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클 나카무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이클 나카무라는 호주인 어머니와 일본인 아버지 사이에서 태어난 야구 선수로,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과 일본 프로 야구에서 활동했다. 1997년 미네소타 트윈스와 계약 후 미국으로 이주하여 2003년부터 2004년까지 메이저 리그에서 뛰었으나, 일본으로 건너가 2004년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에 입단하여 2006년 퍼시픽 리그 최다 세이브 투수, 일본 시리즈 우승을 경험했다. 2009년 요미우리 자이언츠로 이적 후 2012년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에서 은퇴했으며, 이후 호주 야구 국가대표팀 코치로 활동했다. 사이드암 투구 폼으로 최고 구속 150km/h의 빠른 공과 다양한 변화구를 구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계 오스트레일리아인 - 제이슨 데이비드슨
제이슨 데이비드슨은 다양한 리그에서 활약하며 2015 AFC 아시안컵 우승 멤버이자, NK 올림피야 류블랴나, 퍼스 글로리 FC, 울산 현대에서 우승을 경험하고 2022 A리그 올스타에 선정, PFA A리그 시즌 베스트팀에 두 차례 선정된 오스트레일리아의 축구 선수이다. - 일본계 오스트레일리아인 - 링키 히지카타
오스트레일리아의 프로 테니스 선수 링키 히지카타는 2018년 하계 청소년 올림픽 테니스 남자 복식 은메달, 2023년 호주 오픈 남자 복식 우승, 그리고 2023년 뉴컴 메달 수상 경력을 가지고 있다. - 오스트레일리아 야구 국가대표팀 선수 - 크리스 옥스프링
크리스 옥스프링은 오스트레일리아 출신으로, KBO 리그, NPB, MLB, ABL 등 여러 리그에서 선수와 지도자로 활동했으며, 2004년 아테네 올림픽에서 호주 국가대표로 은메달을 획득했다. - 오스트레일리아 야구 국가대표팀 선수 - 에이드리언 번사이드
에이드리언 번사이드는 오스트레일리아 출신 야구 선수로, 청소년 국가대표로 세계 주니어 야구 선수권 대회에서 동메달을 획득한 후 LA 다저스와 계약하여 미국 마이너 리그, 일본, 한국, 대만 프로 야구 리그에서 활동했으며, 호주 국가대표로 올림픽과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에 참가했다.
마이클 나카무라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MICHEAL Micheal Nakamura |
본명 | 나카무라 마이케루 (中村 マイケル) |
출생일 | 1976년 9월 6일 |
출생지 | 나라현 |
국적 | (이중국적) |
신장 | 178 cm |
체중 | 82 kg |
투구/타석 | 우투/우타 |
포지션 | 투수 |
![]() | |
선수 경력 | |
아마추어 | 웨슬리 칼리지 고등학교, 남앨라배마 대학교 |
MLB | 미네소타 트윈스 (2003), 토론토 블루제이스 (2004) |
NPB |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스 (2005-2008), 요미우리 자이언츠 (2009-2011),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 (2012) |
국가대표 | 오스트레일리아 |
드래프트 정보 | |
MLB 드래프트 | 1997년 아마추어 FA |
NPB 드래프트 | 2004년 드래프트 4라운드 |
MLB 기록 | |
첫 출장 | 2003년 6월 7일 |
마지막 출장 | 2004년 7월 31일 |
승-패 | 0승 3패 |
평균 자책점 | 7.51 |
탈삼진 | 38 |
세이브 | 1 |
NPB 기록 | |
첫 출장 | 2005년 3월 29일 |
마지막 출장 | 2012년 9월 9일 |
승-패 | 14승 9패 |
평균 자책점 | 2.61 |
탈삼진 | 294 |
세이브 | 104 |
수상 | |
NPB | 퍼시픽 리그 세이브 1위 (2006년) |
기타 | 재팬 시리즈 우승 (2006년, 2009년) |
기타 정보 | |
별칭 | MICHEAL |
베이스볼 오스트레일리아 명예의 전당 헌액 | 2016년 |
2. 선수 경력
일본인 아버지와 호주인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나 3살 때 오스트레일리아로 이주했다.[1] 1997년 미네소타 트윈스와 계약하며 미국으로 건너가 프로 선수 생활을 시작했다. 1996년과 2000년에는 호주 야구 국가대표팀의 일원으로 하계 올림픽에 참가하기도 했다.[1]
MLB에서는 미네소타 트윈스(2003년)와 토론토 블루제이스(2004년) 소속으로 뛰었으나, 통산 31경기에 등판하여 승리 없이 3패 1세이브, 평균자책점 7.51을 기록하는 등 큰 두각을 나타내지는 못했다.[1] 2004년 시즌 종료 후 토론토 블루제이스에서 방출되었다.
이후 NPB로 무대를 옮겨, 2004년 드래프트 회의에서 4순위로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스에 지명되어 입단했다. 닛폰햄 시절인 2006년에는 마무리 투수로 활약하며 39세이브를 기록, 당시 퍼시픽 리그 시즌 최다 세이브 신기록을 세우며 팀의 일본 시리즈 우승에 크게 기여했다. 이후 요미우리 자이언츠(2009년~2011년),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2012년)를 거쳐 2012년 시즌 종료 후 현역에서 은퇴했다.
NPB 통산 퍼시픽 리그 우승 2회, 일본 시리즈 우승 2회에 기여했으며, 개인 타이틀로는 최다 세이브 1회(2006년)를 수상했다.[4] NPB 등록명은 주로 '''MICHEAL'''을 사용했으나, 요미우리 시절인 2009년에는 '''M. 나카무라'''로 등록하기도 했다.[5][6]
2. 1. 프로 입단 전
일본인 아버지와 호주인 어머니 사이에서 나라현에서 태어났다.[1] 일본 이름은 '''나카무라 요시히데'''(なかむら よしひ데)이다.[7] 3살 때 가족과 함께 오스트레일리아로 이주했으며,[1] 이후 MLB 진출을 목표로 미국으로 건너갔다.1996년 애틀랜타 올림픽과 2000년 시드니 올림픽에 호주 야구 국가대표팀의 일원으로 참가했다.[1][3] 애틀랜타 올림픽에서는 구원 투수로 4경기에, 시드니 올림픽에서는 3경기에 등판했다.[3]
2. 2. MLB 경력
1997년 아마추어 FA로 미네소타 트윈스에 입단했다.[1] 1996년과 2000년 호주 올림픽 야구 대표팀으로 참가했으나,[1] 메이저 리그에서는 큰 성공을 거두지 못했다.2003년 6월 메이저 리그에 데뷔하여 미네소타 트윈스 소속으로 12경기에 등판, 0승 0패 1세이브 1홀드, 평균자책점 7.82를 기록했다. 2004년에는 토론토 블루제이스로 트레이드되어 19경기에 등판했지만 0승 3패, 평균자책점 7.36으로 부진했고, 시즌 종료 후 자유 계약 선수가 되었다. 메이저 리그 통산 기록은 31경기 등판, 0승 3패 1세이브 3홀드, 평균자책점 7.51이며, 승리를 기록하지는 못했다.[1]
메이저 리그 시절, 훗날 닛폰햄에서 팀 동료가 되는 신조 쓰요시와 투타 대결을 펼친 경험이 있다. 또한 뉴욕 양키스 소속이던 마쓰이 히데키에게 오픈전 첫 안타를 허용하기도 했다. 2004년 7월 27일에는 게리 셰필드에게 통산 400호 홈런을 허용했다.[2]
'''MLB 연도별 투수 성적'''
연도 | 소속 | 등판 | 선발 | 완투 | 완봉 | 무4구 | 승리 | 패전 | 세이브 | 홀드 | 승률 | 타자 | 이닝 | 피안타 | 피홈런 | 볼넷 | 고의 4구 | 사구 | 탈삼진 | 폭투 | 보크 | 실점 | 자책점 | 평균자책 | WHIP |
---|---|---|---|---|---|---|---|---|---|---|---|---|---|---|---|---|---|---|---|---|---|---|---|---|---|
2003년 | MIN | 12 | 0 | 0 | 0 | 0 | 0 | 0 | 1 | 1 | ---- | 62 | 12.2 | 20 | 4 | 2 | 0 | 1 | 14 | 0 | 0 | 11 | 11 | 7.82 | 1.75 |
2004년 | TOR | 19 | 0 | 0 | 0 | 0 | 0 | 3 | 0 | 2 | .000 | 114 | 25.2 | 27 | 7 | 7 | 0 | 2 | 24 | 3 | 0 | 23 | 21 | 7.36 | 1.32 |
MLB 통산: 2년 | 31 | 0 | 0 | 0 | 0 | 0 | 3 | 1 | 3 | .000 | 176 | 38.1 | 47 | 11 | 9 | 0 | 3 | 38 | 3 | 0 | 34 | 32 | 7.51 | 1.46 |
2. 3. NPB 경력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에서 방출된 후, 나카무라는 NPB에서 기회를 모색했다. 그는 일본인 아버지와 유럽계오스트레일리아인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났으며[1] '나카무라 요시히데'(なかむら よしひ데)라는 일본 이름도 가지고 있다.[7] 일본 국적을 보유하고 있었지만 일본 프로 야구 경험이 없었기 때문에, 2004년 드래프트 회의에서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스의 4순위 지명을 받아 입단했다. NPB 등록명은 '''MICHEAL'''(마이클)로 정했는데, 이는 알파벳 7글자로 일부 구장의 전광판 글자 수 제한(예: 세이부 돔)으로 인해 'MICHEL' 등으로 잘못 표기되거나, 가타카나 'マイケル'로 표기되는 경우도 있었다.2005년 3월 29일 세이부전을 통해 NPB에 데뷔했으며, 첫 해에는 주로 셋업맨으로 활약했다. 2006년부터는 팀의 마무리 투수로 중용되어 그해 39세이브를 기록하며 당시 퍼시픽 리그 신기록을 세웠고, 팀의 일본 시리즈 우승에 크게 기여하며 우승 확정 순간 마운드에 있던 투수가 되기도 했다. 닛폰햄 소속으로 2007년에도 34세이브를 기록하며 리그 우승에 공헌했고, 2008년에는 NPB 통산 100세이브를 달성했다. 이는 당시 일본인 선수로는 최단 기간(194경기) 기록이었다.
2008 시즌 종료 후, 니오카 토모히로, 하야시 마사노리와의 트레이드를 통해 쿠도 타카토와 함께 요미우리 자이언츠로 이적했다.[8] 요미우리 이적 첫해인 2009년에는 등록명을 '''M. 나카무라'''로 변경했으나[5][6], 부진한 모습을 보였다. 팀은 그해 일본 시리즈 우승을 차지했지만 나카무라 개인에게는 아쉬운 시즌이었다. 2010년에는 등록명을 다시 '''MICHEAL'''로 변경하고 평균자책점 1.93으로 반등하는 모습을 보였다.
2011년 시즌 종료 후 요미우리에서 방출되었고, 12월 23일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와 계약했다.[9] 2012년 시즌에는 세이부에서 중간 계투와 선발 투수로 등판했으며, 시즌 종료 후인 10월 2일 현역 은퇴를 발표했다.[10]
NPB 통산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스와 요미우리 자이언츠 소속으로 퍼시픽 리그 우승 2회, 일본 시리즈 우승 2회에 기여했으며, 개인 타이틀로는 최다 세이브 1회(2006년)를 수상했다.[4]
2. 3. 1.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스 시절
2004년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스와 지바 롯데 마린스의 입단 테스트를 거쳐, 같은 해 드래프트 회의에서 닛폰햄으로부터 4순위 지명을 받아 입단했다. 일본 국적을 가졌으나 일본 프로 야구 경험이 없었기에 드래프트를 통해 입단 자격을 얻었다. 입단 후 등록명은 '''MICHEAL'''로 정했다.2005년 3월 29일 세이부 라이온스전에서 NPB 데뷔전을 치렀다. 시즌 초반에는 마무리 투수 요코야마 미치야에게 연결하는 셋업맨으로 활약하며 5월 후반부터 22이닝 연속 무실점 호투를 펼쳤다. 그러나 시즌 중반 허리 통증으로 전력에서 이탈하여 후반기에는 거의 등판하지 못하고 시즌을 마쳤다. 2005년 시즌에는 32경기에 등판하여 3승 0패, 평균자책점 2.31을 기록했으며, 투구 이닝보다 많은 탈삼진을 기록했다.
2006년에는 팀의 마무리 투수(수호신)로 발탁되었다. 개막 2연전에서 모두 세이브를 기록하며 팀의 12년 만의 개막 2연승에 기여했다. 시즌 동안 뛰어난 활약을 펼쳐 9월 8일 오릭스 버팔로즈전에서 에나쓰 유타카와 타이를 이루는 구단 기록인 34세이브를 달성했고, 9월 27일 소프트뱅크 호크스전에서는 도요다 기요시가 보유하고 있던 퍼시픽 리그 기록(38세이브)을 경신하는 39세이브를 기록했다. 이는 당시 퍼시픽 리그 신기록이었다. 주니치 드래건스와의 일본 시리즈에서도 3세이브를 올리며 팀의 일본 시리즈 우승에 결정적인 공헌을 했고, 우승이 확정된 5차전에서는 헹가래 투수가 되었다. 일본 시리즈 4경기에 등판하여 단 한 개의 안타도 허용하지 않았다.
2007년 시즌 초반에는 다소 부진했으나 점차 컨디션을 회복하여 최종적으로 34세이브를 기록하며 팀의 리그 우승과 클라이맥스 시리즈 제패에 공헌했다.
2008년에도 마무리 투수를 맡아 활약했다. 9월 13일 오릭스 버팔로즈전에서 일본 프로 야구 통산 20번째로 100세이브를 달성했다. 이는 당시 일본인 선수로는 최단 기간(194경기) 기록이었다. 최종적으로 28세이브를 기록했다.
2008 시즌 종료 후, 2009년에도 팀의 수호신으로 활약할 것으로 예상되었으나, 11월 6일 니오카 토모히로, 하야시 마사노리와의 트레이드를 통해 쿠도 타카토와 함께 요미우리 자이언츠로 이적하게 되었다. 이는 우타 강타자와 좌완 중간 계투를 원했던 닛폰햄 구단의 사정에 따른 것이었다.[8]
2. 3. 2. 요미우리 자이언츠 시절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에서 활약한 후, 2009년 시즌을 앞두고 니오카 도모히로, 하야시 마사노리와의 트레이드를 통해 요미우리 자이언츠로 이적했다. 요미우리 자이언츠 시절에는 2009년 한 해 동안 등록명을 '''M. 나카무라'''(마이클 나카무라)로 사용했다.[5][6]이적 첫 해인 2009년에는 29경기에 등판하여 1승 2패 5홀드, 평균자책점 6.18로 부진한 성적을 기록했다. 같은 해 클라이맥스 시리즈 2차전에서는 상대 타자에게 위험구를 던져 퇴장당하기도 했다.
2010년에는 37경기에 등판하여 1승 5홀드, 평균자책점 1.93을 기록하며 전년도보다 안정된 모습을 보였다. 그러나 2011년에는 단 7경기 등판에 그쳤고, 시즌 종료 후 요미우리 자이언츠에서 방출되었다.
요미우리 자이언츠 소속으로 팀의 일본 시리즈 우승에 기여했다.[4]
2. 3. 3.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 시절
마이클 나카무라는 2012년 시즌 종료 후 세이부 라이온스의 일원으로 은퇴했다.2. 4. 은퇴 이후
은퇴 후에는 고국인 오스트레일리아로 돌아갔다.2015년 10월 1일에는 함께 배터리를 이루었던 포수 나카지마 사토시의 은퇴 기념식에 야마다 히사시와 함께 참석하여 오랜만에 공식 석상에 모습을 보였다.[11]
2018년 2월 19일, 야구 오스트레일리아 대표팀의 어시스턴트 코치로 취임했다.[12] 같은 해 3월 3일부터 4일까지 열린 야구 일본-호주 대표 강화 경기 'ENEOS 사무라이 재팬 시리즈 2018'에 동행하며 코치 경력을 시작했다.[13]
2022년 11월에는 삿포로 돔에서 열린 '사무라이 재팬 시리즈 2022 일본 vs 오스트레일리아'에 코치진의 일원으로 일본을 방문했다.[14]
3. 투구 스타일
나카무라는 변칙적인 사이드암 투구 폼을 가졌다. 주로 시속 90마일(약 145km/h)의 패스트볼과 두 종류의 커브를 던졌다. 그의 커브 중 하나는 슬라이더와 유사한 움직임을 보여 일부 해설자들은 이를 슬러브라고 부르기도 했으며, 다른 하나는 낙폭이 큰 특징을 가졌다. 또한 최고 구속 150km/h의 속구와 슬러브, 슬라이더 등도 구사했다.[15]
이 독특한 투구 폼은 1997년 팔꿈치 수술 후 폼 개조를 하면서 만들어진 것으로, 나카무라 본인은 "야구를 하는 아이들에게는 절대로 참고하지 않았으면 좋겠다"고 말하기도 했다.[15]
닛폰햄 파이터스 시절에는 주로 포수 나카지마 사토시와 배터리를 이루었다. 당시 닛폰햄에는 다카하시 신지와 쓰루오카 신야가 주전 포수로 기용되었지만, 나카무라는 나카지마 외 다른 포수와 호흡을 맞출 경우 제구에 극단적인 어려움을 겪는 등 상성이 좋지 않았다. 이 때문에 나카무라가 구원 등판할 때는 배터리 전체를 교체하는 경우가 많았고, 이로 인해 나카지마는 한때 '구원 포수'라고 불리기도 했다. 경기 상황에 따라 나카지마와 배터리를 이룰 수 없을 때는, 나카지마가 벤치에서 다카하시나 쓰루오카에게 사인을 보내 마이클을 리드하는 경우도 있었다. 요미우리 자이언츠나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 시절에는 나카지마가 없었기 때문에 결정구인 슬러브를 거의 던지지 못했고, 이는 성적 부진의 한 원인이 되었다.
4. 논란 및 사건 사고
2009년 10월 21일, 센트럴 리그 클라이맥스 시리즈 2차 스테이지 1차전(주니치 드래건스 전)에서 토니 블랑코의 머리 쪽으로 향하는 위험구를 던져 퇴장당했다. 이는 센트럴 리그와 퍼시픽 리그를 통틀어 클라이맥스 시리즈 사상 최초의 위험구 퇴장 사례로 기록되었으며, 스포츠맨십에 어긋나는 행위라는 비판을 받았다.
5. 수상 경력
투수로서 MLB의 미네소타 트윈스 소속 시절 한 차례 지구 우승에 기여했다.[4]
5. 1. NPB
미네소타 트윈스에서 활동한 후 NPB로 이적하여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스와 요미우리 자이언츠 소속으로 뛰었다. NPB에서는 소속팀의 퍼시픽 리그 우승 2회, 일본 시리즈 우승 2회 달성에 기여했다.개인적으로는 NPB에서 최다 세이브 투수 타이틀 1개를 포함하여 다음과 같은 상을 받았다.[4]
- 최다 세이브 투수: 1회 (2006년)
- 월간 MVP: 1회 (2006년 9월)
- JA 전국 농업 협동 조합 Go・Go상: 1회 (구원상: 2007년 6월)
미디어에서는 주로 '''마이클 나카무라'''(マイケルなかむら)라는 이름이 사용되지만, NPB의 공식 등록 등에서는 일본식 이름 표기인 '''나카무라 마이클'''[5][6]로 표기되기도 한다. 일본인 아버지와 유럽계 호주인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났으며, '''나카무라 요시히데'''(なかむら よし히데)라는 일본 이름도 가지고 있다.[7]
NPB에서의 등록명은 '''MICHEAL'''(마이클)이었으나, 요미우리 자이언츠 소속이던 2009년에는 '''M. 나카무라'''(마이클 나카무라)로 등록되었다.
6. 통산 기록
; MLB 첫 기록
- 첫 등판·첫 세이브: 2003년 6월 7일, 대 샌디에고 파드리스 2차전 (퀄컴 스타디움), 8회말 2아웃에 3번째 투수로 구원 등판, 완료, 1이닝 1/3 무실점
- 첫 탈삼진: 상동, 8회말에 데이브 한센에게서
- 첫 홀드: 2003년 6월 11일, 대 콜로라도 로키스 2차전 (휴버트 H. 험프리 메트로돔), 7회초 1아웃에 3번째 투수로 구원 등판, 1/3이닝 1실점
; NPB 첫 기록
- 첫 등판: 2005년 3월 29일, 대 세이부 라이온즈 2차전 (삿포로 돔), 7회초 2아웃에 2번째 투수로 구원 등판, 2/3이닝 3실점
- 첫 탈삼진: 2005년 4월 13일, 대 세이부 라이온즈 6차전 (인보이스 SEIBU 돔), 9회말에 코세키 타츠야에게서
- 첫 세이브: 2005년 5월 3일, 대 세이부 라이온즈 7차전 (인보이스 SEIBU 돔), 7회말에 2번째 투수로 구원 등판·완료, 3이닝 2실점
- 첫 승리: 2005년 5월 7일, 대 한신 타이거스 2차전 (삿포로 돔), 12회초에 6번째 투수로 구원 등판·완료, 1이닝 무실점
- 첫 홀드: 2005년 5월 25일, 대 히로시마 도요 카프 2차전 (히로시마 시민 구장), 7회말 무사시에 4번째 투수로 구원 등판, 2이닝 무실점
- 첫 선발 등판: 2012년 9월 2일, 대 지바 롯데 마린스 18차전 (세이부 돔), 4이닝 3안타 1실점 (자책점 0)
; NPB 이정표 기록
- 100세이브: 2008년 9월 13일, 대 오릭스 버팔로스 20차전 (삿포로 돔), 9회초에 5번째 투수로 구원 등판·완료, 1이닝 무실점 ※역대 20번째,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 구단 사상 최초, 일본인 최속인 194경기 만에 100세이브 달성
; NPB 기타 기록
- 3년 연속 20 세이브 이상 (2006년 - 2008년)
- 12회 연장 계투 노히트 노런: 2006년 4월 15일, 대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4차전 (후쿠오카 Yahoo!JAPAN 돔) ※야기 토모야 (1회말 - 10회말) · 다케다 히사시 (11회말) · 마이클 (12회말)의 3명의 투수로 연장 12회를 무안타·무득점으로 막아냄
- 3명의 투수 계투에 의한 노히트 노런: 상동 ※역사상 최초
- 연장전의 계투에 의한 노히트 노런: 상동 ※역사상 최초
6. 1. NPB
NPB에서는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스, 요미우리 자이언츠,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 소속으로 총 8년간 활약했다. 닛폰햄과 요미우리 소속으로 뛰면서 2번의 퍼시픽 리그 우승과 2번의 일본 시리즈 우승에 기여했다. 개인적으로는 2006년에 최다 세이브 타이틀을 1회 획득했다.[4]일본인 아버지와 호주인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났으며, '나카무라 요시히데'(なかむら よしひ데)라는 일본 이름도 가지고 있다.[7] NPB에서의 등록명은 주로 '''MICHEAL'''(마이클)이었으나, 요미우리 자이언츠 소속이던 2009년에는 '''M. 나카무라'''(마이클 나카무라)로 등록되었다.[5][6] 이는 당시 요미우리 구단이 동명이인 등의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 퍼스트 네임이나 닉네임 등록을 원칙적으로 인정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2009년 요미우리 이적 첫 해에는 부진을 겪었다. 4월 4일 히로시마전에 이적 후 처음 등판했지만, 구리하라 겐타, 스콧 시볼에게 연속 홈런을 맞는 등 4실점하며 강판되었다. 이후에도 컨디션 난조로 6월과 8월에 두 차례 2군으로 내려갔고, 시즌 최종 29경기 등판에 평균자책점 6.18이라는 아쉬운 성적을 남겼다. 10월 클라이맥스 시리즈에서는 토니 블랑코에게 위험구를 던져 퇴장당하기도 했다. 팀은 리그 우승과 일본 시리즈 우승을 달성했지만, 개인에게는 힘든 시즌이었다.
2010년 시즌에는 등록명을 닛폰햄 시대와 같은 '''MICHEAL'''로 되돌리는 것이 허가되었다. 시즌 초반에는 등판 기회가 적었으나, 6월 27일 요코하마전을 시작으로 주로 경기 후반에 등판하며 37경기에서 1승, 평균자책점 1.93을 기록하며 부활하는 모습을 보였다.
2011년 시즌에는 대부분 2군에서 보냈고, 1군 등판은 7경기에 그쳤다. 시즌 종료 후 11월 15일 요미우리에서 방출 통보를 받았다. 이후 12월 23일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가 영입을 발표했다.[9]
연도 | 소속 | 등판 | 선발 | 완투 | 완봉 | 승리 | 패전 | 세이브 | 홀드 | 승률 | 타자 | 이닝 | 피안타 | 피홈런 | 볼넷 | 사구 | 탈삼진 | 폭투 | 실점 | 자책점 | 평균자책점 | WHIP |
---|---|---|---|---|---|---|---|---|---|---|---|---|---|---|---|---|---|---|---|---|---|---|
2005년 | 닛폰햄 | 32 | 0 | 0 | 0 | 3 | 0 | 1 | 9 | 1.000 | 175 | 46.2 | 32 | 2 | 8 | 2 | 47 | 1 | 12 | 12 | 2.31 | 0.86 |
2006년 | 64 | 0 | 0 | 0 | 5 | 1 | 39 | 4 | .833 | 270 | 65.2 | 55 | 5 | 20 | 4 | 67 | 2 | 16 | 16 | 2.19 | 1.14 | |
2007년 | 56 | 0 | 0 | 0 | 1 | 1 | 34 | 2 | .500 | 235 | 58.1 | 42 | 4 | 14 | 4 | 49 | 2 | 15 | 14 | 2.16 | 0.96 | |
2008년 | 46 | 0 | 0 | 0 | 2 | 2 | 28 | 2 | .500 | 186 | 46.1 | 32 | 2 | 12 | 6 | 47 | 0 | 11 | 11 | 2.14 | 0.95 | |
2009년 | 요미우리 | 29 | 0 | 0 | 0 | 1 | 2 | 0 | 5 | .333 | 126 | 27.2 | 34 | 5 | 9 | 3 | 28 | 0 | 19 | 19 | 6.18 | 1.55 |
2010년 | 37 | 0 | 0 | 0 | 1 | 0 | 1 | 5 | 1.000 | 168 | 42.0 | 35 | 4 | 9 | 1 | 33 | 0 | 12 | 9 | 1.93 | 1.05 | |
2011년 | 7 | 0 | 0 | 0 | 1 | 0 | 0 | 0 | 1.000 | 35 | 8.1 | 9 | 0 | 1 | 2 | 3 | 0 | 4 | 4 | 4.32 | 1.20 | |
2012년 | 세이부 | 17 | 2 | 0 | 0 | 0 | 3 | 1 | 4 | .000 | 96 | 22.0 | 22 | 1 | 7 | 2 | 20 | 3 | 12 | 7 | 2.86 | 1.32 |
NPB 통산 : 8년 | 288 | 2 | 0 | 0 | 14 | 9 | 104 | 31 | .609 | 1291 | 317.0 | 261 | 23 | 80 | 24 | 294 | 8 | 101 | 92 | 2.61 | 1.08 |
- '''굵은 글씨'''는 시즌 리그 최고 성적.
6. 2. MLB
오스트레일리아에서 성장한 나카무라는 1997년 미네소타 트윈스와 계약하며 미국으로 건너갔다.[1] 1996년과 2000년 호주 올림픽 야구 대표팀으로 참가했지만,[1]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MLB)에서는 큰 성공을 거두지 못했다.2003년 미네소타 트윈스 소속으로 MLB에 데뷔하여 12경기에 등판했으나 승패 없이 1세이브 1홀드, 평균자책점 7.82를 기록했다. 2004년에는 토론토 블루제이스로 트레이드되어 19경기에 등판했지만, 3패만을 기록하며 2홀드, 평균자책점 7.36에 그쳤다.[1] MLB 통산 기록은 2시즌 동안 31경기 등판, 0승 3패, 1세이브, 3홀드, 평균자책점 7.51이다. 총 38.1이닝을 투구하며 47개의 피안타(11피홈런), 9볼넷, 3사구를 내주었고 38개의 탈삼진을 기록했다.
2004년 7월 27일에는 뉴욕 양키스의 게리 셰필드에게 그의 통산 400번째 홈런을 허용한 투수가 되기도 했다.[2] 2004 시즌 종료 후 토론토 블루제이스와 재계약하지 못하고 방출되었으며, 이후 일본 무대에서 새로운 기회를 모색하게 된다.[1]
연도 | 구단 | 등판 | 선발 | 완투 | 완봉 | 무사사구 | 승리 | 패전 | 세이브 | 홀드 | 승률 | 타자 | 투구 이닝 | 피안타 | 피홈런 | 볼넷 | 고의사구 | 사구 | 탈삼진 | 폭투 | 보크 | 실점 | 자책점 | 평균자책점 | WHIP |
---|---|---|---|---|---|---|---|---|---|---|---|---|---|---|---|---|---|---|---|---|---|---|---|---|---|
2003 | MIN | 12 | 0 | 0 | 0 | 0 | 0 | 0 | 1 | 1 | ---- | 62 | 12.2 | 20 | 4 | 2 | 0 | 1 | 14 | 0 | 0 | 11 | 11 | 7.82 | 1.75 |
2004 | TOR | 19 | 0 | 0 | 0 | 0 | 0 | 3 | 0 | 2 | .000 | 114 | 25.2 | 27 | 7 | 7 | 0 | 2 | 24 | 3 | 0 | 23 | 21 | 7.36 | 1.32 |
MLB 통산: 2년 | 31 | 0 | 0 | 0 | 0 | 0 | 3 | 1 | 3 | .000 | 176 | 38.1 | 47 | 11 | 9 | 0 | 3 | 38 | 3 | 0 | 34 | 32 | 7.51 | 1.46 |
참조
[1]
웹사이트
Michael Nakamura Signs with Nippon Ham Fighters in Japan
http://www.baseball.[...]
Australian Baseball Federation
2009-03-04
[2]
웹사이트
Sheffield's 400th home run
http://m.mlb.com/vid[...]
2016-01-06
[3]
웹사이트
Olympic Statistics Michael Nakamura
https://www.sports-r[...]
[4]
뉴스
【西武】06年セーブ王マイケル引退 - プロ野球ニュース
https://www.nikkansp[...]
nikkansports.com
[5]
웹사이트
MICHEAL (中村 マイケル) (埼玉西武ライオンズ) | 個人別年度成績
https://npb.jp/bis/p[...]
NPB.jp 日本野球機構
[6]
뉴스
中村マイケル・大島裕行 2選手が引退を表明
https://www.seibulio[...]
埼玉西武ライオンズ
2012-10-02
[7]
웹사이트
日本をルーツに持つメジャーリーガーたち
http://gyao.yahoo.co[...]
2014-11-02
[8]
뉴스
一説では、高年俸がネックになったとされている。
http://www.zakzak.co[...]
[9]
웹사이트
選手獲得について
http://www.seibulion[...]
2011-12-23
[10]
웹사이트
2012年度 任意引退選手
https://npb.jp/annou[...]
2012-10-09
[11]
웹사이트
【日本ハム】中嶋、引退セレモニー「最後に日本シリーズまで連れて行って」
https://web.archive.[...]
2015-10-01
[12]
웹사이트
Australian roster announced
http://web.theabl.co[...]
2018-03-01
[13]
웹사이트
豪州代表のマイケル中村コーチ、侍J・稲葉監督らとの再会に笑顔「会えてうれしかった」
http://www.sanspo.co[...]
2018-03-03
[14]
웹사이트
マイケル・中村{{!}}オーストラリア代表
https://www.japan-ba[...]
2023-03-18
[15]
간행물
FIGHTERS magazine
2008-10
[16]
웹사이트
「パ・リーグ最多セーブ王」 マイケル中村 | Cheers インタビュー
http://www.cheers.co[...]
2010-08-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