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테니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루테니아는 라틴어에서 유래된 용어로, 중세 시대에는 동슬라브족이 거주하는 지역을 지칭하는 데 사용되었다. 이 용어는 현재 우크라이나 서부와 폴란드 남동부 지역을 가리키거나, 우크라이나와 벨라루스를 합한 지역을 광범위하게 지칭하기도 한다. 루테니아는 "붉은 러시아"를 의미하며, 원소 루테늄의 이름의 유래가 되었다. 역사를 거치면서 루테니아는 키예프 루스, 갈리치아-볼히니아 공국,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 등 다양한 정치적, 문화적 맥락에서 사용되었으며, 현대에는 우크라이나 민족주의와 관련된 용어로 변화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슬로바키아의 역사 - 오스트리아 제국
오스트리아 제국은 1804년 시작되어 나폴레옹 전쟁과 1848년 혁명을 거치며 유럽 강대국으로 부상했으나, 1866년 프로이센과의 전쟁 패배 이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으로 전환되었다. - 슬로바키아의 역사 - 빈 중재
제1차 빈 중재는 1938년 나치 독일과 이탈리아의 압력으로 체코슬로바키아의 일부 지역이 헝가리에 할양된 사건으로, 헝가리의 영토 확장과 제2차 세계 대전의 원인이 되었으나 종전 후 파리 조약으로 무효화되었다. - 우크라이나의 역사 - 바랑기아인
바랑기아인은 스칸디나비아 출신 용병을 지칭하는 명칭으로, 9세기부터 11세기까지 동유럽과 비잔티움 제국 등지에서 무역 및 군사 활동을 했으며, 키예프 루스 형성과 비잔티움 제국 바랑기아 친위대 구성에 기여했다. - 우크라이나의 역사 - 보흐단 흐멜니츠키
보흐단 흐멜니츠키는 17세기 우크라이나의 카자크 헤트만이자 흐멜니츠키 봉기의 지도자로서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에 대항하여 봉기를 일으켰으며, 러시아의 보호를 받는 페레야슬라프 조약을 체결하는 등 우크라이나 역사에 큰 영향을 미쳤으나 그에 대한 평가는 엇갈린다. - 벨라루스의 역사 - 키예프 루스
키예프 루스는 9세기부터 13세기 동유럽에 존재했던 동슬라브족의 중세 국가로, 키예프를 중심으로 발전하여 블라디미르 1세 시대에 전성기를 맞았으나 몽골 침략으로 멸망, 현재는 러시아, 우크라이나, 벨라루스의 공통된 역사적 기반으로 여겨진다. - 벨라루스의 역사 - 폴란드 분할
폴란드 분할은 18세기 후반부터 19세기 초에 프로이센, 러시아, 합스부르크가 폴란드-리투아니아 공화국을 세 차례에 걸쳐 분할 점령하여 폴란드가 123년간 독립을 상실한 사건으로, 폴란드 민족주의 성장을 촉진하고 독립을 위한 저항의 원인이 되었다.
루테니아 | |
---|---|
지도 | |
일반 정보 | |
이름 | 루테니아 |
별칭 | 러시아 붉은 러시아 흑색 러시아 |
해당 언어 표기 | 라틴어: Ruthenia, Rutenia 우크라이나어: Рутенія 폴란드어: Ruś 벨라루스어: Рутэнія, Русь 러시아어: Рутения, Русь |
역사적 정보 | |
존속 기간 | 중세 |
국가 | 키예프 루스 갈리치아-볼히니아 공국 폴란드 왕국 리투아니아 대공국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체코슬로바키아 |
민족 및 언어 | |
주요 민족 | 동슬라브족 루신인 우크라이나인 벨라루스인 |
주요 언어 | 고대 동슬라브어 루신어 우크라이나어 폴란드어 라틴어 |
종교 | |
주요 종교 | 동방 정교회 동방 가톨릭교회 로마 가톨릭교회 |
기타 정보 | |
관련 용어 | 루테니아인 루테니아어 |
2. 어원
'루테니아'라는 단어는 해당 지역의 사람들이 '루스'(Rus)라고 부르던 지역을 지칭하는 라틴어에서 유래되었다. 중세 시대 동안, 영어 및 기타 서유럽 언어의 작가들은 이 용어를 동슬라브족이 거주하는 지역에 적용했다.[9][10]
1520년 요한 보에무스의 라틴어 논문 "Mores, leges et ritus omnium gentium, per Ioannem Boëmum, Aubanum, Teutonicum ex multis clarissimis rerum scriptoribus collecti"(모든 민족의 풍습, 법률 및 의례, 요한 보에무스, 아우바눔, 테우토니쿰, 많은 저명한 저술가들의 자료를 모아 편집)에서 'Rusia' 또는 'Ruthenia'가 등장한다. 보에무스는 "De Rusia sive Ruthenia, et recentibus Rusianorum moribus"("루스, 즉 루테니아와 루스족의 현대 풍습에 관하여")라는 장에서 발트 해에서 카스피 해까지, 그리고 돈 강에서 북극해까지 뻗어 있는 나라에 대해 이야기한다. 이 나라는 밀랍의 원천이며, 그 숲에는 귀중한 모피를 가진 많은 동물들이 서식하고 있으며, 수도 모스크바(Moscovia)는 모스크바 강(Moscum amnem)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으며, 둘레가 약 22.53km이다.[11][12]
1578년 차르 이반 4세를 만나기 위해 모스크바 대공국을 여행한 덴마크 외교관 야콥 울펠트는 사후(1608년)에 출판된 회고록의 제목을 "Hodoeporicon Ruthenicum"("루테니아 기행")으로 정했다.[13][14]
"루테니아"는 현재 우크라이나 서부와 폴란드 남동부에 걸쳐 있는 지역을 가리키지만, 넓은 의미로는 우크라이나[39] 혹은 우크라이나와 벨라루스를 합한 지역을 가리킨다.[39][38] 루테니아는 "붉은 러시아"를 의미한다.[39]
"루테니아"라는 명칭은 원소 루테늄의 이름의 유래가 되었다.[40]
3. 역사
루테니아의 역사는 복잡하고 다양한 변화를 겪었다. 초기에는 키예프 루스의 일부로 시작하여, '루스' 또는 '루스카 젬리아' (루스의 땅)라는 이름으로 키예프, 체르니히우, 페레야슬라우 사이의 땅을 지칭했다. 이는 9세기경 폴란족이 스스로를 루스(Русь|루시|Русини|루시니uk)로 규정하면서 시작되었다.[15]
시간이 지나면서 '루스'라는 이름은 키예프 대공의 지배를 받는 모든 영토를 포함하는 더 넓은 의미로 확장되었다. 그러나 키예프가 대부분의 공국에 대한 권력을 잃으면서 이 넓은 의미는 쇠퇴했다.[17] 13세기 키예프 루스의 몽골 침략 이후, '루스'라는 이름은 갈리치아-볼히니아 공국이 계승하여 스스로를 ''루스 왕국''으로 선언했다.
11세기부터 유럽에서는 '루테니아'라는 이름을 사용하여 루스 지역을 묘사했다. 이 용어는 뤼겐 섬의 슬라브족이나 다른 발트해 슬라브족을 가리키기도 했다.[18] 13세기 몽골의 침략 이후, 서부 루테니아 공국들은 리투아니아 대공국에 편입되었고, 폴란드 왕국은 갈리치아를 합병하며 루테니아 왕 칭호를 사용했다.[23]
15세기에 모스크바 대공국은 옛 키예프 영토의 상당 부분에 대한 주권을 확립하고 리투아니아 대공국과 루테니아 영토를 두고 경쟁했다.[25][26] 1547년, 모든 루스의 대공국과 차르국 칭호를 채택하고 "모든 루스"에 대한 주권을 주장했지만, 폴란드는 이를 인정하지 않았다.[27]
14세기에는 루스 남부 영토가 리투아니아 대공국의 일부가 되었고, 1569년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이 형성되었다. 이 지역은 키릴 문자 대신 라틴 문자를 사용했기 때문에 '루테니아'로 불렸다. 루테니아 보이보데는 갈리치아-볼히니아 영토에 설립되어 18세기까지 존속했다.
근세 시대에 "루테니아"는 주로 폴란드 왕국의 루테니아 영토와 코사크 헤트만국과 관련되었다. 보흐단 흐멜니츠키는 1649년 스스로를 "루테니아 국가"의 통치자로 선언했다.[30] 루테니아 대공국은 폴란드-리투아니아-루테니아 연방에 통합될 코사크 헤트만국의 계획 명칭이었다.
"루스/러시아"라는 용어는 우크라이나인들이 우크라이나를 지칭하는 이름으로 더 오래 사용되었다. 1772년 합스부르크 군주국이 갈리치아-로도메리아를 만들었을 때, 지역 동슬라브족이 폴란드인이나 러시아인과 다르며 스스로를 "루스"라고 부른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31]
19세기 후반, "우크라이나인"이라는 민족명칭이 인기를 얻으면서 "우크라이나"라는 용어가 "말라야 루스"를 대체했다. "루스"라는 용어는 우크라이나 서부 지역(갈리치아/할리치, 카르파티아 루테니아)으로 제한되었고, 이 지역에서 우크라이나 민족주의가 갈리치아 친러시아주의와 경쟁했다. 20세기 초, "우크라이나"는 이 지역과 북아메리카의 우크라이나 디아스포라에서 "말라로시아"를 대체했다.
"루신"(루테니아인)은 폴란드와 체코슬로바키아 내 루스 인구의 공식적인 자기 식별이었다. 1939년까지 많은 루테니아인과 폴란드인에게 "우크라이네츠"(우크라이나인)는 민족주의 운동과 관련된 사람을 의미했다.[32]
1918년 이후 "루테니아"는 카르파티아 산맥 남쪽, 헝가리 왕국에 속하는 카르파티아 루테니아 지역으로 좁혀졌다. 이곳에는 카르파토-루신인이 거주했다. 1919년 체코슬로바키아의 자치주 "자카르파티아 루스"로 편입된 후, 루테니아 사람들은 친러시아파, 친우크라이나파, 루테니아주의자로 나뉘었다.
1938년 독일 나치 정권은 더 큰 우크라이나의 독립을 요구했고,[34] 1939년 아우구스틴 볼로신은 카르파토-우크라이나의 독립을 선언했지만, 헝가리 왕립군이 점령하고 병합했다. 1944년 소비에트군이 점령하여 1945년 우크라이나 SSR에 병합되었다. 소련은 루신인을 우크라이나인으로 간주하여 공식적으로 인정하지 않았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루신 소수 민족은 동부 체코슬로바키아 (현재 슬로바키아)에 남았으며, 비평가들에 따르면 급속하게 슬로바키아화되었다.[35] 1995년 루신 문어가 표준화되었다.
우크라이나 독립과 소련 해체 이후, 우크라이나 정부와 일부 정치인들은 루신인을 우크라이나 민족의 일부분으로 보는 공식 입장을 취했다. 자카르파티아주의 일부는 스스로를 루신인으로 정체화했지만, 일부는 루신인을 더 넓은 우크라이나 민족 정체성의 일부로 간주하기도 했다.
3. 1. 초기 중세
키예프 루스에서 '루스' 또는 '루스카 젬리아'(루스의 땅)라는 이름은 키예프, 체르니히우, 페레야슬라우 사이의 땅을 묘사했는데, 이는 약 9세기에 루스(Русь, Русиниuk)로 스스로를 규정하기 시작한 폴란족에 해당한다.[15]
더 넓은 의미에서 이 이름은 키예프 대공의 통제를 받는 모든 영토를 지칭했으며, 루스 땅의 초기 지역은 수도 역할을 했다. 그러나 키예프가 대부분의 공국에 대한 권력을 잃으면서 이러한 더 넓은 의미는 쇠퇴했다.[17] 키예프 루스의 몽골 침략 이후 핵심 영토가 대규모로 파괴되면서, '루스'라는 이름은 스스로를 ''루스 왕국''으로 선언한 갈리치아-볼히니아 공국이 계승했다.
11세기부터 유럽의 필사본은 초기 루스(일반적으로 ''키예프 루스''로 불림)가 점령한 더 넓은 지역인 루스를 묘사하기 위해 ''루테니아''라는 이름을 사용했다. 이 용어는 뤼겐 섬의 슬라브족[18] 또는 12세기 연대기 작가가 사나운 해적 이교도로 묘사한 다른 발트해 슬라브족을 지칭하기도 했는데, 이는 키예프 루스의 기독교화가 10세기까지 이루어졌음에도 불구하고 나타난 현상이었다.[19] ''루테노룸 렉스''(Rutenorum rex) 키예프의 세볼로드 1세의 딸인 키예프의 예프락시아는 1089년에 신성 로마 황제 하인리히 4세와 결혼했다.[20] 13세기에 시작된 루테니아의 주요 지역에 대한 파괴적인 몽골인의 유럽 몽골 침략 이후, 서부 루테니아 공국은 리투아니아 대공국에 편입되었고, 이후 그 국가는 리투아니아와 루테니아 대공국으로 불렸다.[21][22] 폴란드 왕국 또한 갈리치아를 합병하면서 루테니아 왕이라는 칭호를 사용했다.[23] 이러한 칭호는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이 형성되면서 통합되었다. 루스의 작은 부분(트란스카르파티아, 현재는 주로 오늘날 우크라이나의 자카르파티아주)는 11세기에 헝가리 왕국에 종속되었다. 헝가리 왕들은 1918년까지 "갈리치아와 로도메리아의 왕"이라는 칭호를 계속 사용했다.[24]
3. 2. 후기 중세
15세기 무렵, 모스크바 대공국은 옛 키예프 루스 영토의 상당 부분에 대한 주권을 확립했고, 루테니아 영토를 두고 리투아니아 대공국과 싸우기 시작했다.[25][26] 1547년, 모스크바 대공국은 모든 루스의 대공국과 차르국이라는 칭호를 채택하고, "모든 루스"에 대한 주권을 주장했는데, 이는 이웃 나라인 폴란드에 의해 인정되지 않았다.[27] 모스크바 주민들은 동방 정교회 신자였으며, 라틴어 "루테니아" 대신 그리스어 음역인 ''로시야''(Ῥωσία)를 사용하는 것을 선호했다.[28]
14세기에 갈리치아-볼히니아와 키예프 공국을 포함한 루스의 남부 영토는 1384년 가톨릭 폴란드와 연합하여 1569년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이 된 리투아니아 대공국의 일부가 되었다. 그들은 키릴 문자 대신 라틴 문자를 사용했기 때문에, 보통 라틴어 이름 ''루테니아''로 불렸다. 이 시기에는 라틴어, 영어 및 기타 언어에서도 다른 철자가 사용되었다. 동시에, 루테니아 보이보데가 갈리치아-볼히니아 영토에 설립되었고, 18세기까지 존속했다.
이 남부 영토는 다음과 같다.
러시아 차르국은 1547년까지 공식적으로 ''벨리코예 크냐제스트보 모스콥스코예''(Великое Княжество Московское), 즉 모스크바 대공국으로 불렸지만, 이반 3세(1440–1505, 재위 1462-1505)는 이전에 "모든 루스의 대차르"라는 칭호를 사용했다.[29]
3. 3. 근세
근세 시대에 "루테니아"라는 용어는 주로 폴란드 왕국의 루테니아 영토와 코사크 헤트만국과 관련되기 시작했다. 보흐단 흐멜니츠키는 1649년 2월 폴란드 대표 아담 키실에게 스스로를 "루테니아 국가"의 통치자로 선언했다.[30]
루테니아 대공국은 폴란드-리투아니아-루테니아 연방에 통합된 코사크 헤트만국의 계획명이었다.
3. 4. 현대
"루스/러시아"라는 용어는 루스인의 땅에서 우크라이나인들이 우크라이나를 지칭하는 이름으로 더 오래 살아남았다. 1772년 오스트리아 군주국이 갈리치아-로도메리아를 주로 만들었을 때, 합스부르크 관료들은 지역 동슬라브족이 폴란드인과 러시아인 모두와 다르며 여전히 스스로를 "루스"라고 부른다는 것을 알았다. 이는 1918년 제국이 붕괴될 때까지 계속되었다.[31]
1880년대부터 20세기 초까지, 민족명칭 "우크라이나인"의 인기가 퍼졌고, "우크라이나"라는 용어는 제국 내 우크라이나인들 사이에서 "말라야 루스"를 대체했다. 시간이 흐르면서 "루스"라는 용어는 오늘날 우크라이나의 서부 지역(갈리치아/할리치, 카르파티아 루테니아)으로 제한되었는데, 이 지역에서는 우크라이나 민족주의가 갈리치아 친러시아주의와 경쟁했다. 20세기 초, "우크라이나"라는 용어는 이 지역에서 "말라로시아"를 대체했고, 1920년대 중반에는 북아메리카의 우크라이나 디아스포라에서도 대체되었다.
"루신"(루테니아인)은 폴란드(및 체코슬로바키아) 내 루스 인구의 공식적인 자기 식별이었다. 1939년까지 많은 루테니아인과 폴란드인에게 "우크라이네츠"(우크라이나인)라는 단어는 민족주의 운동과 관련이 있거나 우호적인 사람을 의미했다.[32]
1918년 이후, "루테니아"라는 명칭은 카르파티아 산맥 남쪽, 헝가리 왕국에 속하는 지역(카르파티아 루테니아(, 무카체보, 우즈호로드, 프레쇼프 포함))으로 좁혀졌다. 이곳에는 동슬라브 고지대인 카르파토-루신인이 거주했다. 갈리시아 루신인들이 스스로를 우크라이나인으로 여겼지만, 카르파토-루신인들은 역사적인 이름("루테니아"는 슬라브어 "rusyn"의 라틴어 형태)을 유지한 마지막 동슬라브 민족이었다. 오늘날 "루신"이라는 용어는 루신인의 민족성과 언어를 설명하는 데 사용되며, 이들은 우크라이나 민족주의 정체성을 채택할 필요가 없다.
카르파티아 루테니아 (, )는 1000년에 헝가리 왕국의 일부가 되었다. 1919년 5월, 임시 체코슬로바키아의 자치주 "자카르파티아 루스"로 편입되었다. 이후 루테니아 사람들은 친러시아파(루신인을 러시아 민족의 일부로 봄), 친우크라이나파(루신인을 우크라이나 민족의 일부로 봄), 루테니아주의자(카르파토-루신인이 별개의 민족이라고 주장하며 고유의 루신어와 문화를 발전시키고자 함)로 나뉘었다.
1938년, 독일 나치 정권 아래에서 독일 언론은 루테니아, 헝가리의 일부, 리비우를 포함한 폴란드 남동부, 크림 반도, 키이우와 하르키우를 포함한 우크라이나를 포괄하는 더 큰 우크라이나의 독립을 요구했다.[34]
1939년 3월 15일, 카르파토-루테니아의 친우크라이나 대통령 아우구스틴 볼로신은 카르파토-우크라이나로 독립을 선언했다. 같은 날, 헝가리 왕립군 정규군은 이 지역을 점령하고 병합했다. 1944년 소비에트군은 이 지역을 점령했고, 1945년에는 우크라이나 SSR에 병합되었다. 루신인들은 소련 정부가 그들을 우크라이나인으로 간주했기 때문에 소련에서 공식적으로 인정된 민족 집단이 아니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루신 소수 민족은 동부 체코슬로바키아 (현재 슬로바키아)에 남았다. 비평가들에 따르면, 루테니아인들은 급속하게 슬로바키아화되었다.[35] 1995년에 루신 문어가 표준화되었다.[36]
3. 4. 1. 우크라이나 독립 이후
우크라이나 독립과 소련 해체 (1990–91) 이후, 우크라이나 정부와 일부 정치인들은 루신인을 우크라이나 민족의 일부분으로 보는 공식 입장을 취했다. 자카르파티아주의 일부 사람들은 스스로를 루신인(또는 보이코, 후출, 렘코 등)으로 정체화했지만, 이들 중 일부는 루신인을 더 넓은 우크라이나 민족 정체성의 일부로 간주하기도 했다.
4. 루테늄
1844년, 발트 독일인 출신의 러시아 박물학자이자 화학자인 카를 에른스트 클라우스는 우랄 산맥에서 발견된 백금 광석에서 루테늄 원소를 분리했다. 클라우스는 러시아 제국을 기리기 위해 이 원소의 이름을 '루테니아'로 명명했다.[37]
참조
[1]
서적
In Austrvegr: the role of the Eastern Baltic in Viking Age communication across the Baltic Sea
Brill
2018
[2]
서적
California Slavic Studies, Volume XVI: Slavic Culture in the Middle Ages
https://www.ucpress.[...]
Univ of California Press
2021-07
[3]
서적
https://books.google[...]
Languages of the Rus' culture
[4]
서적
A History of Ukraine: The Land and Its People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Toronto Press
2017-02-14
[5]
서적
Handbook of language and ethnic identity. Vol. 2: The success-failure continuum in language and ethnic identity efforts, volume 2
Oxford Univ. Press
2011
[6]
서적
Ukraine: movement without change, change without movement
Harwood Academic Publ
2000
[7]
서적
The later middle ages
University of Toronto Press
2016
[8]
서적
With their backs to the mountains: a history of Carpathian Rus' and Carpatho-Rusyns
Central European University Press
2015
[9]
서적
Oxford English Dictionary
Oxford University Press
2011
[10]
서적
Nations Before Nationalism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Press
2019-07-07
[11]
서적
Картина славянского мира: взгляд из Восточной Европы: Представления об этнической номинации и этничности XVI-начала XVIII века
Петербургское востоковедение
1999
[12]
간행물
Ёган Баэмус і яго кніга "Норавы, законы і звычаі ўсіх народаў"
http://www.belhistor[...]
2007
[13]
서적
Hodoeporicon Ruthenicum, in quo de Moscovitarum Regione, Moribus, Religione, gubernatione, & Aula Imperatoria quo potuit compendio & eleganter exequitur [...]
https://books.google[...]
2019-07-07
[14]
서적
Britannia & Muscovy: English Silver at the Court of the Tsars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2019-07-07
[15]
웹사이트
Polianians
https://www.encyclop[...]
2024-09-27
[16]
간행물
http://dspace.nbuv.g[...]
2023-01-25
[17]
문서
Ukraine. A History (Fourth edition)
https://diasporiana.[...]
[18]
웹사이트
The Life of Otto, Apostle of Pomerania, 1060-1139
https://books.google[...]
Society for promoting Christian knowledge
1920-07-28
[19]
간행물
The Roxolani from Rügen: Nikolaus Marshalk's chronicle as an example of medieval tradition to associate the Rügen's Slavs with the Slavic Rus
https://cyberleninka[...]
2015
[20]
서적
Annales Augustani
https://books.google[...]
[21]
웹사이트
An Historical Geography of Russia
https://books.google[...]
Aldine Publishing Company
1969-07-28
[22]
웹사이트
Russia, the Giant that Came Last
https://books.google[...]
Dodd, Mead
1947-07-28
[23]
문서
Document Nr 1340 (CODEX DIPLOMATICUS MAIORIS POLONIA)
https://web.archive.[...]
POZNANIAE. SUMPTIBUS BIBLIOTHECAE KORNICENSIS. TYPIS J. I. KRASZEWSKI (Dr. W. ŁEBIŃSKI).
1879
[24]
서적
The Slavs in European History and Civilization
Rutgers University Press
1962
[25]
Britannica
Grand Principality of Moscow
https://www.britanni[...]
[26]
Britannica
Ivan III
https://www.britanni[...]
[27]
문서
Psków 1581–1582
Warszawa
2006
[28]
서적
The Politics of Language and Nationalism in Modern Central Europe
https://books.google[...]
Palgrave Macmillan UK
2008-12-16
[29]
서적
Political Symbols in Russian History: Church, State, and the Quest for Order and Justice
https://books.google[...]
Lexington Books
2010
[30]
웹사이트
Khmelnychyna
http://izbornyk.org.[...]
Encyclopedia of Ukrainian Studies.
2015-01-25
[31]
문서
A History of Russia
Yale University Press
1943–69
[32]
문서
Polityka państwa polskiego wobec zagadnienia ukraińskiego w latach 1930–1939
Lublin 2003, wyd. Instytut Europy Środkowo-Wschodniej
[33]
간행물
Ruthenia
1938-Autumn
[34]
뉴스
ALEMANIA ESTA CREANDO UN NUEVOFOCO DE PERTURBACIONES EN UCRAINA
http://hemeroteca.la[...]
2022-04-01
[35]
웹사이트
The Rusyn Homeland Fund
http://www.carpatho-[...]
carpatho-rusyn.org
2017-02-13
[36]
논문
A new Slavic language is born
[37]
간행물
The Discovery of Ruthenium
https://doi.org/10.1[...]
2024-10-07
[38]
문서
福嶋 (2011) p. 197
[39]
서적
ルテニア【Ruthenia】
[40]
웹사이트
イラスト周期表「ルテニウム」
http://periodic-tabl[...]
愛知教育大学 科学・ものづくり教育推進センター
2016-01-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