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롤랑 부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롤랑 부인은 프랑스 혁명 시기의 인물로, 부유한 부르주아 가정에서 태어나 영재 교육을 받았다. 26세에 20살 연상의 롤랑 자작과 결혼하여 정치에 관여하게 되었으며, 파리에서 살롱을 열어 지롱드파를 형성하는 등 혁명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남편이 내무 대신이 되었을 때도 영향력을 행사했으나, 중도적인 정치 견해로 인해 비판을 받았다. 1793년 체포되어 투옥된 후 처형 직전 "오! 자유여, 그대의 이름으로 얼마나 많은 죄를 범할 것인가!"라는 말을 남겼으며, 그녀의 사후 남편은 자살했다. 그녀는 회고록과 편지를 통해 프랑스 혁명을 여성의 시각에서 보여주는 귀중한 자료를 남겼으며, 여러 예술 작품에 영감을 주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지롱드파 - 니콜라 드 콩도르세
    니콜라 드 콩도르세는 프랑스의 수학자, 철학자, 정치인이자 계몽주의 사상가로서, 수학 분야에서 업적을 남기고 프랑스 혁명 기간 동안 진보적인 정치 사상을 펼쳤으며, 인류의 무한한 진보를 전망한 『인간 정신 진보의 역사적 개관 초고』와 선거 방법론을 다룬 『다수결의 결정 확률에 대한 분석의 적용에 관한 논문』 등의 저서를 남겼다.
  • 지롱드파 - 샤를로트 코르데
    샤를로트 코르데는 프랑스 혁명 시기 공포 정치의 원흉으로 여겨진 자코뱅파 지도자 장폴 마라를 암살하여 프랑스를 구원하려 했던 귀족 가문 출신의 여성으로, 그녀의 행동은 문화 작품에 영감을 주었으며 재판과 사형 집행 과정에서 강렬한 인상을 남겼다.
  • 프랑스 혁명 중 단두대에서 처형된 사람 - 올랭프 드 구주
    프랑스 혁명 시대 작가이자 여성 인권 운동가인 올랭프 드 구주는 '여성과 여성 시민의 권리 선언'을 통해 여성의 권리 신장을 촉구하고 노예제 폐지 등을 주장했으나, 반혁명 혐의로 처형당했다.
  • 프랑스 혁명 중 단두대에서 처형된 사람 - 프랑수아노엘 바뵈프
    프랑수아노엘 바뵈프는 프랑스 혁명 시기 사유 재산을 부정하고 평등을 주장하며 공산주의의 선구자로 평가받는 급진 정치 사상가이다.
롤랑 부인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콩시에르주리에 있는 롤랑 부인, 처형 직전
콩시에르주리에 있는 롤랑 부인, 처형 직전
본명마리-잔 필리퐁
프랑스어 본명Jeanne-Marie Phlipon
다른 이름마농 롤랑
롤랑 부인
프랑스어 다른 이름Manon Roland
Madame Roland
출생일1754년 3월 17일
출생지파리, 프랑스 왕국
사망일1793년 11월 8일
사망지혁명 광장, 파리, 프랑스 제1공화국
사망 원인기요틴 (공포 정치)
국적프랑스
거주지리옹, 파리
직업정치 운동가, 살롱 주최자, 작가
마농 롤랑 서명
마농 롤랑 서명
사생활
배우자장-마리 롤랑 드 라 플라티에르 (1780년 결혼, 1793년 사망)
자녀에우도라 롤랑 드 라 플라티에르
부모가시앙 필리퐁
프랑스어 부모Gatien Phlipon, Gatien Phlippon
활동
알려진 이유살롱에서의 토론과 문필 활동
소속 정당지롱드 파
적대 인물조르주 당통
막시밀리앙 로베스피에르
교육
교육수도원에서의 1년간 교육과 독학
기타
프랑스어 이름Jeanne-Marie Phlipon-Roland, vicomtesse de La Platière
관련 인물프랑수아 뷔조

2. 생애

1754년 파리의 부유한 중류 부르주아 가정에서 태어났다. 어릴 적부터 총명하여 루소 등 계몽주의 사상가들의 저서를 즐겨 읽었다.[65][64] 1776년 훗날 남편이 되는 산업 감독관 롤랑 자작과 교제를 시작하여 1780년 결혼했다. 결혼 후 남편은 아내의 영향을 받아 정치에 관여하게 되었다.[65]

1791년 부부는 파리로 이주했고, 롤랑 부인은 자신의 집에서 살롱을 열어 각계 명사들과 교류하며 지롱드파 형성에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65] 그녀의 살롱은 혁명기 중요한 정치 토론의 장이 되었다. 1792년 3월 남편 롤랑이 내무 장관에 임명되자, 롤랑 부인은 남편의 정치 활동에 깊이 관여하며 큰 영향력을 행사했다.[66] 그러나 그녀의 중도적인 정치 성향과 영향력은 당통, 마라, 로베스피에르 등 자코뱅당 내 급진파의 반감을 샀다.[66] 국왕 루이 16세 재판 국면에서는 국왕이 적국과 내통했다는 증거를 제시하는 데 관여했으며, 국민 공회 성립 이후에는 산악파와의 대립이 격화되었다.

1793년 1월 국왕 처형 이후 지롱드파 내 온건파의 당통과의 타협 시도는 롤랑 부인의 강경한 반대로 무산되었다. 같은 해 6월, 산악파가 주도한 봉기로 공포정치가 시작되자 지롱드파는 숙청되었고, 롤랑 부인 역시 다른 지롱드파 지도자들과 함께 체포되어 투옥되었다.[67] 5개월간의 수감 생활 동안 그녀는 옥중에서 회고록을 집필했다. 11월 8일 혁명재판소에서 사형 선고를 받고 처형되기 직전, 다음과 같은 유명한 말을 남겼다.[67]

: Ô Liberté, que de crimes on commet en ton nom !fra

: "오! 자유여, 그대의 이름으로 얼마나 많은 죄를 범하는가!"롤랑 부인이 처형된 지 이틀 후, 노르망디에 피신해 있던 남편 롤랑 자작은 아내의 소식을 듣고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67]

2. 1. 어린 시절과 교육 (1754년 ~ 1775년)

마리-잔 플리퐁(Marie-Jeanne Phlipon프랑스어), 흔히 마농(Manon프랑스어)으로 알려진 그녀는[2] 1754년 파리의 Quai de l'Horloge프랑스어 41번지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조각가 피에르 가티엥 플리퐁(Pierre Gatien Phlipon프랑스어)이었고, 어머니는 모자 장수의 딸 마르그리트 비몽(Marguerite Bimont프랑스어)이었다. 아버지는 성공적인 사업을 운영하여 가족은 부유한 중류 부르주아 가정으로 편안한 환경에서 살았다.[3] 그녀는 부부의 유일하게 살아남은 자녀였으며, 여섯 명의 형제자매는 어릴 때 사망했다. 태어난 후 처음 2년 동안은 파리 남동쪽의 작은 마을인 아르파종에서 유모와 함께 지냈다.[4]

마농 롤랑이 어린 시절 살았던 파리의 에 있는 집


어릴 적부터 총명하여 영재교육을 받았다. 다섯 살 때 스스로 글을 깨우쳤고, 교리 문답 수업 중 지역 사제들은 그녀가 매우 영리하다는 것을 알아차렸다. 외동딸이었기에 당시 그녀의 사회적 배경을 가진 소녀에게 일반적으로 제공되던 것보다 더 많은 교육을 받을 수 있었으나, 이는 여전히 소년이 받는 수준에는 미치지 못했다. 캘리그래피, 역사, 지리, 음악 교사들이 집을 방문하여 가르쳤고, 아버지에게는 그림과 미술사를, 사제였던 삼촌에게서는 라틴어를 약간 배웠으며, 가정교사였던 할머니는 철자와 문법을, 어머니에게서는 가사 운영법을 배웠다.[5]

어린 시절 매우 종교적이었던 그녀는 열한 살 때 자신의 요청으로 첫 영성체를 준비하기 위해 1년 동안 수녀원에서 생활했다. 그러나 몇 년 후 로마 가톨릭교회의 교리에 의문을 품기 시작했고 결국 교회를 떠났다. 그럼에도 평생 신의 존재, 영혼의 불멸성, 선을 행해야 할 도덕적 의무를 믿었는데, 이는 이신론에 가까운 생각이었다.[6]

아버지의 작업장은 집과 연결되어 있었는데, 어린 시절 아버지의 견습생 중 한 명으로부터 성적 괴롭힘을 당하는 일을 겪었다. 이 사건을 어머니에게 말한 후, 마농과 견습생 사이의 접촉은 더 엄격하게 관리되었다.[7]

수녀원에서 돌아온 후 공식적인 교육은 거의 받지 못했지만, 독학으로 공부를 계속했다. 역사, 수학, 농업, 법률 등 다양한 분야의 책을 읽었으며, 특히 고전에 대한 열정을 키워 플루타르코스의 ''비교 열전''에 나오는 고대 그리스와 로마 영웅들의 이야기에 깊은 감명을 받았다.[8] 또한 볼테르, 몽테스키외, 루소 등 계몽주의 사상가들의 저서를 탐독했다.[64] 특히 루소의 민주주의 사상은 그녀의 정치 및 사회 정의에 대한 생각에 큰 영향을 미쳤다. 루소의 저작은 그녀에게 행복하고 충만한 삶의 방식을 제시하는 지침이 되었으며, 평생 그의 ''줄리, 또는 새로운 엘로이즈''(Julie, ou La Nouvelle Héloïse프랑스어)를 영감의 원천으로 삼아 정기적으로 다시 읽었다.[9][64] 루소의 글에서 여성 특유의 정조를 "즐거운 자제력 상실"(a pleasurable loss of self-control영어)로 표현한 부분에 감화되어, 이를 "고통과 자기 희생을 꺼리지 않는 모성적 용기"로 받아들이기도 했다.[64]

할머니 지인의 소개로 베르사유 궁정을 방문한 경험은 그녀의 사회관 형성에 영향을 주었다. 그곳에서 만난 귀족들의 사리사욕적인 모습과 능력보다는 가문 배경으로 특권을 누리는 현실에 실망하며 비판적인 시각을 갖게 되었다.[9] 그녀는 당시 여성에게 주어진 기회에 만족하지 못하고 친구들에게 로마 시대에 살았으면 좋았을 것이라고 편지를 쓰기도 했다. 한때 아버지의 사업을 물려받는 것을 진지하게 고민하기도 했으며, 주로 아버지의 고객이었던 학식 있는 연상의 남성들과 서신을 주고받으며 지적인 교류를 했다. 스스로 철학 에세이를 쓰기 시작하여 친구들 사이에서 ''여가 작품''(Oeuvre des loisirs프랑스어)이라는 제목의 원고를 돌렸다. 1777년에는 "여성 교육이 어떻게 남자를 더 낫게 만들 수 있는가"라는 주제로 열린 에세이 공모전에 참여했으나 수상하지는 못했다.[10]

2. 2. 학업과 저술 활동 (1775년 ~ 1780년)

수도원에서 돌아온 후, 롤랑 부인은 공식적인 교육을 거의 받지 못했지만 독학으로 꾸준히 공부했다.[8] 그녀는 역사, 수학, 농업, 법률 등 다양한 분야의 책을 섭렵하며 지식을 넓혔다. 특히 고전에 대한 열정을 키웠는데, 플루타르코스의 ''비교 열전''(Vitae Parallelae|비타이 파랄렐라이lat)에 등장하는 고대 그리스와 로마 영웅들의 이야기에 깊은 감명을 받았다.[8]

베르사유 궁정 방문 경험은 그녀가 프랑스 사회의 관계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그곳에서 만난 귀족들의 이기적인 모습과 능력보다는 가문에 따라 특권이 주어지는 현실에 실망감을 느꼈다.[9] 이러한 사회 비판 의식은 장 자크 루소의 저작을 탐독하면서 더욱 깊어졌다. 루소의 민주주의 사상은 그녀의 정치 및 사회 정의에 대한 생각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그의 저작은 행복하고 충만한 삶을 살아가는 방법에 대한 통찰을 주었다. 그녀는 평생 루소의 ''줄리, 또는 새로운 엘로이즈''(Julie, ou La Nouvelle Héloïse|쥘리, 우 라 누벨 엘로이즈fra)를 곁에 두고 영감을 얻었다.[9]

당시 여성에게 주어진 제한된 기회에 만족하지 못했던 그녀는 친구들에게 차라리 고대 로마 시대에 살았더라면 좋았을 것이라는 편지를 쓰기도 했다.[10] 한때 아버지의 사업을 이어받는 것을 진지하게 고민하기도 했으나, 주로 아버지의 고객이었던 학식 있는 연상의 남성들과 서신을 주고받으며 지적인 교류를 이어갔다. 이들은 그녀에게 멘토와 같은 역할을 했다.[10] 스스로 철학적인 에세이를 쓰기 시작하여 '여가 작품'(Oeuvre des loisirs|외브르 데 루아지르fra)이라는 제목으로 친구들과 생각을 나누었다. 1777년에는 "여성 교육이 어떻게 남성을 더 나은 존재로 만들 수 있는가"라는 주제의 에세이 공모전에 참여했지만, 입상하지는 못했다.[10]

2. 3. 결혼과 초기 정치 활동 (1776년 ~ 1790년)

1776년, 22세의 마농 필리퐁(롤랑 부인의 결혼 전 이름)은 자신보다 20살 연상인 장마리 롤랑 드 라 플라티에르를 만났다.[12] 그는 피카르디 지역의 제조 검사관으로, 지역 제조업체와 장인의 제품 품질 관리를 담당했으며 섬유 산업을 비롯한 생산, 무역, 경제 정책 분야의 전문가였다.[13] 롤랑은 지적이고 박식하며 여행 경험도 많았지만, 자기 주장이 강하고 쉽게 화를 내는 성격 탓에 동료들과 마찰을 빚기도 했다.[13]

장마리 롤랑 드 라 플라티에르, 마농 롤랑의 남편


롤랑 가문은 과거 하급 귀족이었으나 당시에는 작위가 없었다. 장인과 상인 집안 출신인 필리퐁 가문과는 사회적 지위 차이가 분명했다. 이 때문에 롤랑이 1778년 처음 청혼했을 때 마농 필리퐁은 거절했으나, 1년 뒤 받아들였다. 롤랑은 가족의 반대를 우려해 결혼 계획을 비밀리에 진행했다. 당시 기준으로 이는 배우자 간의 사회적 지위 차이가 큰 결혼, 즉 '미스알리앙스'로 여겨졌다.[14]

두 사람은 1780년 2월 결혼하여 파리에서 신혼 생활을 시작했다. 롤랑 부인은 결혼 직후부터 남편의 일을 도우며 비서와 같은 역할을 수행했다.[15] 남편이 내무부에서 일하는 동안, 그녀는 여가 시간을 활용해 파리 식물원에서 자연사 강의를 들었다. 이곳에서 평생 친구가 된 루이-오귀스탱 보스크 다티크[15] 및 프랑수아 자비에르 랑테나스와 교류를 시작했다.[16] 롤랑 부인의 영향으로 남편 롤랑은 점차 정치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65][64]

1784년 부부는 함께 리옹으로 이주했다.[64] 1790년 남편 롤랑이 리옹 시의 대의원으로 선출되어 시의 부채 삭감 협상을 위해 파리로 파견되었다.[64]

2. 4. 프랑스 혁명과 지롱드당 (1789년 ~ 1793년)

1789년 프랑스 혁명이 발발하자, 롤랑 부부의 생각은 빠르게 급진화되었다. 롤랑 부인은 사회 개혁을 넘어 혁명을 지지했으며, 공화국의 신속한 수립을 주장했다. 그녀는 반혁명 세력의 음모가 진행 중이라고 확신하고, 편지를 통해 친구와 동료들에게 혁명의 필요성을 알리고 동참을 촉구했다. 또한 리옹에서 지역 ''Cahier de Doléances'' 작성에 참여하는 등 혁명 초기 활동에 적극적으로 관여했다. 1790년 남편 장마리 롤랑이 리옹 시의회 의원으로 선출되자, 롤랑 부인은 혁명가들과 교류하며 급진적인 정치 클럽 설립을 지지했다. 그녀는 자크 피에르 브리소가 발행하는 신문 ''르 파트리오트 프랑세즈''나 ''르 쿠리에 드 리옹'' 등에 익명 또는 필명으로 글을 기고하며 자신의 정치적 견해를 알리고 영향력을 확대해 나갔다.

자크 피에르 브리소, 언론인이자 지롱드파 지도자로 롤랑 부인과 긴밀히 협력했다.


1791년, 롤랑 부부는 리옹 시의 부채 문제 해결을 위한 협상차 파리로 이주했다. 파리에서 롤랑 부인은 브리소의 소개로 막시밀리앙 로베스피에르, 미국 혁명가 토머스 페인 등 다양한 정치 인사들과 교류하며 빠르게 정치계의 중요 인물로 부상했다. 그녀는 자신의 집에서 살롱을 열었는데, 이곳은 단순한 사교 모임이 아니라 정치적 논의가 활발히 이루어지는 중심지였으며, 지롱드당이 형성되는 기반이 되었다.[65] 롤랑 부인은 살롱에서의 직접적인 발언보다는 주로 경청한 뒤, 편지나 개인적인 대화를 통해 자신의 날카로운 정치 분석과 이념적 신념을 전달하며 영향력을 행사했다. 그녀는 지롱드파의 핵심 인물로 인정받았고, 많은 이들이 그녀에게 정치적 조언을 구했다.

마담 롤랑(Madame Roland) by 요한 율리우스 하인시우스, 1792년 추정.


1791년 6월 루이 16세의 바렌 도주 사건은 혁명의 열기를 더욱 고조시켰다. 롤랑 부인은 공화국 수립을 공개적으로 주장하며 정치 활동에 더욱 적극적으로 참여했다.[26] 7월에는 샹 드 마르스 학살 이후 루이즈 드 케랄리오 부부에게 피신처를 제공하기도 했다.[27] 이후 입법의회 내에서는 프로이센, 오스트리아와의 전쟁 여부를 놓고 지롱드파와 로베스피에르를 중심으로 한 세력 간의 갈등이 깊어졌다. 롤랑 부인은 전쟁을 강력히 지지했으며, 이 문제로 로베스피에르와의 관계는 멀어졌다. 1792년 3월, 루이 16세는 지롱드파에게 내각 구성을 맡겼고, 남편 장마리 롤랑이 내무 장관으로 임명되었다.[28] 롤랑 부인은 남편의 장관직 수행에 깊이 관여하며 정책 결정에 큰 영향력을 행사했고, 남편은 아내의 판단에 크게 의존했다.[66] 그녀는 국왕이 반혁명을 음모하고 있다고 보고, 파리 근교에 군대를 주둔시켜 만일의 사태에 대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루이 16세가 관련 법안 서명을 거부하자, 롤랑 부인이 작성한 것으로 알려진 항의 서한이 국왕에게 전달되고 공개되면서 큰 파장을 일으켰다. 이 일로 1792년 6월 13일, 롤랑은 다른 지롱드파 장관들과 함께 해임되었다. 그러나 8월 10일 사건으로 왕권이 정지되면서 롤랑은 다시 내무 장관으로 복귀했다.

프랑수아 부조, 롤랑 부인과 정신적 사랑을 나눈 지롱드파 의원


왕정 폐지 이후 혁명은 공포정치 시대로 접어들었다. 1792년 9월, 파리 감옥에서 수백 명의 수감자가 학살당한 9월 학살 사건은 롤랑 부인에게 큰 충격을 주었으며, 그녀는 혁명의 잔혹성에 대해 회의감을 느끼기 시작했다. 그녀는 이 학살의 배후로 장폴 마라, 조르주 당통, 로베스피에르 등을 지목하며 강하게 비판했고, 이들과의 정치적 대립은 더욱 격화되었다.[31] 특히 당통과의 타협을 거부한 것은 결과적으로 지롱드파의 정치적 고립을 심화시키는 요인이 되기도 했다.[30] 롤랑이 두 번째로 내무 장관직을 수행하는 동안에도 롤랑 부인의 영향력은 여전했으며, 그녀가 주도한 '공공 정신 사무국'은 지롱드파의 입장을 선전한다는 비판을 받기도 했다.[32] 이 시기 롤랑 부인은 지롱드파 의원 프랑수아 부조와 깊은 정신적 사랑을 나누었으며, 이는 남편과의 관계에도 영향을 미쳤다.[33] 1792년 11월, 롤랑 내무 장관은 튈르리 궁전에서 발견된 소위 "철제 금고" 문서를 통해 루이 16세가 외국과 내통했다는 증거를 공표했고, 이는 국왕 재판으로 이어지는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다. 1793년 1월 21일 루이 16세가 처형된 후, 지롱드파 내 일부에서 당통과의 타협을 시도했으나 롤랑 부인의 강경한 반대로 무산되었다. 이후 자코뱅당 내 산악파와의 권력 투쟁은 더욱 치열해졌고, 1793년 6월 로베스피에르를 중심으로 한 산악파가 주도한 봉기로 지롱드파는 몰락했다. 롤랑 부인은 남편과 아이, 그리고 부조를 피신시킨 후 다른 지롱드파 지도자들과 함께 체포되어 투옥되었다.[67]

2. 5. 투옥과 처형 (1793년)

1793년 1월 21일 루이 16세가 처형된 후, 지롱드파 일부가 당통과 타협하려 했으나 롤랑 부인의 반대로 무산되었다.[67]

같은 해 6월, 산악파와의 항쟁이 격화되고 로베스피에르의 공포정치가 시작되면서 남편과 아이를 피신시킨 후, 롤랑 부인은 다른 지롱드파 간부들과 함께 체포되어 투옥되었다.[67] 그녀는 5개월간 수감되어 있는 동안 옥중에서 회고록을 집필했다.[67]

11월 8일, 사형 집행 직전 롤랑 부인은 다음과 같은 유명한 말을 남기고 처형되었다.[67]

: Ô Liberté, que de crimes on commet en ton nom !fra: "오! 자유여, 그대의 이름으로 얼마나 많은 죄를 범하는가!"이틀 후, 피난처인 노르망디에서 아내의 처형 소식을 들은 남편 롤랑 자작은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67] 롤랑 부인의 유해는 마들렌 묘지에 매장되었으나, 훗날 묘지가 폐쇄되면서 유골은 파리 지하 묘지로 이장되었다.

3. 유산 및 영향

롤랑 부인이 남긴 회고록편지프랑스 혁명 당시의 상황과 사상을 생생하게 담고 있어 중요한 역사적 자료로 평가받는다.[68] 그녀의 이야기는 동아시아에도 전해져, 일본에서는 1886년, 중국에서는 1902년에 그녀의 전기가 번역되어 소개되었다. 대한민국에서는 1907년 매일신보에 《라란부인전》이라는 제목으로 연재되었고, 이듬해인 1908년에는 단행본으로 출간되어 당시 지식인 사회에 영향을 주었다.[68] 같은 해 발표된 이해조의 소설 〈홍도화〉에서도 주인공 태희가 롤랑 부인을 언급하는 등, 그녀는 근대기 한국 사회에도 알려진 인물이었다.[68]

20세기 후반에 이르러 여성의 역사적 역할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프랑스 혁명 시기 대표적인 여성 지식인이자 정치적 인물이었던 롤랑 부인의 삶과 저작에 대한 연구가 다시 활발해졌다. 그녀의 기록들은 혁명의 격동기를 여성의 시각에서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는 귀중한 자료로 인정받고 있다.

4. 저작

롤랑 부인은 1793년 6월 체포되어 투옥된 후, 옥중에서 회고록을 집필했다. 그녀의 주요 저작은 다음과 같다.


  • ''롤랑 부인의 편지: 1780–1793''. (1900–1902). [http://gallica.bnf.fr/ark:/12148/bpt6k46924q/f3 1부]. [http://gallica.bnf.fr/ark:/12148/bpt6k46924q/f824 2부]
  • ''롤랑 부인의 편지: 1767–1780''. (1913–1915). [http://gallica.bnf.fr/ark:/12148/bpt6k469252/f3 1부]. [http://gallica.bnf.fr/ark:/12148/bpt6k469252/f631 2부]
  • ''마담 롤랑의 회고록''. (1905). [http://gallica.bnf.fr/ark:/12148/bpt6k46827g/f4 1부]; [http://gallica.bnf.fr/ark:/12148/bpt6k46827g/f512 2부] (전체 텍스트)
  • [https://archive.org/details/privatememoirsm01conggoog 마담 롤랑의 개인 회고록.] 1901. (편집된 텍스트의 영어 번역)

참조

[1] 문서
[2] 문서
[3] 인용
[4] 인용
[5] 인용
[6] 인용
[7] 인용
[8] 인용
[9] 인용
[10] 인용
[11] 인용
[12] 문서
[13] 인용
[14] 인용
[15] 인용
[16] 인용
[17] 인용
[18] 서적 Marriage and Revolution: Monsier and Madame Roland. Oxford UP
[19] 서적 Encyclopedia of the Age of Political Revolutions and New Ideologies, 1760–1815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20] 서적 Madame Roland & The Age of Revolution Columbia University Press
[21] 논문 "French Feminists and the Rights of "Man": Olympe de Gouge's Declarations" Blackwall Publishers
[22] 논문 “French Women’s Revolutionary Writing: Madame Roland or the Pleasure of the Mask,” 1996-Spring
[23] 논문 “When Girls Read Rousseau: The Case of Madame Roland,” 2002-Summer
[24] 논문 "Ascetic Retreat in the Life and Writings of Madame Roland" 1989-Winter
[25] 인용
[26] 문서
[27] 인용
[28] 문서
[29] 인용
[30] 인용
[31] 인용
[32] 인용
[33] 인용
[34] 인용
[35] 인용
[36] 서적 Reynolds
[37] 문서
[38] 서적 Reynolds
[39] 서적 Deviant Women of the French Revolution and the Rise of Feminism Fairleigh Dickinson University Press 2009
[40] 서적 Tarbell
[41] 서적 Tarbell
[42] 서적 Reynolds
[43] 서적 McPhee
[44] 서적 Schama
[45] 서적 Reynolds
[46] 문서
[47] 서적 Reynolds
[48] 서적 The enlightenment: a sourcebook and reader Routledge 2003
[49] 서적 Tarbell
[50] 간행물 Les Mémoires de Madame Roland : être femme dans la tourmente de l'Histoire https://journals.ope[...] 2011-04-01
[51] 간행물 Women as Spectators and Participants in the French Revolution https://ugp.rug.nl/g[...] 2015-05-30
[52] 서적 Reynolds
[53] 간행물 Mémoires de Mme Roland. Nouvelle édition critique, par Cl. Perroud, 1905 https://www.persee.f[...] 1905
[54] 서적 The Memoirs and the Letters of Madame Roland. In The American Historical Review, jaargang 33, deel 4 2018-07-01
[55] 웹사이트 Unseen, Even of Herself https://www.theparis[...] 2015-11-17
[56] 웹사이트 Marie-Jeanne Roland Critical Essays - eNotes.com https://www.enotes.c[...] 2018-10-16
[57] 뉴스 Newbery Medal and Honor Books, 1922-Present http://www.ala.org/a[...] 2018-10-16
[58] 서적 Reynolds
[59] 서적 Théâtre de Émile Bergerat Librairie Paul Ollendorff 1899
[60] 웹사이트 Madame Roland (Fourdrain, Félix) - IMSLP/Petrucci Music Library: Free Public Domain Sheet Music https://imslp.org/wi[...] 2018-12-01
[61] 웹사이트 Madame Roland (Enrico Guazzoni, 1912) - La Cinémathèque française http://www.cinemathe[...] 2018-12-01
[62] 웹사이트 Casting de Manon Roland http://www.allocine.[...] 2018-12-01
[63] 웹사이트 ロラン夫人 ジロンド派の女王と呼ばれた才媛/フランス革命/人物|Histoire イストワール https://histoire-p.c[...] 2020-07-14
[64] 간행물 Sweet and Consoling Virtue: The Memoirs of Madame Roland http://www.jstor.org[...] 2001-03-01
[65] 서적 프랑스 여성 시그마북스 2008
[66] 서적 아내 시공사
[67] 서적 유식의 즐거움 휘닉스 2006
[68] 서적 한국계몽주의 문학사론 소명출판 20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