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나도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도나도나는 아론 제이틀린이 작사하고 숄롬 세쿤다가 작곡한 노래로, 1940-41년 사이에 제작되었다. 이디시어로 쓰여진 원곡은 영어로 번안되어 조안 바에즈에 의해 널리 알려졌으며, 이후 다양한 언어로 번역되어 불렸다. 2차 세계 대전 중 나치의 유대인 탄압을 연상시키는 가사로 인해 억압과 저항의 상징으로 해석되기도 하며, 한국에서는 1960년대부터 번안되어 민주화 운동 시기에 널리 불렸다. 이 노래는 다양한 해석과 함께 대중문화에서 널리 사용되며, 인터넷 슬랭으로도 활용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41년 노래 - Take the "A" Train
빌리 스트레이혼이 작곡하고 듀크 엘링턴 악단이 연주한 Take the "A" Train은 뉴욕 지하철 A선을 타고 할렘으로 가는 여정을 묘사하는 재즈 스탠더드 곡으로, 대중문화 속에서 꾸준히 사랑받고 있다. - 1941년 노래 - 라오스의 국가
라오스의 국가인 펭 쌋 라오는 1941년 채택되어 프랑스 식민지 시기, 독립 왕정 시대를 거쳐 1975년 사회주의 혁명 이후 가사가 변경되었지만 멜로디는 유지되어 현재까지 사용되고 있으며, 가사에는 라오스의 역사와 정신, 민족 통합, 독립 의지, 번영에 대한 염원이 담겨 있다. - 유대 음악 - 하바 나길라
하바 나길라는 "기뻐하자"라는 뜻의 히브리어 가사를 가진 유대 민속 노래로, 유대인 결혼식과 바르/바트 미츠바 행사 등에서 널리 연주되며 다양한 음악가들에 의해 연주 및 재해석되고 스포츠 경기 응원가나 올림픽 배경 음악으로도 사용되는 등 폭넓게 사랑받고 있다. - 유대 음악 - 교향곡 제1번 (번스타인)
교향곡 제1번 (예레미야)은 레너드 번스타인이 작곡한 3악장 교향곡으로, 구약성서의 예레미야의 예언과 예루살렘의 멸망을 주제로 하며, 3악장 비가에서는 메조소프라노 독창이 히브리어 가사를 노래한다.
도나도나 - [음악]에 관한 문서 | |
---|---|
노래 정보 | |
원래 이름 | 다나 다나 |
언어 | 이디시어 |
영어 이름 | 도나 도나 |
발표 | 1941년 |
작곡가 | 숄롬 세쿤다 |
작사가 | 아론 자이틀린 |
영어 가사 | 아서 케베스와 테디 슈워츠 |
2. 역사
〈도나도나〉는 1940-41년 사이 아론 제이틀린이 에스테르케 프로덕션에서 작사하였고, 샬롬 세쿤다가 작곡했다.[37] 원곡은 온라인의 이디시 극장 디지털 기록관에서 확인할 수 있다.[38] 원곡 가사는 이디시어로 타이핑되었고,[39] 피아노 악곡 원보에는 손글씨로 적혀 있다.[40] 첫 악보는 이디시어를 사용하였지만 히브리 문자가 아니라 독일어에서 사용하는 로마자로 표기되었다.[41][42] 당시 이디시어 학술원이 활동하고 있었으나, 이디시어 학술원이 제시한 히브리 문자 표준이 아직 널리 사용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에스테르케 프로덕션의 첫 녹음 당시 노래는 2/4 박자 사장조로 편곡되었으며, 표제는 〈다나다나〉였다. 남녀 듀엣으로 노래했고, 이디시어 가사는 로마자로 표기되었다. 악보는 빠르기를 안단티노(andantino, 조금 느리게)로, 곡의 느낌은 셈프레 스타카토(sempre staccato, 언제나 딱딱 끊어서)로 연주하도록 지시했다. 도입부 선율은 곡의 끝에서 반복되었고, 후렴은 피우 모소(piu mosso, 조금 더 빠르게)로 연주하도록 지시되었다.
작사가 아론 제이틀린은 1939년 이디시 문화를 소개하기 위해 뉴욕을 방문한 뒤 제2차 세계 대전으로 폴란드에 돌아갈 수 없었다. 제이틀린은 나치즘의 반유대 선전에 대한 우려로 이 노래를 작사했다. "다나다나"와 같은 의미 없는 여흥구는 당시 폴란드 민속 음악에서 흔히 사용되었다.[45]
2. 1. 번안
1956년 미국의 민속 음악 편곡자 아서 케베스가 영어로 번역하여 〈도나도나〉를 소개하였다.[48] 아서 케베스는 《독일 민요》를 집필하고[49] 많은 민요를 영어로 번역한 음악가였다.[50] 같은 해 스웨덴의 음악 그룹 올라 앤 더 쟁글러스(Ola & the Janglers)가 코데쉬와 슈바르츠가 영어로 번역한 버전의 가사로 노래하였다.[51] 그러나 록 계열의 밴드였던 올라 앤 더 쟁글러스(Ola & the Janglers)는 포크 음악 계에서는 그다지 알려지지 않은 그룹이어서 큰 반향을 이끌지 못하였다.[52]1960년대 초 존 바에즈가 〈도나도나〉를 저항 가요의 일환으로 부르기 시작하면서 영어권을 넘어 전 세계적으로 노래가 알려지기 시작하였다.[44] 이후 프랑스어를 비롯한 여러 언어로 번역되어 불리기 시작하였다.[48]
1964년 일본에서는 "돈나 돈나"라는 제목으로 처음 발매되었다. 1964년 4월, 듀크 에이세스의 싱글 "꽃은 어디로 갔나"의 B면으로 사자나미 켄지의 번역으로 "도나 도나 도나"로 발표되었다.
1965년 3월, 더 피넛츠의 싱글 "돌려주세요 지금 당장"의 B면으로 야스이 카즈미의 번역으로 "도나 도나"로 발표되었다[30]。같은 해, 프랑스 갈의 싱글 "꿈꾸는 샹송 인형 (일본어판)"의 B면에서, 클로드 프랑수아가 "도나 도나 도나"라는 제목으로 더 피넛츠판의 일본어 가사를 불렀다[31]。
1966년 2월부터 3월까지, 같은 야스이의 번역으로 약간 다른 내용의 것이, 키시 요코의 노래로, NHK의 노래 프로그램 『모두의 노래』에서 "도나도나"로 방송되었다.
1967년, 페기 하야마의 LP 『페기의 "패밀리 쇼"』에, 아라카와 히로시의 번역으로 "도나 도나"로 수록되었다.
애니메이션 『소녀혁명 우테나』 제16화 "행복의 카우벨"의 삽입곡으로 사용되었다.
2. 2. 한국어 번안과 민주화 운동
1960년대부터 '도나도나'라는 제목으로 한국에 번안되어 알려지기 시작하였다.[44] 1970년대 유신 독재와 1980년대 신군부 독재 시절, 억압받는 현실 속에서 자유를 갈망하는 대학생과 민주화 운동 세력에게 널리 불렸다. 특히, 시장에 팔려 가는 송아지의 처지를 억압받는 민중에 비유하며, 독재 정권에 대한 저항 의식을 고취하는 노래로 인식되었다.[53] 2010년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금성출판사의 중학교 음악 교과서에 수록된 바 있다.[53]3. 가사
이디시어 원문 | 샬롬 세쿤다(Shalom Secunda) 번역 | 코데쉬 & 슈워츠(Kodesh & Schwartz) 번역 | 직역 영어 번역 | 한국어 번역 (일반적인 번역) |
---|---|---|---|---|
אױפֿן פֿורל ליגט דאָס קעלבל, ליגט געבונדן מיט אַ שטריק. הױך אין הימל פֿליט דאָס שװעלבל, פֿרייט זיך, דרייט זיך הין און צוריק. | 마차에는 묶여서 꼼짝 못하는 송아지가 누워 있는데, 죽을 운명에 놓였네. 저 위에는 제비가 날아다니네 하늘을 가로질러 즐겁게. | 시장으로 향하는 마차에는 슬픈 눈을 한 송아지가 있네. 그 위에는 제비가 있네 하늘을 가로질러 빠르게 날아가네. | 마차 위에는 송아지가 놓여있네, 밧줄로 묶여 있네. 하늘 높이 제비가 날아다니네, 기뻐하며, 앞뒤로 날아다니네. | 시장 가는 마차 위에 슬픈 눈의 송아지 있었네 그 머리 위 높이 제비 한 마리 부드럽게 하늘을 나르네 |
כאָר: | 후렴: | 후렴: | 후렴: | 후렴: |
לאַכט דער ווינט אין קאָרן, לאַכט און לאַכט און לאַכט, לאַכט ער אָפּ אַ טאָג אַ גאַנצן מיט אַ האַלבע נאַכט. דאָנאַ, דאָנאַ, דאָנאַ… | 바람이 옥수수 밭에서 웃네 온 힘을 다해 웃네 온종일 웃고 웃고 밤의 절반까지 웃네 도나, 도나, 도나... | 바람이 어떻게 웃는지 온 힘을 다해 웃네 온종일 웃고 웃고 여름밤의 절반까지 웃네 도나, 도나, 도나... | 바람이 옥수수 속에서 웃네, 웃고 웃고 웃네, 온종일 웃네 밤의 절반까지 웃네. 도나, 도나, 도나… | 바람은 어찌나 웃는 지 있는 힘껏 웃는데 하루 종일 웃더군 한 여름날 밤까지 도나 도나 도나… |
שרייַט דאָס קעלבל, זאָגט דער פּױער: װער זשע הײסט דיר זײַן אַ קאַלב? װאָלסט געקענט דאָך זײַן אַ פֿױגל, װאָלסט געקענט דאָך זײַן אַ שװאַלב. | 이제 송아지가 부드럽게 울고 있네 "바람아, 왜 웃는 거야?" 왜 나는 제비처럼 날 수 없지? 왜 나는 송아지가 되어야 했을까? | “불평을 멈춰,” 농부가 말했네 “누가 너에게 송아지가 되라고 했니? 왜 날개가 없어 날아가질 못하니 제비처럼 자랑스럽고 자유롭게?” | 송아지가 외치네; 농부가 말하길, “누가 너에게 송아지가 되라고 했니? 너는 새가 될 수도 있었어, 너는 제비가 될 수도 있었어.” | "불평 말렴" 농부가 말했지 "누가 송아지로 태어나라든? 왜 넌 날아갈 날개가 없니 저 자랑스런 자유로운 제비처럼?" |
כאָר | 후렴 | 후렴 | 후렴 | 후렴 |
בידנע קעלבער טוט מען בינדן און מען שלעפּט זײ און מען שעכט, װער ס'האָט פֿליגל, פֿליט אַרױפֿצו, איז בײַ קײנעם ניט קיין קנעכט. | 송아지는 태어나자마자 도살당하네 구원받을 희망 없이. 오직 제비처럼 날개가 있는 자만이 결코 노예가 되지 않으리라. | 송아지는 쉽게 묶이고 도살당하네 왜 그런지 이유도 모른 채. 그러나 자유를 소중히 여기는 자는, 제비처럼 날 수 있음을 배웠네. | 사람들은 불쌍한 송아지를 묶어, 그들을 끌고 다니며 도살하네; 날개가 있는 자는 위로 날아가네, 누구에게도 노예가 되지 않네. | 송아지는 던져저 죽임을 당했네 아무런 영문도 모른 채 하지만 그 누가 자유를 지니나 날아가는 법 배운 제비처럼. |
כאָר | 후렴 | 후렴 | 후렴 | 후렴 |
1938년에 ''Dana Danayi''(다나 다나)로 만들어진 이디시어 노래로, 우크라이나 출신의 유대계 미국인 숄롬 세쿤다가 작곡하고, 벨라루스 출신의 유대계 미국인이 작사했다. 1940년부터 1941년까지 이디시어 뮤지컬 ''Esterke영어''[26]에 사용되었다. 다른 제목으로는 ''Dos Kelblyi''(송아지)가 있다.
목장에서 시장으로 팔려나가는 불쌍한 송아지를 노래하며, 유대인이 나치에 의해 강제 수용소로 끌려가는 모습을 비유한 반전가라는 설이 있지만, 이는 홀로코스트가 본격화된 1942년보다 이전의 상황을 배경으로 한다는 점에서 역사적 사실과 완전히 부합하지는 않는다.
다만, 유럽에서의 유대인 배척은 홀로코스트 이전부터 존재했고, 1938년 중반부터 유대인도 "반사회 분자"로 간주되어 강제 수용소로 보내지기 시작했다. 1938년 11월 9일 수정의 밤 사건 이후 3만 명의 유대인이 체포되어 강제 수용소로 이송되었고,[27] 1938년 10월 28일에는 약 1만 7천 명의 폴란드계 유대인이 독일군에 의해 강제로 폴란드로 추방되었다. 이러한 역사적 맥락에서 〈도나도나〉는 반유대주의를 비판하고 억압받는 약자들의 슬픔을 노래하는 곡으로 해석될 수 있다.
3. 1. 다양한 해석
〈도나 도나〉에서 '도나'의 의미에 대해서는 여러 해석이 존재한다. 원곡에서 '도나'는 폴란드 민속 음악에서 흔히 쓰이는 후렴구로, 특별한 의미 없이 사용되거나 악기 소리를 흉내 낸 것일 수 있다.[8] 1939년 미국으로 이민하기 전까지 폴란드에서 살았던 작사가 아론 제이틀린은 이러한 폴란드 민속 음악의 영향을 받았을 것으로 보인다.히브리어 신문 《하레츠》의 한 논평에서는 '도나'가 짐마차를 모는 마부가 말을 격려하기 위해 내는 소리라고 설명하기도 했다.[9] 이 해석은 1962년 네카마 헨델이 이 노래를 불렀을 때 콜 이스라엘에서 제공한 번역에 따른 것이다.
다른 해석으로는 옛 독일어 또는 오스트리아 속어에서 야경꾼이나 쓰레기 수거인의 마차를 가리키는 '도나'라는 단어에서 유래했다는 설,[10] 터키어, 아제르바이잔어 등 튀르크어족 언어에서 "젖을 뗀 송아지"를 의미하는 "다나"에서 왔다는 설도 있다.[10]
아도나이(나의 주님)를 줄인 말이라는 해석도 있지만,[33] 원제목은 "다나"였고, "도나"로 바뀐 것은 영어로 번역되면서 생긴 변화이다.
이러한 여러 해석 외에도, 도살장으로 팔려 가는 송아지의 이미지는 나치 강제 수용소로 끌려가는 유대인의 비극을 상징한다는 해석이 널리 알려져 있다. 하지만 이 곡은 1938년에 만들어졌고, 1940년부터 1941년까지 뮤지컬에 사용되었기 때문에, 1942년부터 본격화된 홀로코스트를 직접적으로 묘사한 것은 아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유럽에서의 반유대주의는 홀로코스트 이전부터 오랫동안 존재해 왔고, 1938년 중반부터 유대인도 "반사회 분자"로 간주되어 강제 수용소로 보내지기 시작했다. 특히 1938년 11월 9일 수정의 밤 사건 이후에는 3만 명의 유대인이 체포되어 강제 수용소로 이송되기도 했다.[27] 또한 1938년 10월 28일에는 약 1만 7천 명의 폴란드계 유대인이 독일군에 의해 강제로 폴란드로 추방되기도 했다.
이러한 역사적 맥락을 고려할 때, 〈도나도나〉는 홀로코스트를 직접적으로 묘사하지는 않았지만, 여전히 반유대주의를 비판하고 억압받는 약자들의 슬픔을 노래하는 곡으로 해석될 수 있다.
4. 다양한 버전
"도나 도나"는 영어, 프랑스어, 일본어 등 다양한 언어로 번안되어 불렸다.
영어로는 1956년에 아서 게베스와 테디 슈왈츠가 번역했고, 1961년 조안 바에즈가 ''Donna Donna영어''로 발매하여 큰 인기를 얻었다.[20] 1965년에는 스코틀랜드의 도노반과 채드 앤 제레미가 각각 바에즈의 버전을 커버했다.
프랑스어 버전은 1964년 클로드 프랑수아가 ''Donna Donna (Le petit garçon)''라는 제목으로 발표했다.[28] 송아지가 아닌 소년의 이야기를 담은 이 버전은 프랑스 싱글 차트에서 1위를 차지했고, 1998년 보이 밴드 C4가 댄스 버전으로 커버했다.[24]
일본에서는 1964년 듀크 에이세스가 "도나 도나 도나"로 처음 발표했다. 1965년에는 더 피넛츠가 "도나 도나"로, 프랑스 갈이 "도나 도나 도나"로 발표했다.[30][31] 1966년 키시 요코가 NHK 모두의 노래에서 "도나도나"를 불렀고,[29] 1967년 페기 하야마가 "도나 도나"를 발표했다.
1997년 애니메이션 소녀혁명 우테나 16화 "행복의 카우벨"에 삽입되었으며, 로열 나이츠와 NHK 도쿄 방송 아동 합창단의 버전이 앨범에 수록되었다.
4. 1. 대중문화 속 도나 도나
이 노래는 슬픈 멜로디로 알려져 있어, 여러 매체에서 다양하게 편곡되거나 사용되었다.[25]연도 | 앨범/싱글 제목 | 아티스트 | 비고 |
---|---|---|---|
1988 | "도나도나" | SUPER BAD | 밝은 멜로디로 편곡 |
1999 | 『LIVING LEGEND』 | 세이키마II | "전율의 도나도나" 수록, 전염병/의료 문제 풍자 |
2001 | 『베스트! 독살 테러리스트 1』 | 독살 테러리스트 | "도나도나~인신매매~" 수록 |
2007 | 『Dona Dona』 | 스와베 쥰이치 | 리믹스 커버, 트랜스/데스 메탈 mix 수록 |
2007 | 『Tropical』 | Chocolat & Akito | 커버 버전 수록 |
2009 | 『시즌 2』 | 근육소녀대 | "도나도나" 수록, 도나도나를 인물로 묘사 |
이 노래는 독일어, 스웨덴어, 일본어, 러시아어, 이탈리아어, 카탈루냐어, 베트남어 등 다양한 언어로 번역되어 불렸다. 소녀혁명 우테나 16화에 일본어 버전이 삽입되기도 했다. 베트남어 버전은 "Tiec thuong"(애도)이라는 제목으로, 젊은 나이에 죽은 연인을 슬퍼하는 내용으로 가사가 변경되었다.
노래 가사에서 유래된 인터넷 슬랭으로, 사람이 힘든 일이 기다리는 곳으로 끌려가는 모습을 "도나도나"라고 표현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도축장으로 끌려가는 가축, 경찰서로 연행되는 범죄자, 행사장에서 끌려나가는 민폐 관객 등이 있다. 신임 교원이 지방이나 섬으로 부임하는 것을 "도나도나 송아지"라고 부르기도 한다. 정원이 없는 보육원에서 아이들을 손수레에 태워 이동하는 모습이나 고장 난 차량이 렉카차에 견인되는 상황도 "도나도나"라고 불린다.[34]
참조
[1]
웹사이트
Esterke
https://www.jewishvi[...]
Jewishvirtuallibrary.org
2015-07-13
[2]
웹사이트
Esterke
https://archive.toda[...]
2ndave.nyu.edu
2015-07-13
[3]
웹사이트
Photographic version of sheet music incorporating melody and lyrics - Part I
https://web.archive.[...]
2ndave.nyu.edu
2015-07-13
[4]
웹사이트
Photographic version of sheet music incorporating melody and lyrics - Part II
https://web.archive.[...]
2ndave.nyu.edu
2015-07-13
[5]
웹사이트
Photographic version of sheet music incorporating melody and lyrics - Part III
https://web.archive.[...]
2ndave.nyu.edu
2015-07-13
[6]
웹사이트
Photographic version of sheet music incorporating melody and lyrics - Part IV
https://web.archive.[...]
2ndave.nyu.edu
2015-07-13
[7]
웹사이트
Yiddish Transliteration and Spelling | YIVO transliteration chart for Yiddish alphabet | Yiddish Spelling Guidelines
http://www.yiddishwi[...]
Yiddishwit.com
2015-07-13
[8]
웹사이트
Kujawiak
https://polishmusic.[...]
[9]
웹사이트
"תגובות למוסף "הארץ
2021-12-10
[10]
웹사이트
Türk Dil Kurumu {{!}} Sözlük
https://sozluk.gov.t[...]
2021-03-27
[11]
서적
Stora Popboken - Svensk Rock & Pop 1954 - 1969
Premium Publishing
[12]
서적
Stora Popboken - Svensk Rock & Pop 1954 - 1969
Premium Publishing
[13]
웹사이트
Ola & the Janglers - History
https://www.svenskpo[...]
2021-11-25
[14]
웹사이트
Ola & the Janglers - Donna, Donna / Come And Stay With Me
https://www.svenskpo[...]
2021-11-25
[15]
서적
Eric Hallberg, Ulf Henningsson presenterar Tio i topp med de utslagna på försök: 1961 - 74
Premium Publishing
[16]
웹사이트
Ola & the Janglers - Patterns
https://www.svenskpo[...]
2021-11-25
[17]
웹사이트
Ola & The Janglers – Best Sounds (1969, Vinyl)
https://www.discogs.[...]
2021-11-25
[18]
웹사이트
Ola & the Janglers - Ola & The Janglers 1964-71
https://www.svenskpo[...]
2021-11-25
[19]
서적
Eric Hallberg presenterar Kvällstoppen i P 3: Sveriges radios topplista över veckans 20 mest sålda skivor 10. 7. 1962 - 19. 8. 1975
Drift Musik
[20]
웹사이트
Dona Dona: Song's Enduring Popularity
https://www.jewishin[...]
Jewish Independent
2021-05-11
[21]
웹사이트
The Secret Jewish History Of Joan Baez
https://forward.com/[...]
Forward
2021-05-11
[22]
웹사이트
Joan Baez Songs: 10 Essential Tracks You Need to Know
https://www.rocksoff[...]
Rocks Off
2019-09-28
[23]
웹사이트
45cat - Dana Gillespie - Donna Donna / It's No Use Saying If - Pye - UK - 7N 15872
https://www.45cat.co[...]
2023-04-06
[24]
웹사이트
lescharts.com - C4 - Donna Donna
https://lescharts.co[...]
2023-04-06
[25]
Youtube
Donna donna (Dus kelbl) - Aviva Semadar דאָנא דאָנא (דאָס קעלבל) - אביבה סמדר
https://www.youtube.[...]
2002-11-04
[26]
문서
ニューヨーク大学デジタルアーカイブ内、“Esterke”スコア
http://2ndave.nyu.ed[...]
[27]
서적
強制収容所における「生」
世界思想社(新装版)
[28]
간행물
シングル「夢みるシャンソン人形(日本語)/ドナ・ドナ・ドーナ(日本語)」のライナー・ノーツより
フィリップス・レコード
[29]
방송
テレビのみ『それ行け3組』・『[[たのしいね]]』・『[[はじめての僕デス]]』と合わせて放送、本曲は『それ行け3組』・『たのしいね』と共にワンコーラスで放送、番組では曲に対する思い出のナレーションが添えられた。
[30]
간행물
21世紀以後では2004年11月26日発売の『ザ・ピーナッツ メモリーズBOX』に収録。
[31]
간행물
クロード・フランソワの日本語版は、2003年のフランソワのアルバム『Cloclo Mania』にも収録。
[32]
웹사이트
歌『ドナドナ』の由来などについて知りたい。
https://crd.ndl.go.j[...]
2017-07-13
[33]
서적
中学生の音楽1
教育芸術社
2009-02-10
[34]
논문
ネット社会と集団語 (特集 ネット社会の集団語)
明治書院
2006-09
[35]
뉴스
South Korea Banning ‘Decadent’ Foreign Music, Including Many Protest Songs
https://www.nytimes.[...]
뉴욕 타임스
1975-12-28
[36]
뉴스
이 주일의 역사 - 금지곡 186곡 해금(1987.8.18) 外
http://www.busan.com[...]
부산일보
2009-01-11
[37]
웹인용
Esterke
https://www.jewishvi[...]
Jewishvirtuallibrary.org
2015-07-13
[38]
웹인용
Esterke
https://archive.toda[...]
2ndave.nyu.edu
2015-07-13
[39]
웹인용
Photographic version of sheet music incorporating melody and lyrics - Part I
https://web.archive.[...]
2ndave.nyu.edu
2015-07-13
[40]
웹인용
Photographic version of sheet music incorporating melody and lyrics - Part II
https://web.archive.[...]
2ndave.nyu.edu
2015-07-13
[41]
웹인용
Photographic version of sheet music incorporating melody and lyrics - Part III
https://web.archive.[...]
2ndave.nyu.edu
2015-07-13
[42]
웹인용
Photographic version of sheet music incorporating melody and lyrics - Part IV
https://web.archive.[...]
2ndave.nyu.edu
2015-07-13
[43]
웹인용
Yiddish Transliteration and Spelling | YIVO transliteration chart for Yiddish alphabet | Yiddish Spelling Guidelines
http://www.yiddishwi[...]
Yiddishwit.com
2015-07-13
[44]
간행물
Tag: Dona Dona
https://www.jewishin[...]
Jewish Indipendent
[45]
웹인용
Kujawiak
https://polishmusic.[...]
[46]
웹인용
"תגובות למוסף "הארץ
https://www.haaretz.[...]
2021-12-10
[47]
웹인용
Türk Dil Kurumu {{!}} Sözlük
https://sozluk.gov.t[...]
2021-03-27
[48]
문서
Dona Dona
https://secondhandso[...]
[49]
문서
German Folk Songs Paperback – January 1, 1968 by Editor Kevess, Arthur (Author)
https://www.amazon.c[...]
Amazon
[50]
뉴스
Arthur Kevess, Translator And Editor of Folk Songs
https://www.nytimes.[...]
뉴욕 타임스
1973-01-25
[51]
서적
Stora Popboken - Svensk Rock & Pop 1954 - 1969
Premium Publishing
[52]
서적
Stora Popboken - Svensk Rock & Pop 1954 - 1969
Premium Publishing
[53]
논문
2010 개정 중학교 1학년 음악교과서의 창작영역 연구
https://oak.chosun.a[...]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