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지하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지하철은 도시 내 대중교통 시스템의 하나로, 지하 또는 고가로 건설되어 운영된다. 1863년 런던에서 최초로 개통되었으며, 현재 전 세계 많은 도시에서 운행되고 있다. 한국에서는 1974년 서울 지하철 1호선 개통을 시작으로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등 주요 도시에서 운영 중이다. 지하철은 궤도, 역, 노선, 운영 방식 등 다양한 구조를 가지며,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각 도시의 지하철은 고유한 특징을 가지며, 도시의 교통 체증 완화에 기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지하철 - 카이로 지하철
    카이로 지하철은 이집트 카이로의 대중교통 시스템이자 아프리카와 중동 최초의 지하철로, 1987년 1호선 개통 후 현재 1, 2, 3호선이 운영 중이며 교통난 해소와 교통 시스템 개선을 위해 지속적인 노선 확장이 계획되어 있고 여성 전용칸 운영 등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 지하철 - 울란바토르 지하철
    울란바토르 지하철은 몽골 울란바토르에 건설 추진 중인 지하철 시스템으로, 교통 체증과 대기 오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2011년 건설이 결정되었으며, 2023년 재추진되어 2024년부터 2028년까지 17.7km 구간에 14개 역을 건설하여 2030년까지 운영할 예정이다.
  • 대중 교통 - 고속철도
    고속철도는 시속 200km 이상으로 운행되는 철도 시스템으로, 국가별 기술과 운영 방식의 차이가 있으며 경제 성장과 국토 개발에 기여하지만 환경 문제와 사회적 비용에 대한 논의가 있는 교통 시스템이다.
  • 대중 교통 - 대중교통
    대중교통은 다수를 위한 유료 교통수단으로, 수상 교통과 역마차에서 시작하여 트램, 철도, 버스, 지하철, 항공 등으로 발전해 왔으며, 스마트 모빌리티 기술 발전과 과제 해결을 동시에 마주하고 있다.
  • 철도 - 복선 (철도)
    복선 철도는 단선 철도보다 많은 열차를 운행할 수 있도록 두 개의 선로를 병행 설치한 시스템으로, 운영 효율성과 열차 운행 자유도가 높지만 건설비용이 많이 들고 넓은 부지를 필요로 하며, 국가나 노선에 따라 통행 방향이 다르고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며 단선 구간과의 혼용은 어려움을 야기할 수 있다.
  • 철도 - 절연 구간
    절연 구간은 전력 공급 방식이 다른 철도 구간의 경계에 설치되는 필수 구간으로, 직류/교류, 전압/주파수 차이, 운영 주체 및 시스템 차이 등으로 인해 필요하며, 열차는 관성 주행으로 통과해야 한다.
지하철
지도
기본 정보
유형고속 대중교통
분류도시 철도
대도시권 철도
다른 이름메트로
지하철
급행 철도
지하 고속 수송
지하 고속 철도
도시 철도
특징
기능도시 내 고속 대량 수송
속도고속
수송 능력고용량
운영 형태주로 독립된 선로 (지상, 지하, 고가)
전력 공급전철화
배차 간격짧은 간격 (첨두 시간대 집중 배차)
역사
최초 개통런던 지하철 (1863년)
초기 특징증기 기관차 사용
현대화전기 동력 도입
기술 발전
기술
선로전용 선로 사용
운영 방식자동 열차 제어 (ATC)
자동 열차 운전 (ATO)
차량다수의 차량으로 구성된 열차
시설
승강장
대합실
개찰구
터널지하 구간 운행
고가지상 위 고가 구간 운행
효과
교통 체증 완화도시 교통 혼잡 감소
대기 질 개선배기가스 감소
경제 활성화도시 개발 및 접근성 향상
현황
세계 총 연장4,500 km 이상
주요 성장 지역중국, 브라질 등 개발도상국
세계 최장 노선상하이 지하철
주요 도시뉴욕 지하철
런던 지하철
시카고 고속 교통
기타
참고대중교통 시스템의 핵심

2. 역사

킹스 크로스 세인트 판크라스 역에서의 메트로폴리탄 철도 건설 공사 모습 (1861년)


지하철의 역사는 19세기 영국 런던에서 시작되었다. 1863년 1월 10일, 메트로폴리탄 철도의 패딩턴 역에서 패링던 역까지 약 6km 구간이 개통되었다.[107] 당시 런던 시내는 건물이 많아 지상에 철도를 건설하기 어려웠기 때문이다. 이 노선을 계획한 사람은 런던의 법무관인 찰스 피어슨이며, 1834년에 개통된 템즈 터널을 참고했다고 한다. 차량은 개업 당시부터 1905년 전철화될 때까지 증기 기관차를 사용했다. 황을 포함한 연기가 발생했기 때문에, 역 구내는 밀폐된 지하 공간이 아니라 환기성을 확보한 구조였으며, 노선의 일부도 굴착 구간이었다.

"메트로"라는 단어는 "메트로폴리탄 철도"에서 유래되었으며, 파리 지하철의 약칭인 "Métro"에서 전 세계로 퍼져나갔다고 여겨진다.

영국에서의 개업 이후, 19세기 말 ~ 20세기 초에 유럽과 미국의 각지에서 지하철이 건설되었다. 1875년에는 터키 이스탄불에서 지하 케이블카 "튀넬"이 개업했고, 1896년에는 헝가리 부다페스트에서 세계 최초의 전철화된 지하철이 개통되었다. 1898년에는 미국 보스턴, 1900년에는 프랑스 파리, 1902년에는 독일 베를린에서 지하철이 개통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전까지는 남미, 일본, 소련의 대도시에서도 지하철이 건설되었고, 전후에는 중규모 도시로 확대되었다. 1970년대 이후에는 개발도상국에서도 지하철이 건설되어 대중교통으로 자리 잡았다.

2. 1. 세계



2012년 로마 지하철


지하철이 처음으로 생긴 나라는 영국으로, 1863년런던에서 증기 기관차가 지하로 다니기 시작했다. 터키의 이스탄불 메트로는 1875년에, 헝가리부다페스트 지하철1896년에 문을 열었다. 서울 지하철1974년 8월 15일에 종로선이 처음 개통되었다.

세계에서 가장 큰 도시 철도 시스템은 수도권 전철이다. 이용객이 많은 지하철 시스템으로는 도쿄 지하철, 파리 지하철, 뉴욕 지하철, 베이징 지하철, 상하이 지하철, 런던 지하철 등이 있다. 인구 밀도가 낮은 중소 도시 지역에는 부산 도시철도, 대구 도시철도, 오사카 메트로, 나고야 시영 지하철, 후쿠오카 시 지하철 등이 있다.

초기 지하철은 증기 기관을 사용했지만, 오늘날 대부분의 지하철은 전력을 사용한다. 전력 공급 방식은 가선과 제3궤조 방식이 있다. 가선 방식은 터널이 없는 곳에서, 제3궤조 방식은 터널의 공간이 좁은 곳에서 주로 사용된다.

지하철의 역사는 19세기 영국 런던에서 시작되었다. 1863년 1월 10일, 메트로폴리탄 철도의 패딩턴 역에서 패링던 역까지 약 6km 구간이 개통되었다. 당시 런던 시내는 건물이 많아 지상에 철도를 건설하기 어려웠기 때문이다. 차량은 1905년까지 증기 기관차를 사용했다. "메트로"라는 단어는 "메트로폴리탄 철도"에서 유래되었으며, 파리 지하철의 약칭인 "Métro"에서 전 세계로 퍼져나갔다.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초에는 유럽과 미국의 여러 도시에서 지하철이 건설되었다. 1875년에는 터키 이스탄불에서 지하 케이블카 "튀넬"이, 1896년에는 헝가리 부다페스트에서 세계 최초의 전철화된 지하철이 개통되었다. 1898년에는 미국 보스턴, 1900년에는 프랑스 파리, 1902년에는 독일 베를린에서 지하철이 개통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전까지는 남미, 일본, 소련의 대도시에서도 지하철이 건설되었고, 전후에는 중규모 도시로 확대되었다. 1970년대 이후에는 개발도상국에서도 지하철이 건설되어 대중교통으로 자리 잡았다.

; 유럽

  • 영국

런던 지하철S7·S8형


1863년에 세계 최초의 지하철인 메트로폴리탄선이 개통되었다. 처음에는 증기 기관차를 사용했지만, 1905년에 전동차로 바뀌었다.

  • 독일

프랑크푸르트 지하철 U5형


U-Bahn은 베를린, 함부르크, 뮌헨, 뉘른베르크에 있으며, 모두 제3궤조 방식을 사용한다.

  • 프랑스

파리 지하철MP89계. 금속차륜의 궤도와 주행용 고무 타이어를 모두 갖추는 것이 특징이다.


메트로는 파리, 리옹, 마르세유 등 7개 도시에 있다. 파리 지하철은 14개 노선 중 5개 노선이 금속 차륜과 고무 타이어를 함께 사용하며, 14호선은 무인 운전과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 러시아

1935년모스크바에 처음 개통되었으며, 역 구내가 화려하게 장식되어 있다.

  • 스페인: 마드리드, 바르셀로나 등 여러 도시에 지하철이 있으며, 모두 가선 방식을 사용한다.


; 아메리카

  • 미국

1904년뉴욕 지하철이 개업한 이후, 뉴욕을 중심으로 많은 노선이 건설되었다.

  • 멕시코: 1969년멕시코시티 지하철이 개통되었으며, 프랑스 기술 지원을 받아 금속 바퀴와 고무 타이어를 함께 사용한다.

  • 남아메리카: 1913년 아르헨티나의 부에노스아이레스에 처음으로 지하철이 개통되었다. 브라질 상파울루 등 주요 7개 도시에서 지하철이 운행되고 있다.


; 아시아

  • 일본

도쿄 메트로긴자선1000계


1927년에 도쿄 지하철에 의해 긴자선의 일부 구간이 개통된 것이 최초이다.

  • 중국 대륙

베이징 지하철창핑선SFM13형


1969년베이징에서 지하철이 개업했으며, 1980년대 이후 여러 도시에서 지하철 건설이 이루어졌다.

  • 홍콩

1979년부터 MTR이 운영되고 있으며, 1997년에는 세계 최초로 비접촉식 교통 카드인 옥토퍼스 카드를 도입했다.

  • 대만

타이베이 첩운담수이선C381형


첩운(MRT)이 타이베이, 가오슝 등 여러 도시에서 운행되고 있다.

  • 한국

서울 지하철2호선2000계


1974년에 서울에서 최초의 지하철 노선이 개업한 이후, 여러 지방 도시에서도 지하철이 개업했다.

  • 북한

평양 지하철의 복흥역 정차 중인 D형


1973년에 평양 지하철이 개통되었으며, 핵 대피소 기능도 갖추고 있다.

  • 싱가포르

싱가포르 지하철 R151형 전차


1987년부터 MRT가 운영되고 있다.

  • 인도: 1984년콜카타에서 인도 최초의 지하철이 개업했고, 2002년에는 델리 메트로가 건설되었다.


; 아프리카

2010년까지 이집트 카이로에만 지하철이 있었다. 2011년에는 알제리 알제에서 지하철이 개통되었다.

; 오세아니아

2019년 시드니에 최초의 지하철이 개통되었다.

2. 2. 한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평양 지하철도는 한국어를 사용한 한반도 최초의 지하철이다. 대한민국에서는 1974년 서울에 최초의 지하철 노선이 개업한 이후,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등 지방 도시에서도 지하철이 개업했다. 이 노선들은 일본으로부터의 정부 개발 원조 및 기술 원조를 받아 정비되었다.

한국은 북한과의 준전시 체제 하에 있어, 유사시 대피소로 활용 가능한 지하 공간 이용이 활발하다. 특히 서울은 지하상가와 함께 대규모 지하철 노선망을 갖추고 있다. 한국의 지하철은 대부분 각 지방자치단체 출자의 공영 기업체가 운영하지만, 최근에는 민영 또는 반민영 지하철도 증가하고 있다.

2. 2. 1. 대한민국의 지하철 운영 기관

대한민국에서는 1974년 서울에 첫 지하철이 개통된 이래 도시 철도와 지하철이 동의어로 굳혀졌다. 이는 4호선이 건설될 때까지의 서울 지하철은 실제로 거의 대부분이 지하 구간이었기 때문이다. 수도권 전철 1호선이 지하 구간 이외에 훨씬 긴 지상 구간까지 포함하게 된 이후에도 전 구간을 지하철로 일컫게 되었다.[124] 그러나 지상 구간이 주를 이루는 광역철도가 2000년대 들어 빠르게 구간을 확장하면서 이러한 의미는 퇴색되어갔고, 이를 운영하는 기업체들도 사업 확장이나 이미지 쇄신 등의 목적으로 사명에 '지하철'을 대체하는 좀 더 명확하고 포괄적인 용어가 포함된 사명으로 설립하거나 변경하기 시작했다.

1994년에 설립된 서울특별시 도시철도공사가 기존의 지하철이라는 명칭 대신 도시철도라는 용어를 사명에 도입한 첫 번째 사례이다. 2005년 서울지하철공사가 서울메트로로, 2008년 대구지하철공사가 대구도시철도공사로 변경한 사례도 있다. 이 외에도, 전국에서 수도권에 이어 가장 많은 지상구간을 보유한 부산 지하철을 운영하는 부산교통공사 역시 안내할 때 부산 지하철이라는 표현 대신 부산 도시철도라는 표현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124] 인천교통공사로 바뀜에 따라 모든 도시철도 운영 기관의 사명에서 지하철이라는 단어는 소멸해 버리고 메트로나 도시철도로 쓰이게 되었다. 광주광역시 도시철도공사는 공사 창립과 동시에 도시 철도라는 단어를 사명에 사용한다.[124]

현재 대한민국의 지하철 운영 기관은 다음과 같다.

3. 구조

지하철은 도로 교통 혼잡을 줄이고, 건물 및 기타 시설이 들어설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지하에 건설된다. 토지 가격이 비싸고 이용이 집중된 지역에서는 터널이 경제적인 대중교통 수단이 될 수 있다. 지하철 건설에는 도시 도로를 파낸 후 터널을 만들고 다시 덮는 굴착식 터널 공법과 터널 굴착기를 사용하여 깊은 곳에 터널을 뚫는 방법이 있다.[35]

지하철 건설은 비용이 많이 들고 시간이 오래 걸리는 프로젝트이다. 일반적인 굴착식 터널 공법은 도시 도로를 파서 터널 구조물을 만들고, 메운 후 도로를 다시 건설하는 방식이다. 이 방법은 상하수도 시설, 특히 전력, 전화, 상수도, 천연가스, 하수도 등을 옮기는 작업이 필요하다. 1992년 과달라하라 폭발 사고처럼 잘못된 위치의 수도관이 사고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35] 구조물은 주로 콘크리트로 만들어지며, 강철 기둥이 사용되기도 한다. 가장 오래된 시스템에서는 벽돌과 주철이 사용되었다.

보어링 터널 공법은 수직갱에서 시작하여 수평으로 터널을 굴착하는 방식으로, 도로, 건물, 상하수도에 대한 방해를 최소화한다. 그러나 지하수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기반암을 통과할 때는 암석 발파가 필요할 수 있다. 런던은 두꺼운 점토층 덕분에 이러한 문제를 피할 수 있었고, 심층 터널 공법을 처음으로 광범위하게 사용한 도시이다. 터널 내부 공간이 좁아 사용할 수 있는 기계가 제한되지만, 특수한 터널 굴착기가 사용되고 있다.

터널 공사 비용은 굴착식, 지상 또는 고가 시스템보다 훨씬 비싸다. 초기 터널 굴착기는 기존 철도 장비에 맞는 터널을 만들 수 없어 런던 지하철에서 사용되는 낮고 둥근 기차가 필요했다. 기차와 터널 벽 사이의 공간이 좁아 에어컨 설치가 어렵지만, 다른 노선은 굴착식으로 건설되어 에어컨이 설치된 기차를 갖추게 되었다.

세계에서 가장 깊은 지하철 시스템은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 지하철이다. 습지에서 안정적인 토양은 50m 이상 깊이에 있고, 그 위는 지하수를 함유한 모래로 구성되어 있다. 약 60개 역 중 3개만 지상 근처에, 3개는 지상 위에 건설되었다. 일부 역과 터널은 100m 에서 120m 깊이에 있다.
세계에서 가장 깊은 역:

순위역 이름깊이개통 연도국가비고
1홍옌춘 역116m2022년중국 충칭 지하철
2아르세날나 역105.5m1960년우크라이나 키이우 지하철언덕 아래 건설
3아드미랄테이스카야 역102m2011년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 지하철
4소피아 역약 100m2030년 예정스웨덴 스톡홀름 지하철
5홍투디 역94m2016년중국 충칭 지하철
6리위치 역76m2017년중국 충칭 지하철
7파르크 포베디 역약 80m2005년러시아 모스크바 지하철언덕 아래 건설
8푸흥역--북한 평양 지하철핵 대피소 기능
9워싱턴 파크80m-미국 오리건주 포틀랜드언덕 아래 건설



심층 터널은 역 사이에서 분지 모양으로 잠길 수 있어 추가 비용이 들지 않는다. 역을 "언덕 위에" 설치하면 가속과 제동 시 중력이 기차를 돕는다. 이 기술은 1890년 시티 앤 사우스 런던 철도에서 처음 사용되었고, 몬트리올, 뉘른베르크 등에서 사용되었다.

MTR 섬선의 연장선인 웨스트 아일랜드선은 2015년에 개통되었으며, 미드레벨 승객을 위해 100m 이상에 위치한 사이잉푼 역과 HKU 역이 있다. 이 역에는 에스컬레이터 대신 고속 엘리베이터가 설치된 출입구가 있다. 이러한 출구는 런던 지하철역과 구 소련 국가의 역에 존재한다.

개업 당시 런던 지하철 차량은 증기기관차로 견인되었고, 석탄 연소 시 발생하는 연기를 물을 통과시켜 매연과 을 억제하는 구조였다. 이후 전철이 되었지만, 초기에는 너비 2,500mm, 길이 15,000mm 정도의 소형 차량이 사용되었다. 이후 너비 2,800mm, 길이 18,000mm 정도로 대형화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동아시아에서는 너비 2,800~3,200mm, 길이 20,000mm 정도의 대형 차량이 사용되는 예(일본 도쿄, 대한민국 서울, 싱가포르 등)도 있다. 건설비 측면에서 터널 단면을 작게 하여 차량도 특수한 소형차로 하는 예(영국 런던의 튜브, 글래스고, 부다페스트 등)도 있다.

차량 성능은 고속 성능보다 고가감속 성능과 등판 성능이 중시되어 전동차 비율이 높다. 기존 구조물을 피해 도로 아래 등 좁은 곳에 건설되어 급곡선과 급경사가 많고, 역간 거리도 짧기 때문이다. 차체는 많은 인원을 수송하기 위해 많은 이 설치되어 있다. 전장 18,000mm 이상 차량은 한쪽에 4개 이상의 문을 가진 차량도 있지만, 세계적으로는 1량당 한쪽에 3개의 문이 주류이다. 열차 편성 길이는 유럽과 미국에서 100~120m, 아시아에서는 200m 정도이다. 좌석은 유럽과 미국에서는 크로스 시트가, 아시아에서는 롱 시트가 많다.

차량 재료는 외판에는 타지 않는 금속 재료를 사용하고, 내장재에도 불연성, 난연성 재료가 권장된다. 피난 경로가 제한된 지하 공간에서의 화재는 대참사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내장재는 일본 등 일부 국가를 제외하고는 가연성 재료가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오래된 전목제 차량이 사용되는 노선도 있다. 지하철 기관사는 전면 창에 실내가 비치는 것을 막기 위해 운전실과 객실 사이 칸막이의 커튼(차광막)을 닫고 운행한다. 지하철이지만 지상 구간에 역을 가진 노선도 있다.

지하철 차량의 냉방화는 유럽에서는 필요한 곳이 적지만, 다른 지역에서도 늦었다. 차내 냉방 시 발생하는 과 드레인 이 터널과 역을 답답하게 하고, 냉방용 전원(제3궤조 또는 가선보다 저압교류 전원)이 필요하며, 전동발전기를 대용량으로 바꾸거나 별도로 탑재해야 했고, 그 공간을 확보할 수 없었다. 제3궤조를 채용한 지하철은 차량 한계가 작고, 냉방 장치를 싣기에 충분한 공간도 없었다.

그러나 기술 발전에 따라 발전 브레이크에서 회생 브레이크로 진화하여 대용량 저항기가 불필요해졌고, 제어 방식에 저항기를 사용하지 않는 사이리스터 초퍼 제어 또는 인버터에 의한 가변 전압 가변 주파수 제어(VVVF 제어)가 보급되었다. 차량에서 열원을 없앨 수 있게 되었고, 냉방용 전원을 싣는 공간도 생겼다. 전동발전기보다 소형의 정지형 인버터(SIV)를 채용하여 공간 절약이 진행되고 있다. 냉방 장치 자체도 소형화·고효율화되어 제3궤조 집전 차량에서도 지붕에 박형의 것을 놓을 수 있게 되어 오사카 시영 지하철의 10계(1979년)부터 채용이 시작되고 있다.

현존하는 특수한 차량으로는 고무 타이어식이 있다. 프랑스와 일본에서 각각 다른 방식이 개발되었다. 프랑스 방식은 캐나다 몬트리올 만국박람회 개최에 맞춰 건설되었고, 고무 타이어를 사용한 최초의 노선이었다. 통상 레일과 차륜을 안내로 하고, 그 외측에 고무 타이어와 踏板을 설치하는 방식이다. 파리, 멕시코시티에서도 동일한 방식이 채용되고 있다. 일본 삿포로에서 실용화된 것은 주행용 고무 타이어 외에 중앙에 1개의 안내 궤도를 만들고, 그것을 고무 타이어로 挟む 방식으로, 철궤와 철륜을 가지지 않는다. 고무 타이어 방식은 소음 발생이 적고, 가속도와 감속도가 높고 부드럽다는 특징을 가지지만, 타이어 먼지로 인한 건강 피해를 걱정하는 목소리도 있다.[109] 구름 저항이 철륜식보다 커 소비 전력이 많고, 타이어 교체 주기도 짧아 런닝 코스트가 철륜식보다 높다. 타이어에는 하중 부담력이 큰 라디알 타이어(삿포로 시영 지하철은 안내륜만 바이어스 타이어)[110]가 사용되며, 파리에서는 펑크 시 내부 스틸 코드가 제3궤조와 접촉하여 단락되는 사고도 있었다.

건설비를 억제하기 위해 1980년경부터는 성능을 유지한 채 차량을 소형화할 수 있는 리니어 유도 전동기에 의한 비점착 추진 차량이 등장했다. 차량 반입은 지상 차량 기지로 보내거나, 지하 차고 위에 반입용 구멍을 설치하여 크레인으로 내리는 방법이 있다. 차량 메이커에서 차량 기지까지 수송은 지상 철도선 경유나 트레일러 육송 방식이 채택된다.

지하철의 선형은 시가지 지하에 노선을 통과시키는 경우, 국가에 따라 다르지만 공유지도로 지하에 통과시키는 경우가 많다.[103] 도로 지하에 노선을 건설하면 노선 형상이 도시 구조에 의존하여 긴 직선 도로가 없는 곳에서는 노선이 복잡하게 구불구불해져 속도 제한을 받는다.

지하 구조물 건설은 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에, 교외 구간에서는 고가나 지상 구간을 병용한다. 구배도 차량 성능이 허용하는 한 크게 하여 터널 연장·지상으로 나올 때까지의 거리를 짧게 하고[105], 지형을 이용하여 개방 구간을 길게 하는 노선 선정이 이루어진다.

세계 모든 지하철은 전철화되어 있다. 전력 공급은 직류 600~1,500V가 주로 사용된다. 교류를 채택한 노선은 인도 델리(25,000V 50Hz)뿐이다.[108] 아시아에서는 750V와 1,500V, 러시아동유럽에서는 825V, 서유럽과 북미에서는 600V~750V, 남미에서는 750V와 3,000V가 주류이다. 집전 방식은 제3궤조 방식(그리고 런던의 제4궤조 방식)과 가공전차선 방식이 있지만, 국가나 지역 내에서도 혼재하고 있으며, 분포 편향은 보이지 않는다. 지하철에서 제3궤조 방식을 채택하면 가공전차선 방식보다 터널 단면적이 좁아져 건설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같은 목적으로 일본 등 일부 국가에서는 철륜식 리니어 모터카도 채택하고 있다.

3. 1. 노선

일반적으로 지하철 노선은 터널 구조물이 대부분을 차지하여 유지 보수에 많은 시간이 걸린다. 이를 줄이기 위해 유지 관리가 용이한 직결 궤도나 슬래브 궤도 노선을 채택하는 경우가 많다.[105] 이 방식은 바닥이나 침목콘크리트를 사용하기 때문에, 자갈을 깔아 만드는 바라스트궤도에 비해 수명이 길고 차체에 대한 부담도 적다는 장점이 있다. 그 대신 초기 비용이 바라스트궤도에 비해 매우 비싸다.

각 고속철도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노선'' 또는 순환선으로 구성된다. 각 노선은 적어도 하나의 특정 경로에 의해 운영되며, 열차는 노선의 모든 역 또는 일부 역에 정차한다. 대부분의 시스템은 여러 경로를 운영하며, 색상, 이름, 번호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분한다.

델리 지하철 열차는 서로 다른 노선을 나타내는 색상 코드로 표시된다.


일부 노선은 경로의 일부 구간에서 서로 선로를 공유하거나 자체 전용 선로에서만 운영될 수 있다. 도시 중심부를 통과하는 노선은 종종 교외에서 두 개 이상의 지선으로 갈라져 중심부에서 더 높은 운행 빈도를 허용한다. 이러한 배치는 코펜하겐 지하철[48], 밀라노 지하철, 오슬로 지하철, 이스탄불 지하철, 뉴욕 지하철 등 많은 시스템에서 사용된다.[49] 또는 도시 중심부에 단일 중앙 터미널(종종 중앙 기차역과 공유)이나 노선 간 환승역이 여러 개 있을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프라하 지하철이 있다.[50]

런던 지하철[51]파리 메트로[52]는 도시 전역에 걸쳐 교차하는 노선의 집합체로 구성된 고밀도 시스템이다. 시카고 'L'은 대부분의 노선이 주요 상업, 금융 및 문화 지역인 더 루프에 집중되어 있다. 일부 시스템은 도시 중심부를 따라 원형 노선을 가지고 있으며, 방사형으로 배열된 외곽선과 연결되는데, 모스크바 지하철의 콜체보이 선과 베이징 지하철10호선이 그 예이다.

노선의 수용력은 차량 수용력, 열차 길이 및 운행 빈도를 곱하여 얻는다. 고속철도 열차는 6량에서 12량일 수 있는 반면, 경전철 시스템은 4량 이하를 사용할 수 있다. 차량의 수용력은 좌석 대 입석 비율에 따라 100명에서 150명이며 입석이 많을수록 수용력이 높아진다. 열차 간 최소 시간 간격은 통신 기반 열차 제어를 사용하기 때문에 본선 철도보다 고속철도가 더 짧다. 최소 운행 간격은 90초까지 도달할 수 있지만, 많은 시스템은 지연으로부터 회복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120초를 사용한다. 일반적인 수용력 노선은 열차당 1,200명을 수용하며, 시간당 방향당 36,000명의 승객을 수용한다. 그러나 홍콩의 MTR 공사 도시 노선에서 시간당 75,000명에서 85,000명에 이르는 훨씬 더 높은 수용력이 동아시아에서 달성된다.[53][54][55]

대부분의 동남아시아와 타이완에서는 고속철도 시스템을 주로 약어인 'MRT'로 알고 있다. 그 의미는 국가마다 다르다. 인도네시아에서는 이 약어는 'Moda Raya Terpadu'를 뜻하며, 영어로는 '통합 대중교통 모드'를 의미한다.[26] 필리핀에서는 'Metro Rail Transit'를 의미한다.[27] 두 개의 지하 노선은 '지하철'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태국에서는 이는 이전에 '대중고속철도'라는 이름을 사용했던 'Metropolitan Rapid Transit'를 의미한다.[28] 동남아시아를 제외하고 가오슝과 타이완 타오위안은 싱가포르말레이시아와 마찬가지로 '대중고속철도'를 의미하는 자체 'MRT' 시스템을 가지고 있다.[29][30][31][32]

일반적으로 급행철도는 "지하철"과 같은 의미로 사용되지만, 때로는 지하철, 통근열차, 고가 경전철을 포함하는 의미로 정의되기도 한다.[33] 또한 대용량 버스 기반 교통 시스템도 지하철 시스템과 유사한 특징을 가질 수 있다.[34]

아나 로사 역 승강장, 2호선 (상파울루 지하철)




; 노선의 종류

환상노선 (예: 글래스고)


방사환상노선 (예: 베이징, 다카, 런던, 마드리드, 모스크바, 서울, 상하이, 나고야, 도쿄)


할선노선 (예: 아테네, 부쿠레슈티, 부다페스트, 하이데라바드, 하르키우, 키이우, 쿠알라룸푸르, 리스본, 뮌헨, 프라하, 상파울루, 타슈켄트, 테헤란, 타이중, 대구)


복합격자노선 (예: 베를린, 델리, 뉴욕, 선전, 오사카, 파리, 타이베이, 부산)


X노선 (예: 암스테르담, 브라질리아, 브뤼셀, 오슬로, 포르투, 리우데자네이루, 샌프란시스코, 스톡홀름, 홍콩, 요코하마, 후쿠오카)


직경노선 (예: 알제, 헬싱키, 리마, 뭄바이, 예카테린부르크)


기포노선 (예: 카이로, 릴, 밀라노, 뉘른베르크, 로테르담, 소피아 (일부), 타인 앤 위어)


십자노선 (예: 애틀랜타, 벵갈루루, 이스파한, 가오슝, 교토, 민스크, 필라델피아, 로마, 삿포로, 센다이, 바르샤바)


; 단면

초기 지하철은 지표면을 굴착하여 상자형 터널을 건설하는 개착공법으로 건설되었다. 개착공법은 공사비용이 저렴한 대신, 터널 양벽에 해당하는 부분에 연속적인 지지말뚝을 박아야 하며, 말뚝 박는 공사가 교통에 지장을 줄 뿐만 아니라, 공기와 공사비의 관계로 인해 얕은 터널만 건설할 수 있었다. 그러나 쉴드 공법의 등장으로 지상·지중 구조물에 최대한 영향을 주지 않고 지하에 노선을 건설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쉴드 공법으로 건설된 쉴드 터널은 토압에 견디기 위해 일반적으로 원형이지만, 승강장을 설치하기 위해 안경형 등 특수 형상의 쉴드 머신을 준비한 사례도 있다.

; 선형

선형에 관하여, 시가지 지하에 노선을 통과시키는 경우, 국가에 따라 사정은 다르지만 많은 경우 법률이나 지상의 토지 소유권 등이 관련된 문제가 있으며, 그것을 회피하기 위해 공유지인 도로(공도)의 지하에 통과시키는 경우가 많다.[103] 도로 지하에 노선을 건설하는 경우, 노선의 형상과 노선이 도시 구조에 의존하기 때문에, 긴 직선적인 도로가 지상에 존재하지 않는 장소에서는 노선이 복잡하게 구불구불한 노선이 되어 속도 제한을 받는다.

; 구배

일반적으로 지하를 파서 구조물을 건설하는 공사는 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에, 특히 교외 구간에서는 고가 구간이나 지상 구간을 병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구배도 차량의 성능이 허용하는 한 크게 하여 터널 연장·지상으로 나올 때까지의 거리 모두를 가능한 한 짧게 하고[105], 또한 울퉁불퉁한 지형을 이용하여 가능한 한 개방 구간을 길게 하는 노선 선정이 이루어지는 경우가 있다.

세계의 모든 지하철은 전철화되어 있다. 전력 공급 및 집전 방식은 국가 및 노선에 따라 다양하다. 전력 공급은 직류 600~1,500V가 주로 사용된다. 교류를 채택한 노선은 인도델리(25,000V 50Hz)뿐이다.[108] 아시아에서는 750V와 1,500V가, 러시아동유럽에서는 825V가, 서유럽과 북미에서는 600V~750V가, 남미에서는 750V와 3,000V가 주류이다. 집전 방식은 제3궤조 방식(그리고 런던의 제4궤조 방식)과 가공전차선 방식이 있지만, 국가나 지역 내에서도 혼재하고 있으며, 분포의 편향은 보이지 않는다. 지하철에서 집전 방식으로 제3궤조 방식을 채택하면 가공전차선 방식보다 터널의 단면적이 좁아져 건설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같은 목적으로 일본 등 일부 국가에서는 철륜식 리니어 모터카도 채택하고 있다.

3. 2. 역

역은 승객들이 열차에 승하차하고, 요금을 지불하며, 버스나 다른 열차 등 다른 교통 수단으로 환승할 수 있도록 하는 교통 허브 역할을 한다.[79] 역으로의 접근은 섬식 승강장 또는 측식 승강장을 통해 이루어진다.[79] 특히 지하 깊숙한 곳에 있는 지하철역은 긴 에스컬레이터 이동 시간 때문에 역이 제대로 건설되지 않으면 병목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일부 지하철역과 고가역은 인근 상업 건물과 연결되는 광대한 지하도시 또는 스카이웨이 네트워크에 통합되어 있다.[80] 교외 지역에는 역과 연결된 "주차장 및 환승 시설"이 있을 수 있다.[81]

열차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승강장 높이는 승강장과 열차 사이의 단차 없는 접근을 가능하게 한다. 역이 접근성 기준을 준수하는 경우, 장애인과 바퀴 달린 수하물을 가진 사람 모두 열차에 쉽게 접근할 수 있지만,[82] 선로가 곡선일 경우 열차와 승강장 사이의 틈이 생길 수 있다. 일부 역에서는 사람들이 선로에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환기 비용을 줄이기 위해 스크린도어를 사용한다.

모스크바 지하철역 벽에 있는 붉은색 대리석으로 된 거대한 앵무조개 조각.


특히 구 소련 및 기타 동유럽 국가에서, 그리고 점점 더 다른 곳에서도 역은 대리석 벽, 광택 처리된 화강암 바닥 및 모자이크와 같은 화려한 장식으로 지어졌다. 따라서 일반 대중은 미술관 외부에서 일상생활에서 예술에 접할 수 있었다. 모스크바 지하철의 벽 클래딩에는 산호에서 암모나이트앵무조개에 이르기까지 많은 화석이 포함되어 있다. 모스크바, 상트페테르부르크, 타슈켄트키이우의 시스템은 세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시스템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83] 런던,[84] 스톡홀름, 몬트리올, 리스본, 나폴리 및 로스앤젤레스와 같은 다른 여러 도시들도 역 건설 중에 발굴된 고대 유물 전시에서부터 역 건축과 통합된 크고 화려한 예술 계획에 이르기까지 장식용 벽 클래딩에 이르는 예술에 중점을 두었다.[85] 웅장한 건축, 예술, 청결, 접근성, 조명안전에 대한 느낌에 비교적 적은 비용을 지출함으로써 더 많은 승객을 유치하여 수익을 창출할 수 있다.[86]

요코하마 시영 지하철 그린라인 고다역(가나가와현)에서 안전 대책으로 설치된 홈도어


지하철 외에 지상의 철도 노선이나 고속철도 등 여러 노선이 들어오는 환승역의 경우 지상 구조물을 공유하는 경우가 있지만, 대부분 지하철 전용 역은 지상에 역사 시설을 갖추지 않고 모든 시설을 지하에 갖추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많은 지하철역의 경우, 지상 구조물은 간이적인 구조로 되어 있으며, 지하로 연결되는 승강설비, 즉 역으로 들어가는 입구만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지상과 지하를 오가는 계단 이용은 장애인이나 고령자에게는 지하철 이용의 장애가 되고 있다. 그래서 최근 각국에서 신설되는 노선에서는 이러한 사람들을 위해 에스컬레이터나 엘리베이터를 설치하는 등 역을 배리어프리화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지하철만 들어오는 지하철역의 입구는 버스 정류장처럼 보도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가 많으며, 한눈에 지하철역임을 알 수 있도록 고안되어 있다. 예를 들어 지하철을 운영하는 단체나 노선의 로고를 게시하거나 페인트 아트를 하는 경우 등이 있다. 또한 역사 내 넓은 벽면을 이용하여 광고 게시나 그림 등 미술 작품 전시가 이루어지는 경우도 있다.

지하철 승강장은 지하에 있는 경우가 많다. 지하에 있는 경우 환기 설비나 소화 설비의 중요성이 특히 높기 때문에 항상 정비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역의 구조나 예산 문제 등으로 충분한 정비가 이루어지지 않은 노선이 많은 것이 현실이다. 1990년대 이후에 건설된 일부 노선에는 추락 방지 울타리나 홈도어 설치 등 안전 대책도 시행되고 있다. 또한 지리나 언어에 익숙하지 않은 승객을 위해 역사 내 방송뿐만 아니라 승강장에 열차의 목적지·종류를 표시하거나, 역 이름을 알파벳으로 표기하거나, 안내용으로 각 역에 고유 번호를 부여하는(역 넘버링) 등 다양한 배려가 이루어지고 있다.

4. 안전성

지하철은 여러 재난에 대비해 방재 시스템을 갖추고 있어, 일반적으로 안전하다고 평가된다. 모든 역에 스크린도어를 설치하여 선로 추락 사고를 예방하고, 복선 철로를 사용하여 정면 충돌 위험을 줄였다. 또한, 운행 속도를 낮춰 후방 충돌과 탈선 위험도 감소시키고 있다. 화재에 대비해 비상용 전화, 소화기, 소화전, 방독면 등을 갖추고, 역사 곳곳에 피난 장소를 마련해 놓았다. 그러나 이러한 시설들의 관리가 미흡하다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125][126]

2001년 3월 서울 지하철 6호선에서 소방훈련에 참가한 서울소방 소방대원들


타이베이 첩운 적색선(담수이-신의선) 단안역에 설치된 스크린도어


첸나이 지하철 지하역에 설치된 전고형 밀폐식 스크린도어


다른 교통 수단에 비해 사고가 적은 편이며, 엄격한 안전 규정을 적용하여 위험을 최소화한다. 그러나 1987년 런던 킹스크로스역 화재처럼 지하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큰 피해로 이어질 수 있어, 시스템 전반에 걸쳐 열차를 대피시킬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61][62] 높은 승강장은 추락 시 다시 올라오기 어렵기 때문에, 스크린도어를 설치하여 이러한 위험을 줄이기도 한다.

고속철도 시설은 공공장소이므로 절도, 폭력 범죄, 성폭행 등의 보안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63][64] 이를 위해 비디오 감시, 경비원, 차장 등의 보안 조치가 이루어지며, 일부 국가에서는 전문 교통경찰이 배치되기도 한다. 이러한 보안 조치는 무임 승차를 막기 위한 조치와 통합되는 경우가 많다.[65] 베이징 지하철처럼 모든 역에 공항 수준의 보안 검문소를 설치하는 경우도 있다. 1995년 도쿄 지하철 사린 가스 공격[66], 2005년 런던 지하철 테러 폭탄 공격 (7·7 테러)과 같이 고속철도 시스템은 테러리즘의 표적이 되기도 한다.

지하철은 건널목이나 교통 신호 등의 영향을 받지 않아 정시 운행이 가능하며, 교통사고 위험성도 낮다. 강풍, 비, 눈, 안개 등의 영향을 받지 않아[102] 정시성 확보에 유리하며, 신호 등 안전 설비를 통해 충돌 사고 위험도 낮다.

하지만 저지대를 통과하기 때문에 배수 설비에 결함이 있으면 수해의 위험이 있고, 옴진리교의 지하철 사린 사건과 같은 테러리즘의 위협도 존재한다. 또한, 유럽과 미국에서는 방화 설비가 부족한 오래된 지하철이 많다. 지하철은 지진, 수해, 화재, 인위적인 위험 등에 취약하며, 지하라는 특성상 이러한 피해를 입을 경우 대참사로 이어질 가능성이 매우 높다.

과거에는 지하철이 지진에 강하다고 여겨졌으나, 阪神·淡路 대지진에서 고베 시영 지하철고베 고속 철도가 큰 피해를 입으면서 지형이 크게 변동하는 지진에는 약하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특히 지반이 무른 지역[112]에서는 주의가 필요하며, 저지대에서는 방파제 붕괴로 해수가 유입될 가능성도 있다.

지하철은 지표면보다 낮은 위치에 있어 침수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충분한 방수·배수 설비를 갖추어야 한다. 허리케인 샌디로 인한 뉴욕 지하철 운행 중단,[113] 동해(東海) 호우 침수 등이 그 예시이다. 오래전에 건설된 지하철은 역과 차량의 화재 대책이 충분하지 않은 경우가 있다. 좁은 지하 공간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연기가 빠르게 차올라 피해가 커질 수 있다.

1987년11월 18일 런던 지하철 킹스 크로스 역 화재(킹스 크로스 화재) 이후, 일본에서는 지하철 역사 내 전면 금연이 시행되었다. 2003년2월 18일 한국 대구광역시에서 발생한 대구 지하철 방화 참사는 차량 내장재의 가연성 소재 사용과 배연 설비 부족이 피해를 키운 주요 원인으로 지적되었다.

1995년 3월 도쿄 옴진리교의 사린가스 테러 사건, 2005년 7월 런던 7·7 테러 등은 지하철이 인위적 위험 행위에 취약함을 보여준다. 2001년 9.11 테러 당시 세계무역센터(World Trade Center, WTC) 지하철역이 파괴된 사례도 있다.

사고 예방을 위해 승강장을 좁게 만들기도 하지만, 러시아워행사 시간에는 많은 사람들이 몰려 사고 위험이 높아진다. 제삼궤조 방식 노선에서는 더욱 위험성이 높아지므로, 스크린도어나 가동식 승강장 안전문이 도입되는 추세이다.

5. 용어

"지하철"이라는 용어는 비영어권 국가에서 지하 급행철도 시스템을 지칭하는 데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표현이다.[18] 급행철도 시스템은 번화한 중심업무지구에서 승객들이 이동하는 수단에 따라 이름이 붙여지기도 한다. 터널을 이용하는 경우 "지하철",[19] "지하",[20] 독일어 Untergrundbahn|운터그룬트반de (U-Bahn)[21], 스웨덴어 Tunnelbana|투넬바나sv (T-bana)[22] 와 같은 이름이 붙는다. 고가도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고가철도"("L" 또는 "엘"), "스카이트레인",[23] "고가", "지상철도", 독일어 Hochbahn|호흐반de과 같은 명칭이 사용된다. 이러한 용어는 외곽 교외에서 지상으로 운행되는 구간이 많은 경우에도 전체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일본에서는 "지하철"에 대해 철도사업법, 궤도법, 철도궤도정비법 등 법령상의 정의는 존재하지 않는다.[100] 일본민영철도협회가 편집한 철도용어사전에서는 "도시의 지하 부분에 건설된 터널 안을 주행하는 철도"라고 설명하고 있다.[101]

영어권에서는 도로교통 완화를 목적으로 지하·고가에 건설되어 다른 교통기관과의 평면교차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는 철도 전반을 'rapid transit'(래피드 트랜짓, 일본 도시계획법상 "도시고속철도"와 거의 동일)라고 부르며, 이것이 지하철의 대역어 중 하나로 간주된다.

6. 기타


  • 미국 수도 워싱턴 D.C.에는 미국 의회 의사당과 의원회관을 잇는 의원 및 의회 관계자 전용 지하철인 미국 의회 지하철이 있다.[122]
  • 모스크바에는 정부 요인 수송용 지하철로 일반인이 이용할 수 없는 모스크바 메트로 2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 조지아의 압하지야 자치공화국 구다우타 지역 노비 아폰에는 세계 유일의 관광용 지하철인 노비 아폰 동굴 철도가 있다.[123]

6. 1. 다른 교통기관과의 연계

스트랫퍼드 역의 런던 지하철(왼쪽) 및 그레이터 앵글리아(오른쪽) 환승 플랫폼. 동역에는 도클랜즈 라이트 레일웨이도 운행된다.


다른 대중교통 수단과의 연계를 쉽게 하기 위해, 여러 도시에서는 지하철과 버스, 트램 등 다른 대중교통을 포함하는 공통 요금 제도를 시행하고 있다.[87] 일부 노선에서는 교통기관 간 환승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시간표를 조정하거나, 승강장을 같은 평면에 배치하기도 한다. 하지만 노선 증설로 인해 역이 멀어지거나, 경로 안내가 복잡해져서 같은 회사의 노선이라도 환승이 불편한 경우도 있다.

교외 전철 운영 사업자가 도시 중심부에서 자체 지하 노선을 보유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 경우 지하철과 같은 역할을 하지만 지하철로 인식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공항철도로도 유용하게 사용되며, 세계 주요 도시의 공항에는 지하철이 연결되는 경우가 많다.

6. 2. 군사적 이용

제1차 세계 대전·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런던 지하철방공호 역할을 한 데서, 전쟁이나 자연재해 등의 유사시 대규모 피난처로서의 활용이 종종 고려된다. 휴전 상태인 한국의 경우 서울이나 부산 등에서 지하철과 함께 지하상가나 지하도가 많이 정비되어 있어 군사 도시의 측면을 갖추고 있는 것이 그 예이다. 북한의 수도 평양 지하철은 지하 150m라는 심도에 건설되어 핵전쟁에 대비하고 있다. 이는 소련 시대에 건설된 모스크바레닌그라드 지하철도 마찬가지이다. 불가리아의 수도 소피아 지하철은 역 입구에 방폭문이 설치되어 있다. 군사적으로 병력 및 물자 수송이 가능하기 때문에 각국의 군대에 의해 물자 수송 훈련이 실시되는 경우가 있다.

하지만 완전히 안전한 것은 아니며, 일본에서는 태평양 전쟁 당시 (일본에서 처음 만들어진 지하철이라) 비교적 지표면에 가까운 곳을 지나는 도쿄 메트로 긴자선공습으로 인해 손상을 입었고, 현재도 긴자역에 그 흔적이 일부 남아 있다. 런던 지하철에서도 직격탄으로 큰 피해를 입은 사례가 여러 건 있다. 또한, 국회의사당앞역이나 도쿄 메트로 유라쿠초선처럼 유사시를 고려한 건설이 이루어졌다는 도시전설이 유포되는 경우도 있다(도쿄 지하 비밀 노선설 참조).

최근에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키이우 등의 지하철 시설이 대피소로 이용되고 있다.[106]

6. 3. 건설 공법

개착공법으로 건설 중인 지하철 공사 현장(타오위안 국제공항 MRT 타오위안 국제공항 부지 내)


도쿄 메트로 반자몬선의 긴시초역 부근에서 쉴드 공법으로 건설된 터널


지하철 건설 방법은 다른 지하 구조물 건설과 마찬가지로 여러 종류가 있지만, 그중에서도 특히 주류를 차지하는 공법은 개착공법(오픈컷 공법)과 쉴드공법 두 가지이다.

'''개착공법'''(굴착공법)은 지면의 흙을 파내고 노선을 건설한 후 다시 매립하는 공법이다. 공사비가 저렴하고 공사 기간이 짧은 것이 특징으로, 1980년대까지 전 세계 각지의 지하 구조물 건설 공법으로 주류였다. 하지만 지면을 개착해야 하므로 지면에서 깊은 곳이나 노선 위에 건축물, 하천 등이 있는 경우에는 사용할 수 없다. 일본 교토처럼 지하에 다량의 매장문화재(유적)를 가지고 있는 도시에서는 개착공법으로 공사하기 전에 매장문화재 발굴조사가 필요하며, 그에 따른 비용과 시간이 필요하다. 또한 도로 위를 개착하기 때문에 도로 교통에 장애가 된다는 문제가 있지만, 교통량이 많은 시간대에는 공사를 중단하고 개착한 구멍을 일시적으로 철판으로 덮어 상부를 통행 가능하게 함으로써 어느 정도 완화할 수 있다.

쉴드 공법은 옆으로 파고 들어가면서 터널을 굴착하는 공법이다. 마크 이잠바드 브루넬이 고안했다. 지하철 깊이까지 수직으로 구멍을 뚫은 후, 예정된 노선 공간에 쉴드 굴착기라는 원통형 기계로 파면서 터널을 건설한다. 여러 노선이 지하에서 입체 교차하는 경우나 기존 지하철 노선, 하수도 등의 지하 구조물이 근처에 있거나, 의 지하 공간에 이미 어떤 건축물이 존재하는 경우 유리하며, 지상 교통에 거의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매장 문화재(유적)가 있는 지역에서도 문화재가 있는 지층(일본 고고학 용어로는 「토층」)보다 더 깊은 부분을 굴착함으로써 문화재에 영향을 주지 않을 수 있으며, 개착 공법에서 필요한 매장 문화재 발굴 조사에 드는 비용과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현재는 지하에 많은 구조물이 있으며 지하철 노선 자체도 이전보다 지하 깊숙이 건설되고 있기 때문에, 지하철 노선 건설은 쉴드 공법이 중심이 되고 있다. 그러나 면적이 넓은 역사나 지표면에서 얕은 곳, 특히 지상 교통에 배려할 필요가 없는 노선은 개착 공법이 유리하며, 두 공법 모두 상황에 따라 이용되고 있다.

암반이 특히 단단한 곳에서는 굴착한 부분을 신속하게 콘크리트로 뿜어서 고정하고, 볼트로 고정하는 신오스트리아터널공법(NATM, New Austrian Tunneling Method)이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하천 아래에서는 잠함공법(케이슨 공법)이나 지상에서 만든 터널 유닛을 수중에서 연결하는 침매공법이 사용되는 경우도 있다. 굴착부 근접 또는 바로 위에 기존 건축물의 기초나 말뚝 또는 하수관 등이 있는 경우, 그 침하를 방지하기 위해 이들의 하중을 대신 받는 구조물을 건설한 후 굴착하여 터널이나 역 시설을 설치하는 언더피닝공법도 사용되는데, 이는 모두 제한된 장소에서만 사용하는 공법이다.

6. 4. 운영

대부분의 동남아시아와 타이완에서는 고속철도 시스템을 주로 약어인 'MRT'로 알고 있다. 그 의미는 국가마다 다른데, 인도네시아에서는 'Moda Raya Terpadu'(통합 대중교통 모드)를, 필리핀에서는 'Metro Rail Transit'를 의미한다.[26][27] 두 개의 지하 노선은 '지하철'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태국에서는 'Metropolitan Rapid Transit'(이전 이름은 '대중고속철도')를 의미한다.[28] 동남아시아를 제외하고 가오슝과 타이완 타오위안은 싱가포르말레이시아와 마찬가지로 '대중고속철도'를 의미하는 자체 'MRT' 시스템을 가지고 있다.[29][30][31][32]

일반적으로 급행철도는 "지하철"과 같은 의미로 사용되지만, 때로는 지하철, 통근열차, 고가 경전철을 포함하는 의미로 정의되기도 한다.[33] 대용량 버스 기반 교통 시스템도 지하철 시스템과 유사한 특징을 가질 수 있다.[34]

1863년 런던에서 메트로폴리탄 철도가 개통된 이후 대중교통 시스템에 사용되는 기술은 상당한 변화를 겪었다.[5][6]

더 크고 긴 열차를 사용하는 고용량 모노레일은 급행철도 시스템으로 분류될 수 있다. 이러한 모노레일 시스템은 최근 충칭 (Chongqing Rail Transit)과 상파울루 (São Paulo Metro)에서 운영을 시작했다. 경전철(Light metro)은 "완전 지하철"의 속도와 고가선 분리를 갖추었지만 더 적은 승객 수를 위해 설계된 급행철도의 하위 분류이다. 종종 더 작은 적재 게이지, 더 가벼운 열차 차량, 그리고 일반적으로 2~4량으로 구성된 더 작은 열차 편성을 가지고 있다. 경전철은 일반적으로 주요 급행철도 시스템으로 연결되는 지선(Feeder line (network))으로 사용된다.[68] 예를 들어, 타이베이 지하철의 원호선은 상대적으로 인구 밀도가 낮은 여러 지역을 운행하며 고용량 지하철 노선을 보완한다.

일부 시스템은 처음부터 새로 건설되었고, 다른 시스템은 기존 통근 열차 또는 교외 트램 시스템에서 개량되고 종종 지하 또는 고가 도심 구간이 추가된 것이다.[22] 전용 통행권(Right-of-way (transportation))이 있는 지상 노선은 인구 밀집 지역 외부에서만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왜냐하면 이것이 도시 구조에서 사람과 차량의 흐름을 방해하는 물리적 장벽을 만들고 더 큰 물리적 공간을 차지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건설 방식은 토지 가격이 낮을 경우 가장 저렴하다. 이것은 종종 노선이 건설된 후 건물로 채워질 것으로 계획된 지역의 새로운 시스템에 사용된다.[98]

초기 지하철의 경우, 열차 운영에는 최소 두 명의 직원이 필요했다. 한 명 이상의 차장(또는 "차장" 또는 "감시원")은 문이나 개폐기를 조작하고, 기관사(또는 "기관사" 또는 "운전사")는 열차를 운전했다. 1920년경 동력 문이 도입되면서 승무원 수를 줄일 수 있게 되었고, 현재 많은 도시의 열차는 1인 승무로 운영된다. 운전자가 열차의 전체 측면을 볼 수 없어 문을 안전하게 닫을 수 있는지 확인할 수 없는 경우, 이를 위해 종종 거울이나 폐쇄회로 TV 모니터가 제공된다.

1960년대에는 컴퓨터 기술의 발전으로 자동 열차 제어 및 이후 자동 열차 운전(ATO)을 위한 인간 운전사 대체 시스템이 등장했다. ATO는 열차를 출발시키고, 적절한 속도로 가속하고, 다음 역의 플랫폼에서 자동으로 정확한 위치에 정지시킬 수 있으며, 인간 운전사가 선로 측면 또는 차내 신호에서 얻는 정보를 고려한다. 이 기술을 전면적으로 사용한 최초의 지하철 노선은 1968년에 개통한 런던의 빅토리아선이다.

일반 운전 중에는 승무원이 앞쪽 운전석에 앉아 있지만, 각 역에서 문을 닫는 것만 담당한다. 두 개의 "시작" 버튼을 누르면 열차가 다음 역으로 자동으로 이동한다. "반자동 열차 운전"(STO)으로 알려진 이 방식은 기술적으로 "자동화 등급(GoA) 2"로 알려져 있으며, 특히 샌프란시스코 베이 지역의 BART 네트워크와 같이 새로 건설된 노선에서 널리 보급되었다.

ATO의 변형인 "무인 열차 운전"(DTO) 또는 기술적으로 "GoA 3"는 1987년에 개통한 런던의 도클랜즈 경전철과 같이 일부 시스템에서 볼 수 있다. 여기서 "승객 서비스 요원"(이전에는 "열차장"이라고 함)은 운전사처럼 앞에 앉아 있는 것이 아니라 승객과 함께 탑승하지만, GoA 2 시스템의 운전사와 동일한 책임을 맡는다. 이 기술을 통해 대부분의 엘리베이터처럼 승무원 없이 열차를 완전히 자동으로 운영할 수 있다. 초기에는 증가하는 자동화 비용이 감소하기 시작하면서 운영자에게 재정적으로 매력적인 선택이 되었다.

반대 의견에서는 비상 상황에서 열차에 탑승한 승무원이 비상 상황을 예방할 수 있었을 가능성이 있고, 부분적으로 고장난 열차를 다음 역까지 운전하고, 필요한 경우 대피를 지원하거나, 정확한 긴급 서비스를 요청하고 해당 위치로 안내할 수 있었다고 주장했다. 일부 도시에서는 동일한 이유로 1인 승무가 아닌 2인 승무를 정당화한다. 한 명은 열차 앞에서 운전하고 다른 한 명은 더 뒤쪽에서 문을 조작하여 뒷칸 승객을 더 편리하게 지원할 수 있다. 노조의 반대 때문에 순전히 운전사가 있는 예로 토론토의 스캐버러 경전철 노선이 있다.

완전 무인 열차 또는 "무인 열차 운전"(UTO) 또는 기술적으로 "GoA 4"는 기존 승무원을 대체할 필요가 없는 새로운 시스템, 특히 경전철 노선에서 더 많이 받아들여지고 있다. 최초의 시스템 중 하나는 1983년 프랑스 릴 지하철에서 처음 사용된 VAL(''véhicule automatique léger'' 또는 "자동 경량 차량")이다. 프랑스 툴루즈와 이탈리아 토리노와 같은 다른 도시에도 추가 VAL 노선이 건설되었다. 무인 열차를 사용하는 또 다른 시스템은 봄바디어의 이노비아 메트로로, 원래 도시 교통 개발 공사에서 중간 용량 교통 시스템(ICTS)으로 개발되었다. 나중에 밴쿠버의 스카이트레인과 쿠알라룸푸르의 켈라나 자야선에 사용되었으며, 모두 승무원이 없다.

기존 노선을 완전 자동 운전으로 전환하는 또 다른 장애물은 전환에 운영 중단이 필요할 수 있다는 점이다. 또한 여러 노선이 동일한 인프라를 공유하는 경우 적어도 일시적으로 자동화된 열차와 인간이 운전하는 열차 간에 선로를 공유해야 할 수 있다. 뉘른베르크 지하철은 2010년 초 단 하루의 운영 중단 없이 기존 U2선을 완전 자동화(GoA4)로 전환했다. 그 이전에는 2008년부터 새로 개통된 완전 무인 U3선과 혼합 운영을 했다. 뉘른베르크 지하철은 혼합 운영과 운영 중단 없이 이러한 전환을 수행한 세계 최초의 시스템이다. 이는 기술적 장벽을 극복할 수 있음을 보여주지만, 이 프로젝트는 심각하게 지연되어 2006년 FIFA 월드컵에 맞춰 운영될 것이라는 목표를 놓쳤고, 뉘른베르크에서 사용된 자동화 시스템에 대한 국제 주문은 실현되지 않았다.

자동 열차를 사용하는 시스템은 안전을 개선하고 승객의 신뢰를 보장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전체 높이의 승강장 스크린 도어 또는 반 높이의 자동 승강장 게이트를 사용하지만, 뉘른베르크 네트워크와 같이 보편적인 것은 아니며, 대신 선로에 장애물을 감지하기 위해 적외선 센서를 사용한다. 반대로, 운전사 또는 수동 열차 운전을 유지하는 일부 노선은 여전히 PSD를 사용하는데, 특히 런던의 주빌리선 연장선이 그렇다. 이미 운영 중인 시스템에 PSD를 설치한 최초의 네트워크는 홍콩의 MTR이며, 그 뒤를 싱가포르 MRT가 따랐다.

대형 열차의 경우, 파리 메트로는 대부분의 노선에 인간 운전사가 있지만, 1998년에 개통한 최신 노선인 14호선에서는 자동 열차를 운행한다. 이후 구형 1호선은 2012년까지 무인 운전으로 전환되었고, 4호선은 2023년에 전환되었다. 2003년에 개통한 싱가포르의 북동부 지하철 노선은 세계 최초의 완전 자동화된 지하 도시 중량 철도 노선이다. MTR 디즈니랜드 리조트선도 자동화되어 있으며, 남섬선의 열차도 자동화되어 있다.

2018년 3월 기준으로 212개 도시가 고속철도 시스템을 구축했다.[89] 초기 건설 비용이 높고, 비용 초과 및 편익 부족의 위험이 높아 일반적으로 공공 재정이 필요하다. 고속철도는 많은 고속도로를 갖춘 광범위한 도로 교통 시스템의 대안으로 여겨지기도 한다.[90] 고속철도 시스템은 토지 이용량 감소, 환경 영향 감소 및 비용 절감과 함께 더 높은 수용력을 제공한다.[91][7] 2023년 연구에 따르면 고속철도 시스템은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대폭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92]

도심의 고가 또는 지하 시스템은 값비싼 토지를 차지하지 않고 사람들을 수송할 수 있으며, 도시가 물리적 장벽 없이 콤팩트하게 개발될 수 있도록 한다. 고속도로는 종종 인근 주거 지역의 토지 가격을 떨어뜨리지만, 고속철도역 근처는 상업 및 주거 성장을 촉진하는 경우가 많으며, 대규모 환승 중심 개발 사무실 및 주택 단지가 건설된다.[90][93] 또한 효율적인 대중교통 시스템은 대도시의 인구 밀도 증가로 인한 경제적 후생 손실을 줄일 수 있다.[94]

고속철도 시스템은 높은 고정비를 가지고 있다. 대부분의 시스템은 지방 정부, 교통 당국 또는 국가 정부가 공적으로 소유한다. 자본 투자는 승객 요금이 아닌 세금으로 부분적 또는 전적으로 조달되는 경우가 많지만, 종종 도로 건설 자금과 경쟁해야 한다. 교통 시스템은 소유주 또는 공공 서비스 의무를 통해 민간 회사가 운영할 수 있다. 시스템 소유주는 종종 연결 버스 또는 철도 시스템을 소유하거나 지역 교통 협회의 회원이어서 여러 교통 수단 간의 무료 환승을 허용한다. 거의 모든 대중교통 시스템은 적자로 운영되므로 비용을 충당하기 위해 요금 수입, 광고보조금이 필요하다.

티켓 수입과 운영 비용의 비율인 요금 회수율은 운영 수익성을 평가하는 데 종종 사용되며, 홍콩의 MTR 공사[95] 및 타이베이[96]와 같이 100%를 훨씬 넘는 회수율을 달성하는 시스템도 있다. 여기에는 종종 저리 대출로 조달되고[97] 수익성 계산에서 제외되는 시스템 구축에 발생하는 높은 자본 비용과 대출 이자 상환뿐만 아니라 부동산 포트폴리오 수입과 같은 부수적인 수입도 무시된다.[95] 특히 홍콩의 일부 시스템은 연장선이 해당 지역에 대한 새로운 접근성을 제공함으로써 가치가 상승한 토지 매각을 통해 부분적으로 자금 조달된다.[98] 이 과정을 가치 포착이라고 한다.

도시 토지 이용 계획 정책은 특히 저밀도 지역에서는 대중교통이 실현 가능하지 않기 때문에 고속철도 시스템의 성공에 필수적이다. 교통 계획가들은 고속철도 서비스를 지원하려면 에이커당 12세대의 주택 밀도가 있어야 한다고 추산한다.[99]

지하철은 건설과 유지 관리에 막대한 비용이 드는 교통기관이기 때문에, 많은 수송 수요가 예상되는 도시가 아니면 건설 및 유지를 어렵다. 일본에서 지하철이 있는 도시는 100만 명 이상의 인구를 가진 도시권이다. 또한 건설비의 상환과 유지비 확보를 위해 다른 대중교통과 비교하면 요금이 비싼 경향이 있다. 건설해도 수요가 예상을 크게 밑돌 경우 매우 큰 부담이 될 수도 있다. 따라서 그 정도의 수요가 예상되지 않을 경우에는 지하철보다 건설비와 유지비가 저렴한 모노레일, 신교통시스템, LRT, BRT 등이 선택되는 경우가 많다.

개발도상국의 경우, 유지할 수 있을 만큼의 수요가 예상됨에도 불구하고 경제적으로 건설할 능력이 없을 때, 선진국의 정부개발원조(ODA)나 세계은행의 융자에 의해 건설되는 경우가 있다.

지하철은 정부나 지방정부와 같은 공영 기업과 민간기업의 민영(일본에서는 사철이라고 함)이 있지만, 두 가지가 모두 혼재하는 형태도 존재한다.[111] 겉으로는 민영기업이어도 출자자가 지방자치단체뿐이어서 실질적으로는 공영인 사례가 유럽을 중심으로 많이 있다. 반대로 겉으로는 공영 지하철이지만 운영은 민영기업에 일괄 위탁하는 경우도 있다. 프랑스 리옹과 릴 지하철이 그 예이다. 이들은 외부적으로는 시영 지하철로 안내되지만, 실제로는 시에서 위탁받은 민영회사가 운영하고 있다. 일본에서는 제삼섹터라고 한다.

런던에서는 초기에는 여러 민간 철도회사가 지하철 노선을 건설하여 통일성이나 계획성 없이 각 회사가 운영했다. 그러나 1933년에 모든 노선이 공적인 단체로 통합되었다. 이후 현재는 1개의 민간 기업이 운영하고 있다. 이처럼 운영 단체가 바뀌는 일도 드물지 않으며, 지하철 노선 건설이 매우 고액이기 때문에 공적인 단체가 노선을 건설하고 민간 기업이 운영을 맡는 경우도 있다.

요금은 탑승 시간·거리에 관계없이 정액인 경우가 일반적이지만, 일본을 중심으로 한 아시아 노선에서는 거리(구간)에 따라 요금이 증가하는 시스템을 채택하고 있다. 독일을 중심으로 한 유럽에서는 지하철을 포함한 교통기관에 대해 존제라고 불리는 통일 요금 시스템을 채택하고 있다. 존제에서는 중심부와 그곳에서 동심원상으로 존을 설정한다. 같은 존 안에서는 요금이 동일하지만, 존을 넘어갈수록 요금이 증가한다. 참고로, 유럽을 중심으로 교통사업자 연합체가 결성되어 교통기관의 공통 요금 제도를 채택하고 있는 사례도 많다.

6. 5. 자동 개찰

신용 승차 방식이 아닌 노선에는 대부분 자동개찰기가 도입되어 있다. 이는 많은 인원을 처리하고 유지비를 절감하기 위한 목적이다. 자동개찰기에는 전용 승차권이나 카드를 삽입하여 문을 여는 것과, 화폐를 넣어 턴스타일(turnstile)을 회전시키는 두 가지 종류가 일반적이다(후자는 운임이 일정 금액인 경우에 도입된다).

일본의 지하철에서는 자기 정보가 기록된 승차권을 자동개찰기로 읽어 들여 승하차 기록을 취득하고 운임 부족을 자동으로 판단하는 개찰기가 널리 사용되며, 교통계 IC 카드를 이용한 운임 수납 시스템도 빠르게 보급되고 있다.

6. 6. 열차 운행

대부분의 도시철도 시스템은 기존의 표준궤 철도궤도를 사용한다. 지하철 터널의 선로는 , , 또는 기타 강수의 영향을 받지 않으므로, 일반 철도 선로처럼 자갈 위에 놓이는 것이 아니라 바닥에 직접 고정되는 경우가 많다.

고무 타이어를 사용하는 대체 기술은 좁은 콘크리트 또는 강철 궤도에서 개척되었으며, 파리 메트로와 멕시코시티 메트로의 특정 노선에서 시험 운행되었다. 이를 처음으로 완전히 새로운 시스템에 적용한 곳은 캐나다 몬트리올이다. 이러한 네트워크의 대부분에서는 추가적인 수평 바퀴가 안내에 필요하며, 펑크 및 전환의 경우 기존 선로가 종종 제공된다. 삿포로 시영 지하철과 프랑스 렌의 네오발 시스템과 같이 중앙 가이드 레일을 사용하는 고무 타이어 시스템도 있다. 이 시스템의 지지자들은 이 시스템이 기존의 강철 바퀴 기차보다 훨씬 조용하고, 고무 타이어의 향상된 견인력으로 인해 더 큰 경사도를 허용한다고 지적한다. 그러나 유지 보수 비용이 더 높고 에너지 효율이 낮다. 또한 날씨가 습하거나 빙판일 경우 견인력을 잃어 몬트리올 지하철의 지상 운행을 방해하고 삿포로 시영 지하철에서 제한되지만, 다른 도시의 고무 타이어 시스템에는 그렇지 않다.[75]

가파른 언덕이 있는 일부 도시는 지하철에 산악 철도 기술을 통합한다. 리옹 지하철의 노선 중 하나에는 랙(톱니바퀴) 철도 구간이 포함되어 있으며, 하이파의 카르멜릿은 지하 케이블카이다.

열차는 싱가포르의 북동부 지하철 노선에서 완전 자동화되어 운전자가 없다.


초기 지하철의 경우, 열차 운영에는 최소 두 명의 직원이 필요했다. 한 명 이상의 차장(또는 "차장" 또는 "감시원")은 문이나 개폐기를 조작하고, 기관사(또는 "기관사" 또는 "운전사")는 열차를 운전했다. 1920년경 동력 문이 도입되면서 승무원 수를 줄일 수 있게 되었고, 현재 많은 도시의 열차는 1인 승무로 운영된다. 운전자가 열차의 전체 측면을 볼 수 없어 문을 안전하게 닫을 수 있는지 확인할 수 없는 경우, 이를 위해 종종 거울이나 폐쇄회로 TV 모니터가 제공된다.

thumb, M1선 운전대]]

1960년대에는 컴퓨터 기술의 발전으로 자동 열차 제어 및 이후 자동 열차 운전(ATO)을 위한 인간 운전사 대체 시스템이 등장했다. ATO는 열차를 출발시키고, 적절한 속도로 가속하고, 다음 역의 플랫폼에서 자동으로 정확한 위치에 정지시킬 수 있으며, 인간 운전사가 선로 측면 또는 차내 신호에서 얻는 정보를 고려한다. 이 기술을 전면적으로 사용한 최초의 지하철 노선은 1968년에 개통한 런던의 빅토리아선이다.

일반 운전 중에는 승무원이 앞쪽 운전석에 앉아 있지만, 각 역에서 문을 닫는 것만 담당한다. 두 개의 "시작" 버튼을 누르면 열차가 다음 역으로 자동으로 이동한다. "반자동 열차 운전"(STO)으로 알려진 이 방식은 기술적으로 "자동화 등급(GoA) 2"로 알려져 있으며, 특히 샌프란시스코 베이 지역의 BART 네트워크와 같이 새로 건설된 노선에서 널리 보급되었다.

ATO의 변형인 "무인 열차 운전"(DTO) 또는 기술적으로 "GoA 3"는 1987년에 개통한 런던의 도클랜즈 경전철과 같이 일부 시스템에서 볼 수 있다. 여기서 "승객 서비스 요원"(이전에는 "열차장"이라고 함)은 운전사처럼 앞에 앉아 있는 것이 아니라 승객과 함께 탑승하지만, GoA 2 시스템의 운전사와 동일한 책임을 맡는다. 이 기술을 통해 대부분의 엘리베이터처럼 승무원 없이 열차를 완전히 자동으로 운영할 수 있다. 초기에는 증가하는 자동화 비용이 감소하기 시작하면서 운영자에게 재정적으로 매력적인 선택이 되었다.

일부 도시에서는 비상 상황 발생시 승무원이 상황을 예방, 대처하고, 부분적으로 고장난 열차를 다음 역까지 운전하며, 필요한 경우 대피를 지원하거나, 정확한 긴급 서비스를 요청하고 해당 위치로 안내할 수 있다는 이유로 1인 승무가 아닌 2인 승무를 정당화한다. 한 명은 열차 앞에서 운전하고 다른 한 명은 더 뒤쪽에서 문을 조작하여 뒷칸 승객을 더 편리하게 지원할 수 있다. 노조의 반대 때문에 순전히 운전사가 있는 예로 토론토의 스캐버러 경전철 노선이 있다.

완전 무인 열차 또는 "무인 열차 운전"(UTO) 또는 기술적으로 "GoA 4"는 기존 승무원을 대체할 필요가 없는 새로운 시스템, 특히 경전철 노선에서 더 많이 받아들여지고 있다. 최초의 시스템 중 하나는 1983년 프랑스 릴 지하철에서 처음 사용된 VAL(자동 경량 차량)이다. 프랑스 툴루즈와 이탈리아 토리노와 같은 다른 도시에도 추가 VAL 노선이 건설되었다. 무인 열차를 사용하는 또 다른 시스템은 봄바디어의 이노비아 메트로로, 원래 도시 교통 개발 공사에서 중간 용량 교통 시스템(ICTS)으로 개발되었다. 나중에 밴쿠버의 스카이트레인과 쿠알라룸푸르의 켈라나 자야선에 사용되었으며, 모두 승무원이 없다.

기존 노선을 완전 자동 운전으로 전환하는 또 다른 장애물은 전환에 운영 중단이 필요할 수 있다는 점이다. 또한 여러 노선이 동일한 인프라를 공유하는 경우 적어도 일시적으로 자동화된 열차와 인간이 운전하는 열차 간에 선로를 공유해야 할 수 있다. 뉘른베르크 지하철은 2010년 초 단 하루의 운영 중단 없이 기존 U2선을 완전 자동화(GoA4)로 전환했다. 그 이전에는 2008년부터 새로 개통된 완전 무인 U3선과 혼합 운영을 했다. 뉘른베르크 지하철은 혼합 운영과 운영 중단 없이 이러한 전환을 수행한 세계 최초의 시스템이다. 이는 기술적 장벽을 극복할 수 있음을 보여주지만, 이 프로젝트는 심각하게 지연되어 2006년 FIFA 월드컵에 맞춰 운영될 것이라는 목표를 놓쳤고, 뉘른베르크에서 사용된 자동화 시스템에 대한 국제 주문은 실현되지 않았다.

시드니 메트로의 캐슬힐 역의 승강장 스크린 도어


자동 열차를 사용하는 시스템은 안전을 개선하고 승객의 신뢰를 보장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전체 높이의 승강장 스크린 도어 또는 반 높이의 자동 승강장 게이트를 사용하지만, 뉘른베르크 네트워크와 같이 보편적인 것은 아니며, 대신 선로에 장애물을 감지하기 위해 적외선 센서를 사용한다. 반대로, 운전사 또는 수동 열차 운전을 유지하는 일부 노선은 여전히 PSD를 사용하는데, 특히 런던의 주빌리선 연장선이 그렇다. 이미 운영 중인 시스템에 PSD를 설치한 최초의 네트워크는 홍콩의 MTR이며, 그 뒤를 싱가포르 MRT가 따랐다.

대형 열차의 경우, 파리 메트로는 대부분의 노선에 인간 운전사가 있지만, 1998년에 개통한 최신 노선인 14호선에서는 자동 열차를 운행한다. 이후 구형 1호선은 2012년까지 무인 운전으로 전환되었고, 4호선은 2023년에 전환되었다. 2003년에 개통한 싱가포르의 북동부 지하철 노선은 세계 최초의 완전 자동화된 지하 도시 중량 철도 노선이다. MTR 디즈니랜드 리조트선도 자동화되어 있으며, 남섬선의 열차도 자동화되어 있다.

지하철은 대도시에서 대량 수송을 최우선 목표로 하기 때문에, "기다리지 않고 탈 수 있는" 것이 요구된다. 따라서 많은 지하철망에서는 낮 시간대 열차 운행 간격이 5~10분 정도로 설정되어 있다. 특히 모스크바 등에서는 혼잡 시간대에는 1분 정도로 설정되어 있다.

열차는 각 역에 정차하는 것이 대부분이지만, 도쿄 등에서는 낮 시간대에 일부 역을 통과하는 완급 운전을 실시하는 노선이 있으며, 그 예로 서울 지하철 2호선(단, 지상 구간에 한함), 서울 지하철 3호선, 서울 지하철 5호선, 서울 지하철 6호선 등이 있다. 뉴욕에서는 상하행선에 각역 정차 열차용 선로와 급행 열차용 선로가 있는 복복선 구간이나, 상하행선 복선 선로에 오전과 오후로 진행 방향이 반대가 되는 단선 선로를 더한 복단선 구간이 많이 존재하기 때문에, 대부분의 노선에서 각역 정차와 급행의 2종류 열차를 운행하고 있다.

세계의 대다수 지하철망에서는 보수 점검을 위해 심야부터 새벽까지의 시간대에는 운전을 하지 않는다. 뉴욕 지하철 등은 드문 예외로, 복복선이나 복단선 구간에서는 심야나 주말에 1선로에 보수 점검을 실시하면서 나머지 선로로 영업 운행을 할 수 있기 때문에, 24시간 종일 운행을 하고 있다.

일본과 한국의 지하철에서는 영업 주체가 다른 교외의 통근 철도선과 지하철망의 궤간을 통일함으로써, 많은 통근 열차를 교외에서 도심으로 직통 운전시키고 있는 것이 특징적이다.

7. 세계의 주요 지하철



길이와 역 개수로 세계 최대 규모의 도시 철도 시스템은 수도권 전철이다. 인구 밀도가 크며 이용자 수가 압도적으로 많은 지하철 시스템은 도쿄 지하철, 파리 지하철, 뉴욕 지하철, 베이징 지하철, 상하이 지하철, 런던 지하철이다. 인구 밀도가 적은 중소 도시 지역은 부산 도시철도, 대구 도시철도, 오사카 메트로, 나고야 시영 지하철, 큐슈 여객철도(JR큐슈)의 지쿠히 선과 상호 직결 운행하는 후쿠오카 시 지하철이다.

유럽에서는 런던에서 개통된 이후, 20세기 중반까지 주요 대도시 대부분에 지하철 노선이 건설되었다.

; 영국

: 세계에서 처음으로 개통한 지하철인 메트로폴리탄선1860년에 공사를 시작하여 3년 후인 1863년에 개통하였다.

: 글래스고 등 다른 도시에도 지하철이 있지만, 대부분 런던과 마찬가지로 좁은 터널 단면에 맞춘 소형 차량을 사용하고 있다.

; 독일

: U반(U-Bahn)이라고 불리는 것이 일반적으로 지하철로 인식되고 있다(독일어권인 오스트리아도 마찬가지). 현재 베를린, 함부르크, 뮌헨, 뉘른베르크에 있다.

: 수도 베를린에 지하철 건설은 1902년에 베를린 지하철이 개통하면서 시작되었다. 그 후, 1912년에 함부르크에서 개통하였다.

: '''슈타트반'''

: 프랑크푸르트암마인, 쾰른, 슈투트가르트, 뒤셀도르프, 에센 등에는 슈타트반(Stadtbahn)의 지하선이 존재한다.

; 프랑스

: 메트로라고 불리며, 파리, 리옹, 마르세유, 툴루즈, 릴, , 루앙의 7개 도시에 존재한다.

: '''파리'''

: 수도인 파리는 14개의 지하철 노선을 가지고 있으며, 프랑스에서는 압도적이다. 파리의 노선에서는 1호선부터 14호선까지 있는 노선 중 1, 4, 6, 11, 14호선의 5개 노선이 금속 차륜과 고무 타이어를 병용한 궤도식 철도이며, 14호선에서는 무인 운전에 더하여 안전 대책으로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 파리에는 메트로 외에도 RER(수도권 고속 철도)라고 불리는 지하선으로 도심에 직통하는 철도망이 존재한다.

; 러시아

: -- 1935년모스크바에 개통한 것이 처음이다.

: 상트페테르부르크트빌리시, 바쿠, 타슈켄트 등 다른 러시아와 구소련 도시에도 지하철이 있다.

; 벨기에

: 수도 브뤼셀에 지하철 노선이 있다.

; 네덜란드

: 수도 암스테르담로테르담에 지하철 네트워크가 존재한다.

; 스페인

: 마드리드, 바르셀로나, 빌바오, 발렌시아, 세비야에 지하철이 있다.

; 포르투갈

: 리스본포르투에 지하철이 있다.

; 헝가리

: 수도 부다페스트의 지하철은 런던, 이스탄불에 이어 세계에서 3번째로 개통되었으며, 세계 최초의 전기 운전 지하철이기도 하다.

; 터키(유럽 측)

: 이스탄불튀넬(1875년 개통)과 이스탄불 지하철(2000년 개통)이 있다.

; 미국

: -- 1870년에 압축 공기를 이용한 에어 튜브 방식의 지하 교통 기관이 영업을 시작하였다.

: 현재의 철도 방식을 이용한 최초의 지하철은 1904년뉴욕 지하철이 개업한 이후[117], 뉴욕에서는 맨해튼을 중심으로 노선을 형성하여 총 연장은 1,000km를 넘는다.

: 특히 샌프란시스코의 BART는 미국에서 가장 뛰어난 교통 시스템이다. 수도 워싱턴 D.C.의 워싱턴 메트로는 미국에서 가장 현대화된 지하철망을 형성하고 있다.

; 캐나다

: 토론토 지하철은 1954년에 개업했다. 몬트리올 지하철은 1967년 세계 박람회에 맞춰 개업했다. 1985년에는 밴쿠버 스카이트레인이 1986년 국제 교통 박람회에 맞춰 개업했다.

; 멕시코

: 수도 멕시코시티에 있는 지하철1969년에 개통했다.

; 도미니카 공화국

: 수도 산토도밍고에서는 2009년 1월 30일에 지하철이 개업했다.

; 브라질

: 2018년 현재, 상파울루 등 주요 7개 도시에서 지하철이 운행되고 있다.

; 아르헨티나

: 수도 부에노스아이레스의 지하철은 현재 6개 노선이 있다.

; 일본

: 1927년 12월 30일 도쿄 지하철에 의해 현재의 긴자선아사쿠사역우에노역 구간이 개통된 것이 최초이다.

: 오사카시에서는 최초의 공영 지하철로 오사카 시영 지하철 미도스지선의 우메다역과 신사이바시역 구간이 개통되었다.

; 중국 대륙

: 1969년베이징에서 지하철이 개업했다.

: 상하이에서는 1990년대 이후 잇따른 오피스 빌딩 건설에 따라 지하철 노선망 확충이 시급해졌다.

: 2010년대 이후 급속한 신선 개통으로, 톈진, 광저우, 창춘, 다롄, 우한, 선전, 충칭, 난징, 선양, 청두, 포산, 시안, 소주, 쿤밍, 항저우, 하얼빈, 정저우, 창사, 닝보, 우시, 칭다오, 난창, 푸저우, 둥관, 난닝, 허페이, 스자좡, 귀양, 샤먼, 우루무치, 후허하오터, 원저우, 지난, 란저우, 타이위안, 뤄양 등 주요 도시에서 개통되어 세계 최고 수준의 지하철 강국이 되고 있다.

; 홍콩

: -- 홍콩에서는 1970년대 영국 통치 시대부터 MTR이 운영되어 1979년 구룡 지역 개통을 시작으로 현재도 교외 노선을 중심으로 신선이 지속적으로 건설되고 있다.

; 대만

: “첩운”(영어 명칭은 '''MRT'''(Mass Rapid Transit))이라고 불리는 도시 고속철도망이 존재한다. '''타이베이 첩운'''(TRTC, Metro Taipei)과 '''타오위안 첩운'''(Taoyuan Metro), 가오슝 지역을 중심으로 운행하는 '''가오슝 첩운'''(KRTC, Kaohsiung Rapid Transit Corp), 타이중 지역을 중심으로 운행하는 '''타이중 첩운'''(TMRT, Taichung Mass Rapid Transit)이 개업하고 있다.

; 한국

: 서울에서 1974년에 최초의 지하철 노선이 개업한 이후 약 30년 사이에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등 지방 도시에서도 개업했다.

; 북한

: 1973년 개통된 천리마선, 1978년 개통된 혁신선의 두 노선이 있다.

; 싱가포르

:

: 1987년부터 MRT 싱가포르 SMRT에 의해 운영되고 있다.

; 말레이시아

: 수도 쿠알라룸푸르에서 1996년에 개업한 래피드 KL(MRT)는 중심부는 지하 구간이다.

; 태국

: 2004년에 수도 방콕에서 최초의 지하철 방콕 메트로(블루 라인)가 개통되었다.

; 인도

: 1984년에 콜카타에서 인도 최초의 지하철이 개업했다. 그 후 2002년에는 델리에서도 델리 메트로가 건설되었다.

: 2010년대 이후 주요 도시에서도 정비가 급속히 진행되어, 2022년 4월 현재 아마다바드, 벵갈루루, 첸나이, 구르가온, 하이데라바드, 자이푸르, 칸푸르, 코치, 루크나우, 뭄바이, 나그푸르, 노이다, 푸네에 지하철이 개업하고 있다.

; 인도네시아

: 2019년 3월에 자카르타에서 지하철이 개업했다.

; 이란

: 1999년에 테헤란에서 운행이 시작된 테헤란 메트로는 7개 노선을 가진 철도망이다.

; 베트남

: 2021년 11월에 하노이 메트로, 2024년 12월에 호찌민 메트로가 개업했다.

; 오세아니아

: 2019년 5월, 시드니오세아니아 최초의 지하철이 개통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urbanrail.net > metro - subway - light rail http://www.urbanrail[...]
[2] 웹사이트 Mass transit - Urban Mobility, Efficiency, Environment https://www.britanni[...] 2024-09-04
[3] 웹사이트 Fact Book Glossary https://www.apta.com[...]
[4] 웹사이트 Rapid transit http://www.merriam-w[...] Merriam-Webster 2013-07-31
[5] 웹사이트 Recommended basic reference for developing a minimum set of standards for voluntary use in the field of urban rail, according to mandate M/486 http://ftp.uitfp.org[...] 2014-02-16
[6] 웹사이트 Glossary of Transit Terminology http://www.apta.com/[...] American Public Transportation Association 2013-07-31
[7] 논문 Mass rapid transit systems for cities in the developing world https://www.tandfonl[...] Taylor & Francis Online 2023-04-02
[8] 웹사이트 Rapid Transit http://www.britannic[...] Encyclopædia Britannica 2014-11-28
[9] 웹사이트 Chicago http://www.urbanrail[...] 2015-04-24
[10] 서적 London Underground: History http://www.tfl.gov.u[...] Capital Transport 2013-01-02
[11] 웹사이트 Luoyang and Ji'nan open metro lines https://www.railjour[...] 2021-03-29
[12] 뉴스 China's Metro Boom Continues to Drive Rapid Transit Growth – Institute for Transportation and Development Policy https://www.itdp.org[...] 2018-07-30
[13] 웹사이트 Metro Data http://metro-data.in[...]
[14] 뉴스 Rapid Transit Trends Show Record Growth in 2016, with Huge Increases in China, Brazil – Institute for Transportation and Development Policy https://www.itdp.org[...] 2017-02-17
[15] 간행물 Shanghai now the world's longest metro http://www.railwayga[...] 2010-05-04
[16] 뉴스 New Starts: Shanghai Metro World's Longest, Panama Canal Drama, Japan's Maglev http://nextcity.org/[...] 2014-01-06
[17] 웹사이트 Facts – Subway and Bus Ridership http://web.mta.info/[...] Metropolitan Transportation Authority (MTA)
[18] 서적 Fjellstrom&Wright
[19] 서적 The American Heritage Dictionary of the English Language Houghton Mifflin Company
[20] 웹사이트 Definition of "Underground" http://www.chambersh[...] Chambers Reference Online
[21] 서적 White
[22] 서적 Ovenden
[23] 서적 Ovenden
[24] 뉴스 DC Metro System Fast Facts http://edition.cnn.c[...] CNN 2013-11-03
[25] 웹사이트 Transportation Basics: How to Use BART https://www.sftravel[...]
[26] 뉴스 Tarif Belum Diketok, Warga Masih Bisa Nikmati MRT Cuma-cuma Sampai Akhir Maret https://m.merdeka.co[...]
[27] 웹사이트 About Us – MRT3 Stations http://dotcmrt3.gov.[...] Metro Rail Transit
[28] 웹사이트 BEM Investor presentation https://bem.listedco[...]
[29] 웹사이트 桃園都會區大眾捷運系統 http://www2.dorts.go[...] Department of Rapid Transit Systems 2008-07-01
[30] 웹사이트 KMRT History – Kaohsiung City Mass Rapid Transit Bureau official site (Traditional Chinese) http://www.kcg.gov.t[...]
[31] 서적 Southeast Asian Affairs. http://eservice.nlb.[...] Singapore: Institute of Southeast Asian Studies 1981
[32] 웹사이트 MRT line a game-changer New Straits Times https://www.nst.com.[...] 2017-07-16
[33] 서적 City Traffic: A Systems Digest https://books.google[...] Van Nostrand Reinhold 1977
[34] 웹사이트 What is BRT? https://itdp.org/lib[...] Institute for Transportation & Development Policy
[35] 서적 Ovenden
[36] 서적 The London Underground Shire Publications Ltd
[37] 웹사이트 Site Name: Liverpool Overhead Railway & Dingle Station http://www.subbrit.o[...] Subterranea Britannica 2004-11-22
[38] 백과사전 Subway http://www.britannic[...]
[39] 웹사이트 Light Rail – the Solution to Inner-City Chaos? http://www.railway-t[...] Railway Technology 2008-05-22
[40] 웹사이트 Australia's first metro system opened in Sydney https://www.urban-tr[...] 2019-05-29
[41] 뉴스 Rapid Transit Trends Show Record Growth in 2016, with Huge Increases in China, Brazil – Institute for Transportation and Development Policy https://www.itdp.org[...] 2017-02-17
[42] 뉴스 In response to growth, Chinese cities choose metros https://www.thetrans[...] 2018-01-17
[43] 웹사이트 Effetto M4: la metro di Milano entra nella top europea https://www.milanoci[...] 2024-10-11
[44] 서적
[45] 웹사이트 Helsinki Metro – Discover Helsinki https://discoverhels[...] 2019-03-19
[46] 웹사이트 Today in Transportation History – 1982: The Northernmost Public Transportation System https://transportati[...] 2017-08-02
[47] 웹사이트 8 charming pictures from Helsinki's metro https://www.myhelsin[...]
[48] 서적
[49] 서적
[50] 서적
[51] 서적
[52] 서적
[53] 웹사이트 MTR > A Service of World-class Quality https://www.mtr.com.[...]
[54] 서적 Land-use/Transport Planning in Hong Kong: A Review of Principles and Practices Routledge
[55] 서적 Public Transport: Its Planning, Management, and Operation Spon Press
[56] 서적 Human transit : how clearer thinking about public transit can enrich our communities and our lives Island Press 2012
[57] 학술지 A long-time limit for world subway networks 2012-05-16
[58] 서적
[59] 서적
[60] 서적
[61] 웹사이트 A Comparison of Risk: Accidental Deaths – United States – 1999–2003 http://hazmat.dot.go[...] US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62] 웹사이트 Office of Rail Regulation http://www.rail-reg.[...] UK Health & Safety Executive
[63] 웹사이트 Why we need to talk about sexual assault on public transport http://metro.co.uk/2[...] 2017-04-30
[64] 웹사이트 Sexual Harassment on the New York Subway Has Increased More Than 50% This Year http://fortune.com/2[...]
[65] 서적
[66] 뉴스 El auto de procesamiento por el 11-M http://www.elmundo.e[...]
[67] 웹사이트 Supercharging Singapore https://graphics.str[...] 2015-10-10
[68] 서적
[69] 서적
[70] 웹사이트 Toulouse Metro, France http://www.railway-t[...]
[71] 논문 Review on rail corrugation studies
[72] 간행물 Hudson and Manhattan Railroad https://web.archive.[...] Electric Railroaders Assn., N.Y., N.Y. 1959-08-00
[73] 웹사이트 昔の地下鉄は暑かった?車両「冷房化」の意外な歴史 https://mainichi.jp/[...] 2022-07-07
[74] 웹사이트 Métro et autobus: chaud débat sur la climatisation http://ruefrontenac.[...] Ruefrontenac.com 2011-03-10
[75] 서적 The Montreal Métro, a source of pride https://web.archive.[...] Société de transport de Montréal
[76] 웹사이트 Docklands Light Railway – About DLR http://www.tfl.gov.u[...] 2006-12-04
[77] 웹사이트 Bangkok Mass Transit System Company Limited – BTS SkyTrain http://www.bts.co.th[...] 2006-12-04
[78] 웹사이트 Skyline Rail Operations https://www.honolulu[...] City and County of Honolulu 2024-01-17
[79] 서적
[80] 서적
[81] 서적
[82] 논문 Dual-Mode Traction Power Distribution for Light Rail Transit: A Design Option
[83] 웹사이트 Metro Arts and Architecture http://mic-ro.com/me[...] Metro Bits 2006-12-04
[84] 웹사이트 Art on the Underground https://art.tfl.gov.[...]
[85] 웹사이트 Konståkning i världens längsta konstutställning https://web.archive.[...] 2008-08-20
[86] 웹사이트 10 Ways to Enhance Your Community: Unleash the Power of Public Transportation http://www.apta.com/[...] 2006-12-04
[87] 서적
[88] 서적
[89] 웹사이트 World Metro Database http://mic-ro.com/me[...] Metro Bits 2013-11-17
[90] 서적
[91] 서적
[92] 논문 Subways and CO₂ emissions: A global analysis with satellite data https://www.scienced[...] 2023
[93] 서적
[94] 논문 Public transport congestion costs: The case of the Paris subway
[95] 웹사이트 Announcement of Unaudited Results for the Six Months Ended 30 June 2008 http://www.mtr.com.h[...] 2008-08-21
[96] 웹사이트 Taipei Rapid Transit Corporation '08 Annual Report http://english.trtc.[...] Taipei Rapid Transit Corporation 2010-07-06
[97] 웹사이트 :: Center for Urban Studies and Research https://web.archive.[...] 2010-11-11
[98] 서적
[99] 웹사이트 Ten Principles for Reinventing America's Suburban Business Districts https://americas.uli[...] Urban Land Institute 2021-07-26
[100] 웹사이트 地下鉄の定義は「何となく」? 関西大「広島に地下鉄ない」出題ミス、真の問題点は https://j-town.net/2[...] 2021-10-30
[101] 웹사이트 地下鉄 https://www.mintetsu[...] 日本民営鉄道協会 2021-10-30
[102] 텍스트
[103] 텍스트
[104] 텍스트
[105] 텍스트
[106] 웹사이트 「頭の上にミサイル飛んでくるから」ウクライナ地下鉄で避難生活 親子の“受け入れ難い現実”(日テレNEWS) https://news.yahoo.c[...] 2022-12-19
[107] 웹사이트 ロンドン地下鉄開業150年、蒸気機関車が復活 https://www.afpbb.co[...] AFPBB News 2013-01-14
[108] 일반
[109] 일반
[110] 웹사이트 札幌の地下鉄はなぜタイヤなの?どんなタイヤなの?疑問を徹底解明! https://pucchi.net/h[...] 北海道ファンマガジン 2017-07-22
[111] 일반
[112] 일반
[113] 뉴스 米ハリケーン死者33人 証取停止 NY、都市機能まひ http://www.tokyo-np.[...] 東京新聞 2012-10-31
[114] 웹사이트 Helsinki Metro – Discover Helsinki https://discoverhels[...]
[115] 웹사이트 Today in Transportation History – 1982: The Northernmost Public Transportation System https://transportati[...]
[116] 일반
[117] 뉴스 【20世紀のきょう】米ニューヨークで地下鉄開業(1904・10・27) http://sankei.jp.msn[...] 2007-10-27
[118] 일반
[119] 일반
[120] 뉴스 日本製車両がタイに到着、バンコク都市鉄道向け http://www.newsclip.[...] 2015-09-22
[121] 웹사이트 アルジェでアフリカ2番目の地下鉄が開通 (アルジェリア) - JETRO 通商弘報 http://www.jetro.go.[...]
[122] 웹사이트 http://www.clouse.or[...] 2017-08
[123] 웹사이트 http://metro-novyafo[...]
[124] 뉴스 부산 지하철 명칭 '도시철도'로 변경 http://www.ytn.co.kr[...] 2009-06-22
[125] 웹인용 A Comparison of Risk: Accidental Deaths - United States - 1999-2003 https://web.archive.[...] U.S.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2007-09-10
[126] 웹인용 Office of Rail Regulation http://www.rail-reg.[...] UK. Health & Safety Executive 2007-09-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