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세나 (스페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루세나는 스페인 코르도바 주 남부에 위치한 도시로, 과달키비르 우울증과 수바에티코 시스템 사이의 지점에 자리 잡고 있다. 이슬람 통치 시대에는 유대인 공동체의 중심지였으며, 11세기에는 탈무드 아카데미가 설립되어 학문적으로 번성했다. 1240년 카스티야 왕국에 정복되었으며, 이후 국경 도시로서의 역할을 했다. 현대에는 가구, 산업용 냉장고 등을 생산하는 공업 도시로 성장했으며, 부활절 축제(Semana Santa)가 유명하다. 주요 인물로는 이삭 이븐 기야트, 호세프 이븐 미가쉬 등이 있으며, 모랄 성, 산 마테오 교회 등 역사적인 건축물을 보유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코르도바도의 자치체 - 코르도바 (스페인)
코르도바는 스페인 남부에 위치한 도시로, 로마 시대와 이슬람 시대에 번성했으며, 특히 코르도바 대성당을 포함한 역사 지구는 유네스코 세계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어 많은 관광객이 찾는 곳이다. - 코르도바도의 자치체 - 몬티야
몬티야는 스페인의 와인 산지로, 품질 좋은 올리브 오일과 독특한 풍미의 와인으로 유명하며, 셰리주의 일종인 아몬티야도의 이름 유래지이자 몬티야-모릴레스 지정 와인 지역의 큰 부분을 차지하며, 벤디미아 축제가 개최되고 곤살로 데 코르도바의 출생지이며 소설 속 마녀 관련 유적이 있는 곳이다. - 스페인의 도시 - 비야레알
비야레알은 스페인 발렌시아 지방에 위치한 도시로, 세라믹 타일 제조업이 발달하고 프리메라리가 축구팀 비야레알 CF의 연고지이며, 산 파스콸 바실리카 등 다양한 명소가 있다. - 스페인의 도시 - 알리칸테
알리칸테는 스페인 발렌시아 지방의 지중해 연안 도시로, 7000년 이상의 역사를 지니고 지중해성 기후를 띠며 관광 및 서비스업 기반 경제를 갖춘 33만 명 이상 거주하는 도시이며, 산타 바르바라 성, 알리칸테 항구 등의 관광 명소와 축구 클럽, 볼보 오션 레이스 본부 도시로서의 특징을 가진다.
루세나 (스페인)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공식 명칭 | Lucena (루세나) |
지리적 구분 | municipality (스페인 자치제) |
국가 | 스페인 |
자치 지방 | 안달루시아 |
도 | 코르도바 |
시장 | Juan Pérez Guerrero (후안 페레스 게레로) |
면적 | 351 km2 |
고도 | 485 m |
우편 번호 | 14900 |
인구 | 41698명 (2008년 기준) |
인구 밀도 | auto |
![]() | |
![]() | |
![]() | |
기타 정보 | |
웹사이트 | 루세나 공식 웹사이트 |
2. 지리
루세나는 코르도바주 남부에 위치하며, 과달키비르 우울증의 ''캄피냐'' 지역과 수바에티코 시스템 사이의 전환 지대에 자리 잡고 있다.[1] 해발 고도는 500m 약간 아래이다.[1] 주변의 수바에티코 시스템에는 카브라, 카르카부에이, 폴로스, 오르코네라, 루테의 산맥과 같은 인접한 작은 산맥들이 포함된다.[1] 이러한 지리적 위치 때문에 옛부터 군사적 요충지로 여겨졌다.
루세나 지역의 인간 정주 역사는 신석기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가지만, 도시 자체에 대한 명확한 역사적 기록은 이슬람 통치 시대에 이르러서야 나타난다.[2] 853년 문헌에 처음 언급된 루세나는 특히 9세기부터 12세기에 걸쳐 "유대인의 도시"로 불릴 만큼 중요한 유대인 공동체의 중심지였다. 이 시기 루세나에는 유명한 탈무드 아카데미가 있었으며, 이슬람교, 유대교, 기독교의 세 문화가 공존하며 독특한 문화를 형성했다.
3. 역사
그러나 1148년 무와히드 왕조의 침공과 정복은 루세나의 역사에 큰 전환점이 되었다.[8] 이 사건으로 인해 번성했던 유대인 공동체는 큰 타격을 입었으며, 많은 유대인이 북부의 기독교 지역으로 피신하거나 강제로 개종당하는 등 도시의 성격이 크게 변화했다.[7][9] 이로 인해 루세나는 유대인 중심지로서의 위상을 상당 부분 잃게 되었다.[10]
1240년, 루세나는 카스티야 왕국의 페르난도 3세에게 정복되었고,[11] 이후 기독교 세력의 통치 하에 놓였다. 중세 후기에는 그라나다 왕국과의 국경 도시로서 중요한 군사적 요충지 역할을 수행했으며, 1483년에는 루세나 전투에서 그라나다의 마지막 술탄 보아브딜이 카스티야 군대에 생포되는 결정적인 사건이 발생하기도 했다.
1492년 그라나다 정복으로 이베리아 반도 내 이슬람 세력이 완전히 물러나고 국경 도시로서의 역할이 끝나자, 루세나에는 새로운 변화가 찾아왔다. 많은 ''개종자''(유대교나 이슬람교에서 기독교로 개종한 이들) 가문이 정착하면서 인구가 크게 증가했으며,[13] 1618년에는 공식적으로 '도시' 칭호를 부여받았다.[14]
20세기 민정 이양 이후, 루세나는 급속한 경제 성장을 경험하며 안달루시아 지방의 주요 공업 도시 중 하나로 자리매김했다. 오늘날 루세나는 가구, 산업용 냉장 설비, 와인, 청동 제품 및 도자기 제조 등 다양한 산업이 발달했으며, 특히 올리브유 생산으로도 알려져 있다.
3. 1. 이슬람 통치 시대
루세나는 이슬람 통치 시대에 역사 기록에 처음 등장한다.[2] 853년의 응답서에서는 당시 코르도바 토후국의 일부였던 루세나(''알리사나'')를 "많은 유대인이 있는 도시"로 언급했다. 이슬람 통치 기간 동안 루세나는 카브라의 쿠라(구역)에 속했다.[4] 11세기 코르도바 칼리프국 붕괴 후에는 지리 왕국의 일부가 되었다.[6] 이 시기 루세나는 중요한 유대인 공동체를 중심으로 번성했으나,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에서 다룬다.
알모라비드와 알모하드 통치기에 접어들면서 도시의 상황은 변화했다. 특히 1148년, 알모하드 군대가 루세나를 정복하면서[8] 도시와 유대인 공동체는 큰 변화를 맞이했다.
이슬람 도시로서의 루세나는 1240년 카스티야 왕국의 페르난도 3세에게 정복되면서[11] 이슬람 통치 시대를 마감하게 된다.
3. 1. 1. 유대인 공동체의 번영과 쇠퇴
이슬람 통치 시대에 루세나는 역사 기록에 처음 등장한다.[2] 853년의 응답서에서는 당시 코르도바 토후국의 일부였던 루세나(''알리사나'')를 "많은 유대인이 있는 도시"이자 "그 안에 이방인이 없는" 곳으로 묘사했다. 루세나 유대인 묘지에서 발굴된 일부 묘비는 대략 9~10세기로 추정된다.[3] 이슬람 통치 기간 동안 루세나는 카브라의 쿠라(구역)에 속했다.[4] 이미 10세기에 루세나의 유대인들은 코르도바의 유대인들과 중요성을 다투었다.[5] 11세기에 코르도바 칼리프국의 붕괴를 가져온 알안달루스의 피트나 속에서 루세나는 지리 왕국의 일부가 되었다.[6]
11세기 초, 이삭 알파시와 같은 중요한 유대인 학자들이 루세나에서 활동했다. 이삭 알파시는 루세나에 대규모 탈무드 아카데미를 설립했으며, 이 아카데미에서는 이삭 이븐 가야트, 이삭 이븐 알발리아, 요셉 이븐 미가쉬와 같은 학자들도 두각을 나타냈다. 이 시기 루세나에는 중요한 유대인 고등 교육 기관이 있었으며, 도시 중심부에는 시나고그 주변으로 좁고 작은 길이 있는 게토가 형성되었다 (9세기부터 11세기).
그러나 알모라비드와 알모하드 통치가 시작되면서 루세나의 유대인 공동체는 급격히 쇠퇴했다. 많은 유대인이 톨레도와 같은 이베리아 반도 북부의 기독교 지역으로 피신하거나, 이슬람으로 강제 개종되거나, 포로로 북아프리카로 추방되었다.[7] 1148년, 루세나는 알모하드 왕조에게 정복당하고 약탈당했다.[8] 유대인 주석가 아브라함 이븐 에즈라는 루세나가 알모하드에게 함락된 것을 마치 작은 예루살렘이 멸망한 것처럼 슬퍼하며 시를 남겼다.[9] 이 사건으로 루세나는 유대인 중심지로서의 역할을 사실상 잃게 되었다.[10] 살아남은 유대인들은 종교적 관용을 찾아 북쪽의 톨레도로 이주하여 새로운 유대인 공동체를 형성했고, 이는 톨레도 유대 문화의 발전에 기여했다.
3. 2. 카스티야 왕국 시대
루세나는 1240년 카스티야 왕국의 페르난도 3세에 의해 정복되었다.[11] 이듬해인 1241년에는 코르도바 대성당의 주교와 카빌도(참사회)에 기증되었다.[11] 1333년에는 잠시 이슬람 세력에게 다시 정복되기도 했으나, 카스티야의 통치 하에 남게 되었다. 1342년까지 코르도바 주교의 통제를 받았으며, 이후 레오노르 데 구스만의 소유가 되었다. 1344년에는 코르도바와 유사한 푸에로(지역 특권법)가 부여되었다.
중세 시대 후기 동안 루세나는 그라나다 왕국과의 국경 마을로 중요한 역할을 했다. 14세기 후반에는 코르도바 가문의 한 분파 소유가 되었다.[12] 1483년에는 디에고 3세 페르난데스 데 코르도바가 이끄는 카스티야 군대가 루세나 전투에서 그라나다 왕국의 마지막 술탄인 보아브딜을 패퇴시키고 포로로 잡는 중요한 승리를 거두었다.
1492년 그라나다 정복으로 국경 도시로서의 역할이 끝나자 루세나의 인구는 급격히 증가했다. 1495년 약 1,300명이었던 인구는 1530년경 약 8,172명으로 늘어났다. 이 시기 많은 ''개종자''(유대교에서 기독교로 개종한 이들) 가문이 루세나에 정착하면서 인구 증가에 기여했다.[13] 이들 개종자들은 당시 지역 영주였던 코마레스 후작에게 봉사하며 생활했다. 루세나는 1618년에 'ciudad'라는 공식적인 도시 칭호를 받았다.[14]
초기 근대에는 로드리게스 가문과 같이 포르투갈 출신의 ''개종자'' 배경을 가진 이민자들이 루세나에 정착하여, 기존에 있던 카르모나-카스티요 ''개종자'' 가문과 관계를 맺었다. 이들 포르투갈계 이민자들은 코르도바 왕국의 다른 지역과 마찬가지로 섬유 산업이나 노예 무역 등 지역 경제 활동에 참여했다.
3. 3. 근세 시대
16세기 초, 루세나의 인구는 급격히 증가했다. 1492년 그라나다 정복으로 국경 지역으로서의 역할이 사라지면서, 1495년 1,300명이었던 인구는 1530년 약 8,172명으로 늘어났다. 이 시기 많은 ''개종자'' 가문이 루세나에 정착하여 인구 증가에 기여했으며,[13] 이들은 당시 통치 귀족이었던 코마레스 후작에게 봉사하며 생활했다. 루세나는 1618년에 ''ciudad'' ('도시')라는 칭호를 공식적으로 받았다.[14]
초기 근대 시대에는 로드리게스 가문과 같이 ''개종자'' 배경을 가진 포르투갈 이민자들이 루세나에 정착하여, 기존에 있던 카르모나-카스티요 ''개종자'' 가문과 교류했다. 코르도바 왕국의 다른 지역과 마찬가지로, 이들 포르투갈 이민자들은 섬유 산업 및 노예 무역과 같은 지역 경제 활동에 참여했다.
4. 문화
루세나의 문화에서 가장 중요한 행사 중 하나는 매년 열리는 부활절 축제, 즉 세마나 산타(Semana Santa|세마나 산타es)이다. 이 축제는 스페인 전역에서 열리지만, 루세나에서는 '파소'(pasos|파소스es, 성상 행렬)를 운반하는 독특한 방식인 '산테리아'(santería|산테리아es)로 특히 유명하다. 이러한 고유한 전통 덕분에 루세나의 세마나 산타는 특별 관광 명소로 지정되기도 했다.
4. 1. 부활절 축제 (Semana Santa)

부활절 축제, 즉 세마나 산타(Semana Santa|세마나 산타es)는 스페인 대부분 지역과 마찬가지로 루세나에서도 매년 열리는 가장 중요한 축제이다. 루세나의 세마나 산타는 특별 관광 명소로 지정되었으며, '파소'(pasos|파소스es, 성상 행렬)를 운반하는 독특하고 특별한 방식으로 유명하다. 모든 파소는 최소 하나의 조각상으로 구성되며, 대부분 수백 년 된 유물이다. 안달루시아의 다른 지역과 달리, 루세나에서는 파소를 어깨에 메고(세비야 방식과 차이), 모든 운반자가 노출된 상태이며(말라가 방식과 차이), 같은 높이로 운반한다. 루세나에서 행렬이 운반되는 이러한 방식을 '산테리아'(santería|산테리아es)라고 부르며, 이는 이 도시만의 고유한 특징이다. 산테리아는 특히 성 목요일(Jueves Santo|후에베스 산토es)에 9개의 파소가 거리를 행진할 때 가장 잘 관찰할 수 있다. 1675년에 유명한 조각가 페드로 롤단이 제작한 크리스토 데 라 콜룸나(Cristo de la Columnaes)와 17세기 초 스페인령 아메리카에서 가져온 인상적인 크리스토 데 라 상그레(Cristo de la Sangrees)는 주목할 만한 조각상이다.
루세나에서 세마나 산타를 즐기기 가장 좋은 날은 종려 주일(5개의 파소), 화요일(7개의 파소), 목요일(9개의 파소), 토요일(1개의 파소)이다.
- 종려 주일: 3개의 다른 형제회(cofradía|코프라디아es)와 교회에 속한 5개의 파소가 거리에 등장한다. 이들은 특정 지점에서 만나 하나의 큰 행렬을 이룬다. 이날의 주요 볼거리는 크리스토 데 라 본다드(Cristo de la Bondades), 오라시온 엔 엘 우에르토(Oración en el Huertoes), 마돈나 데 라 에스트레야(Madonna de la Estrellaes)이다.
- 월요일: 프란치스코 형제회에 헌정된 날이다. 파소는 루세나 시내의 프란치스코 수도원에서 출발한다. 유명한 메디나셀리 그리스도(Cristo de Medinacelies)의 '트론'(tronoes, 조각상을 싣는 받침대)과 바티칸 로마에 있는 미켈란젤로의 작품과 유사한 비르헨 데 피에드라(Virgen de Piedraes)가 주요 볼거리이다.
- 화요일: 3개의 다른 형제회 소속 7개의 파소가 루세나 거리를 행진한다.
- 1606년에 설립된 카르민 형제회는 루세나 남부 카르멘 교회에서 출발하며, 3개의 매우 오래되고 역사적인 파소를 선보인다. 그라나다 조각 학파의 영향을 받은 '비르헨 데 로스 돌로레스'(Virgen de los Doloreses)와 '세뇨르 데 라 우밀다드'(Señor de la Humildades)는 빼놓을 수 없다. 이 형제회는 도시에서 가장 오래된 곳 중 하나로 수세기 전의 전통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
- 다른 두 형제회인 세르비타스 형제회(1724년 설립)와 '평화와 사랑' 형제회는 중심부 산 마테오 대성당에 기반을 둔다. 특히 '평화와 사랑' 형제회는 축제 기간 중 가장 아름답고 균형 잡힌 파소로 꼽히는 '평화와 사랑의 마돈나'(Madonna de Paz y Amores)와 '평화와 사랑의 그리스도'(Cristo de Paz y Amores)를 선보인다. 화요일은 방문할 가치가 충분하다.
- 수요일: 현재 루세나 세마나 산타 중 가장 조용한 날로, '엘 바예'(El Vallees) 형제회의 2개 파소만 행진한다. 하지만 자정이 되면 가장 성대하고 전통적인 날인 성 목요일이 시작된다.
- 목요일: 자정에 산 마테오 대성당에서 '크리스토 델 실렌시오'(Cristo del Silencioes) 행렬이 시작된다. 모든 불을 끄고 침묵 속에서 진행되는 이 행렬은 안달루시아 성주간 전통과 카스티야 배경 사이의 연결을 보여주는 매우 특별한 순간이다. 이른 오후에는 루세나 동쪽의 '디오스 파드레'(Dios Padrees) 예배당에서 두 번째 형제회가 출발한다. 이 형제회는 '성스러운 믿음의 알레고리'(Alegoría de la Santa Fees)와 '예수가 성 베드로의 발을 씻기다'(Jesús lavando los pies a San Pedroes)와 같이 루세나 고유의 파소를 포함한 3개의 파소로 구성된다. 저녁에는 축제의 가장 고대하는 순간 중 하나인 페드로 롤단의 '크리스토 데 라 콜룸나'가 산 자크 교회에서 출발한다. 이 파소가 운반되는 방식과 저녁 내내 울려 퍼지는 '사에타스'(saetases, 안달루시아 플라멩코식 기도 노래)는 이날 루세나를 방문할 충분한 이유가 된다. 이어서 루세나에서 가장 진지하고 전통적이며 존경받는 파소 중 하나인 '크리스토 데 라 상그레'가 성 프란치스코 교회에서 출발한다. 목요일에는 총 9개의 파소가 행진하며, 이들은 알카이드 거리 라스 토레스(시내)에서 만나 플라자 누에바(중앙 광장)를 거쳐 엘 페소 거리로 향한 뒤 각자의 경로로 흩어진다.
- 성금요일: 전통적으로 목요일과 이어진다. 목요일의 파소들이 새벽 2시 30분에 교회로 돌아가고, 다음 행렬인 나사레노 그리스도(Cristo Nazarenoes)가 오전 6시에 출발하므로 파소가 없는 시간은 불과 몇 시간뿐이다. 나사레노 형제회는 1599년에 설립된 가장 오래된 형제회 중 하나로, 6개의 파소로 구성된다. 나사레노 자체는 르네상스 양식의 매우 오래되고 존경받는 조각상이다. 이 형제회는 옛 모습을 잘 간직하고 있다.
- 토요일: '솔레다드'(Soledades) 형제회의 파소 하나만 행진한다. 이 형제회는 1564년에 결성된 루세나에서 가장 오래된 곳이며, 매우 아름답고 잘 조직된 진지한 행렬을 선보인다.
- 부활 주일: '부활' 형제회가 축제의 마지막을 장식하며 한 주간의 축하 행사를 마무리한다.
5. 주요 인물
이름 | 생몰년 | 주요 활동 및 설명 |
---|---|---|
이삭 이븐 기야트 | 1038–1089 | |
호세프 이븐 미가쉬 | 1077(세비야)–1141 | 평생의 대부분을 루세나에서 보낸 랍비, 포세크, 로시 예시바였다. |
루이스 라미레스 데 루세나 | 1465–1530 | 스페인의 주요 체스 선수로,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체스 인쇄물을 저술했다. 루세나 포지션은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
루이스 바라오나 데 소토 | 1548–1595 | 시인이자 미겔 데 세르반테스의 친구였다. |
안토니오 모헤다노 | 1561(안테케라)–1625 | 르네상스 시대의 화가. |
프란시스코 우르타도 이스키에르도 | 1699(프리에고 데 코르도바)–1725 | 건축가이자 그라나다 카르투시오 수도원의 성막 저술가. |
호세 마리아 히노호사 ("엘 템프라니요") | 1805–1833 | 산적. |
파코 데 루세나 | 1859–1898 | 플라멩코 기타리스트. |
빅토르 페레즈 (감독) | 1981년 출생 | 스페인 감독, 프로듀서 및 디지털 영화 합성가. |
6. 사적
루세나에는 안달루시아 역사 유산(스페인어판)으로 선정된 건물이 있다.
- 구 산 후안 바우티스타 병원
- 모랄 성(Castillo del Moralspa): 11세기 유대인 시대에 건립되었으며, 나스르 왕조의 마지막 술탄인 보압딜이 포로로 잡혀 갇혔던 곳이다.
- 산 마테오 교회(Iglesia de San Mateospa): 16세기에 지어졌고, 18세기에 개축되었다.
- 사도 산티아고 교구 교회: 과거 시나고그였던 곳이다.
- 모라나 구릉
- 산타 아나 백작 저택: 1730년에서 1750년 사이에 건립되었으며, 현재는 법원으로 사용되고 있다.
참조
[1]
간행물
Redes de Centros Históricos en Andalucía
https://www.juntadea[...]
Consejería de Obras Públicas y Transportes
[2]
논문
The City of Lucena in Arab Sources
https://gredos.usal.[...]
[3]
논문
El cementerio judío de Lucena (Córdoba)
https://revistaseug.[...]
Editorial Universidad de Granada
[4]
논문
Documentos de regulación legal judía de la Lucena del siglo XI
Ediciones Complutense
[5]
서적
Judíos en la España medieval
https://fundacion-ra[...]
[6]
서적
Campo y campesinos en la España Moderna. Culturas políticas y el mundo hispano
Fundación Española de Historia Moderna
[7]
서적
Los marginados en el mundo medieval y moderno : Almería, 5 a 7 de noviembre de 1998
Instituto de Estudios Almerienses
[8]
간행물
Mozarabías y juderías de las ciudades hispanomusulmanas
https://oa.upm.es/34[...]
[9]
논문
Ciudad medieval y barrio judío: reflexiones
https://revistaseug.[...]
[10]
서적
De Abrahán a Maimónides, Volumen 3. Los judíos en Córdoba
https://books.google[...]
Ediciones El Almendro
[11]
서적
Los fueros de los reinos de Andalucía: de Fernando III a los Reyes Católicos
https://www.boe.es/b[...]
Agencia Estatal Boletín Oficial del Estado
[12]
논문
Las armerías en el conflicto antiseñorial de Lucena (Córdoba), a finales de la Edad Moderna
https://ifc.dpz.es/r[...]
[13]
서적
Los judeoconversos en el mundo ibérico
UCO Press
[14]
서적
Tiempos de conventos: una historia social de las fundaciones en la España moderna
https://books.google[...]
Marcial Pons Historia
[15]
서적
Luis Barahona de Soto, estudio biografico, bibliografico y critico
https://archive.org/[...]
Sucesores de Rivadeneyra
[16]
웹사이트
Antonio Mohedano
https://www.iaph.es/[...]
Junta de Andalucía
2019-09-23
[17]
웹사이트
Mohedano de la Gutierra, Antonio
https://www.museodel[...]
Museo del Prado
2019-09-23
[18]
뉴스
Francisco Hurtado Izquierdo, el arquitecto lucentino que fundió luz y majestad en el barroco
https://sevilla.abc.[...]
Vocento
2019-09-23
[19]
뉴스
Otra biografía sobre ´El Tempranillo´ asegura que éste nació en Lucena
https://www.diarioco[...]
Grupo Zeta
2019-09-23
[20]
뉴스
"Paco de Lucena incorporó nuevas técnicas a la guitarra flamenca"
https://www.eldiadec[...]
Joly Digital
2019-09-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