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번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번제는 희생 제물의 한 형태로, 고대 그리스어에서 유래된 단어 '홀로카우스토스'에서 파생되었다. 고대 그리스에서는 신이나 영웅에게 동물을 희생하고 태우는 의식으로, 지하 세계의 영혼을 달래거나 위험한 힘을 다스리기 위해 행해졌다. 유대교에서는 제물을 완전히 불태우는 형태의 코르반으로, 70인역에서 '홀로카우테인'으로 번역되었다. 힌두교에서는 야즈나라고 불리며, 불을 통해 신에게 소통하는 의식으로, 기, 곡물 등을 태우며 만트라를 낭송한다. 한국 전통 종교에서도 삼국시대 제천 의식, 고려시대 팔관회, 조선시대 종묘 제례 등 다양한 형태로 번제가 행해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공희 - 부장품
    부장품은 고인과 함께 매장되는 물건으로, 장례 의식과 깊은 관련이 있으며 사회적 지위, 신앙, 사후 세계관을 반영하는 지표로서 고고학 연구에 활용되고 현대 장례 문화에도 남아있다.
  • 공희 - 봉선
    봉선은 고대 중국 황제가 하늘과 땅에 제사를 지내는 의식으로, 태산에서 주로 거행되었으며, 진시황부터 건륭제까지 여러 황제에 의해 거행되었고, 현대에는 전통을 계승하는 축제가 열리고 있다.
  • 동물공희 - 코르반
    코르반은 셈족 어근에서 유래한 용어로, 유대교에서 하느님께 바치는 선물로서, 하느님과의 교류, 감사와 사랑의 표현, 죄의 속죄 과정에서 역할을 담당했지만, 진정한 회개와 보상이 없을 시 효력이 제한되었으며, 제2성전 파괴 이후 희생 제사는 중단되었으나 랍비 유대교는 텍스트 연구와 기도로 이를 대체하고 메시아 시대에 재개될 가능성이 있다.
  • 동물공희 - 아슈바메다
    아슈바메다는 고대 인도 왕이 권력, 영광, 영토 확장 등을 위해 수행했던 말 희생 의식이며, 굽타 제국 시대 금화에도 나타나고 복잡한 절차를 거쳤으며 비판도 받았으나 현대에는 상징적인 의미로 재해석되기도 한다.
  • 불과 종교 - 배화신전
    배화신전은 조로아스터교에서 불을 숭배하기 위해 지어진 사당으로, 아타쉬라는 불을 모시는 장소이며 불의 등급에 따라 아타쉬 다드가, 아타쉬 아다란, 아타쉬 바흐람으로 나뉘고 사산 제국 시대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으며 오늘날에도 조로아스터교 신앙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 불과 종교 - 하누카 메노라
    하누카 메노라는 하누카 축제에 불을 밝히는 아홉 개의 가지가 달린 촛대 또는 기름 램프로, 8개의 촛불 또는 기름 램프와 점화에 사용되는 샴마쉬로 구성되며, 공공 장소 전시나 박물관 소장 외에 크리스마스 트리에서 영감을 받은 형태나 디지털 메노라도 있다.
번제
종교 의례
제단에서 불타는 희생 제물을 묘사한 그림
제단에서 불타는 희생 제물을 묘사한 그림
개요
명칭번제
다른 이름홀로코스트 (Holocaust)
전소 제물
올라 (עֹלָה)
정의동물을 불태워 바치는 종교 의례
기원고대 근동 지역
사용 종교고대 이스라엘 종교
유대교
기독교
상세 내용
목적신에게 봉헌
죄의 정화
헌신 표현
제물

염소
비둘기
의식 절차제물 선택
제물 도살
제물 태움
기도
성경적 근거레위기
구약성경
상징성완전한 헌신
죄의 대가
신과의 화해
유대교에서의 번제
명칭코르반 올라 (קרבן עולה)
의미"올라"는 "올라가다"를 의미하며, 제물의 연기가 하늘로 올라가는 것을 상징함
특징제물 전체를 태움
제사장의 몫이 없음
자발적인 헌납
종류정기 번제 (매일 아침, 저녁)
특별 번제 (명절, 특별한 날)
현대 유대교성전 파괴 이후 번제 의식은 중단되었으나, 기도를 통해 그 의미를 되새김
기독교에서의 번제
의미예수 그리스도의 희생을 상징
신에 대한 완전한 헌신
신약성경히브리서에서 예수 그리스도의 희생을 번제와 연결하여 설명
현대 기독교번제 의식은 행해지지 않으나, 그 정신은 예배와 봉사를 통해 이어짐
기타
관련 용어희생 제물
제사
제단
성전

2. 어원

번제의 영문명인 홀로코스트(Holocaust)는 앵글로노르만어 단어인 홀로카우스테(holocauste)와 후기 라틴어 홀로카우스툼(holocaustum)에서 파생된 중세 영어 홀로코스트(holocaust)에서 유래하였다. 원래 어원은 고대 그리스어 ''holokaustos'' (ὁλόκαυστος)의 중성형으로, ὅλος (hólos, "전체") + καυστός (kaustós, "불에 탄") 또는 καίω (kaíō, "나는 태운다")에서 유래되었으며, 선행하는 h를 발음하기 위해 거친 숨표가 사용되었다.

3. 고대 그리스의 번제

''홀로카우테인''(ὁλοκαυτεῖν)은 그리스 희생 제사의 두 가지 주요 동사 중 하나로, 희생 제물이 완전히 파괴되어 불에 타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신과 신봉자들이 함께 식사를 나누는 공생 희생인 ''튀에스다이''(θύεσθαι)와는 대조된다.[10] ''튀에스다이''의 경우, 희생된 동물의 먹을 수 있는 부분은 구워져 축제 행사에 분배되었고, 먹을 수 없는 부분은 신의 몫으로 제단에서 불태워졌다. 그리스인들은 동물이 세속적인 유용성(우유, 달걀, 쟁기질) 외에도 생명의 신성함을 공유한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단순히 희생 없이 동물을 소비하는 것보다 신이나 영웅에게 가축을 희생하고 그 고기를 음식으로 사용하는 것을 선호했다. 이는 사냥감, 생선 및 기타 해산물에는 적용되지 않았으며, 생선은 고대 그리스 시장에서 판매되는 주요 식품이었다. 희생 제사는 사제와 제단을 포함하는 공공 행사일 필요는 없었으며, 개인적, 가정적, 또는 개별적으로 열릴 수도 있었다.

홀로카우테인은 그리스 희생 의식의 한 유형으로, 다른 신들에게 적합하고, 다른 목적으로 수행되며, 다른 방법으로 진행된다. 부정 방지 의식으로, 죽은 자의 영인 그리스 영웅 숭배를 포함하여 지하 세계의 영혼을 달래기 위한 것이며, 케레스와 헤카테와 같은 위험한 힘에게도 주어진다. 가장 초기에 증명된 홀로카우테인 중 하나는 크세노폰이 제우스 메일리키우스에게 돼지를 바친 것이었다.[1]

홀로카우테인은 밤에 포도주 없이, 머리가 아래로 향하게 하여 검은 가죽 동물을 낮은 제단에서 바치는 것이다. 이 모든 점에서 올림포스 신에게 바치는 공생 희생과 대립된다. 이러한 구별은 극단적인 유형 사이의 것이며, 제인 해리슨과 같이 20세기 초에 다소 과장되었다. 영웅에게 바치는 공생 희생에 대한 상당한 증거도 발견되었다.[11]

데메테르에게 돼지를 희생하는 모습(톤도, 기원전 510년~500년경 아테네 적색 화가의 킬릭스)

4. 유대교의 번제

타나크에서 처음으로 묘사된 희생의 형태로, 노아의 희생제사에서 처음으로 언급되었는데, 노아는 하나님께 경의를 표하기 위해 번제를 드렸다. 번제는 제단에서 완전히 태워졌다.[12] 첫번째 성전과 두번째 성전 기간 동안, 불타는 제물은 예루살렘 성전 제단에서 하루에 두 번 동물공희 제물로 불에 완전히 태워졌다. 그러나 동물의 피부는 태워지지 않고 대신 제사장에게 주어졌으며, 이 피부는 토셰프타 할라흐(Tosefta Hallah)에서 24개의 성직자 선물 중 하나로 나열된다.[13]

성소의 분향단, 번제단, 그리고 씻는 물통; 1890년 홀먼 성경 삽화


"번제"는 일종의 코르반 (희생 제물)으로, 특히 희생 제물 전체를 불로 완전히 태우는 동물 희생이다. 히브리 성경이 코이네 그리스어 70인역으로 번역되었을 때, 번역가들은 히브리어 '올라'를 번역하기 위해 그리스어 용어 '홀로카우테인'을 사용했다.[3] 고기 부위가 전혀 남지 않아 누구에게도 돌아가지 않는 이 형태의 희생 제물은 가장 위대한 형태의 희생으로 여겨졌으며,[4] 유대인이방인이 성전에서만 드릴 수 있도록 허용된 희생 제물의 형태였다.[4]

"전제"는 신에게 할당된 부분이 전부로 증가하는 극단적인 형태의 도살 제물에서 발전한 것으로 여겨진다.[4] 도살 제물에서 신에게 할당된 부분은 주로 지방이었는데, 지방은 가장 쉽게 태울 수 있는 부분이었다.

동물들은 먼저 질병이 없고 흠이 없는지 확인한 후 (희생 제물의 요건), 제단 북쪽으로 끌려와 제물을 바치는 사람이나 제사장에 의해 죽임을 당했다. 동물의 피는 제사장에 의해 조심스럽게 수집되어 제단 주변에 뿌려졌다. 동물이 새가 아닌 한, 시체가 껍질이 벗겨졌고 가죽은 제사장에게 주어졌는데, 그는 그것을 보관할 수 있었다. 후대에는 더 권력 있는 제사장들이 하위 제사장들로부터 가죽을 빼앗았고, 가죽은 판매되어 그 수익금이 예루살렘 성전에 기증되어야 한다고 규정되었다(토세프타 19). 동물의 살은 탈무드에 의해 주어진 자세한 지침에 따라 나뉘어졌으며(타미드 31), 제단 위의 나무에 올려져 (매일 수행되는 많은 제물로 인해 끊임없이 불타고 있었다) 천천히 태워졌다. 살점(뿔과 염소 수염 포함)이 재로 변한 후, 보통 다음날 아침, 재는 제사장에 의해 성소 밖의 의식적 정결함이 있는 장소로 옮겨져 그곳에 버려졌다.[5][6]

대부분의 성서 학자들은 이제 토라에 의해 주어진 전제의 복잡한 세부 사항, 특히 다양한 축제일에 드리는 동물의 종류와 수, 그리고 탈무드에 주어진 복잡한 지침들이 늦은 기원이라는 데 동의한다.[4] 전제는 초창기에는 매우 드물었지만, 의식이 더욱 고정되고 법규화되면서, 그리고 단일 성소로의 희생 집중(특히 요시야의 개혁 이후)으로 인해 희생이 단순히 식용으로 동물을 죽이는 것과 매우 구별되면서, 전제는 점차적으로 큰 중요성을 갖게 되었다.[4]

5. 힌두교의 번제

힌두교의 번제는 야즈나(यज्ञsa)라고 부른다. 그 기원은 고대 인도아리아인들의 전통 제식 문화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 있으며, 현재도 힌두교 사원이나 전통마을 혹은 결혼식과 같은 주요 행사들을 중심으로 계속되고 있다. 주로 성화를 피운 제단을 차리고, 기이, 곡물, 음식, 소마 등을 제물로 바쳐 태우며, 베다만트라를 낭송하는 절차로 진행된다. 불을 통해 연기가 하늘로 올라감으로써 인간의 뜻이 신들의 세계로 전달된다는 믿음이 바탕이 되며, 야즈나의 목적은 단순히 신을 찬양하는 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세속적인 복을 기원하는 의미가 강하다. 베다 시대에는 '아슈바메다'와 같은 산 제물을 바치는 번제 중심으로 치러졌으나, 점차 형식이 간소화되면서 산 제물 대신 음식 종류들이 번제물로 사용되고 있다.[14]

6. 한국 전통 종교의 번제

(원문 소스가 제공되지 않았으므로,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참조

[1] 기타
[2] 기타
[3] 서적 Ancient Israel: its life and institutions 1997
[4] 간행물 Jewish Encyclopedia
[5] 웹사이트 Burnt Offering http://jewishencyclo[...] 1901–1905
[6] 성경
[7] 논문 燔祭/ホロコーストと応答可能性 http://id.nii.ac.jp/[...] 京都光華女子大学 2010-12
[8] 웹사이트 燔祭(はんさい)とは https://kotobank.jp/[...] 2020-08-24
[9] 웹사이트 BibleHub.com Leviticus 1:9 https://biblehub.com[...]
[10] 기타
[11] 기타
[12] 서적 Jewish Study Bible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6-04-01
[13] 서적 The Comparative Hermeneutics of Rabbinic Judaism: Why this, not that?
[14] 서적 Ritual Worship of the Great Goddess: The Liturgy of the Durga Puja with Interpretations https://books.googl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