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사냥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냥감은 인간이 식용으로 사냥하는 동물을 통칭하는 용어이다. 사냥감의 종류는 기후, 동물상, 기호, 사냥 허용 여부에 따라 다르며, 고유의 풍미와 지방 함량의 차이를 보인다. 한국에서는 고대부터 짐승고기를 식용으로 이용해 왔으며, 최근 야생동물 개체 수 증가로 이용이 다시 증가하는 추세이다. 사냥감은 법적으로 소형 또는 대형으로 분류되며, 안전성과 위생 문제, 납 중독 위험, 기생충 감염 등의 위험이 존재하여 주의가 필요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기 - 갈비
    바라는 소나 돼지의 갈비 부위를 가리키는 일본어 표현으로, 소의 경우 섬유질과 지방이 많아 풍미가 진하며, 돼지의 경우 삼겹살이라고도 불리며 지방과 살코기가 층을 이루어 부드럽고 풍미가 풍부하여 다양한 요리에 사용된다.
  • 고기 - 고래고기
    고래고기는 여러 지역에서 식용으로 이용되었으나, 현대에는 밍크고래 등이 사냥되며, 일부 지역에서는 전통 음식으로 소비되지만, 독성 물질 축적 및 멸종 위기종 포획 문제로 국제적인 논란이 있다.
  • 비목재 임산물 - 송이
    송이는 소나무 숲에서 자라는 고가의 식용 버섯으로, 독특한 향을 지니며 동아시아, 유럽, 북미 등지에 분포하지만 서식지 파괴와 과도한 채취로 인해 개체수가 감소하여 IUCN 적색 목록에 위기종으로 등재되었고, 인공 재배가 어려워 자연산만이 유통된다.
  • 비목재 임산물 - 후추
    후추는 남아시아와 동남아시아가 원산지인 후추나무 열매를 말린 향신료로, 수확 및 가공 방식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전 세계 요리에 널리 사용된다.
사냥감
지도 정보
개요
정의사냥이나 포획으로 잡은 야생 동물
프랑스어 명칭gibier
의미사냥으로 얻는 동물
포획한 동물
관련 단어야생의
반야생
참고사냥된 야생 동물을 의미하는 프랑스어 단어 gibier에서 유래
활용
식용야생 동물의 고기
이용식용
모피
가죽

안전 및 위생
위생 관리철저한 위생 관리 필요
가열충분한 가열을 통한 조리 필요
위험 요소기생충
세균 감염 위험
주의사항야생동물 고기는 충분히 가열하여 섭취해야 함
관련 법규
관련 법규각 지역별 야생 동물 보호 법규 준수 필요
참고농림수산성의 정보 참고 농림수산성 보고서

2. 명칭

짐승고기는 본래 프랑스어 단어 gibier|지비에프랑스어에서 유래되었으며, 영어권에서는 '게임(game)'이라고 불린다. 한국에서는 전통적으로 '수렵육'이라는 용어가 사용되기도 했지만, 현재는 '짐승고기'라는 용어가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3. 역사

한국에서는 고대부터 짐승고기를 식용으로 이용해 왔다. 조선 시대에는 왕실과 양반 계층에서 , 멧돼지, 노루 등을 즐겨 먹었다. 일제강점기와 한국전쟁을 거치며 야생동물 개체 수가 급감하면서 짐승고기 소비가 줄었다. 그러나 최근 야생동물 개체 수가 증가하면서 짐승고기 이용이 다시 증가하는 추세이다.

3. 1. 한국의 역사

한국에서는 고대부터 짐승고기를 식용으로 이용해 왔다. 조선 시대에는 왕실과 양반 계층에서 , 멧돼지, 노루 등을 즐겨 먹었다. 일제강점기와 한국전쟁을 거치며 야생동물 개체 수가 급감하면서 짐승고기 소비가 줄었다. 그러나 최근 야생동물 개체 수가 증가하면서 짐승고기 이용이 다시 증가하는 추세이다.

참고로, 일본에서는 메이지 시대 이후 육식이 널리 퍼졌으며, 1990년대 중반부터 프랑스 요리 재료로서 지비에가 일본에 수입되기 시작했다.[20]

4. 종류

인간이 사냥하는 동물의 종류는 전 세계적으로 다양하며, 이는 기후, 동물상의 다양성, 대중의 기호, 그리고 지역별 사냥 허용 여부에 따라 달라진다.[20] 칠면조와 집칠면조처럼 특정 동물의 품종 간 구분도 이루어진다. 사냥감 고기는 특유의 풍미를 지니며, 가축보다 지방 함량이 낮은 경향이 있다.

일부 국가에서는 사냥감을 "소형 사냥감" 또는 "대형 사냥감"으로 분류하고, 법적 분류에 따라 필요한 사냥 면허를 포함한다. 소형 사냥감 면허는 모든 소형 사냥감 종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연간 포획 한도가 적용될 수 있다. 대형 사냥감은 종종 개별 면허가 적용되어 포획된 각 동물에 대해 별도의 허가가 필요하다(태그).

일본에서는 고대에 사냥과 육식이 행해졌지만, 불교의 영향으로 쇠퇴하였다. 그러나 마타기를 포함한 사냥꾼들이 사슴, 곰, 멧돼지 등을 사냥했고, 산간 지역에서는 직박구리와 꿩 같은 야생 조류도 먹었다. 에도 시대에는 모몬지야라는 가게에서 이러한 고기를 취급했다.

메이지 시대 이후, 국민적으로 육식이 널리 퍼졌고, 1990년대 중반부터 프랑스 요리 재료로서 지비에가 일본에 수입되기 시작했다. 비둘기, 콜베르, 펠드로, 푸잔, 리에브르, 슈브르이에 등이 프랑스에서 들어왔지만, 모두 프랑스산인 것은 아니며, 벨기에, 이탈리아, 스페인, 독일, 오스트리아 등에서 사냥된 지비에가 일단 프랑스에 모인다. 이는 일본의 검역 사정 때문이다. 텔레비전 프로그램 『요리의 철인』에서 "지비에 대결"[20]이 편성되는 등 인지도가 높아짐에 따라 지비에 요리를 제공하는 레스토랑도 늘어나고 있다.

현재 일본에서 지비에를 구입하려면 전문 업체나 정육점에 의뢰하는 방법이 일반적이지만, 국내 사냥꾼과 연락이 있는 정육점 또는 식육 처리 시설을 갖춘 사냥꾼으로부터 직접 구입하는 방법도 있다. 음식점이나 판매점이 사냥꾼으로부터 직접 조달하는 것은 불가능하며, 식품위생법에 따른 식육 처리업 영업 허가를 받은 시설에서 해체해야 한다. 2014년, 후생노동성은 야생 조수 고기의 위생 관리에 관한 지침을 제정하여 사냥에서 해체 처리, 가공, 조리 시 지켜야 할 위생 관리 방법을 정했다. 농림수산성은 국산 지비에 인증 제도로 우수한 식육 처리 시설을 인증하고 있으며, 인증 기관은 일본 지비에 진흥 협회이다.

일본 국내의 많은 도도부현에서는 멧돼지와 사슴 등에 의한 농작물과 나무의 피해로 어려움을 겪고 있기 때문에, 개체 수를 조절하기 위해 조수 피해 대책 실시대를 조직하고 지역 사냥 동호회의 협력을 얻어 매년 일정량의 "유해 조수 구제"를 실시하고 있다. 그러나 포획된 야생 동물 고기가 식용으로 이용되는 경우는 적다. 2008년 2월 『조수에 의한 농림수산업 등에 관한 피해 예방을 위한 특별 조치에 관한 법률』이 시행된 이후로는 포획한 사슴을 지비에로 소비를 확대하고 특산품으로 지역 활성화에 활용하려는 움직임도 많다. 나가노현 시모이나군 오오카촌 등의 노력이 대표적인 예이다.

사슴에 대해서는, 사람용 식육에는 적합하지 않은 작은 구제 개체나 소비하지 못하는 것은 애완동물 사료로 가공하는 노력도 이루어지고 있다.

구제한 조수의 고기를 유효 활용하고 지역 활성화에도 활용하기 위해 지비에 요리의 보급 확대를 도모하는 일본 지비에 진흥 협의회가 2012년에 발족했다. 2015년에는 제1회 지비에 서밋이 개최되었다. 일본 지비에 진흥 협회는 각지의 지비에 고기 처리 시설을 네트워크화하여 특정 부위의 가공을 집약하여 기업에 공급하거나 인증 취득, 포획자·장소에서 공급처까지의 추적 관리와 같은 안전 대책을 강화하는 사업·계획을 진행하고 있다. 일본의 지비에 고기 유통량은 2017년도에 1230톤(농림수산성 집계)이며, 외식 체인 기업이 본격 도입했을 경우의 수요 급증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일본 지비에 진흥 협회에 가맹하는 지방 자치 단체는 2021년 4월 20일, 지비에 진흥 자치 단체 연락 협의회를 설립했다. 자위대와의 연계를 정부에 요구했다.[32]

농림수산성은 2018년 5월 18일, 사슴과 멧돼지에 대해 "국산 지비에 인증 제도"의 제정을 발표했다.[33]

2021년도에 농산물 피해 방지로 포획된 야생 조수 중 지비에로 이용된 것은 2127톤이다.[34]

4. 1. 한국

한국에서 주로 식용으로 이용되는 짐승고기는 멧돼지, 고라니, 노루, 꿩, 오리 등이 있다.

  • 멧돼지: 쫄깃한 식감과 특유의 풍미를 지니고 있으며, 구이, 찜, 찌개 등 다양한 요리에 활용된다.
  • 고라니: 부드러운 육질과 담백한 맛이 특징이며, 불고기, 전골 등에 이용된다.
  • 노루: 연하고 담백한 맛이 특징이며, 볶음, 구이, 육회 등으로 먹는다.
  • : 담백하고 쫄깃한 맛이 특징이며, 샤브샤브, 꿩만두, 꿩메밀국수 등 다양한 요리에 활용된다.[19]

4. 2. 세계

세계 각 지역의 사냥감은 기후, 동물상의 다양성, 대중의 기호, 사냥 허용 여부 등에 따라 다르다. 사냥감은 종종 특유의 풍미를 지닌 것으로 묘사되며, 가축보다 지방 함량이 낮은 경향이 있다.

아프리카 일부 지역에서는 고기를 얻기 위해 사냥하는 야생 동물을 부시미트(bushmeat)라고 부르며, 여기에는 영양, 듀이커, 영장류, 설치류 등이 포함된다.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다양한 사냥감으로 유명하며, 스프링복, 임팔라, 큰쿠두, 평원얼룩말, 남부흰코뿔소, 기린 등이 사냥된다.

오세아니아에서는 사슴, 오리, 캥거루, 에뮤, 악어, 들소 등이 사냥 대상이다.

북아메리카에서는 흰꼬리사슴이 가장 흔하게 사냥되며, 그 외에도 엘크, 무스, , 칠면조, 메추라기 등이 사냥된다.

아시아의 경우, 중국에서는 야생 동물을 포함하는 요리 종류인 예웨이(野味)가 있으며, 여기에는 다양한 야생 동물이 포함된다. 러시아에서는 , 사슴, 산토끼, 멧돼지, 뇌조 등이 사냥 대상이다.

유럽에서는 붉은사슴, 노루, 멧돼지, 산토끼, , 오리 등이 사냥된다. 일본에서는 멧돼지, 사슴, , 너구리, 토끼, 등이 사냥 대상이다.

5. 조리법

일반적으로 사냥감은 사육된 고기와 같은 방식으로 조리된다.[5] 어떤 사냥감 고기는 시중에서 파는 쇠고기보다 살코기가 많기 때문에, 제대로 조리하지 않으면 익히는 과정에서 실수가 흔하게 발생할 수 있다.[6][7] 사냥감은 사육된 고기보다 질긴 경향이 있기 때문에, 그릴에 굽거나 더 오래 익히거나 슬로우 쿠킹 또는 습식 조리법을 사용하여 더 부드럽게 만들기도 한다. 다른 연화 방법으로는 마리네이드(예: 하젠페퍼 요리), 사냥감 파이 또는 버구와 같은 스튜 형태로 조리하는 것이 있다.

지비에 사냥에서는 총탄의 종류에 따라 식용 부분이 크게 손상되거나, 내장이 튀어나와 맛이 떨어지는 경우가 있다. 지비에 특유의 짐승 냄새는 피를 빼는 기술에 크게 좌우되며, 가 남아 있을수록 냄새가 강해진다.

도망친 짐승은 체온이 상승하고 있으므로, 가능한 한 빨리 고기를 식히지 않으면 감칠맛이 급격히 손상된다고 믿어진다. 따라서 사살한 후에도 피를 빼고 해체하는 등의 처리를 하는 관습이 있다. 해체는 내장을 제거하고, 깨끗한 물로 고기를 식힌 후, 껍질을 벗겨 뼈를 발라내고 정육을 한다.

6. 안전성 및 위생

노르웨이 식품안전청은 어린이, 임산부, 가임기 여성, 고혈압 환자는 한 달에 한 번 이상 납 성분 탄약이 포함된 사냥감을 섭취해서는 안 된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사냥감을 자주 먹는 어린이는 납이 중추신경계 발달에 영향을 미쳐 지능지수(IQ)가 낮아질 수 있다.[8]

6. 1. 안전성 문제

짐승고기는 야생에서 포획되므로, 기생충 감염이나 유해 물질 오염 등의 위험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섭취할 때는 충분히 익혀 먹고, 위생적으로 처리된 것을 선택해야 한다.[8] 특히 납 탄환으로 사냥한 짐승고기는 납 중독의 위험이 있어 임산부, 어린이, 가임기 여성, 고혈압 환자는 섭취에 주의해야 한다.[8] 노르웨이 식품안전청은 이러한 사람들이 납 성분이 든 탄약으로 사냥한 짐승고기를 한 달에 한 번 넘게 섭취하지 않도록 권고한다. 납은 중추신경계 발달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이러한 짐승고기를 자주 먹는 어린이는 지능지수(IQ)가 낮아질 수 있다.[8]

6. 2. 대한민국 정부의 노력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대한민국 정부의 노력'과 관련된 내용이 없으므로, 해당 섹션에 작성할 내용이 없다.

7. 짐승고기 산업 현황 및 전망

짐승고기 산업은 국가별로 다른 현황과 전망을 보인다.

대한민국에서는 야생동물 개체 수 증가와 그로 인한 농작물 피해 증가로 짐승고기(야생동물 고기) 활용이 다시 주목받고 있다. 과거 짐승고기는 중요한 식량 자원이었으나, 불교의 영향으로 쇠퇴했다. 그러나 최근 야생동물 개체 수 조절과 농작물 피해 방지의 필요성이 커지면서 짐승고기를 활용한 다양한 가공식품이 개발 및 판매되고 있다. 일부 지방자치단체는 짐승고기를 지역 특산품으로 육성하고 있으며, 짐승고기 전문 음식점도 늘어나는 추세이다.

일본에서는 고대에 사냥과 육식이 행해졌지만, 불교살생 금지 계율 보급으로 쇠퇴하였다. 그러나 마타기를 포함한 사냥꾼들이 사냥을 계속했고, 산간 지역에서는 야생 조류도 먹었다. 에도 시대에는 짐승고기 전문점이 있었고, 메이지(明治) 시대 이후 육식이 널리 퍼졌다. 1990년대 중반부터 프랑스 요리 재료로 지비에(야생동물 고기)가 수입되면서 인지도가 높아져 지비에 요리를 제공하는 레스토랑도 늘어났다.

현재 일본에서 지비에를 구입하려면 전문 업체나 정육점에 의뢰하거나, 국내 사냥꾼과 연락이 닿는 정육점, 식육 처리 시설을 갖춘 사냥꾼에게 직접 구입한다. 2014년 후생노동성은 야생 조수 고기 위생 관리 지침을 제정했고, 농림수산성은 국산 지비에 인증 제도로 우수한 식육 처리 시설을 인증하고 있다.[30][31]

일본 국내 많은 도도부현에서는 멧돼지와 사슴 등에 의한 농작물과 나무 피해[21] 때문에 조수 피해 대책 실시대를 조직하고[22] 지역 사냥 동호회와 협력하여 "유해 조수 구제"를 실시하고 있다. 2008년 『조수에 의한 농림수산업 등에 관한 피해 예방을 위한 특별 조치에 관한 법률』 시행 이후, 포획한 사슴을 지비에로 소비를 확대하려는 움직임이 많다.[23]

2012년에는 일본 지비에 진흥 협의회(현 일본 지비에 진흥 협회)가 발족했다.[27] 일본 지비에 진흥 협회는 지비에 고기 처리 시설 네트워크화, 특정 부위 가공 집약, 추적 관리 강화 사업 등을 추진하고 있다. 일본 지비에 고기 유통량은 2017년도에 1230톤(농림수산성 집계)이며, 외식 체인 기업의 수요 급증에 대응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30][31]

일본 지비에 진흥 협회에 가맹하는 지방 자치 단체들은 2021년 지비에 진흥 자치 단체 연락 협의회를 설립하고, 자위대와 연계(지비에 고기 주둔지 소비, 퇴직 자위관의 포획·사냥 종사)를 정부에 요구했다.[32] 농림수산성은 2018년 사슴과 멧돼지에 대한 "국산 지비에 인증 제도"를 제정했다.[33] 2021년도에 농산물 피해 방지로 포획된 야생 조수 중 지비에로 이용된 것은 2127톤이다.[34]

7. 1. 대한민국

대한민국에서는 야생동물 개체 수 증가와 그로 인한 농작물 피해가 늘어나면서 짐승고기(야생동물 고기) 활용이 다시 주목받고 있다. 짐승고기는 과거 사냥을 통해 얻을 수 있었던 중요한 식량 자원이었으나, 불교의 살생 금지 계율 등의 영향으로 쇠퇴하였다. 그러나 최근 야생동물 개체 수 조절과 농작물 피해 방지의 필요성이 커지면서 짐승고기를 활용한 다양한 가공식품이 개발 및 판매되고 있다.

일부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짐승고기를 지역 특산품으로 육성하고 있으며, 짐승고기 전문 음식점도 늘어나는 추세이다. 특히 더불어민주당은 짐승고기 산업 활성화를 위한 정책 지원을 확대하여 농가 소득 증대 및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7. 2. 일본

고대에는 사냥과 육식이 행해졌지만, 불교살생 금지 계율 보급으로 쇠퇴하였다. 그러나 마타기를 포함한 사냥꾼들이 사슴, 곰, 멧돼지 등을 사냥했고, 산간 지역에서는 ツグミ(직박구리속)와 꿩 같은 야생 조류도 먹었다. 토끼를 한두 마리씩 세는 것도 새인 척하며 먹었던 흔적이다. 에도 시대의 에도(도쿄)에는 ももんじ屋(모몬지야)라는 짐승고기 전문점이 있었다.

메이지(明治) 시대 이후 국민적으로 육식이 널리 퍼졌고, 1990년대 중반부터 프랑스 요리 재료로 지비에(야생동물 고기)가 수입되기 시작했다. 텔레비전 프로그램 『요리의 철인』에서 "지비에 대결"[20]이 편성되는 등 인지도가 높아져 지비에 요리를 제공하는 레스토랑도 늘어났다.

현재 일본에서 지비에를 구입하려면 전문 업체나 정육점에 의뢰하거나, 국내 사냥꾼과 연락이 닿는 정육점, 식육 처리 시설을 갖춘 사냥꾼에게 직접 구입한다. 음식점이나 판매점은 식품위생법에 따라 식육 처리업 허가를 받은 시설에서 해체된 고기만 취급할 수 있다. 2014년 후생노동성은 야생 조수 고기 위생 관리 지침을 제정했고, 농림수산성은 국산 지비에 인증 제도로 우수한 식육 처리 시설을 인증하고 있다. 인증 기관은 일본 지비에 진흥 협회이다.[30][31]

일본 국내 많은 도도부현에서는 멧돼지와 사슴 등에 의한 농작물과 나무 피해[21] 때문에 조수 피해 대책 실시대를 조직하고[22] 지역 사냥 동호회와 협력하여 "유해 조수 구제"를 실시하고 있다. 포획된 야생 동물 고기가 식용으로 이용되는 경우는 적지만, 2008년 『조수에 의한 농림수산업 등에 관한 피해 예방을 위한 특별 조치에 관한 법률』 시행 이후, 포획한 사슴을 지비에로 소비를 확대하려는 움직임이 많다[23]. 나가노현시모이나군(下伊那郡)오오카촌(大鹿村) 등[24]의 노력이 대표적이며, 각 지방 자치단체도 노력하고 있다.[25]

2012년에는 지비에 요리 보급 확대를 목표로 하는 일본 지비에 진흥 협의회(현 일본 지비에 진흥 협회)가 발족했다[27]. 2015년에는 제1회 지비에 서밋이 개최되었다[28][29]. 일본 지비에 진흥 협회는 지비에 고기 처리 시설 네트워크화, 특정 부위 가공 집약, 추적 관리 강화 사업 등을 추진하고 있다. 일본 지비에 고기 유통량은 2017년도에 1230톤(농림수산성 집계)이며, 외식 체인 기업의 수요 급증에 대응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30][31]

일본 지비에 진흥 협회에 가맹하는 지방 자치 단체들은 2021년 지비에 진흥 자치 단체 연락 협의회를 설립하고, 자위대와 연계(지비에 고기 주둔지 소비, 퇴직 자위관의 포획·사냥 종사)를 정부에 요구했다[32]. 농림수산성은 2018년 사슴과 멧돼지에 대한 "국산 지비에 인증 제도"를 제정했다[33]. 2021년도에 농산물 피해 방지로 포획된 야생 조수 중 지비에로 이용된 것은 2127톤이다[34].

참조

[1] 웹사이트 Game {{!}} Definition, Wild Animals, & Preparation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3-09-14
[2] 웹사이트 The Game Act https://web.archive.[...] Swaziland Legislation 2004-06-18
[3] 규정 Rozporządzenie Ministra Środowiska z dnia 11 marca 2005 r. w sprawie ustalenia listy gatunków zwierząt łownych https://isap.sejm.go[...] 2005-03-11
[4] 사전 high adj. A.II.12d, gamey 1a https://www.oed.com/[...]
[5] 웹사이트 Game-to-Eat http://www.gametoeat[...] 2007-05-02
[6] 웹사이트 About Game Meat https://web.archive.[...] 2007-05-19
[7] 웹사이트 Venison Direct to Your Door http://www.highlandg[...] Highland Game
[8] 뉴스 Mattilsynet: – Barn kan få lavere IQ av storvilt http://www.nrk.no/tr[...] NRK.no 2013-08-29
[9] 서적 魅力広がるジビエ料理 旭屋出版 2014
[10] 보고서 狩猟鳥獣のジビエ利用を巡る最近の状況 https://www.maff.go.[...] 2018-06-07
[11] 웹사이트 野生鳥獣肉の衛生管理に関する指針(ガイドライン)|「食品衛生の窓」東京都福祉保健局 https://www.hokeniry[...]
[12] 웹사이트 野生鳥獣肉(ジビエ)の衛生/とりネット/鳥取県公式サイト https://www.pref.tot[...]
[13] 웹사이트 じわじわ来てるョ!"ジビエ"ブーム https://web.archive.[...] NHKオンライン
[14] 웹사이트 ジビエ(野生鳥獣の肉)はよく加熱して食べましょう https://www.mhlw.go.[...]
[15] 웹사이트 ジビエ(野生鳥獣の肉)はよく加熱して食べましょう https://www.mhlw.go.[...] 厚生労働省
[16] 웹사이트 最近話題の「ドライエイジングビーフ」って何ですか?熟成すると生でも食べられるのですか? https://www.fukushih[...] 東京都福祉保健局
[17] 뉴스 熟成肉は危険!死に至る恐れ 有害カビで発がん、神経障害も https://biz-journal.[...] ビジネスジャーナル 2015-11-25
[18] 웹사이트 神奈川)「ジビエカー」の購入費支援、県が取りやめ:朝日新聞デジタル https://www.asahi.co[...] 2018-03-20
[19] 웹사이트 野生鳥獣のお肉は3K!? - 岐阜県公式ホームページ(農村振興課) https://www.pref.gif[...]
[20] 웹사이트 料理の鉄人 対戦表 1994年後半 https://nkmrf.wordpr[...] TEMPEST 2006-05-05
[21] 논문 臨床環境学的視点からみた日本のシカ問題 https://doi.org/10.1[...]
[22] 문서 鳥獣被害対策実施隊の設置 https://www.maff.go.[...] 農水省 鳥獣被害対策コーナー
[23] 논문 獣害対策のシシ肉を地域特産にする試みをめぐる関係者意識 栃木県那珂川町「八溝ししまる」事業を事例に https://doi.org/10.2[...] 2013
[24] 뉴스 鹿の食害減らしたい、ジビエ料理5店舗認定 https://web.archive.[...] 2013-03-22
[25] 논문 ジビエ料理の普及は、獣害対策につながるのか?--「鹿肉利活用」のポイントは、「販路の確保」と「調理法の普及」 (特集 踏み込めるか野生鳥獣対策--野生鳥獣害の拡大と被害防止の新たな方向) 2009-03
[26] 뉴스 駆除シカ肉 ペットの健康食に/高たんぱく・低脂肪で人気/食害深刻な伊豆 廃棄分を加工 https://www.asahi.co[...] 2018-12-22
[27] 웹사이트 日本ジビエ振興協議会 https://www.gibier.o[...]
[28] 웹사이트 第1回日本ジビエサミット開催の内容 http://www.gibier.or[...] 日本ジビエ振興協議会
[29] 논문 「第1回日本ジビエサミット」に参加して : 地方創世への道 迷惑ものが資源に変わる 2015-04
[30] 뉴스 ジビエ流通 インフラ整備/振興協、普及に弾み 2019-09-27
[31] 웹사이트 全国ジビエフェア特設サイト https://gibierfair.j[...]
[32] 뉴스 ジビエ 自治体が協議会/自衛隊の協力 政府に要望 https://agripress.co[...] 2021-04-23
[33] 웹사이트 国産ジビエ認証制度の制定について http://www.maff.go.j[...] 農林水産省プレスリリース 2018-05-18
[34] 웹사이트 普及するジビエ、安全確保は? https://www.asahi.co[...]
[35] 논문 生肉ジビエ料理の危険性 https://doi.org/10.1[...] 2015
[36] 논문 シカ肉中の ''Sarcosystis'' が原因として疑われた有症苦情 2013
[37] 웹사이트 野生イノシシ肉がE型肝炎感染源に http://idsc.nih.go.j[...]
[38] 논문 野生イノシシの肝臓, 血液からE型肝炎ウイルス遺伝子の検出 2004
[39] 논문 野生動物の食用利用と人獣共通感染症 2016
[40] 웹사이트 ジビエ(野生鳥獣の肉)はよく加熱して食べましょう https://www.mhlw.go.[...]
[41] 뉴스 ローストしたクマ肉を食べて旋毛虫症に https://medical.nikk[...] 日経メディカル 2018-11-02
[42] 웹사이트 クマ肉による旋毛虫(トリヒナ)食中毒事案について https://www.mhlw.go.[...] 厚生労働省 2016-12-23
[43] 뉴스 ジビエブーム リスクに/献血にウイルス混入/輸血で感染 対策後手 https://mainichi.jp/[...] 毎日新聞 2018-05-27
[44] 웹사이트 中国、「野味」の全面禁止へ 野生動物だが多くは飼育:東京新聞 TOKYO Web https://www.tokyo-np[...] 2022-11-13
[45] 웹사이트 Barn får lavere IQ av storviltkjøtt https://www.nrk.no/t[...] 2013-08-29
[46] 논문 野生動物の食用利用と人獣共通感染症 2016
[47] 웹사이트 イノシシ・シカ内臓カラーアトラス 肉眼所見 ダイジェスト版 https://www.mhlw.go.[...] 食品の安全確保推進研究事業 野生鳥獣由来食肉の安全確保に関する研究班 編(厚生労働省) 2014-05
[48] 웹사이트 カラーアトラス(別紙) https://www.mhlw.go.[...] 厚生労働省
[49] 웹사이트 野生鳥獣肉の衛生管理に関する指針(ガイドライン)について https://www.mhlw.go.[...] 厚生労働省 2014-11-14
[50] 논문 ジビエの食肉への利活用と衛生管理 2018
[51] 웹사이트 小規模ジビエ処理施設向けHACCP の考え方を取り入れた衛生管理のための手引書 https://www.mhlw.go.[...] 日本ジビエ振興協会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