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리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보리멸은 보리멸과에 속하는 물고기이며, 1775년 페테르 포르스콜에 의해 처음 학명이 붙여졌다. 몸은 가늘고 길며, 인도양과 서태평양에 광범위하게 분포한다. 주로 다모류, 작은 새우, 요각류 등을 먹으며, 위험을 느끼면 모래 속에 몸을 숨기는 습성이 있다. 중요한 상업적 어종으로, 다양한 어업 방식으로 어획되며, 한국에서는 낚시 대상 어종으로 인기가 높고 식용으로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보리멸과 - 청보리멸
청보리멸(*Sillago japonica*)은 동아시아 연안에 분포하는 실라기오속 어종으로, 상업적 가치와 낚시 인기가 높으며, 다양한 천해 환경에서 저서생활을 하고, 특징적인 부레 형태와 몸 색깔, 식성 변화, 무리 생활 및 모래 속에 숨는 습성을 가진다. - 1775년 기재된 물고기 - 무명갈전갱이
무명갈전갱이는 태평양과 인도양의 열대 및 아열대 해역에 널리 분포하는 전갱이과 어류로, 자이언트 트레발리라고도 불리며 스포츠 피싱 대상어로 인기가 높지만, 시구아테라 독을 가진 경우가 있어 섭취에 주의해야 하고, 하와이에서는 울루아라고 불리며 존경받는다. - 1775년 기재된 물고기 - 갯장어
갯장어는 날카로운 이빨과 긴 몸을 가진 뱀장어목 갯장어과의 바닷물고기로, 서태평양과 인도양의 열대, 온대 해역에 서식하며 한국, 일본 등지에서 식용으로 이용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 - 공 (악기)
공은 금속으로 제작된 타악기로, 다양한 문화권에서 의식, 신호, 음악 연주 등에 사용되며, 형태와 용도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 - 국무회의
국무회의는 대한민국 대통령을 의장으로, 예산, 법률안, 외교, 군사 등 국정 현안을 심의하는 중요한 기관이며, 대통령, 국무총리, 국무위원으로 구성되고, 정례회의는 매주 1회, 임시회의는 필요에 따라 소집된다.
보리멸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학명 | Sillago sihama |
명명자 | Fabricius, 1775 |
영명 | Northern whiting |
분류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강 | 조기어강 |
상목 | 극기상목 |
목 | incertae sedis 또는 농어목 |
과 | 보리멸과 |
속 | 보리멸속 |
분포 | |
![]() | |
서식지 | 알려지지 않음 (문서 내 정보 부족) |
동종이명 | |
보존 상태 | |
IUCN | 최소관심종 |
IUCN 3.1 | LC |
IUCN 참고 | https://www.iucnredlist.org/species/203423/115349449 |
2. 분류
북부 보리멸은 보리멸과 보리멸속에 속하는 어종이다. 보리멸과는 이전에는 농어아목 농어상목으로 분류되었으나, ''Fishes of the World'' 제5판에서는 도다리목으로 분류한다.[3] 1775년 페테르 포르스콜이 처음 ''Atherina sihama''라는 학명으로 학계에 보고하였는데, 처음에는 둑중개의 한 종으로 오인하였다. 이후 넙치과 속으로 분류되기도 하였으나, 1816년 새로운 속인 ''Sillago''로 재분류되었다.[4] ''S. sihama''는 보리멸속의 기준종이며, 보리멸과의 기준종이기도 하다.
2. 1. 학명과 이명
페테르 포르스콜은 1775년에 보리멸을 멸치류로 오인하여 ''Atherina sihama''라는 학명을 부여했다.[24][25] 이후 보리멸은 코치속으로 분류되었다가 1816년에 ''Sillago'' 속이 새롭게 만들어지면서 이 속으로 옮겨졌다.[25] ''Sillago sihama''는 보리멸속의 기준종이며, 1846년에 명명된 보리멸과의 기준종이기도 하다.''Sillago sihama''로 명명된 이후에도, 조르주 퀴비에가 ''S. acuta''와 ''S. erythraea''로, 블로흐와 슈나이더가 ''Sciaena malabarica''로 명명하는 등 세 번의 독립적인 명명이 더 있었다.[1][24] 그러나 이들은 모두 주니어 동의어로, ICZN에 의해 인정되지 않는다.
보리멸은 넓은 분포 지역 때문에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는데, 영어권에서는 northern whiting, silver whiting, sand smelt, silver sillago 등이 일반적인 이름이다.[5][26]
3. 형태
보리멸은 몸이 가늘고 길며, 약간 측편되어 있다. 입은 뾰족하고, 등지느러미는 두 부분으로 나뉜다. 제1등지느러미는 11개의 가시를 가지며, 제2등지느러미는 1개의 가시와 20~23개의 연조로 구성된다. 뒷지느러미는 2개의 가시와 21~23개의 연조로 구성된다. 측선 비늘 수는 66~72개이고, 볼 비늘은 3~4열로 배열되어 있으며, 모두 빗비늘이다. 척추뼈는 총 34개이다. 부레는 앞쪽에서 2쌍, 뒤쪽에서 1쌍의 돌기가 뻗어 있는 특징적인 형태를 가져 동정에 가장 확실한 특징이다. 앞쪽 돌기는 앞으로 뻗어 기저후두골의 측면, 이갑개 위쪽에서 끝난다. 다른 1쌍의 돌기는 측면에서 뻗어 이분되어 한쪽은 복벽을 따라 앞으로 뻗는 맹관이 되고, 다른 한쪽은 얽힌 맹관이 되어 뒤쪽으로 뻗는다. 뒤쪽 돌기는 가늘어져 꼬리 쪽으로 향하며, 일반적으로 한쪽이 더 길다.[1][24] 최대 31cm까지 성장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6][27]
3. 1. 색상
몸 색깔은 밝은 황갈색, 은색 황갈색, 모래색 갈색, 꿀색 등 다양하다. 물고기의 아랫면은 일반적으로 더 옅은 갈색에서 흰색을 띤다. 체측에는 은색 세로 줄무늬가 있는 경우가 많다.[1][24] 등지느러미 가장자리는 어두운 색이며, 제2등지느러미에는 갈색 반점이 있을 수 있다.[1][24] 꼬리지느러미 끝은 어둡고, 다른 보리멸과 달리 가슴지느러미 기저부에 어두운 반점이 없다.[1][24] 다른 모든 지느러미는 투명한하지만, 뒷지느러미는 때때로 흰색 가장자리를 가진다.[1]4. 분포 및 서식지
보리멸은 보리멸과 어류 중 가장 넓은 지역에 분포하지만, 인도양과 서태평양에 한정되어 분포한다. 남아프리카에서 아프리카 동해안, 홍해, 페르시아만, 인도, 동남아시아, 동아시아(한국, 일본, 대만) 해안을 따라 흔하게 발견되며, 인도네시아, 필리핀 전역, 호주 북부까지 뻗어 분포한다.[1][10] 일본에서 발견되었다는 기록도 있지만, S. japonica과 혼동되었을 가능성이 있다.[9]
1977년 이래로 레셉스 이동의 일환으로 수에즈 운하를 통해 지중해 동부로 유입되어 외래종으로 간주된다.[11] 실제로 지중해를 침입한 보리멸 종은 S. suezensis이다.[12]
4. 1. 서식 환경
보리멸은 주로 수심 20m 이내의 얕은 연안에 서식한다. 파도가 치는 해변과 사주는 물론, 맹그로브 숲이나 갯벌과 같이 비교적 파도가 잔잔한 만에서도 발견된다.[13]낮은 염분 농도에 적응된 특별한 구조는 없지만, 하구나 민물에서도 자주 발견된다. 다른 보리멸과 달리, 일 년 내내 먼바다로 이동하지 않는다.[33]
5. 생태
보리멸은 위험을 느끼면 모래 속에 몸을 숨기는 습성이 있어, 일부 국가에서는 '모래 파는 물고기'라고 불린다.[14]
5. 1. 먹이
보리멸은 주로 다모류, 작은 새우, 요각류를 먹는다.[14][34] 십각류,[15] 달랑게, 새우, 단각류 등 다른 갑각류도 섭취하며,[35] 모래게도 먹는다. 작은 물고기나 실 모양의 녹조류를 먹기도 한다.[34] 오스트레일리아 개체는 다모류와 소형 갑각류를 먹는다.보리멸은 다른 공존하는 둑중개과 어류 및 다른 어류와 비교하여 유사하지만 약간 다른 식단을 가지며,[1] 식단이 겹치는 경우는 거의 없다.[24] 유어와 성어는 먹이 종류에 차이를 보이는데, 유어는 요각류와 같은 동물플랑크톤을 섭취하는 반면,[16] 성어는 더 큰 갑각류와 다모류를 섭취한다.[36]
5. 2. 번식
보리멸은 수컷의 경우 최소 106mm, 암컷의 경우 117mm에서 성적 성숙에 도달하지만, 대부분의 개체는 130mm 정도의 크기에 1년생이 되면 성숙한다.[17] 성장이 빨라 1년에 13cm~14cm, 2년에 16cm~20cm, 3년에 20cm~24cm, 4년에 24cm~28cm까지 자란다.[18]산란은 연중 이루어지지만, 서식지에 따라 산란 시기가 다르다. 태국에서는 8~11월,[24] 필리핀에서는 11~4월,[24] 인도에서는 11~3월,[39] 스리랑카에서는 7~2월(11월에 절정)에 번식한다.[40] 알은 구형이며 무색이고 부유성이며 지름은 0.5mm~0.6mm이고 큰 기름 방울은 없다.[41] 포란수는 16,682개에서 166,130개 사이로 다양하다.[24] 보리멸의 알과 유생 발달은 Bensam과 Kato et al.에 의해 자세히 기록되어 있으며, 유생의 특징은 꼬리지느러미 기부에 흑색소포가 세로로 배열되는 것이다.[24][42]
6. 인간과의 관계
보리멸은 중요한 상업적 어종으로, 다양한 어업 방식으로 어획된다. 파키스탄에서는 6~7월에 주로 어획되며, 1980년 102ton, 1982년 859ton, 평균 404ton 정도 어획되었다.[1] 중국 연안에서는 남획과 환경 오염으로 인해 개체 수가 위협받고 있다.[23]
참조
[1]
간행물
"''Sillago sihama''"
2024-07-02
[2]
웹사이트
[3]
서적
Fishes of the World
John Wiley & Sons
[4]
논문
A Revision of the Fishes of the Family Sillaginidae
[5]
웹사이트
[6]
서적
FAO Species Catalogue: Vol. 14. Sillaginid Fishes Of The World
ftp://ftp.fao.org/do[...]
Food and Agricultural Organisation
[7]
논문
Catalogue of Malayan Fishes
https://books.google[...]
Baptist Mission Press
2008-05-12
[8]
서적
Coastal fishes of south-eastern Australia
University of Hawaii Press
[9]
서적
FAO species identification guide for fishery purposes. The living marine resources of the Western Central Pacific. Volume 5. Bony fishes part 3 (Menidae to Pomacentridae)
ftp://ftp.fao.org/do[...]
FAO
[10]
논문
Scale-dependent variation in composition of fish fauna among sandy tropical estuarine embayments
https://researchonli[...]
[11]
논문
Impact of Red Sea Fish Migrants through the Suez Canal on the Aquatic Environment of the Eastern Mediterranean
http://environment.y[...]
2007-10-14
[12]
논문
"''Sillago suezensis'', a new whiting from the northern Red Sea, and status of ''Sillago erythraea'' Cuvier (Teleostei: Sillaginidae)"
[13]
논문
Juveniles of two sillaginids, Sillago aeolus and S. sihama, occurring in a surf zone in the Philippines
The Ichthyological Society of Japan
[14]
논문
Feeding ecology of two sillaginid fishes and trophic interrelations with other co-existing species in the southern part of South China Sea
Springer
[15]
논문
Food habits of Sillago sihama (Froskal, 1775) in the Iraqi marine waters, northwest Persian Gulf / Iraq
[16]
논문
Feeding habits of two sillaginid fishes, Sillago sihama and S-aeolus, at Sikao Bay, Trang Province, Thailand
[17]
논문
Reproductive biology of two sillaginid fishes, ''Sillago sihama'' and ''S. aeolus'', in tropical coastal waters of Thailand
http://sciencelinks.[...]
2007-11-15
[18]
논문
Occurrence of growth rings on the otoliths of the Indian whiting, Sillago sihama (Forsskål)
[19]
논문
Marine plankton from waters around the Krusadai Islands
[20]
논문
Sillaginid fishes of Palk Bay and Gulf of Mannar with an account on the maturation and spawning of Indian sand whiting, ''Sillago sihama'' (Forsskal)
http://eprints.cmfri[...]
2012-05-23
[21]
논문
Studies on the maturation and spawning of the Indian whiting (Sillago sihama Forsskål) from Karwar waters
[22]
논문
Eggs and early larvae of the sand whiting ''Silligo sihama'' (Forsskal)
http://eprints.cmfri[...]
2012-05-23
[23]
논문
Fish resources and their conservation strategies in Hepu Dugong State Nature Reserve and its adjacent waters
[24]
웹사이트
2007-09-05
[25]
논문
A Revision of the Fishes of the Family Sillaginidae
[26]
웹사이트
[27]
서적
FAO Species Catalogue: Vol. 14. Sillaginid Fishes Of The World
ftp://ftp.fao.org/do[...]
Food and Agricultural Organisation
[28]
논문
Catalogue of Malayan Fishes
https://books.google[...]
Baptist Mission Press
2008-05-12
[29]
서적
Coastal fishes of south-eastern Australia
University of Hawaii Press
[30]
서적
FAO species identification guide for fishery purposes. The living marine resources of the Western Central Pacific. Volume 5. Bony fishes part 3 (Menidae to Pomacentridae)
ftp://ftp.fao.org/do[...]
FAO
[31]
논문
Scale-dependent variation in composition of fish fauna among sandy tropical estuarine embayments
http://www.int-res.c[...]
2007-11-14
[32]
논문
Impact of Red Sea Fish Migrants through the Suez Canal on the Aquatic Environment of the Eastern Mediterranean
http://www.environme[...]
2013-10-15
[33]
논문
Juveniles of two sillaginids, Sillago aeolus and S. sihama, occurring in a surf zone in the Philippines
The Ichthyological Society of Japan
[34]
논문
Feeding ecology of two sillaginid fishes and trophic interrelations with other co-existing species in the southern part of South China Sea
Springer
[35]
논문
Food habits of Sillago sihama (Froskal, 1775) in the Iraqi marine waters, northwest Persian Gulf / Iraq
[36]
간행물
Feeding habits of two sillaginid fishes, Sillago sihama and S-aeolus, at Sikao Bay, Trang Province, Thailand
[37]
간행물
Reproductive biology of two sillaginid fishes, ''Sillago sihama'' and ''S. aeolus'', in tropical coastal waters of Thailand
http://sciencelinks.[...]
2007-11-15
[38]
간행물
Occurrence of growth rings on the otoliths of the Indian whiting, Sillago sihama (Forsskål)
[39]
간행물
Marine plankton from waters around the Krusadai Islands
[40]
간행물
Sillaginid fishes of Palk Bay and Gulf of Mannar with an account on the maturation and spawning of Indian sand whiting, ''Sillago sihama'' (Forsskal)
http://eprints.cmfri[...]
2012-05-23
[41]
간행물
Studies on the maturation and spawning of the Indian whiting (Sillago sihama Forsskål) from Karwar waters
[42]
간행물
Eggs and early larvae of the sand whiting ''Silligo sihama'' (Forsskal)
http://eprints.cmfri[...]
2012-05-23
[43]
간행물
Fish resources and their conservation strategies in Hepu Dugong State Nature Reserve and its adjacent water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