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젤 SBB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바젤 SBB역은 스위스 바젤에 위치한 주요 기차역으로, 1844년 철도가 처음 바젤에 도달한 이후 여러 차례의 건설 및 개조를 거쳐 현재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이 역은 스위스, 독일, 프랑스 3개국을 연결하는 중요한 교통 허브로서, TGV 리리아, 인터시티 익스프레스, 유로시티, 인터시티, ICE 등 다양한 국제 및 국내 열차 노선이 운행되고 있다. 또한, 바젤 시내의 트램 및 버스 노선과도 연계되어 있어 대중교통 이용의 편의성을 높이고 있으며, 영화 촬영 장소로도 활용되는 등 사회문화적으로도 의미가 있는 장소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바젤의 건축물 - 장크트 야코프 파르크
스위스 바젤에 위치한 장크트 야코프 파르크는 FC 바젤의 홈 구장이며 UEFA 유로 2008과 2016 UEFA 유로파리그 결승전 등 주요 국제 경기를 개최한 37,500명 수용 규모의 축구 경기장으로, 상점, 레스토랑, 주차 시설을 갖추고 대중교통 접근성이 우수하다. - 바젤의 건축물 - 바젤 동물원
바젤 동물원은 1874년에 개장한 스위스 바젤 시의 동물원으로, 자연과 유사한 환경에서 다양한 동물을 관찰할 수 있으며 멸종 위기종 번식 프로그램에 적극 참여하는 세계 동물원 수족관 협회 회원이다. - 1854년 개업한 철도역 - 런던 패딩턴역
런던 패딩턴역은 1854년 개업한 런던의 주요 철도 터미널 역으로, 이잠바드 킹덤 브루넬이 설계했으며 서부 잉글랜드와 웨일스를 연결하고 히드로 익스프레스와 엘리자베스 선이 운행되는 곳이다. - 1854년 개업한 철도역 - 노바라역
노바라역은 1854년에 개통된 이탈리아 피에몬테 주 노바라의 주요 철도역으로, 다양한 열차 노선이 운행되는 이탈리아 북부의 주요 교통 허브이며 프랑스 파리로 가는 국제 열차의 출발 또는 경유역이다. - 국경역 - 도라산역
도라산역은 경의선 상의 역으로, 남북 철도 연결을 목표로 건설되었으며, 민간인 출입 통제 구역 내에 위치해 셔틀 전동열차와 DMZ-TRAIN이 운행되고 주변 관광 코스와 연계되어 유동적으로 운영된다. - 국경역 - 제네바역
제네바역은 스위스 제네바에 있는 주요 기차역으로, 19세기 후반에 건설되어 1929년 현재의 역사가 완성되었으며, 다양한 국제선과 국내선 열차가 운행하고 2035년까지 역 확장 계획을 추진한다.
바젤 SBB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역 종류 | 중앙 통과 철도역 |
주소 | 첸트랄반플라츠 |
위치 | 바젤 |
운영 | 스위스 연방 철도 |
개업일 | 1854년 12월 19일 |
승객수 (주중) | 105,900명 (2023년) |
위치 및 노선 정보 | |
노선 | 바젤 연결선 하우엔슈타인 노선 뵈츠베르크 노선 라인 계곡 노선 스트라스부르-바젤 철도 바젤-빌 철도 |
승강장 | 9개 |
선로 수 | 22개 (통과 12개 (3개는 무정차), SBB 터미널 7개, SNCF 터미널 3개) |
재건축 | |
전체 재건축 | 1860년 6월 4일 1907년 6월 24일 |
철도 관제 센터 | 1998/99년 |
개보수 | 2003년 (파사렐레, 지하 주차장/자전거 주차장) |
이전 역명 | |
이전 역명 | 첸트랄반호프 (1854–1902) 슈바이처 분데스반호프 (1902 이후) |
건축가 | |
건축가 | 1854/1860: 루드비히 마링 1907: 에밀 패쉬, 에마누엘 라 로슈 1999: 헤르조그 & 드 뫼롱 2003: 크루즈 이 오르티즈 아르키텍토스 |
서비스 | |
연결 | 트램 , , , , , BVB 버스 노선 |
구역 | |
구역 | 8 () 10 (tnw) |
기타 정보 | |
웹사이트 | 바젤 SBB 역 웹사이트 |
2. 역사
1844년 스트라스부르-바젤 철도가 바젤에 도착하면서 최초의 철도가 부설되었고, 1845년에는 알자스 철도가 바젤 대도시 지역 성벽 내에 첫 번째 역을 건설하면서 바젤은 철도와 연결된 최초의 스위스 도시가 되었다.[11]
철도 부설 이후 바젤에서는 철도의 장단점과 루체른을 거쳐 고트하르트 고개를 넘어 이탈리아까지 연결하는 문제에 대한 열띤 논의가 벌어졌다.[11]
만하임과 카를스루에에서 온 라인탈반도 북쪽에서 바젤로 이어져 1851년에는 스위스 국경의 바일 암 라인 할팅겐 지역에 도달했다.
1853년 바젤과 스위스 미텔란트 지역의 경제 중심지를 연결하고, 루체른에서 고트하르트 고개까지의 수송로를 확장하기 위해 스위스 중앙 철도 회사(SCB)가 설립되었다.
바젤 동물원 주차장에 인접한 비르지크 비아툭트(Birsig Viadduct)를 포함한 바젤의 비아둑트 거리(Viaduktstrasse)에는 1902년까지 엘제서 철도(Elsässerbahn)가 있었다. 오늘날 이 고가교는 트램 1호선, 8호선과 자동차 교통이 이용하며, 다리 난간의 표지판은 이전의 철교 역할을 상기시킨다.
2. 1. 초기 역사 (1844년 ~ 1860년)
1844년, 스트라스부르-바젤 철도가 바젤에 도착하면서 최초의 철도가 부설되었다. 1845년에는 알자스선의 역이 바젤 대도시권 성벽 안에 설치되었는데, 이는 스위스 최초의 철도역이었다.[11] 철도 부설 이후, 바젤에서는 철도의 장단점과 루체른을 거쳐 고트하르트 고개를 넘어 이탈리아까지 연결하는 문제에 대한 열띤 논의가 벌어졌다.[11]한편, 만하임과 카를스루에에서 오는 라인탈반도 북쪽에서 바젤로 접근하여, 1851년에는 스위스 국경의 바일 암 라인 할팅겐 지역에 도달했다.
1853년, 바젤과 스위스 미텔란트 지역의 경제 중심지를 연결하고, 루체른에서 고트하르트 고개까지의 수송로를 확장하기 위해 스위스 중앙 철도 회사(SCB)가 설립되었다.
1854년, 미래의 하우엔슈타인 철도 노선 건설이 시작되었다. 바젤에서 리스탈까지의 첫 구간 개통을 앞두고 바젤역의 위치와 설계에 대한 논쟁이 계속되었다.
1854년 12월 19일, 철도 운영 개시를 위해 첸트랄반은 수석 건축가 루드비크 마링이 설계한 임시 목조 구조물을 건설했다. 개통일까지 목재 열차 차고를 포함한 모든 임시 역 건물이 완공되었다.
이 임시 역은 개별 건물로 구성되어 6년 미만 동안 사용되었다. 역 부지에는 역 건물, 화물 창고, 객차 및 기관차 차고, 선로의 회전판이 있었다. 역 건물은 역의 북동쪽에 있었기 때문에 터미널역이 아니었다.
임시 역은 SCB 노선의 출발점으로만 사용되었으며, 1855년 라인탈반의 종점으로 개업한 바디셔역이나 프랑스 역과는 연결되지 않았다.

2. 2. 중앙역 건설과 확장 (1860년 ~ 1907년)
1857년 6월 29일, 바젤-슈타트 대의회는 스위스 중앙 철도와 프랑스 철도선을 연결하고, 엘리자베스 요새 (Elisabethen-Bollwerk) 앞에 영구적인 역을 건설하는 것을 승인했다. 토지 구매 비용은 마을이 부담했다.[1]1859년 초, 스위스 중앙 철도는 마린의 설계에 따른 역 건물 건설을 시작했다. 여기에는 군델딩겐 (Gundeldingen) 지구의 여객역과, 그 옆에 설치한 화물역, 2개의 기관고가 포함되었다. 기관고 중 하나는 스위스 중앙 철도용이고, 다른 하나는 Compagnie des chemins de fer de l'Est|label=동부 철도프랑스어용이었다. (1854년에 스트라스부르-바르 철도는 동부 철도에 합병)[1]
1860년 6월 4일, 새로운 바젤 중앙역이 개업했다. 하지만 모든 설비는 1861년 5월에 완성되었다. 역 건물은 북쪽을 새로 건설한 역전 광장에 면해 있었다. 이 역은 공동 사용역으로, 역에서 동쪽으로는 스위스 철도가, 서쪽으로는 프랑스 철도가 뻗어 있었다. 화물역과 기관고는 역 건물보다 남쪽에 위치해 있었다.[1]
그 후 바젤 중앙역 관련 개업 사항은 다음과 같다.
개업일 | 노선 |
---|---|
1873년 11월 3일 | 바디셔 역과 바젤 중앙역을 잇는 Basler Verbindungsbahn|label=바젤 연락선de 개업 |
1875년 8월 2일 | 스위스 중앙 철도와 스위스 북동 철도에 의해, Pratteln|label=프라텔른de, 라인펠덴을 경유하여 바젤과 취리히를 잇는 Bözbergstrecke|label=뵈즈베르크 선de 개업 |
1875년 9월 25일 | 바젤을 서부 스위스 및 프랑슈-콩테와 잇는, 비엘, Delle|label=델프랑스어로 향하는 Jurabahn|label=주라 철도de와 드레몽에서의 분기선 개업 |
1871년 보불 전쟁의 결과 알자스-로렌 지방이 프랑스령에서 독일령이 되면서, 프랑스 동부 철도의 알자스-로렌 지방 내 구간은 엘자스-로트링겐 제국 철도가 되어, 독일령과 잇는 노선이 되었다.[1]
교통량이 증가하면서 바젤 중앙역의 처리 능력은 한계에 달했다. 1875년, 화물 열차의 해체 작업이 역 동쪽의 "auf dem Wolf" 임시 조차장으로 이전되었다. 또한, 마을 교통의 장애가 되었던 건널목을 알자스 선과 중앙역을 통과하는 지하도 또는 고가교로 제거하는 검토가 시작되었다. 1874년, 보행자용 임시 목조 고가교가 마르가레텐 거리 (Margarethenstrasse) 와 오이마트 거리 (Heumattstrasse) 에 가설되었고, 후에 강철제로 대체되었다. 1879년에는, 현재 페터 메리안 다리 (Peter Merian-Brücke) 가 된 곳에서, 페핑거 거리 (Pfeffingerstrasse) 가 지하도로 개통되었다.[1]
1898년 철도 국유화에 관한 국민 투표를 거쳐, 연방 참사원은 다음을 결정했다.[1]
- 현재 위치에 새로운 중앙역 건설.
- 역 전체를 2.7m 파낸다.
- 알자스 선을 마을을 감싸는 큰 곡선을 그리는 반지하선으로 한다.
- 볼프 임시 조차장 (provisorischen Rangierbahnhof Wolf)으로의 화물 취급과 차고 완전 이전.
2. 3. 바젤 SBB역 재건축 (1907년 ~ 현재)
1899년 새로운 중앙역 재건축 계획이 확정되었다. 1900년 3월 16일 연방 참사회가 이 계획을 승인했다. 역과 부설 선로 굴착 공사는 신중한 계획이 필요했다. 먼저 화물 취급을 볼프 조차장으로 이전했고, 1901년 5월 12일 알자스선의 새로운 반 지하식 노선이 개통되었다.이로 인해 비게 된 역 남쪽 부지에 임시역이 건설되어 1902년 6월 2일 영업을 시작했다. 남쪽의 귀터 거리(Güterstrasse) 확장과 함께 2개의 노면전차 노선 공사도 진행되었다. 임시 역사는 1907년 6월 24일까지 운영되었으며, 이후 축소되어 두 노면전차 노선이 귀터 거리를 넘어 직통 운행하게 되었다.
1902년부터 1903년까지 구 역사는 해체되었다. 1902년 스위스 중앙 철도는 새로 설립된 스위스 연방 철도(SBB)로 이관되었다. 이에 따라 새로운 역은 바젤 SBB역으로 불리게 되었고, 스위스 국철 최초의 대규모 건축 공사가 되었다.
에밀 페스와 엠마누엘 라 로슈가 설계한 새로운 바젤 SBB역은 1907년 6월 24일에 영업을 시작했다. 역 건물은 국제 환승 여객을 위해 세관 설비를 병설한 바젤 SNCF역이 서쪽에 위치해 있어 매우 긴 것이 특징이다.
비대칭적인 역사의 외관은 당시 연방 건축의 대표적인 것이다. 내부는 넓고 천장이 높다. 건물은 중앙역 앞 광장을 향해 있으며, 두 개의 시계탑 사이에 거대한 튜더 왕조 양식의 창문이 있다. 시계탑 입구를 통해 들어가면 철골 아치를 갖춘 나무 바닥이 깔린 메인 홀이 나온다. 1920년대 스위스 여행객을 위한 광고 벽화가 있으며, 숙박 안내소와 환전소가 벽 쪽에 있다. 과거 수하물 탁송 및 수하물 보관 창구는 이 부근에 있었지만, 현재는 지하 에스컬레이터 및 계단 중간 부근으로 옮겨졌다. 동쪽에서는 현재 여행 센터에서 수하물 관련 업무가 이루어진다. 북서쪽 건물에는 1/2등 객실용 레스토랑 (현재 미그로스(스위스 슈퍼마켓))과 3등 객실용 레스토랑 (현재 매점)이 있었다. 역은 바의 존재로 유명했지만, 1990년대에 점차 중단되었다. 일부 레스토랑 외에 이 공간들은 다양한 상업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역 앞 광장에서 서쪽으로 중앙역 거리(Centralbahnstrasse)를 따라가면 알자스행 열차가 발착하는 바젤 SNCF역이 있다.

플랫폼은 방면별로 나누어 사용되었으며, 처음에는 사철 시대와 같은 배치를 이루었다. 역에는 10개의 선로가 있으며, 머리 부분이 막힌 1~3번 선로는 처음에는 지역 수송용이었다. 4~10번 선로는 지붕으로 덮여 있었다. 이 지붕은 1905년 바젤의 부스사(Buss AG)가 제공한 것으로, 폭은 93m, 길이는 120m(1, 2번 선로), 230m(3, 4번 선로), 200m(5~10번 선로)였다. 4번 선로는 프랑스 측 역으로 연결되며, 그 앞은 30번 선로가 된다. 프랑스의 전철화 방식인 교류 25000볼트(전압 단위)50헤르츠와 스위스의 전철화 방식인 교류 15000볼트 16.7헤르츠를 전환할 수 있다. 역 남쪽에 복선의 반 지하 선로와 바젤 조차장이 있어, 무텐츠(Muttenz)와 프랑스 노선을 연결하여 화물 열차 직통 운행을 하고 있다.
역 전체를 반 지하로 굴착했기 때문에 선로 추가 확장은 어려운 상황이었다.
2. 3. 1. 2003년 이후
2003년에는 플랫폼 홀 서쪽 끝에서 메인 홀까지 선로 위를 덮어 군델딩겐 지구와 플랫폼을 상호 연결하는 새로운 보행자 데크가 완성되었다. 길이 185미터, 폭 30미터의 쇼핑 구역을 갖춘 이 보행자 데크는 과거의 어둡고 작은 지하도를 대체하고 있다. 현재 지하도는 철도 운영 관리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 보행자 데크는 스위스 국철의 새로운 상업 정책 "RailCity"의 일환이다.[7]보행자 데크 건설에 따라, 철도 영업 안내는 메인 홀에서 과거의 수하물 취급소로 이전되었다. 1987년에 메인 홀의 여객 서비스 카운터도 철거되어, 메인 홀은 그 넓이를 더욱 강하게 인상할 수 있게 되었다.[7]
군델딩겐 지구로의 보행자 지하도를 연장하여 남쪽에 11번 선로와 12번 선로를 증설하고, 2003년에는 쇼핑몰과 14번, 15번 선로를 건설하여 1982년 탁트파알플랜 도입과 그 후의 반 2000 계획 도입에 대비해 선로 용량을 증강하고 있다. 또한 16번 선로와 17번 선로 증설 계획이 진행되고 있으며, 이미 준비는 완료된 상황이다.[7]
1998년부터 1999년에 걸쳐 스위스 국철의 발주로 새로운 신호 취급소가 건설되었다. 이 눈에 띄는 건물은 헤르초크 & 드 뫼롱(Herzog & de Meuron)의 설계에 의한 것이다.[8]
3. 역 구조
역 구역은 도시 중심부의 남쪽에 위치해 있으며, 서쪽으로는 바젤 동물원, 동쪽으로는 Brüglinger Ebene|브뤼글링거 평원de 사이에 길게 뻗어있다.[1]
바젤의 4개 구역 경계가 역 구역에서 만나지만, 통계청에 따르면 이 구역은 단 두 개의 구역으로 나뉜다. 역 자체는 Basel-Gundeldingen|군델딩겐de에 위치해 있으며, 역 동쪽의 대부분의 선로 (화물역 포함)와 역 앞의 첸트랄반플라츠 (BIS 타워 포함)는 Basel-St. Alban|장크트 알반de에 속한다.[1]
첸트랄반플라츠 앞의 엘리자베텐안라게는 Basel-Vorstädte|포어슈테테de에 속하며, 바젤 SNCF 맞은편의 Markthalle Basel|마르크탈레de는 Basel-Am Ring|암 링de 구역의 일부이다.[1]
1902년, ''스위스 중앙 철도''는 새로 설립된 스위스 연방 철도(SBB CFF FFS)에 흡수되었다. 이후 ''스위스 연방 철도역'' 또는 ''바젤 SBB역''으로 불리게 된 새로운 역은 새로운 연방 철도의 첫 번째 대규모 건설 프로젝트 중 하나였다. 에밀 페스와 엠마누엘 라 로슈가 설계한 이 새로운 역은 1907년 6월 24일에 개통되었다.[1]
바젤 SBB역 건물은 그 특이한 길이로 특징지어진다. 국제 통과 교통을 위한 세관 시설을 갖춘 바젤 SNCF는 서쪽에 "부착"되어 있다. 역의 비대칭적인 배치는 당시 연방 건물을 대표하는 외부 모습을 만들어낸다. 역 건물은 첸트랄반플라츠의 중심선에 맞춰져 있으며, 곡선 돔 아래 두 개의 시계탑 사이에 거대한 유리로 된 튜더 아치 창이 특징이다.[1]
첸트랄반플라츠 서쪽에 있는 첸트랄반 거리의 별도 입구는 바젤 SNCF의 알자스행 열차로 이어진다.[1]
1998년부터 1999년에 걸쳐 SBB CFF FFS를 위해 새로운 신호소가 건설되었다. 이 눈에 띄는 건물의 건축가는 헤르초크 & 드 뫼롱이었다.[1]
3. 1. 플랫폼
처음에는 바젤 SBB역의 플랫폼 배정이 사설 철도 시대와 일치했는데, 이는 플랫폼이 여행 방향에 따라 분리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역은 원래 10개의 선로를 가지고 있었는데, 이 중 1~3번의 3개의 막다른 플랫폼은 이전에 지역 교통을 위해 예약되어 있었다. 1번부터 10번까지의 선로는 바젤의 프라텔른에 있는 Albert Buss & Cie.|알베르트 부스 & Cie.de가 1905년에 만든 5개의 통로 열차 차고로 연결되어 있다. 열차 차고는 93m 너비이며, 120m (1/2번 선로), 230m (3/4번 선로) 및 200m (5~10번 선로)의 길이를 가지고 있다. 4번 선로는 바젤 SNCF를 통과하여 30번 선로가 되며 전차선은 15 kV 16.7 Hz AC의 스위스 운영 전류에서 25 kV 50 Hz AC의 프랑스 해당 전류로 전환될 수 있다.[1]역의 남쪽에는 하부 레벨에 위치한 복선이 바젤과 무텐츠 조차장을 프랑스행 노선과 연결하며, 주로 화물 열차를 통과시킨다.[1]

당시 재건축으로 인해 선로를 추가하여 역을 확장하기가 어려웠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남쪽에는 플랫폼 시스템이 여러 번 확장되었다: 11번과 12번 선로가 추가되었고, 지하도는 군델딩겐까지 확장되었으며, 2003년에는 새로운 14번과 15번 선로까지 새로운 파사렐이 건설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1982년 시각 시간표 도입 및 철도 2000 프로젝트와 함께 역의 수용 능력을 증가시켰다. 마지막으로, 2008년 6월에 새로운 16번과 17번 선로가 가동되었다.[1]
파사렐은 RailCity로 알려진 새로운 SBB CFF FFS 상업 개념의 한 요소이다. 건축가 크루즈와 오르티스가 설계했으며, 열차 차고 서쪽 끝의 매표소에서 군델딩겐 지구까지 선로 위를 지나 플랫폼을 서로 연결한다. 쇼핑 아케이드가 있는 이 보행로는 185m 길이, 30m 너비이며, 보행자 지하도를 대체했다. 현재, 이전의 지하도는 운영 및 물류 목적으로 사용된다.[1]
3. 2. 부대 시설

바젤 SBB역 내부는 넓고 높은 공간으로 구성되어 있다. 매표소는 나무로 덮인 강철 아치 구조 아래에 위치하며, 1920년대부터의 대형 벽화는 스위스의 관광지를 홍보한다. 매표소와 환전소는 측벽에 내장되어 있으며, 과거 수하물 위탁 및 휴대 수하물 보관 시설은 현재 지하로 이전되어 에스컬레이터와 계단으로 접근할 수 있다.[1]

역의 동쪽 부분에는 여행 안내소가 있는데, 예전에는 수하물을 찾는 곳이었다. 1/2등석 레스토랑(현재 미그로스)과 3등석 시설(현재 브라세리/키오스크)은 북서쪽 건물에 있었다. 과거 역 뷔페는 1990년대에 점차 문을 닫았고, 벽화로 장식된 높은 방들은 현재 유일하게 남아있는 전문 레스토랑과 함께 다른 상업적 용도로 사용된다.[1]
2003년에는 플랫폼 홀 서쪽 끝에서 매표소가 있는 곳까지 선로 위를 덮어 군델딩겐 지구와 플랫폼을 연결하는 새로운 보행자 데크가 완공되었다. 이 보행자 데크는 쇼핑 아케이드를 갖추고 있으며, 길이 185m, 너비 30m로, 이전의 지하도를 대체한다. 현재 이전 지하도는 운영 및 물류 목적으로 사용된다.[1]
보행자 데크 건설로 RailCenter와 정보 디스플레이는 매표소에서 이전의 수하물 홀로 이전되었다. 또한 1987년에 건설된 매표소의 고객 서비스 티켓 파빌리온이 제거되어, 매표소는 그 분위기를 최대한 발휘할 수 있게 되었다.[1]
4. 운행 노선
2020년 12월 시간표 변경에 따라 바젤 SBB역에서 정차하는 운행 노선은 다음과 같다.[7]
- '''TGV 리리아 / 인터시티''': 취리히 중앙역까지 30분 간격으로 운행하며, 쿠어까지 2시간 또는 그보다 짧은 간격으로 운행하고, 파리 리옹까지 하루 3대의 열차가 운행된다.
- '''인터시티 익스프레스''':
- 쾰른 중앙역까지 2시간 간격으로 운행한다.
- 함부르크-알토나와 쿠어 사이를 하루 2회 왕복 운행한다.
- '''유로시티 / 인터시티 / ICE''': 슈피츠까지 30분 간격으로 운행한다. 대부분의 북행 열차는 바젤에서 종착하며, 유로시티 1편은 함부르크-알토나로, 다른 1편은 프랑크푸르트 중앙역으로, ICE 2편은 베를린 동역으로 계속 운행한다. 대부분의 남행 열차는 인터라켄 동역까지 운행하며, 2시간마다 1편은 브리그까지 운행한다. 유로시티 3편은 브리그에서 밀라노 중앙역까지 운행한다.
- '''유로시티 / 인터시티 / 인터레지오''': 벨린초나까지 1시간 간격으로 운행하며, 로카르노 또는 루가노까지 2시간 간격으로 운행한다. 루가노에서 밀라노 중앙역까지 하루 2대의 열차가 운행된다.
- '''나이트젯''': 취리히 중앙역과 베를린 중앙역 또는 함부르크 중앙역 간 야간 운행.
- '''인터시티''': 빌/비엔까지 1시간 간격으로 운행한다.
- '''인터레지오''':
- 취리히 중앙역까지 시간당 3대의 열차가 운행되며, 취리히 공항까지 매시간 운행한다.
- 루체른까지 시간별 서비스.
- '''TER''': 뮐루즈 빌까지 30분 간격, 스트라스부르 빌까지 매시간 운행.
- '''바젤 삼국 S-반''':
- : 슈타인-제킹엔까지 30분 간격 운행, 거기에서 Frick 또는 라우펜부르크까지 매시간 운행
- : 올텐과 라우펜 사이를 30분 간격 운행, 라우펜에서 포랑트뤼까지 매시간 운행
- : 첼(Wiesental)까지 30분 간격 운행
하루에 약 1,000개의 열차가 이 역에서 출발한다. 거의 90초마다 여객 열차가 역을 출발하거나 정차한다. 또한, 화물 열차는 여전히 통과 선로를 사용하며, 우체국 열차는 지하 우편역에 진입하고 나간다.
4. 1. 국제 열차
2022년 12월 시간표 변경 기준으로, 다음 운행편이 바젤 SBB역에 정차한다.[7]- TGV 리리아 / 인터시티: 취리히 중앙역으로 30분 간격 운행, 쿠어로 2시간 또는 그보다 짧은 간격으로 운행하며, 파리 리옹까지 2시간 간격으로 운행.
- 인터시티 익스프레스:
- * 쾰른 중앙역으로 2시간 간격 운행.
- * 함부르크 알토나와 쿠어 사이를 하루 2회 왕복 운행.
- 유로시티 / 인터시티 / ICE: 슈피츠까지 30분 간격 운행. 북행 열차는 대부분 바젤에서 종착하며, 유로시티 1편은 함부르크 알토나로, 다른 1편은 프랑크푸르트 중앙역으로, ICE 2편은 베를린 동역으로 계속 운행한다. 남행 열차는 대부분 인터라켄 동역까지 운행하며, 2시간마다 1편은 브리그까지 운행한다. 유로시티 4편은 브리그에서 밀라노 중앙역까지 운행한다.
- 유로시티 / 인터시티 / 인터레지오: 벨린초나까지 1시간 간격, 로카르노 또는 루가노까지 2시간 간격으로 운행하며, 루가노에서 밀라노 중앙역까지 하루 2편 운행한다.
- 나이트젯: 취리히 중앙역과 베를린 중앙역 또는 함부르크 중앙역 간 야간 운행.
하루에 약 1,000개의 열차가 이 역에서 출발한다. 거의 90초마다 여객 열차가 역을 출발하거나 정차한다. 또한, 화물 열차는 여전히 통과 선로를 사용하며, 우체국 열차는 지하 우편역에 진입하고 나간다.
매 시간마다 ICE가 바젤 SBB역에서 베를린 또는 함부르크를 비롯한 여러 독일 도시로 출발한다. 또한 암스테르담으로 가는 ICE 인터내셔널 열차가 매일 운행한다. 하루에 여러 번, 유로시티 열차가 밀라노로, TGV가 파리로 운행한다. 베를린과 함부르크행 야간 열차도 있다. 과거에는 모스크바행 직행 열차가 있었지만 2014년 현재는 운행이 중단되었다.

4. 2. 국내 열차
- TGV 리리아 / 인터시티: 취리히 중앙역으로 30분 간격 운행하며, 쿠어로 2시간 또는 그보다 짧은 간격으로 운행한다.[7]
- 인터시티: 빌/비엔까지 1시간 간격으로 운행한다.[7]
- 인터레기오:
- * 취리히 중앙역까지 시간당 3대의 열차가 운행되며, 취리히 공항까지 매시간 운행한다.[7]
- * 루체른에 시간별 서비스.[7]
- 바젤 삼국 S-반:
- * 슈타인-제킹엔까지 30분 간격 운행, 거기에서 Frick 또는 라우펜부르크까지 매시간 운행[7]
- * 올텐과 라우펜 사이의 반 시간 서비스와 라우펜에서 포랑트뤼까지 매시간 운행[7]
- * 첼(Wiesental)에 30분 간격 운행[7]

하루에 약 1,000개의 열차가 이 역에서 출발한다. 거의 90초마다 여객 열차가 역을 출발하거나 정차한다. 매 시간 여러 차례, 인터시티 열차가 취리히 중앙역, 베른 및 올텐역으로 운행된다. 최소 매 시간마다 취리히-쿠어, 올텐-루체른-벨린초나-루가노, 올텐-베른-인터라켄, 피스프-브리그 및 델레몽-비엘/비엔-뇌샤텔-로잔/제네바까지 갈 수 있다.
4. 3. 지역 열차 (S-Bahn)
다음 운행편이 바젤 SBB역에 정차한다:[7]- 바젤 삼국 S-반
- * 슈타인-제킹엔까지 30분 간격 운행하며, 거기에서 프릭 또는 라우펜부르크(스위스)까지 1시간 간격 운행.
- * 올텐과 라우펜 사이를 30분 간격 운행하며, 라우펜에서 포랑트뤼까지 1시간 간격 운행.
- * 첼(비젠탈)까지 30분 간격 운행.
바젤 삼국 S-반 노선은 동쪽의 프릭/라우펜부르크에서 시작하여 남쪽의 올텐, 서쪽의 포렌트루이, 북서쪽의 뮐루즈, 그리고 북동쪽의 첼 임 비젠탈까지 이어진다.
4. 4. 트램 및 버스
바젤 SBB역에는 다음과 같은 트램 노선이 운행된다.[7]노선 | 경로 |
---|---|
드라이로젠브뤼케 – 장크트 요한역 – 칸넨펠트 광장 – 쉿첸하우스 – 바젤 SBB/SNCF역 (– 쿤스트뮤지엄 – 메세플라츠 – 바덴역) | |
비닝겐 크로넨플라츠 – 마르가레텐 – 바젤 SBB/SNCF역 – 쿤스트뮤지엄 – 메세플라츠 – 바덴역 – 에글리제 (– 리헨) | |
노일러슈트라세 – 쉿첸하우스 – 바젤 SBB/SNCF역 – 에셴플라츠 – 바르퓌서플라츠 – 쉬플렌데 – 클라라플라츠 – 펠트베르크슈트라세 – 클라인휘닝겐 – 바일암라인(독일) | |
도르나흐역 – 아를스하임 도르프 – 뮌헨슈타인 도르프 – 노이에 벨트 – 드라이슈피츠 – 바젤 SBB/SNCF역 – 에셴플라츠 – 테아터 – 동물원 – 비닝겐 성 – 보트밍겐 – 테르빌 – 에팅겐 – 비터스빌 – 배트빌 – 플뤼 (– 레이멘(프랑스) – 로더스도르프) (유럽에서 가장 긴 트램 노선) | |
에슈 도르프 – 라이나흐 도르프 – 가르텐슈타트 뮌헨슈타인 – 드라이슈피츠 – 바젤 SBB/SNCF역 – 에셴플라츠 – 바르퓌서플라츠 – 쉬플렌데 – 볼테플라츠 – 생 루이 국경 | |
브루더홀츠 – 야콥스베르크 – 하일리히가이스트키르헤 – 바젤 SBB/SNCF역 군델딩겐 입구 – 호이바게 – 바르퓌서플라츠 – 쉬플렌데 |
바젤 SBB역의 버스는 Centralbahnhofstrasse에서 운행된다.[8]
노선 | 경로 |
---|---|
바젤 SBB/SNCF역 – 슈팔렌토어 – UKBB – 펠트베르크슈트라세 – 바덴역 (– 베트슈타인알레 – 팅겔리 미술관 – 호프만 라 로슈 – 베트슈타인알레 – 바덴역) | |
바젤 SBB/SNCF역 – 팅겔리 미술관 – (호프만 라 로슈 –) 베트슈타인알레 – 니더홀츠역 – 베팅겐 도르프 | |
바젤 SBB/SNCF역 – 쉴첸하우스 – 가르텐슈트라세 – 바흐그라벤 | |
바젤 SBB/SNCF역 – 브라우제바드 – 칸넨펠트플라츠 – 유로공항 |
5. 사회문화적 의의
카산드라 크로싱(1976)에서 바젤 SBB역의 입구와 플랫폼은 제네바 기차역으로 묘사되어 등장한다.[9]
참조
[1]
웹사이트
Liniennetz: Basel und Umgebung
https://www.bvb.ch/w[...]
Tarifverbund Nordwestschweiz
2020-12-13
[2]
웹사이트
RVL Tarifzonenplan
https://rvl-online.d[...]
Regio Verkehrsverbund Lörrach
[3]
웹사이트
Zonen- und Linienplan
https://www.tnw.ch/a[...]
Tarifverbund Nordwestschweiz
2020-12-13
[4]
웹사이트
Passagierfrequenz (2023)
https://data.sbb.ch/[...]
SBB CFF FFS
2023
[5]
간행물
Swiss inventory of cultural property of national and regional significance
1995
[6]
서적
Geschichte der Stadt Basel von der Zeit der Reformation bis zur Gegenwart
Helbing & Lichtenhahn
[7]
웹사이트
Abfahrt: Bahnhof Basel SBB
https://www.sbb.ch/c[...]
Swiss Federal Railways
2022-12-11
[8]
웹사이트
Basel SBB
https://www.sbb.ch/c[...]
2023-12
[9]
웹사이트
Travelling in Switzerland.
http://www.myswissal[...]
2012-02-03
[10]
간행물
Swiss inventory of cultural property of national and regional significance
1995
[11]
서적
Geschichte der Stadt Basel von der Zeit der Reformation bis zur Gegenwart
Helbing & Lichtenhah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