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버로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버로어는 에스토니아 남부 지역에서 사용되는 언어로, '버루어' 등으로도 불린다. 표준 에스토니아어의 영향을 적게 받았으며, 남부 에스토니아어의 다른 방언으로는 Mulgi, Tartu, Seto가 있다. 1686년 신약 성경 번역본이 출판되었으나, 1880년대 이후 쇠퇴하다 1980년대 후반부터 부흥 운동이 시작되었다. 에스토니아 정부는 소수 언어 지위를 부여하지 않고 소멸 위기 언어로 간주하며, 극작가, 시인 등의 작품에서 사용된다. 버로어는 핀어에 존재했던 모음조화 체계를 보존하고 있으며, 에스토니아어와 핀란드어와 비교하여 음운, 문법, 어휘 등에서 차이를 보인다. 세토 방언이 존재하지만, 화자들은 자신들의 언어를 별개의 언어로 인식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에스토니아의 언어 - 에스토니아어
    에스토니아어는 우랄어족 핀우그리아어파에 속하며 에스토니아의 공용어이자 유럽 연합의 공용어 중 하나로, 독일어의 영향을 받아 어휘와 통사론에서 흔적을 찾을 수 있고, 형태론적으로 교착어에서 굴절어로 변화하는 과도기적 특징을 보이는 언어이다.
  • 에스토니아의 언어 - 러시아어
    러시아어는 동슬라브어군에 속하며 키릴 문자를 사용하고 명사, 형용사, 동사의 복잡한 문법 체계를 가지며, 러시아 등 여러 국가에서 공용어로 사용되고 전 세계적으로 2억 5천만 명 이상이 사용하는 언어이다.
  • 핀우그리아어파 - 에스토니아어
    에스토니아어는 우랄어족 핀우그리아어파에 속하며 에스토니아의 공용어이자 유럽 연합의 공용어 중 하나로, 독일어의 영향을 받아 어휘와 통사론에서 흔적을 찾을 수 있고, 형태론적으로 교착어에서 굴절어로 변화하는 과도기적 특징을 보이는 언어이다.
  • 핀우그리아어파 - 메앤키엘리
    메앤키엘리는 스웨덴 북부 토르네 강 계곡에서 쓰이는 핀란드어 기반의 소수 언어로, 스웨덴어의 영향을 받아 독자적으로 발전했으며, 스웨덴 소수 언어로 인정받아 보존 노력이 이어지고 있고, 핀란드어 방언인지 독립적인 언어인지에 대한 논쟁이 있다.
  • 모음 조화 언어 - 링갈라어
    링갈라어는 콩고 강 유역에서 발생한 반투어 기반 크레올어로, 콩고 민주 공화국과 콩고 공화국에서 널리 사용되며 다양한 언어의 영향을 받아 어휘가 풍부하고, 라틴 알파벳으로 표기된다.
  • 모음 조화 언어 - 키르기스어
    키르기스어는 튀르크어족 킵차크어파에 속하며 중앙아시아 여러 지역에서 약 490만 명이 사용하는 언어로, 북부와 남부 방언으로 나뉘고 키릴 문자를 주로 사용하며 모음 조화와 독특한 음운론적 특징을 지닌다.
버로어
언어 정보
이름ヴォロ語 (보로어)
고유 이름võro kiil (보로 킬)
국가에스토니아
지역보루마
화자 수약 70,000명
어족우랄어족
어파핀우그리아어파
어군발트 핀어
문자라틴 문자
정부 기관Võro Institute (보로 연구소)
ISO 639-3vro
일반 정보
언어 이름Võro kiil (보로 킬)
에스토니아어 이름võru keel (보루 켈)
화자보로족
지리적 분포
국가에스토니아
지역에스토니아 남부
보로어 사용 지역 - 역사적 경계 내의 "Võromaa" (보로 현), Tartu (타르투)와 Seto (세토) 지역 사이, 러시아 ("Vinnemaa"), 라트비아 ("Lätimaa").
언어 상태
위험도UNESCO에 의해 "심각하게 위험"으로 분류됨
Võro is classified as Definitely Endangered by the UNESCO Atlas of the World's Languages in Danger
언어학적 분류
어족우랄어족
어파핀어파
어군남에스토니아어
방언Ugala (우갈라), Ugandi (우간디), Võro-Seto (보로-세토)
사용 정보
화자 수 (2021년)약 72,240명
관리 기관
기관Võro Institute (보로 연구소) (준공식)
음운 정보
IPA/ˈvɒroʊ/ (보로)
Glottolog
Glottocodevoro1243
Glottolog 참조Võro

2. 명칭

Võro kiil|버로 키일et을 포함하여 '버루어', '버로', '베로어' 등으로도 불린다.

3. 역사

버로어는 오늘날 에스토니아 영토 남부에서 쓰이던 부족들의 말을 이어받은 데 반해, 에스토니아어는 북부 부족의 말을 이어받았다. 버로어를 쓰는 사람들은 오늘날에는 라트비아러시아 영토에 속해 있는 다른 조그만 지역에서도 살았다. 버로어 외에 남부의 주요 방언으로는 물기 방언, 타르투 방언, 그리고 세토 방언(방언인지 언어인지 논쟁 중) 등이 있다.[12] 버로어는 한때 역사적인 버로마(Võromaa)보다 남쪽과 동쪽으로, 현재 라트비아러시아에 위치한 Lutsi (Ludza), Leivu, Kraasna의 남부 에스토니아어 사용 지역에서 사용되었다. 버로어 외에도 남부 에스토니아어의 다른 현대 방언으로는 Mulgi, Tartu, Seto가 있다.

남부 에스토니아어의 가장 초창기 기록 중 하나는 1686년에 출판된 신약 성경(''Wastne Testament'') 번역본이다. 남부 에스토니아어의 지위는 1880년대 이후 쇠퇴하기 시작했지만, 1980년대 후반에 언어 부흥이 시작되었다.[13]

4. 현황

에스토니아 정부는 버로어에 법적으로 "소수언어 지위"를 부여하고 있지 않으며, 소멸위기언어로 간주한다.[14] 이는 언어를 보호하려는 정부의 법적 의무 부족 때문이라고 Kadri Koreinik은 말한다.[6]

버로어로 발행되는 격주간 신문으로 우마 레흐트(Uma Leht) (문자 그대로 '우리 자신의 신문')가 있다. 26개의 공립 학교에서는 현대 버로어에 대한 주간 특별 수업(대부분 방과 후 활동)을 제공한다. 마디스 쾨이프, 윌레 카욱시, 얀 카플린스키, 아인 카알레프 등 에스토니아의 가장 유명한 극작가, 시인, 작가들의 작품에서 버로어가 사용된다.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 2004에서 에스토니아 대표곡은 네이오케쇠(Neiokõsõ)가 버로어로 부른 "티(Tii)"였다.



2021년 에스토니아 인구 조사에 따르면[15] 남부 에스토니아어를 사용하는 사람은 128,590명이다. 이 중 버로어 사용자는 97,320명(세토어 사용자 25,080명을 제외하면 72,240명), 타르투어 사용자는 17,310명, 물기어 사용자는 13,960명이다.

5. 특징

버로어는 원시 핀어에서 유래한 모음조화 체계를 보존하고 있어, 에스토니아어 등 다른 핀어와 구별된다.[1] 모음조화는 전설 모음, 후설 모음, 중설 모음으로 구분되며, 핀란드어와 매우 유사하게 작동한다. 한 단어 안에는 전설 모음과 후설 모음이 함께 올 수 없고, 접미사는 단어에 붙는 모음 유형에 따라 자동적으로 모음의 후설성을 맞춘다. 중설 모음은 두 종류의 모음과 결합할 수 있지만, 중설 모음만 있는 단어는 전설 모음 조화를 따른다. 보트어와 마찬가지로 유일한 중설 모음은 'i'이며, 'e'도 중설 모음인 핀란드어 및 카렐리아어와는 다르다.[1]

버로어 모음 조화
전설후설
폐쇄 원순yu
폐쇄 평순i (ɨ*)
중원순øo
중평순eɤ
개모음æɑ


  • 모음 'ɨ' (버로어 철자법에서는 'õ' 또는 'y'로 표기)는 조화 목적상 후설 모음으로 간주되지만, 접미사 및 어미에 나타나지 않으므로 조화 자체에는 참여하지 않는다.[1]


버로어에스토니아어핀란드어의미
küläkülakylä마을
küsünüqküsinudkysynyt물었다
hõbõhõnõhõbedanehopeinen은색(형용사)

[1]

5. 1. 음운

버로어는 원시 핀어에 존재했던 모음조화 체계를 보존하고 있다는 점에서 에스토니아어 등 다른 일부 핀어와 구별된다.[1]

모음조화는 전설 모음, 후설 모음, 중설 모음으로 구분되며, 핀란드어와 매우 유사하게 작동한다. 즉, 한 단어 안에 전설 모음과 후설 모음이 함께 올 수 없고, 접미사는 단어에 붙는 모음의 유형에 따라 자동적으로 모음의 후설성을 맞춘다. 중설 모음은 두 종류의 모음과 결합할 수 있지만, 중설 모음만 있는 단어는 전설 모음 조화를 따른다. 보트어와 마찬가지로 유일한 중설 모음은 'i'이며, 'e'도 중설 모음인 핀란드어 및 카렐리아어와는 다르다.[1]

버로어 모음 조화
전설후설
폐쇄 원순yu
폐쇄 평순i (ɨ*)
중원순øo
중평순eɤ
개모음æɑ


  • 모음 'ɨ' (버로어 철자법에서는 'õ' 또는 'y'로 표기)는 조화 목적상 후설 모음으로 간주되지만, 접미사 및 어미에 나타나지 않으므로 조화 자체에는 참여하지 않는다.[1]


에스토니아어 및 핀란드어와 비교한 몇 가지 예시는 다음과 같다.

버로어에스토니아어핀란드어의미
küläkülakylä마을
küsünüqküsinudkysynyt물었다
hõbõhõnõhõbedanehopeinen은색(형용사)

[1]

5. 1. 1. 홀소리 (모음)

버로어는 원시 핀어에 존재했던 모음조화 체계를 보존하고 있다. 이는 모음조화를 잃어버린 에스토니아어 및 다른 일부 핀어와 구별되는 특징이다.[1]

모음조화는 전설 모음, 후설 모음, 중설 모음으로 구분하는데, 핀란드어와 매우 유사하다. 한 단어 안에 전설 모음과 후설 모음이 함께 올 수 없으며, 접미사는 단어에 붙는 모음의 유형에 따라 모음의 후설성을 자동적으로 맞춘다. 중설 모음은 두 종류의 모음과 결합할 수 있지만, 중설 모음만 있는 단어는 전설 모음 조화를 따른다. 보트어와 마찬가지로 유일한 중설 모음은 'i'이며, 'e'도 중설 모음인 핀란드어 및 카렐리아어와는 다르다.[1]

버로어 모음 조화
전설후설
폐쇄 원순yu
폐쇄 평순i (ɨ*)
중원순øo
중평순eɤ
개모음æɑ


  • 모음 'ɨ' (버로어 철자법에서는 'õ' 또는 'y'로 표기)는 조화 목적상 후설 모음으로 간주되지만, 접미사 및 어미에 나타나지 않으므로 조화 자체에는 참여하지 않는다.[1]


에스토니아어 및 핀란드어와 비교한 몇 가지 예시는 다음과 같다.

버로어에스토니아어핀란드어의미
küläkülakylä마을
küsünüqküsinudkysynyt물었다
hõbõhõnõhõbedanehopeinen은색(형용사)

[1]

rowspan="2" |전설 모음후설 모음
평순원순평순원순

[1]

5. 1. 2. 닿소리 (자음)

대부분의 버로어 자음은 구개음화될 수 있다. 단, 와 는 제외된다. 성문 파열음(q, IPA )는 버로어에서 매우 흔하게 나타난다.

버로어의 닿소리(자음) 체계는 다음과 같다.

colspan="2" rowspan="2" |순음치경음경구개음연구개음성문음
평음구개음화평음구개음화평음구개음화평음구개음화
비음
파열음
파찰음
마찰음무성음
유성음
접근음
전동음


5. 2. 문자

로마자를 사용하며, 에스토니아어와 비슷하지만 몇 가지 차이점이 있다.

ABCDEFGHIJK
LMNOPQRSŠTU
VWÕÄÖÜXYZŽʼ



대부분의 문자 (''ä'', ''ö'', ''ü'', ''õ'' 포함)는 에스토니아어와 같은 소리를 나타내지만, 몇 가지 예외가 있다. 문자 ''q''는 성문 파열음을 나타내고, ''y''는 러시아어의 ''ы''와 매우 유사한 모음인 를 나타낸다 (2005년부터 ''õ''로 표기).

자음의 구개음화는 예각 악센트(´) 또는 아포스트로피(ʼ)로 표시한다. 올바른 조판과 필기에서는, 구개음화 표시는 대문자 높이 위로 확장되지 않으며 (대문자 ''Ń'', ''Ŕ'', ''Ś'', ''V́'' 등 제외), 문자에 올림꼴이 없으면 문자 위에 쓰고 (''ǵ'', ''ḿ'', ''ń'', ''ṕ'', ''ŕ'', ''ś'', ''v́'' 등), 그렇지 않으면 오른쪽에 쓴다 (''bʼ'', ''dʼ'', ''fʼ'', ''hʼ'', ''kʼ'', ''lʼ'', ''tʼ''). 일부 자료에서는 모든 경우에 문자를 아포스트로피 뒤에 놓는다.

5. 3. 문법

버로어는 에스토니아어와 마찬가지로 교착어적인 특징을 가진다.

명사는 주격, 소유격, 분격, 내격, 탈격 등 다양한 격으로 활용된다.

단수
어미
복수
어미
의미/용도
주격 (nimekäänüs)-∅-q주어
대격-∅완료/완전한 목적어
소유격 (umakäänüs)-i, -(i)dõ소유, 관계
분격 (osakäänüs)-∅, -d, -t-i, -id, -it불완료/부분적인 목적어
colspan="4" |
내격 (sissekäänüs)-∅, -he, -htõ-i, -(i)he, -dõhe내부로의 이동
내포격 (seenkäänüs)-(h)n-i(h)n, -(i)dõ(h)n내부에 있음
탈격 (seestkäänüs)-st-ist, -(i)dõst외부로의 이동
colspan="4" |
향격 (päälekäänüs)-lõ-ilõ, -(i)dõlõ~에, ~을 향한 이동
조격 (päälkäänüs)-l-il, -(i)dõl~에 있음
이탈격 (päältkäänüs)-lt-ilt, -(i)dõlt~에서 떨어져 나옴
colspan="4" |
변환격 (saajakäänüs)-s-is, -(i)dõs~으로 변화
종지격 (piirikäänüs)-niq-iniq, -(i)dõniq~까지
부재격 (ilmakäänüs)-ldaq-ildaq, -(i)dõldaq~없이, 부족
공동격 (ütenkäänüs)-gaq-igaq, -(i)dõgaq~와 함께, ~을 통해


  • 대격은 일반적으로 버로어 문법에서 별도의 격으로 간주되지 않으며, 항상 주격 또는 소유격과 동일하다.
  • ''d''로 시작하는 어미가 파열음으로 끝나는 어간에 붙으면 자동으로 ''t''로 무성음화된다.


동사는 인칭과 수, 시제에 따라 활용되며, 부정형은 에스토니아어핀란드어와 달리 부정 입자를 동사 뒤에 붙여 표현한다.

직설법의 3인칭 단수는 어미가 없거나, 또는 ''s''로 끝날 수 있다.

버로어에스토니아어핀란드어의미
kirotaskirjutabkirjoittaa쓴다
andannabantaa준다



핀어군 언어 중 이러한 이중 동사 활용은 남부 에스토니아어와 카렐리아어에서만 발견된다.

버로어는 동사 뒤에 붙는 부정 입자를 사용하지만, 표준 에스토니아어와 핀란드어는 동사 앞에 오는 부정 동사를 사용한다. 에스토니아어와 핀란드어에서는 현재와 과거 모두 부정에 ''ei''(핀란드어 ''en/et/ei/emme/ette/eivät'')라는 부정 동사를 사용하지만, 버로어에서는 ''-i(q)'' 또는 ''-s''로 끝나는 서로 다른 입자를 사용하여 동일한 표현을 한다.

버로어에스토니아어핀란드어의미
saq anna-aiqsa ei annasinä et anna너는 주지 않는다
maq tulõ-õiqma ei tuleminä en tule나는 오지 않는다
saq anna-assa ei andnudsinä et antanut너는 주지 않았다
maq tulõ-õsma ei tulnudminä en tullut나는 오지 않았다


6. 방언

버로어는 오늘날 에스토니아 영토 남부에서 쓰이던 부족들의 말을 이어받았고, 에스토니아어는 북부 부족의 말을 이어받았다. 버로어를 쓰는 사람들은 오늘날에는 라트비아러시아 영토에 속해 있는 다른 조그만 지역에서도 살았다. 버로어 외에 남부의 주요 방언으로는 물기 방언, 타르투 방언, 그리고 Setu keel|세토 방언et 등이 있다.[12]

Setu keel|세토 방언et의 화자들은 자신들의 언어를 버로어와 구별되는 별개의 언어(Setu keel|세투어et)로 인식하는 경향이 있다.

7. 어휘

에스토니아어에는 없는 고어 어휘가 남아 있으며, 일상 어휘에서도 차이가 나타난다.[1] 버로어에서는 일상 어휘로 사용되는 단어들이 에스토니아어에서는 낡은 문어 어휘로 남아있기도 하다.[1]

8. 사용 예시

다음은 세계 인권 선언 제1조의 버로어, 표준 에스토니아어, 핀란드어 번역이다.

Kyik inemiseq sünnüseq vapos ja ütesugumaidsis uma avvo ja õiguisi poolõst. Näile om annõt mudsu ja süämetunnistus ja nä piät ütsʼtõõsõga vele muudu läbi käümä.vro

Kõik inimesed sünnivad vabadena ja võrdsetena oma väärikuselt ja õigustelt. Neile on antud mõistus ja südametunnistus ja nende suhtumist üksteisesse peab kandma vendluse vaim.et

Kaikki ihmiset syntyvät vapaina ja tasavertaisina arvoltaan ja oikeuksiltaan. Heille on annettu järki ja omatunto, ja heidän on toimittava toisiaan kohtaan veljeyden hengessä.fi

참조

[1] 문서 e25|vro
[2] 웹사이트 Recent Events http://www.iub.edu/~[...] Iub.edu 2014-08-23
[3] 웹사이트 Päring LINGUAE andmebaasist. Keelte nimetused http://www.eki.ee/cg[...] Eki.ee 2014-08-23
[4] 웹사이트 ISO 639 code sets http://www-01.sil.or[...] Sil.org 2014-08-23
[5] 웹사이트 Võru kirjakeele sõnamuutmissüsteem (Inflectional Morphology in the Võro Literary Language) http://dspace.utlib.[...] Dspace.utlib.ee
[6] 웹사이트 Maintenance of South Estonian Varieties: A Focus on Institutions https://www.ecmi.de/[...] Journal on Ethnopolitics and Minority Issues in Europe 2015-12-09
[7] 웹사이트 Legal and Institutional Framework Analysis: Seto and Võro languages https://fedora.phaid[...] Working Papers in European Language Diversity 19 2015-12-09
[8] 웹사이트 Eesti Emakeelega Püsielanikud Murdekeele Oskuse Ja Soo Järgi, 31. Detsember 2011 http://pub.stat.ee/p[...] Statistikaamet, Pub.stat.ee 2014-08-23
[9] 웹사이트 Võro Instituut » Welcome! http://wi.ee/index.p[...] Wi.ee 2014-08-23
[10] 웹사이트 Võro language https://wi.ee/en/vor[...] 2014-08-23
[11] 웹사이트 Võro language and alphabet http://www.omniglot.[...] Omniglot.com 2014-08-23
[12] 웹사이트 Võro kiil https://phaidra.univ[...] Studies in European Language Diversity 23.2 2015-12-09
[13] 웹사이트 The Võro language in Estonia: ELDIA Case-Specific Report https://phaidra.univ[...] Studies in European Language Diversity 23 2015-12-09
[14] 웹사이트 UNESCO Atlas of the World's Languages in danger http://www.unesco.or[...] Unesco.org 2014-08-23
[15] 웹사이트 RL21446: POPULATION WITH ESTONIAN AS THEIR MOTHER TONGUE BY ABILITY TO SPEAK A DIALECT, AGE GROUP, SEX, AND PLACE OF RESIDENCE (ADMINISTRATIVE UNIT), 31 DECEMBER 2021 https://andmed.stat.[...] 2024-07-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