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메렛세게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메레세게르는 "침묵을 사랑하는 여성"이라는 뜻의 고대 이집트 여신으로, 죽은 자의 수호신이자 왕가의 계곡을 지키는 존재로 숭배받았다. 코브라 머리를 한 여성 또는 뱀 머리의 스핑크스로 묘사되며, 레네누테트, 우라에우스 등 다른 뱀 형상의 신들과 동일시되기도 했다. 특히 왕들의 계곡과 엘 쿠른 언덕과 관련이 깊었으며, 노동자들의 수호신으로서 숭배받았고, 죄를 범한 자들에게 벌을 내리기도 했지만 회개하는 자들을 용서하는 관대한 면모도 보였다. 메레세게르는 데이르 엘-메디나에 암석 신전이 있었으며, 뱀 머리 모양의 바위가 사원 위에 존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장인의 신 - 엔릴
    엔릴은 수메르 신화에서 바람, 폭풍, 영혼을 상징하며, 창조자, 아버지, 왕으로 숭배받았고, 니푸르의 수호신이자 삼위일체 중 북천구를 관장하는 신이다.
  • 장인의 신 - 안샤르
    안샤르는 메소포타미아 신화에 등장하는 원시 신으로, 하늘과 땅을 잇는 지평선의 의인화이자 아누의 아버지 또는 동일시되는 존재이며, 아시리아에서는 최고신 아슈르를 나타내는 로고그램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메렛세게르
개요
메렛세게르
메렛세게르
유형이집트 신
숭배 중심지테베 네크로폴리스, 데 이르 엘-메디나
상징코브라

2. 역할 및 특징

메렛세게르의 이름은 "침묵을 사랑하는 자"[6][7] 또는 "침묵을 만드는 자(오시리스)의 사랑받는 자"[8]라는 의미를 가진다. 이는 그녀가 지키는 사막 묘지 지역의 고요함[9]과 관련이 있다. 그녀는 주로 테베 서쪽, 특히 왕가의 계곡과 왕비의 계곡 근처에 위치한 장인 마을 데르 엘-메디나의 노동자들과 장인들의 수호신으로 여겨졌다.[6] 이들은 왕족과 귀족들의 무덤을 건설하고 장식하는 역할을 했는데, 이미 이집트 구왕국 시대부터 무덤 도굴이 성행했기 때문에[9], 메렛세게르는 무덤을 지키고 도굴꾼에게 벌을 내리는 강력한 수호신으로서 숭배받았다. 또한 죽은 자의 수호자이자 왕가의 계곡의 지킴이, 때로는 사람들의 상담 상대로 여겨지기도 했다.

메렛세게르는 주로 여성의 머리를 가진 코브라나 코브라의 머리를 가진 여성의 모습으로 묘사된다. 때로는 뱀 머리를 한 스핑크스의 형태로 나타나기도 한다. 원래는 독이 없는 뱀의 모습이었으나, 신성한 동물로 여겨진 코브라에 대한 신앙이 깊어지면서 코브라의 형상으로 바뀌었다고 추정된다. 그녀는 장례 의식과 관련된 다른 신들과 연관되기도 했는데, 특히 무덤의 보호자이자 지하 세계의 문을 여는 역할을 하는 하토르 여신의 "서쪽의 여인", "네크로폴리스의 여인"이라는 측면과 연결되었다.[11][12] 또한 뱀과 관련된 다른 신인 레네누테트나 우라에우스와 동일시되기도 했으며, 죽은 자의 인도자인 아누비스의 보좌역으로 여겨지기도 했다. '사자의 도시'의 고요함에서 이름이 유래했기 때문에 특별히 알려진 가족 관계는 없다.

메렛세게르는 매우 두려운 존재로 여겨졌는데, 특히 신성 모독을 저지르거나 왕실 무덤에서 귀중품을 훔치고 맹세를 어긴 자들에게 독으로 벌을 내린다고 믿어졌다.[21] 그러나 동시에 잘못을 뉘우치고 회개하는 사람에게는 자비롭게 용서를 베풀고 병을 치유해주는 자비로운 면모도 가지고 있었다.[21] 이러한 양면성 때문에 노동자들은 그녀를 경외하며 작은 석조 신전이나 석비를 바쳐 용서를 구하고 숭배했다.[4][22]

메렛세게르라는 이름은 이집트 중왕국 시대 문헌에도 등장하지만, 그녀에 대한 숭배가 본격적으로 확산된 것은 이집트 신왕국 시대, 특히 18왕조 시기부터이며 19왕조와 제20왕조 시기에 절정에 달했다.[6] 이집트 중왕국의 파라오 세누스레트 3세의 왕비 이름도 메레세게르였는데, 그녀는 대왕비 칭호를 받고 카르투슈에 이름이 기록된 최초의 왕비였지만 동시대 자료가 부족하여 이 여신과 이름이 같은 것은 후대의 창작일 가능성이 있다.[10] 메렛세게르 숭배는 에스나 지역에서도 확인되지만[6], 기본적으로 테베 서안의 지역 신으로서의 성격이 강했다. 결국 왕들의 계곡이 더 이상 사용되지 않고 테베가 수도로서의 지위를 상실하면서, 기원전 11세기에서 10세기경 그녀에 대한 숭배도 점차 중단되었다.[5]

2. 1. 메레세게르의 언덕

메렛세게르는 특히 현재 엘 쿠른("뿔")이라고 불리는 언덕과 관련이 있었다. 이 언덕의 이름은 '봉우리'를 의미하며[4], 자연적으로 형성된 봉우리로서 테베 언덕에서 가장 높은 지점(420m)이고, 왕들의 계곡을 웅장하게 내려다보고 있다.[3][4] 왕들의 계곡 입구에서 보면 거의 피라미드 형태를 띠고 있어 일부 이집트학자들은 이곳이 왕족 묘지로 선택된 이유일 수 있다고 믿는다. 엘 쿠른은 또한 두아트(저승)의 입구 중 하나로 여겨졌으며,[13] 메렛세게르와 하토르 모두에게 신성한 곳이었지만, 그중에서도 메렛세게르가 이 언덕의 실제 인격화된 존재로 여겨졌다.[22] 이러한 이유로 메렛세게르의 많은 별칭 중 두 가지는 "서쪽의 봉우리"(''데헨트-이멘테트'')[8][9]와 "봉우리의 여주인"이었다.[14]

장인과 노동자들이 만든 많은 작은 석비들이 그들이 가장 좋아하는 신에 대한 헌신의 증거로 발견되었다. 이러한 신들에는 메렛세게르 외에도 프타,[15] 아문,[16] 하토르,[17] 토트[18] 그리고 신격화된 파라오 아멘호테프 1세(기원전 1525년경-1504년경)가 포함된다. 특히 아멘호테프 1세 숭배는 데이르 엘 메디나에서 매우 인기가 있었다.[19]

2. 2. 네페라부의 석비

메렛세게르는 신성 모독을 저지른 노동자들, 특히 왕실 무덤이나 건설 현장에서 구리 도구처럼 귀중한 물건을 훔친 자들이나 맹세를 어긴 자들을 독으로 중독시켜 벌하는 신으로 여겨졌다.[21] 하지만 동시에, 그녀에게 잘못을 뉘우치고 회개하는 사람들에게는 관대하게 용서를 베풀고 육체적인 질병을 치유해주는 자비로운 면모도 가지고 있었다.[21]

이러한 메렛세게르의 용서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가 석공 네페라부의 이야기이다. 그는 메렛세게르에게 죄를 지어 벌을 받았으나(아마도 시력 장애를 겪은 것으로 추정됨), 여신에게 간절히 기도하고 용서를 구한 끝에 시력을 회복했다고 전해진다. 네페라부는 이 경험을 석회암으로 만든 석비에 기록하여 남겼으며, 이 석비는 현재 토리노 이집트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22] 석비에는 다음과 같은 네페라부의 증언이 새겨져 있다:

서쪽 봉우리에게 찬사를 보내며, 그녀의 ''카''에게 땅에 입을 맞추며, 찬사를 보냅니다. 제 부름을 들으세요, 저는 땅에서 진실한 사람이었습니다! 진실의 장소의 하인인 네페라부가 만들었으며, 정당화되었습니다. (저는) 무지하고 어리석은 사람이었고, 선과 악을 분별하지 못했으며, '봉우리'에 죄를 지었습니다. 그녀는 저에게 교훈을 주었습니다. 저는 밤낮으로 그녀의 손 안에 있었고, 해산하는 여성처럼 벽돌 위에 앉아 있었습니다. 바람에게 외쳤지만 제게 오지 않았고, 힘이 넘치는 서쪽 봉우리와 모든 신과 여신에게 제물을 바쳤습니다. 보라, 저는 대소 무리에 있는 자들에게 말하리라: '봉우리'를 조심하라! 그녀 안에는 사자가 있느니라! '봉우리'는 사나운 사자의 일격으로 치며, 그녀를 모욕하는 자를 쫓는다! 저는 제 여주인을 불렀고, 그녀가 달콤한 미풍처럼 제게 오는 것을 보았습니다. 그녀는 제게 자비를 베풀어 그녀의 손을 보게 했습니다. 그녀는 저에게 화해하며 돌아왔고, 제 질병을 잊게 했습니다; 서쪽 봉우리는 그녀를 부르면 화해합니다. 정당화된 네페라부가 말합니다. 그는 말합니다: 보라, 땅에서 사는 모든 귀가 들을지어다: 서쪽 봉우리를 조심하라!


고대 이집트 종교에서 , 회개, 용서와 같은 개념은 흔치 않았기 때문에, 메렛세게르 숭배에서 나타나는 이러한 특징은 상당히 독특한 것으로 평가받는다.[21]

2. 3. 데이르 엘-메디나의 암석 신전

메렛세게르의 데이르 엘-메디나 암석 신전은 반원형으로 배치된 일련의 동굴로 이루어져 있다. 아치형 천장은 지진으로 인해 무너졌지만, 외부 벽에는 여전히 많은 석비가 남아 있다. 또한, 신전에서 나온 다수의 파편은 목록으로 정리되어 여러 박물관에 흩어져 보관되고 있다. 이 신전은 장인과 예술가의 신으로 존경받는 프타에게도 봉헌되었다. 신전 위쪽에는 뱀 머리 모양을 한 바위가 있다.[21] 이곳에서 발견된 많은 유물들은 이 신전이 지역 주민들에게 매우 인기 있고 중요한 장소였음을 보여준다.

메렛세게르는 주로 테베 서쪽 지역에서 숭배되었다. 이 지역에는 왕가의 계곡과 같은 큰 네크로폴리스(공동묘지)가 많이 만들어졌는데, 이는 고대 이집트인들이 해가 지는 서쪽을 죽은 자의 세계와 연결된다고 믿었기 때문이다.

메렛세게르라는 이름은 이집트 중왕국 시대부터 문헌에 등장하지만, 그에 대한 신앙이 널리 퍼진 것은 이집트 신왕국 시대, 특히 제19왕조와 제20왕조 시기였던 것으로 보인다. 메렛세게르는 일반 민중 사이에서도 널리 신앙되었던 것으로 보이며, 공동묘지 근처에 그를 위한 여러 예배당이 세워졌다.

3. 신앙

엘 쿠른, 왕들의 계곡을 내려다보는 뾰족한 봉우리.


메레세게르의 이름은 "침묵을 사랑하는 자"[6][7]를 의미한다. 이는 그녀가 지키던 사막 묘지 지역의 고요함을[9] 나타내거나, "침묵을 만드는 자(오시리스)의 사랑받는 자"라는 다른 해석도 있다.[8]

주로 테베 서쪽 지역에서 신앙되었는데, 이곳에는 많은 네크로폴리스(공동묘지)가 조성되어 있었다. 고대 이집트인들은 해가 지는 서쪽이 죽은 자의 세계와 연결된다고 믿었다. 메레세게르는 특히 왕족과 귀족의 무덤을 건설하고 장식했던 데르 엘-메디나 마을의 장인과 노동자들의 수호신이었다.[6] 부유한 무덤을 도굴하는 행위는 이집트 구왕국 시대(기원전 27~22세기)부터 있었고, 때로는 무덤 건설에 참여한 노동자들에 의해서도 이루어졌다. 이러한 배경에서 무덤을 지키는 강력하면서도 자비로운 수호신으로서 메레세게르에 대한 신앙이 자연스럽게 생겨난 것으로 보인다.[9]

메레세게르라는 이름은 이집트 중왕국 시대부터 나타나지만, 그녀에 대한 신앙이 널리 퍼진 것은 이집트 신왕국 시대, 특히 이집트 제18왕조, 이집트 제19왕조, 제20왕조 시기였다. 에스나 (룩소르 근처)에서도 그녀를 숭배한 흔적이 발견된다. 노동자들은 메레세게르의 분노를 매우 두려워하며 그녀를 숭배했다. 지역 신이었기에 왕비의 계곡으로 가는 길목 등에 작은 석조 신전들이 세워졌고, 용서를 구하는 기도문이 새겨진 석비들이 봉헌되었다.[4] 또한 그녀를 상징하는 언덕 기슭에는 여러 작은 예배 장소가 마련되기도 했다.[22] 이처럼 메레세게르는 노동자 사회를 중심으로 민간에서도 널리 신앙되었다.

메레세게르는 때때로 하토르 여신과 연관되기도 했다. 하토르 역시 "서쪽의 여인", "네크로폴리스의 여인"이라는 별칭으로 불리며 무덤의 보호자로 여겨졌고, 죽은 자가 지하 세계의 문을 통과하도록 돕는 역할을 했다.[11][12]

메레세게르는 왕가의 계곡과 밀접하게 관련된 지역 신이었기 때문에, 왕가의 계곡이 더 이상 사용되지 않고 테베가 수도로서의 중요성을 잃게 되자 그녀에 대한 숭배도 점차 중단되었다. 이는 대략 기원전 11세기에서 10세기경의 일이다.[5]

참고로, 이집트 중왕국의 파라오 세누스레트 3세(기원전 1878–1839년경)의 왕비 이름도 메레세게르였다. 이 왕비는 최초로 대왕비 칭호를 사용하고 카르투슈 안에 이름을 쓴 인물로 알려져 있지만, 동시대 기록이 부족하여 이 이름이 신왕국 시대에 여신의 이름을 따서 만들어졌을 가능성도 제기된다.[10]

4. 도상학



메렛세게르는 주로 여성의 머리를 가진 코브라로 묘사된다. 원래는 독이 없는 뱀의 몸통을 가졌으나, 신성한 동물로서 코브라에 대한 신앙이 깊어지면서 코브라의 모습으로 바뀌었다고 여겨진다. 또한 뱀 머리를 한 스핑크스 형태로 묘사되기도 한다.[14][24]

드물게는 뱀의 머리를 한 여성의 모습으로 나타나기도 한다.[21] 이 경우, '와스' 홀[23]을 손에 쥐고 머리에는 깃털 장식을 하며 두 개의 칼로 무장한 모습으로 표현될 수 있었다.[14] 그 외에도 사자 머리를 한 뱀이나, 여성, 뱀, 독수리의 세 머리를 가진 뱀의 모습으로 묘사되기도 했다.[21]

다양한 비문에서 메렛세게르는 머리에 모디우스를 쓰고 태양 원반과 두 개의 깃털을 꽂거나, 하토르 여신의 왕관(두 뿔 사이에 태양 원반이 있는 형태)을 쓴 모습으로 그려진다.[14]

메렛세게르의 주요 예술적 묘사는 주로 왕족의 호화로운 무덤 내부에서 발견된다.

메렛세게르 도상이 발견된 주요 왕족 무덤
파라오연대 (기원전)무덤함께 등장하는 신/특징
아멘호테프 2세1427–1401년TT56 (우세르하트(상 이집트와 하 이집트의 빵을 세는 서기)의 무덤)몬투와 함께 등장[25]
토스레트 / 세트나크트1191–1189년경 / 1189–1186년경KV14무릎 꿇은 모습으로 등장[26]
람세스 6세1144–1136년경KV9콘수, 아문-라, 프타-소카르, 라-호라크티와 함께 등장 (왕이 직접 제물을 바침)[27]
람세스 10세1111–1107년경KV18라-호라크티와 함께 등장[28]
람세스 11세1107–1077년경KV4여러 신들과 함께 등장[29]


참조

[1] 서적 An Egyptian Hieroglyphic Dictionary, Volume 1
[2] 문서 Pinch 2004, p. 164
[3] 문서 Hart 1986, pp. 119–120
[4] 문서 Wilkinson 2003, p. 224
[5] 문서 Hart 1986, p. 120
[6] 서적 The British Museum Book of Ancient Egypt The British Museum Press 2007
[7] 서적 An Egyptian Hieroglyphic Dictionary, Volume 1
[8] 문서 Ions 1973, pp. 116, 118
[9] 문서 Hart 1986, p. 119
[10] 문서 Dodson, Aidan & Dyan, Hilton (2004), The Complete Royal Families of Ancient Egypt
[11] 문서 Hart 1986, pp. 78–9
[12] 문서 Pinch 2004, p. 139
[13] 문서 Pinch 2004, p. 200
[14] 웹사이트 Goddess Meretseger at Deir el-Medina http://www.deirelmed[...] 2018-05-09
[15] 웹사이트 Rock-cut shrine to Ptah and Meretseger at Deir el-Medina https://deirelmedina[...] 2018-05-09
[16] 웹사이트 Deir el-Medina stelae in the Egyptian Museum in Turin http://www.deirelmed[...] 2018-05-08
[17] 웹사이트 stela http://www.britishmu[...] 2018-05-08
[18] 뉴스 W1326 - Y Ganolfan Eifftaidd / Egypt Centre http://www.egypt.swa[...] 2018-05-08
[19] 간행물 Edward Bleiberg. "Amenhotep I," ''The Oxford Encyclopedia of Ancient Egypt. Oxford University Press 2001
[20] 웹사이트 The Courtyard of the Cachette in the Temple of Amun at Karnak in Luxor (Ancient Thebes), Egypt, Part II: Statue of Amenhotep II with Meretseger http://www.touregypt[...] 2018-05-09
[21] 웹사이트 Gods of Ancient Egypt: Meretseger http://www.ancienteg[...] 2018-05-09
[22] 서적 Miriam Lichtheim (1976). Ancient Egyptian Literature. Volume II: The New Kingdom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3] 웹사이트 Stela Showing Meretseger, Ancient Egypt collection http://www.liverpool[...] 2018-05-09
[24] 웹사이트 MERT SEGER in "Enciclopedia dell' Arte Antica" http://www.treccani.[...] 2018-05-09
[25] 웹사이트 The tomb of Userhat, TT56 https://www.osirisne[...] 2018-05-09
[26] 웹사이트 Depictions of Deities in Different Corridors of the Tomb of Tausret and Setnakht http://egyptopia.com[...] 2018-05-09
[27] 서적 The Rough Guide to Egypt Rough Guides 2013
[28] 웹사이트 Egypt: KV18, The Tomb of Ramesses X, Valley of The Kings, Egypt http://www.touregypt[...] 2018-05-09
[29] 웹사이트 Ancient Egypt - History and Chronology http://www.narmer.pl[...] 2018-05-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