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마도의 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마도의 날은 2005년 경상남도 마산시의회에서 일본 시마네현의 '다케시마의 날' 제정에 대응하여 제정된 조례이다. 이 조례는 쓰시마섬(대마도)이 한국 영토임을 대내외에 알리고 영유권을 확보하려는 목적으로, 조선 초기 이종무 장군의 대마도 정벌을 기점으로 6월 19일을 기념일로 지정했다. 마산시는 이후 창원시로 통합되었고, 조례는 창원시로 계승되어 '창원시 대마도의 날 조례'로 개정되었다. 일본 정부와 쓰시마시는 조례에 반발하며 폐지를 요구하고 있으며, 일각에서는 실효성 및 역사적 근거에 대한 논란이 제기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6월 19일 - 2017년 핀즈베리파크 테러
2017년 6월 19일 런던 핀즈베리 파크에서 극우 성향의 백인 남성 대런 오스본이 라마단 기간 중 타라위 기도를 마치고 귀가하던 무슬림들을 차량으로 공격하여 1명이 사망하고 10명이 부상당한 테러 사건이 발생했다. - 쓰시마시 (나가사키현) - 늦털매미
늦털매미는 몸에 털이 많고 늦여름부터 늦가을까지 활동하며 '씩 씩 씩' 소리를 내는 매미의 일종으로, 서식지 파괴 등으로 위협받아 위기종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 쓰시마시 (나가사키현) - 쓰시마삵
쓰시마삵은 쓰시마섬에 서식하는 멸종위기종 삵으로, 흰색 귓속 반점을 가지며 서식지 파괴 등으로 개체 수가 급감하여 IUCN 적색 목록 심각한 위기종으로 분류되고 한국에서는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 2005년 일본 - 제3차 고이즈미 내각
제3차 고이즈미 내각은 2005년 고이즈미 준이치로 총리에 의해 구성된 자민당-공명당 연립 정부 내각으로, 차기 총리 후보들을 포함한 새로운 각료들이 임명되었으며, 행정 및 의료 개혁 법안을 통과시켰으나 교육, 헌법, 형법 개혁은 이루지 못했다. - 2005년 일본 - 다케시마의 날
다케시마의 날은 일본 시마네현이 독도를 "다케시마"라 부르며 일본 영토라고 주장하기 위해 제정한 기념일로, 한국의 강력한 반발과 한일 관계 악화를 야기하고 있다.
대마도의 날 | |
---|---|
대마도의 날 | |
유형 | 기념일 |
제정 국가 | 대한민국 |
지역 | 경상남도 창원시 |
날짜 | 9월 첫째 일요일 |
제정 | 2005년 |
목적 | 대마도가 역사적으로 한국 영토임을 알리고 영유권 회복을 촉구 |
배경 | |
제정 배경 | 2005년 경상남도 마산시 (현 창원시)에서 처음 제정 대마도가 역사적으로 한국 영토임을 강조 일본의 역사 왜곡에 대한 항의 독도 문제와 연계하여 영토 주권 의식 고취 |
주요 내용 | |
주요 행사 | 기념식 학술 강연회 문화 공연 대마도 반환 촉구 캠페인 |
상징적 의미 | 대마도에 대한 한국의 역사적 권리 강조 영토 주권 수호 의지 표명 |
논란과 비판 | 일본의 반발 및 외교적 마찰 우려 국내 일각에서의 실효성 논쟁 |
같이 보기 | |
관련 항목 | 대마도 독도 영토 분쟁 국수주의 한일 관계 |
2. 제정 배경
대한민국과 일본 사이의 독도 영유권을 둘러싼 갈등은 계속되어 왔다. 대한민국은 독도에 대한 실효 지배를 강화해왔으며, 이에 일본 정부는 지속적으로 항의하며 영유권을 주장했다. 이러한 일본 측의 주장은 대한민국 내에서 강한 반발과 항의 행동을 유발하곤 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2005년 2월 22일, 독도 관할권을 주장하는 일본 시마네현이 일방적으로 '다케시마의 날' 조례를 제정하는 일이 발생했다. 이 조치는 대한민국 정부와 국민들의 큰 반발을 샀으며, 외교통상부는 즉각 이를 규탄하는 성명을 발표했다.
시마네현의 조례 제정에 대한 직접적인 대응으로, 독도 문제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지방자치단체인 경상남도 마산시[12](현 창원시) 의회는 같은 해 2005년 3월 18일 '대마도의 날' 조례를 제정하였다. 이는 일본의 독도 영유권 주장에 맞서 대마도가 역사적으로 대한민국과 깊은 관련이 있음을 강조하려는 의도에서 추진되었다.
한편, '대마도는 대한민국 영토'라는 주장은 이 조례 제정 이전부터 대한민국 사회 일각에서 제기되어 왔다.[4]
2. 1. 대한민국 사회의 대마도 영유권 주장
대한민국에서 대마도 영유권 주장은 제2차 세계 대전 직후부터 제기되었다. 초대 대통령 이승만은 임진왜란 당시 일본이 대마도를 무력으로 점령했으며, 1870년대에 불법적으로 점거했다고 주장했다. 그는 포츠담 선언에 따라 일본이 불법 점유한 영토를 반환해야 하므로 대마도를 한국에 반환해야 한다고 요구했다[5]. 이러한 주장은 1951년 미국 국무부가 발표한 러스크 서한에 의해 공식적으로 인정받지 못했다. 이후 1952년 대한민국 정부는 독도를 포함하는 이승만 라인을 선포하며 독도에 대한 실효 지배를 강화했지만, 대마도는 이 라인 밖에 위치하여 한동안 영유권 논의에서 벗어나 있었다.그러나 2000년대 들어 일부 시민사회와 정치권을 중심으로 대마도 영유권 주장이 다시 제기되기 시작했다. 2001년 5월에는 "대마도는 우리의 영토"라는 제목의 노래가 발표되었고, 2002년 8월에는 울릉군 독도박물관 정문 입구에 "대마도는 본래 우리의 영토"(対馬島本是我国之地)라는 문구가 새겨진 비석이 세워졌다. 2004년 7월 고이즈미 당시 일본 총리가 방한했을 때 열린 반일 시위에서는 주최 측이 일본 정부에 대마도 반환과 과거 침략 역사에 대한 사죄를 요구하기도 했다[4].
이러한 움직임은 독도 영유권을 둘러싼 한일 간의 갈등이 심화되면서 더욱 주목받았다. 대한민국은 독도에 경비대를 상주시키고 시설물을 건설하는 등 실효 지배를 강화해왔으며, 이에 대해 일본 정부는 지속적으로 항의하며 영유권을 주장했다. 2005년 2월 22일, 일본 시마네현이 일방적으로 「다케시마의 날」 조례를 제정하자 한국 사회의 반발은 더욱 거세졌다. 외교통상부는 이를 규탄하는 성명을 발표했고, 각계에서 항의 행동이 이어졌다. 이러한 분위기 속에서 같은 해 2005년 3월 18일, 독도 문제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지방자치단체인 경상남도 마산시(창원시의 전신) 의회는 일본의 독도 영유권 주장에 대응하고 대마도가 역사적으로 한국과 깊은 관련이 있음을 강조하기 위해 「대마도의 날」 조례를 제정했다. 이는 독도 문제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지방자치단체가 대마도 문제를 공론화한 사례로 주목받았다.
2. 2. 일본 시마네현의 '다케시마의 날' 제정
2005년 2월 22일, 독도를 행정 구역상 관할한다고 주장하는 일본 시마네현은 소위 '다케시마의 날' 조례를 제정하였다.[12] 이는 독도에 대한 일본의 영유권 주장을 강화하려는 시도로 평가되며, 대한민국 내에서 큰 반발을 불러일으켰다. 이전부터 대한민국의 독도 실효 지배 강화 조치(경비대 상주, 시설 구축, 군사 훈련 등)에 대해 일본 정부는 지속적으로 항의하며 영유권을 주장해 왔고, 이러한 주장이 나올 때마다 대한민국에서는 일본에 대한 항의 시위가 발생하곤 했다.시마네현의 조례 제정에 대해 외교통상부는 이를 비난하는 성명을 발표했으며, 국민적인 반일 감정도 고조되었다. 이러한 분위기 속에서 경상남도 마산시[12] 의회는 2005년 3월 18일, 시마네현의 조례에 대한 직접적인 대응으로 '대마도의 날' 조례를 제정하였다. 이는 당초 시마네현 조례 폐기 촉구 결의안을 논의하던 중, 보다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모아져 추진된 것이다. 마산시 의회는 임시회를 열어 해당 조례안을 긴급 상정했고, 출석 의원 29명 전원의 찬성으로 가결했다.[12]
제정된 조례는 대마도가 역사적으로 대한민국의 영토임을 명확히 하고 영유권을 확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조선 초기 이종무 장군이 대마도 정벌을 위해 마산포를 출발한 6월 19일을 '대마도의 날'로 지정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12] 그러나 외교통상부는 마산시의 조례 제정에 대해 "불필요한 논란을 유발할 가능성이 높다"며 자제를 요청하는 입장을 표명했다.[13]
한편, 대마도가 대한민국 영토라는 주장은 이 조례 제정 이전부터 존재해왔다. 2001년 5월에는 관련 노래가 발표되었고,[4] 2002년 8월에는 독도박물관 정문 입구에 "対馬島本是我国之地|쓰시마섬은 본래 우리나라 땅일본어"라는 비석이 세워졌으며,[4] 2004년 7월 고이즈미 당시 총리 방한 시 열린 반일 시위에서는 대마도 반환 요구가 나오기도 했다.[4]
2. 3. 마산시의회의 '대마도의 날' 조례 제정
일본 시마네현 의회가 다케시마의 날 조례를 제정한 것에 대응하여, 경상남도 마산시[12] 의회는 2005년 3월 18일 '대마도의 날' 조례를 제정했다. 마산시의회는 이날 열린 제109회 임시회에서 해당 조례안을 긴급 상정하여, 출석 의원 29명 전원의 찬성으로 가결했다.이 조례는 대마도가 한국 영토임을 국내외에 알리고 영유권을 확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조선 초기 이종무 장군이 대마도 정벌을 위해 마산포를 출발한 날인 6월 19일을 '대마도의 날'로 정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마산시의회는 당초 시마네현의 조례 제정에 대한 폐기 촉구 결의안을 논의했으나, 보다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하다는 의견에 따라 '대마도의 날' 조례 제정을 추진하게 되었다.
대한민국 외교통상부는 이 조례 제정에 대해 대변인 논평을 통해 "불필요한 논란을 유발할 가능성이 높다"며 자제를 요청했다.[13][6] 이는 독도 문제와 관련하여 일본 측의 영유권 주장에 맞서 한국이 실효 지배를 강화하는 조치를 취해왔던 배경 속에서 나온 반응이었다. 시마네현의 '다케시마의 날' 조례 제정(2005년 2월 22일) 역시 이러한 한일 간의 갈등 상황에서 이루어졌으며, 한국 내에서는 강한 반발과 항의 행동을 불러일으켰다. 마산시의회의 조례 제정은 이러한 맥락에서 이루어진 대응 조치였다.
'대마도는 한국 영토'라는 주장은 이 조례 제정 이전부터 존재했다. 1997년 개관한 독도박물관 정문 앞에는 2002년 8월 "대마도는 본래 우리의 영토"(対馬島本是我国之地)라는 비석이 세워졌고, 2001년 5월에는 관련 노래가 발표되기도 했다. 2004년 7월 고이즈미 당시 일본 총리가 방한했을 때 열린 반일 시위에서는 대마도 반환 요구가 나오기도 했다.[4]
2006년 10월 6일, 대마시 의회 의장이 마산시의회에 조례 폐지를 요청했으나, 마산시의회는 "대응할 가치가 없다"며 이를 거부했다.[7]
2010년 7월 1일, 마산시가 창원시, 진해시와 통합되어 새로운 창원시가 출범하면서 이 조례는 창원시에 계승되었다. 이후 2012년 12월 11일, 창원시의회는 조례 전면 개정안을 가결하여 기존 조례를 대체하는 『'''창원시 대마도의 날 조례'''』를 새로 제정했다.
창원시는 일본의 오가키시 (기후현), 히메지시 (효고현), 구레시 (히로시마현)와 자매 도시 관계를 맺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매년 6월 19일 '대마도의 날' 기념행사를 계속해서 열고 있다. 나아가 2017년 3월 30일에는 '대마도의 날' 행사에 대한 정부 차원의 지원을 요구하는 건의안을 시의회에서 채택하기도 했다.[8]
3. 주요 내용 및 경과
2005년 3월 18일, 경상남도 마산시[12] 의회는 일본 시마네현의 다케시마의 날 조례 제정에 대응하여 '대마도의 날' 조례를 제정했다. 이 조례는 대마도가 대한민국 영토임을 알리고 영유권 확보를 목적으로 한다.
이 조례 제정에 대해 대한민국 외교통상부는 자제를 요청했으며,[6] 일본 쓰시마시 의회는 조례 폐지를 요구했으나 마산시 의회는 이를 거부했다.[7]
2010년 7월 1일 마산시가 창원시로 통합되면서 조례는 승계되었고, 2012년 12월 11일에는 『'''창원시 대마도의 날 조례'''』로 전면 개정되었다. 창원시는 매년 6월 19일 기념 행사를 개최하고 있으며, 2017년 3월 30일에는 정부 지원을 요구하는 건의안을 채택하기도 했다.[8]
3. 1. '대마도의 날' 제정 (2005년)
일본 시마네현 의회가 다케시마의 날 조례를 제정한 것에 대응하여, 대한민국 경상남도 마산시[12] 의회는 2005년 3월 18일 '대마도의 날' 조례를 제정했다. 마산시의회는 이날 열린 제109회 임시회에서 '대마도의 날 조례' 안을 긴급 상정하여, 재적의원 30명 중 출석한 29명 전원의 찬성으로 가결했다.이 조례는 쓰시마섬(대마도)가 한국의 영토임을 국내외에 알리고 영유권을 확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조례는 조선 초기 이종무 장군이 대마도 정벌을 위해 마산포를 출발한 날인 6월 19일을 '대마도의 날'로 정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마산시의회는 당초 시마네현의 '다케시마의 날' 조례 폐기를 촉구하는 결의안을 논의했으나, 보다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하다는 의견에 따라 '대마도의 날' 조례 제정을 추진하게 되었다.
대한민국 외교통상부는 이 조례 제정에 대해 대변인 논평을 통해 "불필요한 논란을 유발할 가능성이 높다"며 마산시에 자제를 요청했다.[13][6] 2006년 10월 6일에는 일본 쓰시마시 의회 파다 마사카즈 의장이 마산시 의회에 조례 폐지를 요청했으나, 마산시 의회는 "대응할 가치가 없다"며 이를 거부하고 조례를 유지할 뜻을 분명히 했다.[7]
2010년 7월 1일 마산시가 인근 창원시, 진해시와 통합하여 새로운 창원시로 출범하면서 이 조례는 창원시로 승계되었다. 이후 2012년 12월 11일, 창원시 의회는 기존 조례를 전면 개정한 『'''창원시 대마도의 날 조례'''』를 제정하여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창원시는 일본의 오가키시(기후현), 히메지시(효고현), 구레시(히로시마현)와 자매 도시 관계를 맺고 있음에도, 매년 6월 19일 '대마도의 날' 기념행사를 계속해서 열고 있다. 나아가 2017년 3월 30일에는 창원시 의회에서 '대마도의 날' 행사에 정부 차원의 지원이 필요하다는 내용의 건의안을 채택하기도 했다.[8]
3. 2. 대한민국 정부의 입장
2005년 3월 18일, 마산시[12] 의회가 '대마도의 날' 조례를 제정한 것에 대해 대한민국 외교통상부는 대변인 논평을 통해 입장을 밝혔다. 외교통상부는 해당 조례 제정이 "불필요한 논란을 유발할 가능성이 높다"고 지적하며 마산시 측에 자제를 요청했다.[13][6]3. 3. 창원시로의 계승 및 개정 (2012년)
2010년 7월 1일, 기존의 마산시가 창원시, 진해시와 통합하여 새로운 창원시가 출범하면서, 마산시 의회에서 제정했던 '대마도의 날 조례'는 창원시로 계승되었다.이후 2012년 12월 11일 창원시 의회는 본회의에서 '대마도의 날 조례 전부개정 조례안'을 통과시켰다. 이 개정으로 조례의 공식 명칭은 '''창원시 대마도의 날 조례'''로 변경되었다. 또한 조례 목적에 '객관적인 사료를 근거로 대한민국 국민과 세계인의 올바른 여론을 형성한다'는 내용이 추가되어, 대마도 영유권 주장의 근거를 명확히 하고 국내외 공감대 형성을 목표로 삼게 되었다.[14] 이 개정된 조례가 현재 '대마도의 날'의 근거가 되고 있다.
창원시는 조례 개정 이후에도 매년 6월 19일 '대마도의 날' 기념행사를 이어가고 있으며, 2017년 3월 30일에는 시의회에서 '대마도의 날 행사에 대한 정부 지원 건의안'을 채택하여 정부 차원의 관심과 지원을 촉구하기도 했다.[8]
3. 4. 대마시의회의 조례 폐지 요청
2006년 10월 6일, 일본 나가사키현 대마시 의회 의장 파다 마사카즈는 마산시 의회에 '대마도의 날' 조례 폐지를 공식적으로 요청했다.[7] 이는 2005년 마산시 의회가 대마도가 한국 영토임을 알리고 영유권을 확보하기 위해 제정한 조례에 대한 대응이었다.그러나 마산시 의회는 대마시 의회의 요청에 대해 "대응할 가치가 없다"는 입장을 표명하며, 조례를 폐지하지 않을 것임을 명확히 했다.[7]
이후 조례를 제정한 마산시는 2010년 7월 1일에 창원시, 진해시와 통합하여 새로운 창원시가 되었고, '대마도의 날' 조례는 창원시에 그대로 계승되었다. 2012년 12월 11일, 창원시 의회는 조례 전부 개정안을 가결하여 기존 조례를 대체하는 『'''창원시 대마도의 날 조례'''』를 새롭게 제정하였으며, 이것이 현재 '대마도의 날'의 법적 근거가 되고 있다.
창원시는 조례 제정 이후 매년 6월 19일에 '대마도의 날' 기념 행사를 개최하고 있으며, 2017년 3월 30일에는 시의회 차원에서 "대마도의 날 행사에 정부 지원을 요구하는 건의안"을 채택하여, 이 문제에 대한 대한민국 정부 차원의 관심과 지원을 촉구하기도 했다.[8] 이는 대마도 영유권 문제에 대한 지방자치단체의 지속적인 의지를 보여주는 사례이다.
3. 5. 정부 지원 요구 건의안 채택 (2017년)
2017년 3월 30일, 창원시 의회는 "대마도의 날" 행사에 대해 정부 차원의 지지와 지원이 필요하다는 판단 아래, 의원 발의를 통해 "대마도의 날 행사에 정부 지원을 요구하는 건의안"을 채택하였다.[8]4. 대마도와 마산시(현 창원시)의 관계
대마도는 규슈와 한반도 사이에 위치하며, 행정구역상으로는 일본 나가사키현 쓰시마시에 속한다. 한반도에서는 남동쪽으로 최단 49.5km 거리에 있어, 지리적으로는 일본 본토보다 한반도에 더 가깝다.
'대마도의 날' 조례를 제정한 마산시(현 창원시)는 대한해협(쓰시마 해협)에 접해 있지만, 거제도에 가로막힌 진해만 안쪽에 자리 잡고 있다. 이 때문에 실제 쓰시마섬까지의 거리는 부산광역시나 경상남도 거제시보다 오히려 더 멀다.
한편, 쓰시마섬은 면적이 약 700km2에 달하고 약 3만 2천 명의 주민이 거주하는 섬으로, 독도(총 면적 약 0.23km2)와는 규모 면에서 큰 차이가 있다.
5. 비판 및 논란
대마도의 날 제정 및 관련 영유권 주장에 대해 일본에서는 독도 문제와 연관된 정치적 의도가 있다는 비판이 제기된다.[9][10] 또한 대한민국 내에서도 이러한 주장이 실제 대마도 반환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낮다는 점에서 실효성에 대한 의문이 있으며,[11] 역사적으로 대마도가 한국 영토였다는 주장에 대해서도 사실 관계에 대한 논쟁이 존재한다.[5]
5. 1. 일본 측의 반발
산케이 신문의 쿠로다 카츠히로 서울 지국장은 "대마도는 한국 영토"라는 주장에 독도 문제에서 비롯된 일본에 대한 보복 심리가 작용하고 있다고 주장했다.[9] 그는 독도 박물관에 있는 "대마도는 원래 한국의 영토"라는 내용의 석비 역시, 일본이 독도 영유권을 주장하는 것에 대한 맞대응 차원에서 대마도 영유권을 주장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10]한편, 대마도에서는 실제로 한국 자본에 의한 토지 매입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를 단순한 관광 개발 목적으로 보는 시각도 있지만, 자위대 기지 주변의 토지까지 매입 대상에 포함되면서 일본 내에서는 정치적 의도가 있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11]
5. 2. 실효성 논란
일본 산케이 신문의 쿠로다 카츠히로 서울 지국장은 한국의 "쓰시마는 한국 영토" 주장이 독도 문제에 대한 일본의 주장에 대한 보복 심리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주장하였다.[9] 그는 독도 박물관에 있는 "쓰시마는 원래 한국의 영토"라는 석비 역시, 일본이 독도 영유권을 주장하는 것에 맞서 쓰시마 영유권을 주장하려는 의도라고 해석했다.[10]한편, 실제로 대마도 내에서는 한국 자본에 의한 토지 매입이 진행되고 있다. 이를 관광 개발 목적으로 보는 시각도 있지만, 자위대 기지 주변의 토지까지 매입 대상이 되면서 일본 내 일각에서는 정치적 의도를 우려하는 목소리도 제기되고 있다.[11]
5. 3. 역사적 근거 논란
제2차 세계 대전 직후, 초대 대통령 이승만(재임 1948년~1960년)은 대마도 영유권을 주장했다. 그는 "임진왜란 당시 일본이 대마도를 무력으로 점령했으며, 대마도 의병이 결사적으로 저항하여 이를 격퇴했다"고 언급하며, "1870년대 일본이 불법 점거한 대마도는 포츠담 선언에 따라 한국에 반환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5] 이러한 주장은 대마도와 함께 독도의 영유권 주장으로 이어졌다.그러나 이승만 정부의 대마도 영유권 주장은 1951년 8월, GHQ가 발표한 러스크 서한에 의해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이후 한국 정부는 1952년 1월 이승만 라인을 일방적으로 설정하였고, 이 선 안에 독도가 포함되면서 독도는 한일 간의 영유권 분쟁 지역이 되었다. 반면 이승만 라인 밖에 있던 대마도는 이후 영유권 분쟁의 대상이 되지 않았다.
한편, 대마도가 역사적으로 일본 영토였다는 주장도 있다. 이 관점에 따르면, 대마도는 몽골의 일본 원정 당시 몽골 제국(원)과 고려 연합군의 침략을 받았으나 일본 측이 이를 격퇴했으며, 조선 왕조 시대에는 왜구의 근거지로 지목되어 조선 측의 공격(응영의 외구)을 받았으나 이 역시 격퇴했다고 본다.
참조
[1]
뉴스
우리 땅 '독도'를 지키자
http://www.konas.net[...]
Korean National Security Net
2007-07-13
[2]
뉴스
馬山市議会が「対馬島の日」条例を可決
http://www.chosunonl[...]
朝鮮日報
2005-03-18
[3]
뉴스
馬山市議会、「対馬の日」条例案を可決
http://www.chosunonl[...]
朝鮮日報
2005-03-18
[4]
뉴스
「対馬は韓国領土」 小泉首相訪韓反対集会
http://www.chosunonl[...]
朝鮮日報
2004-07-21
[5]
뉴스
「対馬は韓国領」説に歴史的根拠あり(上)
http://www.chosunonl[...]
朝鮮日報
2008-07-27
[6]
웹사이트
http://www.mofat.go.[...]
[7]
뉴스
NAVER/釜山日報 2006-11-02 12:42
http://news.naver.co[...]
NAVER/釜山日報
2006-11-02
[8]
뉴스
「対馬は韓国領」昌原市議会が政府支援を要請
http://www.chosunonl[...]
朝鮮日報オンライン
2017-03-30
[9]
뉴스
対馬は報復心理の対象? 共存と対立の歴史(1)
http://sankei.jp.msn[...]
産経新聞
2008-10-23
[10]
뉴스
対馬は報復心理の対象? 共存と対立の歴史(2)
http://sankei.jp.msn[...]
産経新聞
2008-10-23
[11]
웹사이트
対馬で韓国資本が不動産購入 地元は「国の力が必要です」
https://www.j-cast.c[...]
[12]
문서
현 창원시
[13]
웹사이트
http://www.mofat.go.[...]
[14]
뉴스
창원시 대마도의 날' 조례 제정
http://www.idomin.co[...]
경남도민일보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