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문학 장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문학 장르는 문학 작품을 특정 관례에 따라 분류하는 방식이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수사학, 시학에서 장르 개념을 제시했으며, 노스럽 프라이는 《비평의 해부》를 통해 장르 체계를 이론화했다. 낭만주의 시대에는 장르의 경계를 넘나드는 시도가 있었으며, 현대에는 웹소설, SNS 시 등 새로운 장르가 등장하고 있다. 문학은 시, 드라마, 산문으로 분류되며, 각 장르는 하위 장르로 나뉜다. 현대 사회는 기술 발전과 사회 변화에 따라 문학 장르의 변화를 겪고 있으며, 사회적 다양성을 반영하는 새로운 장르가 등장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문학 장르 - 기사 문학
    기사 문학은 중세와 르네상스 시대 유럽에서 유행한 문학 장르로, 기사도, 궁정 연애, 모험 등을 주제로 하며 아서왕 이야기, 샤를마뉴 이야기, 고대 그리스·로마 영웅 이야기 등을 주요 소재로 다룬다.
  • 문학 장르 - 모험 소설
    모험 소설은 기사도 소설에서 현대 영화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며, 19세기 이후 이국적인 배경, 영웅, 과학 기술 등을 담은 소설로 발전하여 스파이 소설 등의 하위 장르를 포함하고 쥘 베른, 알렉상드르 뒤마, 클라이브 쿠슬러 등 다양한 작가들에 의해 쓰여졌다.
  • 문학 - 공감
    공감은 타인의 감정을 이해하고 공유하는 심리적 과정으로, 정서적 공감(감정적 반응)과 인지적 공감(관점 이해)으로 나뉘며, 유전적, 환경적 요인과 뇌의 거울 뉴런 시스템에 영향을 받고, 사회적 상호작용, 도덕적 판단, 정신 질환과 관련되며, 다양한 방법으로 측정되고, 동물 연구 및 허구 매체에서도 중요한 요소로 다뤄진다.
  • 문학 - 산문
    산문은 운율 제약 없이 자연스러운 흐름으로 쓰이는 글로, 소설, 논픽션, 수필, 비평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며 현실 반영, 사회 비판, 개성 표현 등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문학 장르
문학 장르
정의문학 작품의 스타일, 형식, 내용 등을 기준으로 분류한 범주
특징각 장르는 고유의 특징과 규칙을 가짐.
장르를 통해 작가와 독자 간의 소통이 원활해짐.
장르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화하고 발전함.
분류 기준문체
표현 기법
내용 주제
형식
독자 대상
주요 문학 장르
서사이야기 형식을 갖춘 문학 작품
운율과 리듬을 사용하여 감정을 표현하는 문학 작품
희곡무대 공연을 위해 쓰여진 문학 작품
산문운율이나 리듬에 얽매이지 않고 자유롭게 쓰는 문학 작품
서사 장르
소설등장인물, 사건, 배경 등을 설정하여 이야기를 풀어나가는 장편 서사 문학
단편 소설짧은 이야기로, 하나의 중심 사건이나 인물을 다루는 문학
중편 소설단편 소설보다 길고, 장편 소설보다 짧은 서사 문학
서사시영웅이나 신화적 이야기를 서술하는 장편 운문 서사
우화교훈을 주기 위해 동식물이나 사물을 등장시켜 이야기를 꾸미는 서사
신화신이나 영웅의 이야기를 통해 세계와 인간의 기원을 설명하는 서사
전설역사적 사건이나 인물에 대한 이야기를 바탕으로 꾸며낸 서사
시 장르
서정시개인의 감정이나 정서를 표현하는 시
서사시영웅이나 중요한 사건을 다루는 긴 시
극시연극 형식으로 된 시
송가존경하는 대상이나 사건을 찬양하는 시
비가죽음이나 슬픔을 표현하는 시
풍자시사회 현상이나 인간의 어리석음을 비판하는 시
희곡 장르
희극웃음을 유발하는 요소를 가진 극
비극주인공의 불행한 결말을 다루는 극
희비극희극과 비극적 요소를 모두 가진 극
막간극연극 중간에 짧게 공연되는 극
산문 장르
수필작가의 생각이나 경험을 자유롭게 적은 글
기행문여행 경험을 바탕으로 쓴 글
평론문학, 예술 작품 등에 대한 비평적인 글
전기특정 인물의 생애를 기록한 글
자서전자신의 삶을 스스로 기록한 글
편지개인 간의 의견을 교환하는 글
기타 장르
아동 문학어린이를 대상으로 쓰여진 문학 작품
환상 문학현실 세계에서는 불가능한 초자연적 요소를 다룬 문학
공상 과학 소설과학 기술이나 미래 사회를 배경으로 하는 문학
추리 소설범죄 사건이나 수수께끼를 풀어나가는 문학
관련 개념
장르 이론문학 작품을 장르별로 분류하고 분석하는 이론
장르 비평문학 작품이 특정 장르의 특징을 얼마나 잘 따르고 있는지를 평가하는 비평
참고 자료
참고 문헌Todorov, Tzvetan; Howard, Richard (1976). "The Fantastic: A Structural Approach to a Literary Genre"
Pavel, Thomas (2003). "Literary Genres as Norms and Good Habits"
Collins, James (2015). Exhortations to Philosophy: The Protreptics of Plato, Isocrates, and Aristotle
Corrigan, Philip (1986). "Book Review: Literary Theory: An Introduction"
Neto, Bill (2021). "Literary Genres"

2. 장르의 역사

"문학 장르의 알레고리", 콩스탕 몽탈드 작


문학 장르의 역사는 서구 문학과 한국 문학의 관점을 모두 포함하여 다룬다.

장르 이데올로기는 아리스토텔레스가 문학 장르 분류에 생물학적 개념을 적용하면서 발전하기 시작하였다.[15] 이후 노스럽 프라이는 《비평의 해부》(Anatomy of Criticism)를 통해 장르 체계를 이론화하고 언어화했다.[17]

낭만주의 시대에는 전쟁, 내분, 지도자 타도와 같은 사회적 사건으로 인해 '상상적' 장르라는 새로운 장르가 등장했다.[19] 사람들은 각자의 상황에서 벗어나기 위한 "현실 도피"의 필요성을 느꼈다.[13]

2. 1. 서구 문학에서의 장르론

장르 이데올로기는 문학 장르 분류에 생물학적 개념을 적용한 아리스토텔레스의 이데올로기 및 저작과 함께 발전하기 시작하였다.[15] 그는 자신의 논문 《수사학》과 《시학》에서 산문과 운문 장르를 비롯하여 수사적 문학 장르를 개괄적으로 설명한다.

노스럽 프라이는 《비평의 해부》(Anatomy of Criticism)를 통해 장르 체계를 이론화하고 언어화했다.[17] 프라이 이전에도 문학 장르를 형성하는 데 도움이 된 작품이 많이 쓰였다. 로마 시대 그리스어 논문 《숭고함에 대하여》(Περì Ὕψουςel)는 오십 명 이상의 문학 작가들의 작품과 그들이 청중의 감정과 정서에 영향을 미치는 방법에 대해 논하였다.[18]

낭만주의 시대에는 '상상적' 장르라는 새로운 장르가 등장했는데,[19] 이는 전쟁, 내분, 지도자 타도와 같은 서구 세계에서 일어나고 있던 사회적 사건에 기인한다.[13] 사람들은 각자의 상황에서 벗어나기 위한 "현실 도피"의 필요성을 느꼈다.[13]

2. 1. 1. 장르 개념의 기틀: 아리스토텔레스

아리스토텔레스는 그의 저서 『수사학』과 『시학』에서 문학 장르를 체계적으로 분류하고, 각 장르의 특징과 규칙을 제시하였다.[15] 『수사학』에서는 심의적(정치적) 수사, 법정적 수사, 제의적(찬사적) 수사라는 세 가지 수사적 문학 장르를 제시하고, 연설가들이 이러한 수사적 장르를 통해 달성하고자 하는 목표에 대해 논한다.[12]

『시학』에서는 서사시, 비극, 희극이라는 세 가지 주요 시 장르를 구분하고, 각 장르의 구성 규칙을 설명했다.[16] 시의 경우, 이러한 구분은 수사적 목적이 아니라 구조, 내용, 그리고 서사 형식의 조합에 근거한다. 각 유형에 대해 그는 정의뿐만 아니라 구성 규칙도 제시하였다.

2. 1. 2. 장르 이론의 발전: 노스럽 프라이

노스럽 프라이는 《비평의 해부》(Anatomy of Criticism)에서 장르 체계를 이론화하고 언어화하였다. 그는 이 체계를 통해 일련의 규칙을 사용하여 각 장르의 제약을 설명한다.[17] 그는 저서에서 "작품의 주인공과 우리 자신 또는 자연 법칙의 관계" 구성을 통해 신화, 전설, 상위모방 장르, 하위모방 장르, 아이러니, 희극, 비극 장르의 방법론적인 분류를 정의한다.[10] 또한 "현실"과 "이상"의 병치를 사용하여 로맨스(이상), 아이러니(현실), 희극(현실에서 이상으로 전환), 비극(이상에서 현실로 전환)의 장르를 분류한다. 마지막으로 대상이 되는 청중에 따라서 드라마(공연 작품), 서정시(노래 작품), 서사시(낭송 작품)로 장르를 나눈다.[10]

2. 1. 3. 낭만주의 시대와 현대의 장르 이론

현대 장르 이론의 기원은 18세기 후반과 19세기 초반의 유럽 낭만주의 운동으로 거슬러 올라가며, 이 운동에서 장르의 개념을 매우 면밀하게 검토하였다.[21] 장르적 제약을 무시할 수 있다는 생각과 각 문학 작품이 "장르 그 자체"[21]라는 발상이 인기를 얻었고, 장르 정의는 "원시적이고 유치한" 것으로 여겨졌다.[21] 21세기까지 현대 장르 이론은 종종 수 세기 동안 장르의 범주화를 표시해 온 관례를 없애려고 하였다. 그러나 21세기에 들어서며 장르는 개성의 상실이나 과도한 순응과 연관된 부정적 의미를 상당 부분 잃게 되며 새로운 시대를 맞게 되었다.[21]

낭만주의 시대에는 '상상력' 장르라는 새로운 장르가 등장했다.[7] 이러한 변화의 이유는 종종 전쟁, 내분, 지도자 타도와 같은 서구 세계에서 일어나고 있던 사회적 사건들 때문으로 여겨진다.[7] 사람들은 각자의 상황에서 벗어나기 위한 "탈출"의 필요성을 느꼈다.[7]

3. 주요 문학 장르



문학 작품은 다양한 유형으로 존재하며, 장르는 특정하게 공유된 관례에 따라 분류한다.[20] 문학은 크게 , 드라마, 산문의 세 가지 형식으로 나눌 수 있다.

작품을 장르로 나누는 기준은 일관되지 않아 작가와 비평가 모두에게 논쟁, 변화, 도전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11] 그러나 몇 가지 기본적인 구분에는 거의 이견이 없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픽션("실화나 상황에 기초했을 수 있지만 사실로 표현되지 않은 상상으로 창작한 문학")과 같은 일반적인 장르는, 모든 픽션 문학에 보편적으로 적용되지는 않으며, 대신 일반적으로 장편 소설, 단편 소설, 중편 소설로 제한되나 우화는 포함되지 않고, 산문 또한 주로 이 장르에 들어간다.

3. 1. 시 (문학)

문학은 고대 그리스의 고전적인 세 가지 형식인 , 드라마, 산문으로 세분화된다. 시는 다시 서정시, 서사시, 극시 장르로 세분화될 수 있다. 서정시는 노래, 송가, 발라드, 애가, 소네트와 같은 짧은 형태의 시 모두를 포함한다.[20] 극시는 희극, 비극, 멜로드라마 등을 포함하여 희비극과 같은 혼합 장르가 들어갈 수 있다. 시는 소네트, 하이쿠, 리머릭() 등의 하위 장르를 포함한다.[9]

3. 2. 산문

문학은 크게 , 드라마, 산문으로 나눌 수 있으며, 산문에는 장편 소설, 중편 소설, 단편 소설 등이 포함된다. 일반적으로 소설("사실로 제시되지 않지만 실화나 상황을 기반으로 할 수 있는 상상력으로 만들어진 문학" 장르)은 산문 텍스트에만 적용되며 우화에는 적용되지 않는다는 것이 널리 받아들여진다.[2]

  • '''장편 소설:''' 분량이 길고 복잡한 이야기를 다루는 산문 형식이다.
  • '''중편 소설:''' 장편 소설보다 짧고 단편 소설보다 긴 산문 형식이다.
  • '''단편 소설:''' 짧은 이야기 안에 특정 주제나 인상을 담아내는 산문 형식이다.

3. 3. 드라마 (희곡)

드라마의 표준적인 구분은 그리스 드라마에서 유래한 비극과 희극으로 나누는 것이다.[20] 희극은 풍습 희극, 감상 희극, 벌레스크 희극, 풍자 희극 등의 하위 장르로 더 세분화될 수 있다. 극시는 희극, 비극, 멜로드라마 등을 포함하며, 희비극과 같은 혼합 장르도 포함될 수 있다.[20]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동상

3. 4. 기타 장르

문학은 크게 , 드라마, 산문으로 나뉘며, 이 외에도 다양한 장르가 존재한다. 주요 장르 외에 다음과 같은 장르들을 살펴볼 수 있다.

세미 픽션은 상당한 양의 논픽션을 포함하는 장르이다. 실제 사건을 바탕으로 하되, 이름을 바꾸거나 허구의 사건을 덧붙이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제리 사인필드와 같이 실존 인물을 바탕으로 한 허구의 이야기가 이에 해당한다.[2]

이 외에도 연령별 분류 방식에 따라 성인, 청소년, 아동 문학으로 나누거나, 형식별 분류 방식에 따라 그래픽 노블, 그림책, 라디오 드라마 등으로 나누는 방식이 있다.

4. 현대 사회와 문학 장르

현대 장르 이론은 낭만주의 시대 이후, 수 세기 동안 장르 분류를 특징지었던 관습들을 없애려는 시도를 자주 해왔다. 그러나 21세기에는 장르가 개성 상실이나 과도한 순응과 관련된 부정적인 의미를 많이 잃은 새로운 시대가 도래했다.[6]

참조

[1] 저널 The Fantastic: A Structural Approach to a Literary Genre 1976
[2] 저널 Literary Genres as Norms and Good Habits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003
[3] 저널 The Birth of a genre 1999
[4] 웹사이트 Aristotle: Poetics https://www.english.[...]
[5] 저널 Translations and Commentaries of Longinus, "On the Sublime", to 1600: A Bibliography 1950-02-01
[6] 서적 Modern Genre Theory Routledge 2000
[7] 저널 Book Review: Literary Theory: An Introduction 1986-07-01
[8] 서적 A New Handbook of Literary Term Yale University Press
[9] 웹사이트 Genres http://academic.broo[...] 2021-04-17
[10] 저널 The Fantastic: A Structural Approach to a Literary Genre https://doi.org/10.2[...] 2021-04-17
[11] 저널 Literary Genres as Norms and Good Habits https://www.jstor.or[...] 2021-04-17
[12] 서적 Exhortations to Philosophy: The Protreptics of Plato, Isocrates, and Aristot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5
[13] 저널 Book Review: Literary Theory: An Introduction https://journals.sag[...] 2021-04-17
[14] 웹인용 Literary Genres https://ebooksdiscou[...] 2020-04-17
[15] 저널 The Birth of a genre https://www.tandfonl[...] 2021-04-17
[16] 저널 G. M. Sifakis: Aristotle on the function of tragic poetry https://doi.org/10.1[...] 2021-04-17
[17] 저널 The Fantastic: A Structural Approach to a Literary Genre https://doi.org/10.2[...] 2021-04-17
[18] 저널 Translations and Commentaries of Longinus, "On the Sublime", to 1600: A Bibliography https://www.journals[...] 2020-12-02
[19] 저널 Book Review: Literary Theory: An Introduction https://journals.sag[...] 2021-04-17
[20] 웹인용 Genres http://academic.broo[...] 2021-04-17
[21] 서적 Modern Genre Theory https://doi.org/10.4[...] Routledge 2021-04-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