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사회당 (독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민주사회당(PDS)은 1989년 동독에서 독일 사회주의 통일당(SED)이 개혁 과정에서 당명을 변경하여 창당되었다. 동독 민주화 이후, PDS는 독일 재통일 과정에서 슈타지 연루 의혹과 과거 공산주의와의 관계를 정리하는 과제를 겪었다. 1990년 동독 총선에서 3위를 차지했고, 통일 후에는 서독 지역에서의 지지 기반 확대에 어려움을 겪었으나, 1998년 메클렌부르크포어포메른주에서 사민당과 연립 정부를 구성하며 주 정부에 참여했다. 2005년에는 WASG와 통합하여 좌파당으로 연방 의회에 진출했으며, 2007년 좌파당으로 통합되었다. PDS는 마르크스-레닌주의를 포기하고 민주사회주의 노선을 추구했으며, 인권과 소수자 정책에 힘썼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독일 좌파당 - 좌파당 (독일)
좌파당 (독일)은 독일 사회주의 통일당의 후신인 민주사회당과 사회민주당 탈당파 및 노동조합원들이 결합하여 창당된 정당으로, 민주사회주의를 지향하며 다양한 정파로 구성되어 있다. - 독일 좌파당 - 카를 리프크네히트 하우스
카를 리프크네히트 하우스는 독일 베를린에 위치한 건물로, 독일 공산당 청사, 나치 강제 수용소, 동독 사회주의통일당 사무소로 사용되었으며 현재는 독일 좌파당 중앙당 소재지로서 과거 동독과 사회주의 운동의 상징이다. - 독일 사회주의통일당 - 독일 공산당 (1919년)
독일 공산당(KPD)은 제1차 세계 대전 중 사회민주당 내 좌파 반대파인 스파르타쿠스단을 기반으로 1918년 12월 창당되어 바이마르 공화국 시대에 강력한 반대 세력이었으나, 나치 정권에 의해 금지된 후 동서독으로 나뉘어 활동하다가 서독에서는 금지, 동독에서는 사회주의통일당으로 합병되었으며 현재 여러 후계 정당들이 존재한다. - 독일 사회주의통일당 - 카를 리프크네히트 하우스
카를 리프크네히트 하우스는 독일 베를린에 위치한 건물로, 독일 공산당 청사, 나치 강제 수용소, 동독 사회주의통일당 사무소로 사용되었으며 현재는 독일 좌파당 중앙당 소재지로서 과거 동독과 사회주의 운동의 상징이다. - 동유럽 혁명의 단체 - 에스토니아 공산당
에스토니아 공산당은 1920년 소련 공산당의 에스토니아 지부에서 분리되어 창당되었으며, 1924년 쿠데타 시도 실패 이후 지지 기반이 약화되었고, 1940년 소련에 흡수되었다가 1990년 분열되었다. - 동유럽 혁명의 단체 - 독일 기독교민주연합 (동독)
독일 기독교민주연합 (동독)은 2차 대전 후 소련 점령 지역에서 결성되어 초기 서독 기민련과 유사했으나 사회주의통일당의 영향으로 위성 정당화, 이후 민주화 운동 참여와 노선 전환, 자유 선거 압승을 거쳐 독일 통일에 기여했으며 통일 후 서독 기민련에 흡수 통합되었다.
민주사회당 (독일) | |
---|---|
기본 정보 | |
정당 이름 | 민주사회당 |
로마자 표기 | Partei des Demokratischen Sozialismus / Die Linkspartei.PDS |
약칭 | PDS |
![]() | |
당 색상 | 빨간색 |
창당 | 1989년 12월 16일 (사회주의통일당-민주사회당) 1990년 2월 4일 (민주사회당) 2005년 7월 17일 (좌파당.PDS) |
해산 | 2007년 6월 16일 |
본부 | 베를린 카를-리프크네히트-하우스 |
전신 | 독일 사회주의통일당(SED) |
합병 | 좌파당 |
웹사이트 | www.sozialisten.de |
지도부 | |
당 대표 | 로타르 비스키 |
정치적 입장 | |
정치적 이념 | 사회주의 좌익 포퓰리즘 |
정치적 위치 | 좌익 정치 |
국제 관계 | |
국제 조직 | 유럽 좌파당 |
유럽 의회 | 유럽 연합 좌파-북유럽 녹색 좌파 |
기타 | |
당원 수 | 60,338명 (2006년 기준) |
2. 역사
1989년 베를린 장벽 붕괴와 동독의 민주화 운동 속에서, 독일 사회주의 통일당(SED)은 개혁을 시도하며 당명을 변경했다. 1989년 12월 16일, SED는 사회주의통일민주사회당(SED-PDS)으로 당명을 변경하고, 그레고어 기지를 초대 당의장으로 선출했다. 1990년 2월 4일에는 당명을 민주사회당(PDS)으로 다시 변경했다.
1990년 3월 18일, 동독 최초의 자유 선거인 1990년 동독 총선에서 PDS는 16.1%의 득표율로 400석 중 66석을 얻었으나, 기독교민주연합(CDU)에 밀려 야당이 되었다.[21]
통일 직후 PDS는 당원 수 급감, 정체성 혼란 등 위기에 직면했다.[28] 1990년 독일 연방의회 선거에서 구 동독 지역 5% 득표율로 독일 연방의회에 진출했으나, 정식 의원단이 아닌 "그룹"으로 간주되었다. 1994년 독일 연방의회 선거에서는 기독교민주연합/기독교사회연합의 반공주의적 선거운동에도 불구, 득표율을 4.4%로 늘렸다.[22] 1998년 독일 연방의회 선거에서는 전국 투표에서 5.1%의 득표율, 36석을 확보하여 5% 득표율을 넘어 연방 의회 내 완전한 의원단 지위를 확보했다.
1990년부터 2007년까지 연방 및 각 주 차원 선거 득표율은 다음과 같다.
연도 | 선거 종류 | 득표율(%) |
---|---|---|
1990 | 연방의회 | 2.4 |
1990 | 브란덴부르크주 의회 | 13.4 |
메클렌부르크포어포메른주 의회 | 15.7 | |
작센주 의회 | 10.2 | |
작센안할트주 의회 | 12.0 | |
튀링겐주 의회 | 9.7 | |
1994 | 연방의회 | 4.4 |
1994 | 유럽 의회 | 4.7 |
1994 | 브란덴부르크주 의회 | 18.7 |
메클렌부르크포어포메른주 의회 | 22.7 | |
작센주 의회 | 16.5 | |
작센안할트주 의회 | 19.9 | |
1994 | 튀링겐주 의회 | 16.6 |
1995 | 베를린 시의회 | 14.6 |
1995 | 브레멘 시의회 | 2.4 |
1997 | 함부르크 시의회 | 0.7 |
1998 | 연방의회 | 5.1 |
1998 | 메클렌부르크포어포메른주 의회 | 24.4 |
작센안할트주 의회 | 19.6 | |
1999 | 유럽 의회 | 5.8 |
1999 | 베를린 시의회 | 17.7 |
브란덴부르크주 의회 | 23.3 | |
작센주 의회 | 22.2 | |
튀링겐주 의회 | 21.4 | |
자를란트주 의회 | 0.8 | |
1999 | 브레멘 시의회 | 2.9 |
2000 | 슐레스비히홀슈타인주 의회 | 1.4 |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주 의회 | 1.1 | |
2001 | 베를린 시의회 | 22.6 |
2002 | 연방의회 | 4.0 |
2002 | 작센안할트주 의회 | 20.4 |
메클렌부르크포어포메른주 의회 | 16.4 | |
2003 | 니더작센주 의회 | 0.5 |
브레멘 시의회 | 1.7 | |
2004 | 유럽 의회 | 6.1 |
2004 | 자를란트주 의회 | 2.3 |
튀링겐주 의회 | 26.1 | |
작센주 의회 | 23.6 | |
브란덴부르크주 의회 | 28.0 | |
2005 | 연방의회 | 8.7 |
2005 | 슐레스비히홀슈타인주 의회 | 0.8 |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주 의회 | 0.9 | |
2006 | 작센안할트주 의회 | 25.2 |
베를린 시의회 | 13.4 | |
메클렌부르크포어포메른주 의회 | 16.8 | |
2007 | 브레멘 시의회 | 8.4 |
PDS는 구 동독 지역에서 강력한 지지 기반을 바탕으로 지방 의회에 진출, 메클렌부르크포어포메른주에서 독일 사회민주당(SPD)과 연립 정부를 구성하여 주 차원 첫 여당이 되었다.
2001년 베를린 주 정부에서 사회민주당(SPD) 클라우스 뵈베라이트 시장의 연립 내각에 참여, 주 정부 차원 여당이 되는 성과를 거두었다.[28] 2002년 9월 22일 연방의회 선거에서는 5% 득표율에 미치지 못해 크게 패배, 연방의회 의석은 일시적으로 2석으로 줄었다.[28]
2003년 당 대회에서 새 강령을 채택, 과거사 반성과 민주사회주의 노선을 강화했다. 2004년 유럽 좌파당 결성에 참여, 중추적인 정당이 되었다. 같은 해 6월 13일 유럽 의회 선거에서 6.1% 득표율로 7석을 얻었다.
2005년 9월 18일 연방의회 선거에서 오스카 라포르테인 등 독일사회민주당 최좌파가 결성한 노동과 사회정의를 위한 선거 대안(WASG)과 정당 연합 "좌파당"을 결성, 선거에 참여했다. (선거 전 2005년 7월 17일 PDS는 '''좌파당-민주사회당'''으로 당명 변경) 그 결과, 8.7% 득표율로 5% 득표율[29]을 넘어 54석을 획득,[30] 사실상 의회 제4당 의석 규모를 확보했다.
이후 PDS와 WASG 양당은 2007년 6월 17일 공식 합당, 단일 정당인 좌파당을 창당했다.
2. 1. 동독 민주화와 독일 통일 (1989-1990)
1989년 베를린 장벽 붕괴와 동독의 민주화 운동 속에서, 독일 사회주의 통일당(SED)은 개혁을 시도하며 당명을 변경했다. 1989년 12월 16일, SED는 사회주의통일민주사회당(SED-PDS)으로 당명을 변경하고, 그레고어 기지를 초대 당의장으로 선출했다. 1990년 2월 4일에는 당명을 민주사회당(PDS)으로 다시 변경했다.1990년 3월 18일, 동독 최초의 자유 선거인 1990년 동독 총선에서 PDS는 16.1%의 득표율로 400석 중 66석을 얻었으나, 기독교민주연합(CDU)에 밀려 야당이 되었다.[21] 독일 통일 과정에서 PDS는 슈타지(Stasi, 동독 국가보안부) 협력 의혹 등으로 어려움을 겪었다.
2. 2. 통일 독일에서의 적응과 도전 (1990년대)
통일 직후 민주사회당(PDS)은 당원 수가 급감하고 정체성 혼란을 겪는 등 위기에 직면했다.[28] 1990년 독일 연방의회 선거에서는 구 동독 지역에서 5% 득표율을 기록하여 독일 연방의회에 진출했으나, 정식 의원단이 아닌 "그룹"으로 간주되었다.1994년 독일 연방의회 선거에서는 기독교민주연합/기독교사회연합의 반공주의적 선거운동에도 불구하고 득표율을 4.4%로 늘렸다.[22] 특히 베를린 지역구에서 그레고어 기지가 재선되고, 구 동베를린 지역구에서 3명의 의원이 추가로 당선되면서, 소선거구 당선으로 의석을 확대했다. 독일 헌법 조항에 따라 3석 이상을 직접 선출된 의석으로 확보하여 비례 대표제에 의해 30석으로 구성된 의원단으로 연방의회에 재진출했다.
1998년 독일 연방의회 선거에서는 전국 투표에서 5.1%의 득표율을 기록하고 36석을 확보하여, 5% 득표율을 넘어 연방 의회 내에서 완전한 의원단 지위를 확보했다.
1990년부터 2007년까지의 연방 차원 및 각 주 차원 선거에서의 득표율은 다음과 같다.
연도 | 선거 종류 | 득표율(%) |
---|---|---|
1990 | 연방의회 | 2.4 |
1990 | 브란덴부르크주 의회 | 13.4 |
메클렌부르크포어포메른주 의회 | 15.7 | |
작센주 의회 | 10.2 | |
작센안할트주 의회 | 12.0 | |
튀링겐주 의회 | 9.7 | |
1994 | 연방의회 | 4.4 |
1994 | 유럽 의회 | 4.7 |
1994 | 브란덴부르크주 의회 | 18.7 |
메클렌부르크포어포메른주 의회 | 22.7 | |
작센주 의회 | 16.5 | |
작센안할트주 의회 | 19.9 | |
1994 | 튀링겐주 의회 | 16.6 |
1995 | 베를린 시의회 | 14.6 |
1995 | 브레멘 시의회 | 2.4 |
1997 | 함부르크 시의회 | 0.7 |
1998 | 연방의회 | 5.1 |
1998 | 메클렌부르크포어포메른주 의회 | 24.4 |
작센안할트주 의회 | 19.6 | |
1999 | 유럽 의회 | 5.8 |
1999 | 베를린 시의회 | 17.7 |
브란덴부르크주 의회 | 23.3 | |
작센주 의회 | 22.2 | |
튀링겐주 의회 | 21.4 | |
자를란트주 의회 | 0.8 | |
1999 | 브레멘 시의회 | 2.9 |
2000 | 슐레스비히홀슈타인주 의회 | 1.4 |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주 의회 | 1.1 | |
2001 | 베를린 시의회 | 22.6 |
2002 | 연방의회 | 4.0 |
2002 | 작센안할트주 의회 | 20.4 |
메클렌부르크포어포메른주 의회 | 16.4 | |
2003 | 니더작센주 의회 | 0.5 |
브레멘 시의회 | 1.7 | |
2004 | 유럽 의회 | 6.1 |
2004 | 자를란트주 의회 | 2.3 |
튀링겐주 의회 | 26.1 | |
작센주 의회 | 23.6 | |
브란덴부르크주 의회 | 28.0 | |
2005 | 연방의회 | 8.7 |
2005 | 슐레스비히홀슈타인주 의회 | 0.8 |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주 의회 | 0.9 | |
2006 | 작센안할트주 의회 | 25.2 |
베를린 시의회 | 13.4 | |
메클렌부르크포어포메른주 의회 | 16.8 | |
2007 | 브레멘 시의회 | 8.4 |
PDS는 구 동독 지역에서 강력한 지지 기반을 바탕으로 지방 의회에 진출하였고, 메클렌부르크포어포메른주에서는 독일 사회민주당(SPD)과 연립 정부를 구성하여 주 차원에서 처음으로 여당이 되었다. 서독 지역 진출을 시도하며 독일 공산당 등과의 관계를 맺었으나, 서독 지역에서의 낮은 지지율은 한계로 작용했다.
2. 3. 2000년대: 변화와 통합
2001년 베를린 주 정부에서 사회민주당(SPD)의 클라우스 뵈베라이트 시장이 이끄는 연립 내각에 참여하여 주 정부 차원에서 여당이 되는 성과를 거두었다.[28] 그레고어 기지가 내각에 합류했으나, 공무에 사용한 여객기의 마일리지 서비스를 사적으로 이용했다는 비판을 받고 2002년 7월 모든 공직에서 물러났다.[28]이 직후인 2002년 9월 22일 연방의회 선거에서는 게르하르트 슈뢰더 정권의 존속 여부가 쟁점이 되어 사회민주당과 기독교민주연합(CDU) 간의 접전이 벌어졌다. 그 결과, 기존에 좌파당(PDS)에 투표했던 유권자 중 일부가 "차악"을 이유로 사회민주당에 투표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앞서 언급된 기지의 마일리지 스캔들도 악재로 작용하여, 좌파당은 5% 득표율에 미치지 못하고 크게 패배하여 연방의회 의석은 일시적으로 2석으로 줄었다.[28] 그러나 이후에도 구 동독 지역의 주 의회에서는 제2당을 유지하는 등 꾸준한 지지 기반을 유지했다.
2003년 당 대회에서는 새 강령을 채택하여 과거사 반성과 민주사회주의 노선을 강화했다. 여기에는 “과거 공산주의 명목으로 자행된 범죄와 정면으로 맞서고, 독재를 통해 진보를 달성하려는 시도를 거부한다.”, “SED는 소련에 대한 충성심에 집착했고, 사회주의를 민주주의나 자유와 결합할 능력이 없었으며, 그 노선은 의견이 다른 사람들을 박해하는 등 문명에 대한 범죄였다.”[28]는 내용이 담겨 있었다.
2004년 유럽 좌파당 결성에 참여하여 중추적인 정당이 되었다. 같은 해 6월 13일 유럽 의회 선거에서는 6.1%의 득표율로 7석을 얻었다. 그 후 유럽 의회 원내 교섭단체인 유럽 통합좌파/북유럽 녹색 좌파 연맹을 유럽 좌파당 및 다른 유럽 국가의 좌파 정당들을 포함하여 재편성하고 유지했다.

2005년 9월 18일 연방의회 선거에서는 오스카 라포르테인 등 독일사회민주당 최좌파가 결성한 노동과 사회정의를 위한 선거 대안(WASG)과 정당 연합 "좌파당"을 결성하여 선거에 참여했다. (선거 전 2005년 7월 17일 민주사회당은 '''좌파당-민주사회당'''으로 당명을 변경했다.) 그 결과, 8.7%의 득표율을 기록하여 의석 확보에 필요한 5% 득표율[29]을 넘어서 54석(PDS 42석, WASG 12석)을 획득하여,[30] 사실상 의회 제4당의 의석 규모를 확보했다.
이후 PDS의 그레고어 기지와 WASG의 오스카 라포르테인이 서로의 정당에 입당하여 이중 당적을 갖는 등 약 2년간의 통합 과정을 거쳐, 2007년 6월 17일 공식적으로 좌파당-민주사회당과 WASG 양당이 합당하여 단일 정당인 좌파당을 창당했다.
3. 이념 및 정책
민주사회당은 독일 사회주의 통일당(SED) 시대의 스탈린주의적·독재적인 마르크스-레닌주의와 전위당적인 조직론을 버리고 의회 민주주의에 기반한 정당이 되었지만, 다른 동유럽 국가들의 많은 구공산당과 달리 마르크스주의나 공산주의를 완전히 포기하지는 않았다. 당명에서도 민주주의적인 사회주의를 의미하는 민주사회주의를 내걸었다. 일각에서는 이 노선을 유로 공산주의에 가깝다고 보았다.
동유럽 혁명 이후 다른 나라 구공산당의 주류가 완전한 공산주의를 포기하고 중도좌파적인 사회민주주의 정당으로 노선을 전환하여 사회주의 인터내셔널이나 유럽 사회당 등에 참여하는 가운데[29], 이러한 좌익 노선의 유지는 두드러졌다. 그러나 독일의 경우 이미 사회민주당(SPD)이 존재했기 때문에 중도좌파 사회민주주의 정당으로의 전환은 어려웠고, 독자적으로 민주적인 사회주의상을 모색할 필요가 있었다[30].
하지만 이러한 새로운 사회주의 노선을 수정주의로 보고 구 SED의 노선을 계승한다는 교조적이고 스탈린주의적인 "공산주의 플랫폼"(Kommunistische Plattform)도 존재했다. 이 그룹은 좌파당에 합류한 후에도 파벌로 존재하며, 구 동독·구 SED의 전체주의적인 가치관을 계승하는 단체로 연방헌법수호청의 감시 대상이었다.
민주사회당은 권위주의적이었던 동독 사회주의통일당(SED) 시대와는 달리 인권과 소수자에 대한 정책에 적극적으로 나섰으며, 이민자에 대한 사회복지와 동성결혼 합법화에도 힘썼다. 한 예로, 1999년부터 2009년까지 민주사회당(이후 좌파당으로 당명 변경)의 유럽 의회 의원으로 활동했던 쿠르드족 이민자 출신의 플렉나스 우카(de)는 2005년 이라크에서 자유 선거가 실시될 때까지 세계 유일의 예지디교도 정치인이었다.
4. 논란
슈타지(국가보안부)와의 협력 의혹은 민주사회당 주요 인사들에게 지속적으로 제기되었다. 2005년에는 좌파당 의원단에 최소 7명의 전직 슈타지 정보원이 있다는 주장이 나왔고, 루츠 하일만 의원의 슈타지 근무 경력이 밝혀지기도 했다.[23][24] 하일만은 경호원으로 근무했지만, 슈타지 관련 사실 공개 규정 위반으로 당내 신임 투표를 거쳐 의원직을 유지했다. 로타어 비스키의 연방의회 부의장 선출은 슈타지 과거 혐의로 인해 두 번이나 실패한 후 철회되었고, 5개월 후 페트라 파우가 부의장으로 선출되었다. 작센주에서는 페터 포르슈 의원이 슈타지 과거 의혹으로 의원직 상실 위기에 처했으나, 주 헌법재판소에서 기각되었다.
독일사회주의통일당(SED)은 해외 비밀 계좌에 자금을 은닉했고, 이는 1990년 민주사회당이 SED 해외 자산 청구를 거부하면서 독일 정부에 반환되었다.[26] 대부분의 국내 SED 자산은 통일 전 동독 정부로 이전되었으며, 민주사회당의 미납 세금 관련 문제는 1995년 합의로 해결되었다.[27]
5. 역대 선거 결과
민주사회당(PDS)은 1989년 12월 16일 독일사회주의통일당(SED)이 사회주의통일민주사회당(SED-PDS)으로 당명을 변경하고, 1990년 2월 4일 현재의 당명으로 변경하면서 창당되었다.[18] 초대 당수는 그레고어 기지였다.
1990년 3월 18일 동독 첫 자유선거에서 PDS는 16.4%를 득표하여 66석을 획득했지만, 기독교민주연합(동독)이 제1당이 되면서 야당이 되었다.[21]
1990년 독일 재통일 이후 총선에서는 구 동독 지역에서 5%를 넘는 득표율을 기록하여 연방의회에 17석을 확보했다.
5. 1. 동독 인민의회 선거 (1990)
1989년 10월 18일, 에리히 호네커가 독일 사회주의 통일당(SED) 서기장직에서 사퇴한 후, 동독에서는 급격한 정치 변화가 일어났다. 에곤 크렌츠가 그를 대신했지만, 당과 정부의 붕괴는 막을 수 없었다. 1989년 12월 1일, ''인민의회''(Volkskammer)는 SED의 독점적 권력을 명시한 헌법 조항을 폐지했다.[13]이후, 그레고어 기시와 같은 개혁가들이 당을 재창조하기 시작했다. 1989년 12월 16일 특별 당 회의에서 SED는 더 이상 마르크스-레닌주의 정당이 아니라는 것이 분명해졌고, 당명을 "민주 사회주의당"(PDS)으로 변경했다. 1990년 2월 4일, 당은 공식적으로 PDS로 이름을 바꾸었다.[18]
1990년 동독 선거는 동독에서 열린 첫 번째이자 유일한 자유 선거였다. 민주사회당은 이 선거에서 400석 중 66석을 얻어 3위를 차지했다.[21] 이는 기독교민주연합과 동독 사회민주당에 크게 뒤처진 결과였다.
- 출처: 야마다 토오루 저 『동독 체제 붕괴의 정치 과정』(일본평론사) 380쪽, 표 12-1 「선거 결과: 각 당의 득표·의석 수」에서 인용.
5. 2. 독일 연방의회 선거 (1990-2005)
선거 연도 | 직선투표 수 | 정당명부투표 수 | 정당명부투표 비율 | 획득 의석 수 | 증감 | 비고 |
---|---|---|---|---|---|---|
1990년 | 1,049,245 | 1,129,578 | 2.4 (#5) | 17 | ||
1994년 | 1,920,420 | 2,066,176 | 4.4 (#5) | 30 | +13 | |
1998년 | 2,416,781 | 2,515,454 | 5.1 (#5) | 36 | +6 | |
2002년 | 2,079,203 | 1,916,702 | 4.0 (#5) | 2 | -34 | |
2005년 | 3,764,168 | 4,118,194 | 8.7 (#4) | 54 | +52 | WASG와 연합[22] |
1990년 첫 전독일 선거에서 민주사회당(PDS)은 전국 투표에서 2.4%를 득표했다. 독일 선거법의 예외 조항에 따라 구 동독 지역에서 5% 이상 득표하여 연방의회에 진출했다. PDS는 그레고어 기지가 이끄는 17명의 의원으로 구성되었지만, 연방의회 내에서는 정식 의원단이 아닌 "그룹"으로 간주되었다.
1994년 연방의회 선거에서 PDS는 득표율을 4.4%로 늘렸다. 그레고어 기지가 베를린 지역구에서 재선되었고, 다른 세 명의 PDS 의원이 구 동베를린 지역구에서 당선되었다. 독일 헌법 조항에 따라, 최소 3석 이상을 직접 선출된 의석으로 확보한 정당은 5% 문턱을 넘지 못하더라도 비례 대표제에 의해 의회에 진출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PDS는 30명의 의원으로 연방의회에 재진출했다.
1998년 연방의회 선거에서는 전국 투표에서 5.1%의 득표율을 기록하고 36석을 확보하여, 비례 대표제에 따른 의회 진출과 연방의회 내에서의 완전한 의원단 지위를 위한 5% 문턱을 넘었다.
2002년 연방의회 선거에서 당의 득표율은 4.0%로 떨어졌고, 지역구에서 직접 선출된 페트라 파우와 게지네 뢰츠슈 두 명의 의원만 의석을 확보했다.
2005년 연방 선거에서 좌파당은 54명의 연방의원을 확보하며 연방의회에서 녹색당(51석)을 앞섰지만 자유민주당(61석)에는 뒤처졌다. 좌파당 의원 3명은 지역구 선거에서 직접 당선되었는데, 모두 동베를린 지역구에서 그레고어 기지, 게지네 뢰츠슈, 페트라 파우였다. 또한 51명의 좌파당 의원은 독일의 병립대표제의 정당 명부 부분을 통해 선출되었다. 여기에는 로타어 비스키, 카트야 키핑, 오스카르 라퐁텐, 파울 셰퍼 등이 포함된다.
5. 3. 유럽 의회 선거 (1994-2004)
선거 | 날짜 | 득표 (정당 득표) | 득표율 | 의석 수 |
---|---|---|---|---|
1994년 선거 | 1994년 6월 12일 | 1,670,316 | 4.7 | 0 |
1999년 선거 | 1999년 6월 13일 | 1,567,745 | 5.8 | 6 |
2004년 선거 | 2004년 6월 13일 | 1,579,109 | 6.1 | 7 |
1994년 6월 12일에 실시된 유럽 의회 선거에서 민주사회당은 4.7%를 득표하여 5% 선을 넘지 못했다. 그러나 연방 차원에서 헬무트 콜 정권의 여당 제2당이었던 자유민주당(FDP)과 마찬가지로 의석을 얻지 못했음에도 불구하고 이보다 높은 성적을 거두었다.
1999년 6월 13일에 실시된 유럽 의회 선거에서는 5.8%를 득표하여 5% 선을 돌파하였다. 구 동독 총리인 한스 모드로를 선두로 처음으로 6명의 유럽 의회 의원을 배출하였다. 유럽 의회에서는 의원 연합·유럽 연합 좌파/북유럽 녹색 좌파에 가입했다.
2004년에는 유럽 의회 선거를 앞두고 유럽 좌파당이 결성되었고, 민주사회당도 이에 참여하여 중추적인 정당이 되었다. 같은 해 6월 13일에 실시된 유럽 의회 선거에서는 6.1%의 득표율로 7석을 획득했다. 선거 후에는 기존의 유럽 의회 원내 교섭단체인 유럽 통합좌파/북유럽 녹색 좌파 연맹을 유럽 좌파당과 유럽 각국의 다른 좌파 정당들을 포함하여 재편성하고 유지했다.
6. 역대 당수
참조
[1]
논문
Legislative Governance in Times of International Terrorism
2015-03-01
[2]
논문
The party of democratic socialism: Ex-communists entrenched as East German regional protest party
2007-11-12
[3]
서적
From East Germans to Germans?: The New Postcommunist Elites
Duke University Press
1999
[4]
논문
Changing affective alignments between parties and voters
2024-01-01
[5]
서적
Germany's Africa Policy Revisited: Interests, Images and Incrementalism
LIT Verlag Munster
2002
[6]
논문
The German Party System: Continuity and Change
2002-01-01
[7]
서적
Contesting Capitalism?: Left Parties and European Integration
Manchester University Press
2004
[8]
서적
The Party of Democratic Socialism in Germany: Modern Post-communism Or Nostalgic Populism?
https://books.google[...]
1998
[9]
서적
Creating German Communism, 1890-1990: From Popular Protests to Socialist State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7
[10]
간행물
Germany's Party of Democratic Socialism
http://socialistregi[...]
1994
[11]
웹사이트
Mapping the European Left: Socialist Parties in the EU
http://www.rosalux-n[...]
Rosa Luxemburg Stiftung
2016-04-01
[12]
서적
Out of the East: From PDS to Left Party in Unified German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2011
[13]
서적
The Left Party in Contemporary German Politics
https://books.google[...]
Palgrave Macmillan
2007-09-12
[14]
서적
Collapse: The Accidental Opening of the Berlin Wall
Basic Books
2014
[15]
뉴스
Von der SED zur Linkspartei: Auferstanden aus Ruinen
https://www.zeit.de/[...]
Zeit Online GmbH
2024-06-13
[16]
웹사이트
Schumann, Michael *24.12.1946, † 2.12.2000 PDS-Politiker
http://bundesstiftun[...]
Bundesstiftung zur Aufarbeitung der SED-Diktatur: Biographische Datenbanken
2015-05-23
[17]
기타
[18]
서적
Red Flag: A History of Communism
Grove Press
2009
[19]
웹사이트
Entire East German Leadership Resigns
https://www.latimes.[...]
2021-10-31
[20]
웹사이트
Honecker, Erich {{!}} MDR.DE
https://www.mdr.de/z[...]
2021-10-31
[21]
서적
1989: The Struggle to Create Post-Cold War Europ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4
[22]
뉴스
German election: Could there soon be a left-wing government?
https://www.dw.com/e[...]
2021-09-24
[23]
뉴스
Secret Police in Germany's Parliament?
https://m.dw.com/en/[...]
2005-09-23
[24]
웹사이트
Belasteter Abgeordneter: Linkspartei-Mann arbeitete für die Stasi
https://www.spiegel.[...]
2005-10-08
[25]
웹사이트
http://www.berlinonl[...]
[26]
웹사이트
Verschwundene SED-Millionen: Magazin meldet Spur in Liechtenstein
https://www.spiegel.[...]
2008-02-19
[27]
서적
The Party That Came Out Of The Cold War
2002
[28]
웹사이트
■旧西独地区に基盤築いた左翼党 低迷、孤立するSPD━ドイツ左派、流動化へ(MEDIA CRITIQUE 加治康男の報道記録)
http://mediacritique[...]
[29]
웹사이트
Bundestagswahl 2005 - Zweitstimmen und Sitze in den Bundesländern
http://www.election.[...]
[30]
웹사이트
http://mediacritiqu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