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부분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부분군은 군의 부분 집합으로, 군의 연산을 상속받아 스스로 군을 이루는 것을 말한다. 군 G의 부분군 H는 항등원을 포함하고, H의 두 원소의 곱과 역원이 H에 속해야 한다. 모든 군은 자명 부분군과 진부분군을 가지며, 부분군의 항등원과 역원은 전체 군과 일치한다. 또한, 부분군들의 교집합은 부분군이지만, 합집합은 특정 조건에서만 부분군이 된다. 부분군의 개념은 잉여류, 라그랑주 정리, 정규 부분군, 몫군 등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으며, 순환군, 정이면체군, 대칭군 등 다양한 군에서 부분군의 구체적인 예를 찾아볼 수 있다.

2. 정의

G의 '''부분군'''은 다음 세 조건을 만족시키는 부분 집합 H\subseteq G이다.


  • 1\in H. 즉, 항등원H에 속한다.
  • 임의의 g,h\in H에 대하여, gh\in H. 즉, H의 두 원소의 곱은 H에 속한다.
  • 임의의 g\in H에 대하여, g^{-1}\in H. 즉, H의 원소의 역원H에 속한다.


항등원을 유일한 원소로 하는 부분 집합 \{1\}\subseteq GG의 부분군을 이룬다. 이를 G의 '''자명 부분군'''(trivial ~영어)이라고 한다. 군 전체 G\subseteq GG의 부분군이다. G가 아닌 G의 부분군을 G의 '''진부분군'''(proper ~영어)이라고 한다.

만약 HG의 부분군이라면, 흔히

:H\le G

라고 쓴다. 만약 HG의 부분군이며, H\ne G라면, 흔히

:H\lneq G

라고 쓴다.

부분군 H\le GG의 연산을 물려받아 스스로 군을 이룬다. G의 이항 연산을 \cdot\colon G\times G\to G라고 하였을 때, 이를 H 위로 제한한 이항 연산

:\cdot|_{H\times H}\colon H\times H\to H

을 정의할 수 있다. (일반적인 부분 집합의 경우, 공역H로 제한하지 못할 수 있다.) 또한, H와 이 이항 연산은 군의 공리를 만족시킨다. H 위의 결합 법칙은 G 위의 결합 법칙의 특수한 경우이다. G항등원H에 속하며, 이는 H의 항등원을 이룬다. 임의의 a\in H에 대하여, aG에서의 역원H에 속하며, 이는 aH에서의 역원이다.

3. 성질


  • 부분군의 항등원은 전체 군의 항등원과 같다.
  • 부분군 내 원소의 역원은 전체 군 내 원소의 역원과 같다.
  • 부분군 와 의 교집합은 다시 부분군이 된다.[3] 예를 들어, 덧셈 아래에서 ℝ2의 x축과 y축의 교집합은 원점만을 원소로 하는 자명한 부분군이다.
  • 부분군 와 의 합집합은 또는 인 경우에만 부분군이다.[3] 예를 들어, 2\mathbb Z3\mathbb Z(\mathbb Z,+)의 부분군이지만, 이들의 합집합은 부분군이 아니다.
  • 가 의 부분집합이면, 를 포함하는 가장 작은 부분군이 존재하는데, 이는 를 포함하는 모든 부분군의 교집합이며, 로 표기하고, 에 의해 생성된 부분군이라고 한다.
  • 군 의 모든 원소 는 순환 부분군 를 생성한다. 만약 가 어떤 양의 정수 에 대해 (정수)과 동형이면, 은 를 만족하는 가장 작은 양의 정수이며, 을 의 위수 order영어라고 한다.
  • 주어진 군의 부분군들은 포함 관계 아래에서 완비 격자를 형성하며, 이를 부분군 격자라고 한다.[3] 이 격자에서 하한은 교집합이며, 상한은 부분군들의 합집합을 포함하는 최소의 부분군이다.

3. 1. 필요충분조건

G의 부분 집합 H에 대하여, 다음 세 조건은 서로 동치이다.

  • H \le G
  • H \ne \varnothing이며, 임의의 a, b \in H에 대하여 ab \in H이고, 임의의 a \in H에 대하여 a^{-1} \in H이다.
  • H \ne \varnothing이며, 임의의 a, b \in H에 대하여 ab^{-1} \in H이다.


유한군의 (공집합이 아닌) 부분 집합의 경우, 연산에 대하여 닫혀 있는 것으로 부분군이 되기에 충분하다. 구체적으로, G유한 부분 집합 H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이다.

  • H \le G
  • H \ne \varnothing이며, 임의의 a, b \in H에 대하여 ab \in H이다.


G가 군이고, HG의 부분집합이라고 가정했을 때, G의 군 연산이 곱셈으로 표시된다면, H는 다음을 만족해야 G의 부분군이 된다.

  • H는 공집합이 아니고 곱셈과 역에 대해 닫혀있어야 한다.
  • ''곱셈에 대해 닫혀있다''는 것은 H의 모든 ab에 대해 곱 abH에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 ''역에 대해 닫혀있다''는 것은 H의 모든 a에 대해 역 a^{-1}H에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 H가 ''유한''인 경우, H는 공집합이 아니고 곱셈에 대해 닫혀 있으면 부분군이다.

3. 2. 합집합과 교집합

주어진 군의 임의의 수의 부분군들의 교집합은 부분군이다.[3] 예를 들어, 덧셈 아래에서 ℝ2의 x축과 y축의 교집합은 자명한 부분군이다. 더 일반적으로, G의 부분군들의 임의의 모임의 교집합은 G의 부분군이다.

주어진 군의 부분군들의 합집합은 부분군이 아닐 수 있다. 예를 들어, 두 부분군 H, K \le G에 대하여, H \cup K \le G일 필요충분조건은 H \subseteq K이거나 K \subseteq H인 것이다. 2\mathbb Z3\mathbb Z(\mathbb Z,+)의 부분군이지만, \langle 2\mathbb Z \cup 3\mathbb Z \rangle = \mathbb Z이다. x축과 y축은 (\mathbb R^2,+)의 부분군이지만, 그 합집합을 포함하는 최소의 부분군은 \mathbb R^2이다. 그러나 부분군들의 족이 포함 관계에 의하여 상향 집합을 이룬다면, 그 합집합은 부분군이다. 특히, G의 부분군들의 열 H_0, H_1, H_2, \dots \le G에 대하여, 만약

:H_0 \le H_1 \le H_2 \le \cdots

라면, \textstyle \bigcup_{i \in I} H_iG의 부분군이다.

3. 3. 부분군 격자

부분군들은 포함 관계에 따라 완비 격자를 이룬다. 이를 부분군 격자라고 한다.[3] 이 격자에서 하한은 교집합이며, 상한은 부분군들의 합집합을 포함하는 최소의 부분군이다. 최소 원소는 자명 부분군 \{1\}이며, 최대 원소는 군 G 자신이다.

3. 4. 잉여류와 라그랑주 정리

부분군 H \le G가 주어졌을 때, G 위에 다음과 같은 두 개의 동치 관계를 정의할 수 있다.

:g\sim_{\operatorname{left}}k\iff k^{-1}g\in H

:g\sim_{\operatorname{right}}k\iff gk^{-1}\in H

두 동치 관계에 대한 g\in G의 동치류는 각각 왼쪽·오른쪽 '''잉여류'''이다.

:gH=\{gh\colon h\in H\}

:Hg=\{hg\colon h\in H\}

(h\in H에 대하여 hH=Hh=H이므로, H 역시 왼쪽 잉여류이자 오른쪽 잉여류이다.)

따라서, 임의의 군은 서로 다른 왼쪽 잉여류들로 분할되며, 또한 서로 다른 오른쪽 잉여류들로 분할된다. 모든 왼쪽·오른쪽 잉여류의 크기는 일치하며, 이는 부분군의 크기 |H|와 같다. 왼쪽 잉여류들과 오른쪽 잉여류들 사이에는 다음과 같은 일대일 대응이 존재한다.

:gH\mapsto Hg^{-1}

따라서, 왼쪽·오른쪽 잉여류의 수는 일치하며, 이를 HG에서의 지표라고 한다. G를 왼쪽 또는 오른쪽 잉여류로 분할하여 세면 G의 크기가 H의 크기와 지표의 곱임을 알 수 있다. 특히, G유한군인 경우 |H||G|약수이다.[4] 이를 '''라그랑주 정리'''라고 한다.

라그랑주 정리는 유한군 G와 부분군 H에 대해 다음이 성립함을 나타낸다.

: [ G : H ] = { |G| \over |H| }

여기서 |G||H|는 각각 GH의 차수를 나타낸다. 특히, G의 모든 부분군의 차수 (그리고 G의 모든 원소의 차수)는 |G|약수여야 한다.[1]

3. 5. 정규 부분군과 몫군

만약 G아벨 군이라면, 교환 법칙에 의하여 왼쪽·오른쪽 잉여류를 구분할 필요가 없다. 보다 일반적으로, HG정규 부분군인 경우, 항상 gH=Hg이며, 모든 잉여류의 집합

:G/H=\{gH\colon g\in G\}

위에 이항 연산

:(gH)(g'H)=gg'H

을 정의할 수 있다. 이렇게 정의한 군 G/HGH에 대한 몫군이라고 한다.

''G''에 포함된 모든 ''a''에 대해 ''aH'' = ''Ha''일 때, ''H''를 정규 부분군이라고 한다. 지수 2의 부분군은 반드시 정규 부분군이다. 유한군 ''G''의 위수의 약수의 최소 소수 ''p''에 대해, 지수 ''p''의 부분군은 (존재한다면) 정규 부분군이다.

4. 예


  • 짝수 정수 집합은 정수의 덧셈군의 부분군이다. 두 짝수를 더하면 짝수가 되기 때문이다.[3]
  • 의 이데알은 덧셈군의 부분군이다.
  • 벡터 공간의 선형 부분 공간은 벡터 덧셈군의 부분군이다.
  • 아벨 군에서 유한 위수를 갖는 원소들의 집합은 꼬임 부분군을 형성한다.
  • 원소가 {0, 4, 2, 6, 1, 5, 3, 7}이고, 군 연산이 모듈로 8 덧셈인 순환군 Z|Z영어의 케일리 표는 다음과 같다.


+04261537
004261537
440625173
226403751
662047315
115372640
551736204
337514062
773150426



이 군은 ''J'' = {0, 4}와 ''H'' = {0, 4, 2, 6} 두 개의 비자명 부분군을 가지며, ''J''는 ''H''의 부분군이다.

4. 1. 순환군

순환군의 부분군은 항상 순환군이다. 유한 ''n''차 순환군

:\operatorname{Cyc}(n)=\langle g|g^n=1\rangle

의 부분군은 ''n''의 양의 약수와 일대일 대응한다. 구체적으로, d\mid n에 대하여,

:\langle g^d\rangle\cong\operatorname{Cyc}(n/d)

는 크기 n/d의 유일한 부분군이며, 이는 n/d차 순환군이다.

무한 순환군

:\operatorname{Cyc}(\infty)=\langle g|\rangle

의 부분군은 음이 아닌 정수와 일대일 대응한다. 구체적으로, n\ge0에 대하여,

:\langle g^n\rangle\cong\operatorname{Cyc}(\infty)

은 지표 n(n=0인 경우 \aleph_0)의 유일한 부분군이며, 무한 순환군이다. 특히, 무한군은 스스로와 동형인 진부분군을 가질 수 있다.

순환군은 아벨 군이므로, 모든 부분군이 정규 부분군이며, 몫군 역시 순환군이다.

원소가 다음과 같은 순환군 Z|Z영어를 생각해보자.

:G = \left\{0, 4, 2, 6, 1, 5, 3, 7\right\}

군 연산은 모듈로 8 덧셈이다. 이에 대한 케일리 표는 다음과 같다.

+04261537
004261537
440625173
226403751
662047315
115372640
551736204
337514062
773150426



이 군은 두 개의 비자명 부분군을 가진다: ''J'' = {0, 4} 그리고 ''H'' = {0, 4, 2, 6} 이며, ''J''는 ''H''의 부분군이기도 하다. ''H''에 대한 케일리 표는 ''G''의 케일리 표의 왼쪽 위 사분면이고, ''J''에 대한 케일리 표는 ''H''의 케일리 표의 왼쪽 위 사분면이다. 군 ''G''는 순환군이며, 부분군 또한 순환군이다. 일반적으로 순환군의 부분군은 순환군이다.[3]

4. 2. 정이면체군

정이면체군의 부분군은 순환군이거나 정이면체군이다. n정이면체군 \operatorname{Dih}(n)=\langle r,s|r^n=s^2=(rs)^2=1\rangle의 부분군들은 \{d\colon d\mid n\}\cup\{(d,i)\colon d\mid n,\;0\le i\le d-1\}의 원소들과 일대일 대응한다. 구체적으로, d\mid n에 대하여, \langle r^d\rangle\cong\operatorname{Cyc}(n/d)n/d차 순환 부분군이다. 마찬가지로, d\mid n0\le i\le d-1에 대하여, \langle r^d,sr^i\rangle\cong\operatorname{Dih}(n/d)는 부분군이며, n/d차 정이면체군과 동형이다. 또한, 이 목록은 겹치지 않는다.

n이 홀수인 경우, \operatorname{Dih}_n의 부분군들의 켤레류 목록은 다음과 같다.

  • d\mid n에 대하여, \{\langle r^d\rangle\}
  • d\mid n에 대하여, \{\langle r^d,r^is\rangle\colon0\le i\le d-1\}


n이 짝수인 경우, 다음과 같다.

  • d\mid n에 대하여, \{\langle r^d\rangle\}
  • 홀수 d\mid n에 대하여, \{\langle r^d,r^is\rangle\colon0\le i\le d-1\}
  • 짝수 d\mid n에 대하여, \{\langle r^d,r^is\rangle\colon0\le i\le d-1,\;i\equiv0\pmod2\}
  • 짝수 d\mid n에 대하여, \{\langle r^d,r^is\rangle\colon0\le i\le d-1,\;i\equiv1\pmod2\}


특히, \operatorname{Dih}_n정규 부분군 목록은 다음과 같다. n이 홀수인 경우,

  • d\mid n에 대하여, \langle r^d\rangle
  • \operatorname{Dih}_n

n이 짝수인 경우,

  • d\mid n에 대하여, \langle r^d\rangle
  • \langle r^2,s\rangle
  • \langle r^2,rs\rangle
  • \operatorname{Dih}_n

4. 3. 대칭군

S₄영어 (4차 대칭군)의 부분군은 총 30개이며, 11개의 켤레류를 갖는다. S₄영어의 부분군 격자를 나타내는 하세 도형은 다음과 같다.

400픽셀


S₄영어는 4개의 원소의 순열에 해당하는 원소를 가진 대칭군이다.

대칭군


각 순열 p는 차수 2를 가지며, 부분군 {1, ''p''}을 생성한다. 이들은 2-사이클만을 가지는 순열이다.

  • 6개의 전치가 있으며, 하나의 2-사이클을 갖는다. (녹색 배경)
  • 두 개의 2-사이클을 갖는 3개의 순열이 있다. (흰색 배경, 굵은 숫자)

4. 4. 기타 예시


  • 짝수 정수 집합은 정수 덧셈군의 부분군이다. 두 짝수를 더하면 짝수가 되기 때문이다.[3]
  • 아이디얼은 덧셈군의 부분군이다.
  • 벡터 공간의 선형 부분 공간은 벡터 덧셈군의 부분군이다.
  • 아벨 군에서 유한 위수를 갖는 원소들의 집합은 꼬임 부분군을 형성한다.

참조

[1] Youtube didactic proof in this video https://www.youtube.[...]
[2] 서적 A Course in the Theory of Groups
[3] 서적 Jacobson 2009
[4] 서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