놀이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놀이터는 19세기 독일에서 학교와 연계된 놀이 공간으로 시작되어, 아이들에게 공정한 놀이 정신과 예절을 가르치는 목적으로 활용되었다. 이후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어 어린이들의 신체적, 사회적 발달을 돕는 중요한 공간으로 자리 잡았다. 놀이터는 시소, 미끄럼틀, 그네 등 다양한 놀이 기구를 갖추고 있으며, 통합 놀이터, 자연 놀이터 등 특수한 목적을 가진 형태로도 발전하고 있다. 놀이터는 아이들의 안전을 위해 정기적인 점검과 보수가 이루어지며, 안전 규정을 준수하여 설계되고 있다. 그러나 놀이터 내에서 안전사고, 위생 문제, 범죄 등의 사회적 문제도 발생하고 있으며, 현대 사회에서는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놀이터 - 모험 놀이터
모험 놀이터는 아이들이 자유롭게 놀이를 통해 상상력을 키울 수 있도록 폐자재 등을 활용하여 조성된 공간이며, 덴마크에서 시작되어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었다. - 야외 활동 - 나무 타기
나무 타기는 생존 기술에서 시작하여 스포츠, 직업, 예술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로프 기술 등의 전문적인 기술과 안전 장비가 필요하지만 낙상 위험이 높아 안전 수칙 준수가 중요한 활동이다. - 야외 활동 - 볼더링
볼더링은 맨손과 암벽화만을 사용하여 낮은 높이의 암벽을 오르는 스포츠이며, 19세기 후반 훈련 형태로 시작되어 20세기 초 프랑스에서 발전했고, V 스케일 등의 등급으로 난이도를 평가하며, 클라이밍 슈즈와 크래시 패드 등의 장비를 사용한다. - 놀이 - 팔씨름
팔씨름은 두 사람이 팔을 굽혀 손을 잡고 상대방의 손을 테이블에 닿게 하여 승패를 가리는 스포츠로, 에도 시대 일본에서 시작되어 미국에서 전문 스포츠로 발전했으며, 국제팔씨름연맹, 세계팔씨름연맹 등의 단체가 존재하고, 다양한 기술과 전략, 규칙이 적용된다. - 놀이 - 인형
인형은 고대부터 다양한 재료로 제작되어 종교 의식, 놀이, 예술 작품 등 다방면으로 사용되며 사회문화적 의미를 지닌다.
놀이터 | |
---|---|
개요 | |
유형 | 공공 장소, 놀이 공간 |
목적 | 어린이의 놀이 및 사회성 발달 지원 |
주요 시설 | 미끄럼틀 그네 시소 정글짐 모래밭 조합 놀이대 흔들 놀이 회전 놀이 물놀이 시설 (여름철) |
안전 기준 | 안전 점검 및 관리 필요, 바닥재의 안전성 중요 |
역사 및 문화 | |
기원 | 어린이의 놀이 욕구 충족을 위한 공간 조성 |
사회적 역할 | 어린이의 신체 발달, 사회성 함양, 창의력 증진에 기여 |
디자인 변화 | 안전성, 창의성, 접근성을 고려한 다양한 디자인 도입 |
위치 및 환경 | |
설치 장소 | 공원, 주거 단지, 학교, 쇼핑몰 등 다양한 장소 |
환경 조성 | 녹지 공간 확보, 휴식 공간 제공, 안전 시설 설치 |
고려 사항 | 접근성, 안전, 유지 관리, 주변 환경과의 조화 |
이용 및 관리 | |
이용 대상 | 어린이 (주로 만 12세 이하) |
이용 시간 | 공공 놀이터는 보통 개방 시간 존재, 일부 놀이터는 24시간 개방 |
관리 주체 | 지방 자치 단체, 공원 관리 사무소, 아파트 관리 사무소 등 |
유지 보수 | 정기적인 안전 점검, 시설 보수, 청결 유지 |
안전 | |
안전 수칙 | 보호자 동반 안전 장비 착용 시설 이용 시 주의 사항 준수 위험 행동 금지 |
안전 점검 | 정기적인 시설 점검, 안전 검사 실시 |
사고 예방 | 안전 교육 실시, 위험 요소 제거, 안전 관리 강화 |
기타 | |
관련 법규 | 어린이 놀이 시설 안전 관리법 |
관련 단체 | 한국생활안전연합, 어린이 안전 재단 등 |
참고 자료 | 어린이 놀이 시설 안전 가이드라인, 놀이터 디자인 관련 서적 |
2. 역사
놀이터의 개념은 19세기 독일에서 프리드리히 프뢰벨과 같은 발달 심리학자들의 제안에 따라 학교와 연계된 놀이 공간으로 시작되었다.[44] 이는 아이들에게 공정한 놀이 정신과 좋은 예절을 심어주기 위한 목적이었다. 최초의 공공 놀이터는 1859년 잉글랜드 맨체스터의 공원에 개장되었다.[45] 이후 조직화된 놀이 공간은 전 세계 여러 나라에 확산되었다.
19세기 후반, 대도시 공공 정원 협회(1882)는 런던에서 어린이 놀이터를 적극적으로 옹호했다. 미국 최초의 놀이터 중 하나는 1887년 샌프란시스코의 골든 게이트 공원에 건설되었다.[10]
20세기에는 자동차 사용이 증가하면서 아이들의 놀이 공간이 분리되는 경향이 나타났다. 전국 고속도로 보호 협회 등은 자동차 사고 사망자 수를 강조하며 놀이터 건설을 촉구했다.[15][16] 허버트 스펜서와 존 듀이 등의 교육 이론은 놀이터가 교육적 가치를 지니며, 수업 집중력 향상, 신체 건강 증진, 무단 결석 감소에 기여한다는 주장을 통해 놀이터 개혁 운동에 영감을 주었다.[18]
1906년 미국 놀이터 협회가 설립되었고, 루터 굴릭이 회장을 맡았다.[19] 이는 이후 전국 레크리에이션 협회, 전국 레크리에이션 및 공원 협회로 발전했다.[20] 시어도어 루스벨트 대통령은 1907년 모든 어린이에게 놀이터를 제공해야 한다고 강조했다.[21]
2. 1. 한국의 놀이터
민속놀이의 경우는 따로 공간이 정해지지 않았으며, 보통 마당이나 마을 공터에서 놀이가 벌어졌다. 산이나 논밭, 개울을 비롯하여 마을 전체가 놀이터의 역할을 하였다.대한민국에서는 주택건설기준 등에 관한 규정을 통하여 50세대 이상의 아파트 건설 시 정해진 기준에 따라 어린이놀이터를 마련하도록 되어 있다. 학교 운동장 또한 놀이 공간으로서 활용된다. 영리적인 목적이나 고객의 편의를 위한 공공기관에 의해 조성된 놀이터도 운영되고 있다.
놀이터는 다음과 같은 유형이 있다.
- 공공 시설로, 초등학교 등에서 흔히 볼 수 있으며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
- 맥도날드, 이케아와 같이 사업체와 연결되어 고객만 이용할 수 있다.
- 디스커버리 존과 같이 입장료를 받는 상업적 사업체.
- 어린이 박물관이나 과학관과 같은 교육 엔터테인먼트를 위한 비영리 단체로, 일부는 입장료를 받고 일부는 무료이다.
2. 2. 일본의 놀이터
일본에서는 지방자치단체가 설치한 공원((街区公園))이 있으며, 백화점과 슈퍼마켓 내부에 점포가 관리하는 옥내형 놀이터가 갖추어져 있는 경우도 있어, 보호자의 휴식 장소로도 이용된다. 그 외에 신사와 마을 부지에도 놀이기구를 설치, 지역 유지와 지역 단체의 관계자들이 관리하는 곳도 있다. 또한 기업이 제공하여 유료로 운영되는 육상 시설이나 테마파크형, 임의의 자선단체와 시민단체가 관리·운영하는 것도 있어서, 어린이들의 건전한 발달을 통하여 사회의 건전성 향상에 대한 효과를 기대하기도 한다.[11]한편, 사고가 보고된 유동원목(遊動円木)이라는 일부 놀이기구가 위험성을 이유로 배제된 경우가 있어, 설치된 놀이기구의 양식에는 일정한 시대에 의한 추이가 존재한다. 사고가 발생하여 개량된 놀이기구도 많다.[11]
2. 3. 소비에트 연방의 놀이터
소비에트 연방의 놀이터는 도시 문화를 구성하는 중요한 요소였다. 1970년대와 1980년대에는 소비에트 연방의 거의 모든 공원에 놀이터가 있었다. 놀이기구는 전국적으로 통일되어 있었는데, 대부분 금속 막대로 구성되었고 나무 부분은 비교적 적었으며, 국영 공장에서 제조되었다. 가장 흔한 구조물로는 회전목마, 시소, 구름사다리 등이 있었다.구소련이 붕괴한 이후 1990년대에는 많은 놀이터의 기구들이 도난당했으며, 새로 만들어진 놀이터는 상대적으로 적었다. 하지만 여전히 많은 수의 소비에트 연방 시절 놀이터가 남아 있으며, 상태도 양호하다.[1]

3. 놀이터의 디자인과 구성 요소
어린이 놀이터에는 시소, 철봉, 미끄럼틀, 모래밭, 그네, 정글짐 등의 놀이 기구가 갖추어져 있다. 분수나 인공적인 개울이 있는 물놀이장도 있다.[1][2][3] 최근에는 어드벤처적이고 모험적 요소를 포함하며, 많은 아이들이 동시에 놀 수 있는 종합적인 대형 놀이기구가 늘어나는 경향이 있다.
놀이터 디자인은 의도된 목적과 대상에 따라 달라진다. 어린 아이들을 위해 별도의 놀이 공간이 제공되기도 한다.
놀이터는 다음과 같은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유형 | 설명 |
---|---|
공공 시설 | 초등학교 등에서 흔히 볼 수 있으며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 |
상업 시설 | 맥도날드, 이케아와 같이 사업체와 연결되어 고객만 이용할 수 있거나, 디스커버리 존과 같이 입장료를 받는 곳이다. |
교육 엔터테인먼트 시설 | 어린이 박물관이나 과학관과 같은 비영리 단체로, 일부는 입장료를 받고 일부는 무료이다. |
특정 목적을 가진 놀이터도 있다.
- 교통 공원: 어린이들에게 안전하게 길을 건너는 방법을 가르친다.
- 어드벤처 놀이터: 불이나 수공구와 같은 잠재적으로 위험한 물체를 포함하기도 하며, 열린 놀이를 장려한다.
- 장애물 코스 또는 로프 코스: 참가자들이 미리 정해진 도전적인 신체적 과제를 완수하는 데 집중하도록 설계되었다.
- 트램펄린 파크: 트램펄린을 제공한다.
- 모험 놀이터나 플레이 파크: 아이들의 창의적인 놀이 방식을 장려한다. 도쿄도 세타가야구의 하네기 플레이 파크 등이 그 예시이다.
- 수족관 (담수어만, 인근 하천의 물고기만 등)이나 동물 체험 코너 (염소, 토끼 등)와 결합된 놀이터도 있다.
- 인공적으로 만든 작은 개울에 자연 동식물을 배치하는 곳: 비오톱과 같이 "자연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 그 안에서 놀이"라는 교육적인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4. 놀이터의 효과
놀이터는 어린이의 신체 발달, 사회성 함양, 창의력 증진, 정서 발달, 인지 능력 향상 등 다방면에 걸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1][2][3] 특히, 놀이터에서의 자유롭고 즉흥적인 놀이는 자율성, 문제 해결 능력, 협동심 등을 길러주어 어린이에게 가장 유익하다.
전문가들은 놀이터에서 기르는 사회적 기술이 평생 동안 이어지는 경우가 많다고 말한다. 놀이터는 가정 밖에서 어린이에게 가장 중요한 환경 중 하나이며, 건강한 발달에 필수적이다.
놀이터는 신체 활동을 촉진하여 어린이 비만 예방, 건강 증진, 스트레스 해소에도 기여한다. 미국 수석 의료 책임자 보고서(Department of Health, 2004)에 따르면, 어린이의 신체 활동은 질병 위험 요인 개선, 체중 증가 방지, 최대 골밀도 달성 및 정신적 웰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운동 프로그램은 어린이와 청소년의 자존감에 단기적인 이점을 줄 수 있다는 연구 결과도 있지만,[23]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놀이터는 어린이가 신체적 기술을 숙달하고, 다른 어린이 및 성인과 함께 놀고 소통하며 협력하는 등의 기술을 향상시킴으로써 개인적 발달을 얻을 수 있는 이상적인 기회를 제공한다.
thumb]]
많은 어린이에게 놀이터에서 자유 시간이나 쉬는 시간을 보내는 것은 하루 중 가장 좋아하는 시간이다. 이는 학습 압력으로부터의 해방으로 작용하며, 놀이터에서의 시간이 자신만의 시간이라는 것을 알게 한다.
4. 1. 통합 놀이터
통합 놀이터는 장애 유무와 관계없이 모든 어린이가 함께 이용할 수 있도록 설계된 놀이터이다. 이러한 놀이터는 다음 세 가지 주요 요소를 고려하여 설계된다.- 신체적 접근성: 휠체어 사용자도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경사로와 고무 길 등을 설치한다.
- 연령 및 발달 적합성: 다양한 연령과 발달 수준의 어린이가 모두 즐길 수 있는 놀이 시설을 제공한다.
- 감각 자극 활동: 자폐 스펙트럼(자폐증)을 가진 어린이를 포함한 모든 어린이의 감각 발달을 돕는 시설을 설치한다.[41]
이러한 요소들을 통해 통합 놀이터는 장애 아동과 비장애 아동 모두에게 즐겁고 유익한 놀이 공간을 제공한다.
4. 2. 자연 놀이터
자연 놀이터는 어린이들이 자연과 교감하며 놀 수 있도록 만들어진 특별한 공간이다. 일반 놀이터와 달리, 플라스틱이나 금속 대신 자연 재료와 지형을 활용하여 조성된다.자연 놀이터에는 다음과 같은 요소들이 포함된다.[22]
요소 | 설명 |
---|---|
흙 모양 (조각) | 흙을 쌓아 언덕이나 굴곡을 만들어 아이들이 뛰어놀 수 있는 공간 |
환경 예술 | 자연물을 이용한 예술 작품 (예: 나뭇가지로 만든 조형물) |
토종 식물 | 해당 지역에서 자라는 나무, 관목, 풀, 꽃, 이끼 등을 심어 자연스러운 환경 조성 |
구조물 | 바위나 돌을 쌓아 만든 구조물 |
흙과 모래 | 흙과 모래를 이용한 놀이 공간 |
자연 울타리 | 돌, 버드나무, 나무 등을 이용한 자연스러운 경계 |
질감 있는 길 | 다양한 재료를 사용하여 만든 길 (예: 나무 조각, 자갈 등) |
물 | 자연적인 물과 관련된 지형 (예: 작은 개울, 연못) |
이러한 요소들은 아이들이 자연스럽게 주변 환경과 상호작용하며, 자연의 아름다움과 복잡성을 배울 수 있도록 돕는다. 예를 들어, 흙 언덕을 오르내리며 신체 활동을 하고, 나뭇잎이나 돌멩이를 관찰하며 자연에 대한 호기심을 키울 수 있다.
5. 놀이터 안전
놀이터 시설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유아나 어린이가 안심하고 놀 수 있어야 한다는 점이다. 어린이는 넘어지는 일이 잦으므로, 뾰족한 돌이나 유리 파편은 정기적으로 청소하여 제거해야 한다. 파손되었거나 부식으로 약해진 놀이기구는 정기 검사와 보수를 통해 안전을 확보해야 한다. 방치된 빈 깡통, 빈 병, 연결부가 느슨해진 놀이기구는 어린이에게 위험할 수 있다.
놀이터의 모래밭은 애완동물이나 야생동물의 배설물로 인한 위생 문제로 제거되기도 한다. 하지만 이는 모래 놀이를 좋아하는 유아나 어린이를 실망시키고, 미끄럼틀의 완충재를 없애는 결과를 초래하기도 한다.
유럽이나 미국에서는 유괴 등의 범죄를 우려하여 놀이터를 유료 시설로 운영하고 직원이 상주하며 외부인 출입을 금지하기도 한다. 공공 놀이터에서는 보호자가 함께 있어야 하며, 어린이가 혼자 놀고 있으면 아동학대로 신고될 수 있다. 일본에서도 1990년 도쿄·사이타마 연속 유괴 살인 사건 이후 놀이터에서 유괴 사건이 발생하면서, 아파트나 슈퍼마켓 내 놀이 시설에 경비원을 배치하거나 감시 카메라를 설치하는 경우가 늘었다. 출입이 자유로운 시설에서는 보호자가 함께 있는 것이 당연하게 여겨진다.
한국에서도 놀이터 안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놀이기구의 안전 점검 및 관리가 강화되고 있다. 일부 몰지각한 이용자가 쓰레기를 방치하거나 놀이기구를 고의로 파손하는 경우가 있어, 이로 인해 어린이가 다치는 사고가 발생하기도 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자원봉사자나 전문 인력이 놀이기구를 안전하게 유지하고, 불심자를 감시하는 경우도 있다.
5. 1. 안전사고 예방
놀이터에서의 안전은 일반적으로 부상 예방을 의미한다. 위험 회피와 놀이터를 설계하는 어른들의 소송에 대한 두려움은 비용이나 사용자의 발달적 이점보다 부상 예방을 우선시한다.[26] 아이들이 점차적으로 위험 평가 기술을 개발하는 것이 중요하며, 완벽하게 안전한 환경은 이를 허용하지 않는다.놀이터 사고의 대부분은 놀이 기구에서 떨어져 발생하므로, 부상 예방 노력은 주로 아이가 떨어질 가능성을 줄이고, 아이가 떨어졌을 경우 심각한 부상을 입을 가능성을 줄이는 데 집중된다. 이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 기구의 최대 낙하 높이를 줄인다. 주로 아이가 올라가거나 들어갈 수 있는 모든 것의 전체 높이를 줄여서 낙하 높이를 줄인다.
- 울타리를 사용하고, 오르기를 자제시키며, 위쪽 표면을 오르거나 앉기에 불편하게 만들어 기구에서 떨어질 가능성을 줄인다.
- 놀이 기구 아래와 주변에 더 유연한 표면을 설치하여, 아이가 떨어졌을 때 뼈가 부러질 가능성을 줄인다.
이러한 전략이 부상 예방에 얼마나 효과적인지는 전문가들 사이에서 논쟁의 대상이 된다. 놀이터가 푹신한 재료로 만들어지면, 아이들이 종종 더 많은 위험을 감수하기 때문이다.[39][40]
때로는 학교나 규제 기관 사이에서 놀이터의 안전에 대한 논쟁이 벌어진다. 적어도 지난 20년 동안 놀이터에서 발견되는 장비의 종류가 바뀌었고,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더 안전한 장비로 바뀌는 경우가 많았다. 예를 들어, 오래된 정글 짐은 완전히 강철 막대로 구성될 수 있지만, 새로운 정글 짐은 최소한의 강철 프레임워크를 가지고 있으며 아이들이 기어 올라갈 수 있는 나일론 로프 웹을 제공하는 경향이 있다. 아이들이 떨어질 수 있는 장비가 있는 놀이터는 충격을 완화하기 위해 바닥에 고무 칩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27]
놀이터는 또한 다른 연령 그룹에 따라 다르게 만들어진다. 학교는 종종 나이가 많은 학생들을 위한 더 높고 진보된 놀이터와 어린 아이들을 위한 낙상 위험이 적은 더 낮은 놀이터를 가지고 있다.
안전 논의에는 일반적으로 놀이터가 너무 지루해서 운동을 하지 않는 나이가 많은 아이들과 같은 부상 예방의 의도하지 않은 결과에 대한 평가는 포함되지 않는다.[39]
안전 노력은 때때로 사람들이 놀이터 장비를 사용하는 방식을 통해 역설적으로 부상의 가능성과 심각성을 증가시킨다. 예를 들어, 나이가 많은 아이들은 "안전하지만" 지루한 놀이 구조물의 바깥쪽에 기어 올라가는 것을 선택할 수 있으며, 설계자가 의도한 방식으로 사용하는 대신이다. 마찬가지로, 일부 부상에 민감한 부모는 어린 아이들이 놀이터 미끄럼틀을 혼자 타도록 허용하는 대신, 아이를 어른의 무릎에 앉혀 함께 미끄럼틀을 탄다.[28] 이것은 언뜻 보기에 더 안전해 보이지만, 아이의 신발이 미끄럼틀 가장자리에 걸리면 이 배열은 종종 아이의 다리가 부러지는 결과를 초래한다.[28] 아이가 미끄럼틀을 독립적으로 사용하도록 허용되었다면, 신발이 걸렸을 때 아이가 어른의 무게에 의해 미끄럼틀 아래로 밀려 내려가는 대신 미끄럼틀 타기를 멈추었을 것이기 때문에 이러한 부상은 발생하지 않았을 것이다.[28]
또한 놀이터의 안전과 관련된 것은 놀이터를 만드는 재료이다. 나무 놀이터는 아이들이 놀기에 더 자연스러운 환경으로 작용하지만, 가시등과 같은 더 작은 부상을 유발할 수 있다. 젖은 날씨 또한 나무 구조물에서 노는 아이들에게 위협이 된다. 대부분의 나무는 방부 처리되어 그리 빨리 닳지 않지만, 비가 많이 오면 나무 놀이터는 미끄러워지고 아이들이 놀기에 위험해질 수 있다.
5. 2. 안전 규정
미국에서는 소비자 제품 안전 위원회(CPSC)와 미국 국립 표준 협회(ANSI)가 놀이터 안전 검사관 인증을 위한 표준 문서 및 교육 시스템을 개발했다.[29] 이러한 규정은 전국적으로 적용되며 안전한 놀이터 설치 및 유지 관리 관행의 기초를 제공한다. ASTM F1487-07은 놀이터 배치, 사용 구역, 놀이터 안전성 결정에 대한 다양한 테스트 기준과 같은 특정 요구 사항을 다룬다. ASTM F2373은 생후 6~24개월 유아용 공공 놀이 기구를 다룬다.오스트레일리아에서는 표준 오스트레일리아(Standards Australia)가 놀이터 안전 표준 AS/NS4422, AS/NZS4486.1 및 AS4685 파트 1~6을 발행한다.[30] 시드니 공과대학교(University of Technology Sydney)는 놀이터 검사관의 교육 및 인증을 담당한다.[30] 오스트레일리아 놀이터 검사관 등록소(Register of Playground Inspectors Australia)는 오스트레일리아 내에서 놀이터 검사 인증을 받은 모든 개인을 등재한다.[31]
유럽 표준화 위원회(CEN) EN 1177은 놀이터에서 사용되는 표면에 대한 요구 사항을 명시한다.[32] 각 재료 유형 및 장비 높이에 대해 필요한 재료의 최소 깊이를 지정한다.[32] EN 1176은 놀이터 장비 표준을 다룬다.[33][34] 영국에서는 놀이터 검사관이 국제 놀이 검사관 등록소(Register of Play Inspectors International)의 시험을 세 가지 필수 수준(일상, 운영, 연간)으로 응시할 수 있다. 연간 검사관은 EN 1176에서 권장하는 설치 후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6. 관련 사건 및 사회적 문제
도쿄·사이타마 연속 여아 유괴 살인 사건이 발생한 1990년대 이후, 놀이터에서 놀고 있는 아이가 유괴되거나 묻지마 범죄에 휘말리는 사건이 종종 발생하였다.[1][2][3] 이전까지 일본에서는 아이들이 놀이터에서 노는 동안 보호자가 용무를 보는 경우가 많았으나, 이러한 사건들은 사회적으로 큰 충격을 주었다.
놀이터와 관련된 주요 사건 및 사회적 문제는 다음과 같다:
- 놀이기구 안전 문제: 파손되거나 부식된 놀이기구는 어린이에게 큰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 정기적인 검사와 보수가 필요하며, 방치된 쓰레기(빈 깡통, 빈 병 등)나 날카로운 물건(돌, 유리 조각)도 어린이 안전을 위협한다.[4]
- 위생 문제: 일부 놀이터에서는 모래밭이 애완동물이나 야생동물의 배설물로 인해 위생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
- 유괴 및 범죄: 유럽이나 미국에서는 유괴 등의 범죄 우려로 인해 놀이터가 유료 시설로 운영되거나 직원이 상주하는 경우가 많다. 공공 놀이터에서는 보호자 동반이 필수적이며, 어린이가 혼자 놀 경우 아동 학대로 간주되어 신고되기도 한다.
- 놀이기구 파손: 일부 몰지각한 이용자들이 놀이기구를 고의로 파손하는 경우도 있어, 이로 인해 어린이가 다치는 사고가 발생하기도 한다.[5]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대책들이 시행되고 있다:
- 안전 관리 강화: 놀이기구 정기 점검 및 보수, 위험 요소 제거를 위한 청소 등이 이루어진다.
- 시설 개선: 백화점이나 슈퍼마켓 등에서는 경비원 배치, 감시 카메라 설치, 출입 확인이 가능한 플레이룸 설치 등을 통해 안전을 강화하고 있다.
- 보호자 동반 강조: 특히 출입이 자유로운 놀이터에서는 보호자가 반드시 함께 있도록 권고하고 있다.
7. 현대 사회와 놀이터
현대 사회에서 놀이터는 단순한 놀이 공간을 넘어, 아이들의 교육, 사회 통합, 건강 증진, 그리고 지역 사회 활성화에 기여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20세기 초, 자동차의 증가와 함께 아이들의 안전 문제가 대두되면서, 아이들을 위한 격리된 놀이 공간의 필요성이 커졌다. 여러 단체들은 놀이터 건설을 촉구하며 아이들의 놀이보다는 차량을 위해 거리를 확보하려 했다.[15][16] 1906년에는 미국 놀이터 협회가 설립되었고, 이후 전국 레크리에이션 협회, 그리고 전국 레크리에이션 및 공원 협회로 발전했다.[20]
전문가들은 놀이터에서 아이들이 기르는 사회적 기술이 평생 동안 이어지는 중요한 기술이 된다고 말한다. 놀이터는 아이들이 가정 밖에서 가장 많은 시간을 보내는 환경 중 하나이며, 특히 자유롭고 즉흥적인 놀이는 아이들의 건강한 발달에 필수적이다.
놀이터는 아이들의 신체적, 정신적 건강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신체 활동은 어린이의 심리적 문제 위험을 줄이고 자존감을 높이는 데 기여하며,[23] 계획된 행동 이론에 따르면, 놀이터는 신체적 숙달과 자기 개발을 장려하여 아이들의 자존감을 향상시킨다.
최근에는 아이들의 창의적인 놀이 방식을 장려하기 위해 모험 놀이터나 플레이 파크와 같은 시설도 늘어나고 있다. 도쿄도 세타가야구의 하네기 플레이 파크가 그 예시이다. 또한, 어린이의 나라처럼 작은 수족관이나 동물 체험 코너와 결합된 놀이터도 등장하여, 아이들에게 자연에 대한 관심과 교육적인 효과를 제공하고 있다.
일본에서는 1980년대부터 게이트볼장과 놀이터를 병설하는 사례가 늘고 있는데, 이는 고령자와 어린이의 교류를 증진하고, 고령자가 어린이의 안전에 기여하는 효과를 기대하기 때문이다. 1993년에는 '어린이 공원'이라는 명칭이 '지구 공원'으로 바뀌면서, 어린이뿐만 아니라 다양한 연령층이 이용하는 공원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박물관에서도 체험형 전시물을 적극적으로 도입하여 플레이랜드화되는 추세이다. 국립과학박물관의 "탐험 광장"은 놀이를 통해 현상에 대한 흥미를 유발하는 대표적인 사례이다.
미래 세대에게 지속 가능한 발전과 사회적 책임을 가르치는 공간으로 놀이터의 중요성은 더욱 커질 것이다.
참조
[1]
웹사이트
Victorian Britain: Children at play
http://www.bbc.co.uk[...]
BBC
2016-11-24
[2]
웹사이트
Evolution of American Playgrounds
http://www.scholarpe[...]
Joe Frost (2012), Scholarpedia, 7(12):30423
2016-11-24
[3]
웹사이트
How We Came to Play: The History of Playgrounds
https://savingplaces[...]
by Kaitlin O’Shea, National Trust for Historic Preservation
2017-03-22
[4]
웹사이트
The History of Playgrounds
http://www.espplay.c[...]
2012-10-10
[5]
웹사이트
Playground of the Home and Colonial Infant School Society, London. Wood engraving, c. 1840.
https://wellcomecoll[...]
2024-12-05
[6]
학위논문
The medievalism of Carlyle
https://iro.uiowa.ed[...]
University of Iowa
1914
[7]
웹사이트
The Project Gutenberg eBook of Collected Works, Volume XIII. Past and Present, by Thomas Carlyle.
https://www.gutenber[...]
2022-08-10
[8]
서적
Designed for Play: Children’s Playgrounds and the Politics of Urban Space, 1840–2010
University of London Press
[9]
학술지
Revisiting the playground: Charles Wicksteed, play equipment and public spaces for children in early twentieth-century Britain
https://www.cambridg[...]
2023
[10]
웹사이트
The Politics of Playgrounds, a History - Arts & Lifestyle
http://www.theatlant[...]
The Atlantic Cities
2011-10-20
[11]
웹사이트
The History of Fields in Trust
https://storymaps.ar[...]
2024-12-05
[12]
서적
Playgrounds: The Experimental Years
Reaktion Books
2024
[13]
웹사이트
Lady Allen of Hurtwood archive
http://www.ncb.org.u[...]
National Children's Bureau
[14]
학술지
Children's playgrounds: ‘inadequacies and mediocrities inherited from the past’?
https://www.tandfonl[...]
2024-01-02
[15]
웹사이트
Central Park: One Hundred Years of Playgrounds
https://www.nycgovpa[...]
New York City Department of Parks & Recreation
2017-03-22
[16]
웹사이트
Scope of Project Formulated by Highway Protective Society
https://www.newspape[...]
The McCook Tribune, June 9, 1910, Nebraska, page 3
2017-03-22
[17]
웹사이트
Outdoor Recreation League: Evolution of American playgrounds
https://streetswitho[...]
Streets without Cars
2017-03-22
[18]
간행물
“The Playground Movement in America and its Relation to Public Education.”
https://archive.org/[...]
Educational Pamphlets, No. 27. London: England, 1913. p.6
[19]
서적
The Playground
https://archive.org/[...]
Executive Committee of the Playground Association of America
[20]
웹사이트
The Story of the Joseph Lee memorial Library and Archives
http://www.nrpa.org/[...]
National Recreation and Park Association
2009-04-10
[21]
문서
To Cuno H. Rudolph, Washington Playground Association, February 16, 1907. Presidential Addresses and State Papers VI, 1163.
[22]
뉴스
How to Design a City for Women
http://www.theatlant[...]
The Atlantic Cities.
2013-09-16
[23]
학술지
Can exercise improve self esteem in children and young people? A systematic review of randomised controlled trials * Commentary
2005-11-01
[24]
문서
Childhood's Domain: Play and Place
1986
[25]
웹사이트
Funding Advice
http://www.fenlandle[...]
Fenland Leisure
[26]
서적
No fear: Growing up in a Risk Averse society
http://www.gulbenkia[...]
Calouste Gulbenkian Foundation
[27]
웹사이트
EPA Playground Surfaces
http://www.epa.gov/w[...]
Epa.gov
2006-06-28
[28]
웹사이트
Well: At Playground, Child Plus Lap Can Equal Danger - NYTimes.com
http://well.blogs.ny[...]
2012-04-23
[29]
웹사이트
Playground Inspection USA :: Parts Gallery
http://www.playgroun[...]
2009-02-11
[30]
웹사이트
UTS: Engineering - Playground safety training
http://www.eng.uts.e[...]
Eng.uts.edu.au
2012-10-23
[31]
웹사이트
UTS: Register of Playground Inspectors Australia - engineering and information technology at UTS
http://www.feit.uts.[...]
Feit.uts.edu.au
2012-11-21
[32]
웹사이트
Impact Absorbing Playground Surfacing
http://www.en1177.co[...]
EN 1177
[33]
웹사이트
MotionMagix™: Interactive Playground Equipment - Interactive Floor & Wall For Kids Play Areas, Schools, Indoor Play Centers -
http://www.motionmag[...]
2018-05-08
[34]
웹사이트
SMP Specifiers Guide to EN 1176 parts 1 To 7 Playground Equipment (A light-hearted guide)
http://www.smp.co.uk[...]
Smp.co.uk
[35]
웹사이트
U.S. Consumer Product Safety Commission, Tips for Public Playground Safety, Publication #324
http://www.cpsc.gov/[...]
[36]
간행물
Special Study: Injuries and Deaths Associated with Children’s Playground Equipment
U.S. Consumer Product Safety Commission
2001
[37]
간행물
Risks to Students in School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1995
[38]
논문
A Comparison of New York City Playground Hazards in High- and Low–Income Areas
1999
[39]
뉴스
Can a Playground Be Too Safe?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11-07-18
[40]
서적
No fear: Growing up in a Risk Averse Society
http://www.gulbenkia[...]
Calouste Gulbenkian Foundation
[41]
웹사이트
Play! A Portal to New Worlds
http://www.playlsi.c[...]
PhD, Inclusive Play Advisory Board
2009
[42]
뉴스
New York Introduces Its First Adult Playground
https://www.nytimes.[...]
2012-07-02
[43]
웹사이트
The cities designing playgrounds for the elderly
https://www.bbc.com/[...]
2019-11-26
[44]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www.espplay.c[...]
2016-11-04
[45]
웹인용
The ‘Generationless’ Playground: Fun and Fitness for All
http://www.blooloop.[...]
2012-12-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