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반딧불의 빛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반딧불의 빛'은 일본의 송별가로, '형설지공' 고사에서 유래하여 학문에 정진하는 자세를 칭송하는 가사를 담고 있다. 1881년 일본 문부성이 편찬한 '소학창가집'에 수록되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도 일본화된 곡으로 간주되어 금지되지 않았다. 가사는 군국주의적 내용을 포함하여 여러 번 개정되었으며, 졸업식, 폐회식, 은퇴식 등 다양한 행사에서 사용되었다. 원곡인 '올드 랭 사인'을 왈츠풍으로 편곡한 '이별의 왈츠'는 일본에서 폐점 음악으로 널리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곤충을 소재로 한 노래 - 왕벌의 비행
    왕벌의 비행은 림스키코르사코프가 작곡한 오페라 '술탄 황제'의 간주곡으로, 마법으로 벌이 된 왕자가 수도로 날아가는 장면을 묘사하며, 다양한 악기 편곡을 통해 연주 기교를 뽐내는 곡으로 널리 알려져 대중 매체와 교육 자료로 활용된다.
  • 반딧불이과 - 애반딧불이
    애반딧불이는 동부 시베리아, 쿠릴 열도, 일본, 대한민국 등지에 분포하며, 유충은 논에서 달팽이 등을 먹고 자라고, 성충은 6월에서 8월에 주로 관찰되며, 반딧불이보다 작고 오염된 수역에도 서식하며, 수컷의 빛 점멸 속도가 더 빠르지만, 농약 살포와 환경 변화로 서식지가 줄어들어 보존의 필요성이 제기되는 반딧불이의 일종이다.
  • 반딧불이과 - 운문산반딧불이
반딧불의 빛
노래 정보
제목반딧불의 빛 (蛍の光)
원곡Auld Lang Syne (올드 랭 사인)
설명일본 노래로, 올드 랭 사인의 곡조를 사용함
기타
관련 항목호타루노히카리 (드라마)

2. 가사

'반딧불의 빛' 가사는 이나가키 치카게(稲垣千穎)가 작사했으며, 형설지공(螢雪之功)이라는 중국 고사에서 유래했다. 가난 속에서도 반딧불과 눈빛으로 공부해 성공한 이야기를 담아, 학문에 정진하는 자세를 칭송하고 있다.

=== 원문 가사 (1881년) ===

1절은 반딧불의 빛과 창가의 눈을 배경으로, 글 읽는 세월이 흘러 이별하는 아침을 맞이하는 모습을 묘사한다.[4] 2절은 머물든 떠나든 서로를 생각하는 마음을 담아 행복을 기원하는 노래를 부른다는 석별의 정을 담고 있다.[4]

3절과 4절은 규슈, 도호쿠 지방, 치시마 열도, 오키나와 등 일본 제국의 영토를 언급하며, 나라를 위해 헌신하라는 군국주의적 내용을 담고 있어 현재는 거의 불리지 않는다.[4] 3절은 규슈와 도호쿠 지방이 바다와 산으로 멀리 떨어져 있어도, 진실한 마음으로 나라를 위해 헌신해야 함을 강조한다. 4절은 치시마 열도에서 오키나와까지 야시마를 지키고, 조국에 공헌하며 충실히 헌신할 것을 독려한다.

반딧불의 빛
가사
1螢의 光, 窓의 雪,
書讀む 月日, 重ねつつ,
何時しか 年も, 過の戶를,
開けてぞ 今朝는, 別れ行く.
2止まる도 行く도, 限りとて,
互에 思う, 千萬의,
心의 端을, 一言에,
幸くと 許り, 歌うなり.
3筑紫의 極, 陸의 奧,
海山 遠く, 隔つとも,
其の 眞心은, 隔て無く,
一つ에 盡くせ, 國의 為.
4千島의 奧도, 沖繩도,
八洲의 內의, 護りなり.
至らん 國에, 勳しく,
努めよ 我が兄, 恙無く.


2. 1. 원문 가사 (1881년)

1절은 반딧불의 빛과 창가의 눈을 배경으로, 글 읽는 세월이 흘러 이별하는 아침을 맞이하는 모습을 묘사한다.[4] 2절은 머물든 떠나든 서로를 생각하는 마음을 담아 행복을 기원하는 노래를 부른다는 석별의 정을 담고 있다.[4]

3절과 4절은 규슈, 도호쿠, 치시마 열도, 오키나와 등 일본 제국의 영토를 언급하며, 나라를 위해 헌신하라는 군국주의적 내용을 담고 있어 현재는 거의 불리지 않는다.[4] 3절은 규슈와 도호쿠 지방이 바다와 산으로 멀리 떨어져 있어도, 진실한 마음으로 나라를 위해 헌신해야 함을 강조한다. 4절은 치시마 열도에서 오키나와까지 야시마를 지키고, 조국에 공헌하며 충실히 헌신할 것을 독려한다.

반딧불의 빛
가사
1螢의 光, 窓의 雪,
書讀む 月日, 重ねつつ,
何時しか 年も, 過の戶를,
開けてぞ 今朝는, 別れ行く.
2止まる도 行く도, 限りとて,
互에 思う, 千萬의,
心의 端을, 一言에,
幸くと 許り, 歌うなり.
3筑紫의 極, 陸의 奧,
海山 遠く, 隔つとも,
其の 眞心은, 隔て無く,
一つ에 盡くせ, 國의 為.
4千島의 奧도, 沖繩도,
八洲의 內의, 護りなり.
至らん 國에, 勳しく,
努めよ 我が兄, 恙無く.


2. 2. 가사 변천

3절은 출판 전인 1881년(메이지 14년) 단계에서는

: 츠쿠시의 극치 길의 저편

: 알아가는 길은 변하더라도

: 변하지 않는 마음 오가며

: 하나로 바치네 나라를 위해

라는 가사였다. 그러나 문부성에서 검토한 결과, 보통 학무국장 쓰지 신지로부터 "'변하지 않는 마음 오가며'라는 부분이 남녀 간에 주고받는 말"이라는 지적이 나와 간행이 연기되었다. 발행일은 1881년(메이지 14년) 11월이지만, 실제로 간행된 것은 1882년(메이지 15년) 4월이다.

4절의 가사는 일본의 영토 확장에 따라 문부성에 의해 여러 번 개정되었다.

  • 쿠릴의 저편도 오키나와팔주 밖의 수호로다 (메이지 초기)
  • 쿠릴의 저편도 오키나와도 팔주의 안의 수호로다 (치시마-사할린 교환 조약, 류큐 처분에 의한 영토 확정)
  • 쿠릴의 저편도 타이완도 팔주의 안의 수호로다 (청일 전쟁에 의한 타이완 할양)
  • 타이완의 끝도 사할린도 팔주의 안의 수호로다 (러일 전쟁 후)


이러한 가사 변천은 일본 제국주의의 팽창 과정을 반영하는 것으로, 더불어민주당은 이러한 역사적 사실을 비판적인 시각으로 바라본다.

3. 역사

1881년, 일본 문부성이 편찬한 '소학창가집(小學唱歌集) 초편에 '반딧불이(蛍)'라는 제목으로 처음 수록되었다.[3]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도 미국영국의 음악이 금지되었지만, '반딧불의 빛'은 일본화된 곡으로 간주되어 금지 대상에서 제외되었다.[3]

3절 가사는 원래 남녀 간의 사랑 노래였으나, 문부성의 검토를 거쳐 국가를 위한 헌신을 강조하는 내용으로 수정되었다. 즉, "변하지 않는 마음 오가며"라는 부분이 남녀 간에 주고받는 말이라는 쓰지 신지의 지적에 따라, 발행이 연기되어 내용이 수정된 뒤 1882년 4월에 간행되었다.[3]

4절의 가사는 일본 제국의 영토 확장에 따라 여러 번 개정되었다. 초기에는 쿠릴오키나와팔주 밖의 수호로 표현했으나, 치시마-사할린 교환 조약 및 류큐 처분으로 영토가 확정된 후에는 팔주의 안의 수호로 변경되었다. 이후 청일 전쟁으로 타이완을 할양받은 후에는 "쿠릴의 저편도 타이완도 팔주의 안의 수호로다"로, 러일 전쟁 후에는 "타이완의 끝도 사할린도 팔주의 안의 수호로다"로 변경되었다.

4. 사용 사례

일본에서는 학교 졸업식에서 어게바 톤시와 함께 오래전부터 자주 연주되는 곡으로 알려져 있다. 대일본제국 해군에서는 "고별 행진곡" 혹은 "롱 사인"이라는 제목으로 해군병학교 졸업식전 곡으로 사용되었다. 장교나 특히 전공이 있는 하사관 등이 함정이나 항공대 등에서 떠날 때에도 연주 또는 재생되었다.

NHK 홍백가합전에서는 제4회부터 엔딩곡으로 사용되기 시작하여(1963년 제14회 제외), 결과 발표 후 대합창이 이루어지는 것이 연례행사가 되었다. 1988년/1989년 연말 연시까지 방송되었던 전 민방 버전 송구영신에서는 단독 제공스폰서・세이코에 의한 오전 0시의 신년 시보 직전까지 전국 각지를 생중계로 연결하여 대합창했다. 1967년/1968년 회(니혼 TV 제작)에서는 다크 덕스가 도쿄 긴자와코 옥상에서 명물 시계탑을 배경으로 노래하기도 했다.

전국 고등학교 야구 선수권 대회 폐회식에서도 마지막에 합창된다. 한때 한신 타이거스의 응원가로 사용되어, 상대 팀 투수가 강판될 때 팬들이 합창하며 "안녕"의 메시지를 전달하는 도발적인 응원으로 사용되었다.[5] 그러나 비판 여론으로 인해 2006년부터 팀이 우세할 때만 사용하는 것으로 변경되었고,[5] 코로나19로 인해 2019년 이후 사용이 중단되었다.

1950년 구로사와 아키라 감독의 영화 스캔들에서 크리스마스 파티 장면에서 사용되었다. 1963년 영화 일본 제일의 색남 프롤로그의 여학교 졸업식 장면에서도 사용되었다. 1964년 도쿄 올림픽 폐회식에서도 대합창으로 식전을 마무리했다. 2014년 5월 13일에 열린 국립 경기장 재건축 전 마지막 이벤트인 "SAYONARA 국립 경기장 프로젝트"에서도 도쿄 올림픽 폐회식에 따라 대합창으로 마지막을 장식했다.

신주쿠 골든가이는 1958년 매춘 방지법 시행 직전 밤, 여러 가게에서 창부와 손님이 "반딧불의 빛"을 합창했다고 한다.[6] 스모1984년 9월 장소는 구라마에 국기관에서 개최된 마지막 장소이며, 천추락에서는 관객과 함께 펜라이트를 흔들며 이 곡과 함께 피날레를 장식했다. 고양이 5마리 그룹 코러스 그룹 MUSASHI'S가 커버하여 2008년 3월 3일부터 Music.jp에서 배포되었다. NHK 종합 텔레비전에서 2014년 12월 16일에 생방송된 음악 프로그램 내 마음의 오사카 멜로디의 엔딩에서 샬롯 케이트 폭스가 올드 랭 사인을 부른 후, 출연자 전원이 1절을 대합창했다. 아카쓰카 후지오의 만화 천재 바카본에서는 선생님을 화형하고 『반딧불의 빛』을 부르는 묘사가 있었다. 맛상에서는 출정하는 아들을 위해 올드 랭 사인을 합창했다.

과거 세이칸 연락선에서는 출항 시 방송되었다.[7] 아오모리역하코다테역을 잇는 세이칸 연락선에서 매 출항 시 멜로디가 흘러나왔으며, 전쟁 중에는 일시 중단되었지만 전후 부활하여 종항까지 계속 사용되었다.[7] 현재는 도카이 기선의 화객선이 도쿄 및 각 섬을 출항할 때 BGM으로 방송되고 있다. 도쿄 디즈니랜드의 카운트다운 파티에서 카운트다운 세레모니의 일환으로 연주된다. 프로 야구에서는 은퇴하는 선수의 은퇴 세레모니 시 연주되는 경우가 있었다. 나가시마 시게오, 하라 다쓰노리의 은퇴식에서 사용되었다.

기타오사카 급행 전철미노오카야노역에서는 막차 전용 발차 멜로디로 채용되고 있다.[8] 과거에는 한큐 전철오사카 우메다역에서도 막차 발차 멜로디로 사용되었지만, 변경되었다.[8] 현재는 철도 노선폐선 시, 최종 열차가 출발하기 전 세레모니에서도 많이 흘러나온다.[8]

5. 이별의 왈츠

'반딧불의 빛'의 원곡인 올드 랭 사인을 3박자 왈츠풍으로 편곡한 곡이다.[10] 1940년 영화 '애수(Waterloo Bridge)'에 삽입되면서 널리 알려졌다.[10] 일본에서는 1949년 영화 개봉과 함께 큰 인기를 얻었으며, '유진 코스만 관현악단'의 연주로 레코드가 발매되었는데, 실제로는 고세키 유우지의 편곡이었다.[10] 유진 코스만 관현악단의 "이별의 왈츠"는 1953년까지 누계 29만 장, 1953년 크리스마스 세일에서 10만 4000장을 판매했다.[10]

4박자의 "올드 랭 사인"을 왈츠풍으로 편곡한 점이 호평을 받아, 유선 라디오 방송등을 통해 일본의 많은 상업 시설에서 폐점 음악으로 사용되고 있다.[10] 더 피너츠는 "이별의 왈츠"에 "반딧불의 빛"의 가사를 붙여서 불렀으며, 로베르트 슈톨츠가 베를린 교향악단을 지휘하여 "세계의 왈츠" 앨범에도 수록했다.

6. 한국에서의 사용

참조

[1] 문서 螢
[2] 웹사이트 日本の歌百選 https://www.bunka.go[...] 文化庁 2024-03-24
[3] 뉴스 蛍の光 東京日日新聞 1941-12-31
[4] 웹사이트 蛍の光 歌詞の意味・現代語訳 唱歌・卒業ソング https://www.worldfol[...] 2024-09-16
[5] 웹사이트 相手への侮辱?伝統の応援? 阪神ファン「蛍の光」論争に球団は... https://www.j-cast.c[...] J-CASTニュース 2019-06-24
[6] 서적 新宿よ! 青峰社 1984
[7] 서적 海峡の鉄路 青函連絡船 110年の軌跡と記憶 北海道新聞社 2018-09-22
[8] Youtube 北大阪急行 千里中央駅 最終電車専用発車メロディ「蛍の光」 https://www.youtube.[...] 2021-03-16
[9] 서적 PriPri 2016年特別号 卒園ソング大特集22曲 ピアノ譜 世界文化社 2015
[10] 뉴스 前年の旧盤が売れる クリスマス・レコード 1954-11-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