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리아스식 해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리아스식 해안은 해안선이 침강하여 형성된 불규칙하고 굴곡진 해안 지형으로, 수지상 하천계 패턴을 따른다. 좁고 깊은 만과 섬이 많아 수산 양식과 관광에 유리하지만, 해안 교통이 불편하고 쓰나미에 취약하다는 단점이 있다. 스페인 갈리시아, 한국의 서해안과 남해안, 미국 체서피크 만 등이 대표적인 예시이며, '리아'라는 용어는 갈리시아어에서 유래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해안지형 - 해변
    해변은 파도와 해류가 퇴적시킨 부유물, 연안 암석 침식물, 산호초 잔해 등으로 형성된 지형으로, 계절과 파도에 따라 모양이 변하며 다양한 색을 띠고 독특한 생태계를 유지하며 인간 활동에 의한 침식과 오염 문제가 논의된다.
  • 해안지형 - 염습지
  • 지리에 관한 - 측지학
    측지학은 지구의 형상, 크기, 중력장 및 시간적 변화를 측정하고 연구하는 지구과학의 한 분야로, 고대 그리스어에서 유래되었으며 현대에는 GPS 등의 기술을 활용하여 지구 역학적 현상 연구에 기여한다.
  • 지리에 관한 - 지리학
    지리학은 지구와 천체의 특징, 현상, 그리고 공간적 요소를 체계적으로 연구하는 학문으로, 고대부터 현재까지 이어진다.
리아스식 해안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유형해안선
형성 원인지반 침강
해수면 상승
특징복잡한 해안선
좁고 긴 만입
섬과 반도
깊은 수심
주요 위치스페인 갈리시아 지방
일본 산리쿠 해안
대한민국 남해안
지리적 특징
지형계곡이 침수되어 형성된 해안
수면이 복잡하고 굴곡이 심함
좁고 긴 만입(灣入)이 많음
수심깊은 수심
해안선굴곡이 심한 복잡한 해안선
퇴적 작용해수면 상승으로 인해 강물의 퇴적 작용이 감소함
해안 생태계다양한 생물 서식지 제공
형성 과정
1단계강에 의한 침식 작용으로 깊은 계곡 형성
2단계지반 침강 또는 해수면 상승
3단계계곡이 바닷물에 잠겨 리아스식 해안 형성
어원
유래스페인어 'ría'에서 유래
강 하구라는 뜻
지역별 분포
스페인갈리시아 지방
일본산리쿠 해안
시마반토
한국남해안
기타유럽 서부 해안
북아메리카 서부 해안
오스트레일리아 남부 해안
활용
기능좋은 항구 조건 제공
어업 발달에 기여
관광 자원으로 활용
단점복잡한 해안선으로 인한 항해 어려움
방파제 건설 어려움
추가 정보
관련 용어피오르 (빙하 침식으로 형성된 해안)
한국어 명칭리아스식 해안
일본어 명칭リアス式海岸 (리아스시키카이간)

2. 정의

리아스식 해안은 수지상 형태, 즉 나무 가지 모양을 띠지만, 곧게 뻗어 가지가 없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패턴은 침수된 하곡의 수지상 하천계 패턴에서 유래한다. 하곡이 해안선을 따라 침수되어 리아가 형성되면서 매우 불규칙하고 굴곡진 해안선이 나타난다.[2][3][4]

3. 형성 과정

리아스식 해안은 골짜기가 침강하여 생긴 이다.[2][3][4] 하천에 의해 침식되어 생긴 개석곡이 해안선에 수직 방향으로 뻗어 침수되어 만들어지며, 이것이 연속되어 톱니의 이빨처럼 들쭉날쭉하게 이어진 지형을 리아스식 해안이라고 한다. 해안선에 평행한 개석곡이 침수된 경우는 달마티아식 해안이라고 불린다.

침수 원인은 초기에는 골짜기 주변의 침강으로 생각되었으나, 기후변동 연구가 진행되면서 최종 빙기가 끝난 것에 의한 세계적인 해수면 상승이 주된 원인으로 밝혀졌다.

리아는 보통 수지상으로, 나무 가지와 같은 윤곽을 가지지만, 곧게 뻗어 가지가 없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패턴은 침수된 하곡의 수지상 하천계 패턴에서 유래한다. 해안선을 따라 하곡이 침수되고 리아가 형성됨에 따라 매우 불규칙하고 굴곡진 해안선이 생긴다. 부분적으로 침수된 기존의 언덕 봉우리의 정상이 자연적으로 형성된 섬이 되는 경우도 많다.

하곡의 침수를 야기한 해수면 변화는 해수면 변동(전 세계 해수면 상승) 또는 지각평형(지역적 육지 침강) 때문일 수 있다. 그 결과, 비교적 작은 하천의 하구에 매우 큰 하구가 형성되는 경우가 많다.

4. 장점

해안선의 굴곡이 심하고 들이 많으며, 습지대륙붕이 발달되어 있어 파도가 비교적 잔잔하여 각종 수산양식에 유리하다. 이러한 이유로 한국의 서해안과 남해안은 과거부터 각종 수산양식업이 발달하였다. 경관이 수려하여 관광산업이 발달하기 용이하다. 남해안의 한려해상공원다도해공원, 서해안의 태안공원은 이러한 리아스식 해안의 경관을 대상으로 지정된 곳이다. 특히, 7월 하순 쯤에 개최되는 보령머드축제가 유명하다.

5. 단점

해안선이 복잡하여 해안 지역의 육상 교통(도로, 철도) 여건이 좋지 않다.[9] 이 때문에 과거 이 지역은 다른 지역에 비해 낙후되어 있는 경우가 많았다.[9] 그러나 근래에 들어 교량 설치와 도로, 철도 개선으로 육상 교통을 발달시키고 있기도 하다.[9]

또한 수심이 얕고, 으로 형성된 지역에서는 갑작스러운 수위 증가로 인한 위험도 존재한다.[9] 리아스식 해안은 깔때기 모양이어서 쓰나미의 영향을 증폭시킬 수 있는데, 2011년 도호쿠 지방 태평양 해역 지진에서 볼 수 있듯이 산리쿠 해안의 지진 활동에서 이를 확인할 수 있다.[9] 따라서, 쓰나미를 막기 위한 높은 방조제를 설치하는 등의 대책이 마련되어 있다.[10] 또한, 만 안에서는 한 번 밀려온 쓰나미가 반사파가 되어 양쪽 해안을 반복해서 덮치고, 쓰나미의 지속 시간이 긴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10] 평지가 협소하고 바다에 붙어 있기 때문에, 교통망이 단절될 가능성이 높고, 쓰나미가 지난 후의 구조 및 지원 활동에도 장애가 있다.[10]

6. 리아스식 해안의 예

리아스식 해안은 하천에 의해 침식된 골짜기가 해수면 상승으로 인해 침수되어 형성된 복잡한 해안 지형이다. 한국의 서해안과 남해안, 스페인의 갈리시아 해안, 미국의 체서피크 만 등이 대표적인 리아스식 해안이다.


  • 아일랜드 남서부 해안의 반트리 만
  • 웨일스 펨브룩셔의 밀퍼드 헤이븐 수로
  • 잉글랜드 남해안: 사우스햄프턴 워터, 풀 항, 와이트 섬의 메디나 강 하구, 엑스, 테인, 다트 하구, 킹스브리지 강어귀, 데번의 플리머스 사운드, 포위 강, 폴 강, 헬퍼드 강 하구(콘월) 등. 북쪽 해안에는 캐멀 강과 타우 강이 있음. 에식스에는 블랙워터 강과 크라우치 강이 있음.
  • 이탈리아 캄파니아의 아말피 해안에 있는 푸로레 피오르도
  • 몰타 그랜드 하버와 마르사멕세트하버
  • 크로아티아: 포르토 키에토, 림, 라샤, 노브스코 즈드릴로, 카린스코 즈드릴로, 즈르만야, 크르카, 모린예, 플로체, 스톤, 슬라노, 자톤.
  • 케냐 킬린디 항
  • 브르타뉴 북부: "아베르(Aber)"라고 불림. 아베르 랑크 , 아베르 베누아 , 아베르 일두 등. 브레스트 닻지 또한 여러 리아를 포함.

6. 1. 대한민국

한국서해안남해안은 대표적인 리아스식 해안이다.[1]

6. 2. 세계



갈리시아의 위성 사진


스페인 칸타브리아의 산비센테데라바르케라 리아


크로아티아 두브로브니크의 두브로브니크 만 리아


몬테네그로 코토르의 코토르 만 리아


호르무즈 해협의 무산담 반도


포르투갈에는 리아가 없지만, 아베이루(Ria de Aveiro)(Aveiro Lagoon)는 아베이루에, 리아 포르모사는 동부 알가르베에 위치하지만, 실제로는 석호이다.[6]

스페인 대서양 연안의 리아는 다음과 같다.

지역세부 지역
갈리시아
아스투리아스아빌레스의 리아, 리바데오의 리아, 나비아의 리아, 비야비시오사의 리아, 리바데세야의 리아, 야네스의 리아, 티나 마요르의 리아.
칸타브리아티나 마요르의 리아, 티나 메노르의 리아, 산비센테데라바르케라의 리아, 라 라비아의 리아, 산 마르틴 데 라 아레나의 리아, 모그로의 리아, 솔리아의 리아, 카르멘의 리아, 부의 리아, 티헤로의 리아, 쿠바스의 리아, 아호의 리아, 카보 케호의 리아, 트레토의 리아, 오리뇬의 리아.
바스크 지방빌바오의 리아, 네르비온, 이바이사발, 카다구아 강 하구.
안달루시아카레라스의 리아, 우엘바의 리아(오디엘 강과 틴토 강 하구).


7. 재해 시 피해

리아스식 해안은 해안선에 수직으로 열려 있으며, 만 입구에 비해 안쪽이 좁고 얕기 때문에, 외해에서는 낮은 쓰나미도 파고가 급격히 높아져 큰 피해를 가져올 수 있다.[9][10] 따라서, 쓰나미를 막기 위한 높은 방조제를 설치하는 등의 대책이 마련되어 있다. 만 안에서는 한 번 밀려온 쓰나미가 반사파가 되어 양쪽 해안을 반복해서 덮치고, 쓰나미의 지속 시간이 긴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 또한, 평지가 협소하고 바다에 붙어 있기 때문에, 교통망이 단절될 가능성이 높고, 쓰나미가 지난 후의 구조 및 지원 활동에도 장애가 있다.

8. 용어

'''리아 해안'''은 여러 개의 평행한 리아가 눈에 띄는 산등성이로 분리되어 내륙으로 상당한 거리까지 뻗어 있는 해안선이다.[2][3][4] 'ria'라는 단어는 갈리시아어 ''ría''에서 유래했으며, 이는 río(강)에서 유래했다. 리아는 스페인의 갈리시아 해안을 따라 존재한다.

독일의 탐험가이자 근대 지형학의 선구자인 페르디난트 폰 리히트호펜은 1886년에 『연구 여행자를 위한 안내서』에서 처음 사용했다.[11] 리히트호펜은 해안선과 수직 방향으로 뻗어 있는 침수곡이 연속적으로 나타나는 복잡한 형태의 해안선을 리아스식 해안으로 정의했다. 1919년 미국의 지형학자인 더글러스 윌슨 존슨은 더 넓은 의미로 침수 해안을 정의하고, 하천 침식으로 형성된 개석곡이 침수된 경우를 리아스식 해안, 빙하 침식으로 형성된 U자곡이 기원이 된 경우를 피오르드로 정의했다.

일본에서는 리아스 해안과 리아스 해안이 혼용되었으나, 학교 교육에서는 1927년 지리 교육용 자료에 "리아스 해안"이 등장한 이후,[13] 1955년경부터 2008년경까지는 리아스식 해안으로 표기했다가, 그 이후에는 리아스 해안으로 표기하고 있다.[14][15] 대한민국에서도 두 용어가 혼용되다가 현재는 학교 교육에서 '리아스 해안'으로 통일되었다.

참조

[1] 사전 ria
[2] 논문 Rias Sensu Stricto and Sensu Lato 1956
[3] 서적 Encyclopedia of Geomorphology Routledge 2004
[4] 서적 Coastal Geomorphology: An Introduction John Wiley and Sons Ltd 2008
[5] 논문 Shoreline Topography 1899
[6] 서적 Coastal Lagoons: Critical Habitats of Environmental Change CRC Press 2010-06-15
[7] 서적 新版 地学事典 平凡社 1996-10-20
[8] 서적 オックスフォード地球科学辞典 朝倉書店 2004-05-30
[9] 웹사이트 Umidas http://www.umeshunky[...] 2019-07
[10] 웹사이트 釜石港湾事務所 http://www.pa.thr.ml[...] 2019-07
[11] 서적 日本列島100万年史 大地に刻まれた壮大な物語 講談社 2017
[12] 논문 リアス式海岸と云う述語に就て 1933
[13] 논문 三陸海岸における術語「リアス海岸」の受容とその変容 - 津波常習地から観光の国立公園へ - 2015
[14] 웹사이트 教育出版 - Q3 「リアス海岸」について━p.141,227,231,267 https://www.kyoiku-s[...]
[15] 웹사이트 帝国書院 お知らせ http://www.teikokush[...]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