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마방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마방은 후한 시대의 관료로, 낙양령과 경조윤을 역임했으며, 정직하고 공정하며 위엄 있는 인물로 평가받았다. 그는 《한서》를 즐겨 읽고 암송했으며, 엄격한 가르침으로 '사마팔달'로 불리는 여덟 아들을 훌륭하게 키워냈다. 조조를 북부위로 추천하기도 했으며, 71세에 사망했다. 사마의의 공로를 인정받아 사후 무양성후로 추증되었고, 그의 증손 사마염은 서진을 건국하여 사마씨 가문은 명문가로 발돋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경조윤 - 이사공
이사공은 당나라 말기 황소의 난 진압에 공을 세워 이씨 성을 하사받고 하국공에 봉해진 군벌로, 후일 서하 건국의 기반을 마련했다. - 경조윤 - 갑훈
갑훈은 후한 말기의 관리로, 효렴으로 천거되어 여러 관직을 역임하며 선정과 직신의 면모를 보였으나 동탁에 대한 분노와 실의 속에 사망했다. - 219년 사망 - 관우
관우는 후한 말기 ~ 삼국시대 촉한의 무장이자 정치인으로, 유비, 장비와 도원결의를 맺은 의형제로서 유비를 보좌하며 뛰어난 무예와 충절로 이름을 알렸으나, 손권의 계략으로 최후를 맞이한 후 동아시아에서 신으로 숭배받고 대중문화에서 영웅적 인물로 묘사되기도 하지만, 강직함과 자만심이 정치적 판단력에 부정적 영향을 주었다는 평가도 받는 인물이다. - 219년 사망 - 하후연
하후연은 조조 휘하의 장수로 동탁 토벌, 관도 전투, 황건적 토벌 등에서 활약했으며, 군수 물자 수송에도 기여했으나, 219년 정군산 전투에서 황충에게 패하여 전사했다.
사마방 - [인물]에 관한 문서 | |
---|---|
인물 정보 | |
이름 | 사마방 |
원어 이름 | 司馬防 / 司馬芳 |
로마자 표기 | Sima Fang |
자 | 건공 (建公) / 문예 (文豫) |
시호 | 무양성후 (舞陽成侯) |
생몰 | 149년 ~ 219년 (70세) |
출생지 | 사례 하내군 온현 |
사망지 | 불명 |
가족 관계 | |
아버지 | 사마준 |
자녀 | 사마랑 사마의 사마부 사마괴 사마순 사마진 사마통 사마민 |
친척 | 상세 |
관직 | |
기마도위 | 재임 기간 불명 |
경조윤 | 재임 기간 불명 |
낙양령 | 재임 기간 불명 |
생애 | |
활동 시기 | 후한 |
섬긴 군주 | 영제 소제 변 헌제 |
사후 | |
시호 | 무양성후 |
묘호 | 서진 칠묘 배향 |
2. 생애
사마방은 낙양 령(洛陽令), 경조윤, 상서우승(尙書右丞)을 역임했으며, 말년에 기도위(騎都尉)로 전임되었다. 상서우승을 맡고 있을 때, 조조를 낙양북부위(洛陽北部尉)에 추천한 것으로 유명하다.[1]
사마방은 낙양령(洛陽令)·경조윤·상서우승(尙書右丞)을 역임했으며, 말년에 기도위(騎都尉)로 전임되었다. 상서우승을 맡고 있을 때, 조조를 낙양북부위(洛陽北部尉)에 추천한 것으로 유명하다.[19]
사마방은 정직하고 공정했으며, 질박했지만 위엄을 갖추고 있었다. 평소에 《한서》 〈명신열전(名臣列傳)〉을 좋아하여 수십만 번 낭송하였으며, 자기만의 삶의 방식을 고수하였기 때문에 저녁이 되면 문을 닫았다. 자식들이 성인이 되었을 때에도 나아가라는 명이 없으면 감히 나아가지 못하게 했고, 앉으라는 명이 없으면 앉지 못하게 했으며, 가르쳐 질문하지 않을 때는 말을 하지 않게 하였다. 이러한 그의 가르침을 받은 아들들은 '사마팔달'로 불리며 당대의 준재로 인정받았다.[7]
사후 242년 봄, 조위로부터 무양성후(舞陽成侯)를 추증받았다.[6] 265년, 증손 사마염이 사마진을 건국하자 무제조(武帝朝)의 칠묘에 배향되었으며 운손인 동진 목제가 361년 죽자 묘역이 철거되었다. 371년, 곤손인 동진 간문제가 즉위하자 다시 묘역이 복구되었으며 잉손인 동진 효무제가 죽자 묘역이 철거되었다.
사마방의 본관은 현재의 허난성 원현인 원현(溫縣)이었다.[1] 그는 후한 시대에 영천군(潁川郡)의 태수를 지낸 사마준(司馬儁)의 아들이었다.[2][3]
하내군(河內郡)에서 작은 관직으로 경력을 시작한 사마방은 이후 낙양(洛陽令)의 현령과 한나라 중앙 정부의 경조윤(京兆尹)을 역임하면서 승진했다.[4] 노년에는 기도위(騎都尉)로 재임명되었다.[4] 그는 ''한서''의 유명한 관리들의 열전을 읽는 것을 좋아했고, 심지어 책에서 10만 줄 이상을 암송할 수 있었다.[5] 초평 원년에는 치서어사의 관직에 있었으며, 190년 동탁이 후한의 실권을 잡고 낙양에서 장안으로 천도를 강행하자 이에 따르게 되었지만, 장남 사마랑에게 명하여 가족은 귀향시켰다. 219년에 71세(만 나이로 계산)의 나이로 사망했다.[4]
삼국 시대의 242년 봄, 조위의 세 번째 황제인 조방은 사마방의 차남인 사마의가 위나라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하여 사마방에게 시호 "무양성후"(舞陽成侯)를 추증했다.[6]
사마방은 평생 동안 진지하고 근엄한 사람으로 알려져 있었다. 그는 연회와 같은 격식이 없는 자리에서도 유머 감각이 없었다. 그는 매우 낮은 자세를 유지했고, 직장 밖에서는 동료들과 교류하는 것을 피했다. 그는 또한 아들들이 성장하여 어른이 된 후에도 엄격하고 단호했다. 그의 앞에서 그들은 허락 없이 움직이거나, 앉거나, 말하는 것을 감히 하지 못했다.[7]
《조만전》(曹瞞傳)이라는 조조의 비공식 전기에는 사마방이 황실 비서실에서 보좌관으로 재직할 때 조조를 낙양의 북부위(北部尉)로 추천했다고 기록되어 있다.[8] 그러나 《사체서세서》(四體書勢序)에는 조조가 양곡(梁鵠)의 추천을 받았다고 언급되어 있다.[9] 배송지는 《삼국지》에서 조조의 전기를 주석하면서 《조만전》의 기록이 옳다고 언급했다. 이는 왕은의 《진서》에 따르면 진나라 시대에 학자가 사마방이 조조를 북부위로 추천한 사실을 언급했기 때문이다.[10]
216년, 조조가 헌제로부터 위왕(魏王)의 작위를 받은 후, 그는 사마방을 업 (현재의 한단, 허베이성)에서 만나도록 불렀다. 그는 사마방에게 농담조로 "지금의 조조가 아직도 북부위를 할 수 있다고 생각하시오?"라고 묻자, 사마방은 "폐하를 그 자리에 추천할 때, 저는 폐하께서 직무를 잘 수행하실 수 있다는 것을 알고 있었습니다."라고 대답했고, 조조는 웃었다.[8]
역사 기록은 전통적으로 그의 이름을 司馬防(사마방, ''Sīmǎ Fáng'')으로, 자는 建公(건공, ''Jiàngōng'')으로 기록했다. 그러나 1952년, 사마방의 생애를 상세히 기록한 석비 파편이 섬서성 시안의 광제가에서 발견되었는데, 이 비석에는 그의 이름이 司馬芳(사마방, ''Sīmǎ Fāng'')으로, 자는 文豫(문예, ''Wényù'')로 기록되어 있었다.[11]
상서우승의 관직에 있을 때, 효렴으로 추천되었던 젊은 시절의 조조를 낙양 북부 도위로 기용했다[18]。 조조는 후한의 실권을 장악하고, 위 왕에까지 오르자, 업으로 사마방을 불러 함께 음식을 즐겼다. 조조는 사마방에게, 지금도 자신을 위로 추천하겠느냐고 묻자, 사마방이 "옛날, 왕을 추천했을 때는, 그 관직이 딱 좋았을 뿐입니다"라고 대답했기 때문에, 크게 웃었다고 한다[18]。
3. 가계 및 가문
사마방은 정직하고 공정했으며, 질박했지만 위엄을 갖추고 있었다. 평소에 《한서》〈명신열전(名臣列傳)〉을 좋아하여 수십만 번 낭송하였으며, 자기만의 삶의 방식을 고수하였다. 자식들이 성인이 되었을 때에도 나아가라는 명이 없으면 감히 나아가지 못하게 했고, 앉으라는 명이 없으면 앉지 못하게 했으며, 가르쳐 질문하지 않을 때는 말을 하지 않게 하였다. 이러한 그의 가르침을 받은 아들들은 '사마팔달'로 불리며 당대의 준재로 인정받았다.[20]
사후 242년 봄, 조위로부터 무양성후(舞陽成侯)를 추증받았다.[19] 265년, 증손 사마염이 서진을 건국하자 무제조(武帝朝)의 칠묘에 배향되었으나, 운손인 동진 목제가 361년 죽자 묘역이 철거되었다. 371년, 곤손인 동진 간문제가 즉위하자 다시 묘역이 복구되었으나, 잉손인 동진 효무제가 죽자 묘역이 철거되었다.[19]
사마방은 그의 아들 사마규를 통해 북제 관료 사마자여, 북주 관료 사마소남(사마자여의 아들), 그리고 북주의 마지막 황후인 사마령지의 조상이 되었다.
3. 1. 가계
사마방은 사마앙의 11대손이었다. 그의 증조부 사마균(司馬鈞)의 자는 숙평(叔平)이었으며, 서정장군(征西將軍)을 지냈다. 그의 할아버지 사마량(司馬量)의 자는 공도(公度)였으며, 예장군(豫章郡; 현재의 난창 시, 장시 성 일대)의 태수를 지냈다.[19]
사마방의 아버지 사마준(司馬儁)의 자는 원이(元異)였으며, 영천군(潁川郡; 현재의 쉬창 시, 허난 성 일대)의 태수를 지냈다.[19] 사마준은 키가 8척 3촌이며 허리가 굵었다고 묘사되었다. 그는 범상치 않고 인상적인 외모를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고향 사람들은 그를 높이 평가했다. 그는 또한 박학다식하고 역사에 관심이 많았다.
사마방은 여덟 아들을 두었는데, 모두 우수했으며, 전원이 자(字)에 '달' 자를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사마팔달'이라고 불렸다.[20]
순서 | 이름 | 자(字) | 비고 |
---|---|---|---|
장남 | 사마랑 | 백달 | |
차남 | 사마의 | 중달 | |
삼남 | 사마부 | 숙달 | |
사남 | 司馬馗|사마규중국어 | 계달 | |
오남 | 司馬恂 (三国)|사마순중국어 | 현달 | |
육남 | 司馬進|사마진중국어 | 혜달 | |
칠남 | 司馬通|사마통중국어 | 아달 | |
팔남 | 司馬敏|사마민중국어 | 유달 |
3. 2. 사마팔달
사마팔달(司馬八達)은 사마의와 그의 형인 사마랑을 포함한 여덟 형제를 일컫는 말이다.[20]사마씨 집안은 여덟 형제를 배출하고, 후에 사마의의 손자인 사마염이 서진을 건국하자 황족이 되는 큰 공적을 올렸다. 이후 사마씨 가문은 중국 최고의 명사들과 명장들을 배출한 가문으로 올라갔다. 서진이 팔왕의 난으로 멸망한 후, 사마씨 가문의 일원인 사마예가 황하 이남으로 본거지를 옮겨 동진을 건국하여 사마씨 가문은 서진과 동진을 통틀어 진나라의 황족이 되었다.
8명의 아들은 모두 우수했으며, 전원이 자(字)에 '달' 자를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사마팔달'이라고 불렸다.[20]
순서 | 이름 | 자(字) |
---|---|---|
장남 | 사마랑 | 백달 |
차남 | 사마의 | 중달 |
삼남 | 사마부 | 숙달 |
사남 | 司馬馗|사마규중국어 | 계달 |
오남 | 司馬恂 (三国)|사마순중국어 | 현달 |
육남 | 司馬進|사마진중국어 | 혜달 |
칠남 | 司馬通|사마통중국어 | 아달 |
팔남 | 司馬敏|사마민중국어 | 유달 |
참조
[1]
서적
Jin Shu vol. 1
[2]
문서
not to be confused with his Sima Jun (prince)|great-grandson with a similar name
[3]
서적
Xu Zhuan annotation in Sanguozhi vol. 15
[4]
서적
Xu Zhuan annotation in Sanguozhi vol. 15
[5]
서적
Xu Zhuan annotation in Sanguozhi vol. 15
[6]
서적
Jin Shu vol. 1
0242-02-17
[7]
서적
Xu Zhuan annotation in Sanguozhi vol. 15
[8]
서적
Cao Man Zhuan annotation in Sanguozhi vol. 1
[9]
서적
Sitishu Shi Xu annotation in Sanguozhi vol. 1
[10]
서적
Pei Songzhi's annotation in Sanguozhi vol. 1
[11]
서적
Fragments of Sima Fang's Tablet 司马芳残碑
Shanghai Rarebooks Publishing House
2012
[12]
서적
Jin Shu vol. 1
[13]
서적
Xu Zhuan annotation in Sanguozhi vol. 15
[14]
서적
Xu Zhuan annotation in Sanguozhi vol. 15
[15]
서적
Bei Qi Shu, vol.18
[16]
문서
司馬芳残碑
[17]
간행물
司馬芳残碑
1965-09
[18]
서적
三国志 魏書 武帝紀注 曹瞞伝
[19]
서적
晋書 宣帝紀
[20]
서적
晋書 安平献王孚伝
[21]
문서
사마방잔비(司馬芳殘碑)
[22]
서적
조만전(曹瞞傳)·사마표, 서전(序傳)
[23]
문서
예장군|예장태수 사마량의 아들, 정서장군 사마균의 손자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