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오니시오스 1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디오니시오스 1세는 기원전 5세기와 4세기에 시라쿠사의 참주로, 군사적 능력과 정복 활동으로 시칠리아와 이탈리아 남부 지역에 큰 영향력을 행사했다. 그는 군 최고 사령관을 거쳐 기원전 405년 참주가 되었으며, 카르타고와의 전쟁에서 성공과 실패를 반복하며 시칠리아 지배권을 다투었다. 그는 용병을 활용하여 권력을 강화하고, 이탈리아 동맹을 상대로 원정을 벌이는 등 영토 확장에 힘썼다. 또한, 예술과 문학을 후원하는 한편, 스파르타와 외교 관계를 유지하며 세력을 확장했다. 디오니시오스 1세는 말년에 아테네에서 상을 받은 후 사망했으며, 그의 죽음에 대해서는 여러 설이 존재한다.
디오니시오스는 기원전 409년에 시작된 카르타고와의 전쟁에서 공을 세워 기원전 406년에 군 최고 사령관으로 선출되었고,[24] 기원전 405년에는 전권을 장악하고 참주가 되었다.[6] 이후 자신의 지위를 굳히기 위해 무자비한 방법을 사용했다.[6]
디오니시오스 1세는 시칠리아, 이탈리아 남부, 아드리아해, 에피루스 등 여러 지역에서 활발한 정복 활동을 펼쳤다.
2. 생애
2. 1. 초기 생애
디오니시오스는 처음에는 공무소에서 서기로 사회생활을 시작했다.[1] 기원전 409년에 시작된 카르타고와의 전쟁에서 공을 세워 기원전 406년에 군 최고 사령관으로 선출되었고,[24] 기원전 405년에는 전권을 장악하고 참주가 되었다.[6]
그는 아리스토마케와 결혼하여 딸 아레테를 두었다. 그는 또한 로크리스의 도리스와 결혼하여 아들 시라쿠사의 디오니시오스 2세를 낳았다.
2. 2. 권력 장악
기원전 409년에 시작된 카르타고와의 전쟁에서 공을 세운 디오니시오스는 기원전 406년에 군 최고 사령관이 되었다.[6] 이듬해 기원전 405년에 전권을 장악하고 참주가 되었다.[6] 그는 자신의 지위를 굳건히 하기 위해 무자비한 방법을 사용했다.
디오니시오스는 자신의 생명이 위협받고 있다는 연극을 꾸며 호위를 위해 600명의 개인 용병을 얻었다. 이후 용병의 수를 1,000명으로 늘리고, 자신의 권력을 점차 강화하여 참주로서의 지위를 확립했다. 그는 용병들을 시라쿠사 폴리스 공동체의 모든 곳에 배치하여 민주주의가 사라지도록 했다. 디오니시오스의 통치는 "위헌적이고 정당성이 없었으며 민주 정부 지지자들 사이에서 반란을 일으키지 않을 수 없었다".[2]
기원전 403년, 철학적 관점에서 참주 정치에 반대하는 세력들이 디오니시오스의 지위를 위협했다. 그러나 과거 코린트와 아테네에서 참주들을 추방했던 스파르타는 디오니시오스와 그의 독재를 비난하지 않았다. 오히려 양측의 관계는 매우 좋았는데, 역사가 디오도로스 시켈로스에 따르면 스파르타는 디오니시오스의 협력을 얻기 위해 그의 통치를 돕고자 했다.[3] 디오니시오스는 심지어 스파르타 관할 지역에서 용병을 징집할 수 있는 특권까지 얻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절대 왕정에 개인 군대와 같은 "경비대"가 필요하며, 선출된 참주에게는 적절한 수의 직업 군인이 고용되어야 한다고 썼다. 너무 적으면 참주의 권력이 약해지고, 너무 많으면 폴리스 자체를 위협하기 때문이다.[5] 그는 또한 시라쿠사 사람들이 디오니시오스에게 너무 많은 "경비대"를 징집하지 말라고 경고했다고 언급했다.[5]
디오니시오스는 아리스토마케와 결혼하여 딸 아레테를 낳았고, 로크리스의 도리스와 결혼하여 아들 시라쿠사의 디오니시오스 2세를 낳았다.
2. 3. 용병과 참주 정치
디오니시오스는 자신의 생명이 위협받고 있다는 구실을 내세워 처음에는 600명, 나중에는 1,000명으로 늘어난 개인 용병 부대를 조직했다.[2] 이 용병들을 시라쿠사 폴리스 공동체의 모든 부분에 배치하여 민주주의를 완전히 억압하고 참주로서의 지위를 확립했다.[2] 그의 통치는 "위헌적이고 정당성이 없었으며 민주 정부 지지자들 사이에서 반란을 일으키지 않을 수 없었다".[2]
과거 코린트와 아테네에서 참주들을 추방했던 스파르타는 디오니시오스의 독재를 묵인했다. 디오도로스 시켈로스에 따르면, 스파르타는 디오니시오스가 자신들에게 협력적인 태도를 보일 것이라고 기대했기 때문이다.[3] 실제로 디오니시오스는 스파르타 관할 지역에서 용병을 징집할 수 있는 특권까지 얻었다.[4]
폴리비오스는 "폭군의 안전은 전적으로 용병의 충성심과 권력에 달려 있다"고 언급했고,[4] 아리스토텔레스는 절대 왕정에는 개인 군대와 같은 "경비대"가 필요하며, 선출된 폭군은 적정 수의 직업 군인을 고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또한 너무 적으면 폭군의 권력이 약해지고, 너무 많으면 폴리스 자체가 위협받는다고 경고하며, 시라쿠사 사람들이 디오니시오스에게 너무 많은 "경비대"를 징집하지 말라고 경고했다고 언급했다.[5]
3. 시칠리아 전쟁과 정복 활동
기원전 397년부터 392년까지 카르타고와 전쟁을 벌였으나, 시칠리아에서 완전히 몰아내지는 못했다.[6] 기원전 387년에는 이탈리아 동맹을 상대로 원정을 벌여 레기움을 점령하고 주민들을 노예로 팔았다.[6][1] 에트루리아 해안의 카에레 신전을 약탈하고, 아드리아해에 안코나, 아드리아, 이사를 건설하여 이 지역을 시라쿠사의 영향권 아래 두었다.[1][7] 코린토스 전쟁에서는 스파르타를 지원하여 용병과 선박을 제공했다.[1]
기원전 385년, 에피루스의 알케타스 1세를 도와 몰로시아인을 공격하여 왕위를 되찾도록 지원했으나,[8] 아게실라오스 2세가 이끄는 스파르타의 개입으로 일리리아인들은 물러났다.[9][10][11]
3. 1. 카르타고와의 전쟁
디오니시오스 1세는 기원전 397년부터 392년까지 카르타고와 전쟁을 벌였으나, 승리와 패배를 반복했다.[6] 그는 카르타고인들을 시칠리아에서 완전히 몰아내려 했지만 실패했고, 그가 죽을 때까지 카르타고는 시칠리아의 최소 3분의 1을 지배하고 있었다.
기원전 387년, 디오니시오스는 이탈리아 남부의 이탈리아 동맹을 상대로 원정을 벌였다.[6] 루카니아인과 함께 투리와 크로톤의 영토를 황폐화시켜 로크리를 방어하려 했다.[1] 오랜 공성전 끝에 기원전 386년에 레기움을 점령하고 그곳 주민들을 노예로 팔았다.
그는 또한 에트루리아 해안에 있는 카에레 (당시 로마와 동맹 관계)의 신전을 약탈했다.[1] 아드리아해에서 무역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안코나, 아드리아 및 이사를 건설했다.[7] 그 후 아드리아해는 시라쿠사의 바다가 되었다. 코린토스 전쟁에서 그는 스파르타 편에 서서 용병과 선박을 지원했다.[1]
기원전 385년, 에피루스의 알케타스 1세는 디오니시오스의 궁정에 망명했다. 디오니시오스는 에피루스에 우호적인 군주를 원했기 때문에, 바르딜리스 휘하의 일리리아인들이 에피루스의 몰로시아인을 공격하는 것을 돕기 위해 2,000명의 그리스 중장보병과 500벌의 그리스 갑옷을 보냈다. 그들은 그 지역을 황폐화시키고 15,000명의 몰로시아인을 죽였고, 알케타스 1세는 왕위를 되찾았다.[8] 아게실라오스 2세 휘하의 스파르타가 개입했고,[9] 테살리아, 마케도니아 왕국, 그리고 몰로시아인들의 도움으로 스파르타인들은 일리리아인들을 몰아냈다.[10][11]
3. 2. 이탈리아 원정과 동맹
디오니시오스는 이탈리아 남부의 그리스 도시 국가들과도 전쟁을 벌였다. 레기움을 점령하고 주민들을 노예로 팔았으며, 투리와 크로톤 등 이탈리아 동맹의 도시들을 공격했다.[6][1] 로크리를 방어하기 위해 루카니아인과 함께 이 도시들의 영토를 황폐화시키기도 했다.[1]
기원전 386년 레기움 공방전에서 긴 공성전 끝에 레기움을 함락시킨 디오니시오스 1세는 그 주민들을 노예로 팔았다.[24] 그는 또한 에트루리아 해안에 있는 카에레 (당시 로마와 동맹 관계)의 신전을 약탈했다.[1] 아드리아해에서 디오니시오스는 무역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안코나, 아드리아 및 이사를 건설했다.[7] 그 후 아드리아해는 시라쿠사의 바다가 되었다. 코린토스 전쟁에서 그는 스파르타 편에 서서 용병과 선박을 지원했다.[1]
기원전 385년, 에피루스의 알케타스 1세는 디오니시오스의 궁정에 망명했다. 디오니시오스는 에피루스에 우호적인 군주를 원했기 때문에, 바르딜리스 휘하의 일리리아인들이 에피루스의 몰로시아인을 공격하는 것을 돕기 위해 2,000명의 그리스 중장보병과 500벌의 그리스 갑옷을 보냈다. 그들은 그 지역을 황폐화시키고 15,000명의 몰로시아인을 죽였고, 알케타스는 왕위를 되찾았다.[8] 그는 델포이 신전을 약탈하려는 일리리아인에 합류했다.[1] 그러나 아게실라오스 2세 휘하의 스파르타가 개입했고,[9] 테살리아, 마케도니아 왕국, 그리고 몰로시아인들의 도움으로 스파르타인들은 일리리아인들을 몰아냈다.[10][11]
3. 3. 에트루리아와 아드리아해 진출
디오니시오스는 에트루리아 해안에 있던 카에레(당시 로마와 동맹 관계)의 신전을 약탈했다.[1] 아드리아해에서 무역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안코나, 아드리아, 이사를 건설하여,[7] 이후 아드리아해는 시라쿠사의 바다가 되었다.
3. 4. 에피루스와의 관계
기원전 385년, 에피루스 왕알케타스 1세가 국외로 추방되어 디오니시오스 1세에게 망명해 왔다.[8] 디오니시오스는 에피루스에 우호적인 군주가 있기를 바랐기 때문에 바르딜리스 휘하의 일리리아인들이 에피루스의 몰로시아인을 공격하는 것을 돕기 위해 2,000명의 그리스 중장보병과 500벌의 그리스 갑옷을 보냈다.[8] 이들은 해당 지역을 황폐화시키고 15,000명의 몰로시아인을 죽였고, 알케타스 1세는 왕위를 되찾았다.[8]
그러나 아게실라오스 2세가 이끄는 스파르타가 개입했고,[9] 테살리아, 마케도니아 왕국, 그리고 몰로시아인들의 도움으로 스파르타인들은 일리리아인들을 몰아냈다.[10][11]
4. 죽음
디오니시오스 1세의 죽음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있다. 일부 자료에서는 그가 레나이아 축제에서 자신의 비극 "헥토르의 몸값"으로 상을 받은 후 너무 기뻐 술을 마시고 죽었다고 한다. 키케로와 디오도로스 시쿨루스 같은 다른 사람들은 기원전 367년, 그의 연극이 승리했다는 소식을 들은 직후 자연사했다고 전한다.[12]
다른 설에 따르면, 그의 아들 디오니시오스 2세가 시라쿠사의 통치자로 그를 계승했고, 그의 아들의 사주를 받은 의사들이 수면제를 과다 투여했다고 한다.[1] 유스티누스는 디오니시오스가 "끊임없는 전쟁에 패배하고 무너졌으며, 결국 자신의 친족들의 음모에 의해 살해당했다"고 주장했다.[13] 현대 역사가 제프 챔피언은 그가 음모에 연루되었다는 주장을 증명할 증거가 없다고 말한다.[14]
필리스투스가 그의 일생을 기록했지만, 그 작품은 유실되었다.[1]
5. 지적 취향
아테네의 참주 페이시스트라토스처럼, 디오니시오스 1세는 역사가 필리스토스, 시인 필록세노스, 철학자 플라톤과 같은 문인들을 곁에 두는 것을 좋아했지만, 그들을 매우 자의적으로 대했다.[1] 디오도로스 시쿨루스는 그의 저서 ''역사총서''에서 디오니시오스가 자신의 시에 대해 좋지 않은 평을 했다는 이유로 필록세노스를 체포하여 채석장으로 보냈다고 전한다. 다음 날, 그는 친구들의 요청으로 필록세노스를 풀어주고, 시를 다시 낭독하기 위해 그를 데려왔다. 디오니시오스는 자신의 작품을 읽었고 청중들은 박수를 쳤다. 그가 필록세노스에게 감상을 묻자, 시인은 경비병에게 "나를 채석장으로 데려가시오"라고 말했다.[15] 플루타르코스는 그의 저서 ''알렉산드로스의 운명에 관하여''에서 이 이야기의 다른 버전을 전한다.[16]
그는 또한 작가이자 문학 후원자를 자처했다. 필록세노스에게 혹독하게 비판받은 그의 시들은 고대 올림픽 경기에서 야유를 받았지만, 아테네의 레나이아에서 ''헥토르의 몸값''을 주제로 한 비극으로 상을 받자, 그는 너무나 기뻐하며 방탕에 빠졌고, 일부 자료에 따르면 이로 인해 사망했다.[1] 그의 이름은 또한 다몬과 피티아스의 전설로도 알려져 있으며, 그는 간접적으로 (그의 아들을 통해) 다모클레스의 검 전설에도 등장한다. 시라쿠사에 있는 디오니시오스의 귀는 디오니시오스의 이름을 따서 명명된 인공 석회암 동굴이다.[17]
6. 역사적 의의
디오니시오스 1세는 그리스와 유럽 역사에서 중요한 인물 중 한 명이었다. 그는 시칠리아를 놓고 그리스인과 카르타고 사이의 투쟁에서 그리스 측의 챔피언이었으며, 전쟁을 적의 영토로 가져간 최초의 인물이었다. 그는 시라쿠사를 그리스 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도시로 만들었고, 시칠리아에서 이탈리아까지 뻗어 나가는 제국의 중심지로 만들었다. 디오니시오스는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업적과 아우구스투스의 업적을 예견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그는 생전에 신성한 영예를 받은 최초의 그리스 통치자 중 한 명이었고, 공성 무기와 같은 군사 기술 혁신을 이루었다.
브렌누스가 시칠리아 전체를 통제하려는 디오니시오스와 협력하여 활동했다는 이론이 제기되었다. 로마는 시칠리아 북동부에 위치한 작은 도시 국가인 메사나와 강력한 동맹 관계를 맺고 있었는데, 디오니시오스는 이곳을 통제하려 했다. 브렌누스의 노력으로 로마 군대가 묶이면서 디오니시오스의 작전을 도왔을 것이다.
7. 시라쿠사 성벽
기원전 402년, 디오니시오스 1세는 시라쿠사 북서쪽 고원을 보호하는 유리알로스 요새를 포함한 거대한 성벽 건설을 시작했다.[20] 이 성벽은 기원전 397년에 완공되었으며, 그 특징은 다음과 같다.
특징 | 상세 |
---|---|
길이 | 27km |
기저부 폭 | 3.3m ~ 5.35m |
망루 수 | 14개 (유리알로스 요새 포함) |
가장 큰 망루 | 8.5m x 8.5m |
가장 깊은 해자 (유리알로스 요새) | 9m |
8. 대중문화 속 디오니시오스
디오니시오스 1세는 다모클레스의 칼 전설에 나오는 주요 인물 중 한 명이다.[1] 단테의 《신곡》 중 《지옥》 (1308년-1321년)에서 끓는 피의 강에서 고통받는 폭군으로 언급되기도 한다.[1] 다만, 언급된 디오니시오스가 그의 아들 디오니시오스 2세일 수도 있다는 논쟁도 있다.[1]
L. 스프라그 드 캠프의 역사 소설 《헤라클레스의 화살》 (1965년)에서는 시라쿠사 근처 오르티지아 섬의 발명가들의 후원자로 비중 있게 등장한다.[1] 메리 르노의 역사 소설 《아폴로의 가면》 (1966년)에도 디오니시오스의 허구적 버전이 등장인물로 나온다.[1] 발레리오 마시모 만프레디의 소설 《폭군》 (2003년)에서는 주인공으로 등장한다.[1]
로버트 해리스의 소설 《임페리움》 (2006년)에서는 "폭군 디오니시오스"가 시라쿠사 석재 채석장을 설립한 인물로 언급된다.[1] 화자인 마르쿠스 툴리우스 티로는 이 석재 채석장을 "세계에서 가장 무시무시한 감옥"이라고 묘사한다.[1]
1962년 영화 《데몬과 피티아스》(Il tiranno di Siracusa)에도 등장한다.[1]
프리드리히 실러의 시 "담보"와 이를 다자이 오사무가 재구성한 소설 "달려라 메로스"에도 폭군 디오니스로 등장한다.[1]
참조
[1]
간행물
Dionysius (Tyrant of Syracuse)
J. Bass
[2]
서적
Mercenaries of the Ancient World
Constable
1997
[3]
문서
Diodorus Siculus 14.10.2
[4]
문서
Polybius 11.13
[5]
문서
Aristotle Politics 1286b28-40
[6]
서적
The Houghton Mifflin Dictionary of Biography
Houghton Mifflin
2003
[7]
문서
Pseudoskylax, Periplus
[8]
서적
A History of Greece to 322 B.C.
1986
[9]
서적
A History of Greece to 322 B.C.
1986
[10]
서적
Library
https://www.perseus.[...]
[11]
서적
The Cambridge Ancient History
1923
[12]
웹사이트
LacusCurtius • Cicero — de Natura Deorum III.61‑95
https://penelope.uch[...]
[13]
웹사이트
Justin: Epitome of the Philippic History of Pompeius Trogus, Book 20
https://www.forumrom[...]
2020-02-23
[14]
서적
The Tyrants of Syracuse Volume I: 480–367 BC
https://books.google[...]
Casemate Publishers
2011-02-23
[15]
서적
The Library of History of Diodorus Siculus, Book XV, Chapter 6
https://penelope.uch[...]
[16]
서적
On the Fortune of Alexander, Second Oration, Chapter 1
https://penelope.uch[...]
[17]
웹사이트
Turismo a Siracusa {{!}} Algila
http://www.algila.it[...]
2019-12-30
[18]
서적
A history of Greece to the death of Alexander the Great
Macmillan
[19]
서적
The History of Rome: The Republic
https://books.google[...]
Herodotus Press
2016-12-04
[20]
서적
The Seventy Wonders of the Ancient World
https://archive.org/[...]
Thames and Hudson
[21]
웹사이트
Cicero's Tusculan Disputations, On the Nature of the Gods, On the Commonwealth
https://www.gutenber[...]
2023-06-01
[22]
웹사이트
Charles S. Singleton (1970-75), Inferno 12.107-108
https://dante.dartmo[...]
2023-06-01
[23]
서적
Mercenaries of the Ancient World
Constable
[24]
서적
The Houghton Mifflin Dictionary of Biography
Houghton Mifflin
[25]
문서
Pseudoskylax, Periplus
[26]
서적
A History of Greece to 322 B.C.
1986
[27]
서적
A History of Greece to 322 B.C.
1986
[28]
서적
Library
http://www.perseus.t[...]
[29]
서적
The Cambridge Ancient History
1923
[30]
서적
The Seventy Wonders of the Ancient World
Thames and Hudso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