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로제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로제트는 식물체의 주축에서 마디 사이의 신장이 억제되어 잎이 장미 꽃잎처럼 방사형으로 배열되는 생장 양식이다. 로제트 식물은 꽃눈 형성 후 급속히 성장하여 꽃을 피우며, 질경이, 민들레 등이 대표적이다. 로제트 형태는 여러해살이 식물에서 잎이 서로 가까워지거나, 식물 기저부에 지속적으로 존재하며 뿌리가 있는 형태로 나타난다. 침엽수 배아, 빗살해파리의 섬모환, 세포의 방사상 배열 등에서도 로제트라는 용어가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식물학 - 균근
    균근은 식물 뿌리와 균류 사이의 공생체로, 식물에게 물과 영양분을 공급하고 식물은 광합성 산물을 제공하며, 농업, 산림 복원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다.
  • 식물학 - 목재
    목재는 수목의 목질부로, 오래전부터 연료, 건축 자재, 도구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어 왔으며, 셀룰로오스, 헤미셀룰로오스, 리그닌으로 구성되고 수종에 따라 물성이 다르며, 다양한 형태로 가공되어 여러 분야에 활용되고 지속가능한 산림 관리와 기술 개발이 중요시되는 재료이다.
로제트
개요
뿌리에서 방사형으로 뻗은 잎의 로제트
뿌리에서 방사형으로 뻗은 잎의 로제트
정의잎, 가지, 꽃차례가 짧은 줄기에서 방사형으로 모여 나오는 것
어원프랑스어 "rosette" (작은 장미)에서 유래
특징
설명식물학에서 짧고 굵은 줄기에서 잎, 가지, 꽃차례 등이 방사형으로 모여 나오는 것을 의미한다.
장미의 형태와 유사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예시민들레, 질경이, 냉이, 돌나물 등
많은 쌍떡잎식물의 생활환에서 볼 수 있다.
기능짧은 줄기는 겨울 동안 눈에 덮여 보호받는다.
잎은 햇빛을 최대한 받기 위해 지표면에 넓게 펼쳐진다.
종자를 생산한 후 로제트는 죽는다.
2년생 식물첫 해에는 로제트 형태로 월동한다.
이듬해에 꽃줄기를 내어 꽃을 피우고 열매를 맺는다.
생활사로제트 형태는 식물이 생장하는 동안 여러 번 나타날 수 있다.
특히 1년생 식물이나 다년생 식물에서 흔히 관찰된다.
로제트 잎뿌리에서 바로 나오는 잎을 의미한다.
땅에 바싹 붙어 자라며, 햇빛을 효율적으로 흡수한다.
로제트 형성짧은 줄기에서 많은 잎이 모여나는 현상이다.
식물의 생존 전략 중 하나로 볼 수 있다.
기타동물을 관찰할 때도 '로제트'라는 용어가 사용된다.
표범, 재규어 등의 모피에서 볼 수 있는 고리 모양의 반점을 지칭한다.

2. 식물

로제트는 식물체의 주축에서 배축을 제외한 마디 사이의 신장이 억제되는 생장 양식을 가리킨다. 모든 잎이 장미 꽃잎처럼 슛 꼭대기 주변의 한 곳에서 방사형으로 겹쳐져 배열된 것처럼 보인다. 로제트를 구성하는 잎은 지상 줄기의 기부 마디에 붙는 근생엽(뿌리잎)이며, 특히 로제트를 구성하고 지표면에 밀착하여 월동하는 것을 '''로제트 잎'''(로제트엽)이라고 한다.

월동 등 생활사의 한 시기에 로제트 형태를 나타내는 식물을 '''로제트 식물'''이라고 한다. 로제트 식물은 꽃눈 형성 후에 급속히 성장하여 꽃을 피우는데, 이를 '''꽃대'''(추대) 또는 '''꽃대 세우기'''라고 한다. 로제트 식물은 라웅켈의 생활형 중 반지중식물에 속하며, 누마타 마코토의 초본 식물 생육형 분류에서는 로제트형(r), 일시 로제트형(pr), 위 로제트형(ps)으로 나뉜다. 월년생 장일식물은 추대를 시작하기 전까지 로제트 형태를 띠는 경우가 많다.

로제트는 다음과 같은 식물에서 볼 수 있다.

십자화과냉이
국화과개망초속개망초, 망초
개쑥갓속개쑥갓
민들레속민들레
미국자리공
개쑥부쟁이
바늘꽃과달맞이꽃속달맞이꽃
분홍달맞이꽃
꿀풀과익모초
질경이과질경이속질경이
산토끼꽃과산토끼꽃속
마편초과며느리밥풀
마디풀과털여뀌
지치과콩버무리
벼과참새피
억새



질경이민들레는 평생 로제트 형태로 지낸다. 며느리밥풀은 봄에 직립 슛의 지면 부근에서 포복 슛을 뻗지만, 가을에는 로제트가 되었다가 이듬해 봄에 다시 직립 슛이 되어 개화, 결실 후 시든다. 개망초망초, 달맞이꽃은 발아 후 일정 기간 로제트로 지내다가 후에 직립하는 슛이 된다. 개망초는 꽃이 필 때쯤 근생엽이 사라지지만, 망초는 꽃이 필 때도 근출엽이 남는다. 미국자리공은 미숙한 개체이거나 월동 시기에 로제트 형태로 지내지만, 여름이 되면 직립 슛을 세운다. 개쑥부쟁이도 유년기 및 생장이 불량할 때 로제트 형태로 지내지만, 성숙하면 직립한다. 상록성인 참새피나 억새도 로제트 식물이다.

2. 1. 형태 및 기능

로제트는 여러해살이 식물에서 자주 나타나는 형태로, 윗부분 잎이 죽어도 남은 잎이 식물을 보호한다. 줄기 마디 사이가 짧아져 잎이 서로 가까워지는 형태로 나타나기도 하며, 상추, 민들레, 일부 다육식물에서 볼 수 있다.[2] 꽃대 올림은 상추와 같은 식물이 너무 빨리 자라 줄기가 늘어나는 현상이다. 민들레처럼 로제트가 식물 기저부에 지속적으로 존재하며 곧은 뿌리를 갖는 경우도 있다.

Agave americana 잎의 로제트


로제트 형태는 구조와 그 안에서의 변이를 나타내는데, 다음 표본집 연구에서 그 예를 볼 수 있다.

  • ''드리아스 팔리페탈라''(흰드리아스, 장미과)는 잎자루가 짧은 잎의 로제트를 가지며, 가늘고 달걀 모양의 잎은 심장 모양의 밑부분과 뚜렷하고 규칙적인 톱니 모양의 가장자리를 가진다. 보통 길쭉한 꽃자루에 2~4cm 크기의 단일 꽃을 피우며, 꽃은 7~9개, 종종 그 이상의 흰색 달걀 모양 꽃잎을 갖는다. 꽃받침 조각은 피침형이다.[6]
  • ''실레네 누탄스''(노팅엄 캐치플라이, 석죽과)는 검 모양의 잎을 보인다. 로제트 모양의 땅에 있는 잎은 줄기에 있는 드문 마주나는 잎보다 크고 모양이 다르다.[6] 이는 마디가 크게 연장된 측면 싹이 로제트에서 돋아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2년생 식물에서 주된 싹은 마디가 연장되어 자라며 가지를 칠 수도 있다. 로제트의 잎과 싹의 잎이 모양이 다른 것은 드문 일이 아니다.[2]


로제트는 식물체의 주축에서 배축을 제외한 마디 사이의 신장이 억제되는 생장 양식을 가리킨다. 모든 잎이 장미 꽃잎처럼 슛 꼭대기 주변의 한 곳에서 방사형으로 겹쳐져 배열된 것처럼 보인다. 로제트를 구성하는 잎은 지상 줄기의 기부 마디에 붙는 근생엽(뿌리잎)이며, 특히 로제트를 구성하고 지표면에 밀착하여 월동하는 것을 '''로제트 잎'''(로제트엽)이라고 한다.

2. 1. 1. 생태 환경

민들레와 같은 로제트는 땅에서 뽑기 어렵다는 보호 기능을 제공한다. 잎은 쉽게 떨어져 나가지만, 곧은 뿌리는 그대로 남아있기 때문이다.

다른 종류의 보호 기능은 남아메리카의 거대한 초본 속인 Espeletia의 '줄기 로제트'에서 나타난다. 이 식물은 지상에 잘 발달된 줄기를 가지고 있으며, 열대 고산 환경에서 다양한 식물 과와 지역에서 많은 종류의 식물들이 말라서 떨어지는 잎 위에서 자라는 상록 로제트 형태를 진화시켰다.[3] 안데스 산맥의 ''Espeletia schultzii''와 ''Espeletia timotensis''는 이러한 배열이 생존을 개선하고, 수분 균형을 돕거나, 식물을 추위로부터 보호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4][5]

로제트형 식물이 생육할 수 있는 환경은 인간에 의한 교란이 빈번하게 일어나는 곳, 즉 잡초가 자라는 곳이다. 자주 풀을 베는 곳, 가축에 의해 키가 큰 풀이 뜯어 먹히는 곳, 밟혀서 키가 크게 자랄 수 없는 곳 등이다. 질경이는 밟는 것에 대한 내성이 높아 이러한 환경에서 생존이 가능하다.

키가 크게 자라지 않는 식물 군락에도 로제트 잎만으로 이루어진 식물의 예가 있다.

열대의 고산 지대에서는 대형 로제트 식물이라는 특수한 형태의 식물이 알려져 있다.

또한, 산림 내 착생 식물 중 넓은잎고비나 파인애플도 비슷한 형태를 보이는데, 이는 낙엽이나 물을 모아두기 위한 적응으로 보인다.

2. 1. 2. 종류

많은 식물 과가 로제트 형태학을 가진 변종을 가지고 있다. 특히 국화과(예: 민들레), 십자화과(예: 양배추), 파인애플과에서 흔히 발견된다. 고사리 종류인 ''Blechnum fluviatile'' (뉴질랜드 물고사리, ''kiwikiwi'')도 로제트 식물이다.[6]

"로제트"는 영구적으로 로제트 형태로 자라는 식물이나 일부 고사리와 같은 식물의 미성숙 단계를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

월동 등 생활사의 한 시기에 로제트 형태를 나타내는 식물을 '''로제트 식물'''(rosette plants영어)이라고 한다. 로제트 식물은 라웅켈 (1907)의 생활형 중 반지중식물에 속한다. 누마타 마코토의 초본 식물 생육형 분류에서는 로제트 식물을 로제트형(r), 일시 로제트형(pr), 위 로제트형(ps)으로 나눈다. 로제트형은 로제트 잎만으로 구성되며 직립 줄기는 꽃자루만 있고 잎이 없다. 일시 로제트형은 일정 기간 로제트로 지내다가 근생엽을 없애고 잎이 달린 줄기를 뻗는다. 위 로제트형은 일정 기간 로제트로 지내면서 근생엽을 남긴 채 잎이 달린 줄기를 뻗는다. 월년생 장일식물은 추대를 시작하기 전까지 로제트 형태를 띠는 경우가 많다.

로제트 형태는 다음과 같은 식물에서 볼 수 있다.

십자화과냉이
국화과개망초속개망초, 망초
개쑥갓속개쑥갓
민들레속민들레
미국자리공
개쑥부쟁이
바늘꽃과달맞이꽃속달맞이꽃
분홍달맞이꽃
꿀풀과익모초
질경이과질경이속질경이
산토끼꽃과산토끼꽃속
마편초과며느리밥풀
마디풀과털여뀌
지치과콩버무리
벼과참새피
억새



질경이민들레는 평생 로제트 형태로 지내며, 꽃차례를 만들 때만 잎이 없는 꽃자루를 세운다. 며느리밥풀은 봄에 직립 슛의 지면 부근에서 포복 슛(주행지)을 뻗지만, 가을에는 로제트가 된다. 이듬해 봄에는 다시 직립 슛이 되어 개화, 결실 후 시든다. 개망초망초 (국화과), 달맞이꽃 (바늘꽃과)은 발아 후 일정 기간 로제트로 지내다가 후에 직립하는 슛이 된다. 개망초는 꽃이 필 때쯤 근생엽이 사라지지만, 망초는 꽃이 필 때도 근출엽이 남는다. 미국자리공은 미숙한 개체이거나 월동 시기에 로제트 형태로 지내지만, 여름이 되면 직립 슛을 세운다. 개쑥부쟁이도 유년기 및 생장이 불량할 때 로제트 형태로 지내지만, 성숙하면 직립한다. 상록성인 참새피나 억새도 로제트 식물이다.

2. 1. 3. 로제트 해소 (꽃대 형성)

로제트 식물은 꽃눈 형성 후 급속히 성장하여 꽃을 피우는데, 이를 '''꽃대'''(추대, 추태) 또는 '''꽃대 세우기'''라고 한다. 그 주축을 '''꽃대'''(flower stalk영어)라고 한다.[2] 로제트 식물에서는 온도나 일장 등의 최아 자극을 받으면 추대가 일어나 정아가 꽃눈으로 변하고 마디의 분화가 멈추며, 줄기 윗부분의 어린 마디 사이가 신장을 시작하여 로제트가 해소된다.

월년생의 장일식물은 추대를 시작하기 전까지 로제트가 되는 경우가 많다. 질경이민들레는 생활사의 전부를 로제트로 지내고, 꽃차례를 만들 때만 잎이 없는 꽃자루를 세운다. 며느리밥풀은 봄에 직립 슛의 지면 부근에서 포복 슛(주행지)을 뻗지만, 가을에 그것이 로제트가 된다. 그리고 다시 이듬해 봄에는 직립 슛이 되어 개화 결실 후에 시든다. 개망초망초 (국화과), 달맞이꽃 (바늘꽃과)은 발아 후 어느 기간을 로제트로 지내고, 후에 직립하는 슛이 된다. 개망초에서는 근생엽은 꽃이 피는 시기에는 소실되지만, 망초는 꽃이 피는 시기에도 근출엽이 남는다. 미국자리공에서는 미숙한 개체나 월동 시에는 로제트로 지내지만, 여름이 되면 직립 슛을 세운다. 개쑥부쟁이도 유년기 및 생장 불량 시에는 로제트로 지내지만, 성숙하면 직립한다.

2. 2. 기타 로제트

로제트는 식물 세포와 동물 세포 모두에서 발견되는 구조이다.

식물의 경우, 침엽수의 전배아를 구성하는 단위 중 하나가 로제트이다. 로제트 세포의 기능은 명확하지 않지만, 종종 배아성을 부활시켜 여러 번 분열하여 로제트 배아가 되기도 한다. 하지만 로제트 배아는 어린 식물로까지 성장할 수는 없다.[1][2]

동물 세포의 경우, 빗살해파리에서 로제트는 '''섬모환'''(せんもうかん|섬모환일본어)이라고도 불리며, 위수관계 벽에 8개씩의 세포가 도넛 모양으로 이중 고리를 만들어 겹쳐져 있는 구조이다.[8] 섬모 운동에 의해 위수관계의 물과 영양분이 간충겔 내로 보내지며, 원신관의 불꽃세포와 비슷하여 배설기관이라고도 한다.[8]

HE 염색을 실시한 신세포암종 조직. 로제트 모양 구조가 보인다.


세포나 과립이 방사상으로 배열된 구조는 로제트 또는 로제트양이라고 하며, '''균좌'''라고도 불린다. 신경교종 세포나 말라리아원충의 분열기에서 관찰된다.[8] 파리의 배아 체축 신장, 척추동물신경관 형성, 신장 요세관・척삭의 신장 시 등에 보이며, 상피조직에서 수렴 신장의 진행에 기여하는 중간 구조체가 된다.[8]

2. 2. 1. 침엽수 배아

침엽수의 전배아를 구성하는 단위 중 하나이다.[1] 침엽수의 배 발생 후기에는 전배아의 세포벽을 가진 세포로부터 독립적으로 서로 경쟁하며 성장하는 4~8개의 배가 발달하는 다배 형성이 일어난다.[2] 16세포기의 전배아는 하부에서부터 차례대로 정단층, 배병층, 로제트층, 개방층(open tier)으로 구성되며, 정단층은 배아 원세포, 배병층은 배아 원배병 세포(전현수사)가 되고, 개방층은 전배아 하부로 영양을 보내고 즉시 붕괴된다.[2][1][3]

로제트 세포의 기능은 명확하지 않지만, 종종 배아성을 부활시켜 여러 번 분열하여 '''로제트 배아'''(rosette embryo)가 된다.[1] 로제트 배아는 어린 식물로까지 성장할 수 없다.[1][2]

2. 2. 2. 동물 세포

빗살해파리에서의 '''로제트'''는 '''섬모환'''(せんもうかん|섬모환일본어, ciliated funnel)이라고도 불리며, 위수관계의 벽에 8개씩의 세포가 도넛 모양으로 이중의 고리를 만들어서 겹쳐져 있는 구조이다[8]。 위수관계의 내강 측 세포에는 짧은 직모가, 간충겔 측 세포에는 긴 섬모가 있다[8]。 이러한 섬모 운동에 의해 위수관계의 물과 영양분이 간충겔 내로 보내진다[8]。원신관의 불꽃세포와 비슷하며, 배설기관이라고도 한다[8]

세포나 과립이 방사상으로 배열된 구조를 '''로제트''' 또는 '''로제트양'''이라고 한다[8].'''균좌'''라고도 불리며, 신경교종 세포나 말라리아원충의 분열기에 보인다[8]

파리의 배아에서의 체축 신장, 척추동물신경관 형성, 신장 요세관・척삭의 신장 시 등에 보인다[8].상피조직에서 수렴 신장의 진행에 기여하는 중간 구조체가 된다[8]。 인접한 복수의 세포가 협조하여 세포간 접착을 배복축 방향으로 수축시켜 로제트 모양 구조가 형성된다[8]。그것에 이어 중심부의 세포간 접착이 전후축 방향으로 신장하여 조직이 신장한다[8]

참조

[1] Q Q99657406
[2] 웹사이트 Botany online: Features of Flowering Plants – Leaves http://www1.biologie[...]
[3] 웹사이트 shows many images http://www.evoandes.[...] 2008-07-05
[4] 웹사이트 Goldstein, G. and Meinzer, F.1983. Influence of insulating dead leaves and low temperatures on water balance in an Andean giant rosette plant. Plant, Cell & Environment 6: 649-656. https://web.archive.[...] 2008-04-25
[5] 웹사이트 Smith, Alan P.1979. Function of dead leaves in Espeletia schultzii (Compositae), and Andean caulescent rosette species. Biotropica 11: 43-47. https://www.jstor.or[...]
[6] 웹사이트 Botany online: Features of flowering Plants – Rosettes – Whorls https://web.archive.[...] 2008-04-24
[7] 서적 학술용어집 식물학편 丸善
[8] 웹사이트 로제트 님 https://www.yodosha.[...] 양토사 2023-07-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