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발칸 연방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발칸 연방은 발칸 반도 국가들의 정치적 통합을 목표로 했던 다양한 시도들을 포괄하는 개념이다. 18세기 혁명가 리가스 페레오스가 범 발칸 연방의 깃발을 구상한 이래, 19세기에는 민족주의 운동과 함께 여러 구상이 나타났다. 1865년 베오그라드에서 민주적 오리엔탈 연방을 제안했고, 1894년에는 프랑스에서 발칸 연맹이 결성되었다. 20세기 초에는 사회주의 운동과 발칸 사회주의 연방 구상이 등장했으며, 1920년대에는 발칸 공산주의 연맹이 결성되어 소련의 영향을 받았다. 코민포름 시기에는 유고슬라비아와 불가리아의 통합 프로젝트가 진행되었으나, 티토-스탈린 분열로 인해 좌절되었다. 현대에는 크로아티아 헌법으로 인해 발칸 연방 논의가 제한적이며, 타리크 알리와 같은 인물들이 유럽 연방의 일환으로 발칸 연방을 주장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발칸반도의 역사 - 발칸 동맹
    발칸 동맹은 1912년 오스만 제국에 대항하여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불가리아, 그리스가 결성한 군사 동맹으로, 복잡한 국제 정세와 각국의 이해관계 충돌, 오스만 제국의 약화가 배경이었으나, 영토 야망과 불신으로 제2차 발칸 전쟁을 초래하며 붕괴되어 제1차 세계 대전 발발에 영향을 미쳤다.
  • 발칸반도의 역사 - 파나리오테스
    파나리오테스는 오스만 제국 시대 콘스탄티노폴리스 파나르 지구의 그리스계 엘리트 계층으로, 총대주교청과 관계를 맺고 정치, 경제, 문화적 영향력을 행사했으나, 그리스 독립 전쟁 후 몰락하여 그 유산이 루마니아와 그리스 역사에 남아있다.
발칸 연방
발칸 연방 구상
1914년 발칸 반도의 민족 구성도
1914년 발칸 반도의 민족 구성도
개요
발칸 연방발칸 반도 국가들의 통합을 목표로 한 정치적 구상이었다.
제안 시기19세기 후반
주요 목표지역의 정치적, 경제적 안정
공동의 이익 증진
외부 세력에 대한 공동 대응
역사적 배경
오스만 제국 쇠퇴19세기 오스만 제국의 쇠퇴로 발칸 지역의 민족주의 운동이 활발해짐.
발칸 전쟁발칸 전쟁 이후, 지역 국가들 간의 협력 필요성 증대.
사회주의 운동사회주의 세력은 발칸 국가들의 연대를 통해 자본주의에 대항하고자 함.
주요 제안 및 시도
발칸 연방 (1910년대)제1차 세계 대전 이전, 세르비아, 불가리아, 그리스, 몬테네그로 등이 참여를 논의.
전쟁 발발로 인해 무산.
발칸 연방 (1940년대)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요시프 브로즈 티토의 주도로 유고슬라비아, 불가리아, 알바니아 간의 연방 구상.
티토와 불가리아 지도부 간의 의견 차이로 인해 실패.
발칸 연방 (기타 시도)1990년대 유고슬라비아 해체 이후, 지역 협력 및 통합을 위한 다양한 시도들이 있었으나, 뚜렷한 성과는 미미함.
주요 참여 주체
국가세르비아
불가리아
그리스
몬테네그로
유고슬라비아
알바니아
인물디미타르 블라고에프
크리스티안 라코프스키
요시프 브로즈 티토
게오르기 디미트로프
영향 및 평가
긍정적 영향지역 안정 및 협력 증진 가능성
경제적 통합을 통한 발전 가능성
외부 세력에 대한 공동 대응 능력 강화
부정적 영향민족주의 갈등 심화 가능성
국가 주권 침해 논란
정치적 불안정 야기 가능성
평가발칸 연방 구상은 역사적으로 여러 차례 시도되었으나, 민족주의, 정치적 이념 차이, 외부 세력의 개입 등으로 인해 실현되지 못했다.
같이 보기

2. 역사적 배경

리가스 페레오스가 만든 발칸 연방의 깃발.


발칸 지역을 정치적으로 통일하려는 시도는 역사 속에서 여러 차례 있었다. 러시아 제국예카테리나 2세오스만 제국 치하의 발칸 반도에 자신의 아들을 황제로 옹립하려 했고, 그리스 독립의 정신적 지주였던 리가스 베레스틴리스 페레오스는 비잔틴 제국의 부활을 꿈꿨으나 모두 실패했다.[2]

19세기 후반, 베오그라드에서 급진적인 발칸반도 지식인들은 민주 동방 연맹을 설립하여 알프스 산맥에서 키프로스까지 아우르는 연방을 구상했다. 이들은 앙리 드 생시몽의 연방주의와 카를 마르크스, 미하일 바쿠닌의 사회주의 사상에 영향을 받았다. 1894년 프랑스에서는 그리스인, 불가리아인, 세르비아인, 루마니아인 사회주의자들이 발칸 연맹을 결성했고, 마케도니아 문제로 인해 마케도니아인들도 자율적으로 참여했다. 1908년 청년 튀르크 혁명 이후, 테살로니키의 사회주의 노동자 연합은 두 불가리아 사회주의 단체와 합병하여 오스만 노동자 사회주의 연맹을 창설했으나, 민족주의의 중요성을 간과했다.

불가리아 인민 공화국의 게오르기 디미트로프 등이 추진한 발칸 사회주의 연방(후에 발칸 공산주의 연방으로 개칭)이나,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의 티토가 추진한 계획은 코민테른에 의해 해산되거나 1948년 유고슬라비아코민포름 추방으로 좌절되었다.[2] 1953년 유고슬라비아는 그리스, 튀르키예와 NATO 가입국과 발칸 삼국 동맹이라는 군사 협정을 맺었지만, 키프로스 분쟁으로 붕괴되었다.

2. 1. 19세기 민족주의 운동과 초기 구상

1865년 베오그라드에서 급진적인 발칸반도 지식인들이 모여 민주 동방 연맹을 설립하고, 정치적 자유와 사회 평등을 바탕으로 알프스 산맥에서 키프로스까지 아우르는 연방을 주장했다. 이들은 클로드 앙리 드 루브루아, 생시몽 백작의 연방주의 사상과 카를 마르크스 또는 미하일 바쿠닌의 사회주의 사상에 영향을 받아 프랑스 혁명의 이상을 따르고자 했다.

이후 1894년 프랑스에서는 그리스인, 불가리아인, 세르비아인, 루마니아인 사회주의자들이 발칸 연맹을 결성하여 마케도니아 문제에 대한 해결책으로 마케도니아의 자치를 지지했다. 1908년 청년 튀르크 혁명 이후, 1909년 테살로니키에서는 사회주의 노동자 연합이 두 불가리아 사회주의 단체와 합병하여 오스만 노동자 사회주의 연맹을 창설했다. 그러나 이 단체는 1913년까지 민족주의의 중요성을 간과했고, 지도부는 발칸 사회 민주주의 정당 내 민족주의 경향에 대해 온건한 입장을 취했다.

한편, 러시아 제국예카테리나 2세나 리가스 베레스틴리스 페레오스 등은 비잔틴 제국의 부활을 목표로 발칸 지역의 정치적 통합을 시도했지만 실패로 끝났다.[2]

2. 2. 20세기 초 사회주의 운동과 발칸 사회주의 연방

1865년 베오그라드에서 급진적인 발칸반도 지식인들이 민주 동방 연맹을 설립하여 알프스에서 키프로스까지의 연방을 주장했다. 이들은 앙리 드 생시몽의 연방주의와 카를 마르크스 또는 미하일 바쿠닌의 사회주의 사상을 따랐다. 1894년 프랑스에서 그리스인, 불가리아인, 세르비아인, 루마니아인 사회주의자들이 발칸 연맹을 결성했고, 마케도니아 문제로 인해 자율적인 마케도니아인들도 참여했다. 1908년 청년 튀르크 혁명 이후, 1910년 1월 7일과 9일 세르비아 왕국베오그라드에서 첫 번째 발칸 사회주의 회의가 열렸다. 이 회의의 주요 주제는 발칸 반도의 연합과 임박한 전쟁에 대한 반대, 그리고 마케도니아 문제 해결이었다.

1915년 부쿠레슈티 회의 이후 발칸 사회 민주 노동 혁명 연맹이 창설되었고, 짐머발트 회의를 준수하며 제1차 세계 대전 반대 운동을 벌였다. 크리스티안 라코프스키가 중심이 되어 바실 콜라로프, 게오르기 디미트로프 등의 운동가가 활동했다. 1915년 디미트로프는 마케도니아 지역이 발칸 민주 연맹 내에서 동등한 권리를 가지는 하나의 국가가 될 것이라고 썼다.[23] 이 독립적인 마케도니아 연합은 불가리아, 유고슬라비아, 그리스의 행정기구로 구성될 예정이었다. 그러나 연맹은 정부에 의해 억압되었고, 라코프스키는 1916년 루마니아에서 체포되었다.

2. 3. 발칸 공산주의 연방 (1920-1939)

러시아 10월 혁명 이후, 1920년부터 1921년까지 블라디미르 레닌프롤레타리아 국제주의에 영향을 받은 발칸 공산 연맹이 결성되었다. 이 조직은 발칸 반도의 모든 공산당이 대표되는 공산주의 우산 조직이었으며, 소련코민테른을 통해 부과한 요구 사항에 의해 지배되었다. 발칸 공산 연맹은 불가리아, 유고슬라비아, 그리스, 튀르키예를 포함하는 "발칸 연방 공화국"을 옹호했으며, 일부 계획에는 루마니아도 포함되었지만 대부분은 루마니아의 분열만을 상정했다.[2] 이 기구는 불가리아 공산당, 유고슬라비아 공산당, 그리스 공산당, 터키 공산당의 활동과 루마니아 공산당의 활동을 감독했으며, 1939년에 해체되었다.

1922년 5월~6월 불가리아 소피아에서 바실 콜라로프가 "마케도니아, 도브루자트라키아의 자치" 문제를 제기했으며, 불가리아 대표 게오르기 디미트로프의 지지를 받았다. 그리스 대표는 의제에 없는 안건 승인을 꺼려 연기를 요청했다. 1923년 12월, 발칸 공산 연맹은 모스크바에서 제5차 회의를 개최했다. 1924년, 코민테른은 공산주의자와 내부 마케도니아 혁명 기구, 내부 트라키아 혁명 기구, 내부 도브루자 혁명 기구 간의 협력에 대한 협상에 들어갔으며, 통일 혁명 운동의 창설을 논의했다. 새로운 통일 조직에 대한 아이디어는 소련의 지지를 받았으며, 소련은 이 혁명 운동을 통해 발칸 반도에 혁명을 확산시키고 발칸 군주국을 불안정하게 만들 기회를 보았다.

1924년 5월 6일, 5월 선언이 발표되어 통일된 마케도니아 해방 운동의 목표(분할된 마케도니아의 독립과 통일, 모든 인접 발칸 군주국과의 투쟁, 발칸 공산 연맹 결성 및 소련과의 협력)가 제시되었다. 1925년, 불가리아 공산당의 영향으로 여러 좌익 분파(내부 마케도니아 혁명 기구 (통일), 도브루자 혁명 기구, 내부 트라키아 기구)가 주요 조직에서 탈퇴했다. 이들은 "발칸 공산 연맹"의 일부가 될 자체 소련 공화국을 위해 활동했다. 불가리아 공산당은 스탈린의 강요로 마케도니아인, 트라키아인, 도브루자 민족 형성을 지지해야 했다.[3][4][5] 1934년 1월 7일, 코민테른 발칸 사무국은 마케도니아 민족 인정을 위한 발칸 공산 연맹의 결의안을 발표했다. 이 결의안은 1934년 1월 11일 모스크바 정치 사무국에서 수락되었고, 코민테른 집행위원회에서 승인되었다.

그리스 공산당 대표 니콜라오스 사르고로고스는 중앙의 승인 없이 안건에 서명하고 아테네 대신 미국으로 이민을 갔다. ''리조스파스티스''는 이 안건이 불가리아 공산당에는 좋지만 그리스 공산당에는 재앙이 될 것이라고 보도하며 반대했다. 그리스 공산당은 마케도니아에 대한 발칸 공산 연맹의 입장을 어려워했지만 잠시 동조했다. 1924년 6월, 제5차 회의에서 "마케도니아 인"을 인정했고, 1924년 12월에는 "그리스와 불가리아의 부르주아 민족주의의 민족적, 사회적 멍에"에 맞서 발칸 연맹 내 통합을 전망하며 "통일되고 독립적인 마케도니아와 통일되고 독립적인 트라키아" 안건을 지지했다.

그러나 그리스 공산당은 1928년 그리스 선거에서, 특히 그리스 마케도니아에서 참패했다. 1927년, 그리스 공산당 회의는 마케도니아인이 "발칸 소비에트 사회주의 연맹"에 가입할 때까지, 그리고 "슬라브 마케도니아인이 거주하는 마케도니아의 일부(플로리나 지역)"에 대해서만 자결을 요구하며 안건을 약화시켰다.[6] 1935년, 그리스 공산당은 "그리스 마케도니아의 민족 구성 변화"와 "자결에 대한 레닌-스탈린주의 원칙"을 이유로 "모든 사람에게 평등한 권리"를 요구했다. 유고슬라비아 공산당은 정당의 세르비아화와 바르다르 바노비나 주민에 대한 두려움 등 자체 문제와 불화를 겪었고, 1936년에 그리스 공산당을 따랐다. 1936년, 내부 마케도니아 혁명 기구, 내부 트라키아 혁명 기구, 내부 도브루자 혁명 기구의 좌익은 지역 원칙에 따라 발칸 공산당에 통합되었다.

알바니아에서 공산주의 사상은 주로 인접 국가의 영향을 받았다. 코스타 보슈냐쿠, 알리 켈멘디 등의 특사 파견과 지원에도 불구하고 공산주의 그룹은 취약했고, 공산당은 1941년에야 설립되었다. 1919년 파리 평화 회의는 1912–13년 런던 회의에서 정의된 알바니아 국경을 확정하여 상당한 알바니아 인구를 국경 밖에 남겨두었다. 1920년대 초, 판 놀리 주교의 좌익 야당과 코소보 위원회가 코민테른과 접촉했다. 바지람 쿠리는 1921년 12월 비엔나 주재 소련 장관에게 "알바니아 인민은 [...] 오늘날 실제로 존재하는 상황을 기준으로 국경을 결정하기를 [...] 소련이 가까운 미래에 [...] 발칸 반도의 국경을 공정하게 결정할 수 있다는 확신 [...] 우리의 정당한 요구를 승인해 주시기를 [...] 간청합니다."라고 말했다.[7]

6월 혁명 실패 후, 놀리와 다른 사람들은 코나레를 결성, 코소보 위원회는 발칸 연맹에 가입하여 재정 지원을 받았다.[8][9] 이들은 토도르 알렉산드로프, 페타르 초울레프 등 내부 마케도니아 혁명 기구 운동가들과 협력했다.[10] 1928년, 코나레는 코민테른의 통제를 받게 되었고, 24명의 젊은 알바니아인이 소련에서 공부했다.[11] 그러나 1930년대 초, 유고슬라비아 방어가 공식 노선이 되면서 코소보 위원회 지원은 사라졌다. 이탈리아 파시즘의 개입으로 알바니아 민족주의 운동과 코민테른의 연결은 붕괴되었고,[8] 코나레는 1930년대 중반 해체되었다.

2. 4. 코민포름 시기 (1946-1948)

코민포름 시기 요시프 브로즈 티토게오르기 디미트로프를 비롯한 유고슬라비아와 불가리아 공산당 지도자들은 두 나라를 발칸 연방 공화국으로 통합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했다. 유고슬라비아 측에 대한 양보로 불가리아 당국은 불가리아령 마케도니아 지역의 일부 인구 집단에 대해 별개의 마케도니아 민족과 언어를 인정하기로 동의했다. 이는 1947년 8월 1일에 유고슬라비아와 불가리아가 체결한 블레드 협정의 조건 중 하나였다.[12] 1947년 11월, 유고슬라비아와 소련의 압력에 따라 불가리아는 유고슬라비아와 우호 조약을 체결했다.[12][14] 불가리아 국가 원수인 게오르기 디미트로프는 마케도니아 문제에 동정적이었다.[13] 불가리아 공산당은 다시 한번 발칸 지역에서의 소련의 이익에 맞춰 입장을 조정해야 했다.[14]

1948년 6월 티토-스탈린 분열 이후, 이 협정으로 인한 정책은 뒤집혔다. 불가리아는 소련의 이익에 종속되어 유고슬라비아에 반대하는 입장을 취하게 되었다.[15] 불가리아 인민 공화국의 게오르기 디미트로프 등에 의해 결성된 발칸 사회주의 연방(후에 발칸 공산주의 연방으로 개칭)이나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의 티토가 추진한 계획은 코민테른에 의해 해산되거나, 1948년 6월에 일어난 유고슬라비아코민포름 추방으로 인해 좌절되었다.

3. 현대의 발칸 연방 논의

타리크 알리가 2012년 자그레브에서 열린 서브버시브 영화제에 참석한 모습.


그리스 독립 200주년 기념 축제의 일환으로 펠로폰네소스 아르고스에 게양된 발칸 연방 깃발.


크로아티아 헌법 제142조는 다른 국가와의 연합을 초래할 수 있는 모든 절차를 명시적으로 금지하고 있는데, 이는 남슬라브 국가 연합의 부활이나 통합된 형태의 발칸 국가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16][17] 이 조항은 2009년 시민 인권 위원회 회장 조란 푸시치(베스나 푸시치의 형제)[18]에 의해 비판받았는데, 그는 민족적 이유에 근거하여 어떤 국가와의 연합 권리를 제한하는 것은 용납될 수 없다고 강조했다.[19] 그러나 위원회는 그러한 연합을 옹호하지는 않았지만, 이 조항이 크로아티아 독립 전쟁 당시와 세르비아에서 슬로보단 밀로셰비치의 전복 이전에 도입되었으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모든 국가가 변화하고 유럽 통합의 맥락에서 크로아티아의 미래 세대가 그러한 제약에서 자유로워야 한다는 점을 인정하지 못한다고 강조했다.[19]

파키스탄계 영국 정치 운동가이자 작가인 타리크 알리는 2012년 자그레브에서 열린 서브버시브 영화제에서 닉 홀드스톡과의 인터뷰에서 독일이나 프랑스와 같은 주요 유럽 강국의 영향력의 균형을 맞출 수 있는 더 광범위한 유럽 지역 연방의 형성에 발칸 연방의 창설을 주장했다.[20]

소피아 대학교의 문화 인류학 교수인 이바일로 디체프는 도이체 벨레와의 인터뷰에서 유고슬라비아의 개방성과 문화적 다양성 정신의 부활과 발칸 연방의 전후 유토피아적 아이디어의 부활이 이 지역과 유럽 통합에 유익할 것이라고 말했다.[21]

참조

[1] 웹사이트 "The Significance of the Second Balkan Conference" http://www.marxists.[...] 2023-07-31
[2] 웹사이트 "Internationalism as an Alternative Political Strategy in the Modern History of Balkans" http://www.okde.org/[...] 2017-04-25
[3] 서적 The Communist Party of Bulgaria: Origins and Development, 1883–1936 Columbia University Press
[4] 서적 Europe Since 1945: An Encyclopedia Taylor & Francis
[5] 서적 Bulgaria at the Crossroads Nova Publishers
[6] 문서 (Holevas 1992). At the time the term "Slavomacedonian" was not considered offensive: the ''[[Greek Helsinki Monitor]]'' reports that the term, "was accepted by the community itself". However, today the term has pejorative connotations.
[7] 서적 The People's Republic of Albania The Johns Hopkins Press 1968
[8] 서적 The National Question in Yugoslavia: Origins, History, Politics https://books.google[...] Cornell University Press
[9] 간행물 Ballafaqime Politike në Shqipëri (1897–1942): Kujtime dhe Vlerësime Historike https://books.google[...] Shtëpia Botuese "Neraida"
[10] 간행물 Zija Dibra: Të fshehtat e një vrasjeje http://gazeta-shqip.[...] Gazeta Shqip Online 2014-12-04
[11] 서적 Albania at War, 1939–1945 https://books.google[...] Purdue University Press
[12] 서적 Macedonia; Its disputed history Aristoc Press
[13] 서적 Macedonia; Its disputed history Aristoc Press
[14] 서적 Religion and Nationalism in Soviet and East European Politics Duke University Press
[15] 문서 Stavrianos, L. (1964)
[16] 웹사이트 Ustav Republike Hrvatske https://narodne-novi[...] Narodne novine 2019-11-03
[17] 웹사이트 Croatian Constitution (English translation) https://constitution[...] 2019-11-03
[18] 웹사이트 Ministarstvo Vesne Pusić udruzi njezinog brata dodijelilo 250 tisuća kuna https://www.tportal.[...] T-portal 2021-08-27
[19] 웹사이트 Zoran Pusić: Dopustiti udruživanje u Jugoslaviju https://slobodnadalm[...] Slobodna Dalmacija 2021-08-27
[20] 웹사이트 "'THE REASSERTION OF THE POLITICAL'- AN INTERVIEW WITH TARIQ ALI ON THE FUTURE OF EUROPEAN CITIZENSHIP" https://www.citsee.e[...] CITSEE University of Edinburgh 2022-10-11
[21] 웹사이트 Balkan: nepoželjan ili nevoljan? https://www.dw.com/s[...] 2019-07-07
[22] 문서 Balkan federation: a history of the movement toward Balkan unity in modern times, Smith College studies in history, Leften Stavros Stavrianos, Archon Books, 1964, p. 149.
[23] 웹인용 "The Significance of the Second Balkan Conference" http://www.marxists.[...] 2006-08-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