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마르크 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르크 리는 스위스 출신의 미디어 작가로, 1990년대 후반부터 네트워크상의 정보와 소통을 주제로 인터랙티브 프로젝트를 진행해 왔다. 그는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여 인터넷의 구조와 작동 방식, 그리고 인간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한 작품을 선보이며, ZKM 카를스루에, 뉴 뮤지엄 뉴욕, 트랜스미디얼레 베를린 등 주요 미술 전시회에서 전시를 가졌다. 주요 작품으로는 '10.000개의 움직이는 도시 – 같지만 다름', '언필터드 – 틱톡과 부상하는 문화의 얼굴', '에코로케이션 – 전 세계의 정보 자유 흐름을 실시간으로 매핑'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디어 아트 예술가 - 백남준
    백남준은 1932년 서울 출생으로, 비디오 아트의 선구자로서 플럭서스 운동에 참여하여 다양한 분야에서 혁신적인 작품을 선보였으며, 동서양 문화 융합과 기술과 예술의 결합을 통해 20세기 후반 예술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미디어 아트 예술가 - 페터 바이벨
    페터 바이벨은 오스트리아 출신의 예술가, 이론가, 큐레이터로, 다양한 미디어 분야에서 활동하며 미디어와 기술을 비판적으로 분석하는 작품을 제작했고, 2023년 사망했다.
  • 1969년 출생 - 이범
    이범은 386 운동권 출신의 교육 평론가이자 전 정무직 공무원으로, 메가스터디 설립 후 공교육 정상화 운동에 참여하여 서울특별시교육청 정책보좌관, 민주정책연구원 부원장 등을 역임하며 교육 관련 저술 및 강연 활동을 하고 있다.
  • 1969년 출생 - 윌리엄 루이스 (언론인)
    윌리엄 루이스는 잉글랜드 출신의 언론인으로, 파이낸셜 타임스, 데일리 텔레그래프 등에서 경력을 쌓았으며, 다우존스 앤 컴퍼니의 CEO를 거쳐 2023년 워싱턴 포스트의 CEO 겸 발행인으로 임명되었다.
  • 공식 웹사이트에 알 수 없는 변수를 사용한 문서 - 브루클린 미술관
    브루클린 미술관은 1823년 브루클린 견습생 도서관으로 시작하여 현재 약 50만 점의 소장품을 보유한 뉴욕 브루클린 소재의 미술관으로, 다양한 분야의 예술 작품을 전시하며 특히 아프리카 미술과 여성주의 미술에 대한 기여가 크다.
  • 공식 웹사이트에 알 수 없는 변수를 사용한 문서 - 광주지방기상청
    광주지방기상청은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 지역의 기상 예보, 특보, 관측, 기후 정보 제공 등의 업무를 수행하는 기상청 소속 기관으로, 1949년 광주측후소로 설치되어 1992년 광주지방기상청으로 개편되었으며, 기획운영과, 예보과, 관측과, 기후서비스과와 전주기상지청, 목포기상대를 두고 있다.
마르크 리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마르크 리
마르크 리
출생일1969년 3월 17일 (55세)
출생지스위스 루체른주 크누트빌
국적스위스
직업예술가, 뉴미디어 아트
분야퍼포먼스 및 인터랙티브 미디어 아트
교육취리히 예술대학교, 바젤 예술대학교
웹사이트마르크 리 공식 웹사이트
경력
활동 분야로기.net, 오픈 뉴스 네트워크, 뉴스 깨기, 10'000 움직이는 도시, 실시간 이야기, 픽-미
수상소셜 미디어 아트 상, 트랜스미디알레 상 ( "상호 작용" 및 "소프트웨어" 부문)

2. 생애

스위스 출신의 미디어 작가 마르크 리는 1969년 스위스 루체른주 크누트빌에서 태어났다.[36][1] 그는 2003년까지 바젤 예술 디자인 대학교에서 설치 미술을, 취리히 예술 대학교에서 뉴미디어를 공부했다.[2]

1990년대 말인 1999년부터 네트워크상의 정보와 소통을 주제로 한 인터랙티브(쌍방향 교류방식) 프로젝트를 진행해 왔다. 그는 디지털 기술을 이용한 미디어 작품을 통해 인터넷의 구조와 체계, 작동 방식, 그리고 그것이 사회의 문화적, 창조적, 경제적, 정치적 측면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하고 비판적으로 다룬다. 리의 작품은 정보 및 통신 기술을 실험하며 우리 정보 사회의 가능성과 한계를 예술적으로 성찰한다는 평가를 받는다.

마르크 리는 ZKM 카를스루에, 뉴 뮤지엄 뉴욕, 트랜스미디얼레 베를린, 아르스 일렉트로니카 린츠, 세비야 현대 미술 비엔날레, 서울 미디어 아트 비엔날레, 바이퍼 및 시프트 페스티벌 바젤, 리드_미 페스티벌 모스크바, CeC 델리, MoMA 상하이, ICC 도쿄, 그리고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등 세계 주요 미술 기관 및 행사에서 작품을 선보였다.[3]

그의 작품은 스위스 연방 미술 컬렉션과 ZKM 카를스루에 등 공공 및 개인 컬렉션에 소장되어 있다. 또한 트랜스미디얼레 베를린과 아르스 일렉트로니카 린츠 등 국제 페스티벌에서 다수의 상을 받거나 명예로운 언급을 받았다.

3. 작품 활동

스위스 출신의 미디어 작가 마르크 리는 1990년대 말부터 네트워크상의 정보와 소통을 주제로 한 인터랙티브 프로젝트를 진행해왔다.[36] 그는 바젤 예술 디자인 대학교에서 설치미술을, 취리히 예술 대학교에서 뉴미디어를 전공했으며,[2] 디지털 기술을 이용한 미디어 작품을 통해 인터넷의 구조와 체계, 작동 방식, 그리고 이것이 문화적, 창조적, 경제적, 정치적 측면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한다. 그의 작품은 정보 및 통신 기술을 실험하며 경제, 정치, 문화, 창의적 문제들을 비판적으로 논하고, 우리 정보 사회의 비전과 한계를 지적이고 예술적인 방식으로 반영한다는 평가를 받는다.

마르크 리는 독일 카를스루에의 ZKM 카를스루에 예술 미디어 센터, 베를린의 트랜스미디알레, 미국 뉴욕뉴 뮤지엄, 오스트리아 린츠아르스 일렉트로니카, 스페인 세비야의 현대미술 비엔날레, 스위스 바젤의 Viper와 Shift 페스티벌, 러시아 모스크바의 Read_Me Festival, 인도 델리의 CeC, 일본 도쿄의 ICC, 대한민국 서울의 국제 미디어 아트 비엔날레 및 국립현대미술관 개관 전시 등 세계 유수의 미디어 아트 전시회 및 기관에서 작품을 선보였다.[37][3] 그의 작품은 스위스 연방 미술 컬렉션과 ZKM 카를스루에 예술 미디어 센터 등에 소장되어 있으며, 트랜스미디알레와 아르스 일렉트로니카 등 국제 페스티벌에서 다수의 상을 받거나 주목할 만한 작가로 언급되었다.

3. 1. 주요 작품


  • '''10.000개의 움직이는 도시 – 같지만 다름'''은 세계화가 진행됨에 따라 지구가 점점 균질해지고, 프랑스의 인류학자 마르크 오제가 그의 에세이 비장소 (1992)에서 묘사한 것처럼 "지역 정체성이 없는 장소"가 늘어나는 현상을 탐구하는 작품이다. 이 작품에서는 모든 도시가 동일한 건물을 공유하지만, 건물 외관에 표시되는 정보는 계속해서 변화한다. 이 정보는 선택된 위치의 소셜 네트워크에서 실시간으로 검색된다. 이 실험적인 연구 프로젝트는 카를스루에 공과대학교(KIT)의 지능형 센서-액추에이터-시스템 연구소(ISAS) 및 ZKM 카를스루에 예술 미디어 센터와 협력하여 개발되었다. 현재까지 증강 현실(AR) 버전, 가상 현실(VR) 버전, 모바일 앱 버전, 그리고 "실제 큐브" 버전 등 네 가지 형태로 제작되었다.[5] 이 버전들은 기술적으로는 상이하지만, 동일한 주제 의식을 공유한다. 대한민국에서는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의 개관 전시 '연결_전개(Connecting_Unfolding)'에서 대규모로 전시된 바 있다.[6]
  • '''언필터드 – 틱톡과 부상하는 문화의 얼굴'''은 몰입형 설치 작품으로, 디지털 기술의 접근성이 공적 의식, 시각적 미학, 그리고 정체성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하고 질문을 던진다. 소셜 미디어 접근성이 높아지면서 기존의 디지털 계층 구조가 해체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틱톡과 같은 플랫폼은 새로운 형태의 도시 광장 역할을 하며, 이곳에서의 "영향력"은 더 이상 소수의 도시 엘리트에게만 국한되지 않는다.[7]
  • '''에코로케이션 – 전 세계의 정보 자유 흐름을 실시간으로 매핑'''은 문화적 다양성이 존재함과 동시에 강력한 동질화가 진행되는 현상을 다룬다. 이를 통해 우리 문화가 점점 더 유사해지는 것에 대한 의미를 질문한다.[8] 이 작품에서는 유튜브, 플리커, 트위터와 같은 소셜 네트워크에 게시된 이야기들을 사용자가 선택한 위치를 기준으로 실시간 검색하여 보여준다.
  • '''코로나 TV 봇'''은 마르크 리가 2004년부터 진행해 온 'TV 봇' 프로젝트의 현재 버전이다. 사용자가 정의한 키워드나 해시태그를 기반으로 최신 트위터 및 유튜브 게시물을 필터링한다. 코로나바이러스 팬데믹 시기에는 'COVID-19' 및 '코로나바이러스' 관련 최신 게시물들을 실시간으로 편집 없이 연속적인 TV 쇼 피드 형태로 보여주며, 팬데믹 상황을 24시간 온라인으로 반영했다. 팬데믹 이후에는 매주 6시간 분량의 방송이 녹화되고 있으며, 이 자료들은 시간 순서에 따라 비교 분석되어 문화적, 경제적, 정치적 요인과 변화를 파악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9][10]
  • '''360° VR 모바일 아트 앱'''은 인터랙티브 아트 설치를 위한 연구 프로젝트이다.[11] 관람객은 자신의 스마트폰이나 태블릿을 사용하여 작품과 상호작용하고 직접 공연자가 될 수 있다. 모바일 기기의 화면은 전시장 벽면에 투사되며, 사용자의 움직임과 탐색 방식에 반응하는 음향 사운드 경험이 제공된다.[12][13]
  • '''정치 캠페인 – 소셜 미디어에서 여론의 전쟁'''은 전 세계 정치 캠페인 과정에서 소셜 미디어를 통해 벌어지는 격렬한 여론전을 시각화한다. 주요 후보나 정당 관련 검색어를 포함하는 최신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튜브 게시물을 필터링하여 거친 형태의 TV 뉴스 쇼(24시간 연중무휴)로 보여준다. 작품 속에서는 '좋아요'와 '리트윗'이 화면을 가로지르며 경쟁하는 모습으로 표현되어 현재 온라인에서의 여론 가치를 나타낸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자신의 생각과 다른 다양한 의견에 직면하게 된다.[14][15]
  • '''픽미 – 사용자가 게시물을 보내는 위치로 날아가기'''는 사용자가 인스타그램에 게시물을 올린 위치로 가상 비행을 떠나게 함으로써, 소셜 네트워크가 미디어를 처리하는 방식에 대한 다른 관점을 제공한다. 이 작품은 인간이 생성하고 전 세계 기관이 수집하는 방대한 데이터가 어떻게 활용되는지에 대한 질문을 던진다.[16][17]
  • '''Loogie.net'''은 버튼을 누르면 사용자가 직접 선택한 주제에 대한 텔레비전 뉴스 프로그램을 생성하는 작품이다. 2003년에 설립된 최초의 "인터랙티브 뉴스 텔레비전 방송국"으로 평가받으며, TV 뉴스 채널, 미디어 풍자, 아트 설치의 성격을 동시에 지닌다.[18]
  • '''속보 - 뉴스-자키 되기'''는 사용자가 직접 선택한 주제에 대한 정보를 인터넷에서 실시간으로 가져와 네 개의 대형 프로젝션에 시청각적으로 구현하는 작품이다. 사용자는 이 과정에서 라이브 공연자, 즉 '뉴스 자키'가 된다.[19][20] 뉴스 자키에 대해 마르크 리는 "친구들이 '내가 좋아할 만한 뉴스를 만들어 줄 수 있니?'라고 묻곤 했습니다. 이런 질문들은 종종 흥미로운 대화로 이어졌고, 우리는 서로 좋아하는 헤드라인을 공유하며 새로운 이야기를 만들었습니다. 친구들은 농담 삼아 저를 개인 뉴스 자키라고 부르기 시작했습니다. 우리는 여러분과도 똑같은 종류의 대화를 나누기 위해 NJ(뉴스 자키)를 만들었습니다."라고 언급했다.
  • '''예전에도 내 집이었어'''는 풍부한 생물 다양성과 동시에 끊임없이 일어나는 종의 멸종을 실시간으로 보여주는 지도 작업이다. 이 실험은 iNaturalist.org를 통해 익명의 사용자들이 휴대폰으로 업로드하는 식물, 균류, 동물의 사진을 보여준다. 이 사진들은 촬영된 정확한 위치에 구글 어스를 통해 매핑된다. 동시에, RedList.org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지난 30년간 해당 국가에서 멸종된 분류학상 유사한 종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연결하여 보여준다.[21]
  • '''얀토 – 요잉 및 기울어지지 않음'''은 유전자 조작, 합성생물학, 인공지능과 같은 기술을 통해 종 고갈이나 기후 붕괴 문제를 해결하려는 접근 방식, 즉 기술적 해결주의의 한계를 질문하는 작품이다. 미래의 수산 양식을 배경으로 한 투기적 시뮬레이션 형태로, 인공지능합성생물학이 협력하여 양식 종에게 최적화된 환경을 만들고, 섬세한 생태계의 균형을 맞추기 위해 하이브리드 종을 만들어내는 가상 환경을 설정한다.[22]
  • '''투기적 진화'''는 지금으로부터 30년 후, 인공지능과 생명공학이 협력하여 점점 더 적대적으로 변하는 환경에 적응할 수 있는 새로운 종을 만들고 최적화하는 투기적 생태계를 상상하는 작품이다. 관객은 인공지능 에이전트의 시점에서 동물, 균류, 식물, 로봇의 새로운 변종을 만들고, 이렇게 공학적으로 조작되고 돌연변이된 종들과 함께 비행하며 변화하는 생태계를 관찰하도록 초대된다.[23]

3. 2. 기타 작품


  • ''10.000개의 움직이는 도시 – 같지만 다름''은 지구가 점점 더 비슷해지고 세계화가 마르크 오제의 에세이 비장소 (1992)에서 묘사된 것처럼 "지역 정체성이 없는 장소"를 만들어내는 현상을 탐구하는 작품이다.[5] 이 작품에서 모든 도시는 동일한 건물을 가지지만, 건물 외관의 정보는 선택된 위치의 소셜 네트워크에서 실시간으로 가져와 계속 변화한다. 이 실험적 연구 프로젝트는 카를스루에 공과대학교의 지능형 센서-액추에이터-시스템 연구소(ISAS) 및 ZKM 카를스루에 예술 미디어 센터와 협력하여 마르크 리가 개발했다. 현재까지 증강 현실(AR) 버전, 가상 현실(VR) 버전, 모바일 앱 버전, "실제 큐브" 버전 등 네 가지 버전이 제작되었다.[5] 이 버전들은 기술적으로는 다르지만 동일한 주제를 다룬다. 주요 전시는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개관 전시 '연결_전개(Connecting_Unfolding)'에서 열렸다.[6]
  • ''언필터드 – 틱톡과 부상하는 문화의 얼굴''은 몰입형 설치 작품으로, 디지털 기술의 쉬운 접근성이 공적 의식, 시각적 미학, 정체성 구조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하고 질문을 던진다. 소셜 미디어 접근성 증가는 기존의 디지털 계층 구조를 허물고 있으며, 틱톡과 같은 플랫폼은 새로운 형태의 도시 광장 역할을 하며, 그 영향력은 더 이상 소수의 엘리트에게만 국한되지 않음을 보여준다.[7]
  • ''에코로케이션 – 전 세계의 정보 자유 흐름을 실시간으로 매핑''은 문화적 다양성이 존재함과 동시에 강력한 동질화가 진행되는 현상을 다룬다. 이 작품은 우리 문화가 점점 더 유사해지는 것의 의미에 대해 질문을 제기한다.[8] 에코로케이션에서는 유튜브, 플리커, 트위터와 같은 소셜 네트워크에 게시된 이야기들을 사용자가 선택한 위치에 따라 실시간으로 검색하여 보여준다.
  • ''코로나 TV 봇''은 마르크 리가 2004년부터 진행해 온 'TV 봇' 프로젝트의 현재 버전이다. 사용자가 정의한 키워드나 해시태그에 따라 최신 트위터 및 유튜브 게시물을 필터링한다. 코로나바이러스 팬데믹에 대응하여, 'COVID-19' 및 '코로나바이러스' 관련 최신 게시물들을 별도의 편집 없이 연속적인 TV 쇼 피드로 보여주며, 팬데믹 상황을 24시간 온라인으로 반영했다. 팬데믹 이후에는 매주 6시간 분량의 방송이 녹화되고 있으며, 이 자료들은 시간 순서에 따라 비교하여 문화적, 경제적, 정치적 요인과 변화를 파악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9][10]
  • ''360° VR 모바일 아트 앱''은 인터랙티브 아트 설치를 위한 연구 프로젝트이다.[11] 관람객은 자신의 스마트폰이나 태블릿을 사용하여 작품과 상호작용하며 직접 공연자가 될 수 있다. 모바일 기기의 화면은 전시 공간의 벽에 투사되며, 앱을 위해 특별히 작곡된 음향은 사용자의 움직임과 탐색 방식에 반응한다.[12][13]
  • ''정치 캠페인 – 소셜 미디어에서 여론의 전쟁''은 전 세계 정치 캠페인 과정에서 소셜 미디어를 통해 벌어지는 격렬한 여론전을 보여준다. 이 작품은 주요 후보나 정당 관련 검색어를 포함하는 최신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튜브 게시물을 필터링하여, 편집되지 않은 TV 뉴스 쇼 형식(24시간 연중무휴)으로 보여준다. 화면에는 '좋아요'와 '리트윗' 수가 표시되어 온라인상의 현재 가치와 경쟁 상황을 나타낸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자신의 생각과 다른 다양한 의견에 직면하게 된다.[14][15]
  • ''픽미 – 사용자가 게시물을 보내는 위치로 날아가기''는 사용자가 인스타그램에 게시물을 올린 위치로 가상으로 날아가 볼 수 있게 하는 작품이다. 이를 통해 소셜 네트워크에서 미디어가 게시물을 다루는 방식에 대한 다른 관점을 제공하며, 인간이 생성하고 기관이 수집하는 방대한 데이터가 어떻게 활용되는지에 대한 질문을 던진다.[16][17]
  • ''Loogie.net''은 버튼을 누르면 사용자가 직접 선택한 주제에 대한 텔레비전 뉴스 프로그램을 생성하는 웹사이트이다. 2003년에 만들어진 최초의 "인터랙티브 뉴스 텔레비전 방송국"으로 평가받으며, TV 뉴스 채널, 미디어 풍자, 아트 설치의 성격을 동시에 지닌 연구 프로젝트이다.[18]
  • ''속보 - 뉴스-자키 되기''는 사용자가 직접 선택한 주제에 대한 정보를 인터넷에서 실시간으로 가져와 네 개의 대형 프로젝션 화면에 시청각적으로 보여주는 작품이다. 사용자는 이 과정에서 라이브 공연자, 즉 '뉴스 자키'가 된다.[19][20] 마르크 리는 친구들과의 대화에서 영감을 받아 이 작품을 만들었다고 언급했다. 친구들이 "내가 좋아할 만한 뉴스를 만들어 달라"고 요청했고, 서로 좋아하는 헤드라인을 공유하며 새로운 이야기를 만드는 과정에서 '개인적인 뉴스 자키'라는 농담이 나왔으며, 이러한 상호작용을 작품으로 구현하고자 했다.
  • ''예전에도 내 집이었어''는 풍부한 생물 다양성과 동시에 계속되는 종의 멸종을 실시간으로 보여주는 작품이다. 이 실험은 iNaturalist.org 사용자들이 휴대폰으로 찍어 올리는 식물, 균류, 동물의 사진을 보여준다. 이 사진들은 촬영된 정확한 위치에 맞게 구글 어스에 표시된다. 동시에, RedList.org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지난 30년 동안 해당 국가에서 멸종된, 분류학적으로 유사한 종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함께 보여준다.[21]
  • ''얀토 – 요잉 및 기울어지지 않음''은 수산 양식의 미래를 다루는 투기적 시뮬레이션 작품이다. 이 작품은 유전자 조작, 합성생물학, 인공지능(AI)과 같은 기술을 통해 종 고갈이나 기후 변화 문제를 해결하려는 접근 방식의 한계에 대해 질문한다. 작품의 배경은 AI와 합성 생물학이 협력하여 양식 종을 위한 최적의 환경을 만드는 가상의 미래이며, AI 시뮬레이터는 섬세한 생태계의 균형을 맞추기 위해 하이브리드 종을 만들어낸다는 설정을 가지고 있다.[22]
  • ''투기적 진화''는 지금으로부터 30년 후의 미래를 상상하며, 인공지능(AI)과 생명공학이 협력하여 점점 더 살기 어려워지는 환경에 견딜 수 있는 새로운 종을 만들고 최적화하는 투기적 생태계를 그린다. 관객은 AI 에이전트의 관점에서 동물, 균류, 식물, 로봇의 새로운 변종을 만들고, 이렇게 공학적으로 조작되고 돌연변이된 종들과 함께 날아다니며 변화하는 생태계를 관찰하도록 초대받는다.[23]

4. 전시 (선별)

마르크 리는 독일 ZKM 카를스루에, 미국 뉴욕뉴 뮤지엄, 독일 베를린의 트랜스미디얼레, 오스트리아 린츠아르스 일렉트로니카, 스페인 세비야 현대 미술 비엔날레, 스위스 바젤의 바이퍼 및 시프트 페스티벌, 러시아 모스크바의 리드_미 페스티벌, 인도 델리의 CeC, 중국 상하이의 MoMA, 일본 도쿄의 ICC 등 세계적으로 저명한 미술 기관 및 미디어 아트 페스티벌에서 작품을 선보였다.[3][37] 특히 대한민국에서도 서울 국제 미디어 아트 비엔날레와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개관 기념 전시 등에 참여하며 활발한 활동을 이어왔다.[3][37][27]

다음은 마르크 리의 주요 전시 활동 중 일부이다.

연도전시명장소국가
2023트랜스미디알레 페스티벌 (Transmediale Festival)예술 아카데미 베를린, 베를린독일[24]
2022스위스 미디어 아트 - 팍스 아트 어워드 (Pax Art Awards)HEK (전자 예술의 집), 바젤스위스[25]
2017–2018변화의 미학 (Aestetic of Changes)응용 미술관 빈, 오스트리아[26]
2013연결_전개 (Connecting_Unfolding)국립현대미술관, 서울대한민국[27]
2004–2008루기넷 알고리즘 혁명 (Loogie.net Algorithmic Revolution)ZKM 미디어 박물관, 카를스루에독일[28]
2002오픈 소스 아트 해킹 (Open\\_Source\\_Art\\_Hack)뉴 뮤지엄, 뉴욕미국[29]


5. 출판


  • 2022 – ESCH, ZKM 카를스루에, 해킹 정체성 - 춤추는 다양성[30]
  • 2020 – 포스트-미래주의, KUNSTFORUM International Bd. 267, 잡지[31]
  • 2019 – LUX AETERNA - ISEA 2019 아트, 카탈로그[32]
  • 2019 – xCoAx 2019: 제7회 컴퓨테이션, 커뮤니케이션, 미학 및 X 컨퍼런스 회보[33]
  • 2019 – FILE SÃO PAULO 2019: FILE 20주년, 예술과 기술 20주년
  • 2019 – 연구 기술 도시성, Schafhof - 유럽 상부 바이에른 예술 센터[34]
  • 2017 – 액자 없는 세계, 예술 매체로서의 가상 현실, 사비네 힘멜스바흐
  • 2014 – 개관, 국립현대미술관, 대한민국
  • 2010 – 무엇을 해야 할까. 항의의 인물들. 저항의 전술
  • 2008 – 디지털 놀이터 2008, "도시를 해킹하라!"
  • 2004 – Read_me: 소프트웨어 아트 & 문화, 오르후스
  • 2004 – MetaWorx – 젊은 스위스 인터랙티브. 상호작용에 대한 접근
  • 2004 – 56kTV - bastard channel 잡지[35]

참조

[1] 웹사이트 Biography Marc Lee http://marclee.io/en[...] Marc Lee
[2] 웹사이트 Zurich University of the Arts http://vmk.zhdk.ch/p[...] ZHDK Zurich
[3] 웹사이트 Exhibition and Catalog: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Seoul http://www.mmca.go.k[...] MMCA Seoul
[4] 웹사이트 ZKM Collection: Marc Lee http://zkm.de/person[...] ZKM
[5] 웹사이트 10.000 Moving Cities – Same but Different, 4 Versions https://marclee.io/e[...] Marc Lee 2020-12-22
[6] 웹사이트 Connecting_Unfolding http://www.mmca.go.k[...]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Seoul 2020-12-22
[7] 웹사이트 Unfiltered — Tik Tok and the Emerging Face of Indian Visual Culture at India Art Fair https://space10.com/[...] SPACE10 2020-12-22
[8] 웹사이트 Swiss artist Marc Lee brings real time storytelling to Fak'ugesi https://prohelvetia.[...] Pro Helvetia Johannesburg 2020-12-22
[9] 웹사이트 Stay at home, Marc Lee - Annka Kultys Gallery http://www.annkakult[...] Annka Kultys Gallery 2020-12-22
[10] 웹사이트 Corona TV Bot, Marc Lee, ARTCONNECT https://www.artconne[...] ARTCONNECT 2020-12-22
[11] 웹사이트 360° Mobile VR Research Projects for Interactive Media Art Installations https://marclee.io/e[...] Marc Lee 2020-12-22
[12] 웹사이트 Android Apps by MarcLee on Google Play https://play.google.[...] Google Play 2020-12-22
[13] 웹사이트 Marc Lee: NON-PLACES - Annka Kultys Gallery http://www.annkakult[...] Annka Kultys Gallery 2020-12-22
[14] 웹사이트 SITUATION #52: The Show Must Go On. Social Media Fights for the Presidency! https://www.fotomuse[...] Fotomuseum Winterthur 2020-12-22
[15] 웹사이트 Bundestag election – Battle of Opinion on Social Media https://2017.biennal[...] Biennale für aktuelle Fotografie 2020-12-22
[16] 웹사이트 Marc Lee: Pic-me at Link Point http://www.linkartce[...] Link Center 2020-12-22
[17] 웹사이트 Pic-me - fly to the locations where users send posts, Jury Selections http://archive.j-med[...] Japan Media Arts Festival 2020-12-22
[18] 웹사이트 Loogie.net TV – Be the First to Know! by Marc Lee https://www.digitala[...] ADA - Archive of Digital Art 2020-12-22
[19] 웹사이트 Breaking The News - Be a News-Jockey https://rhizome.org/[...] Rhizome 2020-12-22
[20] 웹사이트 Marc Lee: Breaking The News - Be a News-Jockey, ZKM , YOU_ser https://vernissage.t[...] VernissageTV Art TV 2020-12-22
[21] 웹사이트 Busan MoCA Collection_Marc Lee: Used to Be My Home Too / STUDIO 1750: LMO 3116 https://www.busan.go[...] Busan MoCA 2024-05-30
[22] 웹사이트 "[ISEA2023] Artists Statement: Iris Qu Xiaoyu, Marc Lee & Shervin Saremi — Yanto" https://www.isea-arc[...] ISEA International 2024-05-30
[23] 웹사이트 Stuttgarter Filmwinter Jury Statement Awards https://archiv.filmw[...] Stuttgarter Filmwinter 2024-05-30
[24] 웹사이트 Exhibited project: CAON – control and optimize nature https://transmediale[...] Transmediale, Berlin 2024-05-30
[25] 웹사이트 Exhibition: Swiss Media Art - Pax Art Awards, HEK, Basel, Schweiz https://www.hek.ch/p[...] HEK,Basel 2022-03-15
[26] 웹사이트 Exhibition: 10.000 Moving Cities – Same but Different https://www.mak.at/e[...] MAK, Vienna 2020-12-22
[27] 웹사이트 Exhibition: 10.000 Moving Cities – Same but Different http://www.mmca.go.k[...]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Seoul 2020-12-22
[28] 웹사이트 Exhibition: Loogie.net https://zkm.de/en/ev[...] ZKM, Karlsruhe 2020-12-22
[29] 웹사이트 Exhibition:Tracenoizer https://archive.newm[...] New Museum, New York 2020-12-22
[30] 웹사이트 Esch2022, Hacking Identity – Dancing Diversity https://marclee.io/w[...] Hatje Cantz 2024-05-30
[31] 웹사이트 Magazine: post-futuristisch. Kunst in dystopischen Zeiten https://www.kunstfor[...] KUNSTFORUM 2020-12-22
[32] 웹사이트 LUX AETERNA – ISEA 2019 Art Catalogue http://www.isea-arch[...] ISEA 2019-12-27
[33] 웹사이트 Catalogue of the Seventh Conference on Computation, Communication, Aesthetics and X http://2019.xcoax.or[...] xCoAx 2019-12-27
[34] 웹사이트 Catalogue Research TECHNOLOGY URBANITY http://marclee.io/wp[...] Eike Berg 2019-12-27
[35] 웹사이트 TV Bot: The ultimately latest news from the world's definitely most up to date television station http://www.56k-basta[...] Inke Arns
[36] 웹인용 주요 작품 http://marclee.io/en[...] Marc Lee
[37] 웹인용 전시회와 카탈로그: 서울국립현대미술관 http://www.mmca.go.k[...] MMCA 서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