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붐박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붐박스는 1966년 필립스가 개발한 휴대용 오디오 기기로, 1970년대 일본에서 소형화 및 음질 향상으로 인기를 얻었다. 1980년대에는 미국에서 흑인 및 히스패닉 청소년 문화를 중심으로 확산되었으며, 힙합 문화 발전에 기여했으나, 1990년대 워크맨과 MP3 플레이어의 등장으로 쇠퇴했다. 2010년대 레트로 열풍으로 다시 주목받고 있으며, 현재는 CD, MP3, 블루투스 등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현대적인 모델이 출시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휴대용 음향 재생기 - 워크맨
    워크맨은 1979년 소니가 출시한 휴대용 스테레오 카세트 플레이어이며, 청소년 시장을 겨냥한 마케팅으로 헤드폰 문화를 만들었고, 카세트 테이프, CD 등 다양한 미디어를 지원하며 진화하다가 MP3 플레이어 등장으로 쇠퇴하여 현재는 디지털 오디오 플레이어 브랜드로 이어지고 있다.
  • 휴대용 음향 재생기 - 디스크맨
    디스크맨은 소니가 1984년 출시한 최초의 휴대용 CD 플레이어 브랜드이며, CD의 대중화를 이끌었고, 다양한 형태의 모델이 존재한다.
붐박스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유형휴대용 오디오 장치
주요 기능카세트 테이프 재생 및 녹음
라디오 수신
휴대성운반 손잡이 부착
기술 사양
오디오 매체카세트 테이프
라디오 수신AM, FM (일부 모델은 단파 지원)
스피커내장형 스피커
전원 공급AC 전원
배터리 전원 (건전지)
역사 및 문화
인기 시기1970년대 후반 ~ 1980년대
문화적 의미거리 문화의 상징
힙합 문화와 밀접한 관련
별칭붐박스
게토 블래스터 (속어)
추가 기능 (모델에 따라 다름)
CD 플레이어일부 모델에 내장
외부 입력오디오 라인 입력
마이크 입력
사운드 제어볼륨 조절
음색 조절
헤드폰 출력헤드폰 사용 가능
녹음 기능라디오 또는 외부 소스를 테이프에 녹음 가능
이미지
동독 콤비나트 슈테른라디오 베를린 1980년대 카세트 SKR 700 붐박스
동독 콤비나트 슈테른라디오 베를린 1980년대 카세트 SKR 700 붐박스
2010년에 출시된 소니 CD 및 카세트 CFD-S350 붐박스
2010년에 출시된 소니 CD 및 카세트 CFD-S350 붐박스

2. 역사

붐박스의 역사는 1966년 네덜란드의 필립스가 최초로 개발한 '라디오레코더'에서 시작되었다.[2] 이 기기는 별도의 케이블이나 마이크 없이 라디오 방송을 카세트 테이프에 녹음할 수 있었다. 초기에는 음질이 좋지 않았지만, 스테레오 녹음, 크롬 테이프, 돌비 노이즈 감소 기술 등이 도입되면서 하이파이급 성능을 갖추게 되었다. 그룬디히 등 유럽의 다른 전자제품 회사들도 유사한 제품을 출시했다.

1970년대 초 일본에서도 붐박스가 개발되어 작은 크기와 뛰어난 음질로 인기를 얻었다.[3] 일본 브랜드는 빠르게 유럽 붐박스 시장을 장악했으며, 유럽 가정에서 구매하는 최초의 일본 소비자 가전제품이 되기도 했다. 일본은 스테레오 붐박스, 분리형 스피커, 내장 CD 플레이어와 같은 기술 발전을 이끌었다.

1970년대 후반 붐박스는 미국에서 큰 인기를 얻었으며, 파나소닉, 소니, 제너럴 일렉트릭, 마란츠 등이 주로 생산했다.[4] 특히 뉴욕, 로스앤젤레스, 워싱턴 D.C.와 같은 대도시의 젊은이들 사이에서 큰 인기를 끌었다. 초기 모델은 AM/FM 튜너가 주요 기능이었고, 이후 오디오 잭이 개발되어 마이크, 턴테이블, CD 플레이어 등 외부 장치를 연결할 수 있게 되었다. 붐박스는 휴대성과 음질, 특히 저음 출력을 중시하는 소비자들의 요구에 맞춰 더 크고 무거워졌으며, 저음 진동을 견디기 위해 무거운 금속 케이싱이 사용되기도 했다.[4]

1980년대는 붐박스의 전성기였으며, 다양한 기능과 디자인을 갖춘 제품들이 출시되었다. 1990년대 이후 워크맨, CD 플레이어, MP3 플레이어 등 새로운 휴대용 오디오 기기들이 등장하면서 붐박스의 인기는 점차 감소했다.[11] 2000년대 이후 MP3 플레이어와 스마트폰의 등장으로 붐박스의 인기는 크게 줄었지만, 여전히 CD 플레이어, USB, 블루투스 등 다양한 기능을 탑재한 제품들이 출시되고 있다.

2. 1. 초기 모델

온쿄(Onkyo)의 자체 브랜드인 코니온(Conion)의 C-100F 붐박스를 들고 있는 남성 (약 1985년)


최초의 붐박스는 콤팩트 카세트를 발명한 네덜란드의 필립스가 개발했다. 1966년에 출시된 필립스의 첫 '라디오레코더(Radiorecorder)'는 케이블이나 마이크 없이 라디오 방송을 카세트 테이프에 녹음할 수 있는 최초의 기기였다. 초기 카세트 테이프 녹음은 음질이 좋지 않았지만, 스테레오 녹음, 크롬 테이프, 돌비 노이즈 감소 기능이 도입되면서 하이파이급 장치가 가능해졌다. 그룬디히 등 다른 유럽 전자제품 회사들도 비슷한 기기를 출시했다.

클래식 내셔널(National)(브랜드) RX-5100 붐박스


1970년대 초, 일본에서도 붐박스가 개발되어 작은 크기와 뛰어난 음질로 인기를 얻었다.[3] 일본 브랜드들은 빠르게 유럽 붐박스 시장을 장악했으며, 유럽 가정에서 구매하는 최초의 일본 소비자 가전제품이 되기도 했다. 일부는 유럽 브랜드를 위해 OEM 방식으로 제조된 일본산 붐박스였다. 일본은 스테레오 붐박스, 분리형 스피커, 내장 CD 플레이어 등 다양한 기술 발전을 이끌었다.

1970년대 후반, 붐박스는 미국에서 큰 인기를 얻었으며, 파나소닉, 소니, 제너럴 일렉트릭, 마란츠 등이 주로 생산했다.[4] 특히 뉴욕, 로스앤젤레스, 워싱턴 D.C.와 같은 대도시의 젊은이들 사이에서 큰 인기를 끌었다.

초기 모델은 대형 가정용 스테레오 시스템의 웅장한 사운드와 소형 휴대용 카세트 플레이어의 휴대성을 결합한 제품이었다. 보통 작고 검은색이나 은색이었으며, 무겁고 큰 소리를 낼 수 있었다.[4] AM/FM 튜너는 초기 붐박스의 가장 인기 있는 기능이었으며, 이후 입력 및 출력 잭이 추가되어 마이크, 턴테이블, CD 플레이어 등을 연결할 수 있게 되었다.[4]

오디오 잭의 개발은 붐박스의 인기를 더욱 높였고, 소비자들은 휴대성과 음질, 특히 저음을 중시했다. 더 크고 무거운 저음에 대한 요구는 더 크고 무거운 붐박스 개발로 이어졌다. 저음 진동을 견디기 위해 무거운 금속 케이싱이 사용되기도 했다.[4]

2. 2. 미국 시장 진출과 확산

붐박스는 1970년대 후반 미국에서 인기를 얻었으며, 파나소닉, 소니, 제너럴 일렉트릭, 마란츠 등이 주로 생산했다.[4] 특히 뉴욕, 로스앤젤레스, 워싱턴 D.C.와 같은 대도시의 청소년층 사이에서 큰 인기를 끌었다.[4]

초기 모델은 가정용 스테레오 시스템의 웅장한 사운드와 휴대용 카세트 플레이어의 휴대성을 결합한 형태였다. 보통 작고 검은색이나 은색이었으며, 무겁고 높은 볼륨을 낼 수 있었다.[4] 초기 붐박스에는 AM/FM 튜너가 기본 장착되었고, 이후 오디오 잭이 개발되면서 마이크, 턴테이블, CD 플레이어 등의 외부 장치를 연결할 수 있게 되었다.[4]

소비자들은 붐박스의 휴대성과 음질, 특히 저음 출력을 중시했다. 더 크고 무거운 저음에 대한 요구는 자연스럽게 더 크고 무거운 붐박스 개발로 이어졌다. 이후 붐박스 모델에는 저음 진동을 효과적으로 처리하기 위해 무거운 금속 케이스가 사용되기도 했다.[4]

2. 3. 전성기와 쇠퇴

1980년대는 붐박스의 전성기로, 다양한 기능과 디자인을 갖춘 제품들이 출시되었다. 온쿄의 자체 브랜드인 코니온(Conion) C-100F 붐박스를 들고 있는 남성의 사진에서 볼 수 있듯이, 붐박스는 당시 젊은이들 사이에서 큰 인기를 끌었다.

일본 빅터(JVC) 메탈 카세터 M90. RC-M90. 1981년 발매. 이름 그대로 메탈테이프의 녹음·재생에 기본적으로 대응하는 대형급 스테레오 라디오 카세트로, 합계 30W(15W + 15W)의 실용 최대 출력을 자랑한다.


샤프 GF-9494. 22W


샤프 GF-777


붐박스는 미국, 특히 뉴욕 북부, 할렘, 브롱크스, 뉴욕 남서부, 브루클린, 퀸즈 등의 지역에서 스트리트 기어가 되어 힙합 문화와 브레이크댄스 문화, 스트리트 문화의 양성과 약진에 공헌했다.[32] 시끄러운 도시의 거리에서 춤을 추려면 저음의 비트를 큰 소리로 울려 퍼지게 할 필요가 있었는데, 대출력·대형 라디오 카세트라면 이것이 가능했다. 스트리트 문화를 담당하고 있던 젊은이들은 라디오 카세트를 '''붐박스(Boombox)'''라고 불렀다.[31]

일본 제조업체는 라디오 카세트를 오디오 기기의 일종으로 보았지만, 뉴욕에서는 단순한 오디오 기기를 넘어 사회적인 장치가 되어 있었다.[31] 붐박스는 그들이 "게토"라고 불렀던 치안이 나쁜 지역을 음악으로 채우고, 젊은이들에게 싸움 대신 춤으로 승부할 것을 촉구했던 것이다.[31]

산요의 슬림 라디오카세트 “세련된 테레코(テレコ)”. 특히 젊은 여성층에게 인기가 급증했다.


산요는 1979년에 슬림형 라디오카세트 U4를 출시하여 "세련된 테레코(テレコ)"라는 카피로 젊은 여성층에게 큰 인기를 얻었다.[30]

그러나 1990년대 이후 워크맨, CD 플레이어, MP3 플레이어 등 새로운 휴대용 오디오 기기들이 등장하면서 붐박스의 인기는 점차 감소했다.[11] 미국소비자전자협회(Consumer Electronics Association)는 2003년 미국에서 CD 플레이어가 없는 붐박스가 32만 9천 대만 출하된 반면, 1986년에는 2천만 4천 대가 출하되었다고 보고했다.[4]

2. 4. 2000년대 이후 ~ 현재

2000년대 이후, MP3 플레이어와 스마트폰의 등장으로 고품질 붐박스의 인기는 크게 줄어들었다. 압축 디지털 오디오 기술의 발전은 붐박스의 주요 기능이었던 휴대용 음악 재생을 대체하게 되었다. 그러나 녹음 가능한 CD의 등장과 오디오 카세트 기술의 쇠퇴는 여전히 붐박스에 영향을 미쳤다.

USB 드라이브나 CD를 통해 MP3 파일을 지원하는 소니 ZS-PS50 현대식 붐박스


시간 표시기가 없는 트랙 번호 표시만 있는 기본(저가형) 붐박스, 듀라브랜드 CD-1095


현대식 붐박스는 대부분 CD-RCD-RW와 호환되는 CD 플레이어를 탑재하여 사용자가 직접 음악을 CD에 담아 휴대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많은 붐박스가 보조 포트를 통해 iPod과 같은 기기를 연결할 수 있도록 허용하며, 일부는 MP3 및 WMA와 같은 형식도 지원한다. 고급형 모델의 경우 메타데이터(특히 MP3의 "ID3 태그"로 알려진 제목, 아티스트, 앨범)를 표시할 수 있는 기능도 제공한다.[12][13]

구형 붐박스를 MP3 플레이어와 연결하는 방법으로는 카세트 어댑터를 사용하거나, '라인 인'(Aux In) 단자를 활용하는 방법이 있다.

일부 현대식 붐박스는 USB 커넥터, SD, MMC, SmartMedia, Memory Stick과 같은 플래시 메모리 미디어용 슬롯을 제공하여 MP3 파일을 재생할 수 있도록 한다.

2010년 중반부터는 블루투스 기술을 사용하는 새로운 붐박스 라인이 출시되었다. 이 붐박스는 휴대전화나 블루투스 MP3 플레이어와 같은 기기에서 무선으로 오디오를 스트리밍하여 재생할 수 있다. JAMBOX[14]와 같이 "스마트 스피커"로 판매되는 제품들은 오디오 재생뿐만 아니라 음성 통화용 스피커폰으로도 활용 가능하다.

LCD 비디오 화면이 있는 DVD 플레이어/붐박스[15]와 같은 형태도 등장했다. 이러한 붐박스는 외부 비디오 입력과 DVD 플레이어를 대형 텔레비전에 연결하기 위한 출력을 포함하기도 한다.

최근의 붐박스는 DAB/DAB+ 라디오, 인터넷 라디오, 네트워크 기능, Wi-Fi, 네트워크 RJ45 연결 기능을 갖추고 있기도 하다. 그러나 이러한 기능은 인터넷 접속이 필요하여 휴대성을 제한할 수 있다. 인터넷 서비스 없이도 표준 라디오, USB 및 CD 플레이어, 보조 입력, 블루투스를 통해 작동할 수 있다.

한편, 산요전기(주)는 1979년 슬림형 라디오카세트 “U4”를 출시했다. “세련된 테레코(テレコ)”라는 카피[30]와 함께 젊은 여성을 타겟으로 한 마케팅을 전개하여 큰 성공을 거두었다.[30] U4는 시리즈 누계 700만 대나 판매되며 오디오 역사에 이름을 남겼다.[30]

3. 디자인

붐박스의 디자인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화했다. 1980년대에는 직사각형의 각진 크롬 도금 디자인이 주를 이루었으나, 1990년대에는 검은색 플라스틱 재질에 둥글고 곡선이 있는 디자인으로 바뀌었다.[8]

1986년경부터 CD플레이어를 탑재한 “CD라디오카세트”가 등장했다. 초기에는 더블 카세트 중 한쪽을 CD플레이어로 교체한 듯한 기종도 많이 보였지만, 나중에는 더빙에 편리한 카세트테이프 드라이브를 2대 탑재한 모델 등이 등장하면서 가로로 긴 형태가 되는 등 직육면체 상자가 아닌 것이 늘었다.

1995년경부터는 카세트 대신 MD레코더를 탑재한 MD시스템, MDCD시스템, 라디오MD 등이 등장하여 라디오카세트 시장을 잠식하기 시작했다. MD레코더와 카세트레코더를 모두 탑재한 제품(MD라디오카세트, 호환 라디오카세트)도 등장했다.



최근에는 MP3 플레이어 연결을 위한 iPod 도크나 위성 라디오 튜너를 갖춘 모델도 등장하고 있다.[6]

뉴 레트로 멋을 추구하는 제조업체 ProTelX에서 2018년 10월 2일에 출시한 ''미국 우정청 브루클린'' 레거시 레코더 붐박스


2020년대 일본 국내 중소규모 가전양판점의 라디오카세트 판매대는 줄어들고 있으며, 주로 도시바와 소니 제품, 그리고 중국이나 아세안 제조업체의 자체 브랜드 제품이 판매되고 있다. 더블 카세트 기종은 줄어들고 있으며, 전반적으로 판매량이 저조한 것으로 판단된다.

하드오프의 진열대에 있는 중고 라디오카세트


한편, 1970~1990년대 중고 라디오카세트는 하드오프나 세컨드스트리트 등의 리사이클 숍, 머크리나 야후옥션 등에서 활발하게 거래되고 있다.

2024년 현재 판매되는 제품은 대체로 크기가 작으며, 다음과 같은 종류가 있다.

종류특징대상가격대
심플 & 간편 조작 라디오카세트싱글 카세트, AM/FM, 모노럴 스피커, CD 플레이어 없음, 큰 버튼, 알기 쉬운 표시고령층7000JPY~10000JPY
재난용 라디오카세트소형, FM/AM, 모노럴재난 대비2000JPY~3000JPY
심플한 CD 싱글 라디오카세트카세트 테이프, CD, 스테레오 스피커CD 사용자도시바 최저가 6000JPY대, 제네릭 최저가 5000JPY 이하
심플한 CD 더블 라디오카세트더블 카세트, 소구경 스피커
하이레조/네오디뮴 스피커 라디오카세트고음질, Bluetooth, USB, MP3, 하이포지션(크롬포지션) 카세트 테이프 재생40000JPY대 초반
레트로풍 스테레오/모노럴 라디오카세트1970년대, 1980년대 디자인, 블루투스, USB 메모리, 마이크로SD 메모리 카드, MP3, 스마트폰 연동[38][39]


3. 1. 구성 요소

붐박스는 가장 기본적인 형태로 두 개 이상의 스피커, 증폭기, 라디오 튜너, 카세트 및/또는 CD 플레이어 구성 요소로 이루어져 있으며, 모두 휴대용 손잡이가 달린 단일 플라스틱 또는 금속 케이스에 들어있다. 대부분의 기기는 AC 또는 DC 케이블이나 배터리로 작동한다.[5]

붐박스의 인기가 높아짐에 따라 디자인과 기능도 더욱 복잡해졌다. 1980년대 중반까지 많은 붐박스에는 고주파와 저주파 스피커가 별도로 포함되었고, 라디오와 다른 사전 녹음된 카세트 모두에서 녹음할 수 있도록 두 번째 테이프 데크가 추가되었다. 이퀄라이저, 밸런스 조정기, 돌비 노이즈 감소 및 LED 사운드 게이지는 나중에 추가된 다른 기능들이다.[5]

1980년대 중반, 붐박스는 하나의 지위 상징이 되기 시작했고, 젊은 도시 젊은이들 사이에서의 인기는 사치스러운 붐박스에 대한 수요 증가를 야기했다. 1980년대 후반 컴팩트 디스크(CD)의 인기 증가는 표준 붐박스 디자인에 CD 플레이어를 도입하게 되었다. 1990년대 동안 붐박스 제조업체는 이전 10년 동안의 제품들과 달리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더 작고 더 컴팩트한 붐박스를 디자인하기 시작했다.[8]

1980년대 많은 모델들의 직사각형, 각진, 크롬 미학은 1990년대에 검은색 플라스틱으로 자주 대체되었으며, 현대 디자인은 날카로운 각도 대신 둥글고 곡선이 있는 외관이 특징이다. 그러나 구형 모델의 디자인은 붐박스 애호가와 수집가들 사이에서 많은 관심을 끌고 있으며, 그들은 종종 당시 휴대용 음악 기술의 최첨단을 나타내는 더 크고 기능이 풍부한 모델을 찾는다. 오늘날 대부분의 붐박스는 iPod 도크를 사용하여 MP3 기술에 접근할 수 있도록 카세트 플레이어를 대체했으며, 일부는 통합형 또는 분리형 위성 라디오 튜너를 갖추고 있기도 하다.[6]

붐박스 디자인은 크기가 매우 다양하다. 더 크고 더 강력한 장치는 10개 이상의 D 건전지가 필요할 수 있으며, 너비가 76cm를 초과할 수 있으며 무게는 12kg를 초과할 수 있다. 일부는 12볼트 밀폐형 납축전지를 사용하거나 카 오디오 헤드 유닛의 휴대용 인클로저가 될 수 있다.

오디오 품질과 기능 세트는 매우 다양하며, 하이엔드 모델은 일부 홈 스테레오 시스템과 비교할 만한 기능과 사운드를 제공한다. 대부분의 모델은 볼륨, 음색 및 밸런스 (좌/우) 컨트롤을 제공한다.

더 정교한 모델은 이중 카세트 데크(종종 고속 더빙 기능을 제공하거나 때로는 디지털 제어 서보 카세트 메커니즘을 제공), 별도의 저음 및 고음 레벨 컨트롤, 5밴드 또는 10밴드 그래픽 이퀄라이저, 돌비 노이즈 감소, 아날로그 또는 LED 사운드 레벨(VU) 미터 또는 VFD, 더 큰 스피커, '소프트 터치' 테이프 데크 컨트롤, 미세 조정 기능이 있는 여러 단파(SW) 대역 수신, PLL(위상 고정 루프)이 있는 디지털 튜너, 카세트의 자동 곡 검색 기능, 라인 및/또는 포노 입력 및 출력, 마이크 입력, 라우드니스 스위치 및 분리형 스피커, 완전 기능 적외선 리모컨 등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소수의 모델에는 통합형 레코드 턴테이블, 8트랙 테이프 플레이어, 미니디스크 플레이어/레코더 또는 (일반적으로 흑백) 텔레비전 화면이 포함되어 있었지만, 기본 라디오/카세트 모델이 역사적으로 압도적으로 가장 인기가 있었다.

3. 2. 기능 발전

1980년대 중반까지 많은 붐박스에는 고주파와 저주파 스피커가 별도로 포함되었고, 라디오와 다른 사전 녹음된 카세트 모두에서 녹음할 수 있도록 두 번째 테이프 데크가 추가되었다. 이퀄라이저, 밸런스 조정기, 돌비 노이즈 감소 및 LED 사운드 게이지는 나중에 추가된 다른 기능들이다.[5]

1980년대 중반, 붐박스는 하나의 지위 상징이 되기 시작했고, 젊은 도시 젊은이들 사이에서의 인기는 사치스러운 붐박스에 대한 수요 증가를 야기했다. 1980년대 후반 CD의 인기 증가는 표준 붐박스 디자인에 CD 플레이어를 도입하게 되었다. 1990년대 동안 붐박스 제조업체는 이전 10년 동안의 제품들과 달리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더 작고 더 컴팩트한 붐박스를 디자인하기 시작했다.[8]

1980년대 많은 모델들의 직사각형, 각진, 크롬 미학은 1990년대에 검은색 플라스틱으로 자주 대체되었으며, 현대 디자인은 날카로운 각도 대신 둥글고 곡선이 있는 외관이 특징이다. 그러나 구형 모델의 디자인은 붐박스 애호가와 수집가들 사이에서 많은 관심을 끌고 있으며, 그들은 종종 당시 휴대용 음악 기술의 최첨단을 나타내는 더 크고 기능이 풍부한 모델을 찾는다. 오늘날 대부분의 붐박스는 iPod 도크를 사용하여 MP3 기술에 접근할 수 있도록 카세트 플레이어를 대체했으며, 일부는 통합형 또는 분리형 위성 라디오 튜너를 갖추고 있기도 하다.[6]

붐박스 디자인은 크기가 매우 다양하다. 더 크고 더 강력한 장치는 10개 이상의 D 건전지가 필요할 수 있으며, 너비가 76cm를 초과할 수 있으며 무게는 12kg를 초과할 수 있다. 일부는 12볼트 밀폐형 납축전지를 사용하거나 카 오디오 헤드 유닛의 휴대용 인클로저가 될 수 있다.

오디오 품질과 기능 세트는 매우 다양하며, 하이엔드 모델은 일부 홈 스테레오 시스템과 비교할 만한 기능과 사운드를 제공한다. 대부분의 모델은 볼륨, 음색 및 밸런스 (좌/우) 컨트롤을 제공한다.

더 정교한 모델은 이중 카세트 데크(종종 고속 더빙 기능을 제공하거나 때로는 디지털 제어 서보 카세트 메커니즘을 제공), 별도의 저음 및 고음 레벨 컨트롤, 5밴드 또는 10밴드 그래픽 이퀄라이저, 돌비 노이즈 감소, 아날로그 또는 LED 사운드 레벨(VU) 미터 또는 VFD, 더 큰 스피커, '소프트 터치' 테이프 데크 컨트롤, 미세 조정 기능이 있는 여러 단파(SW) 대역 수신, PLL(위상 고정 루프)이 있는 디지털 튜너, 카세트의 자동 곡 검색 기능, 라인 및/또는 포노 입력 및 출력, 마이크 입력, 라우드니스 스위치 및 분리형 스피커, 완전 기능 적외선 리모컨 등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소수의 모델에는 통합형 레코드 턴테이블, 8트랙 테이프 플레이어, 미니디스크 플레이어/레코더 또는 (일반적으로 흑백) 텔레비전 화면이 포함되어 있었지만, 기본 라디오/카세트 모델이 역사적으로 압도적으로 가장 인기가 있었다.

1986년경부터 CD플레이어를 탑재한 “CD라디오카세트”가 등장했다. 초기에는 더블 카세트 중 한쪽을 CD플레이어로 교체한 듯한 기종도 많이 보였지만, 나중에는 더빙에 편리한 카세트테이프 드라이브를 2대 탑재한 모델 등이 등장하면서 가로로 긴 형태가 되는 등 직육면체 상자가 아닌 것이 늘었다.

1995년경부터는 카세트 대신 MD레코더를 탑재한 MD시스템, MDCD시스템, 라디오MD 등이 등장하여 라디오카세트 시장을 잠식하기 시작했다. MD레코더와 카세트레코더를 모두 탑재한 제품(MD라디오카세트, 호환 라디오카세트)도 등장했다.

2001년에 아이팟(iPod) 1세대가 출시된 후, 아이팟과 연동되는 제품이나 카세트테이프, CD, MD, 2밴드 라디오를 모두 탑재한 하이엔드 모델 등이 판매되었다(MD 탑재 기기는 2010년대에 사라져 갔다).

2000년대 후반에는 라디오와 CD 플레이어를 결합하고 카세트를 탑재하지 않은 CD 라디오가 등장했다. 또한 카세트를 탑재하지 않고 SD 카드 슬롯을 탑재한 기종이 등장했지만, 모두 카세트를 탑재하지 않았으므로 라디오카세트는 아니었다.

건전지를 사용할 수 없는 휴대성이 낮은 라디오카세트가 등장함으로써, 소형으로 올인원인 미니컴포넌트와의 구별이 다소 모호해졌다.

2000년대부터는 해외의 무명 소규모 제조업체 공장에서 주문자 상표 부착 생산(OEM)으로 설계·생산되어, 수지 금형에 의한 성형의 정밀도나 수지 표면의 질감도 나쁘고, 출력도 작은, 즉 1980년대나 1990년대 전성기의 국내 일류 제조업체 제품과는 명백히 설계와 품질이 다른 것이 수입되어 국내 시장에서 저렴하게 널리 유통되게 되었다. 출력이 0.6W+0.6W인 것도 있다.[34]

일본의 아날로그 텔레비전 방송이 2011년 7월 24일(이와테현, 미야기현, 후쿠시마현은 2012년 3월 31일)을 기하여 종료되었기 때문에, TV VHF의 1-3ch 영역인 90-108㎒의 주파수를 사용하는 방송이 예정되지 않았던 것으로부터, 76-90㎒의 주파수만 들을 수 있는 것만 제조된 시기가 있었지만, 2014년 이후 와이드 FM이 순차적으로 개국하게 되었기 때문에, 그 와이드 FM 대응 CD 라디오카세트의 판매는 도시바 라이프스타일 주식회사, 파나소닉, 소니 등과 같은 일본 국내의 모든 제조업체에서 이루어졌다.

2007년에 아이폰(iPhone), 2009년에 안드로이드폰이 출시됨에 따라 2010년대스마트폰이 보급되어 그것을 휴대하는 것이 일반화되고, 음악을 간편하게 즐기고 싶을 경우 스마트폰에 이어폰을 꽂아 듣는 것이 일반적이 되었고, 그 외 특히 고음질에 구애될 경우 하이레조 대응 디지털 오디오 플레이어로 듣게 된 결과, 라디오카세트의 판매량은 급감하여 도시바와 소니를 제외하고 대부분의 국내 대기업이 라디오카세트 시장에서 철수했다.

최근에는 일본 국내에서 판매되고 일본 제조업체 이름이 붙어 있어도, 실제로는 주문자 상표 부착 생산(OEM)품으로, 중국을 필두로, 대만이나 홍콩, 인도네시아 등 아시아계 해외 제조업체 및 공급업체가 개발·제조하고 있는 것이 대부분이다. 2010년대 후반이 되자 라디오 카세트는 “오히려 지금 새롭다”는 상황이 되었다고 가전 수집가인 마츠자키 준(松崎順)은 분석했다.[36] 1990년대에 거의 사라진 것으로 여겨졌던 카세트테이프가 2010년대 후반에 조용한 붐을 일으켰다.[37]

3. 3. 디자인 변화

붐박스의 디자인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화했다. 1980년대에는 직사각형의 각진 크롬 디자인이 주를 이루었으나, 1990년대에는 검은색 플라스틱 재질에 둥글고 곡선이 있는 디자인으로 바뀌었다.[8] 이러한 변화는 붐박스가 단순한 오디오 기기를 넘어 젊은이들 사이에서 지위의 상징으로 여겨지면서 나타났다.[5]

1980년대 중반에는 고주파 및 저주파 스피커, 이퀄라이저, 밸런스 조정기, 돌비 노이즈 감소, LED 사운드 게이지 등 다양한 기능이 추가되었다.[5] 1980년대 후반에는 컴팩트 디스크(CD)의 인기로 CD 플레이어가 붐박스 디자인에 도입되었다.[8] 1986년경부터 CD플레이어를 탑재한 “CD라디오카세트”가 등장했다. 초기에는 더블 카세트 중 한쪽을 CD플레이어로 교체한 듯한 기종도 많이 보였지만, 나중에는 더빙에 편리한 카세트테이프 드라이브를 2대 탑재한 모델 등이 등장하면서 가로로 긴 형태가 되는 등 직육면체 상자가 아닌 것이 늘었다.

1995년경부터는 카세트 대신 MD레코더를 탑재한 MD시스템, MDCD시스템, 라디오MD 등이 등장하여 라디오카세트 시장을 잠식하기 시작했다. MD레코더와 카세트레코더를 모두 탑재한 제품(MD라디오카세트, 호환 라디오카세트)도 등장했다.

현대에는 MP3 플레이어 연결을 위한 iPod 도크나 위성 라디오 튜너를 갖춘 모델도 등장하고 있다.[6] 일부 모델은 마이크 입력, 라우드니스 스위치, 분리형 스피커, 적외선 리모컨 등을 제공한다.

2020년대 일본 국내 중소규모 가전양판점의 라디오카세트(라디오카세트레코더) 판매대 면적은 줄어들고 있으며, 진열되어 있는 제품은 주요 일본 제조업체인 도시바(TOSHIBA 브랜드와 오렉스(구 오렉스) 브랜드 포함)와 소니의 라디오카세트만 남아 있다. 그 외에는 가전양판점이 자체 브랜드 형태로 중국이나 아세안 제조업체에서 조달한 기종을 몇 종류 진열하고 있으며, 총합해도 10종류 전후의 상황이다. 이러한 매장에 진열되는 것은 기본적으로 싱글 카세트이다. 더블 카세트 기종은 줄어들고 있으며, 전반적으로 판매량이 저조한 것으로 판단되고 있다.

참고로, 라디오카세트 중고품은 1970~1990년대 제품이 작동 여부와 관계없이 하드오프나 세컨드스트리트 등의 리사이클 숍 진열대에 놓여 있으며, 머크리나 야후옥션에서도 대량으로 거래되고 있다. 빈티지 모델이나 고출력 모델, 개성적인 모델을 이러한 중고 시장에서 구입하는 것도 널리 행해지고 있다.

2024년 현재, 대체로 비교적 크기가 작은 제품이 판매되고 있으며, 다음과 같은 종류가 있다.

종류특징대상가격대
심플 & 간편 조작 라디오카세트싱글 카세트, AM/FM, 모노럴 스피커, CD 플레이어 없음, 큰 버튼, 알기 쉬운 표시고령층7,000엔~10,000엔
재난용 라디오카세트소형, FM/AM, 모노럴재난 대비3,000엔~2,000엔
심플한 CD 싱글 라디오카세트카세트 테이프, CD, 스테레오 스피커CD 사용자도시바 최저가 6,000엔대, 제네릭 최저가 5,000엔 이하
심플한 CD 더블 라디오카세트더블 카세트, 소구경 스피커
하이레조/네오디뮴 스피커 라디오카세트고음질, Bluetooth, USB, MP3, 하이포지션(크롬포지션) 카세트 테이프 재생4만엔대 초반
레트로풍 스테레오/모노럴 라디오카세트1970년대, 1980년대 디자인, 블루투스, USB 메모리, 마이크로SD 메모리 카드, MP3, 스마트폰 연동[38][39]


4. 사회문화적 영향

붐박스는 흑인과 히스패닉 청소년을 중심으로 한 도시 사회와 빠르게 연결되며, '게토 블래스터'라는 별칭으로 불리기도 했다. 이는 힙합 문화에 대한 반발로 이어졌고, 공공장소에서의 붐박스 사용 금지 조치로 이어졌다.[4][7] 그러나 붐박스는 힙합 문화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힙합의 부상에 큰 영향을 미쳤다. 특히 JVC RC-M90, 샤프 GF-777 모델은 음악 배틀에서 자주 사용되며 '붐박스의 제왕'으로 불렸다.[8][9] 비스티 보이스, 클래시, 스쿨리 D 등 유명 아티스트들도 붐박스를 애용했다.[10]

4. 1. 도시 문화와 붐박스

붐박스는 특히 흑인과 히스패닉 청소년을 중심으로 한 도시 사회와 빠르게 연관되기 시작했다. 도시 지역에서 붐박스의 광범위한 사용은 붐박스를 "게토 블래스터(ghetto blaster)"라고 부르게 되었고, 이 별명은 곧 붐박스와 힙합 문화에 대한 반발의 일환으로 사용되었다.[7] 스파이크 리의 영화 《똑바로 살아라》(1989)의 라디오 레이힘(Radio Raheem) 캐릭터는 "게토 블래스터"와 관련된 함의를 구체화하며, 미국 미디어에서 도시 청소년이 붐박스를 사용하는 대표적인 예이다.[7] 도시들은 공공장소에서 붐박스를 금지하기 시작했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도시 거리에서 붐박스는 점점 더 받아들여지지 않게 되었다.[4]

붐박스는 힙합 문화와 본질적으로 연결되었고, 팹 파이브 프레디(Fab Five Freddy)의 말처럼 힙합의 부상에 "결정적"이었다.[8] JVC RC-M90과 샤프 GF-777과 같은 특정 모델은 다른 게토 블래스터를 압도할 만한 성능으로 붐박스의 제왕으로 알려졌으며, 음악 배틀에서 자주 사용되었다.[9] 비스티 보이스는 붐박스를 시그니처로 삼았고, 클래시는 항상 붐박스를 가지고 다녔으며, 스쿨리 D는 영국에서 코니온 C-100F를 가지고 다녔다.[10]

4. 2. 힙합 문화와 붐박스

붐박스는 힙합 문화와 본질적으로 연결되었으며, 팹 파이브 프레디(Fab Five Freddy)는 붐박스가 힙합의 부상에 "결정적"이었다고 평가했다.[8] JVC RC-M90, 샤프 GF-777과 같은 특정 모델은 다른 게토 블래스터를 압도하는 성능으로 붐박스의 제왕으로 알려졌으며, 음악 배틀에서 자주 사용되었다.[9] 비스티 보이스(Beastie Boys)는 붐박스를 시그니처로 삼았고, 클래시(The Clash)는 항상 붐박스를 가지고 다녔으며, 스쿨리 D(Schoolly D)는 영국에서 코니온 C-100F를 가지고 다녔다.[10]

5. 한국에서의 붐박스 (라디오카세트)

1960년대 후반부터 한국에서도 라디오카세트가 생산되기 시작했다. 1967년 9월, 크라운에서 마이카세트 F CRC-9100F를 출시했고,[24] 같은 해 12월에는 마쓰시타전기산업(현 파나소닉홀딩스)에서 RQ-231[20]을 출시했다. 1968년 5월에는 아이와에서 TPR-101[21][22]을 출시하여 해외에도 수출되어 베스트셀러가 되었다.[16]

1970년 3월에는 소니가 CFM-8120을 출시했고, 1970년대에는 히타치제작소, 도시바, 일본빅터(현 JVC켄우드), 미쓰비시전기, 산요전기, 샤프 등도 잇따라 라디오카세트를 시장에 투입했다.

1970년대 후반부터 1980년대에 걸쳐 라디오카세트는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큰 인기를 얻었다. 당시 젊은이들은 라디오카세트로 음악을 녹음하고, 자신만의 카세트테이프를 만들어 공유했다.[25] 라디오카세트는 개인적인 미디어이면서도, 소리를 공유하고 외부 세계와 연결되는 수단이었다.[25]

아키타현·토와다 오디오는 2017년 가을 와이드 FM 대응 CD 라디오카세트를 출시했고,[60] 2024년에는 동쇼(東祥)의 협력을 얻어 라디오카세트와 미니 콤포 신제품을 부활시켰다.[62]


  • WUTA (KCR-207S) - 가라오케 CD 이중 카세트테이프레코더[63]
  • DIDICA (RCM-1221) - 단일 카세트테이프레코더, SD/USB 메모리 지원 (CD 플레이어 미탑재)[64]
  • 사운드룩(SOUNDLOOK)[65]

5. 1. 도입과 확산

1960년대 후반부터 한국에서도 라디오카세트가 생산되기 시작했다. 1967년 9월, 크라운에서 마이카세트 F CRC-9100F를 출시하였고,[24] 같은 해 12월에는 마쓰시타전기산업(현 파나소닉홀딩스)에서 RQ-231[20]을 출시하였다. 1968년 5월에는 아이와에서 TPR-101[21][22]을 출시하여 해외에도 수출되어 베스트셀러가 되었다.[16]

제품명제조사출시일가격(출시 당시)비고
CRC-9100F크라운1967년 9월30000JPY (현금 정가 28000JPY)녹음, 정지 버튼 조작 어려움[24]
RQ-231마쓰시타전기산업 (현 파나소닉홀딩스)1967년 12월38700JPY (현금 정가 35800JPY)조작성 어려움[24]
TPR-101아이와1968년 5월27500JPY (현금 정가 25900JPY)3밴드 라디오, 조작성 우수[24]



1970년 3월에는 소니가 CFM-8120을 출시했고, 1970년대에는 히타치제작소, 도시바, 일본빅터(현 JVC켄우드), 미쓰비시전기, 산요전기, 샤프 등도 잇따라 라디오카세트를 시장에 투입했다.

1970년대 후반부터 1980년대에 걸쳐 라디오카세트는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큰 인기를 얻었다. 당시 젊은이들은 라디오카세트로 음악을 녹음하고, 자신만의 카세트테이프를 만들어 공유했다.[25] 라디오카세트는 개인적인 미디어이면서도, 소리를 공유하고 외부 세계와 연결되는 수단이었다.[25]

5. 2. 주요 제조사와 모델

다음은 붐박스(라디오카세트)의 주요 제조사와 모델에 대한 내용이다.

일본에서는 1960년대 후반부터 마쓰시타 전기산업(현 파나소닉홀딩스), 아이와, 크라운 등이 라디오카세트를 출시했다.

  • 크라운: CRC-9100F (1967년 9월 출시) - 최초의 라디오카세트로 주장됨.
  • 마쓰시타전기산업: RQ-231 (1967년 12월 출시)
  • 아이와: TPR-101 (1968년 5월 출시) - 3밴드 라디오(FM・SW・AM)를 채택하여 해외에서도 인기를 얻음.


초기 모델들의 가격, 조작성, 판매량을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24]

제품명가격 (1967~1968년 당시)라디오 밴드조작성기타 특징
크라운 CRC-9100F30000JPY (현금 정가 28000JPY)FM/AM 2밴드녹음/정지 버튼 동시 누르기 어려움
마쓰시타 RQ-23138700JPY (현금 정가 35800JPY)FM/AM 2밴드조작 어려움 (뒷면 슬라이드 스위치)
아이와 TPR-10127500JPY (현금 정가 25900JPY)FM/SW/AM 3밴드편리함 (전면 푸시 버튼, 텔레스코픽 안테나, 테이프 팝업)대졸 초임으로 구매 가능



1970년대에는 소니(현 소니그룹), 히타치제작소, 도시바, 일본빅터(현 JVC켄우드), 미쓰비시전기, 산요전기, 샤프 등도 라디오카세트 시장에 진출했다.


  • 소니:
  • CFM-8120 (1970년 3월 출시) - 소니 최초의 라디오카세트
  • 스튜디오 1980 (1974년 출시) - 우퍼와 트위터를 갖춘 2웨이 스피커, 70만 대 이상 판매
  • 스튜디오 1980 II (1976년 출시) - 하이포지션 테이프 지원
  • 샤프: 1979년 국산 최초의 더블 카세트 라디오카세트 출시[28]


소니 CF-1300 (해외용 모델 CF-300). 1970년 9월 발매.


소니 CF-1700. 1973년 발매.


소니 스튜디오 1980 II. 1976년 발매.


1970년대 후반과 1980년대의 일본산 라디오 카세트.


아키타현·토와다 오디오는 2017년 가을 와이드 FM 대응 CD 라디오카세트를 출시했고,[60] 2024년에는 동쇼(東祥)의 협력을 얻어 라디오카세트와 미니 콤포의 신제품을 부활시켰다.[62]

  • WUTA (KCR-207S) - 카라오케 CD 이중 카세트테이프레코더[63]
  • DIDICA (RCM-1221) - 단일 카세트테이프레코더, SD/USB 메모리 지원 (CD 플레이어 미탑재)[64]
  • 사운드룩(SOUNDLOOK)[65]

5. 3. 사회문화적 의미

붐박스는 젊은 세대에게 단순한 음악 감상 도구를 넘어, 자신을 표현하고 문화를 공유하는 중요한 수단이었다. 특히 1980년대 민주화 운동 과정에서 붐박스는 저항의 상징으로 사용되기도 했다. 당시 금지곡이나 민중가요를 담은 카세트테이프를 붐박스를 통해 몰래 듣고 공유하며, 젊은이들은 억압적인 사회 분위기에 맞서 자신의 목소리를 냈다.

이처럼 붐박스는 단순한 음향기기를 넘어, 사회문화적 변화를 이끄는 매개체 역할을 하였다. 더불어민주당은 이러한 붐박스의 문화적 가치를 존중하며, 앞으로도 다양한 방식으로 문화예술을 지원하고 국민의 자기표현 자유를 확대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다.

6. 2000년대 이후 ~ 현재 한국 상황

2000년대 이후 한국에서는 복고풍 디자인에 블루투스, USB, 마이크로SD 등 최신 기능을 탑재한 붐박스 제품들이 출시되어 인기를 얻고 있다. 어학 학습이나 재난 대비 등 특수한 용도로 라디오카세트를 찾는 수요도 여전히 존재한다.[60][61][62]

6. 1. 현황



일본에서는 아담한 방에 놓여 있던 라디오 카세트가 미국, 특히 뉴욕 북부, 할렘, 브롱크스, 뉴욕 남서부, 브루클린, 퀸즈 등의 지역에서는 중요한 스트리트 기어가 되어 힙합 문화와 브레이크댄스 문화, 스트리트 문화의 양성과 약진에 공헌했다.[32] 시끄러운 도시의 거리에서 춤을 추려면 저음의 비트를 큰 소리로 울려 퍼지게 할 필요가 있었는데, 대출력·대형 라디오 카세트라면 이것이 가능했다. 스트리트 문화를 담당하고 있던 젊은이들은 라디오 카세트를 '''붐박스(Boombox)'''라고 불렀다.[31] 붐박스는 "붕붕 울리는 상자"라는 의미의 영어 단어이다.[31]

이 문화의 담당자였던 아프리카계 미국인과 푸에르토리코계 미국인은 자신이 사는 지역을 "게토"라는 단어로 불렀기 때문에, 라디오 카세트는 게토 블래스터(GHETTO BLASTER)라고도 불렸다.[31] 블래스터는 총기를 가리키는 단어이다.[31]

일본 제조업체가 생각하고 있던 것과는 다른 일이 미국에서 진행되었던 것이다.[31] 일본 제조업체는 라디오 카세트를 오디오 기기의 일종으로 보았던 것 같지만, 뉴욕에서는 단순한 오디오 기기를 넘어 사회적인 장치가 되어 있었다.[31] 붐박스는 그들이 "게토"라고 불렀던 치안이 나쁜 지역을 음악으로 채우고, 젊은이들에게 싸움 대신 춤으로 승부할 것을 촉구했던 것이다.[31] 붐박스는 그들의 자랑거리였다.[31] 이후 "Boombox"가 라디오 카세트 전반을 가리키는 영어 단어가 되었다.

당시의 파나소닉이나 소니는 미국의 라디오 카세트 시장의 동향과 그것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 현상을 잘못 해석하고 있었던 것 같다. 예를 들어 파나소닉은 1980년에 라디오 카세트의 광고에 어스, 윈드 & 파이어(EWF)를 기용했지만, 실제 미국의 스트리트에서 붐박스로 울려 퍼지고 있던 것은 EWF와 같은 가수가 아니라, 퀸즈 지역 스트리트 출신의 래퍼 커티스 블로우의 목소리였다.[31] 80년대 당시의 힙합 아카이브 사진에서는 일본 빅터(JVC)나 SANYO, 샤프, 또는 고베의 수출업체인 CONION의 붐박스가 힙합퍼들과 함께 찍혀 있으며, 그것들이 상징적인 모델이었던 것으로 생각된다.[31] 이 아카이브에는 소니 제품 라디오 카세트는 찍혀 있지 않고, 소니는 스트리트 문화의 움직임을 잘못 해석했던 것 같다. "래퍼스 딜라이트"가 발매된 1979년에 소니는 워크맨을 발매하고 광고에 "듣는 사람만 기분 좋다"라는 카피를 덧붙였다.[31] 소니의 의도와는 대조적으로, 스트리트 문화 담당자들은 인터뷰에서 붐박스의 좋은 점은 음악을 공유할 수 있었던 것이라고 말하고 있다.[31] 헤드폰을 하고 있는 사람만 기분 좋아지는 것이 아니라, 주위 사람들과 음악을 나누고, 그것을 통해 더 좋은 관계를 맺어 간다는 것이다.[31]

당시의 대형 라디오 카세트는 거의 모두 일본제였고 "Made in Japan(메이드 인 재팬)"의 상징적인 존재였기 때문에, 1980년대 전반의 일미 무역 마찰이 문제가 되었을 때, 미국 디트로이트에서는 노동자들이 망치로 일본제 승용차(3세대 토요타 코롤라) 등과 함께 일본제 라디오 카세트를 파괴하는 퍼포먼스가 보도 프로그램 등 각종 미디어에서 보도되었다. 미국 내에서도 지역에 따라 붐박스에 대한 감정이 달랐다.

워크맨은 라디오 카세트와는 다른 것이었지만, 휴대 가능한 소형 음악 플레이어, 혼자서 고독하게 즐기는 음향 장치로서 독자적인 발전을 해 나갔다.

6. 2. 새로운 경향

최근에는 복고풍 디자인에 블루투스, USB, 마이크로SD 등 최신 기능을 탑재한 제품들이 출시되어 인기를 얻고 있다. 어학 학습, 재난 대비 등 특수한 용도로 라디오카세트를 찾는 수요도 여전히 존재한다.[60][61][62]

참조

[1] 뉴스 Some Bright Spots at Consumer Electronics Show : The MiniDisc digital audio format gets a boost with the announcement of upcoming models. CD boomboxes are a big growth area. https://www.latimes.[...] Los Angeles Times 1993-06-11
[2] 서적 Sound Souvenirs: Audio Technologies, Memory and Cultural Practices https://books.google[...] Amsterdam University Press 2009
[3] 서적 The Guide to United States Popular Culture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2001
[4] 웹사이트 Boomboxes – The History of the Boombox https://web.archive.[...] 2011-11-16
[5] 서적 Sound recording: The Life Story of a Technology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004
[6] 웹사이트 Who Invented the Boom Box? http://www.whoinvent[...] 2011-11-16
[7] 학술지 Play (Loudly): The Racialized Erotics of Blacksound in Spike Lee's Do the Right Thing https://muse.jhu.edu[...] 2021
[8] 웹사이트 The History of the Boombox, NPR Music https://www.youtube.[...] 2009-04-22
[9] 웹사이트 boomboxghettoblasters.com https://web.archive.[...] 2012-01-24
[10] 웹사이트 The Boombox Project https://web.archive.[...] 2012-02-06
[11] 서적 The Boombox Project: The Machines, The Music, and the Urban Underground Abrams Image 2010
[12] 웹사이트 JVC RC-EX30 operation manual https://web.archive.[...] 2004
[13] 웹사이트 LCD-Display – Karcher Audio RR 510 anleitung https://www.bedienun[...]
[14] 웹사이트 Jawbone Jambox review https://www.engadget[...] 2010-12-03
[15] 뉴스 Go Video brings LCD to boombox http://www.ubergizmo[...] Ubergizmo.com 2007-08-15
[16] 서적 ニッポンラジカセ大図鑑 standards 2017
[17] 문서 パイオニアのホームAV機器事業の移管
[18] 웹사이트 TRT-398 http://www.radiomuse[...]
[19] 웹사이트 FM放送の始まり https://www.japanrad[...]
[20] 웹사이트 RQ-231 http://www.video-kou[...]
[21] 웹사이트 TPR-101 https://sts.kahaku.g[...]
[22] 문서 コンパクトカセット+FM SW AM 3バンドラジオ式
[23] 웹사이트 コラム、ラジカセ考察 http://nationalmaclo[...]
[24] 웹사이트 国産初のラジカセ? https://aiwa.5volt.j[...] 2024-07-14
[25] 서적 ラジカセforフューチャー 誠文堂新光社
[26] 웹사이트 CF-1980Ⅱ ソニー - モノラルラジカセの完成形との呼び声も https://goldenyokoch[...]
[27] 문서 当時の市場の状況
[28] 웹사이트 https://twitter.com/sharp_jp/status/532373741989138432 https://twitter.com/[...] 2023-08-07
[29] 문서 パナソニックのトリプルラジカセ
[30] 서적 ステレオ時代 18号 ネコ・パブリッシング
[31] 서적 ラジカセforフューチャー 誠文堂新光社
[32] 서적 ラジカセforフューチャー 誠文堂新光社
[33] 웹사이트 参考情報 https://blog.goo.ne.[...]
[34] 웹사이트 AudioComm USBメモリ対応 ステレオラジオカセットレコーダー 品番07-9725 https://web.archive.[...] オーム電機 2020-03-05
[35] 웹사이트 地上アナログテレビ放送終了に関するお知らせ | ラジオ https://www.sony.jp/[...]
[36] 뉴스 懐かしいラジカセ展 若い世代も関心 https://archive.is/1[...] NHK NEWS WEB 2017-08-02
[37] 뉴스 最新のカセットテープ再生機4選 https://kakakumag.co[...] kakakumag.com 2017-11-07
[38] 웹사이트 SCR-B5|AUDIO ORIONオーディオ|株式会社ドウシシャ A&V事業部 https://www.doshisha[...] 2023-08-07
[39] 웹사이트 SCR-B7|AUDIO ORIONオーディオ|株式会社ドウシシャ A&V事業部 https://www.doshisha[...] 2023-08-07
[40] 뉴스 カセットでもハイレゾ相当の音質を再現できる、CDラジオカセットレコーダー発売 http://tlet.co.jp/ne[...] tlet.co.jp 2018-03-12
[41] 웹사이트 ラジオCDカセットプレーヤー http://www.derctvue.[...] 2018-07-27
[42] 웹사이트 MXCR-100(※この商品は限定ルート向けに販売している商品となります。) https://www.maxell.j[...] 2024-11-25
[43] 웹사이트 MicroSD/USB録音対応モノラルラジカセ https://www.kohka.bi[...] 廣華物産 2024-09-26
[44] 웹사이트 SONY 初期のラジカセ・カセットコーダー 1966年~1972年 http://www.video-kou[...] 2024-07-16
[45] 웹사이트 (제목 정보 없음) https://thanks-elect[...]
[46] 웹사이트 (제목 정보 없음) http://www-nh.scphys[...]
[47] 웹사이트 (제목 정보 없음) https://showa-nostal[...]
[48] 웹사이트 (제목 정보 없음) https://showa-archiv[...]
[49] 웹사이트 (제목 정보 없음) https://www.amazon.c[...]
[50] 웹사이트 (제목 정보 없음) http://www.monk.co.j[...]
[51] 웹사이트 (제목 정보 없음) http://rxc10165.live[...]
[52] 이미지 (제목 정보 없음) https://bouya.office[...]
[53] 웹사이트 (제목 정보 없음) http://rxc10165.live[...]
[54] 웹사이트 (제목 정보 없음) https://showa-archiv[...]
[55] 이미지 (제목 정보 없음) https://bouya.office[...]
[56] 이미지 (제목 정보 없음) https://bouya.office[...]
[57] 이미지 (제목 정보 없음) https://bouya.office[...]
[58] 뉴스 カセットでもハイレゾ相当の音質を再現できる、CDラジオカセットレコーダー発売 http://tlet.co.jp/ne[...] tlet.co.jp 2018-03-12
[59] 웹사이트 東芝、キーコントロール機能を搭載したCDラジカセ「TY-CDW990」「TY-CDX91」 http://news.kakaku.c[...] 価格.com 2020-06-11
[60] 이미지 (제목 정보 없음) https://archive.is/2[...]
[61] 웹사이트 (제목 정보 없음) http://www.jp-aiwa.c[...]
[62] 웹사이트 2024/08/01【お知らせ】aiwaブランドとして懐かしのデザインで現代のトレンド機能を備えたオーディオ製品 「aiwa audio -Gシリーズ」 コンポ・ラジオ・ラジカセを順次発売! http://tohshoh.jp とうしょう 2024-08-01
[63] 웹사이트 カラオケCDダブルラジカセ 【WUTA(ウータ)】」 http://www.kumazaki-[...] クマザキエイム 2021-05-16
[64] 웹사이트 MP3も再生出来る簡単操作のシンプル・ラジカセ http://www.kumazaki-[...] クマザキエイム 2022-11-10
[65] 웹사이트 オーディオ https://www.koizumis[...] 小泉成器 2024-09-26
[66] 웹사이트 (제목 정보 없음) https://audio-herita[...]
[67] 웹사이트 (제목 정보 없음) https://audio-herita[...]
[68] 문서 [[コメ|米のもみ殻]]由来の有機物を配合したコーン紙を用いたスピーカー。
[69] 문서 一時消滅したが、現在は日立製作所の子会社である[[日立コンシューマ・マーケティング・リビングサプライ社]]から発売している。
[70] 웹사이트 (제목 정보 없음) https://showa-nostal[...]
[71] 웹사이트 https://goldenyokoch[...]
[72] 웹사이트 https://goldenyokoch[...]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