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상징주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상징주의는 19세기 후반 유럽에서 시작된 예술 사조로, 1886년 장 모레아스가 "문학 선언: 상징주의"에서 정의한 바와 같이, "관념"에 감성적인 형태를 부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문학에서는 자연주의에 대한 반동으로 상상, 몽환, 상징을 강조하며 샤를 보들레르의 영향을 받았으며, 스테판 말라르메, 폴 베를렌, 아르튀르 랭보 등이 대표적인 시인으로 꼽힌다. 미술에서는 반사실주의적 경향을 보이며 귀스타브 모로, 오딜롱 르동, 구스타프 클림트 등이 대표적이다. 상징주의는 음악에도 영향을 미쳐 클로드 드뷔시의 작품에 나타났으며, 1920년대 한국 문학에도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세기 미술 - 아카데믹 미술
    아카데믹 미술은 17세기 프랑스 왕립 아카데미에서 시작되어 고대 그리스와 로마 미술의 이상을 추구하며 규범, 기법, 주제를 따르는 미술 경향으로, 역사화, 초상화, 풍경화 등 다양한 장르를 포괄하고 엄격한 드로잉 훈련과 고전적 구도를 강조한다.
  • 19세기 미술 - 낭만주의
    낭만주의는 18세기 후반부터 19세기 중반 유럽을 중심으로 계몽주의와 신고전주의에 반발하여 나타난 예술 운동으로, 감정, 상상력, 개인주의, 자연 숭배, 과거에 대한 향수를 강조하며 정치, 사회 변화에 다양한 영향을 미쳤다.
  • 프랑스의 시 - 알렉상드랭
    알렉상드랭은 프랑스 문학의 12음절 시행으로, 6음절 두 부분으로 나뉘어 중간에 휴지가 있고, 각 반행의 마지막 음절과 중간에 강세가 있으며, 여성 각운과 남성 각운이 교대로 사용되는 특징을 가진다.
  • 프랑스의 시 - 고답파
    고답파는 19세기 후반 프랑스에서 낭만주의에 반발하여 테오필 고티에의 "예술을 위한 예술"을 기치로 형식미와 객관성을 추구한 문학 운동으로, 쇼펜하우어의 영향을 받아 삶의 허무함을 다루며 여러 국가의 문학에 영향을 주었다.
상징주의
지도
기본 정보
운동예술 운동
시기19세기 후반
발상지프랑스
특징상징과 은유를 사용한 주관적인 표현
주요 예술 형태회화
문학
음악
영향 받은 운동낭만주의
영향을 준 운동표현주의
초현실주의
아르 누보
철학 및 이론
주요 철학관념주의
신비주의
주요 이론대응 이론 (Correspondences)
암시와 암시
주관적인 경험의 중요성
문학
주요 작가샤를 보들레르
스테판 말라르메
아르튀르 랭보
폴 베를렌
모리스 메테를링크
오스카 와일드
특징상징주의 시
내면의 경험과 감정 표현
신비주의적 요소
운율과 리듬 강조
미술
주요 화가귀스타브 모로
오딜롱 르동
피에르 퓌뷔 드 샤반
에드바르 뭉크
구스타프 클림트
제임스 휘슬러
페르디난트 호들러
특징상징과 은유를 통한 표현
내면세계와 감정 표현
비현실적이고 환상적인 이미지
색채와 형태의 상징적 사용
음악
주요 작곡가클로드 드뷔시
에리크 사티
알렉산드르 스크랴빈
특징모호하고 분위기 있는 표현
멜로디와 화성의 상징적인 사용
인상주의적 특징과의 연관성
한국의 상징주의
영향한국 근대 문학에 영향
김억, 김소월, 이상화 등 시인에게 영향
특징낭만주의와 함께 유입
개인의 내면세계 탐구
전통적 소재의 재해석
기타
다른 이름상징파
심볼리즘
관련 용어데카당스

2. 정의

상징주의는 문학과 미술에서 자연주의에 대한 반발로 나타난 사조이다. 문학에서는 자연주의의 과학적 결정론에 반대하며 상상, 몽환, 상징을 강조했고, 보들레르를 선구자로 여겼다. 미술에서는 문학보다 조금 늦게 나타났으며, 명확한 주장이나 운동은 없었지만, 반사실주의적인 경향을 보였다.

상징주의는 '관념에 감지 가능한 형태를 입히는 것'을 중요하게 생각했다. 자연주의와는 대조적으로, 사물을 충실하게 묘사하는 대신 이상 세계를 환기시키고 영혼의 상태를 표현하는 인상과 감각을 탐구했다.

2. 1. 문학에서의 정의

자연주의 이후 문학에서는 여러 반성이 나타났는데, 그중 가장 강력한 것이 상징주의였다. 상징주의는 자연주의의 과학적 결정론에 반대하여 상상, 몽환, 상징을 강조하였고 보들레르를 선구자로 삼았다. 대표적인 시인으로는 말라르메, 위스망, 베르아랭, 마테를링크, 랭보 등이 있다.

불문학자 A. 티보데는 상징파의 새로운 바람으로 다음 세 가지를 지적했다.

# 자유시: 전통적인 양식을 벗어나 자유로운 시 형식을 추구했다.

# 순수시: 산문적 요소를 배제하고 순수한 시를 지향했으며, 바그너의 영향을 받아 말라르메를 필두로 발레리에 이르러 완성되었다.

# 문학적 혁신과 발전의 개념: 이전 세대의 문학 개념을 부정하는 권리와 의무를 젊은 세대에게 인정하여 '전통적 문학'과 '전위 문학'을 나누는 기준이 되었다.

1886년 장 모레아스는 「문학 선언: 상징주의」에서 상징주의를 "관념에 감성적인 형태를 덧입히는 것"으로 정의했다. 즉, 관념을 표현하기 위해 감성적인 형태를 사용하지만, 그 형태는 관념에 종속되어야 하며, 관념은 외면적인 유사성을 벗어나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상징주의 예술에서 자연 풍경, 인간의 활동 등은 있는 그대로 표현되지 않고, 근원적인 관념과의 신비로운 유사성을 나타내는 외관으로 표현된다.[2]

알베르 오리에는 1891년 『메르퀴르 드 프랑스』지에서 예술 작품이 가져야 할 특징을 다음과 같이 정의했다.

# 관념적일 것: 유일한 이상은 관념의 표현이다.

# 상징적일 것: 관념에 형태를 부여하여 표현한다.

# 종합적일 것: 형태와 기호들을 전체적으로 이해되는 형태로 그린다.

# 주관적일 것: 사물은 사물 자체가 아니라 주체에 의해 감지되는 기호로 생각된다.

# 장식적일 것.

상징주의는 자연주의에 대한 반동으로, 관념에 감지 가능한 형태를 입히는 것을 중요하게 생각했다. 자연주의자와 달리 사물을 충실하게 묘사하지 않고 이상 세계를 환기시키며 영혼의 상태 표현을 다루는 인상과 감각을 탐구했다.

상징주의는 낭만주의의 신비로운 측면과 관련이 있지만, 보들레르에게 큰 영향을 받았다. 랭보는 1871년 5월 15일 자 폴 드메니에게 보낸 편지에서 시인은 모든 감각의 광란을 통해 시인이 되며, 말은 영혼에서 영혼으로 향하는 것이라고 했다.[3][4] 베를렌의 「시법」(1874)은 상징주의의 규범을 정하고 있는데, 그중 일부는 다음과 같다.

원문요약 번역
Car nous voulons la Nuance encore,|카 누 불롱 라 뉘앙스 앙코르,프랑스어왜냐하면 우리는 아직도 뉘앙스를 원하기 때문이다,
Pas la Couleur, rien que la nuance !|파 라 쿨뤠르, 리앙 크 라 뉘앙스 !프랑스어색채가 아니라, 오직 뉘앙스만!
Oh ! la nuance seule fiance|오 ! 라 뉘앙스 쇨 피앙스프랑스어오! 오직 뉘앙스만이
Le rêve au rêve et la flûte au cor !|르 레브 오 레브 에 라 플뤼트 오 코르 !프랑스어[5]꿈과 꿈을, 플루트와 호른을 조화시킨다!



한국에서 상징주의는 1920년부터 1924년까지 5년간 자연주의와 더불어 문예사조를 지배했다. 주요한의 <불놀이>, 황석우의 <벽모의 묘>, 변영로의 시론 <상징적으로 살자> 등이 대표적이다.

2. 2. 미술에서의 정의

미술에서 상징주의는 상징주의 시인들의 영향을 받아 조금 늦게 나타난 반사실주의적인 경향을 지향했지만, 문학에서처럼 명확한 주장이나 운동은 없었다. 직접적으로는 비평가 오리에(Georges Albert Aurier, 1865∼1892)의 논평 〈회화에 있어서의 상징주의〉(1891)에서 고갱을 중심으로 한 퐁 타방 파(이 파는 오리에의 논평에 의해 종합주의라고도 불리었다)와 고갱이 타히티로 떠난 뒤 오리에의 주장에 가까운 나비파를 가리킨다. 그러나 그 후의 논평에서는 고갱 등의 음악적·장식적인 구성을 목표로 한 작품보다도 도리어 신비적인 주제를 취급하는 작품을 포함한다. 퓌비스 드샤반느, 르동, 귀스타브 모로, 카리에르, 앙소르, 클림트 등이 대표적인 작가로 간주된다.

알베르 오리에는 『메르퀴르 드 프랑스』지에서 1891년에 다음과 같이 정의하고 있다.

> 예술 작품은 첫째로 관념적이어야 한다. 그 유일한 이상은 관념의 표현이기 때문이다. 둘째로 상징적이어야 한다. 그 관념에 형태를 부여하여 표현하기 때문이다. 셋째로 종합적이어야 한다. 여러 형태와 기호들을 전체적으로 이해되는 형태로 그리기 때문이다. 넷째로 주관적이어야 한다. 사물은 사물 그 자체로서가 아니라 주체에 의해 감지되는 기호로 생각되기 때문이다. 다섯째로 장식적이어야 한다.[2]

상징주의는 자연주의에 대한 반동이었다. 「관념에 감지 가능한 형태를 입히는 것」이 중요했다. 자연주의자와는 대조적으로 상징파는 사물을 충실하게 묘사하지 않고, 이상 세계를 환기시키며, 영혼의 상태 표현을 특별히 다루는 인상과 감각을 탐구했다.

3. 기원

문학에서 상징주의 운동은 샤를 보들레르(Charles Baudelaire)의 『악의 꽃(Les Fleurs du mal)』(1857)에서 기원했다. 1860~70년대에 스테판 말라르메(Stéphane Mallarmé)와 폴 베를렌(Paul Verlaine)이 상징파 미학을 발전시켰고, 1880년대에는 여러 선언문을 통해 많은 작가들이 상징주의 미학에 동참했다. 에드거 앨런 포(Edgar Allan Poe) 작품을 보들레르가 프랑스어로 번역한 것은 상징주의의 여러 표현과 이미지 원천이 되면서 큰 영향을 주었다.

미술에서 상징주의는 낭만주의고딕적인 측면에서 나왔지만, 낭만주의 미술과 달리 정적이고 의례적인 특징을 보였다. 19세기 말 가톨릭 부흥 운동은 상징주의에서 불가지의 것, 신비적인 것에 대한 애정과 연결된다. 오스카 와일드(Oscar Wilde), 오브리 비어즐리(Aubrey Beardsley), 조리스-카를 위스망스(Joris-Karl Huysmans)와 같은 작가와 화가들이 가톨릭으로 개종한 것이 그 예시이다. 위스망스는 『르르드(Lourdes)의 군중』에서 가톨릭적 기적에 대한 열망을 다루기도 했다.

엘리파스 레비(Eliphas Lévi), 황금새벽회(Hermetic Order of the Golden Dawn), 윌리엄 버틀러 예이츠(William Butler Yeats) 등 신비주의 단체들은 속화된 기존 종교 제도에 대한 혐오를 넘어 의례성과 상징성을 중시하며 상징주의에 영향을 주었다. 특히, 조제팡 펠라당(Joséphin Péladan)은 (가톨릭) 薔薇十字団[6]을 결성하여 프랑스와 벨기에 상징주의 예술가들의 결속을 이끌었다.

3. 1. 문학

문학에서 자연주의 이후는 상당한 혼란이 초래되었는데, 자연주의 문학에 대한 다양한 반성이 터져나왔다. 그중에서 가장 강력한 발언을 한 것이 상징주의라 할 수 있다. 이들은 자연주의의 과학적 결정론에 반대하여 상상, 몽환, 상징을 강조하였고 보들레르를 선구로 삼았다. 상징주의의 대표적인 시인으로는 말라르메를 꼽을 수 있고 위스망, 베르아랭, 마테를링크, 랭보 등이 있다.

불문학자 A. 티보데는 상징파의 새로운 바람으로 다음의 세 가지를 지적했다.

# 자유시: 딱딱하고 전통적인 양식을 벗어나 파격적이고 자유로운 시의 흐름을 뜻한다.

# 순수시: 산문적 요소를 배제하고 순수하게 시적인 시를 지향하며, 바그너의 영향 아래 말라르메를 필두로 한 순수시는 발레리에 이르러 완성된 것으로 평가받는다.

# 문학적 혁신과 발전의 개념: 상징파는 이전 세대가 확립해 놓은 문학 개념을 부정하는 권리와 의무를 처음으로 젊은 세대에게 인정하기 시작했으며, 이를 기준으로 ‘전통적 문학’과 ‘전위문학'이 나누어지게 되었다.

한국에서 상징주의는 1920년부터 1924년까지 5년간 자연주의와 더불어 문예사상 지배적인 흐름이었는데, 이들은 모두 창조파에 기원한다. <창조> 1호에 김동인의 자연주의적 소설 <약한 자의 슬픔>이 실렸을 때 시에서는 주요한이 상징파의 영향을 받아 <불놀이> 3편을 발표하여 문단의 주목을 끌었다. 1921년에는 황석우의 대표적 상징시 <벽모(碧毛)의 묘(猫)>가 <폐허(廢墟)>에 발표되었고, 변영로는 <상징적으로 살자>(1922)라는 시론을 썼고 그의 시도 언어의 기교를 상징성에 두었다.

마르셀랭 데부탱(Marcellin Desboutin)의 「조제팡 펠라당(Joséphin Péladan)의 초상화」(1891년)


문학에서 상징주의 운동의 기원은 샤를 보들레르(Charles Baudelaire)의 『악의 꽃(Les Fleurs du mal)』(1857)에서 찾아볼 수 있다. 상징파의 미학은 1860~70년대에 스테판 말라르메(Stéphane Mallarmé)와 폴 베를렌(Paul Verlaine)에 의해 발전되었다. 1880년대에는 일련의 선언문에 힘입어 상징주의 미학은 많은 작가들을 불러 모았다. 보들레르에 의한 에드거 앨런 포(Edgar Allan Poe) 작품의 불어 번역은 큰 영향력을 가지고 상징주의의 많은 수사법과 이미지의 원천이 되었다.

문학적 운동과는 별개로, 미술에서의 상징주의는 낭만주의고딕적인 측면에서 출현했다. 그러나 낭만주의 미술이 직접적이고 반항적이었던 데 반해, 상징주의 미술은 정적이고 의례적인 것이었다. 상징주의에서의 불가지의 것, 신비적인 것에 대한 애정은 19세기 말의 가톨릭 부흥 운동과도 연결된다. 전례 없는 가톨릭 부흥의 움직임은 작가 오스카 와일드(Oscar Wilde)와 화가 오브리 비어즐리(Aubrey Beardsley)의 가톨릭 개종에서 볼 수 있다. 또한 같은 시기에 개종한 작가 조리스-카를 위스망스(Joris-Karl Huysmans)는 데카당스와 악마주의와 같은 소재에서 크게 입장을 바꾸어, 말년에는 19세기에 붐을 일으켰던 가톨릭적 기적에 대한 열망을 『르르드(Lourdes)의 군중』에서 다루고 있다.

그러나 속화된 기존의 종교 제도에 대한 혐오는 가톨릭 복귀에 그치지 않고, 의례성과 상징성을 중시하는 신흥의 신비주의 단체로의 기울기에도 이어진다. 『신비 철학 전집』을 저술한 엘리파스 레비(Eliphas Lévi)로부터 프랑스 상징주의 시인에게 미친 영향, 매그리거 메이저스(MacGregor Mathers) 등의 「황금새벽회(Hermetic Order of the Golden Dawn)」로부터 아일랜드 시인 윌리엄 버틀러 예이츠(William Butler Yeats)에게 미친 영향 등은 간과할 수 없는 연결고리이다. 또한 (가톨릭) 薔薇十字団[6]을 결성하여 프랑스와 벨기에의 상징주의 예술가들의 결속을 촉진한 신비주의자 조제팡 펠라당(Joséphin Péladan)의 공적은 특필할 만하다.

3. 2. 미술

미술에서 상징주의는 상징주의 시인의 영향 아래 조금 늦게 나타난 반사실주의적인 경향을 지향했으나, 문예의 경우처럼 명확한 주장이나 운동이 있었던 것은 아니다. 직접적으로는 비평가 오리에(Georges Albert Aurier, 1865∼1892)의 논평 <회화에 있어서의 상징주의>(1891)에서 고갱을 중심으로 한 퐁 타방 파(이 파는 오리에의 논평에 의해 종합주의라고도 불리었다)와 고갱이 타히티로 떠난 뒤 오리에의 주장에 가까운 나비파를 가리킨다. 그러나 그 후의 논평에서는 고갱 등의 음악적·장식적인 구성을 목표로 한 작품보다도 도리어 신비적인 주제를 취급하는 작품을 포함한다. 퓌비스 드샤반느, 르동, 귀스타브 모로, 카리에르, 앙소르, 클림트 등이 대표자로 간주된다.

문학적 운동과는 별개로, 미술에서의 상징주의는 낭만주의고딕적인 측면에서 출현했다. 그러나 낭만주의 미술이 직접적이고 반항적이었던 데 반해, 상징주의 미술은 정적이고 의례적인 것이었다. 상징주의에서의 불가지의 것, 신비적인 것에 대한 애정은 19세기 말의 가톨릭 부흥 운동과도 연결된다. 전례 없는 가톨릭 부흥의 움직임은 작가 오스카 와일드와 화가 오브리 비어즐리의 가톨릭 개종에서 볼 수 있다. 또한 같은 시기에 개종한 작가 조리스 카를 위스망스는 데카당스와 악마주의와 같은 소재에서 크게 입장을 바꾸어, 말년에는 19세기에 붐을 일으켰던 가톨릭적 기적에 대한 열망을 『르르드의 군중』에서 다루고 있다.

그러나 속화된 기존의 종교 제도에 대한 혐오는 가톨릭 복귀에 그치지 않고, 의례성과 상징성을 중시하는 신흥의 신비주의 단체로의 기울기에도 이어진다. 『신비 철학 전집』을 저술한 엘리파스 레비로부터 프랑스 상징주의 시인에게 미친 영향, 매그리거 메이저스(MacGregor Mathers) 등의 「황금새벽회」로부터 아일랜드 시인 윌리엄 버틀러 예이츠에게 미친 영향 등은 간과할 수 없는 연결고리이다. 또한 (가톨릭) 薔薇十字団[6]을 결성하여 프랑스와 벨기에의 상징주의 예술가들의 결속을 촉진한 신비주의자 조제팡 펠라당의 공적은 특필할 만하다.

4. 각 분야별 특징

미술에서 상징주의는 문학보다 조금 늦게 나타난 반사실주의적 경향이었으나, 문학처럼 뚜렷한 주장이나 운동은 없었다. 알베르 오리에의 논평 <회화에 있어서의 상징주의>(1891)에서는 폴 고갱을 중심으로 한 퐁타방파와 나비파를 언급했다. 그러나 이후 논평에서는 고갱 등의 음악적, 장식적 구성뿐 아니라 신비적 주제를 다룬 작품도 포함한다. 귀스타브 모로, 오딜롱 르동, 구스타프 클림트 등이 대표적이다.

19세기 후반, 아카데미즘에 대한 반발로 인상주의와 함께 상징주의가 나타났다. 상징주의는 인간 내면, 꿈, 신비 등을 상징적으로 표현했으며, 문학적 상징주의와 관련하여 이름 붙여졌다. 귀스타브 모로가 대표적 작가이다.

폴 고갱은 포스트 인상주의나 클루아조니즘(종합주의) 화가로 알려졌지만, 사실적 재현을 거부하고 평면적, 장식적 구성을 중시하며, 주관적 내면 표현과 신비주의적 소재를 사용해 상징주의 화가로 분류되기도 한다. 알베르 오리에는 '메르퀴르 드 프랑스'지에 "회화에서의 상징주의—폴 고갱"이라는 평론을 기고했고, 고갱의 영향을 받은 퐁타방파와 나비파에서도 상징주의적 경향을 볼 수 있다.

상징주의는 아르누보 등 세기말 예술에 큰 영향을 미쳤다. 찰스 레니 매킨토시는 상징주의적 여성상을 디자인했지만, 장식성을 중시하는 화풍으로 변화 후에도 상징주의적 감성은 유지되었다. 글래스고 부캐넌 거리 크랜스턴 티룸 벽화 장식 밑그림에는 상징주의와 아르누보가 혼합된 양식이 나타난다. 이런 경향은 빈 분리파 등에서도 볼 수 있다. 알퐁스 무샤는 초기 아르누보 양식 포스터로 유명했지만, 말년에는 체코로 돌아가 상징주의적 역사 해석을 바탕으로 한 연작 『슬라브 서사시』를 완성했다.

영국에서는 19세기 중반 라파엘 전파가 결성되어 중세 동경을 바탕으로 독자적 미술공예운동적 미학을 발전시켰다. 프랑스에서는 조제핀 펠라당이 "가톨릭 장미십자회"[6]를 조직하고 "장미십자전"(1892-1897)을 개최하여 상징주의적 경향 예술가들이 많이 참여했다. 벨기에에서는 옥타브 모스 등이 1883년 "20인전"[6]을 결성하여 인상주의, 신인상주의와 경쟁하며 상징주의 예술 중심지가 되었다.

상징주의는 음악에도 영향을 미쳤다. 상징주의 작가, 예술가, 비평가 대다수는 리하르트 바그너 음악을 호의적으로 평가했다.[7]

상징주의 미학은 클로드 드뷔시 작품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드뷔시 가사와 주제 선택은 거의 상징주의에서 비롯되었다. 『보들레르의 다섯 개의 시』 편곡, 베를렌의 시에 따른 가곡, 오페라펠레아스와 멜리장드』, 에드거 앨런 포의 두 이야기를 바탕으로 한 미완성 오페라 『종탑의 악마』와 『어셔가의 몰락』 등은 드뷔시의 상징주의적 취향과 영향을 보여준다. 대표작 『목신의 오후의 전주곡』은 스테판 말라르메의 시 『목신의 오후』에서 영감을 얻었다.[8]

드뷔시와 라벨에게 영향을 준 에릭 사티는 젊은 시절 장미십자회와 관련이 있었다.[9] 1892년 3월 10일부터 4월 10일까지 뒤랑-뤼엘 화랑에서 열린 "장미십자회 전람회" 개막식에서는 에릭 사티의 『장미십자회의 환호곡』이 연주되었다.

4. 1. 문학

자연주의 이후 문학에서는 여러 반성들이 나타났는데, 그 중 상징주의는 가장 강력한 흐름이었다. 상징주의는 자연주의의 과학적 결정론에 반대하고 상상, 몽환, 상징을 강조했으며, 보들레르 등을 선구자로 삼았다. 대표적인 상징주의 시인으로는 말라르메가 있으며, 위스망, 베르아랭, 마테를링크, 랭보 등이 있다.

요리스-카를 위스망스의 소설 『거꾸로』(À rebours|아 르부르프랑스어, 1884)는 상징주의 미학과 연결되는 여러 주제를 담고 있으며, 오스카 와일드는 『도리안 그레이의 초상』에서 이 소설을 모방했다.

폴 아담은 다작의 상징주의 소설가였다. 장 모레아스와 공동 집필한 『귀베르 양』(La fille de Gueber, 1886)은 자연주의와 상징주의의 중간적인 작품이다. 귀스타브 칸의 『광왕』(Le Roi fou, 1896)을 거의 유일한 예외로 하여, 상징주의자들은 이러한 수법을 거의 사용하지 않았다. 쥘 바르베 도르비의 단편들과 가브리엘레 다눈치오의 초기 소설도 상징주의적인 의도로 쓰여졌다.

한국에서 상징주의는 1920년부터 1924년까지 5년간 자연주의와 함께 문예사조를 이끌었으며, 창조파에 기원을 두고 있었다. 김동인의 <약한 자의 슬픔>이 실린 <창조> 1호에 주요한은 상징주의의 영향을 받은 <불놀이> 3편을 발표했다.[1] 황석우의 <벽모(碧毛)의 묘(猫)>가 <폐허>에 발표되었고, 변영로는 <상징적으로 살자>(1922)라는 시론을 썼다.[1]

4. 1. 1. 프랑스 상징주의 문학

문학에서 자연주의 이후는 상당한 혼잡이 초래되었다. 예를 들면 자연주의 문학에 대한 각양각색의 반성이 터져 나오기 시작한 것이다. 그중에서 가장 강력한 발언을 한 것이 상징주의라 말할 수 있다. 이들은 자연주의의 과학적 결정론(科學的 決定論)에 반대하여 상상, 몽환, 상징을 강조하였고 고체와 보들레르를 선구로 삼았다. 상징주의의 대표적인 시인으로는 말라르메를 꼽을 수 있고 위스망, 베르아랭, 마테를링크, 랭보 등을 지적할 수 있다.

불문학자 A. 티보데는 상징파의 새로운 바람으로 다음의 세 가지를 지적했다.

1. 자유시: 딱딱하고 전통적인 양식을 탈피해 파격적이고 자유로운 시의 조류를 뜻한다.

2. 순수시: 산문적 요소를 배제하고 순수하게 시적인 시를 지향하며, 바그너의 영향 아래 말라르메를 필두로 한 순수시는 발레리에 이르러 완성된 것으로 평가받는다.

3. 문학적 혁신과 발전의 개념: 상징파는 이전 세대가 수립해 놓은 문학 개념을 부정하는 권리와 의무를 처음으로 젊은 세대에게 인정하기 시작하며 이를 기준으로 ‘전통적 문학’과 ‘전위문학'이 나누어지게 되었다.

4. 1. 2. 한국 상징주의 문학

한국에서 상징주의는 1920년부터 1924년까지 5년간 자연주의와 더불어 문예사조의 지배적인 흐름이었는데, 이들은 모두 창조파에 기원을 두고 있었다. 김동인의 자연주의적 소설 <약한 자의 슬픔>이 실린 <창조> 1호에 주요한상징주의의 영향을 받은 <불놀이> 3편을 발표하여 문단의 주목을 끌었다.[1] 1921년에는 황석우의 대표적 상징시인 <벽모(碧毛)의 묘(猫)>가 <폐허>에 발표되었고, 변영로는 <상징적으로 살자>(1922)라는 시론을 썼으며 그의 시도 언어의 기교를 상징성에 두었다.[1]

4. 2. 미술

미술에서 상징주의는 문학에서의 상징주의보다 조금 늦게 나타났으며, 반사실주의적인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문학에서처럼 뚜렷한 주장이나 운동은 없었다. 비평가 알베르 오리에의 논평 <회화에 있어서의 상징주의>(1891)에서는 폴 고갱을 중심으로 한 퐁타방파와 나비파를 언급한다.

19세기 후반, 기존 아카데미즘에 대한 반발로 인상주의와 함께 상징주의가 나타났다. 상징주의는 인간의 내면, 꿈, 신비 등을 상징적으로 표현하려 했으며, 문학적 상징주의와 관련하여 이름 붙여졌다. 귀스타브 모로가 대표적인 작가로 꼽힌다.

폴 고갱은 포스트 인상주의나 클루아조니즘(종합주의) 화가로 알려져 있지만, 사실적인 재현을 거부하고 평면적이고 장식적인 구성을 중시하며, 주관적인 내면 표현과 신비주의적인 소재를 사용한 경향 때문에 상징주의 화가로 분류되기도 한다. 알베르 오리에는 19세기 말 '메르퀴르 드 프랑스'지에 "회화에서의 상징주의—폴 고갱"이라는 평론을 기고했고, 고갱의 영향을 받은 퐁타방파와 나비파의 미학에서도 상징주의적 경향을 볼 수 있다.

상징주의는 아르누보 등 세기말 예술에 큰 영향을 미쳤다. 찰스 레니 매킨토시는 상징주의적인 여성상을 디자인했지만, 장식성을 중시하는 화풍으로 변화한 후에도 상징주의적인 감성은 유지되었다. 글래스고 부캐넌 거리 크랜스턴 티룸의 벽화 장식 밑그림에는 상징주의와 아르누보가 혼합된 양식이 나타난다. 이러한 경향은 빈 분리파 등에서도 볼 수 있다. 알퐁스 무샤는 초기에는 아르누보 양식의 포스터로 유명했지만, 말년에는 체코로 돌아가 상징주의적인 역사 해석을 바탕으로 한 연작 『슬라브 서사시』를 완성했다.

영국에서는 19세기 중반에 라파엘 전파가 결성되어 중세에 대한 동경을 바탕으로 독자적인 미술공예운동적 미학을 발전시켰다. 프랑스에서는 조제핀 펠라당이 "가톨릭 장미십자회"[6]를 조직하고 "장미십자전"(1892-1897)을 개최하여 상징주의적 경향의 예술가들이 많이 참여했다. 벨기에에서는 옥타브 모스 등이 1883년에 "20인전"[6]을 결성하여 인상주의, 신인상주의와 경쟁하며 상징주의 예술의 중심지가 되었다.

4. 2. 1. 특징

미술에서 상징주의는 상징주의 시인의 영향으로 조금 늦게 나타난 반사실주의적인 경향을 지향했으나, 문예의 경우처럼 명확한 주장이나 운동이 있었던 것은 아니다. 직접적으로는 비평가 오리에(Georges Albert Aurier, 1865∼1892)의 논평 <회화에 있어서의 상징주의>(1891)에서 고갱을 중심으로 한 퐁 타방 파와 고갱이 타히티로 떠난 뒤 오리에의 주장에 가까운 나비파를 가리킨다. 그러나 그 후의 논평에서는 고갱 등의 음악적·장식적인 구성을 목표로 한 작품보다도 도리어 신비적인 주제를 취급하는 작품을 포함한다. 귀스타브 모로, 르동, 클림트 등이 대표자로 간주된다.

19세기 후반, 기존의 아카데미즘에 대한 반발로 한편으로는 인상파의 경향, 다른 한편으로는 상징주의의 경향이 나타났다. 상징주의는 인간의 내면이나 꿈, 신비성 등을 상징적으로 표현하려는 것으로, 문학적 상징주의와 관련하여 명명되었다. 귀스타브 모로(Gustave Moreau)가 대표적인 작가이며, 위스망스는 『거꾸로(さかしま)』에서 모로를 높이 평가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포스트 인상주의나 클로와조니즘(종합주의)의 화가로 여겨지는 고갱도 사실적인 대상의 재현을 부정하거나 평면적이고 장식적인 화면 구성을 중시하고, 주관성이 강한 내면 표현이나 신비주의적인 소재를 사용하는 경향 등으로 상징주의 화가로 자리매김되기도 한다. 이미 19세기 말에는 알베르 오리에가 『메르퀴르 드 프랑스(メルキュール・ド・フランス)』지에서 “회화에서의 상징주의—폴 고갱”이라는 평론을 기고했으며, 고갱의 영향 아래 결속된 퐁타방파나 나비파의 미학에도 비슷한 상징주의적 경향이 엿보인다.

또한 상징주의는 아르누보 등 세기말 예술에도 큰 영향을 주었다.

4. 2. 2. 라파엘 전파 (영국)

19세기 중반 영국에서는 라파엘 전파가 결성되었으며, 중세에 대한 동경은 독자적인 미술공예운동적인 미학을 낳아 프랑스의 상징주의에 앞서 독자적인 발전을 이루었다.

4. 2. 3. 장미십자회 전시 (프랑스)

조제핀 펠라당(Josephin Peladan, 1858-1918)은 신비주의자로, "가톨릭 장미십자회(カトリック薔薇十字団)"[6]를 조직하여 "장미십자전(薔薇十字展)(les salons de la rose-croix)"(1892-1897)을 열었다. 이 전시에는 상징주의적 경향을 가진 예술가들이 많이 참여했다.

4. 2. 4. 20인전 (벨기에)

1883년 벨기에에서 기업가 옥타브 모스 등이 20인전(Les XX(レ・ヴァン))을 결성했다.[6] 이들은 인상주의·신인상주의와 경쟁하면서 상징주의 예술의 중심지가 되었다.

4. 3. 음악

상징주의는 음악에도 영향을 미쳤다. 상징주의 작가, 예술가 및 비평가 대다수는 리하르트 바그너의 음악을 호의적으로 평가했다.[7]

상징주의 미학은 클로드 드뷔시의 작품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드뷔시의 가사와 주제 선택은 거의 모두 상징주의에서 비롯되었다. 『보들레르의 다섯 개의 시』 편곡, 베를렌의 시에 따른 가곡, 오페라펠레아스와 멜리장드』, 에드거 앨런 포의 두 이야기를 바탕으로 한 미완성 오페라 『종탑의 악마』와 『어셔가의 몰락』 등의 작품은 드뷔시의 상징주의적 취향과 영향을 보여준다. 가장 중요한 작품인 『목신의 오후의 전주곡』은 스테판 말라르메의 시 『목신의 오후』에서 영감을 얻었다.[8]

드뷔시와 라벨에게 영향을 준 에릭 사티는 젊은 시절 장미십자회와 관련이 있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9] 1892년 3월 10일부터 4월 10일까지 뒤랑-뤼엘 화랑에서 개최된 "장미십자회 전람회" 개막식에서는 에릭 사티의 『장미십자회의 환호곡』이 연주되었다.

5. 상징주의 예술가

알렉산드르 블로크의 1909년 저서 ''Theatre'' 표지. 콘스탄틴 소모프의 러시아 상징주의 시인 삽화는 오브리 비어즐리와 같은 아르누보 예술가와 상징주의 간의 연속성을 보여준다.

5. 1. 한국

제공된 원본 소스에 한국의 상징주의에 대한 내용이 없으므로, 해당 섹션은 작성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이전 출력과 동일하게 유지됩니다.

참조

[1] 문서 고대 그리스의 심볼론
[2] 서적 상징주의 선언; 대역 디자인에그사 2018
[3] 서적 랭보 전시집 치쿠마쇼보(치쿠마문고)
[4] 웹사이트 위키소스 수록 http://fr.wikisource[...]
[5] 웹사이트 위키소스 원문 http://fr.wikisource[...]
[6] 문서 르네상스 시대의 장미십자회
[7] 문서 드뷔시와 바그너
[8] 문서 상징주의와 인상주의 음악
[9] 문서 장미십자회와 음악 작품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