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니잠 알물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니잠 알물크는 11세기 이란 출신의 재상으로, 가즈나 왕조에서 공직 생활을 시작하여 셀주크 제국에서 알프 아르슬란과 말리크 샤 1세를 보좌하며 제국의 전성기를 이끌었다. 그는 셀주크 제국의 행정 체계를 정비하고 중앙 집권화, 투르크 유목민 정착, 페르시아 관료제 확립, 수니파와 시아파 중재, 아바스 칼리프와의 관계 개선 등 다양한 정책을 추진했다. 또한, 바그다드에 니자미야 학원을 설립하는 등 교육 발전에 기여했으며, 정치 사상을 담은 저서 《시야사트나마》를 저술했다. 1092년 이스파한에서 암살단파의 단검에 찔려 암살당했으며, 그의 죽음은 셀주크 제국의 쇠퇴에 영향을 미쳤다.

2. 생애

이란 투스에서 태어난 니잠 알물크는 처음에는 가즈나 왕조를 섬겼으나, 1040년 단다나칸 전투 이후 셀주크 제국을 섬기게 되었다. 1063년부터 알프 아르슬란과 말리크 샤 1세의 재상으로서 "국가의 질서"라는 칭호를 받으며 셀주크 제국의 행정 체계에 큰 영향을 끼쳤다.

니잠 알물크의 암살 그림, 라시드 알딘 하마다니의 ''자미 알타와리크''에서 발췌


니잠 알물크는 압바스 왕조와 셀주크 가문 사이의 정치적 가교 역할을 했으며, 바그다드의 니자미야를 비롯한 많은 공립 학교를 세워 교육 발전에 기여했다. 이 학교들은 유럽 대학들의 전신이자 모형이 되었다. 비잔틴 아르메니아 정복, 조지아 복속 등 알프 아르슬란의 군사 원정에도 동행했다.

1072년 알프 아르슬란 사후, 말리크 샤 1세를 보좌하며 제국 중앙 집권, 투르크인 정착, 페르시아 관료제 확립, 수니파시아파 중재, 아바스 칼리프와의 관계 개선 등 여러 정책을 펼쳐 셀주크 제국의 전성기를 이끌었다. 그는 정치 사상에 관한 논문인 시야사트나마를 저술하기도 했다.

1092년 이스파한에서 바그다드로 가는 도중 하산 사바가 보낸 암살단 단원의 칼에 찔려 암살당했다.[14][15] 암살자는 데르비시로 위장하여 접근했다고 전해진다.[14][15]

2. 1. 초기 생애

아부 알리 하산은 1018년 4월 10일, 이란 투스 근처의 작은 마을 라드칸에서 데흐칸 가문에서 태어났다.[7][8][9] 그는 성장하면서 샤피 학파의 피크(fiqh)와 아샤리 신학을 공부했다.[4] 그의 아버지 알리 이븐 이샤크는 가즈나 왕조의 재무관으로 일했다. 1040년 단다나칸 전투에서 셀주크 투르크가 가즈나 왕조를 물리치고 대호라산을 정복했을 때, 아부 알리 하산의 아버지는 가즈니로 도망쳤다. 하산은 아버지를 따라 가즈니로 갔고, 그곳에서 처음으로 정부 관직을 맡았다. 그는 3~4년 동안 가즈나 왕조 궁정에 머물다가 셀주크 왕조에 들어가 그들을 섬겼다.

2. 2. 셀주크 제국에서의 활약

1043년경, 아부 알리 하산(니잠 알물크)은 가즈나 왕조를 섬기는 것을 그만두고 셀주크 왕조의 신하가 되었다.[21] 그는 1059년에 호라산 지방 전체의 최고 행정관이 되었다.[21]

투그릴이 후사 없이 레이에서 사망하자, 그의 조카 술레이만이 뒤를 이었지만, 투그릴의 형제 차그리의 아들 알프 아르슬란이 이에 반기를 들었다. 알프 아르슬란은 아부 알리 하산의 도움을 받아 1064년 4월 27일에 술탄으로 즉위하였다. 알프 아르슬란은 즉위 후 아부 알리 하산을 재상으로 임명했고, 아부 알리 하산은 알프 아르슬란(1063–1072)과 말리크 샤 1세(1072–1092)의 통치 기간 동안 재상직을 유지했다. 아부 알리 하산에게는 "니잠 알물크"(국가의 질서)라는 칭호가 주어졌다.

알프 아르슬란의 강점은 군사 분야에 있었고, 국내 문제는 니잠 알물크가 처리했다. 니잠 알물크는 알프 아르슬란과 그의 아들 말리크 샤 1세의 통치 기간 동안 술탄국을 강화한 행정 조직을 설립했다. 셀주크 왕자들이 통치하는 군사 이끄타(봉토)는 병사들을 지원하고 유목민 투르크인들을 정착된 아나톨리아 농업 환경에 적응시키기 위해 설립되었다.

니잠 알물크는 알프 아르슬란의 군사 원정에 동행하여 비잔틴 아르메니아 정복, 조지아 복속 등에 기여했다. 1064년 2/3월, 알프 아르슬란은 그의 아들 말리크 샤 1세와 니잠 알물크와 함께 비잔틴 아르메니아에서 원정을 벌여 아니를 점령했다. 조지아의 통치자 바그라트 4세는 그의 조카를 알프 아르슬란에게 시집보내 평화를 맺었다. 1071년 만지케르트 전투에는 직접 참전하지 않았지만, 물자 수송을 담당했다.

1072년 알프 아르슬란의 사후 3대 술탄인 말리크 샤가 즉위하자 삼촌인 카부르트가 반란을 일으켰는데, 말리크 샤는 카부르트의 군대를 격파한 후에 그를 살려주려고 했으나 니잠 알물크가 후환을 남기면 안 된다고 반대하여 카부르트와 그의 아들들은 전부 사형당했다.

2. 3. 셀주크 제국의 전성기를 이끌다

알프 아르슬란과 말리크 샤 1세를 보좌하면서 셀주크 제국의 중앙 집권과 투르크인들의 정착, 투르크 지도자들의 권력 억제, 페르시아 관료제의 확립, 수니파시아파의 중재, 아바스 칼리프와의 관계 개선 등의 정책을 펼치며 셀주크 제국의 전성기를 이끌었다.[22]

니잠 알물크는 행정 조직과 군대, 이크타 제를 정비했다.[23] 1067년에는 그의 이름을 따서 바그다드에 니자미야 학원을 설립했다.[23] 1074년에는 이스파한천문대를 건설했으며, 오마르 하이얌에게 명하여 잘랄리력을 만들게 했다. 1086년부터 1087년에 걸쳐 금요 모스크의 남쪽을 건설했는데, 이는 높이 20m, 지름 10m로, 당시 이슬람 세계 최대 규모였다.

이러한 노력으로 셀주크 제국은 유목 국가에서 정비된 제국으로 발전했으며, 니잠 알물크와 말리크 샤 1세가 사망하는 1092년 경에는 최대 판도를 실현했다.

2. 4. 암살

1092년 이스파한에서 바그다드로 가는 도중 라마단 10일(10월 14일)에 암살당했다.[14][15]

주류 문헌에 따르면, 그는 가마를 타고 이동하던 중 페르시아 나하반드 근처에서 하산 사바가 보낸 암살단 단원의 칼에 찔려 사망했다. 암살자는 데르비시로 위장하여 접근했다.[14][15]

호르헤 루이스 보르헤스는 이에 대한 흥미로운 설명을 했는데, 출처는 불분명하다. 이 이야기에 따르면, 니잠 알물크(당시 압둘 카셈)는 젊었을 때 친구 오마르 하이얌, 하산 사바와 약속을 했다. 그들 중 한 명이 유명해지면, 다른 두 사람을 돕기로 한 것이다. 니잠 알물크는 알프 아르슬란 술탄의 재상이 되면서 가장 먼저 유명해졌다. 약속에 따라 그는 두 친구에게 궁정 내 지위를 제안했다. 오마르는 제안을 거절하고 연구 지원을 부탁했고, 니잠 알물크는 이를 수락했다. 하산은 제의를 받아들였으나, 재상을 몰아내려는 음모를 꾸미다 발각되어 굴욕을 당하고 이스파한을 떠났다. 그는 알라무트 성채를 점령하고 암살단을 창립했다. 버나드 루이스에 따르면, 하산 사바는 1124년, 오마르 하이얌은 늦어도 1123년에 죽었으므로 이 이야기는 사실일 가능성이 낮다. 니잠 알물크는 늦어도 1020년에 태어났으므로, 셋은 비슷한 나이가 아니었고 함께 학생 생활을 했을 가능성도 낮다.[16]

암살 배후에 대한 다른 견해는, 당시 재상과 대립하던 말리크샤 1세가 비밀리에 죽였다는 것이다. 이후 술탄이 재상이 설립한 니자미야에서 암살당한 것은 이에 대한 보복이라는 것이다.[27] 하지만 이 가설은 말리크샤 1세와 니잠 알물크의 오랜 협력 때문에 많은 반박을 받았다.

니잠 알물크의 사위 무카틸 빈 아티야는 재상이 암살당한 해에 수니파와 시아파 학자들 사이에 토론이 있었는데, 이때 중재에 실패했기 때문에 말리크 샤와 니잠 알물크가 같은 해에 암살당했다는 설을 제기했다. 무카틸은 이 논쟁에 참여했다고 한다.

3. 정치 사상

니잠 알물크는 시야사트나마(Siyasatnama)라는 책을 통해 자신의 정치 사상을 밝혔다.[12] 이 책에서 그는 역사적 사례를 들어 정의, 효과적인 통치, 이슬람 사회에서 정부의 역할 등을 논했으며, 마키아벨리의 ''군주론''과 비교되기도 한다.[6] 또한 국가 감시와 첩보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통치자에게 광범위한 첩보망 구축을 권고했다.[13] 니잠 알물크는 아들 아불-파트 파크르 알-말리크를 위해 ''다스투르 알-우자라''(Dastur al-Wuzarā)라는 책도 썼는데, 이는 카부스나메(Qabus nama)와는 다른 책이다.

4. 니자미야 학원과 수니파 부흥 정책

니잠 알물크가 각지에 창설한 니자미야 학원(마드라사)은 "마드라사"라는 학문 시설을 이슬람 사회에 정착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원래 "마드라사"는 호라산 지방에서 10세기경에 생겨난 매우 지역적인 학습 시설이었지만, 니자미야 학원을 통해 셀주크 왕조 이후 이슬람 세계 전체로 보급되었다. 니잠 알물크가 창건할 당시에는 시아파 부와이흐 왕조에서 수니파를 옹호하는 셀주크 왕조로 교체된 지 얼마 되지 않아, 이라크 지방과 이란 고원에서는 파티마 왕조 칼리프를 받드는 이스마일파 선교사(다이)들의 활동이 활발했다. 니자미야 학원에서는 당초 법학으로는 샤피 학파, 신학에서는 아샤리 학파가 강의되었다. 이스마일파 다이들의 교설에 대항하여 수니파 신앙 부흥을 꾀했지만, 특히 샤피 학파가 강의된 배경에는 중앙아시아나 셀주크 왕가, 튀르크계 군인·귀족층이 주로 믿었던 하나피 학파와의 균형 정책 등이 고려되었다. 니잠 알물크의 비호 아래, 샤피 학파와 아샤리 학파 옹호자로서 니자미야 학원에서 교편을 잡았던 대표적인 인물이 아부 하미드 가잘리이다. 마드라사 건설은 아바스 왕조나 셀주크 왕조에게 수니파 정권 부흥을 위한 큰 사업 중 하나였지만, 한편으로는 왕조 지배층이 울라마층이나 지역 명망가층을 보호·통제하는 수단으로도 활용되었으며, 이후 이슬람 정권에서 각 법학파 보호 정책의 하나로 마드라사 건설이 장려되는 시초가 되었다.

5. 유산

니잠 알물크는 숙련되고 유능한 재상으로 평가받으며, 바르마키드 가문의 위엄, 화려함, 환대를 대변했다.[17] 역사가와 시인들은 그를 훌륭한 조직가이자 이상적인 군인이자 학자로 묘사한다.[17] 그의 재능 덕분에 셀주크 투르크는 새로운 고향에서 강력한 제국을 건설할 수 있었다.[18]

니잠 알물크는 페르시아인이 주도하는 관료 기구(''디반'')의 수장이었을 뿐만 아니라 왕실 궁정(''다드가르'')에서 봉사한 ''아타베그''였으며, 정치적, 문화적으로 이란인과 투르크인 사이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그는 또한 수 세기 동안 지속될 뚜렷한 페르시아 형태의 정부와 행정을 수립하는 데 책임이 있었다.[19] 그는 말리크샤 1세와 훌륭한 지도력과 친밀한 우정을 나누었기 때문에 말리크샤로부터 종종 "아버지"라고 불렸다. 그는 심지어 그의 ''굴람''들에게도 존경을 받았다.

그의 사후에도 그의 가족은 셀주크 제국에서 중요한 역할을 계속했다. 그는 이전에 알프 아르슬란과 결혼하거나 약혼했던 조지아의 바그라트 4세의 조카나 딸과 결혼했다.[20] 그의 열두 아들 모두가 셀주크 제국에서 중요한 직책을 맡았으며, 그중 두드러진 인물은 다음과 같다.

이름직책
아흐마드 이븐 니잠 알물크셀주크 술탄 무함마드 1세 타파르와 아바스 왕조 칼리프 알-무스타르시드의 재상
샴스 알물크 우스만메르브의 총독이자 셀주크 군대의 수장
파크르 알물크바르키야루크와 무함마드 1세 타파르의 재상
자말 알물크 (니잠보다 먼저 사망)발흐의 총독
이즈 알물크와 무아이야드 알물크바르키야루크의 재상
이마드 알물크 아불 카심발흐의 셀주크 총독의 재상



또한, 니잠 알물크는 그의 정치 사상에 관해 기술한 시야사트나마라는 방대한 양의 논문으로도 유명하다. 이 이외에 다스투르 알우자라(Dastur al-Wuzarā)라는 책을 자신의 아들인 아볼파뜨 파크르-올-말렉을 위해서 썼다.

참조

[1] 서적 Iran in World History (New Oxford World History) Oxford University Press
[2] 서적 Classical Islam: A History, 600 A.D. to 1258 A.D. Aldine Transaction
[3]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Islam Volume 1 Cambridge University Press
[4] 간행물 Islamic and Western political thought: does History have any Lessons? http://dx.doi.org/10[...] 2011-11-14
[5] 서적 The Book of Government or Rules for Kings https://books.google[...] Persian Heritage Foundation
[6] 서적 Medieval Islamic Civilization: An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5-10-31
[7] 웹사이트 NIẒĀM AL-MULK http://m.eb.com/redi[...]
[8] 문서 The Turks and Islam to the Thirteenth Century.
[9] 문서 The Cambridge illustrated history of the Middle Ag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0] 문서 Kawurd
[11] 문서
[12] 웹사이트 Economic Thought of Nizam Al-Mulik Al-Tusi http://www.islamic-w[...] 2013-09-13
[13] 서적 Fearless: A Fascinating Story of Secret Medieval Spies Kindle Publishing
[14] 문서 The Ismaili Assassins. A history of medieval murder
[15] 서적 Secret Practices of the Sufi Freemasons: The Islamic Teachings at the Heart of Alchemy https://books.google[...] Simon and Schuster 2013-01-17
[16] 서적 The Assassins https://books.google[...] Basic Books 2008-08-05
[17] 문서 The Ghaznavid and Seljuk Turks: Poetry as a Source for Iranian History. Routledge
[18] 문서 Turkestan down to the Mongol Invasion. Luzac & Co.
[19] 문서 Medieval Persia 1040-1797
[20] 웹사이트 AḤMAD B. NEẒĀM-AL-MOLK http://www.iranicaon[...]
[21] 문서 トゥース出身の、アリーの息子ハサン
[22] 문서 アタベク(アター・ベク)
[23] 문서 ニザーミーヤ学院
[24] 문서 統治の書
[25] 서적 Classical Islam: A History, 600 A.D. to 1258 A.D. Aldine Transaction
[26]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Islam Volume 1 Cambridge University Press
[27]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