | 가장 추운 달의 평균 기온이 미만 또는 미만 가장 따뜻한 달의 평균 기온이 이상 |
강수량 | 사계절 강수량이 고르게 나타남 |
특징 | 온대와 냉대 기후의 중간에 위치 겨울은 춥고 여름은 따뜻함 연중 강수량 분포가 비교적 고름 |
세부 기후 구분 | |
Dfa | 습윤 대륙성 기후 따뜻한 여름과 추운 겨울 온대 기후와 냉대 기후 사이 |
Dfb | 습윤 대륙성 기후 온난한 여름과 추운 겨울 |
Dwa | 습윤 대륙성 기후 건조한 겨울, 습한 여름 |
Dwb | 습윤 대륙성 기후 건조한 겨울, 온화한 여름 |
Dsa | 습윤 대륙성 기후 건조한 여름, 추운 겨울 |
Dsb | 습윤 대륙성 기후 건조한 여름, 온화한 겨울 |
식생 | |
일반적 식생 | 침엽수림 혼합림 활엽수림 |
농업 | 베리류, 사과, 배 등 재배 가능 |
분포 지역 | |
북반구 | 북아메리카 북동부 (미국 북동부, 캐나다 남동부) 유럽 동부 (동유럽) 아시아 북동부 (러시아, 중국 북동부, 한국 북부, 일본 북부) |
2. 정의 및 분류
쾨펜 기후 구분에 따르면, 냉대 습윤 기후는 가장 추운 달의 평균 기온이 0°C 또는 -3°C 이하이고 평균 기온이 10°C 이상인 달이 4개월 이상인 경우를 말한다.[7] 이러한 온도 기준은 임의로 정해진 것이 아니며, 유럽에서는 -3°C 평균 기온 등온선(같은 온도의 선)이 겨울 눈덮개의 남쪽 끝 부근에 있었다. 미국에서는 0°C 등온선을 사용하는 것이 더 일반적이다. 10°C 평균 기온은 나무의 번식과 성장에 필요한 최소 온도와 거의 일치하는 것으로 밝혀졌다.[5] 이 기후대에서는 넓은 온도 범위가 일반적이다.[6]
계절별 강수량에 따른 분류는 다음과 같다.[7]
- ''s'': 건조한 여름——일 년 중 해가 높은 시기(북반구에서는 4월~9월, 남반구에서는 10월~3월)의 가장 건조한 달의 강수량이 30mm/40mm 미만이고, 해가 낮은 시기(북반구에서는 10월~3월, 남반구에서는 4월~9월)의 가장 강수량이 많은 달의 강수량의 1/3 이하이다.
- ''w'': 건조한 겨울——일 년 중 해가 낮은 시기의 가장 건조한 달의 강수량이 여름철 가장 강수량이 많은 달의 강수량의 1/10 이하이다.
- ''f'': 건조한 계절 없음——위의 두 가지 조건 중 어느 것에도 해당하지 않음; 강수량과 습도는 종종 연중 높다.
여름철 기온에 따른 분류는 다음과 같다.[7]
- ''a'': 더운 여름, 가장 더운 달의 평균 기온이 22°C 이상,
- ''b'': 따뜻한 여름, 가장 더운 달의 평균 기온이 22°C 미만이지만 10°C 이상인 달이 4개월 이상.
최한월·최난월 평균기온에 따라 다음 4가지로 나눌 수 있다.
- Dfa - 최난월이 22℃ 이상.
- Dfb - 최난월이 10℃ 이상 22℃ 미만이며 월평균기온 10℃ 이상인 달이 4개월 이상.
- Dfc - 최난월이 10℃ 이상 22℃ 미만이며 월평균기온 10℃ 이상인 달이 3개월 이하이고 최한월이 -38℃ 이상 -3℃ 미만.
- Dfd - 최난월이 10℃ 이상 22℃ 미만이며 월평균기온 10℃ 이상인 달이 3개월 이하이고 최한월이 -38℃ 미만.
3. 분포
냉대 습윤 기후는 주로 북반구 북위 40도 이북에 분포한다. 동유럽, 서시베리아 및 중앙 시베리아, 북아메리카 대륙, 사할린, 홋카이도, 혼슈 동부에 분포하며, 지구상에서 가장 넓게 분포하는 기후대이다. 대륙 동해안에서는 북위 40도 이상, 대륙 서해안에서는 그보다 약간 더 북쪽에 분포한다. 극지방 방향으로는 아한대 기후로, 적도 방향으로는 습윤 아열대 기후나 해양성 기후로 바뀐다. 강수량이 적은 일부 지역은 반건조 기후로 나타나기도 한다.
고위도 저압대의 영향으로 겨울에는 적설량이 많으며, 특히 홋카이도의 일본해 쪽이나 북아메리카의 오대호 주변 등 바다나 큰 호수가 풍상 쪽에 있는 지역은 강설량과 적설량이 많다(호소 효과설). 최다 강수월이 겨울인 경우 적설량이 매우 많아 세계적인 폭설 지역인 경우가 많다(삿포로시, 아카유온천, 아키타현 세이센시 각관정 등).[22]
3. 1. 한국의 분포
대한민국에서는 함경북도, 함경남도 북부, 평안북도 일부, 강원도 북부 산간 지역 등 북부 지방과 태백산맥, 소백산맥의 고지대에서 주로 냉대 습윤 기후가 나타난다.[22]4. 기후 특징
습윤 대륙성 기후는 뚜렷한 사계절과 큰 기온 연교차를 보인다. 강수량은 일 년 내내 비교적 고르게 분포하지만, 일부 지역에서는 겨울철 강수량이 줄어들어 가뭄이 발생하기도 한다.[5][9] 눈은 이 기후를 가진 모든 지역에서 내리며, 겨울에는 비보다 흔하다. 여름철 강수량은 주로 뇌우를 동반하며,[5] 북아메리카와 아시아에서는 열대성 저기압의 영향을 받기도 한다. 습도는 높지만, 이 기후는 반건조 또는 건조로 분류되지 않는다.
냉대 습윤 기후는 북반구 북위 40도 이북의 대부분에 분포한다. 동유럽-서시베리아 및 중앙 시베리아, 북아메리카 대륙, 사할린, 홋카이도, 혼슈 동부에 분포하며, 지구상에서 가장 넓게 분포하는 기후대이다.
기온의 연교차가 크며 여름에는 평균 기온이 10도를 넘지만 겨울에는 -3℃ 이하로 내려가 눈이 쌓인다. 연중 평균적인 강수량을 보이며, 고위도 저압대의 영향으로 겨울에는 적설량이 많다. 특히 홋카이도의 일본해 쪽이나 북아메리카의 오대호 주변 등은 강설량과 적설량이 매우 많다(호소 효과설).
북부 지역은 포드졸 토양으로 농업에 부적합하며 타이가(아한대림)가 나타난다. 여름 기온이 높은 남부에서는 농업이 가능하며, 봄밀, 감자, 호밀 등을 재배한다. 시베리아 남서부에는 비옥한 흑토대가 있어 세계적인 봄밀 재배지이다. 겨울철 강수량이 많은 지역은 삿포로시, 아키타현 등과 같이 세계적인 폭설 지역이다. 남부 지역은 여름이 온난하고 식생 기간이 길며, 특히 그레이트플레인스 주변이나 캐나다와 미국 국경 지역은 더운 날이 많다.
겨울은 길고 혹독하며 강설량이 많은 대륙성 기후이다. 강수량은 많지 않지만 연중 고르게 분포한다. 홋카이도의 일본해 연안이나 오대호 주변처럼 호소 효과 눈(lake-effect snow)의 영향을 받는 지역은 겨울철 강설량이 많다.
5. 식생 및 토양
정의에 따르면, 숲은 이 기후에서 번성한다. 이 기후대의 생물군계에는 온대 삼림, 온대 초원, 온대 활엽수림 또는 상록수림,[8] 침엽수림, 그리고 침엽수 습지가 포함된다.[10] 더 습한 지역에서는 단풍나무, 가문비나무, 소나무, 전나무, 그리고 참나무를 찾아볼 수 있다. 가을 단풍은 활엽수림의 가을에 두드러진다.[5]
남부에는 갈색숲토양이 분포하며 침엽수와 활엽수의 혼효림이, 산성 토양인 포드졸로 덮인 북부에는 타이가(전나무, 잎갈나무, 분비나무 등의 침엽수림)가 펼쳐져 있다.
6. 농업
여름에 비교적 고온이 되는 남부에서는 봄 밀이 재배되고 있다. 그 외에 감자, 순무, 호밀, 메밀 등도 재배된다. 홋카이도에서는 벼농사도 이루어진다.[1] 농작물 재배에 적합하지 않은 척박한 땅이나 월평균 기온이 10℃ 이상인 달이 3개월 이하(Dfc, Dfd)인 북부 지역 등에서는 낙농업이나 방목이 이루어진다.[1] 지역에 따라서는 서늘한 기후에 강한 감자, 순무, 호밀, 메밀 등이 재배되는 곳도 있다.[1] 대소비지에 가까운 지역에서는 낙농업이, 그렇지 않은 지역에서는 방목이 이루어진다.[1]
7. 주요 도시
삿포로시(일본)
토론토(캐나다)
시카고(미국)[38][39]
디트로이트(미국)
보스턴(미국)
엘리스타(러시아)
볼고그라드(러시아)
오비히로시(帯広市|오비히로 시일본어)(일본)
아사히카와시(旭川市|아사히카와 시일본어)(일본)
오타루시(小樽市|오타루 시일본어)(일본)
가루이자와정(軽井沢町|가루이자와 정일본어)(일본)
모스크바(Москва|모스크바ru)(러시아)[38][39]
상트페테르부르크(Санкт-Петербург|상트페테르부르크ru)(러시아)
노보시비르스크(Новосибирск|노보시비르스크ru)(러시아)
옴스크(Омск|옴스크ru)(러시아)
크라스노야르스크(Красноярск|크라스노야르스크ru)(러시아)
키이우(Київ|키이우uk)(우크라이나)
민스크(Мінск|민스크be)(벨라루스)
헬싱키(Helsinki|헬싱키fi)(핀란드)
오슬로(Oslo|오슬로no)(노르웨이)[38]
위니페그(캐나다)[38][39]
에드먼턴(캐나다)
몬트리올(캐나다)
릴레함메르(노르웨이)
앵커리지(미국)
페어뱅크스(미국)
페트로파블롭스크캄차츠키(Петропавловск-Камчатский|페트로파블롭스크캄차츠키ru)(러시아)
마가단(Магадан|마가단ru)(러시아)
야쿠츠크(Якутск|야쿠츠크ru)(러시아)[38]
우다치니(Удачный|우다치니ru)(러시아)
오이먀콘(Оймякон|오이먀콘ru)(러시아)
8. 기후 변화와 모델링
기후변화를 예측하는 모델들은 예상되는 변화를 설명하는 대안적인 방법으로 기후대의 형태로 결과를 재구성한다. 기후대는 상대적으로 생태계가 균질한 한 지역의 식생에 의해 지배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1]
참조
[1]
논문
Climate classification revisited: from Köppen to Trewartha
https://www.int-res.[...]
2014-02-04
[2]
논문
World Map of the Köppen-Geiger climate classification updated
https://nbn-resolvin[...]
2006
[3]
서적
Cultivated Plants, Primarily As Food Sources -- Vol II -- Fruit in Northern Latitudes
http://www.eolss.net[...]
Encyclopedia of Life Support Systems
2015-02-23
[4]
웹사이트
Halifax, Nova Scotia Temperature Averages
http://www.weatherba[...]
Weatherbase
2015-02-07
[5]
서적
Meteorology Today
https://books.google[...]
Cengage Learning
2015
[6]
서적
Meteorology: Understanding the Atmosphere
https://books.google[...]
Cengage Learning
2006
[7]
논문
Updated world map of the Köppen−Geiger climate classification
http://www.hydrol-ea[...]
2007
[8]
서적
Environmental Hydrology, Second Edition
https://books.google[...]
CRC Press
2003
[9]
서적
Monitoring and Predicting Agricultural Drought : A Global Study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05
[10]
서적
Prehistoric Europe
https://books.google[...]
Left Coast Press
2009
[11]
서적
Ecological Climatology: Concepts and Application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8
[12]
서적
Exploring Europe, Grades 5 - 8
https://books.google[...]
Carson-Dellosa Publishing
2012
[13]
웹사이트
Station: Chicago Midway AP 3SW, IL
https://www.ncei.noa[...]
National Climatic Data Center
2021-05-14
[14]
웹사이트
中国地面国际交换站气候标准值月值数据集(1971-2000年)
https://web.archive.[...]
Chin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10-05-04
[15]
웹사이트
Погода и Климат – Климат Ростова-на-Дону
http://www.pogodaikl[...]
Weather and Climate (Погода и климат)
2021-11-08
[16]
웹사이트
Resmi İstatistikler: İllerimize Ait Mevism Normalleri (1991–2020)
https://www.mgm.gov.[...]
Turkish State Meteorological Service
2021-05-02
[17]
웹사이트
気象庁 / 平年値(年・月ごとの値)
https://www.data.jma[...]
Japan Meteorological Agency
2021-05-19
[18]
웹사이트
観測史上1~10位の値(年間を通じての値)
https://www.data.jma[...]
Japan Meteorological Agency
2022-03-01
[19]
논문
Range Extension of the Northern Crayfish, Orconectes Virilis (decapoda, Cambaridae), in the Western Prairie Provinces of Canada
https://www.jstor.or[...]
2011
[20]
웹사이트
Bodø - Statistics as a table - Last 13 months
https://www.yr.no/en[...]
[21]
웹사이트
Warm-summer Humid Continental Climate (Dfb)
https://skybrary.aer[...]
2023-10-19
[22]
서적
Fundamentals of World Regional Geography
https://books.google[...]
Cengage Learning
2012
[23]
서적
Köppen İklim Sınıflandırmasına göre Türkiye İklimi
https://www.mgm.gov.[...]
Meteoroloji Genel Müdürlüğü
2016
[24]
웹사이트
Japan Meteorological Agency General Information on Climate of Japan
https://www.data.jma[...]
2023-10-19
[25]
논문
A geomorphology based reconstruction of ice volume distribution at the Last Glacial Maximum across the Southern Alps of New Zealand
2019-09-01
[26]
논문
Changes in Köppen-Geiger climate types under a future climate for Australia: hydrological implications
https://www.hydrol-e[...]
Copernicus GmbH
2012-09-18
[27]
웹사이트
Updated Köppen-Geiger climate map of the world
https://people.eng.u[...]
2019-03-06
[28]
웹사이트
Halifax Stanfield INT'L A, Nova Scotia
http://climate.weath[...]
Environment Canada
2014-05-08
[29]
웹사이트
Weather and Climate- The Climate of Minsk
http://www.pogodaikl[...]
Weather and Climate (Погода и климат)
2021-11-08
[30]
웹사이트
Pogoda.ru.net
http://www.pogodaikl[...]
2021-11-08
[31]
웹사이트
NOAA Online Weather Data
https://www.weather.[...]
National Weather Service
2022-09-04
[32]
웹사이트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Climate Normals for 1991-2020 – Jermuk
https://www.nodc.noa[...]
NCEI
2024-03-06
[33]
웹사이트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Climate Normals for 1981-2010:Jermuk-37883
https://www.ncei.noa[...]
NCEI
2024-03-06
[34]
간행물
山岳気候表:昭和14−23年(気象庁観測技術資料、第9号)
気象庁
1958
[35]
논문
北海道、大雪山白雲小屋における1990~1993年の気温観測資料
https://hdl.handle.n[...]
北海道大学低温科学研究所
1995
[36]
PDF
高層気象観測の発展と現状についてのコメントに対する回答
https://www.metsoc.j[...]
[37]
PDF
11-11-17 立山、内蔵助山荘での長期気温観測データ
http://www.tatecal.o[...]
立山カルデラ研究紀要台11号
[38]
서적
新詳高等地図
帝国書院
[39]
서적
詳解現代地図
二宮書店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