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라오스의 국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라오스의 국가는 라오 인민 민주 공화국의 국가이며, 1941년에 작곡된 "Pheng Xat Lao"가 그 기원이다. 라오스는 프랑스의 식민 지배를 받던 시기에 여러 차례 국가가 변경되었는데, 1945년에는 라오스 독립 선언과 함께 국가로 채택되었고, 1947년에는 프랑스 연합 내에서 제한적인 자치를 부여받으면서 다시 국가가 되었다. 1975년 공산주의 정권 수립 이후에는 마르크스주의 이념을 반영하여 가사가 변경되었으며, 현재까지 사용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라오스의 음악 - 몰람
    몰람은 라오스에서 시작되어 라오스와 태국 이산 지역에서 연주되는 전통 음악으로, 캔과 같은 악기를 사용하며 지역 공동체의 정체성 강화와 문화적 유산 보존에 기여한다.
  • 1941년 노래 - Take the "A" Train
    빌리 스트레이혼이 작곡하고 듀크 엘링턴 악단이 연주한 Take the "A" Train은 뉴욕 지하철 A선을 타고 할렘으로 가는 여정을 묘사하는 재즈 스탠더드 곡으로, 대중문화 속에서 꾸준히 사랑받고 있다.
  • 1941년 노래 - 도나도나
    도나도나는 아론 제이틀린이 작사하고 숄롬 세쿤다가 작곡한 노래로, 2차 세계 대전 중 나치의 유대인 탄압을 연상시키는 가사로 억압과 저항의 상징으로 해석되며 다양한 언어로 번역되어 불리고, 한국에서는 민주화 운동 시기에 널리 불리기도 한다.
  • 라오스의 상징 - 낫과 망치
    낫과 망치는 농민과 노동자의 연대를 상징하는, 공산주의 국가의 주요 상징이며, 소련 국기 및 다양한 곳에 사용되었다.
  • 라오스의 상징 - 아시아코끼리
    아시아코끼리는 코끼리과에 속하는 종으로 아프리카코끼리보다 작고 귀가 작으며 코 끝에 돌기가 있고, 인도아대륙과 동남아시아에 분포하며 서식지 파괴 등으로 멸종 위기에 처해 보호 노력이 필요하다.
라오스의 국가
일반 정보
영어 제목Hymn of the Lao People (라오스 인민의 찬가)
종류국가
국가라오스
제작 정보
작사가Sisana Sisane
작사 시기1975년
작곡가Thongdy Sounthonevichit
작곡 시기1941년
채택 시기1945년
음원 정보

2. 역사

1893년 프랑스 보호령이 된 이후, 제2차 세계 대전 중 프랑스 식민 정부는 시암(태국)의 영토 회복 시도에 대응하고 라오스인들의 지지를 얻기 위해 라오스 민족주의를 장려했다.[1] 이러한 배경 속에서 라오스의 독자성을 강조하는 여러 애국가가 작곡되었는데,[2] 현재의 국가인 ''펭 쌋 라오''(ເພງຊາດລາວ|펭 쌋 라오lo)도 1941년에 만들어졌다.[3][4]

이 곡은 1945년 일본 점령 하에 라오스가 잠시 독립을 선언했을 때 국가로 처음 채택되었으나,[5] 일본의 항복 후 프랑스가 다시 프랑스령 인도차이나의 통제권을 확보하면서 독립은 오래가지 못했다.[1] 이후 1947년 라오스가 프랑스 연합 내에서 제한적인 자치권을 얻게 되면서 ''펭 쌋 라오''는 다시 국가로 지정되어 라오스 왕국 시기 동안 사용되었다.[6]

1975년, 북베트남의 지원을 받은 파테트 라오가 라오스 내전에서 승리하여 라오 인민 민주 공화국을 수립하였다. 새로운 공산주의 정부는 기존의 왕정을 폐지하고 마르크스주의 이념을 반영하여 국가의 가사를 수정했다. 수정된 가사는 특정 라오족이나 불교에 초점을 맞추는 대신, 라오스의 모든 민족 집단을 아우르는 포괄적인 내용을 담게 되었으며, 멜로디는 기존의 것을 그대로 유지하였다.[7][8]

2. 1. 라오 왕국 (1947-1975)

''"Lao Hak Xat"'' 또는 ''"애국 라오스"'' (, ), 마하 푸미 칫타퐁이 작사하고 1941년 12월 ''Hymnes & pavillons dʼIndochine''에 게재된 ''Pheng Xat Lao''의 원본 가사.


1893년부터 프랑스의 보호령이 되어 프랑스 식민 제국의 일부였던 라오스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프랑스가 나치 독일에 함락되자 변화를 맞이했다. 프랑스 식민 정부는 시암(태국)의 영토 회복 시도를 막고 라오스인들의 지지를 얻기 위해 라오스 민족주의를 장려했다.[1]

이러한 분위기 속에서 라오스의 독자성을 강조하는 여러 애국가가 만들어졌는데,[2] 그중 하나가 바로 ''"Pheng Xat Lao"''(펭 쌋 라오)이다. 이 곡은 1941년 통디 순톤비칫(Thongdy Sounthonevichit)이 작곡하고,[3] 마하 푸미(Maha Phoumi)가 ''"Lao Hak Xat"''(라오 학 삿, 애국 라오스)라는 제목으로 가사를 썼다.[4]

1945년, 일본 점령군은 라오스 국왕에게 프랑스로부터의 독립 선언을 강요했고, 이때 ''"Pheng Xat Lao"''가 국가로 처음 채택되었다.[5] 그러나 일본의 항복 이후 프랑스가 프랑스령 인도차이나의 통제권을 다시 확보하면서 이 독립은 오래가지 못했다.[1] 1947년, 프랑스는 프랑스 연합 내에서 라오스에 제한적인 자치권을 부여했고, ''"Pheng Xat Lao"''는 다시 라오 왕국의 국가로 공식 지정되었다.[6]

2. 2. 라오 인민 민주 공화국 (1975-)

1975년, 북베트남의 주요 지원을 받은 파테트 라오가 라오스 내전에서 승리하였다. 이로 인해 새로운 공산주의 정부가 수립되었고 군주제는 폐지되었다. 새 정부는 마르크스주의 이념을 국가에 반영하기 위해 가사를 변경하였다.[7] 변경된 가사는 특정 라오족이나 불교에 초점을 맞추는 대신, 라오스의 모든 민족 집단을 아우르는 포괄적인 내용을 담게 되었다. 하지만 기존 국가의 멜로디는 그대로 유지되었다.[8]

3. 가사

라오스의 국가는 시대 변화에 따라 가사가 변경되었다. 크게 라오스 왕국 시기(1947년 ~ 1975년)와 라오인민민주공화국 수립 이후(1975년 ~ 현재)로 나눌 수 있다. 각 시대별 가사의 자세한 내용은 아래 하위 문단에서 확인할 수 있다.

3. 1. 1975년 ~ 현재

1975년 라오인민민주공화국 수립 이후 현재까지 사용되는 국가이다. 이 국가는 라오스 민족의 오랜 역사와 자긍심을 노래하며, 모든 인민의 단결과 평등, 그리고 독립자유를 수호하려는 의지를 강조한다.[9][10] 가사에는 과거 프랑스의 식민 지배와 미국의 간섭을 상징하는 '제국주의자'와 '반역자'를 경계하며 외부의 간섭을 배격하고 내부 단결을 통해 국가의 독립자유를 지키겠다는 결의가 담겨 있다.[11] 또한 국가의 번영을 향한 염원을 표현하고 있다.

3. 1. 1. 라오어 가사

라오 문자한글라틴 문자 표기타이 문자
ຊາດລາວຕັ້ງແຕ່ໃດມາ쌋 라오 땅때 다이마Xat Lao tangtae daimaซาดลาวตั้งแต่ใดมา


3. 1. 2. 한국어 해석

예로부터 라오스 인민들은 모국을 영광스럽게 해왔노라

단결된 마음으로 영혼과 힘을 하나로 모아

과감하게 앞으로 나아가 라오스 인민의 명예를 존중하고 드높이며,

주권을 가질 권리를 선언하는 라오스의 모든 인민들은 동등하여라

더 이상의 제국주의[13]는 없으며, 인민을 해칠 배신자도 없다.

라오스 인민들은 라오스독립자유를 지켜내리라.

그리고 위대한 승리와 조국의 번영을 위하여 투쟁할 준비가 되어있도다!

3. 2. 1947년 ~ 1975년

1947년부터 1975년까지 라오스 왕국의 국가로 사용된 곡이다. 가사는 라오스인들이 아시아에서 떨쳤던 과거의 명성을 언급하며 시작한다. 라오스 국민들의 애국심과 단결, 국왕에 대한 충성심, 그리고 조상 대대로 내려온 상좌부 불교 신앙과 영토를 지키려는 의지를 강조한다. 또한 외부의 위협이나 침략에 맞서 죽을 때까지 싸우겠다는 강력한 저항 정신과 민족의 영광을 되찾으려는 염원을 담고 있다.

3. 2. 1. 라오어 가사

라오 문자한글 발음라틴 문자 표기
ຊາດລາວຕັ້ງແຕ່ເດີມມາ쌋 라오 땅때 덤마Xat Lao tangtae doemma



라오어 원문라오어 로마자 표기법직역시적인 영어 번역 (가창 가능)
{{lang|lo|ຊາຕລາວຕັ້ງແຕ່ເດີມມາSāt Lāo tangtǣ dœ̄mmā옛날 우리의 라오스 국민라오스 민족은


3. 2. 2. 한국어 번역



오래전부터 온 아시아에 잘 알려진 라오인의 나라

사랑으로 보살피며 함께하며 하나되며, 라오인은 관계를 맺었다.

국민을 사랑하고, 우리 나라를 사랑하자. 임금을 섬기고, 조상을 섬기며, 옛 사람들을 섬기자.

조상의 때부터 뿌리를 잇고, 종교를 보살피며 우리 의 흙을 지키자.

어떤 나라도 침입하고, 힘을 쓰고, 위협하고, 빼앗고, 차지하지 못하도록 하자.

침입하고, 힘을 쓰고, 위협하고, 빼앗고, 차지하려 발을 딛는 자는 누구든 마지막 숨이 남을 때까지 싸우게 되고, 우리는 적 앞에 당당히 서 있을 것이다.

돕고 응원하며 모든 혈육과 모든 인종이 힘을 내며 모든 것을 되찾을 것이다.


참조

[1] 웹사이트 History of Laos http://www.lonelypla[...] Lonely Planet 2013-05-08
[2] 서적 Youth Mobilization in Vichy Indochina and Its Legacies: 1940 to 1970 https://books.google[...] Lexington Books 2013-05-09
[3] 서적 Laos in Pictures https://books.google[...] Twenty-First Century Books 2013-05-09
[4] 웹사이트 ປະເທດລາວ ໑໙໕໐ Laos mil neuf cent cinquante https://sayasackp.fr[...] Government of Laos 2023-01-18
[5] 웹사이트 Laos https://www.cia.gov/[...] CIA 2013-05-09
[6] 간행물 Laos http://ic.galegroup.[...] Charles Scribner's Sons 2013-05-09
[7] 서적 Spirits of the place: Buddhism and Lao religious culture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Hawaii Press 2013-05-09
[8] 서적 Revolution, Reform and Regionalism in Southeast Asia: Cambodia, Laos and Vietnam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3-01-11
[9] 웹사이트 ປະຕູເອເລັກໂຕນິກ ລັດຖະບານລາວ https://web.archive.[...] 2022-01-31
[10] 웹사이트 Laotian National Anthem (Pheng Xat Lao) http://asean.dla.go.[...] 2022-01-31
[11] PDF https://www.loc.gov/[...] 2022-03-01
[12] 웹 이전 가사 http://nationalanthe[...]
[13] 문서 프랑스를 의미한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