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도널드슨 불변량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도널드슨 불변량은 4차원 다양체의 미분 구조를 연구하는 데 사용되는 위상 불변량이다. 1983년 사이먼 도널드슨에 의해 도입되었으며, 4차원 다양체 위에 정의된 SU(2) 양-밀스 순간자들의 모듈라이 공간을 이용하여 정의된다. 도널드슨 불변량은 도널드슨 다항식으로 표현되며, 이는 4차원 다양체의 호몰로지 정보를 반영한다. 또한, 초대칭 게이지 이론의 상관 함수로 정의될 수도 있으며, 크론하이머-므로카 기본류를 통해 자이베르그-위튼 불변량과 연결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4-다양체 - 별난 4차원 유클리드 다양체
    별난 4차원 유클리드 다양체는 유클리드 공간과 위상동형이지만 매끄러운 구조가 다른 4차원 다양체로, "작은" 별난 R⁴와 "큰" 별난 R⁴로 구분되며, 극대 별난 R⁴의 존재 증명은 4차원 다양체 연구에 큰 영향을 미쳤고, 4차원 구에 대한 별난 구조의 존재 여부는 미해결 문제이다.
  • 4-다양체 - 자이베르그-위튼 불변량
    자이베르그-위튼 불변량은 4차원 다양체의 스핀c 구조에 기반하여 정의되는 위상 불변량으로, 자이베르그-위튼 방정식의 해의 모듈라이 공간을 이용하여 계산되며 도널드슨 불변량과 관련이 있다.
  • 기하학적 위상수학 - 푸앵카레 추측
    푸앵카레 추측은 1904년 앙리 푸앵카레가 제기한 3차원 다양체의 위상적 성질에 관한 문제로, 2002년 그리고리 페렐만이 증명했으며, 기본군이 자명한 3차원 다양체가 3차원 구와 위상동형인지 묻는 질문이다.
  • 기하학적 위상수학 - 클라인 병
    클라인 병은 펠릭스 클라인이 발견한 비가향적인 2차원 다양체로, 3차원 공간에서는 자기 교차 없이 존재할 수 없으며 한쪽 면만 가지는 닫힌 곡면이다.
  • 미분위상수학 - 벡터장
    벡터장은 유클리드 공간이나 미분다양체의 각 점에 벡터를 대응시키는 사상으로, 유클리드 공간에서는 벡터값 함수로 표현되고 미분다양체에서는 접다발의 단면이나 도함수로 정의되며, 물리학, 기상, 유체역학, 전자기학, 컴퓨터 그래픽스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된다.
  • 미분위상수학 - 법다발
    법다발은 다양체 $M$에 매장된 다양체 $N$의 접다발을 $M$의 접다발로 확장한 몫다발로, 리만 다양체에서는 법선 공간들의 모임으로 정의되며 여법선 다발과 관련이 깊다.
도널드슨 불변량

2. 정의

도널드슨 불변량은 4차원 연결 단일 연결 매끄러운 다양체 M의 불변량이며, 대수적 위상수학 또는 초대칭 위상 양자장론을 통해 정의할 수 있다.[5]

2. 1. 수학적 정의

푸앵카레 쌍대성합곱을 사용해 2차 코호몰로지 \operatorname H^2(M;\mathbb Q) 위에 다음과 같은 '''교차 형식'''(intersection form영어)을 정의할 수 있다.

:I\colon\operatorname H^2(M;\mathbb Q)\times\operatorname H^2(M;\mathbb Q)\to\mathbb Q

:I(\alpha,\beta)=[M]\frown(\alpha\smile\beta)

여기서 [M]M기본류다. 이 형식의 양의 고윳값의 수를 b_2^+(M), 음의 고윳값의 수를 b_2^-(M)이라고 한다.

:b_2^+(M)+b_2^-(M)=b_2f(M)

M의 2차 베티 수이다. 앞으로, b_2^+>1이라고 가정한다.

M에 임의의 리만 계량 g와 SU(2) 벡터다발 E\twoheadrightarrow M을 부여하자. 이 경우, E의 SU(2) 양-밀스 순간자들의 모듈라이 공간 \mathcal M_{E,g}를 생각할 수 있다. 이는 일반적으로 오비폴드를 이루고, 그 차원은 다음과 같다.[5]

:\dim\mathcal M_E=\begin{cases}

  • 8c_2(E)-3(1-b_1(M)+b_2^-(M))&c_2(E)<0\\

8c_2(E)-3(1-b_1(M)+b_2^+(M))&c_2(E)>0

\end{cases}



(만약 이 수가 음수라면 \mathcal M_{E,g}공집합이다.) 여기서 c_2(E)E의 2차 천 수이고, b_i(M)Mi베티 수이다. (게이지 군이 SU(2)이므로, 1차 천 특성류는 항상 0이다.)

\mathcal C_EE 위에 존재하는 모든 주접속들(의 게이지 변환에 대한 동치류들)의 모듈라이 공간이라고 하자. 이는 무한 차원 공간이다. 이 경우, 전자는 후자의 자연스러운 부분공간을 이룬다.

:\mathcal M_{E,g}\hookrightarrow\mathcal C_E

\mathcal M_{E,g}는 리만 계량 g에 의존하지만, b_2^+(M)>1이라면 호몰로지류 [\mathcal M_{E,g}]\in\operatorname H_\bullet(\mathcal C_E)g에 의존하지 않는다는 것을 보일 수 있다. 따라서

:[\mathcal M_E]\in\operatorname H_\bullet(\mathcal C_E)

를 정의할 수 있다. 이는 리만 계량에 의존하지 않지만, M의 미분 구조에 의존한다. 즉, 이는 위상동형(위상다양체로서 동형)이지만 미분동형(매끄러운 다양체로서 동형)이지 않은 다양체들을 구분할 수 있다.

스펙트럼 열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군 준동형을 정의할 수 있다.

:\mu\colon\operatorname H_k(M;\mathbb Q)\to H^{4-k}(\mathcal C_E;\mathbb Q)

M은 4차원 연결 단일 연결 매끄러운 다양체라고 가정하였으므로, M의 (유리수 계수) 호몰로지는 다음과 같다.

:\operatorname H_0(M;\mathbb Q)=\mathbb Q

:\operatorname H_1(M;\mathbb Q)=0

:\operatorname H_2(M;\mathbb Q)=\mathbb Q^{b_2}=\operatorname{span}\{\gamma_1,\dots,\gamma_{b_2}\}

:\operatorname H_3(M;\mathbb Q)=0

:\operatorname H_4(M;\mathbb Q)=\mathbb Q

여기서 \gamma_1,\dots,\gamma_{b_2}는 임의로 잡은 H_2(M;\mathbb Q)기저다. 그렇다면 다음을 보일 수 있다.

  • \mu(\operatorname H_4(M;\mathbb Q))=0
  • \mathcal C_E코호몰로지H^\bullet(\mathcal C_E;\mathbb Q)\mu에 의하여 다항식환 \mathbb Q[x,\gamma_1,\dots,\gamma_{b_2}]와 표준적(canonical)으로 동형이다. 여기서 xH_0(M;\mathbb Q)에 대응하는 생성원이다.


이제, '''도널드슨 다항식'''(Donaldson多項式, Donaldson polynomial영어) D_E\colon\mathbb Q[x,\gamma_1,\dots,\gamma_{b_2}]\to\mathbb Q은 다음과 같은 사상이다.

:Q_E(p)=[\mathcal M_E]\frown p\left(\mu(x),\mu(\gamma_1),\dots,\mu(\gamma_{b_2})\right)

2. 2. 물리학적 정의

SU(2)left×SU(2)right×SU(2)R×U(1)R뒤튼 뒤 군 표현
SU(2)left×SU(2)right×U(1)R뒤튼 뒤 설명Q_\alpha왼쪽 초전하(½, 0, ½)−1(½, ½)−1Q_\mu\bar Q_{\dot\alpha}오른쪽 초전하(0, ½, ½)+1(0,0)+1BRST 연산자 Q(0, 1)+1Q_{\mu\nu}A_\mu게이지 보손(½, ½, 0)0(½,½)0A_\mu 게이지 보손\psi왼손 게이지노(½, 0, ½)+1(½,½)+1\psi_\mu 유령\bar\psi오른손 게이지노(0, ½, ½)−1(0,1)−1\chi_{\mu\nu} 반유령 (F^+=0 제약에 대응)(0,0)−1\eta 반유령\phi스게이지노(sgaugino영어)(0, 0, 0)+2(0,0)+2\phi (게이지 변환 매개변수)\phi^*반스게이지노(antisgaugino영어)(0, 0, 0)−2(0,0)−2\lambda 유령



뒤튼 뒤에는 두 개의 스칼라장과 두 개의 벡터장만이 존재한다. 이 경우, (A_\mu,\psi_\mu), (\lambda,\eta)Q에 대한 초다중항을 이룬다. \chiF^+=0 제약에 대응하며, \phi는 게이지 변환의 매개변수에 대응한다.

이제, 초대칭 연산자 QBRST 대칭으로 생각하여, 모든 관측가능량을 Q에 의한 코호몰로지에 닫혀 있게 한다. 그렇다면 이 이론은 위튼형 위상 양자장론을 이룬다.

다음과 같은 게이지 불변, Q-닫힌 연산자를 생각하자.

:\mathcal O_0=\frac1{8\pi^2}\operatorname{tr}\phi^2

이제 다음과 같은 일련의 연산자들을 정의할 수 있다.

:d\mathcal O_0=i\{Q,\mathcal O_1\}

:d\mathcal O_1=i\{Q,\mathcal O_2\}

:d\mathcal O_2=i\{Q,\mathcal O_3\}

:d\mathcal O_3=i\{Q,\mathcal O_4\}

:d\mathcal O_4=0

\mathcal O_kk차 코호몰로지류이다. 따라서, 임의의 k_i차 호몰로지류 \Sigma_i들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상관 함수를 정의할 수 있다.

:\left\langle\int_{\Sigma_1}\mathcal O_{k_1}\cdots\int_{\Sigma_i}\mathcal O_{k_i}\cdots\right\rangle

이 경우, \mathcal O_4\propto F\wedge F\propto c_2(E)는 CP 위반항이므로,

:\int_M\mathcal O_4\sim\int_MF\wedge F=[M]\frown c_2(E)

는 단순히 순간자수(게이지 주다발의 2차 천 특성류)이다. 따라서 \mathcal O_4의 삽입은 상관 함수를 특별히 변화시키지 않는다. 2차 호몰로지 류 \Sigma_i\in H_2(M) 및 0차 호몰로지 류 x_i\in H_0(M)를 사용하여, 상관 함수

:\left\langle\int\mathcal O_0(x_1)\cdots\int_{\Sigma_1}\mathcal O_2\cdots\right\rangle

를 정의할 수 있다. 이를 '''도널드슨 다항식'''이라고 하며, 이는 위상수학으로 정의한 도널드슨 다항식과 일치함을 보일 수 있다.

2. 3. 크론하이머-므로카 기본류

게이지 군 G가 SU(2)일 경우를 생각하자. 4차원 매끄러운 다양체 M 가운데,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것을 '''단순형 다양체'''(manifold of simple type영어)라고 한다.

:Q_{8+\deg p}(x^2p(x,\vec\gamma))=4Q_{\deg p}(p(x,\vec\gamma))

여기서 p\in\mathbb Q[x,\vec\gamma]이며, \deg px를 차수 4, \vec\gamma를 차수 2로 하여 센 다항식의 차수이다.

이 경우, 도널드슨 불변량은 다음과 같은 생성 함수로 완전히 결정된다.

:D(\vec\gamma)=\sum_n\left(\frac{Q_{2n}(\gamma^d)}{d!}+\frac{Q_{2n+4}(x\gamma^d)}{2d!}\right)

:\mathbb D(\vec\gamma)=D(0,\vec\gamma)+\frac12\frac{\partial}{\partial x}D(0,\vec\gamma)

이 생성 함수는 다음과 같은 간단한 형태로 나타내어진다.

:\mathbb D(\gamma)=\exp(\gamma.\gamma/2)\sum_{x\in H^2(M;\mathbb Z)}\exp(x\cdot\gamma)n_x

여기서 n_x\ne0인 2차 코호몰로지 원소들을 '''크론하이머-므로카 기본류'''(Kronheimer–Mrowka basic class영어)라고 하며, 이러한 기본류들의 수는 유한하다. 이 n_x들은 자이베르그-위튼 불변량과 같다고 추측된다.

3. 역사

사이먼 도널드슨이 1983년에 도널드슨 불변량을 도입하였다.[8] 이후 에드워드 위튼이 1994년에 이를 초대칭 게이지 이론위상 양자장론으로 정의할 수 있음을 보였다.[9]

피터 크론하이머와 토머스 므로카(Thomasz S. Mrowka|토마시 므로프카영어)는 1994년에 도널드슨 불변량을 크론하이머-므로카 기본류에 대한 합으로 나타낼 수 있음을 보였다.[10][11] 같은 해에 에드워드 위튼자이베르그-위튼 이론을 기반으로 자이베르그-위튼 불변량을 도입하였으며, 이들이 크론하이머-므로카 기본류와 관계가 있음을 제시하였다.[12][13]

참조

[1] 서적 The geometry of four-manifolds http://ukcatalogue.o[...] Clarendon Press 1997-08-28
[2] 서적 Instantons and four-manifolds Springer-Verlag 1991
[3] 서적 The wild world of 4-manifolds http://www.ams.org/b[...]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2005
[4] 저널 Lectures on four-manifolds and topological gauge theories 1996-02
[5] 저널 What do topologists want from Seiberg–Witten theory? 2002-12-10
[6] 저널 Gauge theory is dead!—long live gauge theory! http://www.ams.org/n[...] 1995-03
[7] 저널 Lectures on four-manifolds and topological gauge theories http://citeseerx.ist[...] 1996-02
[8] 저널 An application of gauge theory to four dimensional topology http://projecteuclid[...] 1983
[9] 저널 Supersymmetric Yang–Mills theory on a four-manifold 1994-10
[10] 저널 Recurrence relations and asymptotics for four-manifold invariants 1994-04
[11] 저널 Embedded surfaces and the structure of Donaldson’s polynomial invariants http://www.math.harv[...] 1995
[12] 저널 Monopoles and Four-Manifolds 1994
[13] 저널 Integration over the ''u''-plane in Donaldson theory 199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