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수산양식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수산 양식은 수생 생물을 인공적으로 사육하여 식량 생산, 해양 생태계 복원, 경제적 이익 창출 등을 도모하는 기술이다. 호주 원주민의 뱀장어 양식에서 시작하여, 중국의 잉어 양식, 한국의 김 양식 등으로 발전해왔다. 현재는 어류, 갑각류, 연체동물, 해조류 등 다양한 품종을 대상으로 하며, 정수식, 유수식, 가두리식, 순환여과식, 해양 양식 등 여러 방법이 사용된다. 양식 기술의 발전은 생산량 증가를 가져왔지만, 사료 과다 투여, 수질 오염, 질병 발생, 유전적 다양성 감소, 외래종 유입 등 다양한 문제점을 야기한다. 이에 따라 친환경 양식 기술 개발, 지속 가능한 사료 사용, 백신 개발, 유전자 변형 기술 도입 등의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한국에서는 양식 관련 정책 및 제도가 시행되고 있으며, 수산 양식 관련 연구 개발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수산업 - 어업
    어업은 물고기, 조개, 해조류 등 수산물을 잡거나 채취하는 활동으로, 어획 대상, 어장, 어법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되며 식량 자원을 제공하지만, 남획, 해양 오염, 기후 변화 등으로 지속 가능한 어업을 위한 국제적인 노력이 요구된다.
  • 수산업 - 물고기
    물고기는 아가미, 두개골, 지느러미를 가지며, 칠성장어, 상어, 조기어류 등을 포함하는 측계통군으로, 변온 냉혈동물이며, 인간과 다양한 관계를 맺고 멸종 위기에 처한 종도 있다.
  • 양식업 - 바다 새우 양식
    바다 새우 양식은 새우를 인공적으로 길러 식용으로 생산하는 산업으로, 생애 주기, 양식 방법, 공급망 등을 거쳐 이루어지며, 환경 및 사회적인 문제와 함께 지속 가능한 양식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 양식업 - 양어장
    양어장은 양식 시설에서 수확 크기로 키울 유생 및 어린 물고기, 조개류 등을 생산하는 시설로, 비수기 생산, 품종 개량, 야생 의존도 감소에 기여하지만 근친 교배, 유전적 다양성 감소, 유전자 변형 식품 논란 등의 문제점도 안고 있다.
수산양식
지도
기본 정보
유형수산업
주요 생산물어류, 갑각류, 연체동물, 해조류
관련 산업식품 산업
수산물 가공업
사료 산업
제약 산업
영향생태계
수질
사회 경제
식량 안보
상세 정보
정의물고기, 갑각류, 연체 동물, 수생 식물과 같은 수생 생물의 사육
양식 방법연못 양식
해상 가두리 양식
순환 여과 양식
수조 양식
역사고대 중국에서 시작
로마 시대의 연못 양식
19세기 후반 현대적 양식업 시작
양식 대상틸라피아
연어
메기
새우
홍합

해조류
주요 생산 국가중국
인도네시아
인도
베트남
방글라데시
노르웨이
칠레
양식 기술
사육 환경 관리수온 조절
용존 산소 농도 관리
pH 조절
질소 화합물 제거
사료 공급배합 사료
생 사료
천연 먹이
질병 관리예방 접종
항생제 사용
생물학적 방제
유전 관리품종 개량
유전자 조작
근친 교배 방지
양식업의 문제점
환경 문제수질 오염
해양 생태계 파괴
어류 질병 확산
항생제 내성 문제
양식장 폐수 문제
사회 경제적 문제소규모 어민과의 경쟁
양식 어종의 가격 하락
양식장 노동 환경 문제
윤리적 문제 (동물 복지)
지속 가능한 양식업
친환경 양식 기술유기 양식
바이오플락 양식
순환 여과 양식
생태 양식
양식 어종 다양화지역 고유종 양식
저영양 어종 양식
지속 가능한 사료 개발식물성 사료
곤충 사료
해조류 사료
양식장 관리 개선폐수 처리 시설 설치
어병 관리 강화
친환경 양식 인증 제도 도입
법규 및 규제
관련 법률수산자원관리법
양식산업발전법
해양환경관리법
관련 국제기구국제연합식량농업기구 (FAO)
세계양식업협회 (WAS)
기타 정보
양식업의 미래기술 발전을 통한 생산성 향상
지속 가능한 양식 기술 개발
식량 안보 기여
양식 어종 다양화
환경 영향 최소화 노력

2. 역사

미시시피주의 델타 프라이드 메기 양식장에서 메기를 수확하는 작업자들


호주 빅토리아주 남서부에 거주하는 원주민 부족인 귄디트마라(Gunditjmara) 사람들은 기원전 4580년경부터 짧은지느러미 뱀장어(short-finned eel)를 양식했을 가능성이 있다.[156] 그들은 콘다 호수(Lake Condah) 근처 약 100 km2 규모의 화산성 충적평야(floodplain)를 수로와 댐이 복잡하게 연결된 시스템으로 개발하여, 엮은 그물(woven traps)을 사용하여 뱀장어를 잡고 일년 내내 먹을 수 있도록 보관했다.[157][158] 부지 빔 문화 경관(Budj Bim Cultural Landscape)은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양식장 중 하나이다.[159][160]

중국의 구전(Oral tradition)에는 기원전 2000~2100년(약 4000년 전)부터 잉어(Cyprinus carpio)를 양식했다는 기록이 있지만, 가장 오래된 중요한 증거는 기원전 475년경(약 2475년 전) 범려가 저술한 최초의 양식 관련 전문서인 『양어경(The Classic of Fish Culture)』에 나타난다.[161] 기원전 460년경 양우징(Yang Yu Jing)이 저술한 또 다른 고대 중국 양식 안내서에는 잉어 양식이 더욱 정교해지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중국의 쟈후(Jiahu) 유적지에서는 기원전 6200년(약 8200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가장 오래된 양식장으로 추정되는 간접적인 고고학적 증거가 있지만, 이는 추측에 불과하다.[162] 강물이 범람한 후 물이 빠지면서 잉어를 중심으로 일부 물고기가 호수에 갇히게 되었고, 초기 양식업자들은 애벌레(nymphs)와 누에 배설물을 먹이로 주고 이들을 섭취했다.[163] 현재도 중국 대륙은 담수어 양식의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가장 활발한 잉어 양식은 3000년 전부터 시작되었다고 한다.

고대 이집트인들은 기원전 1500년경(약 3500년 전)부터 바르다윌 호수(Lake Bardawil)에서 물고기(특히 도다리(gilt-head bream))를 양식했을 가능성이 있으며, 이를 가나안(Canaan)과 교역했다.[163]

김 양식은 한국에서 가장 오래된 양식이다.[164] 초기 김 양식은 대나무나 참나무 막대기를 사용했고,[164] 19세기에는 그물을 이용하는 새로운 방법이 등장했다.[164][165] 1920년대부터는 부유식 뗏목을 이용해 김을 대량생산하기 시작했다.[164]

일본인들은 대나무 기둥을 제공하고 나중에는 그물과 (oyster) 껍데기를 포자(spore)의 부착면으로 제공하여 해초(seaweed)를 재배했다.[166]

고대 로마에서는 이 양식되었으며[189] 부유층의 투자처 중 하나로 양어장 경영이 있었다. 양어장에는 담수 연못도 있었고, 바다에서 바닷물을 끌어들여 내륙에 만든 해수 연못도 있었다. 부유층들은 연회에 사용되는 고급 어종인 도다리놀래기 등을 길렀다.

벨기에 브뤼셀(Brussels) 라 캉브르 수도원(La Cambre Abbey)의 어장(Fish pond)


중세 유럽에서는 초기 기독교 수도원(monasteries)이 로마의 양식 관행을 채택했다.[168] 해안과 큰 강에서 멀리 떨어진 사람들은 보존을 위해 소금에 절여야 하는 물고기에 의존했기 때문에 양식이 확산되었다.[169] 중세 유럽에서는 일 년에 평균 150일이 금식과 금육 기간이었고 고기가 금지되었기 때문에 생선은 중요한 식량원이었다.[170] 19세기 교통의 발달로 내륙 지역에서도 신선한 생선을 쉽고 저렴하게 구할 수 있게 되면서 양식은 인기를 잃었다. 오늘날 체코(Czech Republic) 트레본 분지(Trebon Basin)의 15세기 어장은 유네스코 세계유산 잠정 목록에 등재되어 있다.[171]

사모아(Samoa) 사람들은 전통적인 대왕조개(giant clam) 양식을 실천했다.[172]

하와이(Hawaii) 사람들은 해양 양식장(oceanic fish ponds)을 건설했다. 알레코코(Alekoko)에 있는 "메네후네(Menehune)" 어장은 적어도 1000년 전의 것으로, 전설에 따르면 신화 속 난쟁이족 메네후네(Menehune)에 의해 건설되었다고 한다.[173]

18세기 전반, 독일의 슈테판 루트비히 야코비(Stephan Ludwig Jacobi)는 무지개송어(brown trout)와 연어(salmon)의 체외 수정(external fertilization)을 실험했다. 그는 자신의 연구 결과를 요약한 "송어와 연어의 인공 생산에 관하여(Von der künstlichen Erzeugung der Forellen und Lachse)"라는 논문을 발표하여 인공 어류 사육의 창시자로 명성을 얻었다.[174] 18세기 후반에는 북아메리카 대서양 연안의 하구에서 굴 양식이 시작되었다.[175]

"양식(aquaculture)"이라는 단어는 1855년 신문 기사에서 얼음 수확과 관련하여 등장했다.[176] 또한 19세기 후반에는 지하 관개(sub-irrigation)라는 육상 농업 관행을 설명하는 데에도 사용되었다.[177] 그 후 수생 동식물 재배와 주로 관련되게 되었다.

1859년 뉴욕주 웨스트 블룸필드(West Bloomfield)의 스티븐 에인스워스(Stephen Ainsworth)는 브룩송어(brook trout)에 대한 실험을 시작했다. 1864년 세스 그린(Seth Green)은 뉴욕주 로체스터(Rochester) 근처 칼레도니아 스프링스(Caledonia Springs)에 상업적 규모의 어류 부화장을 설립했다. 1866년 매사추세츠주 콘코드(Concord)의 W. W. 플레처(W. W. Fletcher)가 참여하면서 캐나다미국 모두에서 인공 어류 부화장(Fish hatchery)이 운영되기 시작했다.[180] 1889년 뉴펀들랜드(Newfoundland)에 문을 연 딜도 섬(Dildo Island) 어류 부화장은 세계에서 가장 크고 앞선 시설이었다. 1890년에는 이 부화장의 대구와 바닷가재 실험에 "양식(aquaculture)"이라는 단어가 사용되었다.[181]

1920년대에는 1870년대에 설립된 로드 아일랜드주 캐롤라이나(Carolina)의 아메리칸 피쉬 컬처 컴퍼니(American Fish Culture Company)가 주요 송어 생산 업체 중 하나였다. 1940년대에는 어류의 주야간 주기를 조절하여 연중 인공적으로 산란시키는 방법을 완성했다.[182]

캘리포니아 주민들은 1900년경 야생 다시마(kelp)를 수확하고 공급을 관리하려고 시도했으며, 나중에는 이를 전시 자원으로 분류했다.[183]

2. 1. 세계 양식의 역사



호주 빅토리아주 남서부에 거주하는 원주민 부족인 귄디트마라(Gunditjmara) 사람들은 기원전 4580년경부터 짧은지느러미 뱀장어(short-finned eel)를 양식했을 가능성이 있다.[156] 그들은 콘다 호수(Lake Condah) 근처 약 100 km2 규모의 화산성 충적평야(floodplain)를 수로와 댐이 복잡하게 연결된 시스템으로 개발하여, 엮은 그물(woven traps)을 사용하여 뱀장어를 잡고 일년 내내 먹을 수 있도록 보관했다.[157][158] 부지 빔 문화 경관(Budj Bim Cultural Landscape)은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양식장 중 하나이다.[159][160]

중국의 구전(Oral tradition)에는 기원전 2000~2100년(약 4000년 전)부터 잉어(Cyprinus carpio)를 양식했다는 기록이 있지만, 가장 오래된 중요한 증거는 기원전 475년경(약 2475년 전) 범려가 저술한 최초의 양식 관련 전문서인 『양어경(The Classic of Fish Culture)』에 나타난다.[161] 기원전 460년경 양우징(Yang Yu Jing)이 저술한 또 다른 고대 중국 양식 안내서에는 잉어 양식이 더욱 정교해지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중국의 쟈후(Jiahu) 유적지에서는 기원전 6200년(약 8200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가장 오래된 양식장으로 추정되는 간접적인 고고학적 증거가 있지만, 이는 추측에 불과하다.[162] 강물이 범람한 후 물이 빠지면서 잉어를 중심으로 일부 물고기가 호수에 갇히게 되었고, 초기 양식업자들은 애벌레(nymphs)와 누에 배설물을 먹이로 주고 이들을 섭취했다.[163] 현재도 중국 대륙은 담수어 양식의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가장 활발한 잉어 양식은 3000년 전부터 시작되었다고 한다.

고대 이집트인들은 기원전 1500년경(약 3500년 전)부터 바르다윌 호수(Lake Bardawil)에서 물고기(특히 도다리(gilt-head bream))를 양식했을 가능성이 있으며, 이를 가나안(Canaan)과 교역했다.[163] 고대 로마에서는 굴이 양식되었으며[189] 부유층의 투자처 중 하나로 양어장 경영이 있었다. 양어장에는 담수 연못도 있었고, 바다에서 바닷물을 끌어들여 내륙에 만든 해수 연못도 있었다. 부유층들은 연회에 사용되는 고급 어종인 도다리나 놀래기 등을 길렀다.

김(Gim) 양식은 한국에서 가장 오래된 양식이다.[164] 초기에는 대나무나 참나무 막대기를 사용했고,[164] 19세기에는 그물을 이용하는 새로운 방법이 등장했다.[164][165] 1920년대부터는 부유식 뗏목(Floating rafts)을 이용해 대량생산을 시작했다.[164]

일본인들은 대나무 기둥을 제공하고 나중에는 그물과 (oyster) 껍데기를 포자(spore)의 부착면으로 제공하여 해초(seaweed)를 재배했다.[166]

중세 유럽에서는 초기 기독교 수도원(monasteries)이 로마의 양식 관행을 채택했다.[168] 해안과 큰 강에서 멀리 떨어진 사람들은 보존을 위해 소금에 절여야 하는 물고기에 의존했기 때문에 양식이 확산되었다.[169] 중세 유럽에서는 일 년에 평균 150일이 금식과 금육 기간이었고 고기가 금지되었기 때문에 생선은 중요한 식량원이었다.[170] 메기, 뱀장어, 사순절용 잉어의 양식이 성행했으며, 대지주가 농민에게 연못이나 호수의 권리를 빌려주고, 물고기와 금전을 징수하는 형태로 이루어졌다. 영주는 수산 자원과 양어업자의 권익을 보호하기 위해 강이나 호수에서의 낚시에 엄격한 규칙을 만들었다. 상류층에는 특허장을 발급했지만, 평민이 위반하면 중죄가 되었다. 19세기 교통의 발달로 내륙 지역에서도 신선한 생선을 쉽고 저렴하게 구할 수 있게 되면서 양식은 인기를 잃었다. 오늘날 체코(Czech Republic) 트레본 분지(Trebon Basin)의 15세기 어장은 유네스코 세계유산 잠정 목록에 등재되어 있다.[171]

사모아(Samoa) 사람들은 전통적인 대왕조개(giant clam) 양식을 실천했다.[172]

하와이(Hawaii) 사람들은 해양 양식장(oceanic fish ponds)을 건설했다. 알레코코(Alekoko)에 있는 "메네후네(Menehune)" 어장은 적어도 1000년 전의 것으로, 전설에 따르면 신화 속 난쟁이족 메네후네(Menehune)에 의해 건설되었다고 한다.[173]

18세기 전반, 독일의 슈테판 루트비히 야코비(Stephan Ludwig Jacobi)는 무지개송어(brown trout)와 연어(salmon)의 체외 수정(external fertilization)을 실험했다. 그는 자신의 연구 결과를 요약한 "송어와 연어의 인공 생산에 관하여(Von der künstlichen Erzeugung der Forellen und Lachse)"라는 논문을 발표하여 인공 어류 사육의 창시자로 명성을 얻었다.[174] 18세기 후반에는 북아메리카 대서양 연안의 하구에서 굴 양식이 시작되었다.[175]

"양식(aquaculture)"이라는 단어는 1855년 신문 기사에서 얼음 수확과 관련하여 등장했다.[176] 또한 19세기 후반에는 지하 관개(sub-irrigation)라는 육상 농업 관행을 설명하는 데에도 사용되었다.[177] 그 후 수생 동식물 재배와 주로 관련되게 되었다.

1859년 뉴욕주 웨스트 블룸필드(West Bloomfield)의 스티븐 에인스워스(Stephen Ainsworth)는 브룩송어(brook trout)에 대한 실험을 시작했다. 1864년 세스 그린(Seth Green)은 뉴욕주 로체스터(Rochester) 근처 칼레도니아 스프링스(Caledonia Springs)에 상업적 규모의 어류 부화장을 설립했다. 1866년 매사추세츠주 콘코드(Concord)의 W. W. 플레처(W. W. Fletcher)가 참여하면서 캐나다미국 모두에서 인공 어류 부화장(Fish hatchery)이 운영되기 시작했다.[180] 1889년 뉴펀들랜드(Newfoundland)에 문을 연 딜도 섬(Dildo Island) 어류 부화장은 세계에서 가장 크고 앞선 시설이었다. 1890년에는 이 부화장의 대구와 바닷가재 실험에 "양식(aquaculture)"이라는 단어가 사용되었다.[181]

1920년대에는 1870년대에 설립된 로드 아일랜드주 캐롤라이나(Carolina)의 아메리칸 피쉬 컬처 컴퍼니(American Fish Culture Company)가 주요 송어 생산 업체 중 하나였다. 1940년대에는 어류의 주야간 주기를 조절하여 연중 인공적으로 산란시키는 방법을 완성했다.[182]

캘리포니아 주민들은 1900년경 야생 다시마(kelp)를 수확하고 공급을 관리하려고 시도했으며, 나중에는 이를 전시 자원으로 분류했다.[183]

300px


1970년대 서유럽에서는 과다 어획으로 인한 어업 자원 고갈과 연안의 무분별한 개발 및 해양 오염이 문제가 되었다. 홍합과 굴 양식은 18세기 이래로 전통이 있었지만, 해양 오염으로 인해 기존의 장소가 양식에 적합하지 않게 되었거나 새로운 기술을 개발해야 할 필요성이 생겼다. 어류 양식은 중세 이후로 쇠퇴했지만, 환경 문제의 심각성이 커짐에 따라 연구와 실천이 진행되고 있다.

캐나다, 스칸디나비아, 칠레에서는 연어과 어류의 양식이 성행하고 있다. 양식 어류의 성장에는 온도 관리가 중요하지만, 프랑스와 캐나다에서는 원자력 발전소의 냉각수를 이용한 온도 관리로 뱀장어와 잉어의 양식이 이루어지고 있다. 미국에서는 유통되는 무지개송어와 메기의 거의 100%가 양식산이다.

중앙유럽에서는 전통적으로 잉어 양식이 성행하고 있으며, 특히 남보헤미아 지방의 잉어는 세계적인 명성을 가지고 있다. 헝가리에서는 잉어와 오리, 거위를 같은 연못에서 기르면서 가금류의 배설물로 잉어를 키우고 있다. 비슷한 방법은 중국과 중앙아프리카 등에서도 행해지고 있다. 또한, 수년마다 연못의 물을 빼고 곡류를 재배하는 윤작을 하고 있다.

1883년 저명한 생물학자 토머스 헨리 헉슬리(Thomas Henry Huxley)는 "대구 어업, 청어 어업, 정어리 어업, 고등어 어업, 그리고 아마도 모든 해양 어업은 무한하다. 즉, 우리 인간이 하는 일은 물고기의 수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라고 말했지만, 그 후 1세기 동안 세계 해양 자원은 급감했고, 국제연합 식량농업기구(FAO)의 추정에 따르면 유통되는 주요 어류의 3분의 2는 개체군을 유지할 수 있는 수준 이상으로 어획되고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2. 2. 한국 양식의 역사

고대 로마에서는 이 양식되었으며[189] 부유층의 투자처 중 하나로 양어장 경영이 있었다. 양어장에는 담수 연못도 있었고, 바다에서 바닷물을 끌어들여 내륙에 만든 해수 연못도 있었다. 부유층들은 연회에 사용되는 고급 어종인 도다리놀래기 등을 길렀다. 중세 유럽에서는 메기, 장어, 사순절용 잉어의 양식이 성행했으며, 대지주가 농민에게 연못이나 호수의 권리를 빌려주고, 물고기와 금전을 징수하는 형태로 이루어졌다. 영주는 수산 자원과 양어업자의 권익을 보호하기 위해 강이나 호수에서의 낚시에 엄격한 규칙을 만들었다. 상류층에는 특허장을 발급했지만, 평민이 위반하면 중죄가 되었다.

김 양식은 한국에서 가장 오래된 양식이다.[164] 초기 김 양식은 대나무나 참나무 막대기를 사용했고,[164] 19세기에는 그물을 이용하는 새로운 방법이 등장했다.[164][165] 1920년대부터는 부유식 뗏목을 이용해 김을 대량생산하기 시작했다.[164]

3. 종류

300px


칠레 카스트로 남쪽 피오르드에서의 양식 어류 양식


부유식 용기의 수생식물
부유식 용기에서 수생식물 재배


전복 양식장
전복 양식장


철갑상어 양식장
철갑상어 양식장

  • '''양식 방법'''


정수(靜水)식 양식은 '지중(地中) 양식'이라고도 불리며, 바닥이나 못둑이 흙으로 된 상태를 그대로 쓰거나 콘크리트나 돌담으로 못둑을 튼튼하게 하여 을 만들어 양식하는 방법이다. 못 양식은 배설물 등의 정화가 자체 정화 능력에만 의존하므로 좁은 면적에 물고기를 너무 많이 넣으면 산소 부족 및 배설물로 인한 오염으로 인해 면적당 생산량이 낮다.

못에 물이 계속 흘러들어가고 나가도록 하는 유수(流水)식 양식에서는 흘러들어가는 물이 산소를 공급하고, 나가는 물을 따라 배설물이 나가므로 많은 물고기를 기를 수 있다. 이 방법은 연어·송어 등 냉수성 어류에 주로 쓰이나 잉어·은어 등 온수성 어류의 양식에도 이용된다.

가두리 양식은 그물로 만든 가두리를 수중에 띄워 놓고 그 속에서 어류를 양식하는 방법이다. 잉어, 송어, 넙치, 조피볼락 등 여러 종류의 양식에 이용된다.

순환여과(循環濾過)식 양식은 수조 속의 같은 물을 계속 순환 여과시킴으로써 수중의 유해한 오염물질을 제거하고 용존 산소를 많게 하여 적은 수량으로 많은 물고기를 양식하는 방법이다. 양식 생물이 배설하는 암모니아나 유기물은 세균의 작용으로 무기물로 분해되고, 어류에 해로운 암모니아·아질산 등은 독성이 약한 질산염으로 변환된다.

연어와 같은 회귀성 어류는 바다에서 성장한 후 산란을 위하여 자기가 태어난 하천으로 되돌아오는 성질을 이용하여 어린 종묘(種苗)를 방류한 다음, 돌아오는 성어를 잡는 방식으로 양식한다. 이때 인공적으로 수정·부화시켜 종묘를 만들어 방류하는 인공부화 방류를 많이 한다.

해양 양식은 바닷물에서 해양 생물을 다양하게 재배하는 것을 말하며, 해안의 보호된 수역("연안"), 외해("외해"), 그리고 육지("육상")에서 이루어진다.[69] 채널 캣피시(''Ictalurus punctatus''), 단단한 조개(''Mercenaria mercenaria'') 및 대서양 연어(''Salmo salar'')는 미국 해양 양식에서 두드러진다.[69]

다중 영양단계 통합 양식(IMTA)은 한 종의 부산물(폐기물)이 다른 종의 투입물(비료, 먹이)로 재활용되는 방식이다.[70]

도시 양식에서는 물고기가 도망치지 않도록 관리하고, 사료 공급과 어획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바다의 연안역이나 담수의 호수 등에 다양한 시설이 설치된다.[187] 특히 악천후 시 파도나 해류, 조류가 심한 외해에서의 양식은 어렵지만, 노르웨이에서는 북해유전의 석유 플랫폼 기술을 응용하여 수심 150m의 외양에서 연어(サーモン)를 양식하고 있다.[188]

  • '''양식 대상'''


미세조류는 식물 플랑크톤, 미소식물, 또는 플랑크톤 조류라고도 하며, 재배되는 조류의 대부분을 차지한다.[27] 해조류로 널리 알려진 대형 조류도 많은 상업적 및 산업적 용도가 있지만, 크기와 특정 요구 사항으로 인해 대규모로 쉽게 재배할 수 없으며 대부분 야생에서 채취된다. 2016년 수산 양식은 야생 채취 및 재배된 수생 식물 총 3,120만 톤 중 96.5%(부피 기준)를 차지했다.[27] 전 세계적으로 해조류가 압도적으로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양식 수생 식물의 생산량은 1995년 1,350만 톤에서 2016년 3,000만 톤을 약간 상회하는 수준으로 증가했다.

어류 양식은 수산 양식에서 가장 일반적인 형태이다. 이는 일반적으로 식용으로 수조, 양어장, 또는 해양 펜(enclosure)에서 상업적으로 물고기를 기르는 것을 포함한다. 전 세계적으로 어류 양식에 사용되는 가장 중요한 어종은 순서대로 잉어, 연어, 틸라피아, 그리고 메기이다.[25] 지중해에서는 어린 참다랑어가 바다에서 그물로 잡히고 해안 쪽으로 천천히 끌려온다. 그런 다음 해상 펜(때로는 부유식 HDPE 파이프로 만들어짐)[28]에 수용되어 시장에 판매될 때까지 더 키운다.[29] 2009년 호주 연구원들은 최초로 육지 수조에서 남방 참다랑어의 번식을 유도하는 데 성공했다.

상업적인 새우 양식은 1970년대에 시작되었고, 그 이후 생산량이 급격히 증가했습니다. 2003년 세계 생산량은 160만 톤을 넘어섰으며, 약 90억 달러의 가치가 있었다. 양식 새우의 약 75%는 아시아, 특히 중국과 태국에서 생산됩니다. 나머지 25%는 주로 브라질이 최대 생산국인 라틴 아메리카에서 생산됩니다. 사실상 모든 양식 새우는 펜네우스과(즉, 과 펜네우스과)에 속하는 펜네우스속 새우이며, 흰다리새우와 자이언트 타이거 새우 두 종만이 모든 양식 새우의 약 80%를 차지한다. 이러한 산업적인 단일 경작은 질병에 매우 취약하여 전체 지역에 걸쳐 새우 개체군을 격감시켰다.[33] 1999년 정부, 업계 대표, 환경 단체는 Seafood Watch 프로그램을 통해 더욱 지속 가능한 양식 관행을 개발하고 홍보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시작했습니다.[33]

민물 새우 양식은 해양 새우 양식과 많은 특징을 공유하며, 많은 문제도 공유합니다. 주요 종인 자이언트 리버 프론의 발생 주기로 인해 고유한 문제가 발생합니다.[34] 2007년 민물 새우( 가재와 게 제외)의 세계 연간 생산량은 약 46만 톤으로 18억 6천만 달러를 초과했다.[35] 또한 중국은 약 37만 톤의 중국대게를 생산했다.[36]

양식 패류에는 다양한 , 홍합, 그리고 조개류가 포함된다. 이러한 이매패류는 여과섭식성 또는 퇴적물 섭식성으로, 어류나 기타 사료의 투입보다는 주변 환경의 1차 생산에 의존한다. 따라서 패류 양식은 일반적으로 무해하거나 심지어 유익한 것으로 여겨진다.[38] 종과 지역 조건에 따라 이매패류는 해변, 긴 밧줄 또는 뗏목에서 매달아 기르고 손으로 또는 준설하여 수확한다.

전복 양식은 1950년대 후반과 1960년대 초 일본과 중국에서 시작되었다.[40] 1990년대 중반 이후 이 산업은 점점 더 성공적이 되었습니다.[41] 어획 과잉과 밀렵으로 야생 개체 수가 감소하여 현재는 양식 전복이 대부분의 전복 고기를 공급하고 있다. 2012년 서호주 플린더스 만에 전복을 기르는 상업용 "해양 목장"이 설립되었다. 이 목장은 ''abitats''(전복 서식지)라고 불리는 5000개의 별도 콘크리트 유닛으로 구성된 인공 암초를 기반으로 한다.

상업적으로 수확되는 해삼류에는 해삼과 성게가 포함된다. 중국에서는 해삼을 1000에이커(405 헥타르)만큼 큰 인공 연못에서 양식한다.[47]

양식 대상이 되는 주요 품목은 어류이며, 생산량이 많은 종은 잉어과, 연어과, 틸라피아(Tilapia), 메기(Catfish)이다. 갑각류에서는 천해성 새우 양식이 1970년대부터, 중국털게(上海蟹)는 1990년대부터 급격히 증가했다. 연체동물에서는 굴, 홍합(Mytilus edulis) 등이 있으며, 그 외에 해파리(Jellyfish), 해삼(Sea cucumber), 성게(Sea urchin), 멍게(Sea squirt) 등이 있다.

3. 1. 양식 방법

정수(靜水)식 양식은 '지중(地中) 양식'이라고도 불리며, 바닥이나 못둑이 흙으로 된 상태를 그대로 쓰거나 콘크리트나 돌담으로 못둑을 튼튼하게 하여 을 만들어 양식하는 방법이다. 못 양식은 배설물 등의 정화가 자체 정화 능력에만 의존하므로 좁은 면적에 물고기를 너무 많이 넣으면 산소 부족 및 배설물로 인한 오염으로 인해 면적당 생산량이 낮다.

못에 물이 계속 흘러들어가고 나가도록 하는 유수(流水)식 양식에서는 흘러들어가는 물이 산소를 공급하고, 나가는 물을 따라 배설물이 나가므로 많은 물고기를 기를 수 있다. 이 방법은 연어·송어 등 냉수성 어류에 주로 쓰이나 잉어·은어 등 온수성 어류의 양식에도 이용된다.

가두리 양식은 그물로 만든 가두리를 수중에 띄워 놓고 그 속에서 어류를 양식하는 방법이다. 잉어, 송어, 넙치, 조피볼락 등 여러 종류의 양식에 이용된다.

순환여과(循環濾過)식 양식은 수조 속의 같은 물을 계속 순환 여과시킴으로써 수중의 유해한 오염물질을 제거하고 용존 산소를 많게 하여 적은 수량으로 많은 물고기를 양식하는 방법이다. 양식 생물이 배설하는 암모니아나 유기물은 세균의 작용으로 무기물로 분해되고, 어류에 해로운 암모니아·아질산 등은 독성이 약한 질산염으로 변환된다.

연어와 같은 회귀성 어류는 바다에서 성장한 후 산란을 위하여 자기가 태어난 하천으로 되돌아오는 성질을 이용하여 어린 종묘(種苗)를 방류한 다음, 돌아오는 성어를 잡는 방식으로 양식한다. 이때 인공적으로 수정·부화시켜 종묘를 만들어 방류하는 인공부화 방류를 많이 한다.

해양 양식은 바닷물에서 해양 생물을 다양하게 재배하는 것을 말하며, 해안의 보호된 수역("연안"), 외해("외해"), 그리고 육지("육상")에서 이루어진다.[69] 채널 캣피시(''Ictalurus punctatus''), 단단한 조개(''Mercenaria mercenaria'') 및 대서양 연어(''Salmo salar'')는 미국 해양 양식에서 두드러진다.[69]

다중 영양단계 통합 양식(IMTA)은 한 종의 부산물(폐기물)이 다른 종의 투입물(비료, 먹이)로 재활용되는 방식이다.[70]

도시 양식에서는 물고기가 도망치지 않도록 관리하고, 사료 공급과 어획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바다의 연안역이나 담수의 호수 등에 다양한 시설이 설치된다.[187] 특히 악천후 시 파도나 해류, 조류가 심한 외해에서의 양식은 어렵지만, 노르웨이에서는 북해유전의 석유 플랫폼 기술을 응용하여 수심 150m의 외양에서 연어(サーモン)를 양식하고 있다.[188]

3. 2. 양식 대상



미세조류는 식물 플랑크톤, 미소식물, 또는 플랑크톤 조류라고도 하며, 재배되는 조류의 대부분을 차지한다.[27] 해조류로 널리 알려진 대형 조류도 많은 상업적 및 산업적 용도가 있지만, 크기와 특정 요구 사항으로 인해 대규모로 쉽게 재배할 수 없으며 대부분 야생에서 채취된다. 2016년 수산 양식은 야생 채취 및 재배된 수생 식물 총 3,120만 톤 중 96.5%(부피 기준)를 차지했다.[27] 전 세계적으로 해조류가 압도적으로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양식 수생 식물의 생산량은 1995년 1,350만 톤에서 2016년 3,000만 톤을 약간 상회하는 수준으로 증가했다.

어류 양식은 수산 양식에서 가장 일반적인 형태이다. 이는 일반적으로 식용으로 수조, 양어장, 또는 해양 펜(enclosure)에서 상업적으로 물고기를 기르는 것을 포함한다. 전 세계적으로 어류 양식에 사용되는 가장 중요한 어종은 순서대로 잉어, 연어, 틸라피아, 그리고 메기이다.[25] 지중해에서는 어린 참다랑어가 바다에서 그물로 잡히고 해안 쪽으로 천천히 끌려온다. 그런 다음 해상 펜(때로는 부유식 HDPE 파이프로 만들어짐)[28]에 수용되어 시장에 판매될 때까지 더 키운다.[29] 2009년 호주 연구원들은 최초로 육지 수조에서 남방 참다랑어의 번식을 유도하는 데 성공했다.

상업적인 새우 양식은 1970년대에 시작되었고, 그 이후 생산량이 급격히 증가했습니다. 2003년 세계 생산량은 160만 톤을 넘어섰으며, 약 90억 달러의 가치가 있었다. 양식 새우의 약 75%는 아시아, 특히 중국과 태국에서 생산됩니다. 나머지 25%는 주로 브라질이 최대 생산국인 라틴 아메리카에서 생산됩니다. 사실상 모든 양식 새우는 펜네우스과(즉, 과 펜네우스과)에 속하는 펜네우스속 새우이며, 흰다리새우와 자이언트 타이거 새우 두 종만이 모든 양식 새우의 약 80%를 차지한다. 이러한 산업적인 단일 경작은 질병에 매우 취약하여 전체 지역에 걸쳐 새우 개체군을 격감시켰다.[33] 1999년 정부, 업계 대표, 환경 단체는 Seafood Watch 프로그램을 통해 더욱 지속 가능한 양식 관행을 개발하고 홍보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시작했습니다.[33]

민물 새우 양식은 해양 새우 양식과 많은 특징을 공유하며, 많은 문제도 공유합니다. 주요 종인 자이언트 리버 프론의 발생 주기로 인해 고유한 문제가 발생합니다.[34] 2007년 민물 새우( 가재와 게 제외)의 세계 연간 생산량은 약 46만 톤으로 18억 6천만 달러를 초과했다.[35] 또한 중국은 약 37만 톤의 중국대게를 생산했다.[36]

양식 패류에는 다양한 , 홍합, 그리고 조개류가 포함된다. 이러한 이매패류는 여과섭식성 또는 퇴적물 섭식성으로, 어류나 기타 사료의 투입보다는 주변 환경의 1차 생산에 의존한다. 따라서 패류 양식은 일반적으로 무해하거나 심지어 유익한 것으로 여겨진다.[38] 종과 지역 조건에 따라 이매패류는 해변, 긴 밧줄 또는 뗏목에서 매달아 기르고 손으로 또는 준설하여 수확한다.

전복 양식은 1950년대 후반과 1960년대 초 일본과 중국에서 시작되었다.[40] 1990년대 중반 이후 이 산업은 점점 더 성공적이 되었습니다.[41] 어획 과잉과 밀렵으로 야생 개체 수가 감소하여 현재는 양식 전복이 대부분의 전복 고기를 공급하고 있다. 2012년 서호주 플린더스 만에 전복을 기르는 상업용 "해양 목장"이 설립되었다. 이 목장은 ''abitats''(전복 서식지)라고 불리는 5000개의 별도 콘크리트 유닛으로 구성된 인공 암초를 기반으로 한다.

상업적으로 수확되는 해삼류에는 해삼과 성게가 포함된다. 중국에서는 해삼을 1000에이커(405 헥타르)만큼 큰 인공 연못에서 양식한다.[47]

양식 대상이 되는 주요 품목은 어류이며, 생산량이 많은 종은 잉어과, 연어과, 틸라피아(Tilapia), 메기(Catfish)이다. 갑각류에서는 천해성 새우 양식이 1970년대부터, 중국털게(上海蟹)는 1990년대부터 급격히 증가했다. 연체동물에서는 굴, 홍합(Mytilus edulis) 등이 있으며, 그 외에 해파리(Jellyfish), 해삼(Sea cucumber), 성게(Sea urchin), 멍게(Sea squirt) 등이 있다.

4. 양식 과정

천연의 바다에서 산란·부화하여 생장한 자어나 치어를 천연종묘라 하고, 인공적으로 친어(親魚)를 사육하여 이것으로부터 얻은 자어나 치어를 인공종묘라 한다.[190] 은어·뱀장어·숭어·방어 등의 어류와 조개류의 대부분은 천연 종묘를 사용하고, 잉어·무지개송어·참돔·보리새우·전복 등은 인공종묘를 사용한다. 인공종묘의 생산은 친어·채란·수정·부화·치어사육의 순서로 이루어진다.

부리의 일종인 종묘(Broodfish), ''참다랑어''


생물의 탄생부터 다음 세대의 지속이라는 사이클을 모두 인공 사육으로 실시하는 것을 '''완전 양식'''(完全養殖)이라고 한다. 예를 들어, 어류의 경우, 성어로부터 알을 채취하여 인공 부화 후 성어로 기르고, 다시 성장시킨 대형 어류로부터 알을 채취하여 인공 부화시키는 사이클이 완성되면 완전 양식이라고 부른다. 메기, 연어과, 잉어과, 참돔, 복어, 천해성 새우 등 많은 식용 종에서는 기술이 확립되어 완전 양식이 이루어지고 있다. 한편, 식용 어패류로 친숙한 오징어, 문어, 고등어, 정어리, 전갱이, 해산 게, 등에서는 완전 양식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예를 들어, 양식어로 친숙한 방어[190]의 경우, 천연 치어를 포획하여 기르는 축양이 전부를 차지하고 있다.

완전 양식은 "산란", "부화", "치어 육성", "성적 성숙"까지 모든 과정을 최적 조건으로 관리된 환경하에서 실시하는 것으로, 생물의 생태와 각 과정을 상세히 연구하여 최적의 사료, 수온, 밝기 등의 조건을 찾아낼 필요가 있다. 실제로 완전 양식을 하려고 할 경우, 목표로 하는 어종의 생태 해명뿐만 아니라 친어의 사육과 치어의 생산에 드는 생산비용도 중요하며, 생산비용의 상승이 용이한 뱀장어, 참치에서는 기술 개발에 성공하고 있지만, 고등어나 정어리처럼 저렴하게 판매되는 어종에서는 기술 개발도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그러나 21세기에 들어와서, 과거에는 불가능하다고 여겨졌던 뱀장어 등 어패류의 완전 양식 실험이 실험실 수준에서 성공하고[191], 특히 참다랑어는 긴 시간을 들여 완전 양종을 상업적으로 성립시키고 있다.[192] 따라서 향후 기술 발전에 수산업 종사자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완전 양식의 세대를 거듭하면, 양식하기 쉬운 특성을 가진 유전 집단이 형성되는 반면, 단일 형질을 가진 유전적 다양성이 부족한 집단이 된다. 그 결과, 환경 스트레스에 대한 저항성과 내병성을 저하시키는 동시에, 계대 인공 종묘가 친어(Broodstock)가 된 자연계에서의 재생산 사이클이 원활하게 기능하지 않는 원인이 되고 있다는 가능성이 은어에서는 지적되고 있다. 한편, 유전적 다양성을 유지하기 위해, 양식 암컷과 야생 수컷을 교배시켜 차세대 종묘로 함으로써 유전적 다양성의 유지를 도모할 수 있다.[193]

4. 1. 종묘 생산

천연의 바다에서 산란·부화하여 생장한 자어나 치어를 천연종묘라 하고, 인공적으로 친어(親魚)를 사육하여 이것으로부터 얻은 자어나 치어를 인공종묘라 한다. 은어, 뱀장어, 숭어, 방어 등의 어류와 조개류의 대부분은 천연 종묘를 사용하고, 잉어, 무지개송어, 참돔, 보리새우, 전복 등은 인공종묘를 사용한다. 인공종묘의 생산은 친어·채란·수정·부화·치어사육의 순서로 이루어진다.

친어에는 천연친어와 양성친어가 있다. 빙어나 보리새우는 천연친어를, 무지개송어·잉어·참돔은 양성친어를 사용한다. 어류의 생식소는 일정한 시기가 되면 발육하기 시작하는데, 온대에 서식하는 것은 주기성(週期性)을 나타내며 산란기는 각각 일정한 시기에 한정되어 있다. 생식소의 성숙은 어종에 따라 다르며 일조시간과 수온의 영향을 크게 받는다. 일조시간이나 수온 등의 환경변화가 감각기를 통해 중추로 전달되면 뇌하수체는 생식선자극호르몬을 분비해서 생식소의 성숙을 촉진한다. 일조시간이 길어지는 늦겨울에서 봄에 성숙하는 잉어나 송사리를 장일형어종(長日型魚種), 일조시간이 짧아지는 가을부터 초겨울에 성숙하는 무지개송어나 은어를 단일형어종(短日型魚種)이라 한다. 금붕어나 송사리는 생식이 가능한 수온범위이면 수온이 높을수록 성숙이 빠르다. 단일형어종인 무지개송어를 짧은 일조시간으로 사육하면 성숙이 촉진되고, 긴 일조시간으로 사육하면 성숙이 억제된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일조시간과 수온을 알맞게 조합시켜 계획적으로 성숙을 제어하는 시도가 이루어져 성공하고 있다.

친어에서 알을 얻는 방법에는 자연산란과 인공채란이 있다. 잉어·금붕어·참돔은 자연산란시키고, 무지개송어·은어는 인공적으로 채란한다. 인공채란을 할 경우에는 암컷의 복부를 압착하는 착출법(搾出法), 절개해서 채란하는 절개법, 복강 속에 입착공기를 불어 넣는 공기채란법이 있다.

인공수정을 하는 물고기는 연어·무지개송어·은어·미꾸라지 등인데 인공수정은 물 속에 알을 배출시켜 정자를 뿌리는 습도법(濕導法)과 알에 정자를 뿌린 다음 물을 넣는 건도법(乾導法)이 있다. 하지만 물고기의 정자는 민물 속에서의 생존시간이 극히 짧기 때문에 습도법에 의한 수정률은 매우 낮아 요즈음은 대부분은 건도법에 의한 인공수정을 하고 있다.

수정란은 1일-수십 일 사이에 부화하는데, 어종에 따라 다르다. 일반적으로 바다물고기는 부화까지의 일수가 짧고, 민물고기는 길다. 무지개송어의 부화 일수는 수온에 의해 좌우되는데 6℃에서는 60일, 12℃에서는 26일이 걸린다. 물고기의 부화는 수온·용존산소량, 기계적 진동, 햇빛 등의 영향으로 부화율이 떨어질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생물의 탄생부터 다음 세대의 지속이라는 사이클을 모두 인공 사육으로 실시하는 것을 '''완전 양식'''(完全養殖)이라고 한다.[190] 예를 들어, 어류의 경우, 성어로부터 알을 채취하여 인공 부화 후 성어로 기르고, 다시 성장시킨 대형 어류로부터 알을 채취하여 인공 부화시키는 사이클이 완성되면 완전 양식이라고 부른다.[190] 메기, 연어과, 잉어과, 참돔, 복어, 천해성 새우 등 많은 식용 종에서는 기술이 확립되어 완전 양식이 이루어지고 있다.[190] 한편, 식용 어패류로 친숙한 오징어, 문어, 고등어, 정어리, 전갱이, 해산 게, 등에서는 완전 양식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190] 예를 들어, 양식어로 친숙한 방어[190]의 경우, 천연 치어를 포획하여 기르는 축양이 전부를 차지하고 있다.

완전 양식은 "산란", "부화", "치어 육성", "성적 성숙"까지 모든 과정을 최적 조건으로 관리된 환경하에서 실시하는 것으로, 생물의 생태와 각 과정을 상세히 연구하여 최적의 사료, 수온, 밝기 등의 조건을 찾아낼 필요가 있다.[190] 실제로 완전 양식을 하려고 할 경우, 목표로 하는 어종의 생태 해명뿐만 아니라 친어의 사육과 치어의 생산에 드는 생산비용도 중요하며, 생산비용의 상승이 용이한 뱀장어, 참치에서는 기술 개발에 성공하고 있지만, 고등어나 정어리처럼 저렴하게 판매되는 어종에서는 기술 개발도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190] 그러나 21세기에 들어와서, 과거에는 불가능하다고 여겨졌던 뱀장어 등 어패류의 완전 양식 실험이 실험실 수준에서 성공하고[191], 특히 참다랑어는 긴 시간을 들여 완전 양종을 상업적으로 성립시키고 있다.[192] 따라서 향후 기술 발전에 수산업 종사자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완전 양식의 세대를 거듭하면, 양식하기 쉬운 특성을 가진 유전 집단이 형성되는 반면, 단일 형질을 가진 유전적 다양성이 부족한 집단이 된다.[193] 그 결과, 환경 스트레스에 대한 저항성과 내병성을 저하시키는 동시에, 계대 인공 종묘가 친어(Broodstock)가 된 자연계에서의 재생산 사이클이 원활하게 기능하지 않는 원인이 되고 있다는 가능성이 은어에서는 지적되고 있다.[193] 한편, 유전적 다양성을 유지하기 위해, 양식 암컷과 야생 수컷을 교배시켜 차세대 종묘로 함으로써 유전적 다양성의 유지를 도모할 수 있다.[193]

4. 2. 양성

천연의 바다에서 산란·부화하여 생장한 자어나 치어를 천연종묘라 하고, 인공적으로 친어(親魚)를 사육하여 이것으로부터 얻은 자어나 치어를 인공종묘라 한다.[190] 은어·뱀장어·숭어·방어 등의 어류와 조개류의 대부분은 천연 종묘를 사용하고, 잉어·무지개송어·참돔·보리새우·전복 등은 인공종묘를 사용한다. 인공종묘의 생산은 친어·채란·수정·부화·치어사육의 순서로 이루어진다.[190] 부화한 자어는 난황낭을 가지며, 처음에는 먹이를 먹지 않지만 난황낭의 축소와 함께 먹이를 먹게 된다. 치어의 먹이는 크기·부용성·용해성·소화성·보존성을 고려해서 선택한다.[190]

생물의 탄생부터 다음 세대의 지속이라는 사이클을 모두 인공 사육으로 실시하는 것을 '''완전 양식'''(完全養殖)이라고 한다. 예를 들어, 어류의 경우, 성어로부터 알을 채취하여 인공 부화 후 성어로 기르고, 다시 성장시킨 대형 어류로부터 알을 채취하여 인공 부화시키는 사이클이 완성되면 완전 양식이라고 부른다. 메기, 연어과, 잉어과, 참돔, 복어, 천해성 새우 등 많은 식용 종에서는 기술이 확립되어 완전 양식이 이루어지고 있다. 한편, 식용 어패류로 친숙한 오징어, 문어, 고등어, 정어리, 전갱이, 해산 게, 등에서는 완전 양식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예를 들어, 양식어로 친숙한 방어[190]의 경우, 천연 치어를 포획하여 기르는 축양이 전부를 차지하고 있다.

완전 양식은 "산란", "부화", "치어 육성", "성적 성숙"까지 모든 과정을 최적 조건으로 관리된 환경하에서 실시하는 것으로, 생물의 생태와 각 과정을 상세히 연구하여 최적의 사료, 수온, 밝기 등의 조건을 찾아낼 필요가 있다. 실제로 완전 양식을 하려고 할 경우, 목표로 하는 어종의 생태 해명뿐만 아니라 친어의 사육과 치어의 생산에 드는 생산비용도 중요하며, 생산비용의 상승이 용이한 뱀장어, 참치에서는 기술 개발에 성공하고 있지만, 고등어나 정어리처럼 저렴하게 판매되는 어종에서는 기술 개발도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그러나 21세기에 들어와서, 과거에는 불가능하다고 여겨졌던 뱀장어 등 어패류의 완전 양식 실험이 실험실 수준에서 성공하고[191], 특히 참다랑어는 긴 시간을 들여 완전 양종을 상업적으로 성립시키고 있다.[192] 따라서 향후 기술 발전에 수산업 종사자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완전 양식의 세대를 거듭하면, 양식하기 쉬운 특성을 가진 유전 집단이 형성되는 반면, 단일 형질을 가진 유전적 다양성이 부족한 집단이 된다. 그 결과, 환경 스트레스에 대한 저항성과 내병성을 저하시키는 동시에, 계대 인공 종묘가 친어(Broodstock)가 된 자연계에서의 재생산 사이클이 원활하게 기능하지 않는 원인이 되고 있다는 가능성이 은어에서는 지적되고 있다. 한편, 유전적 다양성을 유지하기 위해, 양식 암컷과 야생 수컷을 교배시켜 차세대 종묘로 함으로써 유전적 다양성의 유지를 도모할 수 있다.[193]

4. 3. 출하

5. 한국의 양식 현황

2014년부터 일본 수산청은 양식업계 관계자, 소비자 대표, 학식 경험자 등으로 구성된 양식어류 수급 검토회 의견을 바탕으로 생산량을 조정하는 양식 생산량 가이드라인을 마련하고 있다.[200][201]

5. 1. 주요 양식 어종

양식 대상이 되는 주요 품목은 어류이며, 생산량이 많은 종은 잉어과, 연어과, 틸라피아(Tilapia), 메기(Catfish)이다.[194] 갑각류에서는 천해성 새우 양식이 1970년대부터, 중국털게(上海蟹)는 1990년대부터 급격히 증가했다.[194] 연체동물에서는 굴, 홍합(Mytilus edulis) 등이 있으며, 그 외에 해파리(Jellyfish), 해삼(Sea cucumber), 성게(Sea urchin), 멍게(Sea squirt) 등이 있다.[194]

  • 해조류 양식/Algaculture영어 - 해조류 양식/Seaweed farming영어
  • 연어 양식/Aquaculture of salmonids영어
  • 복어 양식[195]
  • 메기 양식/Aquaculture of catfish영어
  • 갈치 양식/Aquaculture of cobia영어
  • 틸라피아 양식/Aquaculture of tilapia영어
  • 중국의 4대 잉어(흰잉어(Aristichthys nobilis), 검정잉어(Mylopharyngodon piceus), 붕어(Ctenopharyngodon idellus), 초어(Hypophthalmichthys molitrix))
  • 브라인 쉬림프 양식/Aquaculture of brine shrimp영어
  • 민물 새우 양식/Freshwater prawn farming영어
  • 굴 양식/Oyster farming영어
  • 문어 양식/Octopus aquaculture영어
  • 가리비 양식/Scallop aquaculture영어
  • 미국 왕조개 양식/Geoduck aquaculture영어
  • 조개밭/Clam garden영어

:그 외, 전복[196][197][198], 바지락

2015년 농림수산성 어종별 생산량 개략치[202]
순위해면 양식 어종단위 = 1만 t내수면 양식 어종단위 = t
1가리비(ホタテガイ)24.81일본 뱀장어(ニホンウナギ)19,913
2굴류(カキ (貝))14.41은어(アユ)5,083
3부리(ブリ)10.17무지개송어(ニジマス)4,833
4참돔(マダイ)6.35잉어(コイ)3,256
5간파치(カンパチ)3.38기타 연어과 어류2,867
6참다랑어(クロマグロ)1.47
7은연어(ギンザケ)1.39
8멍게류(ホヤ)0.83
9시마아지(シマアジ)0.33
10히라메(ヒラメ)0.25
11쿠루마에비(クルマエビ)0.13
12마아지(マアジ)0.08


5. 2. 지역별 양식 특성

생산되는 어종에 따라 생산지가 크게 다르지만, 생산액으로는 셋토나이카이(瀬戸内海)나 아리아케카이(有明海)와 같은 내해 지역이 상위를 차지한다. 서규슈(西九州)·시코쿠(四国)는 도미, 부리, 뱀장어 양식이 성행한다.[202] 해면어업을 포함하면 홋카이도(北海道)가 가장 많은 생산량을 보인다.[202] 미야기현(宮城県)·이와테현(岩手県)의 산리쿠 해안(三陸海岸)은 동일본대지진(東北地方太平洋沖地震)의 쓰나미(津波)로 인해 큰 피해를 입었다.[202]

2015년 농림수산성 자료에 따르면, 양식업 생산량 상위 도도부현은 다음과 같다.[202]

2015년 농림수산성 양식업 생산량 상위 도도부현 개략치[202]
순위도도부현(해면)단위 = 1만 t해면 최다 생산종도도부현(내수면)단위 = t내수면 최다 생산종
전국106.69전국36,114
1홋카이도(北海道)16.60가리비 13.51가고시마(鹿児島)8,127뱀장어 8,007t
2히로시마(広島)11.07굴 10.68아이치(愛知)6,485뱀장어 5,116t
3아오모리(青森)10.11가리비 10.07미야자키(宮崎)4,014뱀장어 3,315t
4미야기(宮城)7.68다시마·미역류 315시즈오카(静岡)3,255뱀장어 1,834t
5효고(兵庫)7.64다시마 674나가노(長野)1,599무지개송어 767t
6사가(佐賀)6.84다시마 665후쿠시마(福島)1,379잉어 932t
7에히메(愛媛)6.47부리·간파치 214기후(岐阜)1,358은어 897t
8가고시마(鹿児島)4.98부리·간파치 434이바라키(茨城)1,252잉어 1,087t
9구마모토(熊本)4.95해조류 303와카야마(和歌山)991은어 984t
10이와테(岩手)4.29다시마·미역류 329야마나시(山梨)979무지개송어 702t


5. 3. 양식 생산량 및 생산액

세계 수산물 생산량은 2016년 약 1억 7100만 톤으로 정점을 찍었으며, 양식이 전체의 47%를 차지했고, 비식용(어분 및 어유 생산 포함)을 제외하면 53%를 차지했다.[27] 1980년대 후반 이후 어획 생산량은 비교적 정체되어 있는 반면, 양식은 인간 소비를 위한 수산물 공급의 지속적인 성장을 담당해 왔다.[27] 2016년 세계 양식 생산량(수생식물 포함)은 1억 1020만 톤이었으며, 첫 판매 가치는 2,440억 달러로 추산된다. 2022년에는 1억 3,090만톤, 3,128억 달러에 도달했다.[6][7]

2022년 양식 종사자 대부분은 아시아(95%)에 집중되었고, 다음으로 아프리카(3%), 라틴 아메리카와 카리브해(2%) 순이었다.[50]

양식이 세계 어획 및 양식 생산량에 기여하는 비중은 2000년 25.7%에서 2016년 46.8%로 증가했다. 2001년부터 2016년까지 연평균 5.8%의 성장률을 보이며, 양식은 다른 주요 식량 생산 부문보다 빠르게 성장하고 있지만, 1980년대와 1990년대에 경험했던 높은 연간 성장률은 더 이상 유지되지 않고 있다.[27]

2012년 세계 수산물 총 생산량은 1억 5,800만 톤이었으며, 그중 양식이 6,660만 톤으로 약 42%를 차지했다.[51] 양식 시장은 2009년 860억 달러에 달했다.[52][53]

지역별 양식 생산량


항목201120122013201420152016
생산량
어획
내수면10.711.211.211.311.411.6
해양81.578.479.479.981.279.3
어획 총계92.289.590.691.292.790.9
양식
내수면38.64244.846.948.651.4
해양23.224.425.426.827.528.7
양식 총계61.866.470.273.776.180
세계 수산물 총계154156160.7164.9168.7170.9
활용
인간 소비130136.4140.1144.8148.4151.2
비식용2419.620.62020.319.7
인구 (십억 명)77.17.27.37.37.4
1인당 명목 소비량 (kg)18.519.219.519.920.220.3[27]



중국은 보고된 양식업 생산량에서 세계적으로 압도적인 비중을 차지한다.[60] 그러나 중국의 보고 자료 정확성에 대한 역사적인 문제들이 존재한다. 2001년, 과학자 Reg Watson과 다니엘 파울리는 1990년대 중국의 야생 어업 어획량 보고에 과장이 있었다는 우려를 표명했다.[61][62] 신화사는 농업부 어업국 양젠(Yang Jian) 국장의 말을 인용하여 중국의 수치는 "기본적으로 정확하다"고 보도했다.[65] 그러나 유엔 FAO는 중국 통계 자료의 신뢰성에 문제가 있다는 것을 인정했고, 한동안 양식업 데이터를 포함한 중국의 데이터를 전 세계 다른 국가들의 데이터와 별도로 처리했다.[66][67] 1980년대 이후 중국의 양식업 생산량이 급성장하고 있다. 2009년 생산량은 약 8천만 톤이며 생산액은 860억 달러였다.[199]

미국 새우 소비량의 약 90%는 양식 및 수입산이다.[57] 최근 연어 양식은 특히 칠레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도시인 푸에르토몬트를 중심으로 칠레 남부의 주요 수출품이 되었다.

유엔 보고서 "세계 어업 및 양식의 현황"은 어업과 양식이 아시아와 아프리카의 약 6,000만 명의 생계를 지원한다고 밝혔다.[58] FAO는 2016년 전체적으로 여성이 어업 및 양식 1차 부문에 직접 종사하는 모든 사람의 약 14%를 차지했다고 추산한다.[27]

6. 양식 기술

6. 1. 전통 양식 기술

6. 2. 현대 양식 기술

전 세계 수산 양식장 펜스의 그물에는 나일론, 폴리에스터,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플라스틱 코팅 용접 철사, 고무, 특허받은 로프 제품(Spectra, Thorn-D, Dyneema), 아연도금 강철 및 구리를 포함한 다양한 재료가 사용된다.[73][74][75][76][77] 이러한 모든 재료는 설계 가능성, 재료 강도, 비용 및 내식성을 포함한 다양한 이유로 선택된다.

최근 구리 합금은 항균성(즉, 박테리아, 바이러스, 곰팡이, 조류 및 기타 미생물을 파괴함) 때문에 수산 양식에서 중요한 그물 재료가 되었으며, 따라서 생물 부착(즉, 미생물, 식물, 조류, 관벌레, 따개비, 연체동물 및 기타 유기체의 원치 않는 축적, 부착 및 성장)을 방지한다. 구리 합금 양식장 우리는 미생물 성장을 억제함으로써 다른 재료에서 필요한 값비싼 그물 교체를 피할 수 있다. 구리 합금 그물에서 유기체 성장에 대한 저항력은 또한 양식 어류가 성장하고 번성할 수 있는 더 깨끗하고 건강한 환경을 제공한다.

ROV와 AUV같은 무인 선박은 현재 양식업에서 부지 계획, 케이지 또는 그물 검사, 환경 모니터링, 재해 평가 및 위험 감소 등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되고 있다.[78] 무인 선박의 사용은 양식 운영의 안전성, 효율성 및 정확성을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78] 양식업은 수백만 달러 규모의 사업으로 그물과 케이지 유지보수에 의존한다. 예전에는 잠수부가 직접 그물을 검사했지만, 현재는 무인 선박을 사용하여 더 빠르고 효율적인 검사를 수행하고 있다.[79]

바이오플록 기술은 수질을 개선하고 배양된 동물의 먹이가 되는 박테리아 바이오매스를 동시에 생성하는 데 사용된다.[80]

7. 양식의 문제점과 해결 방안

wikitext

양식 기술이 확립되고, 치어에서 성어가 될 때까지의 생존율이 향상되면 생산 과잉이 되어 성어의 시장 가격이 폭락한다. 어떤 어종이 수익성이 높다고 주목받으면 많은 양식업자가 그 어종을 취급하려고 하기 때문에 발생하며, 또 시장 가격이 저렴하다고 해서 장기간 축양하면 사료 비용도 무시할 수 없으므로, 싼값에 출하하지 않을 수 없게 된다.[203] 치어 확보에 제약이 있는 어종의 경우에는 어느 정도 제한이 걸리지만, 유생부터 양식할 수 있는 어종의 경우에는 그러한 제한이 효과가 없다.

사료 과잉 투여나 과밀 양식 등에 의한 주변의 부영양화[203] 및 수질 오염이 지적되고 있다. 양식은 파도와 해류가 잔잔한 내만에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아 해류에 의한 정화 작용이 일어나기 어렵다. 최근에는 사료도 개량되고, 또 투여 기술도 발전하여 먹이 찌꺼기와 오염이 적은 사료가 사용되고 있다. 또한, 복어 양식업자에 의한 포르말린 무단 방류 사건도 과거에는 있었다.

일본 소비자들에게는 천연물 지향이 매우 강하고, “양식물은 무엇을 먹이고 있는지 모른다”는 관념이 지배적이다. 또한, 항생물질 등 투여 물질에 대한 불신도 강하다. 예를 들어, 대일본수산회[204]가 2003년도(헤이세이 15년도)에 실시한 「수산물을 중심으로 한 소비에 관한 조사(젊은층 대상 조사)」에서는 양식어는 해수 오염 문제나 어병 대책에 사용되는 항생물질·항균제 잔류 등 많은 소비자가 불안감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고 보고되고 있다.

양식업자는 사료 개량 등 식미 개량에 노력하고[205] 품질 향상에 힘쓰고 있다. 또한, 관련 단체는 소비자에 대한 홍보 활동 등도 실시하고 있다. 참고로, 양식업자는 “무엇을 먹이로 먹고 있는지 모르는 천연물보다 먹인 사료가 확실한 양식물이 더 안전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실제로, 제철이 아닌 시기에는 천연물보다 양식물이 더 높은 값에 거래되는 경우도 있다.

또한, 최근에는 유전자 재조합 기술을 도입한 “액쿼드밴티지 서몬”과 같은 양식 품종에 대한 안전성에 대한 우려가 논쟁을 일으키고 있다.[206]

완전 양식에 성공한 해산 어류는 적고, 천연의 미성어를 포획하여 양식하는 것이 현실이다. 양식용 치어 전부를 인공적으로 공급하고 있어 자연계의 자원 감소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생각되기 쉽지만, 실제로는 참치류, 뱀장어, 참다랑어 등에서는 자연계에서 치어를 포획하여 기르는 축양이라는 방법으로 양식하고 있으며, 참다랑어의 일부만이 완전 양식되고 있을 뿐, 상업적 규모의 완전 양식에는 이르지 못하고 있으며, 자원 감소의 원인으로 비난받고 있다. 또한, 사료로 사용되는 멸치도 자연계에서 잡은 것이며, 게다가 인간의 식용보다 비료나 양식 사료로서의 소비가 더 많다는 문제도 있다. 브리티시 컬럼비아 대학교 어업 센터의 2006년 조사에 따르면, 어획된 해양 어류의 37%는 양식용 어분 사료가 되고 있다고 한다(1948년에는 7.7%였다)[207]. 다른 수치로는, 물고기 한 마리를 양식하기 위해서는 천연어 19마리가 필요하다는 것이다.[208]

송어연어와 같은 육식성 양식어 1톤을 생산하는 데 소형어 3톤에서 5톤이 필요하다. 세계 어획량의 약 5분의 1이 다른 물고기의 사료가 된다.[209]

갑각류의 양식은 양돈이나 양계보다 CO2 배출량이 많다. 또한, 새우 양식장을 만들기 위해 세계 최대의 CO2 흡수원 중 하나인 맹그로브 숲이 1980년부터 약 150만 헥타르가 사라지고 있다.[210]

외국산 수산물이 다량 유입되어 이들과의 경쟁에 시달리고 있다.

세대를 거듭 교배해 감에 따라 유전적 다양성은 희미해지고, 획일적인 개체군이 형성된다. 이러한 유전적 다양성이 부족한 개체군은 감염병에 대한 내성이 약해 감염병이 만연하기 쉽다. 또한, 자연 환경에 방류 후 환경 적응력이 약해진다는 지적이 있다. 반면, 다양성이 유지되고 있는 개체군이라면 감염을 면하고 생존하는 개체가 있어 멸종 가능성을 낮출 수 있다.[193]

양식용으로 다른 지역에서 들여온 생물이 자연계로 탈출하여 외래종으로 야생화된 사례는 많고, 주변 생태계를 파괴하거나, 재래종과의 교잡에 의한 유전자 교란이 우려된다. 또한, 식물이나 포유류에서 일반적으로 행해지고 있는 F1이라고 불리는 일대잡종 방법을 양식어의 생산성(성장 속도)을 높이기 위해 도입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연어과 어류의 일대잡종에서는 치사성 자어만이 태어나는 조합이 있다.[211] 따라서 양식어가 자연계로 탈출하여 더욱 교잡 개체가 발생하지 않도록 불임 처리를 한 생식 능력이 없는 3배체 암컷(3배체어는 번식력이 없어졌기 때문에 천연어라면 생식을 위해 소비되었던 에너지가 성장에 사용되므로 단기간에 출하 가능한 크기로 성장한다)을 많이 만들고 있다.[212][213]

물에서 건져 올린 물고기는 최대 250분간 감각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214] 신속한 도살이 요구된다. OIE(국제수역사무국)는 수생 동물 위생 규약의 「양식어의 복지」에서 「양식어는 도살되기 전에 기절시켜야 하며, 그 기절 방법은 확실히 즉효성이 있고, 또 의식 상실에서 확실히 회복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기재하고 있다.[215] 그러나 실제로는 그대로 냉장 처리되는 등 기절 처리가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다.

양식 연어에서는, 해 벼룩을 먹이기 위해 놀래기와 같은 청소 물고기가 사용되지만, 부적절한 사육 환경에서 사망률이 매우 높고(최대 100%), 살아남더라도 최종적으로 연어 생산 사이클의 마지막에 죽게 되는 것이 문제 제기되고 있다.[216]

2020년 양식 노르웨이산 연어에서는 생산 비용의 거의 3분의 1이 질병과 이의 관리에 쓰인다.[217]

미국농무부의 조사에 따르면, 양식된 대서양 연어는 천연물의 2배의 지방을 포함하고 있으며, 양식 무지개송어는 천연물과 단백질량은 거의 같지만 지방량은 최대 79% 더 많았다.[218]

7. 1. 문제점

잠재적인 지역 환경 영향을 고려하지 않고 수행될 경우, 내륙 수역의 양식은 야생 어업보다 더 큰 환경 피해를 초래할 수 있다.[81] 내륙 수역 양식에 대한 지역적 우려 사항에는 폐기물 처리, 항생제의 부작용, 양식 어류와 야생 어류 간의 경쟁, 그리고 침입성 식물 및 동물 종 또는 외래 병원균의 유입 가능성이 포함된다.[82][83] 연구 발전과 상업용 사료의 이용 가능성으로 인한 방법 개선은 1990년대와 2000년대에 이러한 우려 사항이 더욱 만연했던 이후로 일부 문제를 해결했다.[82][83]

어류 폐기물은 유기물이며 수생 먹이 그물의 모든 구성 요소에 필요한 영양소로 구성되어 있다. 해양 양식은 종종 정상보다 훨씬 높은 어류 폐기물 농도를 생성한다. 폐기물은 해저에 축적되어 저서 생물을 손상시키거나 제거한다.[84] 폐기물은 또한 수주에서 용존 산소 수준을 감소시켜 야생 동물에 대한 추가적인 압력을 가한다.[85]

일부 육식성 및 잡식성 양식 어종은 야생 어분을 먹이로 사용하며, 특히 연어와 새우와 같은 육식성 어종의 양식은 야생에서 얻는 영양분을 충족시키기 위해 많은 어분을 필요로 한다.[86] 어류는 오메가-3 지방산을 생산하지 않고, 미세조류를 섭취하거나 오메가-3 지방산을 축적한 먹이 어류를 섭취하여 축적한다. 세계 어유 생산량의 50% 이상이 양식 연어에게 먹이로 공급된다.[87] 양식 연어는 최종 생산물로 얻는 것보다 더 많은 야생 어류를 소비하지만, 생산 효율은 향상되고 있다. 양식 연어 1kg을 생산하려면 여러 kg의 야생 어류가 먹이로 사용되는데, 1995년 연어의 "어류 투입 대비 어류 생산량"(FIFO) 비율은 7.5였지만, 2006년에는 4.9로 감소했다.[88] 2012년에는 어유의 34%, 어분의 28%가 잔여물에서 나왔다.[90] 그러나 잔여물에서 얻은 어분과 어유는 재 함량이 높고 단백질 함량이 낮은 다른 구성을 가지므로 양식에 사용할 수 있는 잠재력이 제한될 수 있다.

연어 양식 산업이 확장됨에 따라, 사료를 위한 더 많은 야생 어분이 필요하게 되었으며, 이는 야생 포식성 어류의 생존에 영향을 미친다.[91] 양식이 야생 어류에 미치는 영향을 줄이기 위한 중요한 단계는 육식성 어종을 식물성 사료로 전환하는 것이다. 미국 농무부(USDA)는 양식 송어에 대한 곡물 기반 사료를 사용하는 실험도 했다.[93] 적절하게 배합된 식물성 사료는 육식성 양식 어류에 적절한 영양과 유사한 성장률을 제공할 수 있다.[94]

양식 생산이 야생 어류에 미칠 수 있는 또 다른 영향은 해안 우리에서 탈출한 어류가 야생 개체와 교잡하여 야생 유전자원을 희석시킬 위험이다.[95] 탈출한 어류는 침입종이 되어 토착종과 경쟁할 수 있다.[96][97][98]

노르웨이의 연어 양식


연어 양식장은 일반적으로 깨끗한 연안 생태계에 위치하지만, 이러한 양식장들이 오염의 원인이 된다. 20만 마리의 연어를 사육하는 양식장은 6만 명의 도시보다 더 많은 배설물을 배출하며, 이러한 폐기물은 종종 항생제와 농약을 포함하여 처리되지 않은 채 주변 수생 환경으로 직접 배출된다.[91] 또한, 구리와 아연과 같은 중금속이 연어 양식장 근처의 저서생물(해저)에 축적된다.[117] 2016년, 대량 폐사 사건이 칠레 연안의 연어 양식업자와 더 넓은 생태계에 영향을 미쳤다.[118]

해상 가두리 양식은 양식장이 설치된 해역의 영양염류를 풍부하게 만드는 원인이 된다. 이는 어류 배설물과 먹이 찌꺼기 때문이며, 질소와 인은 유해 조류 번성을 포함한 조류의 성장을 촉진하여 어류에 유독할 수 있다. 해상 가두리 양식으로 인한 오염의 영향 범위는 가두리 위치, 사육 종류, 가두리 사육 밀도, 어류 사료 등에 따라 달라진다.

캐나다 온타리오주의 실험호수지역(Experimental Lakes Area)에서 수행된 실험은 케이지 양식이 담수 생태계에 여러 가지 변화를 일으킬 수 있는 잠재력을 보여주었다. 실험적인 무지개송어(rainbow trout) 케이지 양식장이 설치된 후, 용존 산소 감소와 관련된 각시붕어(mysis) 농도의 극적인 감소가 관찰되었다.[120] 담수 시스템의 부영양화(eutrophication) 원인이 되는 암모늄과 총인의 상당한 증가[121]가 호수의 저층수(hypolimnion)에서 측정되었다. 양식 폐기물로 인한 연간 인 유입량은 대기 침강 및 유입으로 인한 자연적 유입량을 초과했으며,[122] 실험 양식장 설치 후 식물 플랑크톤 생체량이 4배 증가했다.[123]

아쿠어어드밴티지 연어(AquAdvantage salmon)라는 종류의 연어는 더 빠른 성장을 위해 유전자 변형되었지만, 논란으로 인해 상업적 이용이 승인되지 않았다.[124] 변형된 연어는 치누크 연어의 성장 호르몬을 포함하고 있어 대서양 연어의 일반적인 36개월 대신 16~28개월 만에 완전히 성장하며, 사료 소비량도 25% 줄일 수 있다.[125]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아쿠어어드밴티지 연어에 대한 환경 영향 평가 초안을 검토하여 "미국 환경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FONSI)"이라고 결정했다.[126][127]

양식의 주요 어려움은 단일 양식 경향과 이와 관련된 광범위한 어병 및 기생충 질병의 위험성이다. 양식은 환경 위험과도 관련이 있는데, 예를 들어 새우 양식장은 동남아시아 전역의 중요한 맹그로브 숲을 파괴하는 원인이 되었다.[128] 1990년대에는 질병으로 인해 중국의 양식 참가리비 (Farrer's scallop)과 흰다리새우 (Chinese white shrimp)이 멸종되어 다른 종으로 대체해야 했다.[129]

수산 양식은 연평균 9.2%의 성장률을 보이고 있지만, 양식업의 성공과 지속적인 확장은 다양한 바이러스, 박테리아, 균류 및 기생충을 포함한 어류 병원체의 관리에 크게 의존한다. 2014년, 이러한 기생충으로 인해 전 세계 연어 양식 산업이 최대 4억 유로의 손실을 입은 것으로 추산되었다. 병원체는 양식 어류 개체군 내에서 빠르게 확산되므로, 이들의 관리가 해당 부문에 매우 중요하다.

과거에는 박테리아성 전염병에 항생제를 사용했지만, 동물성 단백질 생산은 지속 가능해야 한다. 즉, 생물학적 및 환경적 관점에서 허용 가능한 예방 조치를 사용하여 양식업의 질병 문제를 허용 가능한 수준으로 유지해야 한다. 따라서 백신의 효율성이 향상됨에 따라 90년대 항생제 사용량이 즉각적이고 영구적으로 감소되었다.

수산 양식용 백신은 24종이 있으며, 그중 하나는 바닷가재용 백신이다. 최초의 수산 양식 백신은 1976년 미국에서 적색내장병(enteric red mouth) 예방을 위해 사용되었다. 그러나 현재는 19개 회사와 일부 소규모 이해관계자들이 양식용 백신을 생산하고 있다. 새로운 접근 방식은 질병으로 인한 10%의 양식 손실을 예방하기 위한 방법이다. 유전자 변형 백신은 사회적 우려와 규정으로 인해 EU에서는 사용되지 않고 있다. 한편, DNA 백신은 현재 EU에서 승인되었다.

어류 백신 개발에는 강력한 아주반트(adjuvant) 부족으로 인한 면역 반응 등의 어려움이 있다. 과학자들은 향후 미량 투여(microdose application)를 고려하고 있다. 그러나 기술 비용 감소, 규정 변경, 새로운 항원 발현 및 전달 시스템으로 인해 양식 백신학 분야에는 기회가 존재한다.[130]

mRNA 백신은 DNA 백신보다 안전하고, 안정적이며, 대량 생산이 용이하고, 대규모 면역 접종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어 DNA 백신의 대안으로 여겨진다. 최근에는 암 예방 및 치료에 사용되고 있다. mRNA 백신은 아직 초기 단계이다.[130]

육지 동물 사육과 마찬가지로, 사회적 태도는 양식 해양 동물에 대한 인도적인 관행과 규정의 필요성에 영향을 미친다. 농장 동물 복지 위원회(Farm Animal Welfare Council)에서 제시하는 지침에 따라 동물 복지란 동물의 신체적, 정신적 상태에서 건강과 안녕감을 모두 의미한다. 이는 5대 자유(Five Freedoms)로 정의할 수 있다.

  • 굶주림과 갈증으로부터의 자유
  • 불편함으로부터의 자유
  • 고통, 질병 또는 부상으로부터의 자유
  • 정상적인 행동을 표현할 자유
  • 공포와 고통으로부터의 자유


그러나 양식업에서 논란이 되는 문제는 어류와 양식 해양 무척추동물이 실제로 의식이 있는지 여부이다. 해양 무척추동물에서 이에 대한 증거는 발견되지 않았지만,[99] 최근 연구에 따르면 어류는 유해 자극을 감지하는 데 필요한 수용체(통각 수용체(nociceptors))를 가지고 있으므로 고통, 공포 및 스트레스 상태를 경험할 가능성이 높다.[99][100] 따라서 양식업에서의 복지는 특히 경골어류와 같은 척추동물을 대상으로 한다.[101]

양식업에서의 복지는 사육 밀도, 행동적 상호작용, 질병 및 기생충 감염과 같은 여러 요인의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복지 저하의 원인을 규명하는 데 있어 주요 문제는 이러한 요인들이 서로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고 서로 다른 시기에 서로 영향을 미친다는 점이다.[102]

최적 사육 밀도는 종종 사육 환경의 수용력과 어류가 필요로 하는 개체별 공간의 양으로 정의되며, 이는 종에 따라 매우 다르다. 떼짓기와 같은 행동적 상호작용은 일부 종에게 고밀도 사육이 유익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지만,[99][103] 많은 양식 종에서 고밀도 사육은 우려 사항이 될 수 있다. 과밀은 정상적인 유영 행동을 제한할 뿐만 아니라, 식인,[104] 먹이 경쟁,[105] 세력권 다툼 및 우열 서열과 같은 공격적이고 경쟁적인 행동을 증가시킬 수 있다.[106] 이는 어류 간 접촉이나 어류-생簀 접촉으로 인한 마찰로 인한 조직 손상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다.[99] 어류는 먹이 섭취량과 사료 전환 효율이 감소될 수 있다.[106] 또한, 고밀도 사육은 수류가 불충분하여 산소 공급이 부족하고 배설물이 제거되지 않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103] 용존 산소는 어류 호흡에 필수적이며, 임계 수준 이하의 농도는 스트레스를 유발하고 심지어 질식으로 이어질 수 있다.[106] 암모니아는 질소 배설물이며, 특히 산소 농도가 낮을 때 축적된 수준에서 어류에 매우 유독하다.[107]

이러한 많은 상호 작용과 영향은 어류에 스트레스를 유발하며, 이는 어류 질병을 촉진하는 주요 요인이 될 수 있다.[101] 많은 기생충의 경우, 감염은 숙주의 이동성, 숙주 개체군의 밀도 및 숙주의 방어 시스템의 취약성에 따라 달라진다.[108] 혹파리는 양식 어류의 주요 기생충 문제이며, 다량의 혹파리는 광범위한 피부 침식과 출혈, 아가미 울혈 및 점액 생성 증가를 유발한다.[109] 또한 내부 장기와 신경계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여러 가지 주요 바이러스성 및 세균성 병원균이 있다.[110]

양식업은 해안 생태계에 심각한 위협이 되고 있다. 1980년 이후 맹그로브 숲의 약 20%가 파괴되었는데, 그 이유 중 하나는 새우 양식 때문이다.[113] 맹그로브 생태계를 기반으로 한 새우 양식의 총 경제적 가치에 대한 확장된 비용편익 분석 결과, 외부 비용이 외부 편익보다 훨씬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114] 40년이 넘는 기간 동안 인도네시아에서는 269,000ha의 맹그로브 숲이 새우 양식장으로 전환되었다. 이러한 양식장 대부분은 독소 축적과 영양소 손실 때문에 10년 이내에 폐업한다.[115][116]

폐양식장 퇴적물은 과염분화되고, 산성을 띠며 침식될 수 있다. 이러한 물질은 그 후 오랫동안 양식 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을 수 있다. 생석회를 첨가하는 것과 같은 다양한 화학적 처리 방법은 퇴적물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변화시켜 문제를 악화시킬 수 있다.[132]

양식업은 생산품과 위치에 따라 다양한 해양 쓰레기를 배출합니다. 가장 자주 기록되는 플라스틱 유형은 발포 폴리스티렌(EPS)으로, 부표와 해상 가두리 양식장의 둘레에 널리 사용된다(MEPC 2020).[133] 다른 일반적인 폐기물에는 가두리 그물과 플라스틱 수확 용기가 포함된다.
기타 문제점

  • 생산 과잉: 양식 기술이 확립되고, 치어에서 성어가 될 때까지의 생존율이 향상되면 생산 과잉이 되어 성어의 시장 가격이 폭락한다.
  • 주변 수질 오염: 사료 과잉 투여나 과밀 양식 등에 의한 주변의 부영양화[203] 및 수질 오염이 지적되고 있다. 최근에는 사료도 개량되고, 또 투여 기술도 발전하여 먹이 찌꺼기와 오염이 적은 사료가 사용되고 있다.
  • 품질에 대한 불신: 일본 소비자들에게는 천연물 지향이 매우 강하고, “양식물은 무엇을 먹이고 있는지 모른다”는 관념이 지배적이다. 또한, 항생물질 등 투여 물질에 대한 불신도 강하다.
  • 천연 자원 감소: 완전 양식에 성공한 해산 어류는 적고, 천연의 미성어를 포획하여 양식하는 것이 현실이다.
  • 환경 부하: 갑각류의 양식은 양돈이나 양계보다 CO2 배출량이 많다. 또한, 새우 양식장을 만들기 위해 세계 최대의 CO2 흡수원 중 하나인 맹그로브 숲이 1980년부터 약 150만 헥타르가 사라지고 있다.[210]
  • 외국산 수산물과의 경쟁: 외국산 수산물이 다량 유입되어 이들과의 경쟁에 시달리고 있다.
  • 유전적 다양성이 결여된 집단의 형성: 세대를 거듭 교배해 감에 따라 유전적 다양성은 희미해지고, 획일적인 개체군이 형성된다.
  • 외래종화와 유전자 교란: 양식용으로 다른 지역에서 들여온 생물이 자연계로 탈출하여 외래종으로 야생화된 사례는 많고, 주변 생태계를 파괴하거나, 재래종과의 교잡에 의한 유전자 교란이 우려된다.
  • 어류 복지: 물에서 건져 올린 물고기는 최대 250분간 감각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214] 신속한 도살이 요구된다.
  • 품질 저하: 미국농무부의 조사에 따르면, 양식된 대서양 연어는 천연물의 2배의 지방을 포함하고 있으며, 양식 무지개송어는 천연물과 단백질량은 거의 같지만 지방량은 최대 79% 더 많았다.[218]

7. 2. 친환경 양식

해양 양식 생물의 복지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스트레스를 최소화해야 한다. 장기간 또는 반복적인 스트레스는 다양한 부정적인 영향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111] 양식 과정 전반에 걸쳐 스트레스를 최소화하기 위해 환경적 풍부화를 이해하고 제공하는 것은 성장, 체형 개선, 공격성으로 인한 피해 감소 등 양식 대상에 이점을 제공한다.[111] 성장 단계에서는 각 종에 특정한 적절한 수준으로 사육 밀도를 유지하고, 크기 등급을 분류하여 공격적인 행동적 상호 작용을 줄이는 것이 중요하다. 그물과 우리를 청결하게 유지하면 긍정적인 물 흐름을 유지하여 수질 저하의 위험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된다.

질병과 기생충은 어류 복지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양식업자는 감염된 개체를 관리할 뿐만 아니라 질병 예방 조치를 적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백신 접종과 같은 예방 방법은 추가적인 취급 및 주사로 인해 스트레스를 유발할 수도 있다.[103] 다른 방법으로는 사료에 항생제를 첨가하거나, 치료 목욕을 위해 물에 화학 물질을 첨가하거나, 양식 연어에서 이를 제거하기 위해 청소놀래기를 사용하는 것과 같은 생물학적 방제가 있다.[103]

운송에는 포획, 배설물로 인한 운송수 오염을 줄이기 위한 금식, 그물이나 펌프를 통한 운송 차량으로의 이동, 그리고 운송 및 배송 장소로의 이동 등 여러 단계가 포함된다. 운송 중에는 규제된 온도, 충분한 산소, 최소한의 폐기물을 갖춘 고품질의 물을 유지해야 한다.[101][103] 경우에 따라 운송 전에 물고기를 진정시키기 위해 소량의 마취제를 사용할 수 있다.[103]

양식은 때때로 환경 복원 프로그램의 일부이거나 멸종 위기에 처한 종 보존을 위한 보조 수단으로 사용되기도 한다.[112]

일부 양식업은 맹그로브에서의 새우 양식처럼 생태계에 심각한 피해를 줄 수 있지만, 다른 형태의 양식은 이로운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패류 양식은 환경에 상당한 여과 섭식 능력을 더해주어 수질을 크게 개선할 수 있다. 하나의 은 하루에 57리터의 물을 여과하여 미세 조류 세포를 제거할 수 있다. 이러한 세포를 제거함으로써 패류는 시스템에서 질소와 다른 영양소를 제거하고, 이를 보유하거나 침전물로 배출한다. 이러한 패류를 수확함으로써, 그들이 보유했던 질소는 시스템에서 완전히 제거된다.[134] 다시마 및 기타 대형 조류의 양식 및 수확은 질소와 인과 같은 영양소를 직접 제거한다. 이러한 영양소의 재포장은 부영양화 또는 영양이 풍부한 조건(낮은 용존 산소로 인해 해양 생물의 종 다양성과 종 풍부도가 급감하는 것으로 알려짐)을 완화할 수 있다. 물에서 조류 세포를 제거하면 빛 투과율이 증가하여 잘피와 같은 식물이 다시 자리 잡고 산소 수준을 더욱 높일 수 있다.

특정 지역의 양식은 서식지의 중요한 생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패류 서식지 또는 우리는 서식지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이 구조는 무척추동물, 소형 어류 또는 갑각류의 은신처로 사용되어 개체 수를 증가시키고 생물 다양성을 유지할 수 있다. 은신처의 증가는 먹이가 되는 어류와 작은 갑각류의 개체 수를 증가시켜 더 높은 영양 단계의 먹이를 더 많이 제공한다. 한 연구에 따르면 10제곱미터의 굴초는 생태계의 생물량을 2.57kg 증가시킬 수 있다고 추정했다.[136] 초식동물 패류도 포식될 것이다. 이것은 에너지를 생산자에서 더 높은 영양 단계로 직접 이동시켜 에너지 소비가 많은 여러 영양 단계를 건너뛸 수 있으며, 이는 생태계의 생물량을 증가시킨다.

해조류 양식은 높은 기후변화 완화 잠재력을 가진 탄소 제거 작물이다.[137] IPCC 기후변화에 관한 해양 및 빙권 특별 보고서는 완화 전략으로 "추가 연구"를 권장한다.[138] 재생 해양 양식은 해조류와 패류를 혼합하여 재배하는 다양한 양식 시스템으로, 탄소를 격리하고 물 속의 질소를 감소시키며 산소를 증가시켜 산호초 생태계와 같은 지역 서식지를 재생하고 복원하는 데 도움이 된다.[139]

순환 양식 시스템(RAS)은 물을 여과기로 순환시켜 어류 배설물과 먹이를 제거한 다음 탱크로 다시 순환시켜 물을 절약한다. 이렇게 모인 폐기물은 퇴비로 사용하거나, 어떤 경우에는 처리하여 육지에서 사용할 수도 있다.

중국, 이스라엘, 미국을 포함한 약 16개국이 현재 지열 에너지를 양식에 사용하고 있다.[148] 예를 들어 캘리포니아에서는 15개의 양식장에서 지하의 따뜻한 물을 이용하여 티라피아, 배스, 메기 등을 생산한다. 이 따뜻한 물 덕분에 어류는 일년 내내 성장하고 더 빨리 성숙한다. 이러한 캘리포니아 양식장은 연간 총 450만 킬로그램의 어류를 생산한다.[148]

8. 양식 관련 정책 및 제도 (한국)

대한민국에서는 양식업 관련 정책 및 제도가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 수준에서 시행되고 있다. 하지만, 미국의 사례와 같이, 대한민국 배타적경제수역(EEZ) 해역에서의 해양 양식업을 규율하는 국가 법률은 명확하게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미국의 경우, 2011년 6월 상무부와 국립해양대기청(NOAA)이 국가 양식업 정책을 발표하여 해양 양식업 문제를 해결하고, 건강한 해산물 수요 증가 충족, 연안 지역 일자리 창출, 생태계 복원 등을 목표로 삼았다.[153]

미국에서는 연간 20,000파운드(약 9,072kg) 이상을 생산하는 대규모 양식 시설은 깨끗한 물법에 따라 폐수 배출 허가를 받아야 한다.[154] 연간 최소 100,000파운드(약 45,359kg)의 어류, 연체류, 갑각류를 생산하는 시설은 특정 국가 배출 기준을 적용받으며,[155] 다른 허가 시설은 사례별로 개발된 배출 제한을 적용받는다.[154]

양식업 관행을 규율하는 법률은 국가마다 크게 다르며,[151] 엄격하게 규제되지 않거나 추적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9. 양식 관련 연구 개발 (한국)

수산 양식은 연평균 9.2%의 성장률을 보이지만, 바이러스, 박테리아, 균류, 기생충 등 어류 병원체의 관리가 양식업의 성공과 확장에 매우 중요하다.[130] 과거에는 박테리아성 전염병에 항생제를 사용했으나, 동물성 단백질 생산의 지속 가능성을 위해 예방 조치를 사용하는 추세이다.[130] 백신 효율성이 향상되면서 90년대 항생제 사용량이 감소했고, 초기에는 비브리오병에 효과적인 침지 백신이 사용되었으나, 푸루네쿨로시스에는 효과가 없어 주사 백신이 등장했다.[130] 처음에는 수성 백신, 이후에는 유성 백신이 개발되었다.[130]

높은 폐사율은 양식 어류의 주요 문제이며, DNA 주입 백신은 효과적이지만 안전성, 부작용, 사회적 기대 등으로 인해 새로운 백신 벡터 연구가 진행 중이다.[130] 유럽 연합은 사료에 박테리아를 이용한 백신 제조, 특히 DNA 변형 유산균을 이용하는 방법을 개발하기 위한 계획에 자금을 지원하고 있다.[130] 백신 주입은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에, 사료 첨가나 물에 직접 투여하는 경구 또는 침지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130]

백신 항원은 각 종에 맞게 조정되어야 하며, 특정 수준의 변이성을 나타내지 않아야 효과가 있다.[130] 예를 들어, ''Lepeophtheirus salmonis''와 ''Caligus rogercresseyi''를 대상으로 한 시험에서, 두 종 간 상동성이 높음에도 불구하고 변이 수준으로 인해 보호 효과가 없었다.[130]

수산 양식용 백신은 24종이 있으며, 최초의 수산 양식 백신은 1976년 미국에서 적색내장병 예방을 위해 사용되었다.[130] 현재 19개 회사와 일부 소규모 이해관계자들이 양식용 백신을 생산하고 있다.[130] 유전자 변형 백신은 사회적 우려와 규정으로 EU에서는 사용되지 않지만, DNA 백신은 현재 EU에서 승인되었다.[130]

어류 백신 개발에는 면역 반응 등의 어려움이 있지만, 기술 비용 감소, 규정 변경, 새로운 항원 발현 및 전달 시스템으로 인해 양식 백신학 분야에 기회가 존재한다.[130] 노르웨이에서는 전염성 췌장 괴사에 대한 아단위 백신(VP2 펩타이드)이, 캐나다에서는 전염성 혈액종양 괴사에 대한 DNA 백신이 산업용으로 출시되었다.[130]

어류는 점막 표면이 넓어 침지, 복강 내, 경구 투여가 바람직하며, 전달 목적으로 나노입자가 개발 중이다.[130] 일반적으로 생성되는 항체는 IgM과 IgT이며, 어류는 부스터 접종으로 항체 수치가 증가하기보다는 기억 세포가 더 많이 생성되므로 부스터 접종이 필요하지 않다.[130]

mRNA 백신은 DNA 백신보다 안전하고, 안정적이며, 대량 생산이 용이하고, 대규모 면역 접종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어 대안으로 여겨진다.[130] 최근에는 암 예방 및 치료에 사용되며, 광견병 연구에서 효능이 투여량과 경로에 따라 달라짐을 보여주었다.[130] mRNA 백신은 아직 초기 단계이다.[130]

2014년 양식 어류 생산량이 인간 식량 공급 측면에서 야생 어획량을 추월하여 질병 예방 백신 수요가 매우 크다.[130] 보고된 연간 어류 손실액은 100억 달러가 넘으며, 이는 전염병으로 사망하는 모든 어류의 약 10%에 해당한다.[130] 높은 연간 손실은 백신 수요를 증가시키며, 기존 백신 외에도 더 많은 백신이 필요하다.[130] DNA 백신의 발전으로 백신 비용이 감소했다.[130] 백신의 대안으로 항생제와 화학요법이 있지만, 더 비싸고 단점이 커서 DNA 백신이 전염병 예방의 가장 비용 효율적인 방법이 되었다.[131]

10. 양식의 미래

야생 어업이 쇠퇴하고 하구와 같은 서식지가 심각한 상태에 놓이면서,[140] 양식업은 새로운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그러나 연어와 같은 육식성 어류 양식은 어분과 어유를 먹이로 사용해야 하므로, 야생 연어와 먹이 어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문제점이 있다.[141][142]

반면, 해조류, , 조개, 홍합, 가리비와 같은 여과 섭식성 이매패류 양식은 환경 회복적이며,[10] 물속 오염 물질과 영양분을 여과하여 수질을 개선한다.[143] 해조류는 무기 질소와 을 직접 추출하고,[70] 여과 섭식성 연체동물은 식물 플랑크톤과 부유물을 먹어 영양분을 추출한다.[144]

통합 해충 관리 적용, 백신 사용을 통한 항생제 사용 감소 등 지속 가능한 양식 관행을 장려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145][146] 육상 순환 양식 시스템(RAS), 다양 양식 기술, 적절한 위치 선정은 부정적인 환경 영향을 관리하는 방법의 예시이다.

순환 양식 시스템(RAS)은 물을 여과하여 어류 배설물과 먹이를 제거하고 탱크로 다시 순환시켜 물을 절약하며, 폐기물은 퇴비로 사용하거나 처리하여 육지에서 사용할 수 있다.[147] 농업 연구 서비스는 저염도 수역에서 RAS를 사용하여 해수어를 사육하는 방법을 연구하고 있으며, 이는 긍정적인 환경 및 경제적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147]

중국, 이스라엘, 미국 등에서는 지열 에너지를 양식에 활용하여 어류의 성장 속도를 높이고 있다.[148] 캘리포니아의 양식장들은 지하의 따뜻한 물을 이용하여 티라피아, 배스, 메기 등을 생산하며 연간 450만 킬로그램의 어류를 생산한다.[148]

UN 지속가능발전목표 14("물속 생명")의 목표 14.7은 지속 가능한 어업, 양식업을 통해 소규모도서개발도상국과 최빈개도국의 경제적 이익 증대를 목표로 한다.[149][150]

11. 같이 보기

참조

[1] 서적 Garner's Modern English Usage http://www.lawprose.[...] Oxford University Press
[2] 웹사이트 Answers – The Most Trusted Place for Answering Life's Questions http://www.answers.c[...]
[3] 웹사이트 Study: Aquaculture can be 'part of the solution' to marine ecosystem restoration - Responsible Seafood Advocate https://www.globalse[...] 2023-02-22
[4] 웹사이트 What is aquaculture? https://oceanservice[...]
[5] 간행물 Global Aquaculture Production http://www.fao.org/f[...] FAO 2011-10-02
[6] 웹사이트 Global Aquaculture Production 1950–2019 https://www.fao.org/[...] 2022-02-02
[7] 서적 The State of World Fisheries and Aquaculture 2024 https://openknowledg[...] FAO 2024-06-07
[8] 간행물 FAO's work on climate change Fisheries & aquaculture 2019 http://www.fao.org/3[...]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9] 간행물 FAO: 'Fish farming is the way forward.'(Big Picture)(Food and Agriculture Administration's 'State of Fisheries and Aquaculture' report). http://find.galegrou[...] The Ecologist 2009-10-01
[10] 웹사이트 The Case for Fish and Oyster Farming http://uscnews.usc.e[...]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Trojan Family Magazine 2009-05-17
[11] 뉴스 The promise of a blue revolution http://www.economist[...] The Economist 2003-08-07
[12] 서적 The Ocean World of Jacques Cousteau: The Act of life World Pub
[13] 논문 Rapid Domestication of Marine Species
[14] 서적 Guns, Germs, and Steel W.W. Norton & Company, Inc.
[15] 논문 A deep-sea bacterium related to coastal marine pathogens 2021-09-00
[16] 웹사이트 Aquatic animal disease and human health https://www.dpi.nsw.[...] 2016-04-26
[17] 논문 The use of lumpfish (Cyclopterus lumpus L.) to control sea lice (Lepeophtheirus salmonis Krøyer) infestations in intensively farmed Atlantic salmon (Salmo salar L.) 2014-03-20
[18] 웹사이트 DEPOMOD and AutoDEPOMOD — Ecasa Toolbox http://www.ecasatool[...]
[19] 서적 World Food and Agriculture – Statistical Yearbook 2021 https://www.fao.org/[...]
[20] 논문 Effect of aquaculture on world fish supplies 2000-06-29
[21] 웹사이트 Turning the tide http://www.fcrn.org.[...]
[22] 서적 Understanding and measuring the contribution of aquaculture and fisheries to gross domestic product (GDP) https://www.worldcat[...]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2019
[23] 서적 The state of world fisheries and aquaculture 2020 : sustainability in action https://www.worldcat[...]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2020
[24] 논문 Qian, P. Y., Xu, Y. & Fusetani, N. Natural products as antifouling compounds: recent progress and future perspectives https://www.research[...]
[25] 웹사이트 FishStat database http://faostat.fao.o[...]
[26] 서적 World Food and Agriculture – Statistical Yearbook 2020 https://doi.org/10.4[...] FAO
[27] 간행물 In brief, The State of World Fisheries and Aquaculture, 2018 http://www.fao.org/3[...] FAO
[28] 웹사이트 HDPE Pipe used for Aquaculture pens. https://www.acu-tech[...]
[29] 논문 Dollars without sense: The bait for big-money tuna ranching around the world
[30] 논문 Farming the Sea
[31] 논문 Future Seascapes, Fishing, and Fish Farming 2005-02-00
[32] 서적 World Fish Farming: Cultivation and Economics AVI Publishing 1983
[33] 웹사이트 About Seafood Watch http://www.montereyb[...] Monterey Bay Aquarium
[34] 간행물 Farming Freshwater Prawns http://library.enaca[...] FAO
[35] 웹사이트 Freshwater Prawn Book http://www.shrimpnew[...] Wiley Blackwell 2010
[36] 웹사이트 FAO Fisheries Global Aquaculture Production Database http://www.fao.org/f[...] 2005-06-28
[37] 논문 A review of astaciculture: freshwater crayfish farming
[38] 서적 Shellfish Aquaculture and the Environment
[39] 웹사이트 Belgians Start Growing Mussels on Offshore Wind Farms http://www.offshorew[...] Navingo BV 2017-06-02
[40] 웹사이트 Abalone Farming Information http://www.fishtech.[...] 2007-11-08
[41] 뉴스 Abalone Farming on a Boat https://www.wired.co[...] 2002-01-25
[42] 웹사이트 Sustainable Seafood, Farmed Seafood http://worldwildlife[...] World Wildlife Fund 2013-05-30
[43] 웹사이트 Information Memorandum, 2013 Ranching of Greenlip Abalone, Flinders Bay – Western Australia https://web.archive.[...] 2016-04-23
[44] 뉴스 First wild abalone farm in Australia built on artificial reef http://www.abc.net.a[...] Australian Broadcasting Corporation 2014-08-28
[45] 뉴스 Abalone grown in world-first sea ranch in WA 'as good as wild catch' http://www.abc.net.a[...] Australian Broadcasting Corporation 2016-04-23
[46] 웹사이트 Chapter 7: Correlation and Simple Linear Regression Natural Resources Biometrics https://courses.lume[...] 2023-10-19
[47] 웹사이트 Wild product's versatility could push price beyond $2 for Alaska dive fleet https://web.archive.[...] National Fisherman 2008-08-01
[48] 서적 World Food and Agriculture – Statistical Yearbook 2021 https://doi.org/10.4[...] FAO
[49] 서적 The State of World Fisheries and Aquaculture 2024 https://openknowledg[...] FAO 2024-06-07
[50] 서적 The State of World Fisheries and Aquaculture 2024 https://openknowledg[...] FAO 2024-06-07
[51] 간행물 The State of World Fisheries and Aquaculture 2014 (SOFIA) http://www.fao.org/3[...] FAO
[52] 기타
[53] 뉴스 Company says FDA is nearing decision on genetically engineered Atlantic salmon https://www.washingt[...] 2010-08-02
[54] 잡지 Wired 12.05: The Bluewater Revolution https://www.wired.co[...] 2004-05
[55] 뉴스 Fish Farming's Bounty Isn't Without Barbs https://web.archive.[...] 2005-01-24
[56] 웹사이트 Environmental Impact of Aquaculture http://www.providenc[...] 2004-08-20
[57] 웹사이트 The State of World Fisheries and Aquaculture http://www.fao.org/d[...]
[58] 뉴스 Fisheries and aquaculture have good future https://web.archive.[...] Herald Globe
[59] 웹사이트 Life below water SDG 14: Life below water https://datatopics.w[...] 2024-06-08
[60] 웹사이트 Output of Aquatic Products http://www.allcountr[...] 2011-04-23
[61] 논문 Systematic distortions in world Fisheries catch trends https://web.archive.[...]
[62] 논문 China caught out as model shows net fall in fish
[63] 웹사이트 Chinese Misreporting Masks Dramatic Decline In Ocean Fish Catches http://www.seaaround[...] Associated Press 2001-11-29
[64] 뉴스 Something fishy about the figures http://www.seaaround[...] The Irish Times 2002-03-14
[65] 뉴스 China disputes claim it over reports fish catch http://www.seaaround[...] Associated Press 2002-12-17
[66] 웹사이트 The State of World Fisheries and Aquaculture (SOPHIA) ftp://ftp.fao.org/do[...]
[67] 웹사이트 FAO Fisheries Department – FISHERY STATISTICS: RELIABILITY AND POLICY IMPLICATIONS http://www.fao.org/3[...]
[68] 웹사이트 FAO summary https://web.archive.[...] 2018-04
[69] 웹사이트 Marine Aquaculture in the United States: Environmental Impacts and Policy Options https://www.iatp.org[...] 2019-07-15
[70] 논문 Integrating seaweeds into marine aquaculture systems: a key toward sustainability
[71] 간행물 Integrated multi-trophic aquaculture. What it is, and why you should care… and don't confuse it with polyculture. 2006-07-01
[72] 논문 Integrated aquaculture: rationale, evolution and state of the art emphasizing seaweed biofiltration in modern mariculture 2004-01-01
[73] 보고서 Offshore Aquaculture in the United States: Economic considerations, implications, and opportunities U.S. Department of Commerce, National Oceanic &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08-07-01
[74] 서적 Marine biofouling on fish farms and its remediation 2005-01-01
[75] 웹사이트 Commercial and research fish farming and aquaculture netting and supplies http://www.sterlingn[...] Sterlingnets.com 2010-06-16
[76] 웹사이트 Aquaculture Netting by Industrial Netting https://web.archive.[...] Industrialnetting.com 2010-06-16
[77] 웹사이트 Caged Culture https://web.archive.[...] Southern Regional Aquaculture Center 2011-08-15
[78] 웹사이트 The Use of Uncrewed Vehicles in Coastal Aquaculture https://content.ces.[...] 2024-01-11
[79] 웹사이트 Contributing to Faster, More Efficient Aquaculture Cage Net Inspection with Autonomous ROV Navigation https://www.ecomagaz[...] 2024-01-11
[80] 논문 Monitoring and managing microbes in aquaculture – Towards a sustainable industry 2016-09-01
[81] 서적 Collapse: How societies choose to fail or succeed Viking Press 2005-01-01
[82] 서적 Ecological Aquaculture Blackwell Science 2002-01-01
[83] 뉴스 Food made from natural gas will soon feed farm animals – and us https://www.newscien[...] 2016-11-10
[84] 뉴스 Making Fish Farming More Sustainable http://blogs.ei.colu[...] 2016-04-13
[85] 논문 Fish farms harm local food supply 2006-01-01
[86] 웹사이트 Aquaculture Production Trends Analysis http://www.fao.org/3[...] 2000-01-01
[87] 웹사이트 World Review of Fisheries and Aquaculture Highlights of Special Studies ftp://ftp.fao.org/do[...] 2018-08-01
[88] 논문 Global overview on the use of fish meal and fish oil in industrially compounded aquafeeds: Trends and future prospects http://www.nmfs.noaa[...] 2008-01-01
[89] 웹사이트 The Bane of Unsustainable Fishing. https://www.safinace[...] 2020-06-19
[90] 웹사이트 OECD-FAO Agricultural Outlook http://www.keepeek.c[...] OECD 2014-01-01
[91] 웹사이트 It's all about salmon http://www.seafoodch[...] Seafood Choices Alliance 2005-01-01
[92] 논문 Atlantic Salmon (Salmo salar): The "Super-Chicken" of the Sea? 2011-01-01
[93] 웹사이트 USDA Grains Project http://www.ars.usda.[...] USDA ARS
[94] 웹사이트 The Future of Aquafeeds http://www.nmfs.noaa[...] NOAA/USDA 2011-01-01
[95] 웹사이트 Oceans http://arquivo.pt/wa[...]
[96] 간행물 Aquaculture's growth continuing: improved management techniques can reduce environmental effects of the practice. (UPDATE) 2009-10-01
[97] 논문 Growing, losing or introducing? Cage aquaculture as a vector for the introduction of non-native fish in Furnas Reservoir, Minas Gerais, Brazil 2011-01-01
[98] 논문 How to avoid fish introductions in Brazil: education and information as alternatives 2015-01-01
[99] 논문 Science-based assessment of welfare: Aquatic animals 2005-01-01
[100] 논문 Can fish suffer?: Perspectives on sentience, pain, fear and stress 2004-01-01
[101] 논문 Stress and the welfare of cultured fish 2004-01-01
[102] 논문 Current issues in fish welfare https://web.archive.[...] 2006-01-01
[103] 논문 Fish welfare: Current issues in aquaculture 2007-01-01
[104] 논문 Dynamics of intracohort cannibalism in cultured fish 2002-01-01
[105] 논문 The form and context of aggressive behaviour in farmed Atlantic halibut (Hippoglossus hippoglossus L.) 2001-01-01
[106] 논문 The relationships between stocking density and welfare in farmed rainbow trout
[107] 논문 Interactive effects of ammonia and oxygen on growth and physiological status of juvenile Atlantic cod (''Gadus morhua'')
[108] 논문 Diseases caused by parasites in the aquaculture of warm water fish
[109] 논문 A review of the impact of parasitic copepods on marine aquaculture
[110] 논문 Disease interaction and pathogens exchange between wild and farmed fish populations with special reference to Norway https://brage.bibsys[...]
[111] 논문 Physical enrichment research for captive fish: Time to focus on the DETAILS https://onlinelibrar[...]
[112] 서적 Aquaculture Development https://books.google[...] Food & Agriculture Org.
[113] 논문 Trade-offs of mangrove area development in the Philippines
[114] 논문 Economic Valuation of a Mangrove Ecosystem Threatened by Shrimp Aquaculture in Sri Lanka
[115] 서적 Coastal Waters of the World: Trends, Threats, and Strategies https://books.google[...] Island Press 1999-02-01
[116] 웹사이트 Meat and Fish http://atlas.aaas.or[...]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2010-01-04
[117] 웹사이트 Cultured Aquatic Species Information Programme ''Oncorhynchus kisutch'' (Walbaum, 1792) http://www.fao.org/f[...] 2009-05-08
[118] 뉴스 Chile's salmon farms lose $800m as algal bloom kills millions of fish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16-05-07
[119] 뉴스 Wave of dead sea creatures hits Chile's beaches http://www.abc.net.a[...] 2016-05-07
[120] 논문 The response of zooplankton in a whole-lake experiment on the effects of a cage aquaculture operation for rainbow trout (Oncorhynchus mykiss) 2010-11-03
[121] 논문 Eutrophication and Recovery in Experimental Lakes: Implications for Lake Management 1974-05-24
[122] 논문 Phosphorus budget and productivity of an experimental lake during the initial three years of cage aquaculture 2008-11-04
[123] 논문 Aquaculture impacts on the algal and bacterial communities in a small boreal forest lakeThis paper is part of the series "Forty Years of Aquatic Research at the Experimental Lakes Area". 2009-10-21
[124] 간행물 Super Salmon: The Industrialisation of Fish Farming and the Drive Towards GM Technologies in Salmon Production http://www.conversat[...] University of Otago 2006
[125] 웹사이트 Would you eat AquAdvantage salmon if approved? http://blogs.scienti[...] 2013-04-26
[126] 웹사이트 AquAdvantage Salmon https://www.fda.gov/[...] FDA
[127] 서적 Encyclopedia of Ocean Sciences https://archive.org/[...] Academic Press
[128] 서적 Encyclopedia of Ocean Sciences https://archive.org/[...] Academic Press
[129] 간행물 An Overview of China's Aquaculture http://china.nlambas[...] Netherlands Business Support Office (Dalian) 2010
[130] 논문 Progress,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in fish vaccine development 2019-07
[131] 논문 Effect of a novel DNA vaccine against pancreas disease caused by salmonid alphavirus subtype 3 in Atlantic salmon (Salmo salar). 2021-01
[132] 논문 World Aquaculture: Environmental Impacts and Troubleshooting Alternatives 2012-04-29
[133] 웹사이트 Drowning in Plastics – Marine Litter and Plastic Waste Vital Graphics http://www.unep.org/[...] 2021-10-21
[134] 논문 Nutrient Bioassimilation Capacity of Aquacultured Oysters: Quantification of an Ecosystem Service
[135] 논문 Top-down control of phytoplankton by oysters in Chesapeake Bay, USA 2007
[136] 논문 Estimated enhancement of fish production resulting from restoring oyster reef habitat: quantitative valuation
[137] 논문 Can Seaweed Farming Play a Role in Climate Change Mitigation and Adaptation?
[138] 서적 IPCC Special Report on the Ocean and Cryosphere in a Changing Climate
[139] 웹사이트 Regenerative Ocean Farming: How Can Polycultures Help Our Coasts? https://smea.uw.edu/[...] 2021-03-15
[140] 서적 Environmental and Natural Resource Economics: A Contemporary Approach Pearson/Addison Wesley
[141] 논문 The Great Salmon Run: Competition Between Wild And Farmed Salmon http://search.worldw[...] World Wildlife Fund 2018-04-00 # dead link date
[142] 뉴스 Salmon Farming May Doom Wild Populations, Study Says https://www.washingt[...] 2007-12-14
[143] 저널 Some aspects of water filtering activity of filter-feeders http://cat.inist.fr/[...] 2009-09-26
[144] 웹사이트 Environmental impacts of shellfish aquaculture http://mdsg.md.cgcli[...] 2009-10-08
[145] 웹사이트 Aquaculture: Issues and Opportunities for Sustainable Production and Trade http://ictsd.net/i/e[...] ITCSD 2006-07-00
[146] 웹사이트 Marine Aquaculture in the United States http://iis-db.stanfo[...] 2005-01-06
[147] 웹사이트 Growing Premium Seafood-Inland! http://www.ars.usda.[...] USDA Agricultural Research Service 2009-02-00
[148] 서적 Plan B 2.0: Rescuing a Planet Under Stress and a Civilization in Trouble https://books.google[...] W. W. Norton & Company 2006
[149] 간행물 Work of the Statistical Commission pertaining to the 2030 Agenda for Sustainable Development https://undocs.org/A[...] United Nations 2017-07-06
[150] 웹사이트 SDG 14 – Measuring progress towards the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https://sdg-tracker.[...] 2018
[151] 웹사이트 Fisheries & Aquaculture Fact Sheets http://www.fao.org/f[...]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Fisheries Division 2021-07-25
[152] 웹사이트 U.S. Aquaculture Legislation Timeline http://www.oceanecon[...] Middlebury Institute of International Studies 2007-08-01
[153] 웹사이트 Commerce and NOAA release national aquaculture policies to increase domestic seafood production, create sustainable jobs, and restore marine habitats http://www.noaanews.[...] 2015-06-08
[154] 웹사이트 Aquaculture NPDES Permitting https://www.epa.gov/[...]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EPA) 2023-03-21
[155] 웹사이트 Concentrated Aquatic Animal Production Effluent Guidelines https://www.epa.gov/[...] EPA 2023-06-22
[156] 웹사이트 National Heritage Places – Budj Bim National Heritage Landscape http://www.environme[...] 2020-01-30
[157] 뉴스 Aborigines may have farmed eels, built huts http://www.abc.net.a[...] 2003-03-13
[158] 웹사이트 Lake Condah Sustainability Project http://www.lakeconda[...] 2010-02-18
[159] 뉴스 Ancient Indigenous aquaculture site Budj Bim added to UNESCO World Heritage list https://www.abc.net.[...] 2019-07-06
[160] 웹사이트 World heritage Places – Budj Bim Cultural Landscape http://www.environme[...] 2020-03-11
[161] 웹사이트 History of Aquaculture http://www.fao.org/d[...]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United Nations 2009-08-23
[162] 뉴스 Aquaculture may be the future of seafood, but its past is ancient https://arstechnica.[...] 2019-09-17
[163] 저널 Tooth oxygen isotopes reveal Late Bronze Age origin of Mediterranean fish aquaculture and trade
[164] 웹사이트 gim http://encykorea.aks[...] Academy of Korean Studies
[165] 웹사이트 gim http://premium.brita[...]
[166] 웹사이트 ... Make Unusual Aquaculture https://news.softped[...] 2007-01-30
[167] 저널 The Harbor and Fishery Remains at Cosa, Italy
[168] 서적 Introduction to aquaculture United Nations Development Programme,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Nigerian Institute for Oceanography and Marine Research
[169] 서적 Salt: A World History https://archive.org/[...]
[170] 저널 Les étangs de Marcoussis. Un exemple d'exploitation piscicole dans la région parisienne à la fin du XVe siècle https://shs.hal.scie[...] 2024-05-08
[171] 웹사이트 Fishpond Network in the Trebon Basin https://whc.unesco.o[...] UNESCO 2015-10-01
[172] 서적 Samoa Fishing and Aquaculture Industry Handbook - Strategic Information and Regulations https://books.google[...] International Business Publications, USA
[173] 저널 Aquaculture in ancient Hawaii http://hawaiiseed.or[...]
[174] 웹사이트 Ein Lipper macht sich Gedanken ... https://lippisches-l[...]
[175] 웹사이트 A Brief History of Oystering in Narragansett Bay http://web.uri.edu/q[...] URI Alumni Magazine, University of Rhode Island 2015-10-01
[176] 뉴스 The cultivation of ice (1855) - on Newspapers.com https://www.newspape[...] 2015-12-10
[177] 뉴스 Agricultural. New agricultural practises by A. N. Cole. Subirrigation, methods and results (1888) - on Newspapers.com https://www.newspape[...] 2015-12-10
[178] oed aquaculture
[179] oed aquiculture
[180] 논문 The Progress of Fish-culture in the United States http://penbay.org/co[...]
[181] 뉴스 Food from the sea. Remarkable results of the experiments in cod and lobster,(aquaculture, 1890) - on Newspapers.com https://www.newspape[...] 2015-12-10
[182] 논문 A brief history of the American Fish Culture Company 1877–1997 http://works.bepress[...] 2010
[183] 논문 Seaweed for War: California's World War I Kelp Industry
[184] 뉴스 心の支えはカープの勝利 西日本豪雨でコイの養魚場被害 https://www.sankei.c[...] 産経フォト 2018-10-24
[185] 뉴스 クロマグロ漁獲規制、14年度から 日本への影響「ほとんどない」 https://www.j-cast.c[...] J-CAST ニュース 2013-09-24
[186] 뉴스 クロマグロ規制強まる 幼魚の漁獲枠削減へ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13-12-03
[187] 간행물 (3)様々な養殖の方法 http://www.jfa.maff.[...] 水産白書 2018-10-24
[188] 뉴스 【世界経済 見て歩き】ノルウェー・ヒトラ島 オーシャンファーム1/革命的な「外洋養殖」油田技術応用 サーモン10倍 https://mainichi.jp/[...] 毎日新聞 2018-10-24
[189] 서적 Piscinae: Artificial Fishponds in Roman Italy https://books.google[...] UNC Press Books 1997-01-01
[190] 웹사이트 香川のハマチ養殖の概要 http://www.kagyoren.[...] 香川県かん水養殖漁業協同組合
[191] 뉴스 世界初、ウナギを完全養殖に成功 http://www.sanspo.co[...] 産経スポーツ
[192] 논문 クロマグロ完全養殖の達成 https://doi.org/10.2[...] 日本水産学会 2003-01
[193] 논문 アユを絶やさないための生態研究 https://doi.org/10.2[...]
[194] 웹사이트 FishStat database http://faostat.fao.o[...]
[195] 특허 フグの養殖方法 https://patents.goog[...] 2023-03-21
[196] 웹사이트 ヒオウギガイ養殖に取り組んで https://www.pref.kum[...] 熊本県
[197] 논문 和歌山県田辺湾の養殖ヒオウギガイ(イタヤガイ科)の稀少な色彩変異個体 https://hdl.handle.n[...] 2011-12-20
[198] 웹사이트 貝の養殖方法は何種類くらいありますか。:農林水産省 https://www.maff.go.[...] 2023-08-24
[199] 뉴스 Company says FDA is nearing decision on genetically engineered Atlantic salmon https://www.washingt[...] Washington Post 2010-08-02
[200] 웹사이트 養殖魚需給検討会:水産庁 https://www.jfa.maff[...] 2024-12-09
[201] 논문 海面養殖業の現状と動向 https://www.jstage.j[...]
[202] 웹사이트 平成27年漁業・養殖業生産統計(概数値) http://www.maff.go.j[...] 農林水産省
[203] 논문 魚類養殖場直下に堆積したヘドロ(有機汚泥)のイトゴカイによる浄化の試み https://doi.org/10.2[...]
[204] 웹사이트 大日本水産会 http://www.suisankai[...]
[205] 웹사이트 かぼすブリ http://www.pride-fis[...] 大分県
[206] 뉴스 遺伝子組み換え鮭が食卓へ http://wired.jp/1999[...] WIRED JAPAN 2015-08-06
[207] 서적 動物工場 緑風出版 2016-03-10
[208] 웹사이트 Animal Product Impact Scales: 2022 Update https://faunalytics.[...] 2022-12-10
[209] 서적 ファーマゲドン 日経BP社 2020-01-25
[210] 웹사이트 甲殻類の培養で水産業の課題解決を シンガポール、代替タンパク質の一大拠点へ(後編) https://www.jetro.go[...] 2022-03-18
[211] 논문 サケ科魚類の致死性雑種と染色体異常 2006
[212] 간행물 試験研究は今 NO.183 -先端技術開発研究(水産孵化場)のこれまでの成果 http://www.fishexp.h[...] 北海道立総合研究機構水産研究本部
[213] 간행물 ニジマス四倍体との交雑による異質三倍体の作出 http://agriknowledge[...] 2005-03-00
[214] 웹사이트 humane slaughter Processing of wild-caught fish alive when landed http://fishcount.org[...] 2022-07-01
[215] 웹사이트 SECTION 7. WELFARE OF FARMED FISH woah.org/en/what-we-[...] 2022-07-01
[216] 웹사이트 Cleaner Fish - the millions of hidden casualties of the salmon industry Author: Dr. Diane A. Austry https://www.conserva[...] 2022-06-03
[217] 웹사이트 Animals Farmed: salmon farm disease, chicken tariffs in Africa and the return of China’s wildlife farms https://www.theguard[...] 2023-01-11
[218] 서적 ファーマゲドン 日経BP社 2020-01-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