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마르틴 켐니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르틴 켐니츠는 1522년 브란덴부르크에서 태어난 루터교 신학자이자 종교개혁가이다. 비텐베르크 대학교에서 마르틴 루터와 필리프 멜란히톤에게 사사했으며, 쾨니히스베르크 주립 및 대학교 도서관 사서와 브라운슈바이크-볼펜뷔텔의 감독관을 역임했다. 그는 루터교 정통주의를 확립하는 데 기여했으며, 주요 저서로 『트렌트 공의회 심사』, 『신학 요강』, 『그리스도의 두 본성에 관하여』 등이 있다. 켐니츠는 독일 루터교 신자들 간의 합의를 이끌어낸 중도주의 운동에 참여하여 『일치 신조』를 저술하는 데 기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독일의 기독교 신학자 - 토마스 뮌처
    토마스 뮌처는 독일의 급진적인 종교 개혁가이자 1525년 독일 농민 전쟁의 주요 지도자로, 종말론적이고 혁명적인 사회 변혁을 주장하며 농민들을 규합했으나 프랑켄하우젠 전투에서 패배 후 처형되었고, 그의 사상은 초기 공산주의 사상의 선구자로 평가받는다.
  • 독일의 기독교 신학자 - 한스 프라이
    한스 프라이는 독일 출신의 미국 신학자이자 종교학자로, 나치 독일을 피해 미국으로 이주하여 예일 대학교에서 신학을 공부하고 교수로 재직하며 서사 신학, 문자적 읽기, 기독론 등 다양한 신학적 사상을 전개했으며, 1988년 뇌졸중으로 사망했다.
  • 1522년 출생 - 시바타 가쓰이에
    시바타 가쓰이에는 센고쿠 시대 오다 노부나가를 섬긴 용맹하고 충성심 강한 무장으로, 노부나가 사후 도요토미 히데요시와의 권력 다툼에서 패배하여 자결했으며, "오니 시바타"라는 별명으로도 알려져 있다.
  • 1522년 출생 - 울리세 알드로반디
    울리세 알드로반디는 르네상스 시대 이탈리아의 자연학자, 의사이자 볼로냐 대학교 교수로, 자연사 연구에 헌신하여 방대한 표본과 저술을 남겼으며 볼로냐 대학교 식물원 설립에 기여했고, 그의 업적은 후대 자연과학에 영향을 주었으며, 끈끈이주걱 속은 그의 이름을 기려 명명되었다.
  • 비텐베르크 대학교 동문 - 악셀 옥센셰르나
    악셀 옥센셰르나는 스웨덴의 정치가이자 외교관으로, 칼 9세, 구스타프 2세 아돌프, 크리스티나 여왕 시대를 거치며 스웨덴의 정치, 군사, 행정, 외교에 기여했으며, 덴마크와의 칼마르 전쟁 종식, 30년 전쟁에서의 스웨덴 지도, 베스트팔렌 조약 체결에 영향을 미쳤다.
  • 비텐베르크 대학교 동문 - 틸레만 헤수시우스
    틸레만 헤수시우스는 독일의 루터교 신학자이자 종교개혁가로서, 당대의 주요 신학 논쟁에 참여하여 루터교의 교리적 순수성을 옹호했으며, 여러 도시에서 활동하다 헬름슈테트 대학교에서 신학적 유산을 남겼다.
마르틴 켐니츠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마르틴 켐니츠
출생일1522년 11월 9일
출생지트레우엔브리첸, 브란덴부르크 변경국, 신성 로마 제국
사망일1586년 4월 8일 (향년 63세)
사망지브라운슈바이크, 브라운슈바이크-뤼네부르크 공국, 신성 로마 제국
시대종교 개혁
주요 저서합의서 (with 야코프 안드레아에)
일치 신조 (1580) (with 야코프 안드레아에)

2. 생애

마르틴 켐니츠는 트루엔브리첸에서 태어나 어린 시절 아버지의 죽음으로 어려운 시기를 보냈다. 학업과 직조공 견습생 생활을 병행해야 했고, 재정적인 어려움으로 학업을 중단하기도 했다. 하지만 마그데부르크, 오데르 대학교, 비텐베르크 대학교, 쾨니히스베르크 대학교 등에서 꾸준히 학업을 이어갔다. 특히 필리프 멜란히톤의 가르침과 쾨니히스베르크 주립 및 대학교 도서관에서의 연구 경험은 켐니츠의 신학적 성장에 큰 영향을 미쳤다.

이후 비텐베르크 대학교 교수가 되었고, 요하네스 부겐하겐에게 서품을 받았다. 브라운슈바이크-볼펜뷔텔 공국의 감독관으로 활동하며 복음주의 루터교 신앙을 확립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헬름슈테트 대학교 설립을 도왔고, 『일치 신조』 작성에 참여하여 독일 루터교 신자들 간의 신학적 일치를 이루는 데 기여했다. 주요 저서로는 『트렌트 공의회 심사』와 『그리스도의 두 본성에 관하여』 등이 있다.

2. 1. 초기 생애와 교육

마르틴 켐니츠는 1522년 트루엔브리첸의 브란덴부르크에서 파울과 에우페미아 켐니츠 사이에서 셋째 아이로 태어났다.[4] 그의 형제로는 마테우스와 우르술라가 있었다. 그의 아버지는 상인이었으나, 마르틴이 11살 때 사망하여[1] 가족은 재정적으로 어려움을 겪었다.

나이가 들자 켐니츠는 마그데부르크의 학교에 입학했다. 과정을 마친 후에는 직공 견습생이 되었다. 그는 몇 년 동안 가족의 의류 사업을 도왔으며, 20세에 오데르 대학교에서 학업을 재개했다. 재정이 부족해지자 브리첸에서 교사로 일하며 지역 생선 판매세를 징수하여 수입을 보충했다. 프랑크푸르트에서의 시간은 그에게 스스로 교육을 계속할 수 있는 기본적인 도구를 제공했으며, 관심 분야를 연구하고 탐구심을 적용할 수 있게 했다.

1545년 켐니츠는 사촌 게오르크 사비누스와 함께 비텐베르크에서 공부했고(1545-1547), 마르틴 루터필리프 멜란히톤에게서 배웠다. 멜란히톤으로부터 그는 "율법"과 "복음"의 차이부터 시작하여 자신의 신학 교육을 형성하는 방법을 배웠다. 켐니츠는 루터의 강의를 자주 들었지만, "루터에게 마땅히 해야 할 만큼 주의를 기울이지 않았다"고 회고했다. 루터의 죽음과 정치적 사건으로 인해 켐니츠는 쾨니히스베르크 대학교(1547-1548)로 옮겼고, 문학 석사 학위를 받은 첫 졸업생이 되었다(1548). 그러나 발트해 한자 독일 항구 도시 쾨니히스베르크 (현재는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1945년 소련에 점령되어 칼리닌그라드로 이름이 변경되었고 현재는 러시아 연방에 병합되었다)에 전염병이 돌자 잘펠트로 피신했다. 1550년 쾨니히스베르크로 돌아온 켐니츠는 프로이센 공작 알브레히트의 고용으로 쾨니히스베르크 주립 및 대학교 도서관의 사서가 되었다. 당시 유럽 최고의 도서관 중 하나였던 그곳에서 자유롭게 연구할 수 있었다(불행히도 400년 후 제2차 세계 대전동부 전선에서 프로이센 도시를 둘러싼 전투중에 그 내용물과 정교한 건물과 함께 손상되고 유실되었다).

켐니츠는 신학 연구에 전념했다. 마그데부르크에서 공부했던 점성술에서 신학으로 관심사를 바꿨다. 그는 히브리어고대 그리스어 원어로 성경을 연구하고, 교부들의 글을 읽은 후, 현재의 신학적 관심사를 탐구하며 꼼꼼하게 메모했다. 이 초기 루터교 스콜라 철학적 자기 연구 방법은 멜란히톤이 제안한 것이었다.

2. 2. 종교개혁가로서의 활동

켐니츠는 1553년 필리프 멜란히톤의 손님 자격으로 비텐베르크로 돌아왔다.[1] 1554년 1월, 비텐베르크 대학교 교수가 되었다. 그는 멜란히톤의 『신학 요강(Loci Communes)』을 강의했으며, 이 강의 내용을 바탕으로 자신의 『신학 요강(Loci Theologici)』, 즉 신학 체계를 집필했다. 1554년 11월 26일 요하네스 부겐하겐(1485-1558)에 의해 서품을 받았고, 브라운슈바이크-볼펜뷔텔 공국의 감독관이었던 요아힘 뫼를린(1514-1571)의 협력자가 되었다. 뫼를린이 1567년 사임하자 켐니츠가 그의 후임이 되었고, 그는 생애의 나머지 기간 동안 이 직책을 유지했다.

그의 지도력을 통해 브라운슈바이크-볼펜뷔텔은 복음주의 루터교로 확고히 들어섰다. 그는 그곳에서 그의 군주인 브라운슈바이크-볼펜뷔텔 공작 율리우스를 도와 헬름슈테트 대학교를 설립했다(1575–76). 야코프 안드레아에, 다비드 키트라에우스, 니콜라스 셀네커, 안드레아스 무스쿨루스 등과 함께 켐니츠는 독일 루터교 신자들 간의 합의를 이끌어낸 중도주의 운동에 참여하여 『일치 신조』(1577)를 저술하고 출판하는 데 기여했으며, 켐니츠는 이 신조의 주요 저자 중 한 명이었다. 그는 1580년에 발표된 최종본 『일치 신조서: 복음주의 루터교회의 고백』의 출판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이 책에는 일련의 중요한 초기 신앙 고백 신학 문서, 논문, 주석, 교리 문답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는 복음주의 루터교회의 교리적 표준을 집대성한 것이다. 그의 다른 주요 저서로는 『트렌트 공의회 심사』(Examen Concilii Tridentini)[1]와 『그리스도의 두 본성에 관하여』(De Duabis Naturis in Christo)가 있다. 이러한 저술들은 마르틴 켐니츠가 정통 루터교 전통에서 성경적, 교리적, 역사적 신학자로서의 능력을 보여준다. 그는 브라운슈바이크에서 사망했다.

3. 주요 저작 및 사상

마르틴 켐니츠는 마르틴 루터의 신학을 계승, 발전시키고 루터교 신학을 체계화하는 데 크게 기여한 인물로, 다양한 저작을 남겼다. 그의 저작들은 로마 가톨릭교회칼뱅주의 등 다른 신학 사조에 대한 비판적인 입장을 견지하면서 루터교 교리를 변증하고 체계화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켐니츠의 주요 저작 및 사상은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1. 루터교 교리 변증 및 체계화'''


  • '''트렌트 공의회 교령 심사(Examen Decretorum Concilii Tridentini)''': 로마 가톨릭교회의 트렌트 공의회 결정에 대한 비판서. 성경과 초대 교회의 가르침에 근거하여 가톨릭 교리를 반박한다.
  • '''그리스도의 두 본성(De Duabus Naturis in Christo)''': 그리스도의 신성과 인성, 두 본성의 위격적 연합과 속성의 교류를 다룬다. 칼뱅주의'엑스트라 칼비니스티쿰'(extra Calvinisticum) 교리에 반대하여 그리스도의 인성이 신성과 연합하여 어디에나 존재하게 되었다는 편재설을 옹호한다.
  • '''신학 요강(Loci Theologici)''': 마르틴 루터의 신학 사상을 계승, 발전시켜 루터교 신학의 주요 교리들을 체계적으로 다룬다. 특히 성만찬론과 그리스도의 위격에 대한 교리를 명확하게 제시한다.
  • '''일치신조의 변호(Apologia libri Christianae concordiae)''': 일치신조를 옹호하고 그 내용에 대한 비판에 답변하는 내용이다. 니콜라우스 셀네커등과 함께 저술했다.


'''2. 루터교 신앙 고백서'''

  • '''프러시아 교리집(Corpus doctrinae Prutenicum)''': 프로이센 지역을 위한 루터교 신앙 고백 선집.
  • '''율리우스 교리집(Corpus doctrinae Julium)''': 브라운슈바이크-볼펜뷔텔 공국을 위한 루터교 신앙 고백 선집.
  • '''작센 교회의 반복된 기독교 일반 신조(Wiederholte Christi gemeine Confession der Sächischen Kirchen)'''


'''3. 기타 저작'''

  • '''설교집''': 주일 및 교회력에 따른 설교들을 모은 책.
  • '''편지''': 다양한 주제에 대한 켐니츠의 서신들을 모은 책.
  • '''소논문''': 예수회, 그레고리력 등 특정 주제에 대한 짧은 논문들.
  • '''교부들의 저서 읽기에 관하여(Consilium ... de lectione patrum)'''
  • '''복음 조화(Harmoniae Evangelicae)'''
  • '''그리스도의 수난사(Historia der Passion Christi)'''


켐니츠의 저작들은 루터교 신학의 정수를 담고 있으며, 오늘날까지도 루터교 신학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3. 1. 트렌트 공의회 비판

Examen Decretorum Concilii Tridentinila (Untersuchung der Beschlüsse des Konzils von Trientde; 트렌트 공의회 교령 심사)는 마르틴 켐니츠가 트렌트 공의회에 대해 개신교의 입장에서 비판한 주요 저작이다. 켐니츠는 이 책에서 로마 가톨릭교회의 교리와 관행을 성경과 초대 교회의 가르침에 비추어 비판적으로 검토하였다.[11]

3. 2. 그리스도의 두 본성

De Duabus Naturis in Christola[1]는 1578년 마르틴 켐니츠가 출판한 책으로, 그리스도의 신성과 인성, 두 본성의 위격적 연합과 속성의 교류에 대해 다룬다.[1] 1570년에 더 짧은 판본인 De hypostatica earum unione: De communicatione idiomaticumla이 출판되었다.[1]

이 책은 루터교 신학의 중요한 저작 중 하나로, 그리스도론에 대한 루터교의 입장을 체계적으로 제시한다. 켐니츠는 칼뱅주의'엑스트라 칼비니스티쿰'(extra Calvinisticum) 교리에 반대하여 그리스도의 인성이 신성과 연합하여 어디에나 존재하게 되었다는 편재설을 옹호한다.

J. A. O. 프루스는 이 책을 영어로 번역하여 1971년 콘코디아 출판사에서 출판했다.[1]

3. 3. 신학 요강 (Loci Theologici)

Loci Theologicila는 마르틴 켐니츠가 1591년에 출판한 신학 서적이다. 이 책은 켐니츠의 대표작 중 하나로, 마르틴 루터의 신학 사상을 계승하고 발전시켜 루터교 신학의 주요 교리들을 체계적으로 다루고 있으며, 특히 성만찬론과 그리스도의 위격에 대한 교리를 명확하게 제시하였다.[11]

Loci Theologicila는 총 3권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권은 특정한 신학적 주제를 다룬다. 1권은 하나님, 인간, 죄, 율법, 복음 등을, 2권은 그리스도의 위격과 사역, 성령, 교회 등을, 3권은 성례, 종말론, 천국과 지옥 등을 다룬다.

이 책은 루터교 신학의 중요한 문헌 중 하나로 여겨지며, J. A. O. 프루스에 의해 영어로 번역되어 1989년에 출판되었다. Loci Theologicila의 내용 중 '자선에 관한 장'은 영어로 번역되어 .pdf 형식으로 제공되고 있다.

3. 4. 기타 저작


  • Brevis et Simplex Forma Examinis de Praecipuis Doctrinae Caelestis Capitibus영어 [Brief and Simple Form of Examination concerning the Principal Chapters of Celestial Doctrine] 1571.[10]
  • Kirchen-Ordnung, wie es mit Lehr und Ceremonien des Fürstenthums-Braunschweigde [Church Order, As to Doctrine and Ceremonies, of the Duchy of Braunschweig] 1569.
  • Ministry, Word, and Sacraments: An Enchiridion.영어 Luther Poellot, trans. St. Louis: Concordia Publishing House, 1981. (1593년 독일어, 1603년 라틴어로 Enchiridion D. Martini Chemnitiila라는 제목으로 출판됨)
  • Ein Schone vnnd richtige Form zu beichtende [A Good and Proper Form for Confess{ing} {One's Sins}] 1603.
  • Acta formulae concordiae in Bergensi coenobio prope Magdeburgum영어 [Records of the ''일치신조'' in Bergen Abbey near Magdeburg] 1707 with Nicholas Selnecker. (''일치신조''의 최종안 작성을 위한 집필자들의 심의)
  • ''[https://books.google.com/books?id=W-RDAAAAcAAJ Apologia, oder Verantwortung deẞ Christlichen ConcordienBuchs]'', 라틴어 번역 ''[https://archive.org/details/bub_gb_Pps8AAAAcAAJ Apologia libri Christianae concordiae]'' [literally: Apology of the Christian Book of Concord] (Timothy Kirchner and Nicolaus Selneccer와 공저, 1583) (''일치신조''의 변증서(The Apology of the Formula of Concord)''로 알려짐)
  • Christliches Bedenken auf Doct. Majors Repetitio und endliche Erklärung belangend den Streitde [Christian Reflections on Dr. Major's {work}, "Repetitio," and Finally {an} Explanation As Far As the Controversy Is Concerned] 1568.
  • Confessio ministeri Saxoni Konfession und Erklärungde [Confession of the Ministers of Saxony: Confession and Explanation] 1571. (독일어 텍스트).
  • Corpus doctrinae Prutenicum영어 [The Prussian Body of Doctrine] 1568. (프로이센의 독일 영토를 위한 루터교 신앙 고백 선집)
  • Corpus doctrinae Julium영어 [The {Duke} Julius Body of Doctrine] 1576. (율리우스 공작의 브라운슈바이크-볼펜뷔텔 공국을 위한 루터교 신앙 고백 선집).
  • Formulae Recte Sentiendi de Praecipuis Horum Temporum Controversiis영어 [Forms of Thinking Correctly concerning the Chief Controversies of These Times] 1576 (''Corpus Doctrinae Wilhelminum'' and the ''Corpus Doctrinae Iulium''에서 찾을 수 있음).
  • Judicium de Controversiis qvibusdam circa qvosdam A.C. articulos.la 1594. (De Controversiis quibusdam, quae superiori tempore circa quosdam Augustanae Confessionis articulos motae agitatae sunt, Iudicium d. Martini Chemnitiila, Polycarp Leyser, ed. Wittenberg, 1594 [''최근에 발생하여 논란이 된 아우크스부르크 신앙고백의 특정 조항에 관한 특정 논쟁에 대한 판단'']으로도 알려짐)[11]
  • Solida ac vera Confessionis Augustanae historie ...de [History of the Solid and True Augsburg Confession] (Timothy Kirchner and Nicholas Selnecker와 공저, 1585)
  • Wiederholte Christi gemeine Confession der Sächischen Kirchende [Reiterated Christian General Confession of the Saxon Church].
  • Andächtige Gebete wider die Teuffel in den armen besessen Leutende [Devout Prayers against the Devil in the Poor Possessed People] 1596.
  • Eine andere Predigt von auffrichtung Christlicher Schulende [Another Sermon on the Erecting of Christian Schools] 1573.
  • Consilium ... de lectione patrumde [Counsel ... On the Reading of the {church} Fathers] 1616.
  • Echt evangelische aulegung de Sonn- und Festtags-evangelien des kirchenjahrsde [Genuinely Evangelical Interpretation of the Sunday and Feastday Gospels of the Church Year] 1872–1878.
  • * [https://archive.org/details/echtevangelisch05gerhgoog Erster Band]
  • * [https://archive.org/details/echtevangelisch04gerhgoog Zweiter Band]
  • * [https://archive.org/details/echtevangelisch02gerhgoog Dritter Band]
  • * [https://books.google.com/books?id=PvwGv-3SpQYC Vierter Band]
  • * [https://books.google.com/books?id=_671LQ8xMH0C Fünfter Band]
  • *Sechster Band
  • * [https://archive.org/details/echtevangelisch03gerhgoog Siebenter Band]
  • Harmoniae Evangelicaela [Harmony of the Gospels] 1593.
  • Historia der Passion Christide [History of the Passion of Christ] 1590.
  • Leich-Pred., Herrn Victor Beseken, gewessen Bürgemeisters in Bremende [Funeral Sermon for Lord Victor Beseken, Former Mayor of Bremen] 1612.
  • Leich-Predigt, in funere Christoph von Blanckenburg, anno 1573 gethande [Funeral Sermon, at the Burial of Christoph von Blanckenburg, given in the Year 1573] 1578.
  • Oratio de Lectione Patrum, habitala [Oration Concerning the Reading of the Fathers, Delivered ...] 1554.
  • Oratio habita in Introductione Universitatis Juliaela [{An} Oration Delivered at the Introduction of the University of {Duke} Julius] 1576
  • Oratio panegyrica, das ist, Trost- und Ehren-Predigt bey des weyland ... M. Chemnitii ... Leichbestätigungde [Panegyrical Oration, that is, Comforting and Honoring Sermon of M. Chemnitz at the formerly ... Burial] 1627.
  • Postilla: oder Auslegung der Euangelien welche auff die Sontage, auch die fürnembste Fest und Apostel Tage in der Gemeine Gottes abgelesen und erkläret werdende [Postils: Or Interpretation of the Gospels, which on the Sundays, also the Foremost Feast and Apostle Days, in the Congregation of God Are Read and Explained] 1593.
  • Postille, oder Erklärung der ordentlichen Sonn- und Fest-Tags Evangeliende [Postil, or Explanation of the Proper Sun- and Feastdays' Gospels] 1594.
  • Predigt am Sonntag Septuagesimade [Sermon for Septuagesima Sunday] 1866.
  • Eine Predigt bey der Einführung der Julius-Universität zu Helmstedtde [A Sermon at the Introduction of the {Duke} Julius-University at Helmstedt] [Oratio habita in Introductione Universitatis Juliaede의 독일어 텍스트] 1576.
  • Eine Predigt über das Evangelion Matthew 22de [A Sermon on Matthew 22] 1573.
  • Ein Predigt ... über John 3:1-15 (über Luke 18:9-14)de [A Sermon ... on John 3:1-15 (on Luke 18:9-14)] 1856–1886.
  • Epistola de coena Domini in tertiam Apologiam Bezaela [Letter Concerning the Lord's Supper in the Third Apology of Beza].
  • Epistolae Martini Chemnitii ad Matthiam Ritterumla [Letters of Martin Chemnitz to Matthias Ritter].
  • Prefatio Doctoris M. Chemnitij [to] Heinrich Bünting's Itineranium et Chronicon ecclesiasticum totius Sacrae Scriptureaede [Preface of Doctor M{artin} Chemnitz to Heinrich Bünting's Itinerary and Ecclesiastical Chronicle of All the Holy Scriptures] 1581.
  • Bedencken: An justum sit, fures punire suspendiede [Reflection: Whether It Be Just, to Punish Thieves By Hanging].
  • Bedencken der Theologen zu Braunschwiegk/von dem newen Wittenbergischen Catchismo gestallet/der gantzen Christenheit zur Warnung ausgengende [Reflection of the Theologians of Braunschweig on the New Placed Wittenberg Catechism to All Christendom Sent Out As a Warning] 1571. (이 문서는 작센의 선제후 아우구스트가 그의 공국에서 루터교 신앙을 약화시키려는 칼뱅주의 성향의 목회자와 교사들의 음모를 밝혀내는 데 도움을 주었다.)
  • Bedencken: Ob die Worte der Einsetzung notwendig müssen recitiret werden?de [Reflection: Whether the Words of Institution {of the Lord's Supper} Must Necessarily Be Recited].
  • Bedencken von Beruff und Enterlaubung der Predigterde [Reflection on the Call and Authorization of Preachers].
  • Bericht vom newen Baptischen Gregoriano Calendario, an den Landgraffen zu Hessende [Report on the New Papal Gregorian calendar, to the Landgrave of Hesse] 1584. (켐니츠는 점성술사로 훈련받았으며, 그는 오래된 율리우스력 대신 새로운 1582년 그레고리력을 채택하는 것이 바람직한지에 대한 자문을 받았다.)
  • Bericht von Gelegenheit und Unterschiedt der Herzogstümer Schleswig und Holtzsteinde [Report on {the} Location and Division of the Duchies of Schleswig and Holtstein] 1629.
  • Consilium de vitandis Calvinianisde [Counsel On Avoiding Calvinists] 1623.
  • De coelibatu judiciumde [Judgment Concerning Celibacy ] 1623.
  • Judicium de Calendario Gregorianode [Judgment concerning the Gregorian calendar ].
  • Judicium von der Nohtwehrede [Judgment concerning Self-Defense] 1623.
  • Monita Chemnitiana oder heilsame Erinnerungen ehmals von D. Martino Chemnitio bey solenner Einführung der Julius-Universitätde [Chemnitian {Chemnitz} Admonitions or Salutary Reminders Formerly by Dr. Martin Chemnitz at the Solemn Introduction of the {Duke} Julius University] 1716.
  • Disputatio Theologica de Beneficiis Filii Dei, Domini, & Redemptoris nostri JESU CHRISTI, pro summis in Theologia honoribus consequendis habitala [Theological Disputation Concerning the Blessings of the Son of God, Our Lord and Redeemer Jesus Christ, Held for the Highest Suitable Honors in Theology] 1568 (신학 박사 학위를 받기 위한 신학 논쟁).
  • Anatome Propositionum Alberti Hardenbergii de Coena Dominila [Anatomy/Dissection of the Propositions of Albert Hardenberg on the Lord's Supper] 1561.
  • Bekäntnitz von der ubiquitätde [Confession on Ubiquity] 1623. (그리스도의 인성의 편재 교리에 대한 켐니츠의 입장을 제시하는 문서)
  • De incarnatione filii Dei item de officio et maiestate Christi tractusla [Treatise on the Incarnation of the Son of God, Also on the Office and Majesty of Christ] 1865.
  • De origine Jeswitarum, et quo concilio secta illa recens instituta sitla [On the Origin of the Jesuits, and Counsel Concerning Which That Sect Is Recently Instituted] 1611.
  • ''[https://books.google.com/books?id=fYOjvC2T9qIC&pg=PA232&dq Examination of the Council of Trent].'' Fred Kramer, trans. 4 vols. St. Louis: Concordia Publishing House, 1971-86 (1565-73년에 [https://archive.org/details/examinisconcili00chemgoog Examen Concilii Tridentini]로 출판됨.)
  • ''Loci Theologici.'' J. A. O. Preus, trans. St. Louis: Concordia Publishing House, 1989; ''Justification: The Chief Article of Christian Doctrine as Expoiunded in Loci Theologici.'' J.A.O Preus, trans. St. Louis: Concordia Publishing House, 1985 (1591년에 ''Loci Theologici''로 출판됨.)
  • *Chapter on [https://web.archive.org/web/20090226003419/http://www.lcms.org/graphics/assets/media/WRHC/On%20Almsgiving.pdf Almsgiving from Loci Theologici], translated into English in .pdf format
  • ''The Lord's Prayer.'' Georg Williams, trans. St. Louis: Concordia Publishing House, 1999 (영어로 ''A Svbstantial and godly exposition of the praier commonly called the Lords prayer.'' Cambridge, 1598로 번역 출판됨; 출판되지 않은 원본 라틴어 텍스트는 손실됨).
  • ''[https://books.google.com/books?id=fYOjvC2T9qIC&pg=PA231&dq The Lord's Supper].'' J. A. O. Preus, trans. St. Louis: Concordia Publishing House, 1979. (1561년에 Repititio sanae doctrinae de vera praesentia corporis et sangvinis Domini in Coenala로 출판됨.)
  • Martini Kemnitinii Von der Jesuwiten ankunfft unnd ursprungde [Martin Chemnitz on the Arrival and Origin of the Jesuits] 1586.
  • Ob ein Prediger am Ältare sich selbst communiciren mögede [Whether a Preacher at the Altar Might Commune Himself] 1623.
  • Richtige und inn H. Schrifft wolgegründte Erklarung / entlicher hochwichtiger und nötiger Artickel unser Christlichen Religion / in sonderliche Tractat und Predigten gefassetde [An Explanation, Correct and Well-Grounded in Holy Scripture, of Quite a Few Highly Important and Necessary Articles of Our Christian Religion Contained in Special Treatises and Sermons] 1592.
  • Theologiæ Jesuitarum Brevis ac Nervosa Descriptio et Delineatio: Ex Præcipuis Capitibus Censuræ ipsorum, quæ Anno MDLX. Coloniæ edita estla [A Brief and Bold Description and Delineation of the Theology of the Jesuits: From the Principal Chapters of Their Own Opinions, the Year of Which {is} 1560] 1560.
  • Theses quaedam de unione duarum naturarum in Christo hypostatica: item de officiis et maiestate Christi Mediatorisla [Some Theses Concerning the Hypostatic Union of the Two Natures in Christ: That Is, Concerning the Offices and Majesty of Christ the Mediator] 1558.
  • Tract. de Imagine DEI in hominela [Treatise on the Image of God in Man] 1570.
  • ''[https://books.google.com/books?id=fYOjvC2T9qIC&pg=PA227&dq The Two Natures of Christ].'' J. A. O. Preus, trans. St. Louis: Concordia Publishing House, 1971. (1561년에 De Duabus Naturis in Christo: De hypostatica earum unione: De communicatione idiomaticumla로 출판됨.)
  • Veritas religionis Lutheranae defensade [Defense of the Truth of the Lutheran Religion] (독일어 텍스트).
  • Von der ewigen gnadenwahlde [On the Eternal Election of Grace] 1892.
  • 마르틴 켐니츠 박사의 서문de

4. 평가 및 영향

마르틴 켐니츠는 종교 개혁 이후 루터교 신학을 정립하고 발전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 인물로 평가받는다. 그는 마르틴 루터의 신학을 계승하고 발전시켜 '제2의 마르틴'으로 불리기도 한다. 켐니츠는 루터 사후 루터교 내에서 발생한 다양한 신학적 논쟁을 조정하고 일치를 이루는 데 기여했다. 특히, 트렌트 공의회의 결정에 반박하는 저술을 통해 루터교 신학을 변호하고 강화했다.

켐니츠의 주요 저작 중 하나인 ''Examen Concilii Tridentinila''(트렌트 공의회 심사)는 트렌트 공의회의 교리에 대한 체계적인 비판을 제시하며, 루터교 신학의 핵심 교리를 옹호하는 중요한 자료로 평가받는다. 또한, 그의 ''Loci Theologicila''(신학 총론)는 루터교 신학의 주요 주제들을 종합적으로 다루는 대표적인 저술로 꼽힌다.

켐니츠는 신학적인 업적 외에도 그레고리력 도입에 대한 자문에 응하는 등 당시 사회의 다양한 문제에 대해서도 자신의 견해를 밝혔다.

참조

[1] EB1911
[2] 서적 Evangelical Lutheran Worship Augsburg Fortress
[3] 서적 Lutheran Service Book Concordia Publishing House 2006
[4] 간행물 Martin Chemnitz http://www.studiumex[...] Studium Excitare: A Journal of Confessional Languages Studies at MLC
[5] 문서 The title page continues the title: "Primum germanice per reverendum virum, D. Martinum Kemnitium, S. Theologiae Doctorem, in usum Pastorum minus exercitatorum conscripta: Nunc vero voluntate Authoris & loco Confessionis Ministerii Ecclesiae Brunsuicensis latine conversa per Ionnem Zangerum Oenipontanum."
[6] 문서 English translation in Robert Kolb et al., ''Sources and Contexts of The Book of Concord'', (Minneapolis: Fortress Press, 2001), 197-219.
[7] EB1911
[8] 서적 Lutheran Service Book CPH 2006
[9] 서적 The theology of the Westminster standards : historical context and theological insights https://www.worldcat[...] ''
[10] 문서 The title page continues the title: "Primum germanice per reverendum virum, D. Martinum Kemnitium, S. Theologiae Doctorem, in usum Pastorum minus exercitatorum conscripta: Nunc vero voluntate Authoris & loco Confessionis Ministerii Ecclesiae Brunsuicensis latine conversa per Ionnem Zangerum Oenipontanum."
[11] 문서 English translation in Robert Kolb et al., ''Sources and Contexts of The Book of Concord'', (Minneapolis: Fortress Press, 2001), 197-2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