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오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라오인은 타이족의 일파로, 주로 라오스에 거주하는 민족이다. 6세기경 태국 북부에 정착한 후, 일부는 라오스로 이주하여 란쌍 왕국을 세웠다. 란쌍 왕국은 분열과 외세의 침략을 겪으며 국제적 위상이 낮아졌지만, 라오스 지역에 오랫동안 영향력을 유지했다. 프랑스 식민 통치와 독립 투쟁을 거쳐 라오 인민 민주 공화국이 수립되었고, 현재 라오스 인구의 다수를 차지한다. 언어는 라오어를 사용하며, 상좌부 불교와 애니미즘이 혼합된 종교 문화를 가지고 있다. 전통 음식은 찹쌀과 생선을 기반으로 하며, 독특한 음악인 머럼(람라우)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타이족 - 명나라와 타이족
명나라와 타이족의 관계는 14세기 말 명나라가 윈난 지역의 타이족을 포함한 여러 민족을 통치하려 하면서 시작되었으며, 명나라는 윈난성에 대한 직접적인 통치를 시도하는 과정에서 군사적 압박과 무력 진압을 통해 타이족에게 피해를 입혔다. - 타이족 - 타이인
타이인은 태국인을 포함하는 민족으로, 동남아시아에 거주하며, '인간'을 의미하는 단어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있고, 중국 남부에서 기원하여 다양한 문화와 접촉하며 태국 문화를 형성했고, 상좌부 불교를 믿으며 독특한 종교적 관습을 가지고 있다. - 캄보디아의 민족 - 샨족
샨족은 자신들을 '타이'라 부르는 타이어 사용자 민족으로, 동남아시아에 거주하며 여러 하위 집단으로 구성되어 상좌부 불교 중심의 독자적인 문화를 가졌으나 미얀마 정부와의 분쟁으로 독립 투쟁 및 망명 생활을 하고 있다. - 캄보디아의 민족 - 버마족
버마족은 미얀마의 다수 민족으로, 주로 이라와디강 유역에 거주하며 윈난성에서 이주하여 몬족과 퓨족을 흡수했고, 상좌부 불교를 믿으며 버마어를 사용하는 독특한 문화를 지니고 있다. - 라오스의 민족 - 라오스인
라오스인은 라오스의 주민을 지칭하며, 라오스 정부는 라오룸, 라오틍, 라오쑹의 세 가지 주요 민족으로 분류하여 국민 통합을 추구한다. - 라오스의 민족 - 몽족
몽족은 중국 남부와 동남아시아에 거주하며 '자유로운 사람'을 뜻하는 고유 명칭 '몽'을 사용하지만 중국에서는 '묘족'으로 불리며, 17세기 이후 동남아시아로 이주하여 전 세계에 디아스포라를 형성, 복잡한 역사와 문화를 지닌 민족이다.
라오인 | |
---|---|
기본 정보 | |
![]() | |
종교 | 상좌부 불교 라오 민간 신앙 |
인구 통계 | |
전체 인구 | 약 2,200만 명 (라오 이산인 포함) |
라오스 | 3,427,665명 |
태국 | 17,822,432명 (라오 이산인 포함, 2010년) |
프랑스 | 200,000명 |
미국 | 200,000명 (2015년) |
캄보디아 | 23,400명 (크메르 라오족 포함) |
캐나다 | 24,580명 (2016년) |
미얀마 | 17,000명 |
베트남 | 17,532명 |
독일 | 4,000명 |
일본 | 3,602명 (2023년 12월 15일) |
아르헨티나 | 2,000명 |
벨기에 | 1,067명 |
언어 | |
언어 | 라오어 |
민족 관계 | |
관련 민족 | 다른 타이족 (예: 검은 타이족, 이산족, 다이족 등) |
2. 역사
타이족의 일파인 라오인은 6세기 무렵 찌엔센(태국 북부 치앙라이주)에 도달하였고, 11세기에는 파야오(태국 북부 파야오주)에 도달하였다. 이 중 파야오를 뒤로하고 메콩강 동부, 즉 현재의 라오스 지역에 이주한 집단이 있었는데, 이들이 현재의 라오인이다.
이후 라오인은 크메르 왕조를 물리치고 란쌍 왕국을 성립시켰다. 란쌍 왕국은 내전으로 분열되고 주변국의 침입을 받아 쇠퇴하였으며, 라오인의 국제적 위상도 낮아졌다. 같은 타이족인 시암인들은 라오인을 같은 민족으로 여기면서도 '변방인'으로 천대했고, 이는 라오인에게 민족주의 의식을 불러일으켰다.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시대에는 베트남인 관리 채용, 라오 어 교육 및 출판 금지 등으로 라오인의 문화가 억압받으면서 민족주의가 더욱 고양되었다.
이후의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을 참고.
2. 1. 타이족의 이동과 정착
타이족의 일파인 라오인은 6세기 무렵 찌엔센(태국 북부 치앙라이주)에 도달하였고, 11세기에는 파야오(태국 북부 파야오주)에 도달하게 된다. 이 중에서 파야오를 뒤로하고 메콩강 동부, 라오스에 이주한 집단이 있었다. 이것이 현재의 라오인이다. 난 왕조사에도 푸카 왕국 초기에 두 명의 왕자 중 하나가 난 메콩 동해안에 이주했다는 이야기가 있어, 이것이 라오스 최초의 왕조인 란쌍 왕조가 되었다고 하는 설이 있지만, 진위 여부는 명확하지 않다. 라오인은 크메르 왕조를 물리치고 왕국을 성립시켰는데, 이것이 앞에서 말한 란쌍 왕국이다. 이 란쌍 왕국은 이후 내전으로 분열되어 주변국의 군사적 침입을 받아 쇠퇴하였다.[19][20]2. 2. 란쌍 왕국 시대 (14세기 ~ 18세기)
타이족의 일파인 라오인은 6세기 무렵 찌엔센(태국 북부 치앙라이 현)에 도달하였고, 11세기에 파야오(태국 북부 파야오 현)에 도달하게 된다. 이 중에서 파야오를 뒤로하고 메콩강 동부, 라오스에 이주한 집단이 있었는데, 이들이 현재의 라오인이다. 난 왕국 역사에도 푸카 왕국 초기에 두 명의 왕자 중 하나가 난 메콩 동해안에 이주했다는 이야기가 있어, 이것이 라오스 최초의 왕조, 란쌍 왕조가 되었다고 하는 설이 있지만, 진위 여부는 명확하지 않다. 라오인은 크메르 왕조를 물리치고 왕국을 성립시켰는데, 이것이 바로 란쌍 왕국이다.
"백만 마리 코끼리의 땅"으로 알려진 란쌍 왕국은 1354년에 솜뎃 프라 차오 파 응움(1354 - 1373 AD)이 무앙 수아(ເມືອງຊວາ|므앙 수아lo)로 돌아오면서 시작되었고, 그 후 "씨엥 통"(ຊຽງທອງ|씨엥 통lo)으로 이름을 바꾸었으며 현재는 루앙프라방으로 알려져 있다. 란쌍은 오늘날 라오스 전체와 태국의 코랏 고원뿐만 아니라 중국 남부의 십이판나, 베트남 북서부의 십이 총 타이, 미얀마의 껭통, 캄보디아의 스퉁트렝 일부 지역까지 영향력을 확장했다.
강력한 란쌍 왕국은 실크로드에 수도가 위치하고 동남아시아 불교의 중심지 역할을 하면서 부와 영향력을 얻었다.[24] 이 왕국은 메콩강을 통한 강 운송과 시암의 항구로 이어지는 육상 캐러밴 경로를 통해 번성했는데, 시암은 해상 무역의 번성하는 앙트레포(중계 무역항)로 부상했으며, 중국 남부 및 기타 타이 무앙으로도 이어졌다. 프라 차오 수리야봉사(ພຣະເຈົ້າສຸຣິຍະວົງສາທັມມິກຣາດ|프라 차오 수리야봉사lo) (1634–1697 AD) 통치 기간 동안 최초의 서양인 방문객들은 왕국이 금, 벤조인 수지, 락 및 래커 제품, 약초, 상아, 비단 및 비단 옷, 목재 수출을 통해 번성하는 것을 주목했다. 씨엥 통(현재 루앙 프라방)과 비엔티안의 수많은 사찰이 이를 증명한다.[25]
이 시기에 쿤 보롬의 전설이 야자 잎 사본에 기록되었고 라오 고전 서사시 신 사이가 작곡되었다. 상좌부 불교는 국교였고 비엔티안은 불교 학문의 중요한 도시였다. 불교 외의 문화적 영향으로는 나중에 왕국에 동화된 몬족 전초 기지와 크메르족이 있었다. 프라 차오 사이 셋타티랏(ພຣະເຈົ້າໄຊເສດຖາທິຣາດ|프라 차오 사이 셋타티랏lo) (1548–1572 AD) 치하에서 란나타이와 란쌍의 왕관이 잠시 통합되면서 일부 건축 및 예술 발전이 이루어졌다. 란나타이의 도서관이 복사되었으며, 종교 문헌도 많이 포함되었다. 이로 인해 종교적 기록을 위해 몬 기반의 투아 탐 또는 '법 스크립트'가 채택되거나 재채택되었을 수 있다.[25]
란쌍 왕국은 이후 내전으로 분열되어 주변국의 군사적 침입을 받아 쇠퇴의 길에 접어들어다. 왕국은 루앙 프라방, 비엔티안, 참파삭(ຈຳປາສັກ|참파삭lo)에서 통치하는 세 개의 경쟁 세력으로 분열되었다. 왕국들은 빠르게 시암의 지배를 받게 되었다. 란쌍의 잔존 세력은 탁신의 원정과 라마 3세 통치 기간 동안 시암에 대항한 짜오 아누봉(ເຈົ້າອະນຸວົງ|짜오 아누봉lo)의 라오스 반란에 대한 보복으로 18세기와 19세기에 마지막 타격을 입었다. 이 두 기간 동안 비엔티안과 다른 도시들은 약탈당했고, 불상과 예술품은 태국으로 옮겨졌다.[26] 도시와 많은 인구가 강제로 이주되어 이산과 태국 중부의 인구 밀도가 낮은 지역에 정착했으며, 다른 사람들은 부역 프로젝트에 동원되어 노예가 되었다.[27] 그 결과 라오스 예술과 언어는 태국 중부로 유입되었다. 프랑스인이 1868년 라오스에 도착했을 때, 그들은 비엔티안 대도시조차 숲 속으로 사라진 인구 감소 지역만을 발견했다.[26]
2. 3. 분열과 외세의 지배 (18세기 ~ 20세기 초)
타이족의 일파인 라오인은 6세기 무렵 찌엔센(태국 북부 치앙라이 현)에 도달하였고, 11세기에는 파야오(태국 북부 파야오 현)에 도달하였다. 이 중 파야오를 뒤로하고 메콩강 동부, 라오스에 이주한 집단이 현재의 라오인이다. 난 왕국 역사에도 푸카 왕국 초기에 두 왕자 중 하나가 난 메콩 동해안에 이주했다는 이야기가 있어, 이것이 라오스 최초의 왕조, 란쌍 왕조가 되었다고 하지만, 진위 여부는 명확하지 않다. 라오인은 크메르 왕조를 물리치고 왕국을 성립시켰는데, 이것이 란쌍 왕국이다.이 란쌍 왕국은 이후 내전으로 분열되어 주변국의 군사적 침입을 받아 쇠퇴하였다. 이러한 상황으로 인해 라오인의 국제적 위상은 낮아졌다. 오랫동안 현재의 라오스 지역에 영향력을 계속 유지하며, 같은 타이족인 시암인이 통치한 아유타야 왕조, 차크리 왕조의 군주는 라오인을 같은 민족으로 간주했지만, 다른 한편으로 라오인을 ‘변방인’으로 간주하고 일종의 천대를 하였다. 이러한 천대는 라오인에게 시암 타이족과 다른 민족이라는 의식, 즉 일종의 민족주의를 초래했다.
이후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시대에는 베트남인이 관리로 채용되면서 라오 어에 의한 교육 및 출판 등도 허용되지 않았으며, 라오인의 문화는 퇴색하게 되었다. 이러한 문화적 억압도 라오인의 민족주의 고양을 자극하게 했다.[30][31][32][33][34]
2. 4. 프랑스 식민 통치와 독립 투쟁 (20세기 초 ~ 1975년)

라오스는 오랫동안 현재의 라오스 지역에 영향력을 행사해 왔으며, 같은 타이족인 시암인이 통치한 아유타야 왕조, 차크리 왕조의 군주는 라오인을 같은 민족으로 간주했지만, 한편으로 라오인을 ‘변방인’으로 간주하고 일종의 천대를 했다. 이러한 천대는 라오인에게 시암 타이족과 다른 민족이라는 의식, 즉 일종의 민족주의를 초래했다. 이후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시대에는 베트남인이 관리로 채용되면서 라오 어에 의한 교육 및 출판 등도 허용되지 않았으며, 라오인의 문화는 퇴색하게 되었다. 이러한 문화적 억압도 라오인의 민족주의 고양을 자극하게 했다.[28]
당시 시암에 병합되었던 라오스 지역은 프랑스에 의해 탐험되었으며, 오귀스트 파비의 지휘 아래 프랑스는 메콩강을 통제하려 했다. 프랑스는 베트남의 지배자로서 란상의 잔존 영토를 포함한 베트남의 모든 지류를 원했다. 이는 프랑스의 군함 외교와 1893년 프랑스-시암 전쟁으로 알려진 국경 분쟁으로 이어졌고, 시암은 현대 라오스를 구성하는 대부분의 지역에 대한 주장을 포기해야 했다.[28]
프랑스는 라오스가 '북동 태국'이라고도 알려진 이산의 형제들과 마찬가지로 태국 국가의 지역 하위 범주가 되는 것을 막고 보존했다. 루앙프라방, 참파삭, 비엔티안의 왕들 사이의 이전 역사적 경쟁과 마찬가지로, 독립 후 라오스는 참파삭의 분 움 왕자(ເຈົ້າບຸນອຸ້ມ ນະ ຈຳປາສັກ|분 움 나 참빠삭lo), 수반나 푸마 왕자(ເຈົ້າສວັນນະພູມາ|수완나푸마lo) 아래 중립주의자, 그리고 이복 형제인 수파누봉 왕자(ເຈົ້າສຸພານນະວົງ|수파누웡lo) 아래 공산주의 파테트 라오(ປະເທດລາວ|빠텟 라오lo)로 빠르게 분열되었다. 이러한 내부 분열은 냉전과 이 지역이 빠르게 베트남 전쟁에 끌려 들어가면서 1975년 공산주의 승리까지 끝나지 않을 정부 통제권을 위한 장기간의 전투로 이어졌다.[29]
2. 5. 라오 인민 민주 공화국 수립 이후 (1975년 ~ 현재)
1975년 공산주의 세력의 승리까지 라오스는 내부 분열과 냉전, 베트남 전쟁의 영향으로 오랜 기간 동안 정부 통제권을 위한 전투를 겪었다.[29] 라오스 내전은 국가에 큰 피해를 입혔지만, 이후 라오스는 규제 완화와 무역 개방을 통해 경제 성장을 이루어냈다.[29] 최근 몇 년 동안 라오스는 아시아에서 두 번째로 빠르게 성장하는 경제를 기록했다.라오스는 북부 도시 루앙프라방을 관광지로 홍보하여 성공을 거두었으며, 관광객들이 탁발에 참여할 수 있는 종교 중심지로서의 역할도 하고 있다.
3. 분포
라오족은 라오스뿐만 아니라 태국, 캄보디아, 베트남 등 주변 국가에도 분포하고 있다. 라오스 내 라오족은 인구의 다수를 차지하며, 주로 저지대에 거주한다. 태국에는 이산족이라 불리는 라오족이 많이 살고 있는데, 이들은 태국 북동부 지역의 다수를 차지하며, 방콕 등 대도시에도 퍼져있다.
캄보디아와 베트남에도 소규모 라오족 공동체가 존재한다. 특히 베트남에는 베트남 전쟁과 파테트 라오(라오스 애국 전선)의 내란을 피해 이주해온 라오족이 상당수 있다.
3. 1. 라오스
라오스에는 약 360만 명의 라오족이 있으며, 이는 인구의 약 68%를 차지한다(나머지는 주로 고산족 사람들이다).[36] 라오스의 라오족은 ''라오 룸''(저지 라오족)의 대부분을 형성한다.[36] 소규모 라오스 공동체는 태국과 캄보디아(주로 옛 라오스 영토인 스퉁트렝)과 베트남에 거주한다.50만 명이 넘는 상당수의 라오족이 해외에 거주하고 있다.[36] 인도차이나 밖으로의 라오스 이주는 20세기 초 프랑스령 라오스 시대에 처음 발생했다. 이 기간 동안 라오스 학생과 노동자들이 프랑스로 왔으며, 여기에는 라오스 왕가의 구성원도 포함되었고, 그중 일부는 영구적으로 정착했다.[35] 그러나 대부분의 라오스 이민자는 라오스 내전(더 넓은 베트남 전쟁의 일부) 이후와 새로운 공산주의 파테트 라오 정부로부터 도망친 난민이었다.[36] 라오스 난민의 주요 망명지는 미국, 프랑스, 캐나다, 호주였다.[36] 프랑스, 일본, 아르헨티나, 싱가포르와 같은 다른 국가들도 라오스 난민을 받아들였다.
2010년 미국 인구 조사에 따르면 라오스 출신 미국인이 20만 명이 넘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며, 2012년 추산에 따르면 약 14만 명의 라오족이 프랑스에 거주하고 있으며, 그 중 절반 이상이 파리와 주변 일드프랑스 지역에 거주한다.
약 2천만 명의 ''라오 이산''이 태국에 있으며, 주로 태국 북동부의 코랏 고원과 방콕 및 그 주변에 거주하고 있다.
라오스 정부가 정의하는 라오인은 다음과 같다.
- Lao Loum|저지 라오족영어(라오룸)
- 구릉지 라오족 (라오퉁)
- Lao Song|고지 라오족영어(라오쑨)
그러나, 이는 언어 등에 따른 분류가 아니라 거주지의 높낮이에 따른 문제이며, 소수 민족의 존재가 무시된 분류법이다. 이는 라오스 정부가 전국민의 48%를 차지하는 소수 민족을 라오인으로 정의함으로써, 동화를 촉진하고 소수 민족이 내란의 원인이 되지 않도록 하려는 의도라고 한다.
라오스 국내에는 240만 명(1995년 센서스)의 라오족이 거주하고 있으며(라오족을 포함한 타이카다이어족 전체로는 300만 명이다), 이는 국민의 52%를 차지한다. 한편 태국 국내의 라오족(이산인)은 태국 국민의 약 3분의 1을 차지한다고 한다. 이 이산인이라고 불리는 사람들은 태국 북동부의 다수이지만, 방콕 등으로 돈을 벌기 위해 나가기 때문에, 국내에 점재하고 있다. 라오족은 캄보디아에도 일부가 거주하고 있으며, 베트남 전쟁이나 파테트 라오(라오스 애국 전선)에 의한 내란으로 베트남으로 도망간 그룹이 약 50만 명 있다.
3. 2. 태국
라오족은 태국 인구의 약 3분의 1을 차지하며, 주로 이산 지역에 거주한다. 이들은 동북 태국의 다수 민족이지만, 방콕 등 대도시로 일자리를 찾아 떠나는 경우가 많아 태국 전역에 퍼져 있다. 역사적으로 이산 지역은 란쌍 왕국의 일부였으나, 많은 라오족이 태국 남부 및 서부 지역으로 강제 이주되거나 태국에 충성하는 지역의 인구를 늘리기 위해 보내졌다. 20세기 초 나콘라차시마에 철도가 연결되기 전까지 이산 지역은 펫차분 산맥으로 인해 태국 다른 지역과 고립되어 있었고, 이는 라오 문화 보존에 기여했다.[30]이산 지역은 라오족 외에도 베트남족, 참족, 몬족, 크메르족 등 다양한 민족이 섞여 사는 곳이지만, 라오족이 다수를 차지한다. 태국 중앙 정부는 이산 지역에서 라오족의 문화적, 정치적 영향력을 위협으로 인식하여[31] 타이화 정책을 통해 이들을 태국에 통합시키려 했다. '라오'라는 명칭은 인구 조사에서 삭제되었고, 라오족의 언어와 역사에 대한 언급은 금지되었다.[32]
최근에는 라오 TV 위성 신호가 이산 지역에서 수신되면서 라오 대중 매체가 다시 유입되고 있다. 라오 팝 음악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 라오스뿐만 아니라 태국에서도 라오 콘서트가 개최된다. 태국 국영 채널은 라오 미디어를 태국 전역에 방송하고, 라오스에는 태국 미디어를 방송하여 문화 교류가 이루어지고 있다.
라마 3세 시대 아누봉의 반란(1828) 이후 비엔티안 왕국에서 많은 라오족이 방콕으로 이주했으며, 이들은 태국인과 완전히 융합되었다. 라마 4세 시대에는 태국 전역에 약 100만 명의 라오족이 있었고, 방콕에만 약 20만 명이 거주했다. 방콕의 라오족 공동체는 톤부리의 방이칸, 방 사이 카이, 프라 나콘(방콕 중심)의 방쿤프롬 등에 있었다. 방 사이 카이의 라오족은 여전히 조상의 전통을 일부 계승하고 있다.[34]
4. 언어
라오족은 라오어를 모국어로 하며, 라오 문자를 사용한다. 라오어는 타이카다이어족에 속하는 성조 언어이자 분석적 언어이며, 태국어 및 기타 타이족 언어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어휘의 대부분은 고유한 타이 어원에서 유래되었지만, 팔리어와 산스크리트어, 그리고 몬크메르어에서도 영향을 받았다. 라오족은 5개의 주요 방언을 사용하지만, 모두 상호 이해가 가능하며 라오족은 모두 하나의 언어의 변형을 사용한다고 믿는다.[37]
4. 1. 라오스
라오족은 라오어를 모국어로 하며, 라오 문자를 사용한다.[38] 라오어(ພາສາລາວlo)는 라오 인민 민주 공화국의 공식 언어이다.[38] 라오 문자를 공식 표기 문자로 사용한다.[38] 라오 룸과 라오족 인구 대다수가 라오어를 사용하므로 교육, 정부, 공식적인 사용에서 지배적인 언어로 자리 잡았다.[38] 인구의 약 절반은 오스트로아시아어족, 시노티베트어족, 오스트로네시아어족, 흐몽-미엔어족에 속하는 여러 소수 언어를 사용한다. 철자가 완전히 통일되지는 않았지만, 언어를 음성 체계에 더 가깝게 만들기 위한 여러 개혁이 언어 안정에 기여했다. 공식적인 표준은 없지만 비엔티안 방언이 사실상 공식 언어로 간주된다.4. 2. 태국
라오 방언은 태국 북동부 이산까지 확장되지만, 태국에서 사용되는 라오어는 태국어 어휘 차용과 언어 전환으로 구별될 수 있다. 이 언어는 학교, 정부, 대부분의 미디어에서 가르치거나 사용되지 않는다. 태국화 정책으로 인해 문자가 제거되었고, 현재는 태국 문자로 작성되며, 라오스와의 정치적 연계를 끊기 위해 이산어로 이름이 변경되었다.[39] 그럼에도 불구하고, 라오어는 태국 인구의 거의 3분의 1에 해당하는 2천만 명이 사용하며,[39] 이산 가구의 88%가 이 언어를 주 언어로 사용한다. 라오어는 중요한 지역 언어이자 이산(즉, 라오) 정체성의 상징으로 계속 기능하지만, 태국어의 발전으로 쇠퇴를 겪고 있다.[40]5. 문화
코랏 분지 외곽에 위치하며 북쪽과 동쪽이 산으로 둘러싸여 있어 비가 적고, 토양 배수가 좋지 않아 비가 오면 바로 범람하는 지리적 특성을 보인다. 이러한 환경으로 인해 라오인의 음식 문화는 검소한 편이며, 찹쌀과 생선을 이용한 음식이 전통적이다. 라오스 내 라오족은 프랑스 요리의 영향으로 프랑스 빵도 즐겨 먹는다.
종교는 상좌부 불교(소승 불교)가 주류이지만, 정령 신앙(애니미즘)의 영향도 강하게 나타난다.[41]
음악은 머럼(모람 또는 람라우)이라는 독특한 형태가 있다. 그러나 현재는 방콕에서 이산인들이 주로 생산하고 있다.[1]
5. 1. 종교


라오스의 종교는 매우 혼합적인 성격을 띠며, 대부분의 라오스인들은 상좌부 불교 신자라고 주장하지만, 많은 전통은 정령 신앙(애니미즘)의 관습에서 파생되었다.[41]
불교(ພຣະພຸດທະສາສນາ|프라풋타사사나|lo)는 라오스에서 가장 인기 있는 국교로, 라오스 인구의 67%가 불교를 믿으며, 거의 모든 라오족이 불교를 따른다. 불교는 토착 신앙으로 간주되는 다른 많은 민족 집단에도 영향을 미쳤기 때문에 이 수치는 훨씬 더 높을 수 있다.[41] 또한 라오스 국경 너머 대부분의 국가에서도 불교가 주된 종교이다. 이 중 대부분은 상좌부 불교(ເຖຣະວາດ|테라왓|lo)의 종파를 따르지만, 대승 불교의 역사적 영향도 남아 있으며, 라오족 사이에 정착한 베트남인과 중국인 소수 민족의 주요 종파이기도 하며, 토착 신앙과 융합되었다.
라오스 공동체의 사찰은 지역 사회의 중심지로, 마을 사람들이 모여 걱정거리를 논의하거나 승려에게 지혜와 지도를 구하며, 대부분의 남성은 종교적 지식을 넓히고 공덕을 쌓기 위해 어느 시점에서 출가하는 것으로 기대된다.
종교적 생활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다섯 가지 불교의 오계 (ປັນຈະສິນ|반짜신|lo)이며, 즉 살생, 도둑질, 성적 부도덕, 거짓말, 음주를 삼가는 것이다. 불교 신앙에서 비롯된 라오스 문화적, 행동적 특징에는 관용, 연장자에 대한 존경과 가족의 위계, 이타심, 세속적인 선과 관심에 대한 초연함, 어린 형제자매에 대한 배려, 예의, 자기 부정, 겸손 등이 있다. 기본적인 믿음에는 윤회와 업이 포함된다.[42]
불교와 관련된 중요한 공휴일로는 분 프라 벳 (ບຸນພຣະເວດ|분프라벳|lo), 마가 푸자(ມະຄະບູຊາ|마카부사|lo), 송크란(ສັງຂານ|상칸|lo), 석가탄신일(ວິສາຂະບູຊາ|위사카부사|lo), 우안 카오 판사(ວັນເຂົ້າພັນສາ|완카오판사|lo), 완 아옥 판사(ວັນອອກພັນສາ|완억판사|lo), 카티나(ກະຖິນ|까틴|lo) 등이 있다. 이러한 날 외에도, 음력의 주기에 따른 불교 안식일(ວັນພຣະ|완프라|lo)과 사찰 축제는 사찰을 방문하여 기도하고, 영적인 문제에 대해 승려의 조언을 구하고, 음식, 돈을 기부하거나, 라오어로 ''탐분'' (ທຳບຸນ|탐분|lo)이라고 알려진 사찰의 잡일을 돕는 정기적인 시간이다.
라오스 민간 신앙은 대부분의 몬크메르족과 비교적 최근에 정착한 흐몽-미엔족 및 티베트-버마족 소수 민족의 토착 신앙이며, 불교 이전 태족의 전통 신앙이기도 하다. 오늘날에도 일부 태족 부족들은 여전히 민간 신앙을 따르고 있다. 라오족에게 토착 신앙은 불교와 힌두교 일부 요소와 얽혀 있다.
다양한 신들(ຜີ|피|lo)은 건물이나 지역, 자연, 사물 또는 현상의 수호신으로 숭배받는다. 그들은 또한 사람들을 보호하는 조상신 및 기타 영혼들이며, 악령도 포함한다. 사찰의 ''피 왓''(ຜີວັດ|피왓|lo)과 마을의 ''락 므엉''(ຫລັກເມືອງ|락므엉|lo)과 같은 지역의 수호신은 공동 모임과 음식 제물로 기념된다. 힌두교에서 유래한 신들도 신들 목록에 포함된다. 신들은 어디에나 존재하며, 그중 일부는 하늘, 땅, 불, 물과 같은 보편적인 요소와 연결되어 있다. 라오스 사람들은 또한 몸을 보호하는 ''콴''(ຂວັນ|콴|lo)으로 알려진 서른두 개의 영혼을 믿으며, 중대한 사건이나 불안한 시기에는 영혼을 몸에 묶어두기 위해 ''바시''(ບາສີ|바시|lo) 의식을 수행한다.
영혼의 집은 태국에서는 흔하지만, 라오스에서는 포티사랏 왕(16세기) 통치 기간에 영혼 숭배가 금지되어 흔하지 않다. 현대 라오스에서는 영혼의 집 숭배가 태국에서 매우 제한적으로 재도입되었다. 꽃, 향, 양초를 바치며, 보호와 도움을 위해 변화나 어려운 시기에 영혼들과 상담한다. 자연신에는 나무, 산, 숲에 거하는 신들이 포함된다. 사람들의 수호령에는 종종 조상이나 삶의 다양한 시점에 나타나는 천사와 같은 존재인 ''테와다''가 포함된다. 악령에는 전생에 악했거나 비극적인 죽음을 맞이한 사람들의 영혼, 예를 들어 끔찍한 ''피 팝''(ຜີປອບ|피뻡|lo)과 흡혈귀 ''피 딥''(ຜີດິບ|피딥|lo)이 있다. ''피''에는 토착, 비힌두교 신인 ''피 태엔''(ຜີແຖນ|피탠|lo)도 포함된다.[43]
''모피''(ໝໍຜີ|모피|lo)는 지역에서 훈련받은 무당으로, 의식 전문가이며, 자신의 영혼과 일반적인 신들과 소통하는 데 능숙하다. 무아경, 초자연적인 힘이 깃든 신성한 물건 또는 ''삭싯'', 빙의, 그리고 ''람 피 파''(ລຳຜີຟ້າ|람피파|lo) 또는 ''바시''와 같은 의식을 사용하여, 무당은 종종 악령이나 불행한 영혼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어려움, 악령에 시달림, 질병 또는 기타 불행이 있을 때 상담을 받는다.[44]
힌두교는 크메르 제국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으며, 왓 푸와 같은 그 시대 사원에서 힌두교적 주제의 예를 찾아볼 수 있다.[45] 사원은 고대 힌두교 사당 부지에 건설되는 경우가 많으며, 힌두교 신들의 조각상이나 모티프가 사원 밖에서 흔히 발견된다.
라오족은 라마야나를 현지 버전으로 채택하고 적용하여 프라락 프라람(ພຣະລັກພຣະຣາມ|프라락프라람|lo)으로 알려져 있다. 라오스 버전은 라오스 창조 신화와 얽혀 있으며, 자타카 이야기로 여겨지기 때문에 매우 존경받고 있다.[46] 힌두교는 애니미즘과 불교 모두에 쉽게 융합되었으며, 많은 힌두교 신들은 '피 탠'으로 간주되고 불교 승려들은 많은 브라만 의식을 통합했다. 라오스 사람들에게 독특한 점은 수로를 지배하는 뱀과 같은 반신인 나가에 대한 경외심이다.
5. 2. 음식

라오스 요리는 태국 및 캄보디아 요리와 유사하지만 몇 가지 고유한 특징이 있다. 라오스 요리의 가장 유명한 요리는 라프와 녹색 파파야 샐러드이며, 둘 다 라오스에서 유래되었다.[47] 라오스와 이산의 라오족 요리는 미세하게 갈라졌는데, 주요 차이점은 라오스 요리는 태국 요리의 영향을 받지 않고 이산 요리는 라오스 요리에 있는 많은 프랑스 요리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것이다. 쌀은 주식이며, 주요 품종은 찹쌀 또는 '카오 니오'(ເຂົ້າຫນຽວ|카오 니오lo)인데, 이 또한 이산과 북부 태국에서 라오스 요리의 영향을 받아 나타나는 특징이다. 때로는 국수나 기타 덜 인기 있는 쌀 품종으로 대체되기도 하지만, 일반적으로 다양한 소스와 소스, 생 야채, 함께 먹는 여러 요리와 함께 제공된다. 많은 요리는 매우 매운데, 다양한 종류의 고추로 불을 지르고 강한 허브와 발효된 생선 소스로 톡 쏘는 맛을 낸다.[48]
열대 기후와 산악 지형으로 인해 라오스는 다양한 기후를 가지고 있으며, 풍부한 식용 자원이 있어 전통적인 라오스 요리는 야생에서 채집한 채소와 허브, 논에서 나는 잡초, 채소밭에서 재배한 채소로 구성된다. 오이, 박, 양배추, 뱀콩, 콩, 참마, 물 시금치, 망고, 자몽, 파파야, 사탕수수 등 다양한 채소와 과일이 재배된다. 생 야채는 혀를 식히는 데 도움이 되도록 종종 식사와 함께 제공된다. 가장 인기 있는 고기는 민물고기이며, 이 고기는 두 가지 조미료인 피시 소스(ນ້ຳປາ|남 빠lo)와 파댁(ປາແດກ|빠 댁lo)를 만드는 데에도 사용된다. 기타 흔한 고기에는 돼지고기, 닭고기, 오리고기, 쇠고기, 계란, 물소가 있다. 단백질 섭취에는 도마뱀, 곤충, 개구리, 야생 사슴을 포함한 다양한 진미가 포함되며, 이 또한 숲에서 나온다. 흔한 음료는 차, 커피, 술이며, 여기에는 토종 쌀 와인인 '라오 라오'(ເຫລົ້າລາວ|라오 라오lo)가 포함된다. 이 요리는 주변 요리에서는 비교적 드문 박하와 딜을 사용하는 것으로 유명하다.[49]
코랏 고원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며, 북쪽과 동쪽이 산으로 둘러싸여 비가 적고, 토양의 배수가 좋지 않아 비가 오면 바로 범람하는 지리적 상황으로 인해 식문화는 매우 소박하며, 찹쌀에 생선이나 쏨땀이 전통적인 스타일이다. 라오스 국내의 라오족 요리는 프랑스 요리의 영향도 받아 프랑스 빵 등도 먹을 수 있다.
5. 3. 음악
음악에는 독특한 머럼(람라우)이라는 음악이 있다. 그러나 현재는 방콕에서 이산인들에 의해 생산된 것이 주류이다.[1]참조
[1]
서적
Peoples of the Buddhist World
William Carey Library
[2]
웹사이트
Results of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2015
https://lao.unfpa.or[...]
Lao Statistics Bureau
2020-05-01
[3]
웹사이트
ชาวต่างชาติในเมืองไทยเป็นใครบ้าง? (Foreigners in Thailand)
http://www.ms.ipsr.m[...]
2017-06-30
[4]
웹사이트
Présentation du Laos
http://www.diplomati[...]
French Ministry of Foreign Affairs
2017-07-14
[5]
웹사이트
U.S. Immigrant Population by Country of Birth, 2000-Present
http://www.migration[...]
2017-02-14
[6]
웹사이트
Immigration and Ethnocultural Diversity Highlight Tables
https://www12.statca[...]
2016-06-01
[7]
웹사이트
Report on Results of the 2019 Census
https://drive.google[...]
General Statistics Office of Vietnam
2020-05-01
[8]
웹사이트
Immigrant and Emigrant Populations by Country of Origin and Destination
https://www.migratio[...]
2014-02-10
[9]
웹사이트
在留外国人統計(旧登録外国人統計)
https://www.e-stat.g[...]
2023-12-15
[10]
문서
Southeast Asian refugees in Argentina
http://www.mininteri[...]
[11]
웹사이트
Wachtregister asiel 2012-2021
http://www.npdata.be[...]
2023-04-12
[12]
간행물
Introduction
https://doi.org/10.2[...]
University of Hawai'i Press
2009-07-29
[13]
서적
The Ch'in and Han Empires 221 B.C.-A.D. 220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6
[14]
문서
Formation of Ethnonyms in Southeast Asia
https://hal.inria.fr[...]
2009
[15]
서적
Practical Buddhism among the thai-lao: religion in the making of a region
Trans Pacific Press
2003
[16]
웹사이트
The Thai and Other Tai-Speaking Peoples
http://countrystudie[...]
[17]
서적
A History of Ayutthaya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7
[18]
서적
Laos Handbook
Footprint Publishers
2002
[19]
서적
The power of language over the past: tai settlement and tai linguistics in southern china and northern vietnam
Ek Phim Thai Co. Ltd.
2007
[20]
서적
A Short History of Southeast Asia
John Wiley and Sons Asia
2006
[21]
간행물
Layers of Chinese Loanwords in Proto-Southwestern Tai as Evidence for the Dating of the Spread of Southwestern Tai
http://www.manusya.j[...]
2014
[22]
문서
[23]
학술지
The Origins of the Sukhodaya Dynasty
http://www.siamese-h[...]
Siam Heritage Trust
2013-03-17
[24]
웹사이트
Town of Luang Prabang
https://whc.unesco.o[...]
[25]
서적
The Kingdoms of Laos
Curzon Press
2001
[26]
서적
Vientiane: transformations of a lao landscape
Routledge
2007
[27]
서적
Peoples of the Buddhist World: A Christian Prayer Guide
William Carey Library
2004
[28]
서적
A Short History of Laos: The Land in Between
Allen & Unwin
2002
[29]
서적
Use of Force: the practice of states since world war ii
Penn State Press
1997
[30]
서적
Isan: Regionalism in Northeastern Thailand
Cornell. Thailand Project
1967
[31]
웹사이트
Sons of Isan
https://books.google[...]
[32]
서적
Practical Buddhism among the Thai-Lao
Trans Pacific Press
2003
[33]
서적
Ethnicity and development
Wiley
1996
[34]
Youtube
ขรรค์ชัย-สุจิตต์ ทอดน่องท่องเที่ยว : ชีวิต "เชลยลาว" ในกรุงเทพฯ หลังศึก "เจ้าอนุวงศ์"
https://www.youtube.[...]
2023-06-01
[35]
간행물
Le Laos
Karthala
[36]
웹사이트
Knowledge of Immigrant Nationalities of Santa Clara County (KIN) - Laos
http://www.immigrant[...]
2013-12-22
[37]
간행물
ภาษาถิ่นตระกูลไทย
สถาบันวิจัยภาษาและวัฒนธรรมเพื่อการพัฒนาชนบทมหาวิทยาลัยมหิดล
"2531"
[38]
웹사이트
Lao pdr constitution
http://www.laoembass[...]
1997
[39]
서적
Peoples of the Buddhist world: a Christian prayer guide
William Carey Library
2004
[40]
웹사이트
Isan: the planning context for language maintenance and revitalization
http://www.usq.edu.a[...]
2004
[41]
웹사이트
Cia-the world factbook: laos
https://www.cia.gov/[...]
2010-01-05
[42]
서적
Working with asian americans: a guide for clinicians
The Guilford Press
2000
[43]
서적
Childbirth and Tradition in Northeast Thailand
Nordic Institute of Asian Studies
2007
[44]
서적
Shamanism: an encyclopedia of world beliefs, practices, and culture
ABC-CLIO, Inc.
2007
[45]
서적
A guide to khmer temples in thailand and laos
Weatherhill
1996
[46]
서적
Many Rāmāyaṇas: the diversity of a narrative tradition in South Asi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91
[47]
서적
Asian Bites
https://books.google[...]
[48]
서적
Food and population in a northeast thai villag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994
[49]
서적
Southeast asian food: classic and modern dishes from indonesia, malaysia, singapore, thailand, laos, cambodia and vietnam
Periplus editions
2003
[50]
간행물
Rainfed Lowland Rice Improvement
International Rice Research Institute
1996
[51]
간행물
Forest Monks and the Nation-State: An Anthropological and Historical Study in Northeastern Thailand
Institute of Southeast Asian Studies
1993
[52]
서적
Lao
William Carey Librar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