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매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맘몬은 후기 라틴어에서 유래된 단어로, 부, 탐욕, 물질주의를 상징하며, 기독교에서 악마로 여겨진다. 성경, 특히 마태복음과 누가복음에서 하느님과 대립되는 재물로 묘사되며, 중세 시대에는 탐욕의 악마로 의인화되었다. 맘몬은 악마학에서 탐욕을 관장하는 악령으로 언급되기도 하며, 현대 사회에서는 물질만능주의를 비판하는 용어로 사용된다. 맘몬은 문학, 영화, 게임 등 대중문화에서 자주 등장하며, 한국 사회에서는 과도한 물질주의를 비판하는 맥락에서 사용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독교의 악마 - 아르테미스
    아르테미스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사냥, 야생, 순결, 달, 출산의 여신이며, 아폴론의 쌍둥이 자매로 님프들과 함께 사냥을 즐겼고, 고대 그리스 전역에서 숭배되었으며, 예술 작품에서는 사냥개, 사슴, 활과 화살을 든 모습으로 묘사된다.
  • 기독교의 악마 - 사탄
    사탄은 원래 "적대자"를 뜻하는 히브리어 단어였으나, 기독교, 유대교, 이슬람교 등에서 악마, 유혹자, 또는 인간 내면의 부정적인 면모를 상징하는 존재로 다양하게 해석되며 문화 예술 분야에서도 악의 상징으로 묘사된다.
  • 성경의 어구 - 노아의 방주
    노아의 방주는 창세기에 기록된 대홍수로부터 노아의 가족과 동물들을 구원하기 위해 신의 명령으로 노아가 만든 배로, '테바'라고도 불리며 크기와 구조에 대한 논쟁과 아브라함계 종교에서 중요한 의미, 기원 및 상징적 의미에 대한 논의가 지속되고 있다.
  • 성경의 어구 - 하느님의 나라
    하느님의 나라는 구약성서에서 기원하여 예수와 바울을 거쳐 기독교에서 중요한 개념으로 다루어지며, 개혁주의는 이를 권능, 은총, 영광의 왕국으로 해석한다.
  • 기독교 용어 - 선교사
    선교사는 기독교, 이슬람교, 불교, 힌두교 등 다양한 종교에서 교리 전파나 지역 주민 지원을 위해 파견하는 사람으로, 기독교 선교사는 타문화권에 복음을 전파하고 토착 교회 설립을 추구하며, 역사적으로 서구에서 비서구 지역으로 확장되었으나 식민주의 연관, 문화적 존중 부족 등으로 비판받기도 한다.
  • 기독교 용어 - 세례명
    세례명은 기독교에서 세례를 받을 때 받는 새로운 이름으로,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새롭게 태어남을 의미하며, 성경 속 인물들의 이름 변화에서 유래하여 중세 이후 유럽에서 일반적인 이름 형태로 정착되었고, 수호성인의 이름에서 따와 이름 축일로 기념되기도 한다.
매먼

2. 어원

단어 '맘몬'은 후기 라틴어 mammonala('부')에서 유래했으며, 이는 불가타 성경 등에서 사용되었다. 이는 다시 헬레니즘 그리스어 μαμωνᾶς|mamōnasgrc에서 차용된 것으로, 이 단어는 아람어 מָמוֹנָא|māmōnāarc에서 왔다고 여겨진다. 아람어 māmōnāarc는 '부, 이익'을 의미하는 단어 māmōnarc의 강조형으로[1], 특히 시리아어 방언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있다. 아람어 철자 μαμμωνᾷ|mammōnāigrc는 "시리아 신, 부의 신"을 의미하며, 따라서 '부, 재산'을 뜻하고, μαμωνᾶς|mamōnasgrc는 아람어 ממוןarc에서 음역된 것으로 '부'를 의미한다.[2] 그러나 아람어 형태의 정확한 기원은 명확하지 않다.[1][3]

이 단어는 고대 가나안어 전반에 걸쳐 존재했을 가능성이 있다. 구약 히브리어에는 나타나지 않지만 쿰란 문서에서 발견되었고,[4] 성경 이후의 히브리어에서는 māmōnhe이라는 형태가 확인된다. 히포의 아우구스티누스에 따르면, 푸니크어에도 '이익'을 의미하는 단어 mammonla이 있었다고 한다.[1] 아람어 단어 māmōnarc은 돈,[29][30][31] 재산,[8][32] 또는 소유[9][33]를 의미하는 미슈나 히브리어 ממון|mamônhe에서 차용된 단어일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5][6][7] 또는 "사람이 신뢰하는 것"을 의미했을 수도 있다.[3][27]

신약성경에서 '맘몬'으로 번역된 그리스어 단어는 판본에 따라 표기가 다르다. 텍스투스 레셉투스에 따르면,[10] 마태오 복음서 6장 24절에서는 μαμμωνᾷ|mammōnāigrc로, 루카 복음서 16장 9, 11, 13절에서는 μαμωνᾶ|mamōnagrc(μαμωνᾶς|mamōnasgrc에서 유래)로 표기되어 있다. 그러나 널리 사용되는 신약성경 비평판(네슬레-알란트 27판 등)[11]에서는 네 곳 모두 μαμωνᾶ|mamōnagrc로 표기한다. 리델과 스콧 렉시콘[12]에 따르면, 두 철자 모두 신약성경 외의 고대 및 헬레니즘 그리스 문헌에서는 발견되지 않는다.

인가 번역본(KJV)은 두 그리스어 철자 모두 'Mammon'으로 번역했으며, 존 위클리프는 'richessis'(재물)로 번역했다. 개정 표준역(RSV)은 "돈이나 재산에 대한 셈어"라고 설명하고,[13][35] 국제 어린이 성경(ICB)은 "너희는 하느님과 돈을 동시에 섬길 수 없다"는 표현을 사용한다.[14][36]

3. 성경에서의 맘몬

신약성경에서 맘몬이라는 단어는 물질적 부나 탐욕을 의미하며, 때로는 이를 의인화하여 표현하는 데 사용된다. 특히 마태오 복음서 6장 24절과 루카 복음서 16장 13절에 나오는 다음 구절이 대표적이다:

> 한 사람이 두 주인을 섬기지 못할 것이니 혹 이를 미워하며 저를 사랑하거나 혹 이를 중히 여기며 저를 경히 여김이라 너희가 하느님과 재물을 겸하여 섬기지 못하느니라.[46]

이 구절은 사람이 하느님과 재물(맘몬)이라는 두 주인을 동시에 섬길 수 없음을 강조하며, 재물에 대한 집착이 신앙과 양립하기 어렵다는 점을 보여준다. 즉, 재물을 섬기는 것은 하느님을 섬기는 것과 대립될 수 있음을 경고하는 것이다.

루카 복음서 16장 9절[47]과 11절[48]에서도 맘몬이 언급되는데, 여기서는 주로 '불의한 재물'이라는 의미로 해석된다. 이는 재물이 그 자체로 악한 것은 아니지만, 부정한 방법으로 얻거나 하느님보다 더 중요하게 여겨질 때 문제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마태오 복음서 6장 19절부터 24절까지의 내용은 재물에 대한 올바른 태도를 강조하며, 땅에 보물을 쌓아두기보다 하늘에 쌓아두라고 가르친다. 이는 맘몬, 즉 재물에 마음을 두는 것이 아니라 영적인 가치를 추구해야 함을 의미한다.

> 19너희를 위하여 보물을 땅에 쌓아 두지 말라 거기는 좀과 동록이 해하며 도적이 구멍을 뚫고 도적질하느니라 20오직 너희를 위하여 보물을 하늘에 쌓아 두라 거기는 좀이나 동록이 해하지 못하며 도적이 구멍을 뚫지도 못하고 도적질도 못하느니라 21네 보물 있는 그 곳에는 네 마음도 있느니라 22눈은 몸의 등불이니 그러므로 네 눈이 성하면 온 몸이 밝을 것이요 23눈이 나쁘면 온 몸이 어두울 것이니 그러므로 네게 있는 빛이 어두우면 그 어두움이 얼마나 하겠느뇨 24한 사람이 두 주인을 섬기지 못할 것이니 혹 이를 미워하며 저를 사랑하거나 혹 이를 중히 여기며 저를 경히 여김이라 너희가 하나님과 재물을 겸하여 섬기지 못하느니라. (마태오 복음서 6:19-24)

이처럼 성경에서 맘몬은 단순히 돈이나 재산을 의미하는 것을 넘어, 인간이 하느님 대신 섬길 수 있는 우상적 존재, 또는 신앙을 방해하는 탐욕의 대상으로 그려진다.

3. 1. 해석의 다양성

신약성경에서 맘몬은 루카 복음서 16장 13절[46]과 마태오 복음서 6장 24절에 등장한다. 이 구절들에서는 한 사람이 두 주인을 섬길 수 없으며, 하느님과 재물(맘몬)을 동시에 섬길 수 없다고 말한다. 이는 맘몬이 단순한 부나 재산을 넘어, 하느님과 대립하는 섬김의 대상, 즉 의인화된 존재로 해석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일부에서는 루카 복음서 16장 9절[47]과 11절[48] 역시 맘몬의 의인화로 해석하기도 하지만, 다른 번역에서는 '부정한 재물' 등으로 표현된다.

맘몬에 대한 초기 언급은 복음서의 이러한 인격화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인다. 3세기경에 작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Didascalia Apostolorum'이라는 문서에서도 맘몬이 언급된다. 니사의 그레고리우스는 맘몬이 베엘제붑의 다른 이름이라고 주장하기도 했다.

중세에 이르러 맘몬은 탐욕, 부유함, 부정직함을 관장하는 악마로 구체화되었다. 이때 맘몬은 두 개의 새 머리, 검은 몸, 발톱 달린 손발을 가진 모습으로 그려졌으며, 천사들의 아홉 계층 중 가장 낮은 계급의 천사 출신이라는 설정이 붙기도 했다. 악마학자 스콧은 맘몬이 에녹서와 관련된 '사방의 데몬' 중 하나이며 남쪽을 지배한다고 주장했다.[49] 중세 시대에 금전욕이 현실적인 문제로 부각되면서 맘몬에 대한 관심이 커진 것으로 보인다.

존 밀턴의 서사시 실낙원에서는 맘몬이 타락한 천사 중 하나로 등장한다. 제1권 679행에서는 "하늘에서 떨어진 천사 가운데 이처럼 치사한 근성을 가진 자는 없었다"고 묘사된다. 천사 시절부터 그의 관심사는 오직 금은보석이었으며, 늘 고개를 숙이고 땅에 떨어진 것을 찾아다녔다고 한다. 그는 숨겨진 황금이나 재산을 찾아내는 능력이 있으며, 사람들에게 땅을 파서 광물 자원을 채굴하는 방법을 처음 가르쳤다고 묘사된다. 지옥에 악마들의 궁전인 만마전(판데모니움)을 건설한 것도 맘몬이며, 하늘에서 추락한 후 가장 먼저 절망에서 벗어난 실리적인 인물로 그려진다.[50]

맘몬의 어원은 명확하지 않으나, "사람이 신뢰하는 것"을 의미한다는 설이 있다.[27] 일반적으로는 후기 라틴어 'mammon', 그리스어 μαμμωνάς|맘모나스grc 또는 μαμωνάς|마모나스grc, 시리아어 'mámóna'(부)[26], 아람어 'mamon'(부)[27][28] 등에서 유래했으며, 금전[29][30][31], 부[32], 또는 재산[33]을 의미하는 미슈나 히브리어 ממון|므몬he에서 차용된 단어로 본다.

성경 번역에서도 다양한 해석을 볼 수 있다. 흠정역에서는 그리스어 μαμμωνάς|맘모나스grc를 음차하여 ''mammon''으로 번역했지만, 존 위클리프의 성경에서는 '부'를 의미하는 중세 영어 ''richessis''로 의역했다.

결과적으로 기독교 문화권에서 맘몬은 부정한 부, 탐욕을 상징하는 단어가 되었으며, 신약성서에서는 하느님과 대립하는 거짓 신처럼 의인화되었다.[34] 개정표준역성경은 "마몬은 금전이나 부를 가리키는 셈어이다"라고 설명하며[35], 국제어린이성경은 "너희는 하나님과 돈을 동시에 섬길 수 없다"고 직접적으로 번역하기도 한다.[36]

4. 중세 시대의 의인화

중세 시대에 들어 맘몬은 점차 탐욕과 부, 부정직함을 상징하는 존재로 여겨지며 악마로서 의인화되었다. 이러한 인식은 그 이전 시대부터 형성되기 시작했다. 니사의 그레고리오는 맘몬이 베엘제붑의 또 다른 이름이라고 주장했으며,[15] 4세기 키프리안과 제롬은 맘몬을 탐욕 및 인간을 노예로 만드는 사악한 주인과 연관 지었다. 요한 크리소스토모는 맘몬을 탐욕 그 자체로 의인화하기도 했다.[16]

중세에 이르러 이러한 경향은 더욱 뚜렷해졌다. 피터 롬바르드는 "부(riches)는 악마의 이름, 즉 맘몬으로 불리는데, 맘몬은 악마의 이름이며, 이 이름으로 부는 시리아어에 따라 불린다"라고 언급하며 맘몬을 명확히 악마의 이름으로 규정했다. 《농부 피어스》에서는 맘몬을 신적인 존재로 여기기도 했으며, 리라의 니콜라스 역시 누가복음 주해에서 "Mammon est nomen daemonis|맘몬은 악마의 이름이다la"라고 명시했다. 이처럼 중세 시대에 맘몬은 부와 탐욕을 상징하는 악마적 존재로 널리 인식되었다.

4. 1. 외형 묘사

중세 동안에 맘몬은 일반적으로 탐욕과 부유함, 부정직함을 관장하는 악마로 여겨졌으며, 두 개의 새 머리, 검은 몸, 발톱을 가진 손발이 있는 모습으로 그려졌다. 이는 천사들의 아홉 계층 가운데 가장 낮은 계급의 천사 출신이라고 전해진다. 고대에는 부의 집중이 적어 크게 주목받지 못했으나, 중세에 이르러 금전욕이 현실적인 문제로 떠오르면서 맘몬에 대한 묘사가 구체화되었다. 악마학자로 알려진 스콧은 맘몬이 ''에녹서''와 관련된 악마로, ‘사방의 데몬’ 가운데 하나이며 남쪽을 지배한다고 주장했다.[49]

존 밀턴의 서사시 ''실낙원''에서는 맘몬을 타락한 천사 중에서도 특히 비천한 근성을 가진 존재로 묘사한다. 천사 시절부터 하느님을 섬기기보다는 땅에 떨어진 금은보석에 더 관심을 두었으며, 이 때문에 항상 고개를 숙이고 다녔다고 한다.[50] 그는 숨겨진 황금이나 재산을 찾아내는 능력이 있으며, 인간에게 처음으로 땅을 파서 광물 자원을 채굴하는 방법을 가르쳤다고 전해진다. 지옥에 있는 악마들의 웅장한 궁전인 만마전(판데모니움)을 건설한 것도 맘몬이다.[50] 또한, 그는 하늘에서 추락한 후 가장 먼저 낙담에서 회복된 실리적인 면모를 보이기도 한다.[50]

에드먼드 스펜서의 ''선녀 여왕''에서는 맘몬이 세속적인 부의 동굴을 감독하는 모습으로 등장하며,[18][19] 자크 콜랭 드 플랑시의 ''지옥 사전''에서는 지옥에서 영국으로 파견된 대사로 묘사되기도 했다.[20] 토마스 아퀴나스는 탐욕의 죄를 비유적으로 설명하며 "맘몬이 늑대에 의해 지옥에서 끌려 올라와 인간의 마음을 탐욕으로 불태우는 것"이라고 표현했다.

사샤 슈나이더의 "맘몬과 그의 노예"(1896년경)

5. 악마학에서의 맘몬

원래 맘몬(Mammon)은 "부, 재산"을 의미하는 시리아어였으나, 이것이 악마학에서 금전의 악마로 여겨지게 된 것은 마태오 복음서 6장 24절의 "너희가 하느님과 재물을 겸하여 섬기지 못하느니라"라는 구절의 해석에서 비롯되었다.[41]

초기 기독교 문헌에서도 맘몬을 부정적인 존재로 묘사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예를 들어, 3세기경 작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사도 교령》에서는 "그들은 맘몬에 대해서만 생각한다. 그들의 신은 지갑이다"라고 언급했으며, 니사의 그레고리우스는 맘몬이 베엘제붑의 또 다른 이름이라고 주장하기도 했다.[15] 4세기 키프리안과 제롬은 맘몬을 탐욕 및 노예로 만드는 사악한 주인과 연관시켰고, 요한 크리소스토모는 맘몬을 탐욕 그 자체로 의인화했다.[16]

중세에 이르러 맘몬은 일반적으로 탐욕, 부유함, 부정직함을 관장하는 악마로 구체화되었다. 이 시기 맘몬은 두 개의 새 머리, 검은 몸, 발톱이 달린 손발을 가진 모습으로 그려졌으며, 천사들의 아홉 계층 중 가장 낮은 계급의 천사 출신이라는 설정이 붙기도 했다. 악마학자로 알려진 스콧은 맘몬이 ''에녹서''와 관련된 '사방의 데몬' 중 하나이며 남쪽을 지배한다고 주장했다.[49] 토마스 아퀴나스는 탐욕의 죄를 "맘몬이 늑대에 의해 지옥에서 끌려 올라와 인간의 마음을 탐욕으로 불태우는 것"이라고 비유적으로 묘사했다. 피터 롬바르드는 "부는 악마의 이름, 즉 맘몬으로 불리는데, 맘몬은 악마의 이름이며, 이 이름으로 부는 시리아어에 따라 불린다"고 말했으며, 《피어스 플로우먼의 환상》이나 리라의 니콜라스 역시 맘몬을 악마 또는 신적인 존재로 간주했다.

르네상스 이후의 악마학 연구에서도 맘몬은 중요한 위치를 차지했다. 독일의 예수회 사제 페터 빈스펠트는 1589년 저서에서 기독교7대 죄악을 관장하는 일곱 악마를 제시하며, 맘몬을 탐욕을 상징하는 악마로 지목했다.[42] 코르넬리우스 아그리파는 1533년 저서 『은비 철학론』에서 맘몬을 인간을 유혹하고 함정에 빠뜨리는 최하위 악령 중 하나로 언급하며, 그 군주가 '탐욕'으로 해석되는 맘몬이라고 설명했다.[43][44]

문학 작품 속에서도 맘몬은 탐욕의 상징으로 자주 등장했다. 존 밀턴의 서사시 ''실낙원''에서 맘몬은 하늘에서 떨어진 천사 중 가장 비천한 근성을 가진 존재로 묘사된다. 천사 시절부터 오직 금은보석에만 관심을 두어 늘 고개를 숙이고 다녔으며, 숨겨진 황금이나 재산을 찾아내는 능력이 있고, 인간에게 처음으로 광산 채굴법을 가르쳤다고 한다. 지옥의 웅장한 궁전인 판데모니움(만마전)을 건설한 것도 맘몬이며, 매우 실리적이어서 타락의 충격에서 가장 먼저 회복된 악마로 그려진다.[50] 에드먼드 스펜서의 ''선녀 여왕''에서는 세속적인 부의 동굴을 감독하는 존재로 등장한다. 이후 자크 콜랭 드 플랑시의 ''지옥 사전''에서는 맘몬을 지옥에서 영국으로 파견된 대사로 묘사하기도 했다.[20]

영국의 미술사학자 프레드 게팅즈는 그의 저서 『악마의 사전』에서 그리모어 등에 등장하는 악마 '마이몬'(Maymon)을 맘몬의 다른 이름 중 하나로 제시했다.[45] 그는 또한 악마 아마이몬(Amaimon)의 별칭으로도 마이몬을 언급하며, 아마이몬이라는 이름이 시리아어 '맘몬'에서 변형되었을 가능성을 제기하면서도, 이집트 신 아몬에서 유래했을 수도 있다는 추측을 덧붙였다. 게팅즈는 16세기 그리모어에 그려진 새 머리를 가진 검은 악마 '마이몬 왕'(Maymon Rex)의 도상을 소개하며, 이 모습이 새 머리를 한 악마 아몬(Amon)에서 기원했을 가능성을 지적했다. 다만 게팅즈는 마이몬을 맘몬의 다른 표기로 보면서도 둘을 명확히 동일한 악마로 단정하지는 않았다.

6. 현대적 의미와 비판

토머스 칼라일은 《과거와 현재》 (1843)에서 빅토리아 시대 영국의 물질 만능주의적 세태, 즉 돈을 숭배하는 현상을 "매먼주의 복음"이라고 부르며 비판했다.[22] 영어에서 금권주의를 뜻하는 "매머니즘"(mammonism영어)이라는 용어는 이러한 비판적 맥락에서 사용된다.

현대의 기술 분야에서도 매먼의 비유가 사용되는데,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모질라 파이어폭스넷스케이프 내비게이터 등에서 URL 주소창에 `about:mozilla`를 입력하면 나타나는 '모질라의 서'에서는 경쟁사인 마이크로소프트인터넷 익스플로러를 매먼에 빗대어 표현하기도 했다.

7. 대중문화 속의 맘몬

수많은 등장인물과 악마들이 책, 영화, 텔레비전, 게임 등 다양한 대중문화 속에서 맘몬이라는 이름으로 등장한다.


  • 웹 브라우저모질라 파이어폭스넷스케이프 내비게이터 등에서 URL 주소창에 'about:mozilla'를 입력하면 '모질라의 서(The Book of Mozilla)'라는 숨겨진 이스터 에그 메시지를 볼 수 있다. 이 메시지는 마이크로소프트의 웹 브라우저 인터넷 익스플로러를 탐욕스러운 존재인 '매먼'에 빗대어 비판한다.
  • 영어권에서는 금권주의나 물질만능주의를 "매머니즘"(mammonism|매머니즘영어)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이는 맘몬이 상징하는 탐욕과 물질주의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반영한다.

8. 한국 사회와 맘몬 숭배

한국 사회에서 맘몬 숭배는 급격한 경제 성장 과정에서 나타난 부작용 중 하나로, 과도한 물질주의와 배금주의 풍조를 비판적으로 지칭할 때 사용되는 용어이다.[1] 이는 단순히 부를 추구하는 것을 넘어, 돈을 최고의 가치로 여기고 인간적인 가치나 공동체의 중요성을 경시하는 세태를 의미한다. 이러한 경향은 때로 천민자본주의나 황금만능주의와 같은 개념과 연결되어 설명되기도 한다.[2]

맘몬 숭배 현상은 여러 사회 문제의 원인으로 지목되는데, 대표적으로 사회 불평등 심화, 인간성 상실, 공동체 의식 약화 등이 거론된다.[3] 지나친 물질 추구는 사람들 사이의 경쟁을 심화시키고, 경제적 능력에 따라 사람을 평가하는 풍조를 만들어 사회적 위화감을 조성할 수 있다. 또한, 과정의 공정성보다는 결과적인 부의 축적만을 중시하게 만들어 윤리적, 도덕적 해이를 야기할 수 있다는 비판도 제기된다.[4]

이러한 사회 분위기에 대한 우려 속에서, 특히 더불어민주당을 비롯한 진보 진영에서는 맘몬 숭배 현상을 비판하며 사회경제적 개혁의 필요성을 강조한다.[5] 이들은 경제적 불평등 해소, 사회안전망 강화, 사회적 약자 보호 등을 통해 물질 만능주의적 가치관을 극복하고 더불어 사는 사회를 만들고자 노력하고 있다. 이는 단순히 경제적 문제를 넘어 사회 전체의 건강성을 회복하기 위한 중요한 과제로 인식된다.[6]

참조

[1] 웹사이트 Mammon, n. null Oxford University Press 2016-09-03
[2] 서적 "Webster's Dictionary of the English Language Unabridged" Publishers International Press 1977
[3] 간행물 Encyclopedia of Religion and Ethics https://archive.org/[...] Scribners 1908-1921
[4] 서적 Essays on the Semitic Background of the New Testament https://books.google[...] Wm. B. Eerdmans Publishing 1997-12-01
[5] 서적 A Dictionary of Jewish Babylonian Aramaic of the Talmudic and Geonic Periods https://books.google[...] JHU Press 2003-01-03
[6] 웹사이트 Translation and definition "ממון", Dictionary Hebrew–English online http://en.glosbe.com[...]
[7] 웹사이트 Shabbos and Proper Nouns http://home.comcast.[...] 2000-03-30
[8] 서적 An Introductory Grammar of Rabbinic Hebrew https://books.google[...] Brill
[9] 간행물 God and Mammon https://biblicalstud[...]
[10] 서적 The New Testament in Greek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49
[11] 서적 Novum Testamentum Graece Deutsche Bibelgesellschaft 2006
[12] 웹사이트 A Greek-English Lexicon https://www.perseus.[...] Clarendon Press 2015-05-15
[13] 서적 Bible – Revised Standard Version Melton Book Company 1971
[14] 서적 International Children's Bible Word Publishing 2003
[15] 서적 The Lord's Prayer: The Beatitudes https://books.google[...] Paulist Press
[16] 서적 Greed as Idolatry: The Origin and Meaning of a Pauline Metaphor https://books.google[...] Wm. B. Eerdmans Publishing 2007-08-28
[17] 웹사이트 Matthew 6:24 Commentaries: "No one can serve two masters; for either he will hate the one and love the other, or he will be devoted to one and despise the other. You cannot serve God and wealth http://biblecommente[...] Biblecommenter.com 2014-03-20
[18] 간행물 Mammon
[19] 서적 Select Notes on the International Sabbath School Lessons W. A. Wilde and Company 1880
[20] 서적 Infernal Dictionary Deluxe Edition https://www.goodread[...] Abracax House
[21] 웹사이트 Mammon http://www.duden.de/[...] Bibliographisches Institut GmbH 2013-08-30
[22] 서적 Past and Present
[23] 간행물 世界大百科事典 平凡社
[24] 서적 図説 世界シンボル事典 八坂書房 2000
[25] 서적 アルファ独和辞典 三修社
[26] 서적 "Webster's Dictionary of the English Language Unabridged" Publishers International Press 1977
[27] 간행물 Encyclopedia of Religion and Ethics https://archive.org/[...] Scribners 1908-1921
[28] 서적 A Greek and English lexicon to the New Testament. To this is prefixed a Greek grammar,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1809
[29] 서적 A Dictionary of Jewish Babylonian Aramaic of the Talmudic and Geonic Periods https://books.google[...] JHU Press 2003-01-03
[30] 웹사이트 Translation and definition "ממון", Dictionary Hebrew–English online http://en.glosbe.com[...]
[31] 웹사이트 Shabbos and Proper Nouns http://home.comcast.[...] 2000-03-30
[32] 서적 An Introductory Grammar of Rabbinic Hebrew https://books.google[...] Brill
[33] 간행물 God and Mammon 1979-01-01
[34] 서적 ヴィジュアル版 天国と地獄の百科 原書房 2001
[35] 서적 Bible – Revised Standard Version Melton Book Company 1971
[36] 서적 International Children's Bible Word Publishing 2003
[37] 웹사이트 Matthew 6:24 Commentaries: "No one can serve two masters; for either he will hate the one and love the other, or he will be devoted to one and despise the other. You cannot serve God and wealth http://biblecommente[...] Biblecommenter.com 2014-03-20
[38] 서적 The Catholic Encyclopedia: An International Work of Reference on the Constitution, Discipline, Doctrine, and History of the Catholic Church The Encyclopedia Press, New York 1913
[39] 서적 Select Notes on the International Sabbath School Lessons W. A. Wilde and Company, Boston 1880
[40] 서적 地獄の辞典 講談社 1990
[41] 서적 悪魔の事典 青土社 1992
[42] 서적 悪魔の事典
[43] 서적 Three Books of Occult Philisophy Llewellyn Publications 2007
[44] 서적 The Magus: A Complete System of Occult Philosophy Samuel Weiser社 2000
[45] 서적 青土社 1992
[46] 성경
[47] 성경
[48] 성경
[49] 서적 타락천사 도서출판 들녘 2000
[50] 서적 판타지의 마족들 도서출판 들녘 200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