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극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극은 역사적 사건이나 인물을 소재로 하는 드라마, 영화, 연극 등을 포괄하는 장르이다. 고대 그리스 연극에서 기원하여 튜더 왕조 시대 잉글랜드에서 현대적 형태를 갖추었으며, 셰익스피어의 작품을 통해 발전했다. 사극은 역사적 사실을 바탕으로 하되, 작가의 상상력과 창의성을 더하며, 종종 정치적 메시지를 전달하는 수단으로 활용되기도 한다. 그러나 역사 왜곡, 고증 오류, 정치적 편향성 등의 문제점을 안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역사를 소재로 한 작품 - 사료
사료는 역사 연구의 기반 자료로서 1차, 2차, 3차 사료로 나뉘며,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고 사료비판을 통해 신뢰성을 검증하며, 객관적 분석과 해석을 통해 연구되고 보존 및 관리가 필요하다. - 역사를 소재로 한 작품 - 로마 (드라마)
HBO와 BBC가 공동 제작한 드라마 《로마》는 기원전 1세기 로마 공화정 말기를 배경으로 루키우스 보레누스와 티투스 풀로, 그리고 실존 인물들의 상호작용을 통해 정치적·군사적 갈등, 권력 투쟁, 사회상을 묘사하며 역사적 사실과 허구를 혼합한 서사를 특징으로 한다. - 드라마 장르 - 멜로드라마
멜로드라마는 과장된 감정, 극적인 줄거리, 선악이 분명한 인물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마 장르로, 18세기 프랑스에서 음악 반주가 있는 연극으로 시작되어 19세기 영국과 프랑스에서 인기를 얻었으며 20세기 영화와 텔레비전으로 확장되어 현대까지 이어지고 음악 분야에서도 활용되었다. - 드라마 장르 - 비극
비극은 고대 그리스에서 유래한 극 형식으로, 시대와 문화를 거쳐 다양한 형태로 발전해 왔으며, 셰익스피어 시대의 가정 비극을 거쳐 현대에는 사회적, 개인적 고통을 탐구하고, 아리스토텔레스, 헤겔 등의 이론으로 연구되며, 일상적인 실패나 재난을 묘사하는 용어로도 사용된다. - 연극 장르 - 도덕극
도덕극은 인간 영혼의 갈등을 추상적 개념의 의인화된 등장인물로 표현하여 도덕적 교훈을 전달하는 중세 유럽의 종교극에서 발전한 연극으로, 르네상스 시대 연극에 영향을 미쳤으며, 한국 사회에 전통적 가치관과 현대 사회의 도덕적 문제에 대한 성찰 기회를 제공한다. - 연극 장르 - 멜로드라마
멜로드라마는 과장된 감정, 극적인 줄거리, 선악이 분명한 인물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마 장르로, 18세기 프랑스에서 음악 반주가 있는 연극으로 시작되어 19세기 영국과 프랑스에서 인기를 얻었으며 20세기 영화와 텔레비전으로 확장되어 현대까지 이어지고 음악 분야에서도 활용되었다.
사극 | |
---|---|
역사극 개요 | |
분야 | 연극, 영화, 텔레비전 |
특징 | 역사적 사건 또는 인물을 극적으로 묘사 |
역사극의 목적 | |
목적 | 애국심 고취 민족주의 고취 역사적 교훈 전달 정치적 선전 |
역사극의 예시 | |
예시 | 셰익스피어의 역사극 대하드라마 |
상세 내용 | |
정의 | 역사적 사건이나 인물을 소재로 한 드라마 장르이다. |
특징 | 역사적 사실에 기반하지만, 극적인 효과를 위해 일부 내용이 각색될 수 있다. 애국심이나 민족주의를 고취하는 경우가 많다. 역사적 교훈을 전달하거나 정치적 선전의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다. |
역사극의 유형 | 연극 영화 텔레비전 드라마 |
역사극의 예 | 셰익스피어의 역사극: 《리처드 3세》, 《헨리 4세》 등 한국의 사극: 《태조 왕건》, 《대장금》 등 |
역사 | 역사극은 고대 그리스 시대부터 존재했다. 셰익스피어 시대에 크게 발전했다. 현대에도 영화, 텔레비전 드라마 등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고 있다. |
참고 문헌 | Irving Ribner, "Marlowe's Edward II and the Tudor History Play," ELH, Vol. 22, No. 4 (Dec., 1955), pp. 243-253 Irving Ribner, The English History Play in the Age of Shakespeare (1965) |
사극 (한국 드라마) 개요 | |
정의 | 한국의 역사적 사실이나 인물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드라마 |
종류 | 정통 사극 퓨전 사극 |
특징 | 역사적 배경을 바탕으로 허구적인 이야기를 전개 의상, 소품, 배경 등 역사적 고증에 신경 씀 권선징악 구조, 애국심 고취 |
문제점 | 역사 왜곡 논란 지나친 선정성, 폭력성 |
소재 | 왕, 왕족 관료 무사 평민 |
배경 | 궁궐 전쟁터 민가 |
영향 | 한류 열풍을 이끄는 주요 장르 한국 문화에 대한 관심 증대 |
관련 용어 | 대하드라마 퓨전 사극 |
관련 기사 | 드라마 운명 좌우하는 제목사냥…(국민일보, 1998-02-27) MBC는 주중 사극이 무섭다?(헤럴드POP, 2009-07-10) |
수상 정보 | ‘태조왕건’ 작가 이환경씨 한국방송작가상 수상(국민일보, 2001-12-11) 한국방송작가상 오늘(11일) 개최, 작가들이 뽑은 `녹두꽃`[MK이슈](매일경제, 2019-12-11) |
2. 정의
역사적 서사와 관련된 연극은 아테네 극장의 시작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예를 들어, 많은 초기 그리스 연극이 현대 관객이 신화(역사보다는)로 간주하는 주제를 다루었지만, 그리스인들은 그러한 구분을 하지 않고 신에 대한 이야기를 왕에 대한 이야기를 포함하는 동일한 전체 서사에 통합했다.[4] 게다가,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연극 작품인 ''페르시아인''은 현대의 역사적 이해에서도 완전히 역사적인 사건을 기록하고 있다.[5] ''페르시아인''과 현대적 의미의 역사극 사이의 주요 차이점은 살라미스 해전의 서사에 초자연적 요소를 포함시켰다는 점이다. 또한, 그것은 주로 전투에 대한 페르시아의 반응을 극화하는데, 이는 그리스 역사가에게는 기껏해야 부차적인 관심사였을 것이다. 따라서, 그것은 검증 가능한 역사적 사건을 다루고 있지만, 현대적 역사 이해에 부합하지 않고(검증할 수 없는 초자연적 요소를 사실로 제시함으로써) 그 목표가 고대 그리스 역사가의 목표와 완전히 일치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역사극"의 현대적 장르와 실질적으로 다르다.[5]3. 역사
중세 시대의 연극은 미사를 둘러싼 전통에서 비롯되었는데, 이는 성찬 희생이 십자가에서의 희생을 재현한다는 정통 신학적 입장으로 인해 극과 깊은 유사성을 가지고 있다. 일요일 정기적인 예배는 연극과 같았지만, 부활절 예배를 둘러싸고 발전한 전통은 ''연극''이었다. 구체적으로 "퀨 퀘리티스?"는 사제와 시종이 등장인물을 묘사하는 것을 명시적으로 포함했다. 중세 연극 제작자들은 기독교의 종교적 서사를 자세히 설명하는 다른 연극을 만들기 시작했다. 성인, 특히 지역 성인에 대한 연극은 잉글랜드에서 특히 인기가 있었다. 이 연극들은 동시대 역사가의 목표에 부합했으며, 종종 "성인전" 책과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 그러나, 그들은 의심 없이 초자연적 현상을 핵심 요소로 포함시키기 때문에 현대적 역사 이해와 현저하게 다르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역사극의 현대적 이해에 포함되지 않는다.[6]
역사극은 튜더 왕조 시대의 잉글랜드에서 처음 현대적인 형태를 갖추었다. 폴리도르 베르길(1534), 에드워드 홀(1543), 라파엘 홀린셰드(1577) 등이 쓴 새로운 잉글랜드 역사서들이 출판되면서 역사극이 등장하였다.[7] 헨리 7세 이후 튜더 왕조가 왕권의 정당성을 보여주어야 할 필요성이 커지면서 역사 문학이 증가했다.[8] 랄프 헤르텔은 역사극의 수행적 본질을 초기 튜더 시대 잉글랜드의 국가 정체성 증가와 연결시켰다. 그는 "잉글랜드다움"은 "무대에서 펼쳐지는 사건의 증인이 되어 극장 행사에 참여하고 극적으로 표현된 잉글랜드다움에 참여함으로써 관객에 의해 만들어진 것"이라고 했다.[9]
튜더 시대 역사극의 초기 예로는 존 스켈턴의 ''매그니피선스(Magnyfycence)''(1519)가 있다. 이 작품에서 주인공은 헨리 7세를, 주요 적대자는 토마스 울지를 암시했다. 존 베일의 ''킹 존(Kynge Johan)''(1538)은 세속적인 역사극의 등장을 알렸다.[3]
크리스토퍼 말로우의 ''에드워드 2세(Edward II)''(1592)는 역사극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 말로우는 이야기를 전개하는 관점에서 희곡에 기여할 사건에 집중했고, 이는 이후 잉글랜드 르네상스 역사극의 기본 요소가 되었다.[10]
역사극은 잉글랜드에서 연극이 의심받던 시기에 발전했지만, 연극 비평가들 사이에서도 가치 있는 예술 형식으로 여겨졌다.[13] 토마스 내쉬와 토마스 헤이우드는 잉글랜드 역사극이 과거 잉글랜드 영웅들을 불멸화하고 관객들에게 국가적 자부심을 심어주었다고 보았다.[13] 역사극은 극적인 매체를 사용하여 역사가들의 목표를 달성하려고 했으며, 르네상스 시대 잉글랜드의 극작가들에게는 연극 형태의 역사적 선전과 같았다.[11]
제1 폴리오에서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희곡은 희극, 역사극, 비극으로 분류되었다. 셰익스피어의 역사극은 존 왕의 통치 시대부터 헨리 8세 시대까지 영국 역사의 사건들을 극화했다. 셰익스피어는 리처드 2세부터 리처드 3세까지의 역사를 다룬 8편의 희곡을 썼다. 1590년대 초에 쓰인 첫 번째 4부작은 ''헨리 6세 1부'', ''2부'', ''3부'' 및 ''리처드 3세''를 포함한다. 1599년에 완성된 두 번째 4부작은 ''리처드 2세'', ''헨리 4세 1부'', ''헨리 4세 2부'' 및 ''헨리 5세''를 포함하며, 헨리 5세를 따서 ''헨리아드''라고 불린다.
셰익스피어는 ''햄릿''에서 역사극이 확립된 연극 장르임을 암시한다.[14] 셰익스피어의 역사극은 이 장르를 정의하는 작품으로 여겨지며, 이후 역사극 작가들은 그의 스타일을 따르거나, 적어도 셰익스피어 역사극과의 스타일 차이를 인식하게 되었다.[3]
영국 왕정복고 이후, 역사극은 튜더 왕조와 스튜어트 왕조 시대에 얻었던 추진력을 상당 부분 상실했다. 르네상스 시대 영국 연극에서 가장 존경받던 장르였던 비극(역사극은 처음부터 비극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었다)조차도 비극 희극과 희극에 밀려 유행이 시들해졌다.[15] 그럼에도 불구하고, 영국의 극작가들은 윌리엄 데버넌트의 ''로도스 공성전'', 존 드라이든의 ''인디언 여왕''과 ''인디언 황제'', 엘카나 세틀의 ''모로코 여황제''를 포함하여 잉글랜드 밖의 역사적 사건들을 묘사한 수많은 희곡들을 제작했다.
역사극 제작은 종종 의도적으로 부흥적인 성격을 띠었다.[3] 예를 들어, 셰익스피어의 역사극을 포함한 셰익스피어 희곡의 각색은 매우 인기가 있었다.[16]
18세기에는 조지프 애디슨의 신고전주의 ''카토, 비극''이 셰익스피어의 ''줄리어스 시저''에 적용되는 것과 동일한 광범위하고 일반적인 정의에 따라 역사극으로 분류될 수 있었다.
3. 1. 고대
역사적 서사와 관련된 연극은 아테네 극장의 시작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예를 들어, 많은 초기 그리스 연극이 현대 관객이 신화(역사보다는)로 간주하는 주제를 다루었지만, 그리스인들은 그러한 구분을 하지 않고 신에 대한 이야기를 왕에 대한 이야기를 포함하는 동일한 전체 서사에 통합했다.[4] 게다가,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연극 작품인 ''페르시아인''은 현대의 역사적 이해에서도 완전히 역사적인 사건을 기록하고 있다.[5] ''페르시아인''과 현대적 의미의 역사극 사이의 주요 차이점은 살라미스 해전의 서사에 초자연적 요소를 포함시켰다는 점이다. 또한, 그것은 주로 전투에 대한 페르시아의 반응을 극화하는데, 이는 그리스 역사가에게는 기껏해야 부차적인 관심사였을 것이다. 따라서, 그것은 검증 가능한 역사적 사건을 다루고 있지만, 현대적 역사 이해에 부합하지 않고(검증할 수 없는 초자연적 요소를 사실로 제시함으로써) 그 목표가 고대 그리스 역사가의 목표와 완전히 일치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역사극"의 현대적 장르와 실질적으로 다르다.[5]
3. 1. 1. 그리스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연극 작품은 기원전 472년에 상연된
스킬로스]]의 비극 ''페르시아인''이다. 이 작품은 살라미스 해전에서 페르시아 함대에 승리한 것을 축하하기 위해 상연되었는데, 아테네인들이 페르시아 전쟁에서 승리한 것은 신의 섭리에 의한 것이라는 점을 강조한다.
3. 1. 2. 로마
로마 시대를 배경으로 한 사극은 거의 제작되지 않는다.
3. 2. 중세
역사적 서사와 관련된 연극은 아테네 극장의 시작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많은 초기 그리스 연극이 현대 관객이 신화로 간주하는 주제를 다루었지만, 그리스인들은 그러한 구분을 하지 않고 신에 대한 이야기를 왕에 대한 이야기를 포함하는 동일한 전체 서사에 통합했다.[4]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연극 작품인 ''페르시아인''은 현대의 역사적 이해에서도 완전히 역사적인 사건을 기록하고 있다.[5] ''페르시아인''과 현대적 의미의 역사극 사이의 주요 차이점은 살라미스 전투의 서사에 초자연적 요소를 포함시켰다는 점이다. 또한, 그것은 주로 전투에 대한 페르시아의 반응을 극화하는데, 이는 그리스 역사가에게는 부차적인 관심사였을 것이다. 따라서, 검증 가능한 역사적 사건을 다루고 있지만, 현대적 역사 이해에 부합하지 않고(검증할 수 없는 초자연적 요소를 사실로 제시함으로써) 그 목표가 고대 그리스 역사가의 목표와 완전히 일치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역사극"의 현대적 장르와 실질적으로 다르다.[5]
중세 시대의 연극은 미사를 둘러싼 전통에서 비롯되었는데, 이는 성찬 희생이 십자가에서의 희생을 재현한다는 정통 신학적 입장으로 인해 극과 깊은 유사성을 가지고 있다. 일요일 정기적인 예배는 연극과 같았지만, 부활절 예배를 둘러싸고 발전한 전통은 ''연극''이었다. 구체적으로 "퀨 퀘리티스?"는 사제와 시종이 등장인물을 묘사하는 것을 명시적으로 포함했다. 중세 연극 제작자들은 기독교의 종교적 서사를 자세히 설명하는 다른 연극을 만들기 시작했다. 성인, 특히 지역 성인에 대한 연극은 잉글랜드에서 특히 인기가 있었다. 이 연극들은 동시대 역사가의 목표에 부합했으며, 종종 "성인전" 책과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 그러나, 그들은 의심 없이 초자연적 현상을 핵심 요소로 포함시키기 때문에 현대적 역사 이해와 현저하게 다르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역사극의 현대적 이해에 포함되지 않는다.[6]
3. 3. 근대
역사극은 튜더 왕조 시대의 잉글랜드에서 처음 현대적인 형태를 갖추었다. 폴리도르 베르길(1534), 에드워드 홀(1543), 라파엘 홀린셰드(1577) 등이 쓴 새로운 잉글랜드 역사서들이 출판되면서 역사극이 등장하였다.[7] 헨리 7세 이후 튜더 왕조가 왕권의 정당성을 보여주어야 할 필요성이 커지면서 역사 문학이 증가했다.[8] 랄프 헤르텔은 역사극의 수행적 본질을 초기 튜더 시대 잉글랜드의 국가 정체성 증가와 연결시켰다. 그는 "잉글랜드다움"은 "무대에서 펼쳐지는 사건의 증인이 되어 극장 행사에 참여하고 극적으로 표현된 잉글랜드다움에 참여함으로써 관객에 의해 만들어진 것"이라고 했다.[9]
튜더 시대 역사극의 초기 예로는 존 스켈턴의 ''매그니피선스(Magnyfycence)''(1519)가 있다. 이 작품에서 주인공은 헨리 7세를, 주요 적대자는 토마스 울지를 암시했다. 존 베일의 ''킹 존(Kynge Johan)''(1538)은 세속적인 역사극의 등장을 알렸다.[3]
|thumb|''에드워드 2세'' (1594)의 가장 초기에 출판된 텍스트의 표지]]
크리스토퍼 말로우의 ''에드워드 2세(Edward II)''(1592)는 역사극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 말로우는 이야기를 전개하는 관점에서 희곡에 기여할 사건에 집중했고, 이는 이후 잉글랜드 르네상스 역사극의 기본 요소가 되었다.[10]
역사극은 잉글랜드에서 연극이 의심받던 시기에 발전했지만, 연극 비평가들 사이에서도 가치 있는 예술 형식으로 여겨졌다.[13] 토마스 내쉬와 토마스 헤이우드는 잉글랜드 역사극이 과거 잉글랜드 영웅들을 불멸화하고 관객들에게 국가적 자부심을 심어주었다고 보았다.[13] 역사극은 극적인 매체를 사용하여 역사가들의 목표를 달성하려고 했으며, 르네상스 시대 잉글랜드의 극작가들에게는 연극 형태의 역사적 선전과 같았다.[11]
|thumb|찰스 킨의 리처드 3세]
제1 폴리오에서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희곡은 희극, 역사극, 비극으로 분류되었다. 셰익스피어의 역사극은 존 왕의 통치 시대부터 헨리 8세 시대까지 영국 역사의 사건들을 극화했다. 셰익스피어는 리처드 2세부터 리처드 3세까지의 역사를 다룬 8편의 희곡을 썼다. 1590년대 초에 쓰인 첫 번째 4부작은 ''헨리 6세 1부'', ''2부'', ''3부'' 및 ''리처드 3세''를 포함한다. 1599년에 완성된 두 번째 4부작은 ''리처드 2세'', ''헨리 4세 1부'', ''헨리 4세 2부'' 및 ''헨리 5세''를 포함하며, 헨리 5세를 따서 ''헨리아드''라고 불린다.
셰익스피어는 ''햄릿''에서 역사극이 확립된 연극 장르임을 암시한다.[14] 셰익스피어의 역사극은 이 장르를 정의하는 작품으로 여겨지며, 이후 역사극 작가들은 그의 스타일을 따르거나, 적어도 셰익스피어 역사극과의 스타일 차이를 인식하게 되었다.[3]
3. 3. 1. 잉글랜드
역사극은 튜더 왕조 시대의 잉글랜드에서 처음 현대적인 형태를 갖추었다. 폴리도르 베르길(1534), 에드워드 홀(1543), 라파엘 홀린셰드(1577) 등이 쓴 새로운 잉글랜드 역사서들이 출판되면서 역사극이 등장하였다.[7] 헨리 7세 이후 튜더 왕조가 왕권의 정당성을 보여주어야 할 필요성이 커지면서 역사 문학이 증가했다.[8] 랄프 헤르텔은 역사극의 수행적 본질을 초기 튜더 시대 잉글랜드의 국가 정체성 증가와 연결시켰다. 그는 "잉글랜드다움"은 "무대에서 펼쳐지는 사건의 증인이 되어 극장 행사에 참여하고 극적으로 표현된 잉글랜드다움에 참여함으로써 관객에 의해 만들어진 것"이라고 했다.[9]
튜더 시대 역사극의 초기 예로는 존 스켈턴의 ''매그니피선스(Magnyfycence)''(1519)가 있다. 이 작품에서 주인공은 헨리 7세를, 주요 적대자는 토마스 울지를 암시했다. 존 베일의 ''킹 존(Kynge Johan)''(1538)은 세속적인 역사극의 등장을 알렸다.[3]
|thumb|''에드워드 2세'' (1594)의 가장 초기에 출판된 텍스트의 표지]]
크리스토퍼 말로우의 ''에드워드 2세(Edward II)''(1592)는 역사극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 말로우는 이야기를 전개하는 관점에서 희곡에 기여할 사건에 집중했고, 이는 이후 잉글랜드 르네상스 역사극의 기본 요소가 되었다.[10]
역사극은 잉글랜드에서 연극이 의심받던 시기에 발전했지만, 연극 비평가들 사이에서도 가치 있는 예술 형식으로 여겨졌다.[13] 토마스 내쉬와 토마스 헤이우드는 잉글랜드 역사극이 과거 잉글랜드 영웅들을 불멸화하고 관객들에게 국가적 자부심을 심어주었다고 보았다.[13] 역사극은 극적인 매체를 사용하여 역사가들의 목표를 달성하려고 했으며, 르네상스 시대 잉글랜드의 극작가들에게는 연극 형태의 역사적 선전과 같았다.[11]
|thumb|찰스 킨의 리처드 3세]
제1 폴리오에서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희곡은 희극, 역사극, 비극으로 분류되었다. 셰익스피어의 역사극은 존 왕의 통치 시대부터 헨리 8세 시대까지 영국 역사의 사건들을 극화했다. 셰익스피어는 리처드 2세부터 리처드 3세까지의 역사를 다룬 8편의 희곡을 썼다. 1590년대 초에 쓰인 첫 번째 4부작은 ''헨리 6세 1부'', ''2부'', ''3부'' 및 ''리처드 3세''를 포함한다. 1599년에 완성된 두 번째 4부작은 ''리처드 2세'', ''헨리 4세 1부'', ''헨리 4세 2부'' 및 ''헨리 5세''를 포함하며, 헨리 5세를 따서 ''헨리아드''라고 불린다.
셰익스피어는 ''햄릿''에서 역사극이 확립된 연극 장르임을 암시한다.[14] 셰익스피어의 역사극은 이 장르를 정의하는 작품으로 여겨지며, 이후 역사극 작가들은 그의 스타일을 따르거나, 적어도 셰익스피어 역사극과의 스타일 차이를 인식하게 되었다.[3]
3. 3. 2. 기타 유럽 국가
유럽의 사극은 자국의 역사와 문화를 반영하는 중요한 장르로 자리 잡고 있다. 프랑스의 경우, 역사적 사건과 인물을 다룬 영화와 드라마가 꾸준히 제작되고 있으며, 특히 프랑스 혁명이나 나폴레옹 시대를 배경으로 한 작품들이 많다. 스페인 또한 이사벨 1세 여왕의 일대기를 그린 드라마 이사벨이나 카를로스 5세의 시대를 다룬 카를로스와 같이 역사적 인물을 중심으로 한 사극이 인기를 얻고 있다. 이러한 작품들은 유럽의 역사와 문화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3. 4. 현대
영국 왕정복고 이후, 역사극은 튜더 왕조와 스튜어트 왕조 시대에 얻었던 추진력을 상당 부분 상실했다. 르네상스 시대 영국 연극에서 가장 존경받던 장르였던 비극(역사극은 처음부터 비극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었다)조차도 비극 희극과 희극에 밀려 유행이 시들해졌다.[15] 그럼에도 불구하고, 영국의 극작가들은 윌리엄 데버넌트의 ''로도스 공성전'', 존 드라이든의 ''인디언 여왕''과 ''인디언 황제'', 엘카나 세틀의 ''모로코 여황제''를 포함하여 잉글랜드 밖의 역사적 사건들을 묘사한 수많은 희곡들을 제작했다.
역사극 제작은 종종 의도적으로 부흥적인 성격을 띠었다.[3] 예를 들어, 셰익스피어의 역사극을 포함한 셰익스피어 희곡의 각색은 매우 인기가 있었다.[16]
18세기에는 조지프 애디슨의 신고전주의 ''카토, 비극''이 셰익스피어의 ''줄리어스 시저''에 적용되는 것과 동일한 광범위하고 일반적인 정의에 따라 역사극으로 분류될 수 있었다. 최근에 저술된 역사극으로는 제임스 골드만의 ''겨울의 사자''가 있는데 역사에 맞지 않다는 비판을 받기도 한다. 이 작품은 장르의 경계를 시험하는 동시에 그 관습을 조롱하기도 한다. 조지 버나드 쇼의 ''성녀 요한''은 광범위한 찬사를 받았으며,[17] 셰익스피어의 역사극과 비교되기도 했다.[18] 데이비드 헤어의 ''사건 발생''은 이라크 전쟁으로 이어지는 사건들을 연대기적으로 다루는데, 작가가 주제와 불과 2년 밖에 떨어져 있지 않은 채로 역사극의 시간적 경계를 시험한다. 이 희곡은 정확한 인용의 사용에 크게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주요 등장인물들이 하는 모든 공개 연설은 실제 인용구에서 한 단어 한 단어 그대로 가져온 것이다.[19]
4. 세계의 사극
4. 1. 대한민국
대한민국 사극은 대부분 조선시대를 많이 다루고 있었으나, 태조 왕건이 후삼국 시대를 다룬 이후 조선이 아닌 다른 시대도 많이 다루게 되었다. 고려가 많이 나오며 고구려, 백제, 신라도 자주 나오는 편이다.문제는 신라 시대를 다룬 선덕여왕에서 사용된 복식을 조선 숙종 집권기를 다룬 동이에서 다시 사용했다는 점이다. 이러한 역사 왜곡 및 고증 오류는 대한민국 사극에서 종종 나타나는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4. 2. 중국
중국은 역사가 매우 긴 만큼 사극의 시대적 배경도 다양하며 소재가 무궁무진하다. 가장 유명한 사극으로는 삼국지를 소재로 한 사극이 많다.4. 3. 일본
일본의 사극은 센고쿠 시대가 주를 이루며 그 이전 시대도 종종 다루고 있다.4. 4. 유럽
유럽의 사극은 대부분 중세 시대에 편중되어 있으며 로마 제국 시대와 대항해시대도 상당히 많이 나온다.종교적 성향의 사극은 주로 예수를 다룬 작품이 많다.
4. 5. 미국
미국은 역사가 매우 짧아 사극의 소재는 서부개척시대, 남북전쟁, 제2차 세계대전 정도로 한정되어 있다.5. 현대의 사극
현대의 사극은 역사적 사실에 충실하려는 노력과 함께 작가의 상상력과 창의성을 더하는 경향을 보인다. 제임스 골드만의 ''겨울의 사자''는 역사에 맞지 않는다는 비판을 받기도 하지만, 장르의 경계를 시험하고 관습을 조롱하는 작품으로 평가받는다.[17] 조지 버나드 쇼의 ''성녀 요한''은 셰익스피어의 역사극과 비교될 정도로 찬사를 받았다.[18] 데이비드 헤어의 ''사건 발생''은 이라크 전쟁을 소재로 하여, 역사극의 시간적 경계를 시험하는 작품이다. 이 희곡은 실제 인용구를 사용하여 등장인물들의 연설을 구성하는 등 사실성에 중점을 두었다.[19]
하지만, 현대 사극은 역사 왜곡 논란 등 여러 문제점에 직면하고 있기도 하다.
6. 한국의 사극
6. 1. 특징
6. 2. 논란과 비판
최근 저술된 역사극으로는 제임스 골드만의 ''겨울의 사자''가 있다. 역사에 맞지 않다는 비판을 받기도 하지만, 이 작품은 장르의 경계를 시험하는 동시에 그 관습을 조롱하기도 한다. 비록 여러 면에서 부조리한 코믹 가족 드라마와 더 많은 공통점을 가지고 있지만, 본질적으로 역사적인 핵심을 유지하고 있다. 조지 버나드 쇼의 ''성녀 요한''은 광범위한 찬사를 받았으며,[17] 심지어 셰익스피어의 역사극과 비교되기도 했다.[18] 데이비드 헤어의 ''사건 발생''은 역사극의 시간적 경계를 시험하는데, 작가가 주제와 불과 2년 밖에 떨어져 있지 않은 채로 이라크 전쟁으로 이어지는 사건들을 연대기적으로 다룬다. 이 희곡은 정확한 인용의 사용에 크게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주요 등장인물들이 하는 모든 공개 연설은 실제 인용구에서 한 단어 한 단어 그대로 가져온 것이다.[19]사극에서 고증 오류는 매우 흔하게 나오는 문제이다. 특히 갑옷, 의복, 병장기, 건축물 등 다양한 부분에서 오류가 나타난다.
사극은 특정 정치 세력이나 인물을 미화하거나, 역사적 사건을 왜곡하여 정치적 메시지를 전달하는 수단으로 악용될 수 있다는 비판을 받는다. 특히, 제작진의 정치적 성향에 따라 특정 정당이나 정치 이념을 옹호하는 방향으로 내용이 전개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이는 시청자들에게 왜곡된 역사관을 심어주고, 사회적 갈등을 조장할 수 있다는 점에서 심각한 문제로 인식된다.
6. 2. 1. 역사 왜곡
최근 저술된 역사극으로는 제임스 골드만의 ''겨울의 사자''가 있다. 역사에 맞지 않다는 비판을 받기도 하지만, 이 작품은 장르의 경계를 시험하는 동시에 그 관습을 조롱하기도 한다. 비록 여러 면에서 부조리한 코믹 가족 드라마와 더 많은 공통점을 가지고 있지만, 본질적으로 역사적인 핵심을 유지하고 있다. 조지 버나드 쇼의 ''성녀 요한''은 광범위한 찬사를 받았으며,[17] 심지어 셰익스피어의 역사극과 비교되기도 했다.[18] 데이비드 헤어의 ''사건 발생''은 역사극의 시간적 경계를 시험하는데, 작가가 주제와 불과 2년 밖에 떨어져 있지 않은 채로 이라크 전쟁으로 이어지는 사건들을 연대기적으로 다룬다. 이 희곡은 정확한 인용의 사용에 크게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주요 등장인물들이 하는 모든 공개 연설은 실제 인용구에서 한 단어 한 단어 그대로 가져온 것이다.[19]6. 2. 2. 고증 오류
사극에서 고증 오류는 매우 흔하게 나오는 문제이다. 특히 갑옷, 의복, 병장기, 건축물 등 다양한 부분에서 오류가 나타난다.6. 2. 3. 정치적 편향성
사극은 특정 정치 세력이나 인물을 미화하거나, 역사적 사건을 왜곡하여 정치적 메시지를 전달하는 수단으로 악용될 수 있다는 비판을 받는다. 특히, 제작진의 정치적 성향에 따라 특정 정당이나 정치 이념을 옹호하는 방향으로 내용이 전개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이는 시청자들에게 왜곡된 역사관을 심어주고, 사회적 갈등을 조장할 수 있다는 점에서 심각한 문제로 인식된다.7. 같이 보기
참조
[1]
서적
"Other Voices, Other Views: Expanding the Canon in English Renaissance Studies."
University of Delaware Press
1999
[2]
논문
Marlowe's Edward II and the Tudor History Play
1955-12
[3]
서적
The English History Play in the Age of Shakespeare
https://books.google[...]
Psychology Press
1965
[4]
논문
Myth and History
1981
[5]
논문
Battle Narrative and Politics in Aeschylus' Persae
1988
[6]
논문
The Birth of the History Play: Saint, Sacrifice, and Reformation
1999
[7]
서적
The English History Play in the Age of Shakespeare, Revised 2nd Edition
Methuen
1965
[8]
서적
The English History Play in the Age of Shakespeare, Revised 2nd Edition
Methuen
1965
[9]
서적
"Staging England in the Elizabethan History Play: Performing National Identity"
Ashgate
2014
[10]
논문
The Meaning of 'Edward II'
1934-08
[11]
논문
The Fortunes of Tillyard: Twentieth-century critical debate on Shakespeare's history plays
1985
[12]
서적
Shakespeare, The Queen’s Men, and the Elizabethan Performance of History
Cambridge University
2009
[13]
서적
Other Voices, Other Views: Expanding the Canon in English Renaissance Studie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Delaware Press
1999
[14]
서적
The Cambridge Companion to Shakespeare's History Play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2-12-05
[15]
서적
Regicide and Restoration: English Tragicomedy, 1660-1671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2
[16]
웹사이트
Shakespeare Adaptations from the Restoration: Five Plays
http://inside.fdu.ed[...]
Fairleigh Dickinson University
2014-08-07
[17]
논문
Voices in opposition: A Burkeian rhetoric of Saint Joan
1971
[18]
논문
Joan of Arc in Shakespeare, Schiller, and Shaw
1951
[19]
웹사이트
Postmodern Drama Post-9/11
http://www2.hawaii.e[...]
2012-05-04
[20]
뉴스
드라마 운명 좌우하는 제목사냥…
http://news.kmib.co.[...]
국민일보
2020-05-29
[21]
문서
[22]
뉴스
MBC는 주중 사극이 무섭다?
http://entertain.nav[...]
헤럴드POP
2018-01-31
[23]
뉴스
‘태조왕건’ 작가 이환경씨 한국방송작가상 수상
https://news.naver.c[...]
국민일보
2018-03-20
[24]
뉴스
한국방송작가상 오늘(11일) 개최, 작가들이 뽑은 `녹두꽃`[MK이슈]
https://entertain.na[...]
매일경제
2019-12-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