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목포의 역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목포의 역사는 삼국 시대 마한에 속했던 시기부터 시작하여 백제, 신라를 거쳐 고려 시대에는 물량군으로 개편되었다. 고려 시대 왕건이 나주를 점령하기 위해 목포에 도착하면서 장화왕후를 만나 혼인했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조선 시대에는 만호진이 설치되어 인근 도서를 관리했으며, 임진왜란 때는 이순신 장군이 주둔하기도 했다. 1897년 목포항이 개항하면서 무안군이 무안부로 승격되었고, 일본은 호남의 물산 유통을 위해 목포를 적극적으로 활용했다. 일제강점기에는 경제적 수탈이 심화되었고, 1949년 목포부에서 목포시로 개칭되었다. 이후 간척 사업과 도시 개발을 통해 면적이 확장되었으며, 21세기에는 신항 및 무안 국제공항 건설 등 사회 기반 시설 투자와 산업 기반 확충을 통해 서남해안 시대의 중추 도시로 발전하고 있다.

2. 삼국 시대 및 남북국 시대

일찍이 삼한 중 마한에 속해 있었으며, 삼국 시대에는 백제의 물아혜(勿阿兮)군이었다. 이후 남북국시대에는 신라의 무주(武州)에 속하게 되었다. 목포 앞바다는 곡창지대이자 중국과도 멀지 않은 지리적 이점을 바탕으로, 고대부터 영산강 물줄기를 거슬러 나주에 이르는 교역로로 중요하게 활용되었다.[1]

3. 고려 시대

946년에는 물량군(勿良郡)으로 개편되었다. 이후 991년에 다시 무안군으로 불렸으며, 995년 고려 성종이 10도를 설치하면서 해양도(海南道) 나주목 무안현으로 편제되었다.

고려 시대에 목포라는 지명이 본격적으로 언급되기 시작하는데, 정확히는 왕건이 궁예 휘하의 장수로 활동하던 태봉 시기의 일이다. 당시 해상 세력을 기반으로 성장한 왕건은 견훤이 세운 후백제를 남쪽에서 공격하여 나주 지역을 점령하고자 했다.[2] 이 과정에서 왕건은 목포에 도착하여 거점으로 삼고 나주 지역을 복속시킨 것으로 전해진다. 이때 목포 인근에서 장화왕후 오씨를 만나 혼인하였다고 알려져 있다. 목포를 포함한 나주 지역은 후삼국시대 통일 과정에서 왕건에게 중요한 전략적 기반이 되어 큰 힘을 실어주었다.

4. 조선 시대

조선 시대에 들어 목포에는 목포진이 설치되었다. 세종 21년인 1439년에는 목포 수군 만호진이 별도로 설치되어 인근 연안의 12개 도서를 관리하게 하였다. 현재 목포시의 만호동이라는 지명은 과거 이곳에 만호진이 있었던 것에서 유래했다.

임진왜란 중에는 이순신 장군이 명량대첩에서 승리한 후, 군선을 재정비하고 군량미를 확보하기 위해 목포와 고하도 앞에 수군진을 설치하여 108일 동안 머무르기도 했다.[3]

1895년에는 나주목 무안현 소속에서 벗어나 독립적인 행정 구역이 되었으며, 이때부터 목포진 또는 목포영이라 불리며 군사 및 행정 업무를 담당하였다. 당시 만호청에는 외국인들이 많이 거주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5. 개항과 일제강점기

1897년 10월 1일, 목포는 부산과 인천에 이어 국내에서 세 번째로 개항되었다. 이는 인천보다는 15년 늦었지만 다른 지역에 비해서는 상당히 이른 개항이었다. 일본후쿠오카나 나가사키에서 중국 대륙으로 향하는 중간 지점에 위치한 목포의 지리적 이점과 호남 지역의 풍부한 물산을 확보하기 위해 개항을 적극적으로 추진했다. 개항 이후 1906년에는 무안군이 '''무안부'''로 승격되었다.

개항과 함께 목포에는 일본인 거류지가 폭발적으로 증가했으며, 이들을 위한 자치기관과 일본 영사관이 설치되었다.[4][5] 일본인 거류지는 주로 항구와 가까운 현재의 유달동 일대에 형성되었고, 국권침탈 이전 설치된 일본 영사관 건물은 이후 목포문화원으로 사용되기도 했다.

개항 초기 일본인들은 개항장에서만 상업 활동이 가능했음에도 불구하고, 목포 인근 영산포를 시작으로 내륙의 논밭을 사들이기 시작했다. 당시 조선 정부의 낮은 세율과 일본 내 토지 가격의 10분의 1 수준인 저렴한 가격은 이들의 토지 매입을 부추겼다. 강압적인 개항 이후 목포는 호남 쌀의 주요 집결지가 되어 일본으로 대량 유출되었고, 이로 인해 국내 쌀값은 1898년 기준으로 개항 전보다 두 배 이상 폭등했다.[6] 이러한 수탈과 열악한 노동 조건에 맞서 1898년부터 1903년까지 목포 부두 노동자들은 일본인 자본가에 대항하여 동맹파업을 벌이기도 했다.[7]

1905년 이후에는 유곽이 들어서고 일본인 거주지가 확장되었으며, 1914년에는 현재의 금화동 지역(당시 사쿠라마치)으로 옮겨갔다. 이곳은 일본인들이 집단 거주하며 벚나무를 많이 심어 '사쿠라마치'라 불렸다.[8]

1910년 국권이 침탈되면서 무안부는 '''목포부'''로 이름이 바뀌고 19개 면을 관할하게 되었다.[9]

일제강점기 목포부 시가지 모습


목포 개항 이후 해상 교통의 요지로 부상하여, 완도를 거치던 기존 뱃길에 목포가 포함되었고 목포-제주 간 정기 기선이 운항되기 시작했다. 인천, 부산, 여수를 오가던 배들도 목포를 중간 기착지로 삼았다. 1914년에는 호남선 철도가 개통되어 대전과 목포를 잇는 철길이 놓였다. 같은 해 4월 1일, 행정구역 개편이 이루어져 기존 목포부에서 도시 지역인 부내면만 '''목포부'''로 남기고, 나머지 면과 지도군 전역, 진도군완도군의 일부 면이 무안군으로 통합되었다. 무안군청은 목포부 내에 위치했다.[10]

일제는 목포항을 곡물 수탈의 거점으로 삼아 1920년 동양척식주식회사 목포지점을 설치했다. 이 건물은 현재 목포근대역사관으로 사용되고 있다. 철도 개통과 조선업, 수산가공업의 발달로 전국 각지에서 일자리를 찾아 조선인들이 목포로 몰려들었다. 이들은 주로 일본인 거주지 인근의 옛 공동묘지 터에 조선총독부의 허가를 받아 비좁은 움막을 짓고 살았다.[11] 도시가 성장하면서 각종 시설과 함께 목포극장도 생겨났는데, 당시 서울의 단성사, 광주의 광주극장과 더불어 내국인이 소유한 몇 안 되는 극장 중 하나였다.[12]

1932년에는 무안군 일부 지역이 목포부에 편입되어 면적이 확장되었고, 인구 6만의 도시로 성장하며 당시 조선의 6대 도시 중 하나로 꼽혔다. 이 시기 목포항은 '''일흑'''()과 '''삼백'''(면화, , 소금)의 주요 집산지로 널리 알려졌으며[13], 특히 면화는 1930년대 초 목면 공장이 20여 곳에 이를 정도로 발달하여 조선 제일의 목면 수출항으로 자리 잡았다. 생산된 목면은 주로 일본 간사이의 한신 지역으로 수출되었다.

5. 1. 경제 수탈

일본은 곡창지대인 호남의 물산을 집결하고 유통하기 위해 목포 개항에 주목하고 있었다.[4][5] 비록 당시 일본인들은 개항장에서만 상행위를 할 수 있다는 제약이 있었으나, 이들은 목포 인근의 영산포를 시작으로 내륙의 논밭까지 사들이며 경제적 침투를 본격화했다. 당시 조선 정부가 매긴 낮은 세율과 일본 내 토지 가격의 10분의 1에 불과한 저렴한 가격은 일본인들의 토지 매입을 부추겼다.

강압적인 개항 이후 목포는 호남 쌀의 주요 집결지가 되었고, 이곳을 통해 일본으로 쌀이 대량 유출되기 시작했다. 이로 인해 국내 쌀값은 급격히 상승하여, 목포 개항 이전 한 섬에 여섯 냥 하던 것이 1898년에는 14냥까지 치솟으며 일반 백성들의 경제적 부담을 크게 늘렸다.[6]

이러한 경제적 수탈과 열악한 노동 환경에 대한 저항도 나타났다. 1898년부터 1903년 사이 목포 부두 노동자들은 일본인 자본가의 착취에 맞서 동맹파업을 일으켰다. 노동자들은 제대로 된 식사도 제공받지 못한 채 저녁 늦게까지 고된 노동에 시달리면서도 정당한 임금을 받지 못하는 상황에 분노하여 파업을 벌였다.[7]

5. 2. 사회 변화

1898년부터 1903년 사이에는 목포 부두 노동자들이 일본인 자본가의 착취에 맞서 동맹파업을 벌였다. 이는 점심 식사조차 제대로 하지 못하고 저녁 늦게까지 일하면서도 정당한 임금을 받지 못한 데서 비롯되었다.[7]

1905년 이후에는 유곽이 들어서고 일본인 거주지가 확장되면서, 1914년에는 현재의 금화동 지역(당시 사쿠라마치)으로 유곽이 옮겨갔다. 이곳은 여객선터미널 뒤편 수협 일대로, 일본인들이 집단으로 거주하며 벚나무를 많이 심었다.[8]

1910년 국권이 침탈된 후 무안부는 '''목포부'''로 이름이 바뀌어 19면을 관할하게 되었다.[9]

1914년에는 호남선 철도가 개통되어 대전과 목포를 잇는 철길이 열렸다. 같은 해 4월 1일, 행정구역 개편으로 기존 목포부에서 도시 지역인 부내면만 '''목포부'''로 남기고, 부내면을 제외한 목포부의 나머지 면과 지도군 전역, 진도군 도초면·안창면·기좌면, 완도군 팔금면이 무안군으로 통합, 개편되었다. 무안군청은 목포부 내에 위치했다.[10]

1920년에는 일제식민지 수탈 기관인 동양척식주식회사 목포지점이 설치되었다. 이 건물은 현재 목포근대역사관으로 사용되고 있다.

철도 개통과 조선업, 수산가공업의 발달로 전국 각지에서 조선인들이 일자리를 찾아 목포로 몰려들었다. 이들은 일본인 거주지역 가까운 곳에 자리 잡기 위해 옛 공동묘지 터에 조선총독부가 허가하면서 작은 움막을 짓고 좁은 골목을 이루며 살았다.[11] 각종 시설이 들어서는 한편 목포극장도 생겨났는데, 당시 서울의 단성사, 광주의 광주극장과 함께 내국인이 소유한 세 곳뿐인 극장 중 하나였다.[12]

1932년에는 무안군 일부 지역이 목포부에 편입되어 면적이 넓어졌고, 인구 6만의 도시로 성장하며 당시 조선의 6대 도시 중 하나가 되었다. 이때 목포항은 일흑()과 삼백(면화, , 소금)의 주요 집산지로 널리 알려졌으며[13], 특히 목면은 일본 간사이의 한신 지역으로 주로 수출되어 1930년대 초에는 조선 제일의 목면 수출항으로 꼽혔다.

5. 3. 민족 운동



목포 개항 이후 완도를 통해 이어지던 뱃길은 목포를 거치게 되었고, 목포와 제주 사이를 정기적으로 운항하는 기선이 생겨났다. 1921년 설립된 순항선조합의 선박을 비롯하여 인천, 부산, 여수를 오가던 배들은 목포를 중간 기착지로 삼았다.

1914년에는 호남선 철도가 개통되어 대전과 목포를 잇는 철도가 놓였다. 같은 해 4월 1일, 기존의 목포부가 개편되어 도시 지역인 부내면만 '''목포부'''로 남게 되었다. 부내면을 제외한 목포부의 나머지 면과 지도군 전역, 진도군완도군의 일부 면은 무안군으로 통합되었다. 무안군청은 목포부 내에 두었다.[10] 일제는 목포항을 곡물 수탈의 거점으로 삼아 1920년 동양척식주식회사 목포지점을 설치했다. 이 건물은 현재 목포근대역사관으로 남아있다.

철도 건설, 조선업, 수산가공업 등이 본격화되면서 일자리를 찾아 전국 각지에서 조선인들이 목포로 몰려들었다. 이들은 일본인 거주 지역 가까이에 자리를 잡기 위해 옛 공동묘지 터에 작은 움막 등을 짓고 비좁은 골목을 이루며 생활했다. 이곳은 조선총독부의 허가를 받아 겨우 거주가 가능했던 열악한 환경이었다.[11] 도시가 성장하면서 각종 시설과 함께 목포극장도 생겨났다. 당시 내국인이 소유하고 운영하던 극장은 서울의 단성사, 광주의 광주극장과 더불어 목포극장이 거의 유일했다.[12]

1932년 무렵, 목포는 무안군의 일부 지역을 편입하여 면적이 확장되었고, 인구 6만의 도시로 성장하며 당시 조선의 6대 도시 중 하나로 꼽혔다. 목포항은 '''일흑'''()과 '''삼백'''(면화, , 소금)의 주요 집산지로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13] 특히 면화는 목포의 중요한 산업으로, 일본인들 사이에서는 "전북에 쌀의 군산이 있다면 전남에는 면의 목포가 있다"는 말이 나올 정도였다. 1930년대 초 목포에는 목면 공장이 20여 곳에 이르렀으며, 조선 제일의 목면 수출항으로서 생산된 목면은 주로 일본 간사이의 한신 지역으로 보내졌다.

6.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1949년 목포부가 '''목포시'''로 승격된 이후, 무안군 일부 지역 편입과 지속적인 간척 사업을 통해 시가지가 확장되었다.[14] 이 과정에서 삼학도와 같은 지형적 변화도 있었다.[15][16] 1980년 광주 민주화 운동 시기에는 민주화를 위한 시민들의 움직임이 있었으며, 일제강점기부터 이어진 호남선 철도는 목포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했고 2004년 KTX 개통으로 접근성이 더욱 향상되었다. 21세기 들어서는 항만 개발, 신도시 건설 등[13] 서남해안 시대의 중심 도시로 발전을 모색하고 있다.

6. 1. 민주화 운동

1980년 광주 민주화 운동 당시 목포 지역에서도 수많은 학생운동이 일어났으며, 2호 광장에서 목포역까지 긴 대열을 이루며 시위가 진행되었다. 당시 목포역은 학생운동의 본산으로, 궐기대회와 대책 마련에 나선 시민들이 모이던 장이었다.

6. 2. 현대의 발전

1949년 목포부에서 '''목포시'''로 개칭된 후, 1963년 무안군 지역 흡수[14], 1973년과 1987년 무안군 삼학면 일대 편입, 1999년 하당신도심 2단계 매립지구 택지개발사업, 그리고 북항, 삼학도 인근, 충무동 신항 매립 등 지속적인 행정구역 조정과 간척 사업을 통해 시의 면적이 꾸준히 확장되었다. 현재 면적은 47.92km2에 이른다.

목포의 명소인 삼학도는 일제강점기인 1940년대에 연륙 공사가 시작되었고, 1968년부터 1973년까지 추진된 간척공사로 완전히 육지로 변모했다. 이후 2000년부터 삼학도 복원사업이 시작되었으나, 시민단체 등으로부터 졸속 행정이라는 비판을 받으며 어려움을 겪기도 했다. 그러나 2006년, 공사 시작 6년 만에 소삼학도를 시작으로 원래 모습에 가깝게 세 개의 섬으로 복원하고 물길을 내는 데 성공했으며, 섬들을 잇는 5개의 다리가 건설되어 2007년 3월 1일부터 시민들에게 개방되었다.[15][16]

1980년 광주 민주화 운동 당시 목포에서도 많은 학생과 시민들이 민주화를 요구하며 시위에 참여했다. 특히 2호광장에서 목포역까지 이어진 시위 대열은 당시의 열기를 보여주었으며, 목포역은 시민들의 궐기대회 장소이자 대책을 논의하는 중심지 역할을 수행했다.

일제강점기 개통된 호남선은 목포 발전의 중요한 기반이었으며, 목포는 오랫동안 호남선의 종착역으로서 기능해왔다. 2004년 4월 1일에는 KTX가 개통되어 서울과의 접근성이 크게 향상되었으며, 현재 KTX 열차가 정기적으로 운행되고 있다. 삼학도 복원 사업과 더불어 남항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관광 중심의 북항과 물류 전담의 신외항을 축으로 항만 기능을 강화하고 있다.

21세기에 들어서는 목포신항 건설, 무안국제공항 개항 등 사회기반시설 투자가 이루어졌고, 대불공단과 삼호공단 조성으로 산업 기반도 확충되었다. 이를 통해 목포는 서남해안 시대의 중추 도시로 성장할 잠재력을 가진 것으로 평가받으며[13], 특히 중국 동남권 지역과의 경제 교류 및 협력 가능성이 주목받고 있다. 또한, 대성지구, 백련지구, 서산-온금지구 등 원도심 재개발 사업과 남악신도시 건설 등 도시 개발도 활발히 진행되었다.

남악신도시

7. 21세기 발전과 미래

2004년 4월 1일 KTX가 개통되어 수도권과의 접근성이 크게 향상되었고, 호남선의 종착역으로서 기능을 이어가고 있다. 또한, 삼학도 복원 사업이 완료되어 3개의 섬으로 복원되었으며, 소삼학도와 중삼학도를 잇는 5개의 다리가 놓여 2007년 3월 1일부터 시민들에게 개방되었다.[15][16]

21세기에 들어 목포는 목포 신항 건설, 무안 국제공항 개항 등 사회기반시설에 대한 투자가 이루어지고 대불·삼호 공단 조성을 통해 산업기반 시설이 확충되면서 서남해안 시대의 중추 도시로 성장할 가능성을 주목받고 있다.[13] 특히 중국의 경제 성장과 함께 상하이, 홍콩 등 중국 동남권과의 교류 및 연계 발전에 대한 기대가 커지고 있다.[13]

도시 내부적으로는 원도심 활성화를 위한 재개발 사업(대성지구, 백련지구, 서산-온금지구, LH트윈스타)과 함께 전라남도청 이전을 계기로 무안군 삼향읍목포시 옥암동·상동 일원에 걸쳐 남악신도시 개발 사업이 진행되었다.

참조

[1] 서적 역사스페셜2 KBS
[2] 서적 우리역사이야기 2
[3] 서적 이순신이 싸운 바다:한려수도 새로운사람들
[4] 서적 문지사 한국의 쓰레기 2천년사 문지사
[5] 간행물 한국축제연감 2007 데이코 D&S, 진한엠엔비
[6] 서적 해방(테마로 읽는 20세기 한국사)
[7] 서적 함께 보는 한국근현대사 서해문집
[8] 서적 유곽의 역사 페이퍼로드
[9] 서적 한국사이야기22. 빼앗긴 들에 부는 근대화바람 한길사 2004
[10] 법령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1913-12-29
[11] 논문 근대도시 목포의 역사 공간 문화
[12] 서적 한양이야기 가람기획
[13] 웹사이트 목포역사문화관광 홈페이지 중 연혁
[14] 법령 법률 제1175호 시·군관할구역변경및면의폐치에관한법률 1962-11-21
[15] 뉴스 옛 삼학도 모습 http://news.naver.co[...] 2005-11-25
[16] 뉴스 목포 삼학도 35년 만에 복원...1일 개방 http://news.naver.co[...] 2007-03-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