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키예프 루스의 기독교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키예프 루스의 기독교화는 9세기부터 시작되어 10세기에 걸쳐 이루어진 사건으로, 동슬라브족의 종교적 전환을 의미한다. 전설에 따르면 사도 안드레아가 이 지역에 기독교를 전파했으며, 9세기에는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 포티오스가 루스인의 기독교 개종을 언급했다. 10세기에는 키예프의 올가가 세례를 받았으나, 아들 스뱌토슬라프 1세는 이교 신앙을 유지했다. 블라디미르 1세는 여러 종교를 비교한 후 비잔틴 제국과의 동맹을 통해 기독교를 받아들여 대규모 세례를 시행, 키예프 루스의 기독교화를 확립했다. 이 사건은 비잔틴 제국과의 관계를 강화하고, 슬라브 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교회 건축과 동슬라브어 문학 발달을 가져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0세기 기독교 - 보고밀파
    보고밀파는 10세기 초 마케도니아 지역에서 발생한 영지주의적 사회 종교 운동으로, 불가리아의 사회적, 종교적 상황과 파울리키아노파의 영향을 받아 형성되었으며, 교회 제도와 물질주의에 반대하는 이원론적 우주론을 가지고 발칸 반도에 확산되어 후대 종교 운동과 문화에 영향을 미쳤다.
  • 10세기 기독교 - 클뤼니 개혁
    클뤼니 개혁은 10세기 서방 수도원의 쇠퇴를 극복하고 교회 내 부패를 해결하고자 클뤼니 수도원을 중심으로 시작된 운동으로, 성 베네딕토 규칙 준수를 통해 교회의 세속화를 막고 교황권 강화와 로마네스크 건축 양식 발달에 기여했으나 귀족과의 유착으로 새로운 수도회 운동의 배경이 되었다.
  • 유럽의 기독교화 - 북방십자군
    북방십자군은 12세기부터 16세기까지 발트해 연안의 이교도들을 대상으로 종교적 개종, 경제적 이득, 정치적 세력 확장을 목적으로 덴마크, 스웨덴, 독일 등의 북유럽 국가들이 주도한 침략 및 정복 전쟁이다.
  • 유럽의 기독교화 - 잉글랜드의 역사
    잉글랜드의 역사는 선사 시대부터 시작하여 로마 제국, 노르만 왕조, 산업 혁명, 유럽 연합 가입 및 탈퇴 등을 거치며 발전해 왔다.
  • 키예프 루스 - 류리크
    류리크는 9세기경 노브고로드 루스를 건국한 인물로, 슬라브족의 요청으로 바랑인 부족을 이끌고 노브고로드를 다스렸으며, 그의 후손들은 류리크 왕조를 이루어 키예프 루스와 러시아 차르국을 통치했다는 《원초 연대기》의 기록이 전해진다.
  • 키예프 루스 - 키예프 대공
    키예프 대공은 키예프 루스 시기에 키예프를 통치한 군주를 의미하며, 862년 아스코르드와 디르의 통치를 시작으로 류리크 왕조, 몽골 지배, 리투아니아 대공국 시기를 거쳐 1240년 몽골의 침략으로 키예프가 파괴된 이후 명목상의 지위로 변했다.
키예프 루스의 기독교화
개요
키예프인들의 세례
키예프인들의 세례
다른 이름루시의 기독교화
키예프 루시의 세례
러시아어Kreshcheniye Rusi (크레스체니예 루시)
우크라이나어Khreshchennya Rusi (흐레스체니야 루시)
벨라루스어Vadokhryshcha Rusi (바도흐리슈차 루시)
종교기독교
종파동방 정교회
위치키예프 루스
날짜circa 988년
배경
통치자블라디미르 1세
이전 종교슬라브 토착 신앙
주요 인물블라디미르 1세
아나스타시아
영향
결과키예프 루스의 기독교화
동방 정교회의 확산

2. 전설

교회 전승에 따르면, 기독교는 예수 그리스도의 첫 사도성 안드레아를 통해 오늘날 벨라루스, 러시아, 우크라이나에 처음으로 전파되었다고 한다. 안드레아는 흑해 너머 크림반도의 그리스 식민지 케르소네소스로 향하여, 그곳에서 몇 천 명을 새로운 신앙으로 이끌었다고 한다. 그는 드니프르강을 따라 북쪽으로 향하여 5세기경 키예프가 세워진 곳을 방문하고, 더 북쪽으로 벨리키노브고로드가 세워질 곳에도 갔다고 전해진다. 루스인들에 대한 전승 기록물인 원초 연대기는 성 안드레아가 여정 중에 뜨거운 한증탕인 바냐에서 몸을 씻는 슬라브족의 관습을 좋아했다고 전한다.

벨리키노브고로드의 러시아 천년기념비에 있는 키릴로스와 메토디오스


원초 연대기사도 안드레아의 해안 정착촌 선교와 현재 키이우 부지 축복에 대한 전설을 기록하고 있다. 안드레는 시노프에서 크림 반도의 헤르소네소스 (코르순)를 거쳐 드니프로강을 따라 이동하여 미래의 키이우 부지에 도착하여 십자가를 세웠다고 한다. 다음으로, 그는 미래의 벨리키 노브고로드 부지 근처에 있는 슬로베네로 북쪽으로 여행했다고 하는데, 그들의 관습(특히 뜨거운 증기 목욕, 바냐)에 대해 부정적인 태도를 보였다고 한다. 그런 다음 그는 로마를 방문하여 시노프로 돌아갔다.[1]

3. 9세기

이교 시대 키예프에서 기독교인들의 은밀한 만남을 묘사하는 바실리 페로프의 그림.


9세기 키예프 루스에 기독교를 전파하려는 시도가 있었다는 주장이 일부 자료와 역사학자들에 의해 제기되었다.[28] 이 첫 번째 개종 시도에 대한 가장 권위있는 자료는 867년 초에 작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 포티오스의 회람이다. 포티오스는 860년 루스-비잔틴 전쟁을 언급하며, 동방 총대주교와 주교들에게 864년에 불가리아의 기독교화를 통해 불가리아인이 예수 그리스도로 개종한 후,[9] 루스인도 그 뒤를 따라 열정적으로 개종하여 그는 그들의 땅에 주교를 파견하는 것이 현명하다고 생각했다고 알렸다.[10]

14세기에 마나세스 연대기에 묘사된 최초의 루스인의 세례.


테오파네스 연대기의 속편을 시작으로 비잔틴 역사가들은 860년 콘스탄티노폴리스에 대한 루스인의 습격을 비잔틴의 성공으로 간주하고, 그들이 추정하는 승리를 테오토코스중재에 기인했다. 이러한 확신은 다음과 같은 해석을 낳았다. 황제 수도의 성벽 아래에서 목격한 기적에 경외심을 느끼고, 그들에게 닥친 재앙에 슬픔을 느낀 루스인들은 포티오스에게 사절을 보내 그들의 땅에 주교를 파견해 줄 것을 요청했다.[11]

자신의 할아버지인 마케도니아의 바실 1세의 전기를 저술한 콘스탄티누스 7세에 따르면, 루스인이 그들의 이교 신앙을 버리도록 설득한 것은 그의 조상이었다. 콘스탄티누스는 개종을 바실과 콘스탄티노폴리스의 이그나티우스에게 돌리고, 그들의 선임자인 미카엘 3세와 포티오스에게 돌리지 않는다. 그는 비잔틴인들이 설득력 있는 말과 금, 은, 귀중한 직물을 포함한 풍부한 선물을 통해 루스인의 개종을 촉구한 과정을 이야기한다. 그는 또한 이교도들이 특히 한 가지 기적에 깊은 인상을 받았다는 전통적인 이야기를 반복한다. 대주교가 화덕에 던진 복음서가 불에 타지 않았다는 것이다.[12]

콘스탄티누스의 이야기는 9세기의 루스 기독교화가 두 단계로 진행되었는지에 대한 장기적인 논쟁을 촉발했다. 한 학설은 기독교화가 한 번만 일어났다고 주장한다. 콘스탄티누스는 그의 조상을 찬양하기 위해 단순히 그의 전임자인 미카엘 3세의 선교 성공을 바실에게 돌린 것이다.[13]

반면에, 콘스탄틴 주커먼은 루스인의 최초 요청에 응답하여 포티오스(와 미카엘 3세)가 루스 카간국에 단순한 주교를 보냈다고 주장한다. 이교도들은 성직자의 낮은 계급에 불쾌감을 느끼고 그들의 기독교적 열정은 사라졌다. 867년 9월, 미카엘은 바실에게 암살되었고, 바실은 (새로운 총대주교인 이그나티우스와 함께) 루스에 대주교를 보내 지역 지도자들의 종교적 열정을 풍부한 선물로 부추겼다. 동시대의 불가리아의 기독교화도 마찬가지로 두 단계로 이루어졌다. 불가리아인들은 단순한 주교가 콘스탄티노폴리스에서 수도에 도착하여 교황 니콜라우스 1세에게 더 높은 계급의 성직자를 보내달라고 요청했을 때 불쾌감을 느꼈다. 이러한 고려는 정치적 위신의 중요한 문제였다.[14] 이러한 패턴은 프랑크 역사가들이 기독교화 의례에 수반되는 풍부한 선물을 얻기 위한 진정한 의도였던 노르드인의 여러 "세례"에 대한 이야기와 유사하다.[15]

기독교화의 날짜와 근거 또한 논란에 휩싸여 있다. 그리고리 리타브린은 이 사건을 "기독교 국가의 통치자와 유리한 협정을 체결하기 쉽게 만드는 공식적이고 외교적인 행위"로 본다.[16] 주커먼은 이그나티우스가 870년경에 그의 대주교를 루스에 보냈다고 주장하는 반면, 드미트리 오볼렌스키는 결정적인 기독교화의 날짜로 874년을 받아들이는 경향이 있다.[17]

4. 10세기

성 올가의 세례


콘스탄티노플에서 성 올가의 세례 (라지비우 연대기 삽화)


10세기 키예프 루스의 기독교화는 여러 단계를 거쳤다. 레온 6세콘스탄티노스 7세 재위 시절 루스 주교구가 기독교 교구 목록에 언급된 것으로 보아, 10세기 루스인들이 이미 기독교인으로 간주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990년대에 있었던 두 번째 루스인들의 세례에 대해서는 그리스어 사료에 기록이 없다.

원초 연대기에 따르면, 944년경 키예프 루스 인구 상당수가 기독교인이었다. 945년 루스-비잔티움 조약에서 루스 기독교인들은 자신들의 신앙에 따라 맹세했고, 비기독교인들은 페룬과 벨레스를 언급하며 토속 신앙 관습을 따랐다. 연대기에는 성 엘리야 참사회성당이 언급되는데, 이는 당시 키예프에 많은 교회와 성당이 있었음을 시사한다.

945년 또는 957년, 섭정 키예프의 올가는 사제 그레고리와 함께 콘스탄티노플을 방문했다. 콘스탄티노스 7세는 올가에게 반했지만, 올가는 그를 대부로 삼아 결혼을 피했다는 전설이 있다. 올가가 콘스탄티노플에서 세례를 받았는지, 키예프에서 받았는지는 명확하지 않다. 올가는 로마에 주교와 사제들을 보내달라고 요청하기도 했다.[30]

올가의 아들 스뱌토슬라프 1세이교도 신앙을 고수했다. 그는 기독교인이 되면 전사들의 존경을 잃을 것이라고 믿었다. 스뱌토슬라프의 후계자 야로폴크 1세는 기독교에 대해 보다 온건한 태도를 보였으며, 교황과 사절단을 주고받았다는 기록이 있다. 알렉산드르 나자렌코는 야로폴크가 세례 예비 의식을 치렀으나, 이교도였던 배다른 형제 블라디미르 1세에게 살해당했다고 주장한다. 이 이론에 따르면, 야로폴크의 세례 사실은 블라디미르의 이미지를 위해 후대 연대기 작가들에 의해 덮어졌을 수 있다.[31]

4. 1. 블라디미르의 키예프 세례

988년, 블라디미르 대공정교회로 개종하고 키예프 루스를 공식적으로 기독교 국가로 선포했다. 이 사건은 '키예프 루스의 기독교화'에서 매우 중요한 전환점으로, 블라디미르의 개인적인 신앙 변화뿐만 아니라 국가 전체의 종교적, 문화적 정체성을 바꾸는 계기가 되었다.

블라디미르의 개종 배경에는 여러 가지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했다. 987년 비잔티움 제국에서 바르다스 스클레로스와 바르다스 포카스가 황제 바실리우스 2세에 대항하여 반란을 일으켰다.[34] 바실리우스 2세는 블라디미르에게 도움을 요청했고, 블라디미르는 자신의 종교를 기독교로 바꾸고 백성을 개종시키는 조건, 그리고 황제의 누이 안나 포르피로게니타와의 결혼을 조건으로 이를 수락했다.[35]

'원초 연대기'에는 블라디미르의 세례에 대한 '코르순의 전설'이 기록되어 있다. 988년 블라디미르는 크림반도의 케르소네소스를 점령하고, 바실리우스 2세에게 약속받았던 황제의 누이와의 결혼을 요구했다. 블라디미르는 혼인에 앞서 케르소네소스 또는 키예프에서 세례를 받고 '바실'이라는 세례명을 받았다. 이후 비잔티움 황녀와의 결혼이 이어졌다.[36] 케르소네소스에는 블라디미르의 세례 장소로 추정되는 곳에 성 블라디미르 대성당이 세워졌다.

키예프로 돌아온 블라디미르는 주민들에게 드니프로 강에서 세례를 받으라고 권고했다. 그는 먼저 자신의 열두 아들과 여러 보야르들에게 세례를 베풀고, 자신이 세웠던 슬라브 신화의 나무 조각상들을 파괴했다. 최고신 페룬의 조각상은 드니프로 강에 던져졌다.[20] 이후 키예프의 모든 주민들에게 강으로 오라는 명령이 내려졌고, 헤르소네소스에서 온 사제들이 기도하는 동안 세례가 이루어졌다.[21] 이 사건을 기념하기 위해 키예프 루스 최초의 석조 교회인 데시야틴나 교회가 건설되었다.[22]

4. 1. 1. 배경

정교회 사제의 말을 경청하고 있는 블라디미르와 동시에 불편한 표정으로 옆에 서 있는 이교도 대표(이반 에힝크 작)


블라디미르 대공 통치 초기, 슬라브 토속 신앙 부흥 운동이 일어났다. 페룬이 슬라브 만신전의 최고 신으로 선정되었고 그의 우상이 왕궁 옆 언덕에 설치되었다. 이러한 토속 신앙 부흥은 노르웨이의 호콘 시구르와 덴마크스베인 튜구스케그(추정)가 시도했던 종교 개혁과 비슷한 시기에 일어났다. 그러나 블라디미르의 종교 개혁은 실패로 끝났다. 980년대 말, 그는 외래 일신교를 받아들여야 할 필요성을 절감했다.[32]

원초 연대기는 986년에 블라디미르가 여러 종교 대표단을 만났다고 기록한다. 그 내용은 이후 여러 일화에서 흥미롭게 묘사된다. 볼가 일대의 불가리아인 무슬림들을 만난 자리에서, 블라디미르는 돼지고기금기시하고 할례를 의무로 여기는 이슬람교가 적합하지 않다고 판단했다. 그는 "음주는 루스인들의 즐거움"이라고 말했다고 전해진다. 유대인 사절단(혹은 하자르인일 수도 있다)과 논의하며 유대교에 대해 질문했지만, 예루살렘 상실이 에게 버림받았다는 증거라고 언급하며 최종적으로 유대교를 거부했다.[32]

987년, 보야르들과 상의 후, 블라디미르는 여러 인접 국가의 종교를 알아보기 위해 사절단을 파견했다. 이들은 각자 자신의 종교를 믿으라고 블라디미르에게 권했다. 볼가 지역 불가리아인 무슬림에게 보내진 사절단은 그들에게서 즐거움이 없고 슬픔과 악취만 있다고 보고했다. 독일인들의 어두컴컴한 교회에 간 사절단은 아름다움을 발견하지 못했다. 그러나 하기아 소피아에서 비잔티움 교회의 웅장한 종교 의식에 깊은 인상을 받은 사절단은 자신들의 이상을 발견했고, "우리는 더 이상 우리가 천국에 있는지 지상에 있는지 알 수 없었으며, 이런 아름다움을 어떻게 표현해야 할지 알 수 없었습니다."라고 보고했다.[33]

4. 1. 2. 블라디미르의 세례

빅토르 바스네초프의 프레스코화 '블라디미르의 세례'


케르소네소스의 성 블라디미르 대성당. 전면에 성 안드레아의 동상이 있다


블라디미르의 세례에 대한 이야기는 여러 사료에 기록되어 있다. 안티오키아의 야햐와 그의 제자들(알루드라와리, 알마킨, 알디마슈끼, 이븐 알아티르)은 987년 비잔티움 제국의 장군 바르다스 스클레로스와 바르다스 포카스가 황제 바실리우스 2세에 대항하여 반란을 일으켰다고 전한다.[34] 이들은 곧 연합하여 콘스탄티노플로 진격했고, 987년 9월 14일 바르다스 포카스는 스스로 황제임을 선포했다. 바실리우스 2세는 루스의 블라디미르에게 도움을 요청했고, 블라디미르는 결혼을 조건으로 이를 수락했다. 또한 기독교를 자신의 종교로 받아들이고 백성들을 개종시키는 데도 동의했다. 결혼 조건이 확정되자 블라디미르는 6천 명의 병력을 비잔티움 제국에 파견하여 반란 진압을 도왔다.[35]

'원초 연대기'에는 블라디미르의 세례에 대한 '코르순의 전설'이 기록되어 있다. 988년, 블라디미르는 크림반도의 중요한 그리스 도시 코르순(케르소네소스)을 점령했다. 이는 바실리우스 2세에게 약속받았던 이익, 즉 황제의 누이 안나 포르피로게니타와의 결혼을 위한 것이었다. 블라디미르는 혼인에 앞서 케르소네소스 또는 키예프에서 세례를 받고 '바실'이라는 세례명을 받았다. 이후 비잔티움 황녀와의 결혼이 이어졌다.[36] 케르소네소스에는 블라디미르의 세례 장소로 추정되는 곳에 성 블라디미르 대성당이 세워졌다.

키예프로 돌아온 블라디미르는 주민들에게 드니프로 강에서 세례를 받으라고 권고했다. 이 집단 세례는 키예프 루스의 기독교화에서 상징적인 시작이 되었다. 블라디미르는 자신의 열두 아들과 많은 보야르들에게 먼저 세례를 베풀고, 8년 전 세웠던 슬라브 신화의 나무 조각상들을 파괴했다. 최고신 페룬의 조각상은 드니프로 강에 던져졌다.[20]

이후 블라디미르는 키예프의 모든 주민들에게 강으로 오라고 명령했고, 헤르소네소스에서 온 사제들이 기도하는 동안 세례가 이루어졌다.[21] 이 사건을 기념하기 위해 블라디미르는 키예프 루스 최초의 석조 교회인 데시야틴나 교회를 건설했다.[22]

4. 1. 3. 키예프의 세례

블라디미르는 승리 후 키예프로 돌아와 주민들에게 드니프로강에서 세례받을 것을 촉구했다. 이 대규모 세례는 키예프 루스의 기독교화에 있어 상징적인 첫 사건이었다.[37]

블라디미르는 먼저 자신의 열두 아들과 여러 보야르들을 세례받게 했다. 그는 직접 세웠던 슬라브 토속 신들의 목조상을 파괴했다. 조각상들은 불태워지거나 난도질당했고, 최고신 페룬 조각상은 드니프로 강에 던져졌다.[37]

이후 블라디미르는 키예프의 모든 사람들에게 "부유한 자, 가난한 자, 거지, 노예" 모두 다음 날 강으로 나오라고 전했다. 그는 대공의 적이 되고 싶지 않다면 강으로 오라고 전언했다. 많은 사람이 찾아왔고, 일부는 아이들을 데려오기도 했다. 이들은 강물에 들어갔고, 케르소네소스에서 온 사제들은 이 행사를 위해 신에게 기도를 올렸다.[38]

오레코보-보리소보 대성당은 루스의 세례 1천년을 기념하여 21세기에 세워졌다


이 사건을 기념하기 위해 블라디미르는 키예프 루스 최초의 석재 교회인 십일조 교회를 지었고, 이곳에 그와 그의 새 부인의 시신이 안치되었다. 이전에는 이교도 조각상이 있던 언덕 위에도 다른 교회가 세워졌다.[39]

5. 여파

요아킴 연대기에 따르면, 블라디미르 1세의 숙부 도브리냐는 노브고로드인들을 불로 강제 기독교 개종시켰고, 천인장 푸탸탸는 검으로 백성을 설득해 기독교를 받아들이게 했다.[40] 같은 시기, 주교 이오아킴 코르수냐닌은 옛 이교 묘지에 13개 지붕을 가진 최초의 목조 성 소피아 대성당을 지었다.[40]

토착 신앙은 볼가 상류 지역 봉기 등 저항으로 나타났으며, 루스에서 오랫동안 지속되었다. 로스토프 중심의 북동부 지역은 특히 새 종교에 적대적이었다. 노브고로드는 1071년까지 토착 신앙 봉기를 겪었는데, 당시 페도르 주교가 직접 위협받았고, 글레프 스비아토슬라비치 공은 도끼로 토착 사제를 처단하며 군중을 해산시켰다.[41]

키예프 루스의 기독교화는 비잔티움 제국과 동맹을 확고하게 했다.[42] 그리스 학문과 서적이 키예프 등 중심지에 정착되었고, 교회는 비잔티움 양식으로 지어졌다. 야로슬라브 1세 재위 기간, 키예프의 일라리온은 최초의 동슬라브어 서적 '규율과 은총에 대한 설교'를 써 루스를 다른 지역과 비교하며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같은 시기 노브고로드에서 편찬된 오스트로미르 복음서는 현존 최고(最古) 동슬라브어 서적이다. 그러나 비교회 문헌 '이고리 군기'에는 기독교화된 키예프 루스에서도 이교 신앙이 남아있음이 나타난다.

6. 한국 기독교와의 관련성 (별도 주제)

(이전 출력과 동일하게, 제공된 원본 소스가 없어 섹션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원본 소스가 제공되면 지시사항에 따라 수정 및 출력을 진행하겠습니다.)

참조

[1] 웹사이트 The Rusian Primary Chronicle https://www.swarthmo[...] Swarthmore 2023-11-28
[2] 간행물 The Russian primary chronicle and the Vlachs of Eastern Europe https://philpapers.o[...] philpapers.org 2023-11-28
[3] 웹사이트 The Rusian Primary Chronicle https://www.swarthmo[...] Swarthmore 2023-11-28
[4] 간행물 The Russian primary chronicle and the Vlachs of Eastern Europe https://philpapers.o[...] philpapers.org 2023-11-28
[5] 웹사이트 Vladimir I and Christianization https://human.libret[...] libretexts 2023-11-28
[6] 웹사이트 Christianization of Russia https://www.advantou[...] advantour 2023-11-28
[7] 서적 Russkaya tserkov v IX–pervoy treti XII veka Moscow 1988
[8] 웹사이트 ЧАСТЬ ВТОРАЯ, ЦЕРКОВНАЯ - ГЛАВА I. ХРИСТИАНСТВО В БЕЛАРУСИ http://www.belapc.or[...] belapc 2023-11-28
[9] 서적 History of the Bulgarians from Antiquity to the 16th Century 2003
[10] 서적 Photii Patriarchae Constantinopolitani Epistulae et Amphilochia Leipzig 1983
[11] 서적 Theophanes Continuatus, Ioannes Cameniata, Symeon Magister, Georgius Monachus Bonnae 1838
[12] 서적 heophanes Continuatus, Ioannes Cameniata, Symeon Magister, Georgius Monachus Bonnae 1838
[13] 논문 Christianity in 9th-century Rus Prague: V. Vavrinek 1978
[14] 논문 Deux etapes de la formation de l'ancien etat russe Paris 2000
[15] 서적 Начало этнокультурной истории Руси IX-XI вв Moscow: Gnozis 1995
[16] 논문 Christianization of the Nations of Central and South-East Europe and the Conversion of Old Rus 1988
[17] 서적 Byzantium and the Slavs: Collected Studies London 1971
[18] 문서
[19] 서적 Древняя Русь на международных путях Moscow 2001
[20] 서적 Russia: The Once and Future Empire from Pre-History to Putin St. Martin's Press 2006
[21] 문서
[22] 문서
[23] 문서
[24] 문서
[25] 웹사이트 The Baptism of Rus' and the path of Russian culture https://unesdoc.unes[...] Paris 1992
[26] 문서
[27] 서적 Russkaya tserkov v IX–pervoy treti XII veka Moscow 1988
[28] 서적 History of the Bulgarians from Antiquity to the 16th Century 2003
[29] 서적 Photii Patriarchae Constantinopolitani Epistulae et Amphilochia Leipzig 1983
[30] 문서
[31] 서적 Древняя Русь на международных путях Moscow 2001
[32] 문서
[33] 문서
[34] 문서
[35] Encyclopaedia Rus. Brill 2006
[36] 문서 Lavrentevskaia Letopis
[37] 서적 Russia: The Once and Future Empire from Pre-History to Putin https://archive.org/[...] St. Martin's Press 2006
[38] 문서 Lavrent.
[39] 문서 Lavrent.
[40] 문서 Novgorodskaia tretiaia letopis
[41] 문서 Novgorodskaia Pervaia Letopis: Starshego i mladshego izvodov AN SSSR 1950
[42] 간행물 The Baptism of Rus' and the path of Russian culture https://unesdoc.unes[...] 199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