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라스 윌라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달라스 윌라드는 20세기 후반과 21세기 초 기독교 영성 분야에 큰 영향을 미친 미국의 철학자이자 신학자였다. 그는 위스콘신 대학교에서 철학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서던캘리포니아 대학교(USC) 철학과 교수로 48년간 재직했다. 남침례교 목사이기도 했던 윌라드는 기독교 신앙과 철학적 사유를 통합하여 '영성 훈련'의 중요성을 강조했으며, 저서 《하나님의 음모》, 《마음의 개조》 등을 통해 수동적인 신앙과 '값싼 은혜'를 비판하고 그리스도의 형상으로 변화되는 영적 성장을 추구하는 제자도를 강조했다. 그는 또한 후설의 저작을 번역하고, C.S. 루이스 재단, 바이올라 대학교 이사, 템플턴 재단 이사 등으로 활동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베일러 대학교 동문 - 랜드 폴
랜드 폴은 켄터키주를 대표하는 공화당 소속 상원의원으로, 안과 의사 출신이며 아버지 론 폴의 영향을 받아 보수 및 자유지상주의적 정책을 추구하고 작은 정부, 감세, 개인의 자유를 중시하는 정치 활동을 펼치고 있다. - 베일러 대학교 동문 - 윌리 넬슨
윌리 넬슨은 1933년 텍사스에서 태어난 미국의 가수, 작곡가, 배우, 작가, 활동가로, 다양한 장르를 융합한 독특한 음악 스타일로 컨트리 음악의 전설적인 인물이 되었으며, 아웃로 컨트리 운동을 이끌고 사회 운동에도 적극 참여했다. - 미국의 논리학자 - 에밀 포스트
에밀 포스트는 폴란드 태생 미국 수학자이자 논리학자로, 계산 이론과 재귀 이론에 기여했으며, 포스트-튜링 기계 개발, 포스트 대응 문제, 다항 연산 그룹 이론 연구 등을 수행했다. - 미국의 논리학자 - 리처드 제프리
리처드 제프리는 베이즈주의적 접근 방식을 발전시킨 미국의 철학자이며, 급진적 확률주의를 옹호하고 제프리 조건화를 제안했으며, MIT, 스탠퍼드 대학교 등에서 교직을 맡았다. - 영성 - 명상
명상은 다양한 문화와 종교에서 수행되는 심신 수련 방법으로, 정신을 집중하고 내면을 성찰하며, 스트레스 감소, 불안 완화, 집중력 향상 등의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영성 - 인내
인내는 심리학, 인지 신경과학, 종교, 철학에서 중요한 개념으로, 과학적으로는 보상 선택의 의사결정 과정이며 종교적으로는 다양한 미덕으로, 철학적으로는 기다림의 어려움으로 다뤄지며 고통을 참는 것을 넘어 긍정적 수용, 공감, 자기 수양과 영적 성장 과정으로 이해된다.
달라스 윌라드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댈러스 앨버트 윌러드 |
원어 이름 | Dallas Willard |
출생과 사망 | |
출생일 | 1935년 9월 4일 |
출생지 | 미주리주 버펄로 |
사망일 | 2013년 5월 8일 |
사망지 | 캘리포니아주 패서디나 |
사망 원인 | (정보 없음) |
학문적 배경 | |
관심 분야 | 현상학, 에드문트 후설 |
소속 기관 | 윌리엄 주얼 칼리지 테네시 템플 칼리지 베일러 대학교 위스콘신 대학교 매디슨 |
영향을 준 인물 | (정보 없음) |
영향을 받은 인물 | (정보 없음) |
기타 정보 | |
직업 | 철학자, 남가주 대학교 교수 |
종교 | 개신교 |
배우자 | Jane Willard |
자녀 | 1남 1녀 |
웹사이트 | www.dwillard.org |
2. 생애
달라스 윌라드는 1935년 9월 4일 미국 미주리주 버팔로에서 태어났다.[3] 그는 테네시 템플 칼리지와 베일러 대학교에서 학사 학위를 받았고,[3][21] 1964년 위스콘신 대학교-매디슨에서 철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3][21]
이후 서던캘리포니아 대학교(USC)에서 1965년부터 2013년까지 48년간 철학 교수로 재직하며[3] 에드문트 후설의 현상학 연구에 기여한 철학자로 알려져 있다. 동시에 그는 기독교 영성 분야에서도 활발히 활동하며 《하나님의 음모》, 《마음의 개조》 등 다수의 저서를 통해 영성 훈련의 중요성을 강조했다.[5][6][7][10][11]
1955년 제인 레이크스와 결혼하여 두 자녀를 두었다.[16] 윌라드는 암 투병 끝에 2013년 5월 8일 사망했다.[17]
2. 1. 초기 생애와 교육
연도 | 학교 | 학위 | 비고 |
---|---|---|---|
재학 | 윌리엄 주얼 칼리지 | ||
1956년 | 테네시 템플 칼리지 | 심리학 학사 | |
1957년 | 베일러 대학교 | 철학 및 종교 학사 | |
대학원 | 베일러 대학교 | 대학원 과정 이수 | |
1964년 | 위스콘신 대학교-매디슨 | 철학 박사 | 과학사 부전공[3][21] |
2. 2. 학문적 경력
윌라드는 위스콘신 대학교-매디슨에서 5년 동안 가르쳤다. 처음에는 연구 및 조교(1960~1963년)로 시작하여, 이후 고급 Knapp 펠로우(1963~1964년)를 거쳐 철학 강사(1964~1965년)를 역임했다. 그 후 로스앤젤레스에 있는 서던캘리포니아 대학교(USC)로 옮겨 1965년부터 2013년까지 총 48년간 재직했다. USC에서는 조교수(1965~1969년), 부교수(1969~1984년), 정교수(1984~2013년)로 활동했다.그는 1982년부터 1985년까지 USC 철학대학원 원장을 맡았으며, UCLA(1969년)와 콜로라도 대학교(1984년)에서 방문 교수로 활동하기도 했다.[3]
윌라드의 주요 철학 연구 분야는 인식론, 마음의 철학, 논리학, 그리고 현상학의 창시자인 에드문트 후설의 철학이다. 그는 후설의 초기 저작 다수를 독일어에서 영어로 번역했으며, 의도성, 시간 의식, 데카르트주의 사상의 직관 등 다양한 주제에 걸친 후설 철학 연구의 국제적인 권위자로 널리 인정받고 있다.
2. 3. 목회 활동 및 영성 사역
윌라드는 철학 분야 외에도 기독교 신앙과 삶에 대한 강연과 저술 활동을 활발히 했다. 그의 저서 《하나님의 음모》는 1999년 크리스채너티 투데이에서 '올해의 책'으로 선정되었으며,[5] 《마음의 개조》는 2003년 크리스채너티 투데이 '영성 부문 도서상'과 로고스 서점 협회 '기독교 생활 부문 도서상'을 수상했다.[6]윌라드는 현대 교회의 문제점으로 성도들의 소극적인 신앙 태도를 지적했다. 그는 "은혜는 노력(행동)에 반대하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 자격이 있다고 여기는) 획득하려는 태도에 반대한다"는 말로 이를 설명하며,[7][8] 예수 그리스도의 제자가 되기로 의식적으로 결단하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했다.[7][8][9] 그에게 있어 예수의 제자가 된다는 것은 단순히 신분을 확인하는 것을 넘어, 그리스도를 닮아가기 위한 영적 변화를 추구하고 이를 위한 활동들을 배우려는 열망을 갖는 것을 의미했다.[10]
이러한 영적 성장을 위해 윌라드는 성령의 열매(사랑, 기쁨, 평화, 인내, 친절, 선함, 신실함, 온유함, 절제 - 갈라디아서 5:22-23)를 맺도록 돕는 활동, 즉 영성 훈련의 필요성을 역설했다.[7][10][11] 그는 기도, 교제, 봉사, 학문, 단순한 삶, 정결, 고독, 금식 등 오랫동안 이어져 온 영적 훈련들을 구체적인 방법으로 제시했으며,[10][12] 저서 《규율의 영: 하나님이 어떻게 삶을 변화시키시는지 이해하기》에서 이러한 훈련의 중요성을 자세히 설명했다. 이 책은 《지침을 찾아서: 하나님과의 대화 관계 형성》 이후에 출간되었다.
윌라드는 자신의 웹사이트를 통해 토마스 아 켐피스, 윌리엄 로, 프랭크 로바흐, 윌리엄 윌버포스, 리처드 백스터, 찰스 피니, 잔 존슨, 디트리히 본회퍼, 제러미 테일러, 리처드 포스터, E. 스탠리 존스, 윌리엄 펜, 로렌스 형제, 프란시스 드 세일즈, 제임스 길크리스트 로슨 등의 저서를 추천했다.[13]
그는 자크 마리탱, 아퀴나스, 아우구스티누스, P.T. 포사이스, 존 칼빈, 존 웨슬리, 윌리엄 로, 앤드류 머레이, 리처드 백스터, 아빌라의 테레사, 프란시스 드 세일즈, 로렌스 형제의 규칙, 그리고 성 베네딕트의 규칙 등 다양한 인물과 사상으로부터 영향을 받았다.
또한 윌라드는 C.S. 루이스 재단과 바이올라 대학교 이사로 활동했으며,[14] 템플턴 재단 이사 및 서부 학교 및 대학 협회의 평가 위원으로도 참여했다.[15]
2. 4. 개인적인 삶
윌라드는 1935년 9월 4일 미주리주 버팔로에서 앨버트 윌라드와 메이미 린데스미스의 아들로 태어났다. 그의 어머니는 그가 두 살 때 세상을 떠났다. 그는 1955년 조지아주 메이컨 출신의 제인 레이크스와 결혼하여 두 자녀 존과 레베카, 그리고 손녀 라리사를 두었다. 그의 형제인 L. 듀안 윌라드 역시 오랫동안 네브래스카 대학교 오마하 철학과 교수로 재직했다.윌라드는 학업과 가정 생활의 균형을 맞추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고 스스로 인정했다. 그는 "나는 현명한 남편이나 아버지가 아니었고, 이로 인해 우리는 큰 대가를 치렀다"라고 언급했다.[16]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의 딸은 그가 "무조건적인 부성애의 훌륭한 본보기"였다고 평가했다. 결혼 및 가족 치료사인 그의 아내 제인은 "적어도 이 시점에서는 사랑받지 못한다고 전혀 생각하지 않습니다. ... 항상 내 깊은 곳에는 '나는 그의 길을 막을 수 없다'라는 이 생각으로 굳건했습니다."라고 말했다.[16]
윌라드는 암과의 짧은 투병 끝에 2013년 5월 8일에 사망했다.[17]
3. 철학 사상
윌라드의 철학 저술은 주로 인식론, 마음의 철학과 논리철학, 그리고 현상학의 창시자인 에드문트 후설의 철학에 관한 것이다.[3] 그는 후설의 초기 저작 중 다수를 독일어에서 영어로 번역했으며, 시간 의식에서 의도성, 그리고 데카르트주의 사상의 직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주제를 다룬 후설 연구의 국제적인 권위자로 널리 인정받고 있다.[3]
4. 기독교 사상 및 영성
달라스 윌라드는 남가주대학(USC) 철학과 교수이자 남침례회 소속 목회자로서 활동하며 기독교 신앙과 철학적 사유의 통합을 추구했다. 그의 대표 저서인 《잊혀진 제자도》와 《하나님의 모략》은 '21세기 고전'으로 평가받으며 깊은 영향을 미쳤다. 그는 철학 공부를 통해 예수의 가르침과 철학자들이 던지는 질문이 본질적으로 같다는 점을 발견했으며, 이러한 철학적 사고를 바탕으로 기독교 변증학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는 평가를 받는다.[22] 특히 그는 단순한 '크리스천'과 진정한 '제자'의 정체성을 엄격히 구분하며, 제자도가 결여된 현대 교회의 현실을 날카롭게 지적했다.[22] 이를 통해 이름뿐인 신앙을 넘어서고자 한 창의적인 기독교 사상가로 평가받는다.[23]
윌라드는 철학 강의와 저술 외에도 기독교 신앙과 삶에 대한 강연과 저술 활동에 힘썼다. 그의 저서 《하나님의 모략》은 1999년 크리스채너티 투데이 '올해의 책'으로 선정되었고,[5] 《마음의 개조》는 2003년 크리스채너티 투데이 영성 부문 도서상과 로고스 서점 협회 기독교 생활 부문 도서상을 수상했다.[6]
윌라드는 현대 교회의 문제점으로 신앙의 수동성을 지적했다. 그는 "은혜는 노력(행동)에 반대하는 것이 아니라, 획득(태도)에 반대한다"는 말로 이를 요약하며, 값싼 은혜에 안주하는 태도를 비판했다.[7][8] 대신 그는 예수 그리스도를 따르고 닮아가는 제자가 되기로 의도적으로 선택하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했다.[7][8][9] 이러한 선택은 자연스럽게 그리스도의 형상을 닮아가기 위한 영적 변화의 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려는 열망으로 이어진다고 보았다.[10]
그는 예수의 제자가 되는 과정에서 갈라디아서 5장 22-23절에 언급된 성령의 열매(사랑, 기쁨, 평화, 인내, 친절, 선함, 신실함, 온유함, 절제)를 맺는 삶을 강조했다.[7][10][11] 이를 위해 그는 기도, 교제, 봉사, 학문, 단순함, 정결, 고독, 금식과 같이 기독교 역사 속에서 오랫동안 실천되어 온 영적 훈련의 중요성을 역설했다.[10][12] 그의 저서 《규율의 영: 하나님이 어떻게 삶을 변화시키시는지 이해하기》는 이러한 영적 훈련의 역할과 의미를 자세히 설명한다.
윌라드는 토마스 아 켐피스, 윌리엄 로, 프랭크 로바흐, 윌리엄 윌버포스, 리처드 백스터, 찰스 피니, 잔 존슨, 디트리히 본회퍼, 제러미 테일러, 리처드 포스터, E. 스탠리 존스, 윌리엄 펜, 로렌스 형제, 프란시스 드 세일즈, 제임스 길크리스트 로슨 등 다양한 기독교 사상가들의 저서를 추천하며 폭넓은 신학적 스펙트럼을 보여주었다.[13] 또한 자크 마리탱, 아퀴나스, 아우구스티누스, P.T. 포사이스, 존 칼빈, 존 웨슬리, 윌리엄 로, 앤드류 머레이, 리처드 백스터, 아빌라의 테레사, 프란시스 드 세일즈, 로렌스 형제, 그리고 성 베네딕트의 규칙을 포함한 많은 사람들에게 영향을 받았다.
그는 C.S. 루이스 재단과 바이올라 대학교의 이사로 활동했으며,[14] 그는 템플턴 재단의 이사로, 그리고 서부 학교 및 대학 협회의 여러 평가 위원회에서도 활동했다.[15]
5. 저서
달라스 윌라드는 기독교 영성, 제자도, 하나님과의 관계 등 신앙의 핵심 주제를 다루는 여러 권의 책을 저술했다. 그의 대표적인 저서들은 현대 기독교 사상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자세한 내용은 아래 '주요 저서'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윌라드는 현상학의 창시자인 에드문트 후설의 초기 저작들을 영어로 번역하여 학계에 소개하기도 했다. 관련 내용은 '후설 저작 번역' 섹션에 정리되어 있다.
그 외 한국어로 번역된 주요 저서들은 다음과 같다.
- 하나님의 모략, 이후 (The Divine Conspiracy Continuedeng)
- 하나님의 임재 - 지금 여기서 누리는 하나님 나라 (Living in Christ’s Presenceeng)
- 사랑 (Getting Love Righteng)
5. 1. 주요 저서
한국어 제목 | 원제 | 출판 연도 |
---|---|---|
영성 훈련 | The Spirit of the Disciplines: Understanding How God Changes Liveseng | 1988 |
하나님의 모략 | The Divine Conspiracy: Rediscovering Our Hidden Life in Godeng | 1998 |
하나님의 음성 | Hearing God: Developing a Conversational Relationship With Godeng | 1999 |
마음의 혁신 | Renovation of the Heart: Putting on the Character of Christeng | 2002 |
잊혀진 제자도 | The Great Omission: Reclaiming Jesus's Essential Teachings on Discipleshipeng | 2006 |
그리스도를 아는 지식 | Knowing Christ Today: Why We Can Trust Spiritual Knowledgeeng | 2009 |
온유한 증인 | The Allure of Gentleness: Defending the Faith in the Manner of Jesuseng | 2015 |
부족함이 없는 삶 | Life Without Lack: Living in the Fullness of Psalm 23eng | 2018 |
5. 2. 후설 저작 번역
- ''논리와 수학의 철학''(1993). 도르드레흐트/보스턴: 클루버 학술 출판사, ISBN 0-7923-2262-2
- ''산술 철학''(2003). 도르드레흐트: 클루버 학술 출판사, ISBN 1-4020-1546-1 (양장본), ISBN 1-4020-1603-4 (페이퍼백)
6. 수상 및 평가
(내용 없음)
6. 1. 수상
연도 | 내용 | 비고 |
---|---|---|
(연도 미상) | 서부 학교 및 대학 협회(Western Association of Schools and Colleges, WASC) 평가 위원회 위원 | 다수 위원회 참여 |
1967–1975 | 댄포스 준회원(Danforth Associate) | |
1976 | 블루 키 국립 명예 사교 클럽(Blue Key National Honor Fraternity) '뛰어난 교수진 상' | USC 학생 생활 기여 |
1976–1977 | USC 우수 강의 협회상(USC Associates Award for Excellence in Teaching) | |
1984 | USC 학생 평의회(USC Student Senate) 올해의 뛰어난 교수진상 | |
1990년 5월 | 파이 카파 파이(Phi Kappa Phi) 국립 명예 사교 클럽 입회 | |
1991년 5월 | 알파 람다 델타(Alpha Lambda Delta) 국립 명예 사교 클럽 입회 | |
2000년 가을 | 감마 시그마 알파(Gamma Sigma Alpha) 올해의 교수상 | [4] |
6. 2. 평가
윌라드는 남가주대학(USC) 철학과 교수이자 남침례교 소속 목회자로서 활동했다. 그의 대표 저서인 《잊혀진 제자도》와 《하나님의 모략》은 '21세기 고전'으로 불리며 기독교 영성 분야에 큰 영향을 주었다. 그는 철학적 사고를 바탕으로 기독교 변증학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는 평가를 받는다. 또한, 크리스천과 제자의 정체성을 명확히 구분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제자도가 없는 교회 현실을 날카롭게 지적한 바 있다.[22] 이러한 활동을 통해 윌라드는 이름뿐인 기독교를 변혁하기 위해 노력한 창의적인 기독교 사상가로 명성을 얻었다고 평가한다.[23] 그의 학문적 기여를 기리기 위해 2010년 웨스트몬트 대학교에는 "기독교와 문화 연구를 위한 마틴 연구소 및 영성 형성을 위한 댈러스 윌라드 센터"가 설립되어 그의 지적 유산을 계승하고 있다.[18]7. 달라스 윌라드와 관련된 책
- 달라스 윌라드- 철학자, 교사, 그리스도의 제자 (Becoming Dallas Willard: The Formation of a Philosopher, Teacher, and Christ Followereng) (개리 W. 문)
- Renovated: God, Dallas Willard, and the Church That Transformseng (짐 와일더)
- The Theology of Dallas Willard: Discovering Protoevangelical Faitheng (개리 블랙 주니어)
- A Dallas Willard Dictionary: Second Editioneng (엘레인 오루크)
참조
[1]
웹사이트
Christian philosopher Dallas Willard dies
https://wng.org/sift[...]
2023-06-28
[2]
웹사이트
Faculty & Staff > USC Dana and David Dornsife College of Letters, Arts and Sciences
http://dornsife.usc.[...]
2012-04-20
[3]
웹사이트
Faculty & Staff > USC Dana and David Dornsife College of Letters, Arts and Sciences
http://college.usc.e[...]
[4]
웹사이트
VitaePUB
https://dornsife.usc[...]
[5]
웹사이트
1999 Christianity Today Book Awards
https://www.christia[...]
1999-04-26
[6]
웹사이트
2003 Christianity Today Book Awards
https://www.christia[...]
2003-06
[7]
웹사이트
Live Life to the Full
http://www.dwillard.[...]
[8]
웹사이트
Why Bother with Discipleship?
http://www.dwillard.[...]
[9]
웹사이트
Renewing the Christian Mind
https://dwillard.org[...]
[10]
웹사이트
The Key to the Keys of the Kingdom
http://www.dwillard.[...]
[11]
문서
The Spirit of the Disciplines
[12]
웹사이트
How Does the Disciple Live?
https://dwillard.org[...]
[13]
웹사이트
Dallas Willard RESOURCES
http://www.dwillard.[...]
[14]
웹사이트
Dallas Willard Biography
http://www.dwillard.[...]
2008-02-29
[15]
웹사이트
Dallas Willard BIOGRAPHY
http://www.dwillard.[...]
2008-02-29
[16]
웹사이트
'Divine Conspirator' Dallas Willard Dies at 77
https://www.christia[...]
2013-05-08
[17]
웹사이트
Dallas Willard Divine Conspiracy Author
http://blog.christia[...]
2013-06-07
[18]
뉴스
Westmont College, “Westmont Mourns the Death of Dallas Willard”
https://www.independ[...]
Santa Barbara Independent
2013-05-08
[19]
URL
http://www.worldmag.[...]
[20]
URL
https://dornsife.usc[...]
[21]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college.usc.e[...]
2017-08-01
[22]
뉴스
'하나님의 모략' 댈러스 윌러드 별세, 향년 77세
http://www.newsnjoy.[...]
[23]
웹인용
‘하나님의 모략’의 저자 댈러스 윌러드, 사망
http://www.kctusa.co[...]
2017-08-01
[24]
URL
https://webcache.go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