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리니어 모터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리니어 모터카는 리니어 모터를 사용하여 차량을 추진하는 방식으로, 자기 부상식, 공기 부상식, 철륜식 세 가지 종류가 있다. 자기 부상식은 자기력을 이용하여 차량을 부상시키고 추진력을 얻는 방식이며, 초전도 리니어와 같은 기술이 사용된다. 공기 부상식은 압축 공기를 분사하여 차량을 부상시키는 방식이고, 철륜식은 레일과 차륜을 사용하여 지지하고 리니어 모터로 추진력을 얻는 방식이다. 현재는 자기 부상식과 철륜식 리니어 모터카가 상용화되어 운행 중이며, 다양한 철도 관련 시스템에도 활용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철도 - 지하철
    지하철은 도시 내 대중교통 시스템의 하나로, 지하 또는 고가로 건설되어 운행되며, 1863년 런던에서 최초로 개통되어 현재 전 세계 여러 도시에서 운영되고, 한국에서는 1974년 서울 지하철 1호선 개통을 시작으로 주요 도시에서 운영되며 교통 체증 완화에 기여한다.
  • 철도 - 복선 (철도)
    복선 철도는 단선 철도보다 많은 열차를 운행할 수 있도록 두 개의 선로를 병행 설치한 시스템으로, 운영 효율성과 열차 운행 자유도가 높지만 건설비용이 많이 들고 넓은 부지를 필요로 하며, 국가나 노선에 따라 통행 방향이 다르고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며 단선 구간과의 혼용은 어려움을 야기할 수 있다.
리니어 모터카
개요
선형 유도 모터의 작동 원리
선형 유도 모터의 작동 원리
유형전기 모터
발명찰스 휠스톤 (1840년대)
관련 용어자기 부상
상세 정보
작동 원리일반적인 회전형 전기 모터를 직선으로 펼친 형태
고정자와 회전자에 해당하는 부분이 직선으로 배치되어 움직임
작동 방식고정자 코일에 전류를 흘려 자기장을 발생
자기장과 회전자(또는 차량) 사이의 상호 작용으로 추진력 발생
자기 부상 열차 적용차량을 선로 위에 띄워 마찰 없이 고속 주행 가능
초전도 전자석 또는 영구 자석 사용
장점고속 주행 가능
소음과 진동이 적음
유지 보수 비용 절감
단점건설 비용이 높음
에너지 소비가 많음
주요 적용 분야자기 부상 열차
산업 자동화
놀이공원의 롤러코스터
선형 유도 전동기 (LIM)고정자 코일에 교류 전류를 흘려 이동하는 자기장 생성
자기장과 도체판(반작용판) 사이의 전자 유도 작용으로 추진력 발생
선형 동기 전동기 (LSM)고정자와 이동자(차량)에 각각 다른 극성의 자석을 배치
자석의 인력과 척력을 이용하여 추진력 발생

2. 종류

리니어 모터카는 크게 자기 부상 방식, 공기 부상 방식, 철륜식 방식으로 나눌 수 있다.

자기 부상 방식은 자기 부상 철도이며, 리니어 모터로 가감속된다. 초전도 리니어는 전자 유도 부상 지지 방식(EDS)을, HSST나 트랜스라피드는 흡인식 전자 흡인 지지 방식(EMS)을 사용한다.

공기 부상 방식에는 아에로트랑 S44, UTACV, 트랙티드 호버크라프트, 공기 부상식 신교통 시스템 등이 있다.

철륜식 방식은 추진력으로 리니어 모터(주로 리니어 유도 모터)를 사용하고, 차량 지지 및 안내에는 레일과 차륜을 사용한다.

2. 1. 자기 부상식

자기 부상식 리니어 모터카는 자기 부상 철도이며, 동시에 리니어 모터로 가감속된다. 초전도 리니어는 전자 유도 부상 지지 방식(EDS)이다. 미야자키 실험선에서는 바닥 부분의 코일에 의한 반발식이었지만, 야마나시 실험선에서는 측벽에 추진용과 부상용 양쪽 코일이 있어, 부상에는 반발과 흡인이 병용된다. HSST나 트랜스라피드는 흡인식 전자 흡인 지지 방식(EMS)이다. 초전도 리니어는 부상에 유도 전류를 이용한다는 그 메커니즘상 저속에서는 부상하지 않으므로, 인입식 고무 타이어바퀴를 장비하고 있으며, 정차·저속 시나 비상 정지 시에는 타이어로 차체를 지지한다.

일본 최초의 영업 운전은 1989년 요코하마 박람회에서 HSST에 의한 YES'89선이다. 운행되었던 것은 박람회 기간 중이었지만, 박람회의 전시물이 아니라, 자기 부상식 철도로서 운수 당국의 제1종 철도 사업으로 영업 운전 면허를 얻은 여객 수송이었다.

현재 영업 운전을 하고 있는 노선은 다음과 같다.

국가노선명
일본아이치 고속 교통 동부 구릉선(리니모)
중화인민공화국상하이 트랜스라피드, 창사 자기 부상 고속철, 베이징 지하철 S1선
대한민국엑스포 과학공원선, 인천공항 자기부상철도



그 외에는 실험·시험 단계에 머물거나, 이미 폐지되었다. 일본에서는 2027년을 목표로 수도권(시나가와역) - 주쿄권(나고야역) 사이를 잇는 주오 신칸센의 영업 운전 개시를 목표로 하고 있다.

2. 2. 공기 부상식


  • 아에로트랑 S44 - Merlin-Gérin사에 의해 공급된 리니어 유도 모터를 갖춘 차량이다.
  • UTACV - 1970년대에 개발된 미국의 공기 부상식 리니어 모터카 시험 차량이다.
  • 트랙티드 호버크라프트 - 영국의 공기 부상식 리니어 모터카 시험 차량이다.
  • 공기 부상식 신교통 시스템 - 제너럴 모터스에서 개발하였고, 이를 일본 오티스가 이어받아 리니어 모터 추진 방식의 실용화를 위한 개발을 진행하여 실험선에서 평가까지 이루어졌다. 그러나 2018년 현재 영업 사례는 모두 케이블카와 같이 강삭으로 견인하는 방식으로 변경되었는데, 저속에서는 케이블 쪽이 효율 등에서 장점이 있기 때문이다.

2. 3. 철륜식

철륜식 리니어 모터카는 추진력(동력)으로 리니어 모터(주로 리니어 유도 모터)를 사용하고, 차량의 지지 및 안내에는 레일과 차륜을 사용한다. 이러한 구조 덕분에 차량 높이를 낮게 유지할 수 있고, 철륜과 철궤도의 마찰력에 의존하는 일반적인 점착식 철도에 비해 추진력을 차량에 직접 발생시키는 방식이기 때문에 차륜의 직경을 작게 할 수 있으며, 급경사나 급커브에도 강하다는 특징이 있다. 1990년대 이후 일본에서는 터널 단면을 작게 해도 차내를 넓게 확보할 수 있다는 이점 때문에 지하철로의 채용이 확대되었다.

철륜식 리니어 (광저우 지하철 4호선)


차체 측의 대차 바닥면에는 코일을 부착하고, 지상 측에는 리액션 플레이트를 궤도 중앙에 부착하여 고정한다. 주행 시 차량 측의 코일에 3상 교류를 흘려보내면 유도 전동기의 회전 자계에 상당하는 이동 자계가 발생한다. 이로 인해 리액션 플레이트에 와전류에 의한 자계가 발생하고, 차체 측 코일과 리액션 플레이트 사이에서 자력의 흡인·반발이 상호 작용하여 차량에 추진력을 발생시킨다. 집전 방식에는 직류 1,500 V의 전력을 가공 전차선 또는 강체 가선에 흘려 팬터그래프로 집전하는 가공 전차선 방식과, 레일 아래에 매설된 가선에서 집전하는 제3궤조 방식으로 대별되며, 이 점에서는 일반적인 모터 구동 방식의 지하철용 전동차와 완전히 동일하며, 이 중 일본에서는 모두 전자의 집전 방식을 사용한다. 차량의 제어 방식에는 리니어 유도 모터를 사용하기 때문에 3상 교류를 제어 가능한 VVVF 인버터 제어를 채용하고 있다.

철륜식 리니어 모터카의 장점은 다음과 같다.

  • 리니어 모터는 매우 얇기 때문에 일반적인 전차보다 차륜 직경을 작게 하고, 대차를 소형화할 수 있으며, 객실의 바닥면을 낮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량 한계도 축소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터널 단면을 작게 할 수 있으며, 건설비를 절감할 수 있다 (미니 지하철).
  • 구동력을 차륜과 레일의 마찰에 의존하지 않기 때문에 급경사에서의 주행 성능이 높고[3], 급곡선에서의 주행이 가능하다.[4]
  • 감속 기어나 굴절 이음매 등의 가동 부분이 없으므로 소음이 적고, 보수가 용이하다.


반면, 다음과 같은 단점이 있다.

  • 리액션 플레이트와 차량 측 전자기석 간의 간격 (갭)이 좁아 (12 mm 정도) 지상 구간이나 역 부분에서는 쓰레기 등이 끼기 쉽다.
  • 기존의 점착식 추진에 비해 리니어 유도 모터 고유의 내부 손실 및 1차 측 코일과 리액션 플레이트 간의 틈새가 기존의 회전식 유도 전동기에 비해 커서 에너지 손실이 크고 (자계의 강도는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한다) 효율이 낮기 때문에, 단위 수송량 당 소비 전력이 기존 방식에 비해 크다.

3. 구동 방식의 종류

리니어 모터도 일반적인 모터와 마찬가지로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 리니어 동기 모터 (LSM): 차량 측에 전자석을 탑재함과 동시에 궤도 측에도 전자석 또는 영구 자석을 늘어놓아야 하므로, 궤도 부설·보선 비용이 많이 든다. 효율과 출력은 우수하다.[13]
  • 리니어 유도 모터 (LIM): 차상 1차 방식의 경우, 차량 측에 전자석이 필요하지만, 궤도 측에는 전자석이 필요 없고, "리액션 플레이트"라고 불리는 단순한 금속 판으로 충분하다. LSM과 비교했을 때, 고속 영역에서는 추력·역률·효율이 낮아질 뿐만 아니라, 1개의 모터의 1차 측과 2차 측의 간극이 커지면 추력이 대폭 감소하므로, 그 간극을 작게 억제할 필요가 있다. 단, 차상 1차 방식이라면 궤도 위에 코일을 부설할 필요가 없고, 궤도상의 코일을 여자기할 필요가 없으므로 추진 효율은 동종의 추진 방식의 소형 지하철과 동등한 수준이다.[14]
  • 리니어 정류자 모터: 사이리스터 모터라고도 불리며, 브러시와 정류자를 전자 회로에서 실현하고 있다. 에너지 효율은 LSM보다 높지만, 기계적 접촉, 수명이 짧다는 등의 문제가 있어, 실용 레벨에서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4. 철도 관련 시스템

리니어 모터는 철도 관련 다양한 시스템에도 활용된다.


  • 화차 가감속 장치: 1974년 9월부터 일본에서 화물 열차 조성 및 입환 작업에 사용되었다.[5] 무사시노, 키타카미, 신난요, 고리야마, 시오하마, 다카사키 등 컴퓨터화된 조차장에서 사용되었으며[6], 보수 차량으로는 국철 야250형 화차가 있었다. 이 장치는 일반 레일 안쪽에 설치된 전용 레일 위를 이동하며 화차를 포착하여 가감속한 후 돌방 또는 정지시킨다.[7] (일본의 화차 조차장 문서 참조)

  • 집전 시험 장치: 철도총연에서 리니어 모터 구동 방식으로 팬터그래프 등 집전 장치가 장착된 대차를 최고 200km/h로 주행시켜, 고속 이동 시 집전 관련 문제[9] 등을 시험하고 조사하는 데 사용되었다.[8]

5. 한국의 리니어 모터카 개발 과제 및 전망

한국은 자기부상열차 기술 개발에 꾸준히 투자해 왔으며, 인천국제공항철도인천공항 자기부상철도 상용화는 중요한 성과로 평가받는다. 그러나 철도 기술은 여전히 해외 의존도가 높은 편이며, 특히 초전도 리니어 모터카 기술은 일본에 비해 뒤처져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

중도 진보적 관점에서는 리니어 모터카 기술 자립을 위한 지속적인 투자와 연구 개발이 필요하며, 동시에 건설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환경 문제, 사회적 갈등, 지역 불균형 심화 등에 대한 대비책 마련이 중요하다고 본다. 특히, 리니어 모터카 건설이 특정 지역에 편중되지 않고, 국가 균형 발전에 기여할 수 있도록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한다.

용인시용인 경전철에서 철륜식 리니어 모터카가 사용되고 있다.

6. 관련 서적

H.H. 콜럼(H.H. Kolm), R.D. 손턴(R.D. Thornton)의 글 '자기 부상에 의한 초고속 철도' (사이언스 1973년 12월호)와 아니 헬러(Arnie Heller)의 글 'A New Approach for Magnetically Levitating Trains—and Rockets' (Science & Technology Review, 1998년 6월)가 있다. 크리스토퍼 P. 후드(Christopher P. Hood)의 저서 《Shinkansen – From Bullet Train to Symbol of Modern Japan》(Routledge, 2006)은 신칸센에 대한 내용을, 프랜시스 C. 문(Francis C. Moon)의 저서 《Superconducting Levitation Applications to Bearings and Magnetic Transportation》(Wiley-VCH, 1994)에서는 초전도 부상 기술을 다룬다. 잭 시먼스(Jack Simmons), 고든 비들(Gordon Biddle)의 저서 《The Oxford Companion to British Railway History: From 1603 to the 1990s》(Oxford University Press, 1997)는 영국 철도 역사를 다룬다.

참조

[1] 웹사이트 リニアモーターカーとは https://kotobank.jp/[...] 2020-12-19
[2] 문서 리니어 모터카 속도와 미끄러짐 주파수의 관계
[3] 문서 리니어 모터카 최대 경사도
[4] 문서 리니어 모터카 최대 곡선 반경
[5] 서적 新交通システム 保育社 1990
[6] 웹사이트 1982年塩浜操 https://expechizen.e[...]
[7] 간행물 リニアモータ方式L4形貨車加減速装置 日立評論 1970-12
[8] 웹사이트 集電試験装置 https://www.rtri.or.[...]
[9] 문서 신칸센 아크 현상
[10] 문서 알프스
[11] 웹사이트 鉄道総研の技術遺産 LTM高速特性試験装置 https://bunken.rtri.[...] 2019-09-04
[12] 서적 座談会「リニアメトロのあゆみ」 良書普及会 2001
[13] 문서 리니어 모터 방식 효율 비교
[14] 문서 리니어 유도 모터 제어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