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바타이 제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바타이 제비는 1626년 오스만 제국의 스미르나에서 태어난 유대교 신비주의자이다. 그는 자신이 메시아라고 주장하며 17세기 유럽에 큰 영향을 미쳤다. 그는 카발라에 심취하여 메시아를 자처했으나, 랍비들의 반대에 직면하여 여러 도시를 떠돌았다. 1666년 이슬람으로 개종하면서 추종자들에게 큰 실망을 안겨주었지만, 일부는 그의 개종을 메시아 계획의 일부로 믿었다. 사바타이 제비의 사후, 그의 추종자들은 '되네'라는 비밀 집단을 형성하여 독자적인 신앙을 유지했고, 그의 삶은 유대인 사회에 메시아 대망 사상과 카발라 신학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7세기 종말론자 - 제임스 어셔
제임스 어셔는 아일랜드 성공회의 성직자이자 학자로서 연대기 연구를 통해 세계 창조 시점을 기원전 4004년으로 계산했으며, 아일랜드 신조 작성에 참여하고 아일랜드의 프라이메이트와 아마 대주교를 지냈다. - 17세기 종말론자 - 윌리엄 휘스턴
윌리엄 휘스턴은 아이작 뉴턴의 제자이자 케임브리지 대학교 루카스 교수를 역임한 영국의 신학자, 수학자, 자연 철학자이며, 혜성 충돌로 인한 대홍수를 주장하는 등 독창적인 자연 철학을 펼쳤다. - 유대교에서 이슬람교로 개종한 사람 - 라시드웃딘
라시드웃딘은 페르시아 유대인 가문 출신으로 일 칸국의 재상으로 활동하며 《자미 알타와리흐》를 저술했고, 몽골 제국사와 세계사, 의학서 등 다양한 저작 활동을 펼쳤으며, 특히 《집사》는 세계 주요 종족들의 역사를 담은 최초의 세계사로 평가받는다. - 유대교에서 이슬람교로 개종한 사람 - 레일라 무라드
레일라 무라드는 1930년대부터 1950년대 이집트 영화계의 가장 성공적인 배우 중 한 명이자 이집트 영화의 황금기를 이끈 인물로, 뛰어난 연기력과 매력적인 외모, 영화와 음악 분야에서의 재능으로 대중의 사랑을 받았으며 1995년 사망할 때까지 이집트 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유대계 튀르키예인 - 누리엘 루비니
누리엘 루비니는 2007~2008년 세계 금융 위기를 예측하여 "닥터 둠"이라는 별명을 얻은 경제학자이자 뉴욕대학교 스턴 경영대학원 명예교수이며, 국제통화기금(IMF) 등에서 활동했고 Roubini Global Economics를 설립하여 경제 컨설팅 사업을 펼쳤다. - 유대계 튀르키예인 - 무니스 테키날프
무니스 테키날프는 오스만 제국에서 태어나 터키 민족주의와 튀르크화 사상을 옹호하며 활동하다가 프랑스에서 사망한 터키의 지식인, 작가, 정치인이다.
사바타이 제비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샤브타이 체비 (שַׁבְּתַי צְבִי) |
출생 | 1626년 8월 1일 |
출생지 | 스미르나, 오스만 제국 (현재의 튀르키예 이즈미르) |
사망 | 1676년 9월 17일 (추정) |
사망지 | 울친, 오스만 제국 (현재의 몬테네그로) |
국적 | 오스만 |
종교 | 유대교, 이후 이슬람교 |
창시 | 사바타이주의 |
기타 이름 | |
기타 표기 | 샤베타이 체비, 샤베타이 체비, 샤브사이 츠비, 사바타이 즈비, 샤브타이 즈비 |
2. 초기 생애와 교육
사바타이 제비는 1626년 티샤 브아브(유대교 금식일)에 오스만 제국의 도시 스미르나(현재 이즈미르)에서 태어났다. שַׁבְּתַאי|샤브타이he라는 이름은 히브리어로 토성을 의미하며, 유대교 전통에서 메시아와 연관되기도 한다.[5]
17세기 전반, 유럽에서는 천년왕국설과 메시아 시대의 도래에 대한 기대가 널리 퍼져 있었고, 1666년이 묵시록적인 해로 여겨졌다. 이러한 분위기는 사바타이 제비의 메시아 운동에 영향을 미쳤다.[7] 1648년, 제비는 자신이 메시아라고 선언하고, 테트라그라마톤을 발음하는 등 유대교에서 금지된 행위를 하며 자신의 주장을 뒷받침하려 했다. 그는 신의 환상을 경험했다고 주장하기도 했다.[10]
사바타이 제비는 1648년 스미르나에서 자신이 메시아라고 선언했다.[10] 그는 유대교에서 금지된 테트라그라마톤을 발음하고, 날 수 있다고 주장하며, 신의 환상을 경험했다고 주장하는 등 여러 기행을 벌였다.[10] 초기에는 이삭 실베이라와 모세 핀에이로에게 자신의 주장을 알렸으나, 당시 22세에 불과했던 그는 랍비 권위로 인정받기에는 너무 어렸다.[7]
그의 가족은 파트라스 출신으로, 아슈케나지 또는 스페인 혈통이었다.[6][7] 아버지 모르데카이는 모레아에서 가금류 상인이었다. 오스만-베네치아 전쟁 동안 스미르나가 레반트 무역의 중심지가 되면서, 모르데카이는 영국 무역 회사의 대리인이 되어 부를 축적했다.[7]
당시 유대교 관습에 따라, 제비의 아버지는 그에게 탈무드를 공부하게 했다. 그는 요셉 에스파파 랍비 아래 예시바에서 공부했다.[7] 할라카(유대 율법) 연구는 그에게 매력적이지 않았지만, 탈무드에는 능숙해진 것으로 보인다. 그는 카발라와 신비주의에 심취하여 이삭 루리아의 영향을 받았다. 특히 신과 소통하고 기적을 행하기 위해 금욕을 사용한 실용적인 카발라에 매력을 느꼈다.[7] 조하르를 읽고 ''티쿠님''이라는 금욕과 정화 훈련을 했다.[3]
3. 메시아 선언과 초기 활동
그러나 그는 초기에는 지역 사회에서 큰 영향력을 얻지 못하고 랍비들의 의심을 샀으며, 결국 파문당했다.[7] 1651년(또는 1654년)경, 그는 스미르나에서 추방되어 여러 도시를 떠돌았다. 1658년, 콘스탄티노플에서 설교자 아브라함 야치니를 만나 자신의 메시아적 사명을 확인받았다. 야치니는 제비가 메시아임을 증언하는 고대 문서를 위조하기도 했다.[7]
4. 테살로니키, 카이로, 예루살렘에서의 활동
요셉 에스파카를 비롯한 랍비들은 그의 활동을 의심하여 감시했고, 결국 그와 추종자들은 파문당했다.[7] 1651년경 (또는 1654년) 랍비들은 제비를 스미르나에서 추방했다.[7] 1658년 콘스탄티노플에서 제비는 아브라함 야치니를 만났고, 야치니는 제비가 메시아임을 증언하는 위조 필사본을 만들었다.[7]
제비는 젊은 시절부터 카발라에 능통했으며, 특히 『조하르』를 애독했다. 그는 급진적인 카발라 사상을 발전시켰는데, 이는 '신성 유지를 위해 죄를 범하는 것'과 '세계 복원 시 금제가 해제된다'는 두 가지 명제를 기반으로 했다.[7] 1648년 제비는 환상 속에서 자신이 메시아라는 예언을 받았다고 공언하며, 신성 사문자를 발음하는 등 기행을 일삼았다. 랍비들은 제비의 행동을 비정상적인 것으로 여겼고, 1651년에서 1654년 사이, 결국 이즈미르에서 추방되었다.
4. 1. 사라와의 결혼
제비는 이집트에 체류하는 동안 리보르노에 사는 사라라는 여성에 대한 소문을 들었다. 사라는 자신이 구세주의 아내가 될 운명이라는 계시를 받았다고 한다. 제비는 이 소식을 매우 기뻐하며, 즉시 사라를 이집트로 초청했다. 두 사람은 짧은 만남을 갖고 결혼했다.[26] 제자와 신봉자들은 사라를 "여왕"이라고 불렀다. 사라는 과거에 음행을 저지른 추문이 있었지만, 제자나 신봉자들은 이를 부정하지 않고, 호세아와 간음한 여인의 결혼에 비유하여 이 사건을 해석했다.[27]
5. 가자의 나단과의 만남과 메시아 운동의 확장
사바타이 제비는 예루살렘으로 돌아오던 중 가자에서 가자의 나단(나탄 벤자민 레비)을 만났다. 나단은 이후 제비의 오른팔이 되어 메시아 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자신이 부활한 엘리야라고 선언했다. 엘리야는 메시아의 도래를 알리는 선지자로 예언된 인물이었다. 1665년, 나단은 메시아 시대가 1666년에 무혈 세계 정복으로 시작될 것이며, 메시아가 잃어버린 열 지파를 이끌고 성지로 돌아올 것이라고 발표했다.[7]
예루살렘의 랍비들은 사바타이의 운동을 의심하며 추종자들을 파문하려 했다. 예루살렘이 자신의 계획에 적합하지 않다고 판단한 제비는 고향인 스미르나로 떠났고, 나단은 예루살렘 대신 가자가 새로운 성도가 될 것이라고 선언했다. 스미르나로 가는 길에 사바타이는 알레포에서 열렬한 환영을 받았다. 1665년 가을, 스미르나에 도착한 그는 큰 경의를 받았고, 잠시 망설인 후, 1665년 로쉬 하샤나 때 자신이 기다리던 메시아라고 선언했다. 그의 선언은 회당에서 쇼파르를 불고 "우리 왕, 우리 메시아 만세!"라는 함성과 함께 이루어졌다.[7]
그의 추종자들은 그를 'AMIRAH'라고 불렀는데, 이는 "우리 주님이자 왕, 그의 위엄은 숭고하시다"라는 구절의 히브리어 약어이다.[7]
thumb
5. 1. 메시아로서의 권위 행사와 논란
שַׁבְּתַאי צְבִי|사바타이 제비he는 스미르나에서 공동체의 지도자가 되어, 그의 아내의 도움을 받으며 권력을 행사하고 반대 세력을 억압했다.[7] 그는 스미르나의 당시 랍비였던 아론 라파파를 해임하고 하임 벤베니스트를 그 자리에 임명했다.[7] 이탈리아, 독일, 네덜란드는 이미 그의 메시아 운동의 중심지였다.[7] 함부르크와 암스테르담의 유대인들은 스미르나에서 일어난 사건들을 기독교인들로부터 전해 들었다.[7] 독일의 학자 헨리 올덴버그는 바루흐 스피노자에게 편지를 써서, 이스라엘 사람들이 고국으로 돌아온다는 소문이 사실이라면 모든 것에 혁명을 가져올 것이라고 말했다.[7]사바타이의 추종자들은 이삭 아보아브 다 폰세카, 모세 라파엘 데 아길라르, 모셰 벤 요나탄 갈란테, 모세 벤 모르데차이 자쿠토 등 많은 저명한 랍비들을 포함하게 되었다.[7] 스피노자의 추종자인 벤야민 무사피아 역시 그의 추종자가 되었다.[7] 한편, 스코틀랜드 북쪽에 비단 돛과 밧줄을 가진 배가 나타났다는 소문 등 환상적인 소문들이 퍼져 널리 믿어졌다.[11] 프랑스 아비뇽의 유대인 공동체는 1666년 봄에 새로운 왕국으로 이주할 준비를 했다.[7]
사바타이 체비의 메시아적 주장을 믿으려는 유대인들의 준비성은 17세기 중반 유럽 유대인들의 절망적인 상황으로 어느 정도 설명될 수 있다. 보흐단 흐멜니츠키의 포그롬은 동유럽에서 약 10,000~20,000명의 유대인을 몰살시키고 유대교 학습과 공동체 생활의 많은 중심지를 파괴했다.[7] 따라서 대부분의 유럽 유대인들에게 이것은 메시아가 약속된 구원을 가져다줄 적절한 순간이었다.
사바타이의 추종자들은 대부분의 ''할라카''를 폐지할 계획을 세웠다.[7] 테베트 10일의 단식은 잔치와 기쁨의 날이 되었다.[7] 사바타이가 스미르나로 갔을 때 그의 비서가 된 사무엘 프리모는 메시아의 이름으로 모든 유대인들에게 회람을 보내, 슬픔과 고통은 기쁨으로, 단식은 즐거움으로 바뀌어야 한다고 말했다.[7] 프리모의 메시지는 신성 모독으로 여겨졌고, 공동체 내에서는 분노와 반목이 있었다. 운동에 동정적인 많은 지도자들은 그러한 급진적인 혁신에 충격을 받았다. 스미르나의 저명한 탈무드 학자인 솔로몬 알가지와 단식 폐지에 반대하는 랍비들은 사바타이 추종자들의 손에서 간신히 죽음을 면했다.[7]
1648년 6월 11일 (유대력 5408년 시반 달의 21일), 츠비는 환상 속에서 자신이 메시아라는 예언을 받았다. 그는 신성 사문자를 함부로 입에 담는 등 수많은 기행을 의도적으로 행했다. 이 행위는 메시아가 도래하는 날에는 신의 이름이 정확하게 발음될 것이라는 내용이 『바빌로니아 탈무드』에 기록되어 있다는 것에 영감을 받은 것으로 여겨진다. 츠비의 급진적인 활동은 이즈미르 랍비들의 눈에는 미친 사람의 장난으로밖에 비치지 않았다. 1651년부터 1654년 사이 어느 시점에 츠비는 고향인 이즈미르에서 추방되었다.
1665년에는 이집트에도 예언자가 나타났다는 소문이 전해졌다. 영혼의 평안을 간절히 원했던 츠비는 가자로 가서 가자의 나단과 접촉했다. 1665년에 일어난 츠비와 나탄의 만남은 이후 수 년에 걸친 유대인 사회의 혼란의 서장으로 역사에 새겨져 있다. 나탄과의 만남으로 츠비의 인생은 처음의 의도를 넘어선 특이한 방향으로 전환하게 된다.
츠비가 예루살렘으로 향하게 되자 나탄은 서한을 써서 구세주 출현의 뜻을 각국의 유대인 사회에 알렸다. 나탄은 구세주에 관한 예언을 반복하며 민중을 선동했다. 한편, 제자들에게는 구세주가 도래하는 날이 되면 루리아가 세계 수복을 위해 정한 기도, 카발라적인 내용의 모든 기도가 효력을 잃고, 더 간소한 말이 기도에 사용될 것이라고 가르쳤다.
츠비는 예루살렘으로 돌아갔지만, 이전과는 달리 유대인 사회 전체로부터 거부당했다. 거리의 광대는 "샤리야흐(사자)를 보냈는데 돌아온 것은 마시아흐(메시아)였다"고 말하며 츠비를 조롱했다. 결국 츠비는 예루살렘을 떠나 다시 고향인 이즈미르로 향했다. 그 도중에 체파트, 다마스쿠스, 알레포를 경유했는데, 알레포에서는 수개월 동안 머물렀고, 유력한 랍비로부터 지원을 받을 수도 있었다. 한편, 나탄은 서신을 통해 유대인 사회 전체에 샤브타이 츠비의 활동을 전했는데, 메시아 도래의 길조는 예멘, 페르시아, 지중해 연안 지방, 북아프리카, 유럽 전토 등 각지에서 열렬히 환영받았다.
많은 유대인들이 가자에 모였다. 거기서 나탄은 방문한 각자에게 영혼의 수복을 베풀었다. 가자에서 시작된 회개의 운동은 팔레스타인 전역을 휩쓸었고, 각지의 유대인 사회에까지 파급되었다. "티쿤"이라는 제목의 팜플렛이 대량으로 유통되었는데, 그 팜플렛에는 나탄의 지시에 의해 편집된 탄원의 기도가 인쇄되어 있었다. 이 운동에 유발된 듯이, 아나톨리아 반도와 발칸 반도에서는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많은 예언자들이 나타나, 샤브타이 츠비와 구원의 날에 대한 예언을 공중 앞에서 외쳤다.
1665년 9월, 츠비는 이즈미르에 개선하여 열광적인 민중, 지지자들에게 환영받았다. 그로부터 수개월 동안은 활동을 자제하고 집에 틀어박혀 있었는데, 1665년(유대력 5426년)의 하누카 축제를 계기로, 왕의 분장을 하고 성대한 퍼레이드를 하거나 빈번하게 예언을 받는 등 활동을 활발하게 했다.
그날, 이즈미르에서는 샤브타이파 신자와 반대파 활동가 사이에 충돌이 발생하여, 난투극이 벌어지는 소란이 일어났다. 다음날 안식일, 츠비는 수백 명의 신자를 이끌고 포르투갈계 유대인 지구의 시나고그에 나타났는데, 그곳에서는 반대파 지도자들이 기도 중이었다. 츠비는 도끼로 문을 부수고 시나고그 안에 난입하여, 힘으로 반대파의 기도를 방해하고, 그들 앞에서 자신의 가르침을 설파했다.
이 사건 후에도 츠비의 언행은 항상 논쟁의 대상이 되었다. 하지만, 이즈미르의 랍비 중 다수는 츠비의 지지자로 이름을 올리게 되었다. 츠비는 테베트 달의 10일 단식일 폐지를 선언하거나, 이혼한 두 여성과 친밀한 관계를 맺는 등, 할라하에서의 금지 사항 해제를 스스로 실천하는 형태로 밀어붙였고, 반대자들로부터 더욱 더 심한 비난을 받았다. 또한, 자주 "임명식"을 실시하여, 지지자들에게 세계의 일부를 지업으로 주어, 그 지역의 지배자로 정했다.
이러한 사건들을 거친 끝에, 1665년 12월 11일(유대력 5426년 테베트 달의 22일), 츠비는 오스만 제국의 술탄, 메흐메트 4세로부터 왕위를 박탈하고, 그의 대신 옥좌에 앉을 것을 꾀하며 콘스탄티노플을 향해 출발했다.
6. 콘스탄티노플 투옥과 아비도스(미그달 오즈)에서의 생활
1666년 초, 사바타이 제비는 콘스탄티노플(현재 터키의 이스탄불)로 향했으나, 대재상 쾨프릴뤼 파즐 아흐메트 파샤의 명령으로 체포되어 투옥되었다.[7] 이는 그의 메시아 주장이 술탄의 권위에 대한 도전으로 여겨졌기 때문이다. 콘스탄티노플에서 두 달 동안 투옥된 후, 제비는 헬레스폰트의 아비도스에 있는 국립 감옥 성으로 이송되었고, 사바테안들은 이 요새를 '미그달 오즈'(강력한 탑)로 불렀다.[7]
제비는 감옥에서 호화로운 생활을 하며 추종자들의 방문을 받았고, 그의 명성은 더욱 퍼져나갔다. 그는 유월절 양을 잡아 ''할라카''를 위반하는 의식을 거행하고, "금지된 것을 다시 회복하신 하느님을 찬양하라"는 축복을 선언하기도 했다.[7]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의 유대인들은 그의 소식을 듣고 열광했으며, 일부는 집 지붕을 뜯어내고 새로운 "탈출"을 준비했다. 거의 모든 회당에서 제비를 위한 기도가 삽입되었고, 그의 그림이 다윗 왕과 함께 기도서에 인쇄되기도 했다.[7] 함부르크에서는 안식일뿐만 아니라 월요일과 목요일에도 사바타이를 위해 기도하는 관습이 도입되었다.[7]
7. 네헤미야 하코헨과의 만남과 이슬람 개종
1666년 9월, 폴란드 출신의 카발리스트 네헤미야 하코헨이 사바타이 제비를 만나기 위해 아비도스를 방문했다.[12] 3개월 간의 여행 끝에 아비도스에 도착한 네헤미야는 제비와 만났으나, 그 만남은 순조롭게 진행되지 않았다. 네헤미야는 제비를 사기꾼이라고 선언했다.[7]
몇몇 자료에 따르면, 이때의 논쟁의 핵심은 제비에게 마시아흐 벤 다비드(유대 민족을 성지로 이끄는 영적인 구세주)로서의 조건이 충족되지 않았기 때문에, 실제로는 마시아흐 벤 요세프(유대 민족의 성지 귀환에서의 길을 정돈하기 위해, 마시아흐 벤 다비드보다 먼저 나타나는 구세주)가 아닌가 하는 네헤미야의 주장에 있었다. 모든 것을 알아챈 네헤미야는 논쟁을 끝내고는 천천히 제비를 가리키며, "이 남자는 사기꾼이다"라고 외치며, 유대 민족을 속인 중죄로 인해 사형에 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일부 사바타이 추종자들은 경쟁자로서 네헤미야를 살해할 것을 고려했다고 전해진다.[7]
그러나 네헤미야는 이스탄불로 도망쳐 이슬람교로 개종하는 척하며, 카이마캄을 만나 사바타이의 야망을 알리려 했다. 카이마캄은 술탄 메흐메트 4세에게 이 사실을 알렸고, 사바타이는 아비도스에서 제거되어 아드리아노폴로 이송되었다.[7]
에디르네의 법정으로 연행된 제비는 1666년 9월 16일(유대력 5426년의 엘룰 달의 16일)에 술탄의 손에 의해 재판을 받게 되었다.[34] 거기서 재상은 그에게 세 가지 선택지를 제시했다. 화살 세례를 통해 자신의 신성을 시험받거나 (만약 궁수들이 빗나가면 그의 신성이 증명될 것이다), 말뚝에 꿰이거나, 이슬람으로 개종하는 것이었다.
이튿날 (1666년 9월 16일), 제비는 술탄 앞에 나타나 유대교 의복을 벗고 터키식 터번을 머리에 썼고, 이로써 이슬람으로의 개종을 완료했다. 그는 망설임 없이 개종을 선택했고, 이름마저 아지즈 무함마드 에펜디라는 이슬람식 이름으로 개명했다. 술탄은 이에 만족하여 사바타이에게 (마흐메드) ''에펜디''라는 칭호를 수여하고, 후하게 봉급을 주는 문지기로 임명했다.
그의 추종자 중 사라와 약 300가구도 이슬람으로 개종했다. 그 후, 이 새로운 무슬림들은 되네로 알려졌다.[4] 또한, "바샤 카피지"(궁정 수호인)라는 명예직(직함만)이 주어졌고, 술탄의 보호 아래, 국고에서 지급되는 은급으로 풍족한 생활이 약속되었다.
사바타이는 그의 개종을 확인하기 위해 두 번째 아내를 맞이하라는 명령을 받았다. 며칠 후, 그는 스미르나의 공동체에 다음과 같이 썼다. "하느님께서 나를 이스마엘인으로 만드셨고, 그분은 명하셨고, 그대로 되었다. 나의 재생의 아홉째 날."[7]
8. 개종 이후의 삶과 실망, 그리고 죽음
사바타이 제비의 개종은 그의 추종자들에게 큰 충격을 주었고, 무슬림과 기독교인들은 그들을 조롱했다. 그러나 그의 배교에도 불구하고, 많은 추종자들은 여전히 그를 믿으며, 그의 개종이 메시아 계획의 일부라고 주장했다. 가자의 나단 등은 이러한 믿음을 장려했다. 많은 공동체에서 랍비들의 금지령과 파문에도 불구하고, 타무즈의 17일과 아브의 아홉째 날은 여전히 축제일로 지켜졌다.[7]
사바타이는 때때로 경건한 무슬림의 역할을 맡아 유대교를 비난했고, 다른 때는 유대인들과 그들의 종교 안에서 그들 중 하나로 어울렸다. 1668년 3월, 그는 유월절에 성령으로 충만해져 계시를 받았다고 발표했다.
사바타이는 술탄에게 유대인을 이슬람으로 개종시키려 한다고 말했고, 술탄은 그가 다른 유대인들과 어울리고 그들의 회당에서 설교하는 것을 허락했다. 1673년 초, 술탄은 제비를 울친으로 추방했고, 그곳에서 그의 아내는 1674년에 사망했다. 제비는 이후 테살로니키의 랍비 요셉 필로소프의 딸과 재혼했다.
1676년 8월, 사바타이는 알바니아 베라트의 유대인 공동체에 종교 서적을 요청하는 편지를 썼다.[14] 그 후 얼마 지나지 않아, 그는 고립된 채로 사망했다. 일부 기록에 따르면 1676년 9월 17일, 욤 키푸르라는 대속죄일에 사망했다.
9. 유산과 되네
사바타이 제비 사후, 그의 추종자들은 '되네'라는 집단을 형성하여 비밀리에 사바타이파 신앙을 유지했다.[15] 이들은 겉으로는 무슬림 행세를 했지만, 내부적으로는 자신들만의 메시아적/신비주의적 유대교 신념을 실천했다.[16]
되네는 19세기까지 테살로니키를 중심으로 담배 및 섬유 거래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고, 진보적인 학교를 설립하며 정치적으로도 활동했다. 이들 중 다수는 청년 투르크당으로 알려진 혁명 정당인 통일진보위원회(CUP)에 참여했다.[4]
1912년 테살로니키가 그리스에 편입되고, 1923년 그리스-터키 인구 교환이 이루어진 후, 되네 대부분은 터키로 이주하여 20세기 중반까지 고도로 동화되었다.[4]
되네는 여러 분파로 나뉘었는데, 각 분파는 서로 다른 신념을 가지고 있었다. 이스라엘 신문 ''예루살렘 포스트''에 게재된 리뷰에 따르면, 카라카쉬 분파는 수피의 영향을 받은 관행을 따르는 반면, 카판츠 분파는 이슬람의 영향을 전혀 받지 않았으며 현재는 완전히 세속적이다.[15]
되네의 정확한 수는 알려지지 않았으나, 여전히 터키를 중심으로 활동하는 것으로 추정된다.[15] 2016년 기준으로 터키에는 '아마도 2,000명'의 되네 신봉자가 남아있지만, 이는 이 집단에서 유래한 개인의 수에 비하면 극히 적은 수준이다.[15]
10. 샤브타이 츠비에 대한 역사적 평가 (일본어 문서 내용 추가)
샤브타이 츠비는 유대인의 민족 의식에 불을 지핀 인물로, 오늘날에는 대체로 "위대한 거짓 메시아"로 평가받는다.[22] 그의 운동은 유대인 사회에 큰 혼란을 가져왔지만, 동시에 메시아 대망 사상과 카발라 신학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샤브타이 츠비'라는 이름은 메시아니즘으로 보이는 사상을 비판할 때 종종 사용되었다. 예를 들어, 시오니즘 운동 초기에 반대자들은 시오니즘을 샤브타이파에 비유하고, 테오도어 헤르츨을 샤브타이 츠비라고 조롱하기도 했다.[23]
11. 연구 문헌 (일본어 문서 내용 추가)
게르숌 숄렘의 저서 『사바타이 체비 - 신비주의 메시아』는 호세이 대학 출판국에서 출판되었으며, 석마루 쇼지가 번역하여 2009년에 총서 유니베르시타스 시리즈로 출간되었다.
참조
[1]
논문
[2]
논문
[3]
서적
Jewish Art and Civilization
1972
[4]
간행물
The Other Secret Jews, review of Marc David Baer, ''The Dönme: Jewish Converts, Muslim Revolutionaries, and Secular Turks''
https://newrepublic.[...]
2010-02-15
[5]
서적
The Mixed Multitude: Jacob Frank and the Frankist Movement, 1755-1816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6]
백과사전
Shabbetai Zevi
https://www.encyclop[...]
[7]
웹사이트
SHABBETHAI ẒEBI B. MORDECAI
http://www.jewishenc[...]
[8]
문서
This theory was originally suggested by [[Heinrich Graetz|Graetz]]; [[Gershom Scholem]] argued forcefully against it in his major work on Sabbatai, quoted throughout this entry.
[9]
서적
Hebraica Veritas? Christian Hebraists, Jews, and the Study of Judaism in Early Modern Europe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10]
웹사이트
Who was Shabbetai Tsvi?
https://henryabramso[...]
2012-02-02
[11]
서적
The City of Dancing Dervishes and Other Sketches and Studies from the Near East
https://books.google[...]
Macmillan and Company
[12]
웹사이트
Jewish Encyclopedia, Nehemiah ha-Kohen
https://jewishencycl[...]
[13]
논문
''קברו של משיח ישמעאל''
https://www.jstor.or[...]
1985
[14]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Albania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15]
웹사이트
Turkish Jewry's secret medieval messianics survive
http://www.jpost.com[...]
2016-06-06
[16]
웹사이트
INTERVIEW: Cengiz Şişman on the Dönmes' 350-year 'burden of silence' – BOOKS
http://www.hurriyetd[...]
2015-11-14
[17]
학술지
Political Parties' Perceptions and Uses of Anti-Semitic Conspiracy Theories in Turkey
https://www.research[...]
2013
[18]
학술지
Sur Sabbatai Cevi et sa secte
1898
[19]
학술지
Sabbataï Sevi et les Sabbatéens de Salonique
1902
[20]
서적
Nouveaux documents sur Sabbetaï Sevi: Organisation et us et coutumes de ses adeptes
Fratelli Haim
[21]
웹사이트
Kültür Envanteri - Sevi Kortejosu
https://kulturenvant[...]
2020-08-06
[22]
문서
ツヴィが生まれた年を[[1624年]]、あるいは[[1525年]]とする資料がいくつか存在している。しかしアーブの月の9日が安息日にあたるのは1626年だけである。また、[[1666年]]8月10日(ユダヤ暦5426年のアーブの月の9日)に、ツヴィ自らが40歳になったことを宣言している。
[23]
문서
いくつかの資料では6歳のときの出来事と明記している。ただし、ゲルショム・ショーレムは著書『Sabbatai Zevi』のなかで16歳のときの出来事と記している。
[24]
문서
主がアモリ人をイスラエルの人々に渡された日、ヨシュアはイスラエルの人々の見ている前で主をたたえて言った。日は とどまり / 月は 動きをやめた / 民が 敵を打ち破るまで。『ヤシャルの書』にこう記されているように、日はまる一日、中天にとどまり、急いで傾こうとしなかった。主がこの日のように人の訴えを聞き届けられたことは、後にも先にもなかった。主はイスラエルのために戦われたのである。 -『[[ヨシュア記]]』 10:12~10:14 [[新共同訳]]
[25]
문서
いくつかの資料では、はじめに向かったのはコンスタンティノープルだったのだが、イズミールのラビから事前にツヴィの来訪を手紙で知らされていた同地のラビによって入城を阻まれてしまったという。
[26]
문서
この出来事は[[1665年]]における二度目のエジプト滞在時に起きたとも言われている。
[27]
문서
主がホセアに語られたことの初め。主はホセアに言われた。「行け、淫行の女をめとり/淫行による子らを受け入れよ。この国は主から離れ、淫行にふけっているからだ。」 -『[[ホセア書]]』 1:2 新共同訳
[28]
문서
最後の一文は、『[[イザヤ書]]』42章13節からの流用と見られている。
[29]
문서
ナタンはその後、書面に著名するさいは「ナタン・ベニヤミン」か「アブラハム・ナタン・ベニヤミン」と記していた。
[30]
문서
この書簡が出回って以降、ナタンはサラに対し、「リベカ・ハ=マルカー」(王妃リベカ)と著名するように命じている。
[31]
문서
巻物に記された物語は時代考証もいい加減な与太話でしかなかった。ゲルショム・ショーレムの著作ではナタン本人による贋作とされているが、現在ではツヴィの近親者であったアブラハム・ハ=ヤキニがその制作に深くかかわっていたと推測されている。
[32]
문서
ラビ・ヤアコブ・ツェマフの死亡年は[[1645年]]とされているため、それが事実であれば、この件にかかわるのは不可能である。しかし、ラビ・ヤアコブ・エムデンはツヴィの破門に賛同したラビのひとりに彼の名を上げている。また、シャブタイ派の事件を歌ったアルメニア歌謡の歌詞に「『ポルトガル出身の老賢人』がエルサレムでの迫害の指導者だった」という描写があるのだが、ゲルショム・ショーレムによれば、この描写に適合するのはラビ・ヤアコブ・ツェマフ以外には考えられないとしている。
[33]
웹사이트
英語版の記事
en:Sabbatai Zevi#At [...]
[34]
문서
多くの伝承では、当時はスルタン自らが裁判を進行していたされているのだが、ゲルショム・ショーレムによれば、オスマン帝国では、実際にはその場にスルタンがいないにもかかわらず、幔幕の背後で「隠れて裁判に参加している」という様式が定着していたそうである。
[35]
논문
Sabbatai Sevi: The Mystical Messiah: 1626–1676
[36]
기타
[37]
서적
Jewish Art and Civilization
https://archive.org/[...]
1972
[38]
기타
[39]
기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