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르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루르드는 프랑스 남부 피레네 산맥 기슭에 위치한 도시로, 1858년 성모 마리아 발현 이후 세계적인 가톨릭 순례지로 유명하다. 선사 시대부터 사람이 거주한 흔적이 있으며, 중세 시대에는 요새로 중요한 역할을 했다. 19세기 베르나데트 수비루의 성모 발현 이후 순례가 시작되어, 현재 매년 수백만 명의 순례자가 방문하고 있다. 루르드는 기적적인 치유의 장소로 여겨지며, 루르드 샘물과 관련된 다양한 이야기가 전해진다. 또한, 럭비 유니언 팀 FC 루르드의 연고지이며, 산악 자전거 월드컵 경기가 열리는 스포츠 도시이기도 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트피레네주의 코뮌 - 타르브
타르브는 프랑스 오트피레네 주의 주도로, 아두르 강이 흐르는 프레피레네 지역의 비옥한 평원에 위치하며, 프랑스 혁명 이후 행정 중심지, 19세기 군사적 요충지로 기능했으며, 현재는 서비스업과 대학 중심 도시이자 문화 유산과 축제, 투르 드 프랑스 경유지로 알려져 있다. - 프랑스의 로마 가톨릭교회 - 파리 외방전교회
파리 외방전교회는 1658년 프랑스에서 극동 지역 선교를 위해 설립된 가톨릭 선교 단체로, 한국 천주교회와 밀접한 관계를 맺고 선교 활동을 펼쳐왔다. - 프랑스의 로마 가톨릭교회 - 루르드의 성모
1858년 프랑스 루르드에서 성녀 베르나데트 수비루에게 성모 마리아가 발현했다는 사건과 관련된 루르드의 성모는 가톨릭 주요 성지로 자리 잡았으며, 특히 발현 당시 베르나데트가 발견한 샘물은 기적적인 치유의 힘을 가진 것으로 여겨져 많은 순례자들이 찾고 있다. - 가톨릭 순례지 - 산티아고데콤포스텔라
산티아고데콤포스텔라는 스페인 갈리시아 지방의 주도로, 성 야고보 사도의 유해가 안치된 대성당을 중심으로 발전한 순례지이며, 중세 유럽 발전에 영향을 미친 산티아고 순례길의 중심지이자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된 역사적 도시이다. - 가톨릭 순례지 - 사해
사해는 이스라엘, 요르단, 팔레스타인에 걸쳐있는 염호로, 높은 염분 농도 때문에 생물이 살기 어려워 사해라 불리며, 미네랄이 풍부한 염수와 머드를 이용한 관광 산업과 광물 자원 채취가 활발하지만 수위가 낮아져 회복을 위한 국제적인 노력이 진행 중이다.
루르드 | |
---|---|
지도 | |
일반 정보 | |
![]() | |
지위 | 코뮌 |
행정 | |
소속 광역 행정 구역 | 아르젤레스가조스트 |
소속 행정 구역 | 루르드-1, 루르드-2 |
INSEE 코드 | 65286 |
우편 번호 | 65100 |
시장 | 티에리 라비트 |
임기 | 2020–2026 |
간 공동체 | CA 타르브-루르드-피레네 |
웹사이트 | lourdes.fr |
지리 | |
해발 고도 | 343–960 m |
면적 | 36.94 km2 |
인구 |
2. 역사
루르드는 프랑스 국내뿐만 아니라 국제적으로도 성모 마리아의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1858년 2월부터 가톨릭 순례지로 유명해졌다. 그러나 1858년 이전에도 루르드는 여러 계곡이 교차하는 지점에 위치하여 '라브당 지방의 빗장'이라 불리며 구석기 시대부터 현대까지 광범위하게 문서화된 역사를 가지고 있다.[34]
루르드에 대한 초기 기록은 983년 생 페 대수도원 건설 중에 시작되었다. 이곳은 아스트락 백작 아르노가 루르드 주민에게 시장의 3분의 1을 하사한 곳이었다.[26] 이후 루르드는 시대에 따라 'lo senhor de Lorda'(1114년~1130년),[27] 'Petro comiti Bigorrensi in castro de Lorda'(1163년~1185년),[28] 'castel de Lourda'(1216년),[29] 'al castet de Lorda'(1250년경),[30] 'la ville de Lorde'(1682년),[31] 'Lourde'(1757년)[32] 등으로 불렸다. 18세기 말부터 'Lourdes'라는 명칭이 나타나 1800년대 이후 계속 사용되고 있다.[33]
16세기와 17세기에 루르드는 위기를 겪었다. 교구 교회는 인근의 생 페 수도원처럼 위그노 전쟁으로 파괴되었다.[41][42] 하지만 루르드는 지리적 조건을 이용하여 바레주에 있는 '온천의 길'을 통해 부상자 치료에 사용되는 온천과 연결되었다.[43] 루르드 성은 '라브당 지방의 빗장'으로서 전략적으로 중요한 위치를 유지했다.[44]
인구는 기근과 역병 유행에도 불구하고 18세기에 증가했다. 1696년에는 2315명, 1730년부터 1772년까지 1189명이 증가했다.[45] 그러나 프랑스 혁명 직전에는 약 2300명의 주민들에게 위기가 닥쳤다.[46] 1755년경 루르드 인구의 약 40%는 농민, 약 40%는 장인(주로 섬유업), 8.5%는 채석업자와 건설업자, 약 13%는 상인이었다.[47] 이후 농업은 중요성이 감소했고,[48] 스페인과의 평화 조약 체결로 루르드 성은 전략적 이점을 잃고 감옥으로 사용되었다.[44]
프랑스 혁명 시기, 루르드는 전략적 위치 때문에 혁명군에 장비와 식량을 제공해야 했다. 1790년 오트피레네주가 신설되면서 루르드는 5개 군 중 하나가 되었다. 이후 혁명 전쟁 중 많은 의용병을 혁명군에 파견했다.[49] 1795년 스페인과 평화가 체결되면서 루르드 성은 비무장화되었으나, 1797년부터 다시 부상병 수비대가 주둔했다.[50]
1858년 베르나데트 수비루가 루르드 서쪽 마사비엘 동굴에서 '흰 귀부인'을 만난 사건은 루르드를 새로운 국면으로 이끌었다.
2. 1. 고대
현재 루르드 시는 선사 시대부터 사람이 거주했다. 고대 로마 시대인 기원전 1세기부터는 현재의 요새 부지에 oppidum 언덕이 있었으며, 20세기 초 생 피에르 교구를 철거한 후 수많은 고고학적 발견으로 이를 확인할 수 있다. 벽의 잔해, 성채 조각, 물의 신에게 바쳐진 이교도 사원, 세 개의 봉헌 제단 등이 발견되었다. 5세기에는 이 사원이 초기 기독교 교회로 대체되었고, 이후 화재로 소실되었으며 근처에는 묘지가 있었다. 피레네 산맥의 산기슭과 나르본을 연결하는 로마 시대의 도로와 건널목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되는데, 이는 이 도시가 안토니누스 여정에 언급된 ''quell'oppidum novum'' 요새일 가능성을 시사한다.여러 개의 계곡이 교차하는 루르드 땅에는 선사 시대부터 정착지가 있었다. 에스페리그 동굴에서는 거주 흔적(도구, 장신구, 도자기, 매장물 등)이 발견되었다[35] . 국립 고고학 박물관(fr)에는 맘모스의 엄니로 조각된 7.3cm의 조각상(기원전 13000년경, 마들렌 문화 시대부터 구석기 시대까지의 것)인 『루르드의 말』이 있다[36] . 알루자 동굴에서는 신석기 시대와 청동기 시대의 흔적이 남아있다[37] .
2. 2. 중세
중세 시대에 루르드와 루르드 요새는 비고르 백작의 본거지였다.[39] 알비 십자군 당시, 이 성은 주의 빗장 중 하나로 여겨졌고, 여러 파벌 간의 분쟁 대상이 되었다. 그 후 샹파뉴 백작 및 나바라 왕의 지배를 받다가 필리프 4세 시대에 프랑스 왕의 소유가 되었으며, 백년 전쟁 중인 1360년부터 15세기 초까지 잉글랜드가 지배했다. 이들은 도시와 시장의 전략적 이점을 활용할 줄 알았다.[40]비고르 백작의 거주지였던 루르드는 백년 전쟁 중 프랑스에 일시적 평화를 가져다 준 브레티니 조약에 의해 잉글랜드에 넘어갔고, 프랑스는 1360년부터 이 도시를 잃었다. 1405년, 샤를 6세는 백년 전쟁 중 이 성을 포위했고, 18개월 간의 포위 공격 끝에 잉글랜드로부터 도시를 되찾았다.
2. 3. 근대
16세기 후반 프랑스는 로마 가톨릭과 위그노 사이의 프랑스 종교 전쟁으로 황폐해졌다. 1569년, 가브리엘 드 몽고메리 백작은 타르브를 공격했고, 1592년에는 가톨릭 동맹군이 루르드를 점령하여 가톨릭 신앙을 재건했다. 1607년 루르드는 프랑스 왕국에 편입되었다.[41][42]루이 15세 치하에서 루르드 성은 감옥이 되었지만, 1789년 삼부회는 죄수 석방을 명령했다. 나폴레옹은 1803년 성을 다시 국가 감옥으로 만들었다. 1814년 반도 전쟁이 끝날 무렵, 웰링턴 공작 휘하의 영국군과 연합군은 프랑스에 진입하여 이 지역을 장악하고 마샬 술트의 군대를 격파했다.[44]
1858년까지 루르드는 약 4,000명의 인구를 가진 한적한 시골 마을이었다.[7] 그러던 중 1858년 2월 11일, 14세의 소녀 베르나데트 수비루는 마사비엘 동굴에서 아름다운 여인이 나타났다고 주장했다. 그 여인은 후에 자신을 원죄 없이 잉태되신 분이라고 밝혔고, 신자들은 그를 성모 마리아로 믿었다.[8] 1864년에는 그 자리에 루르드의 성모상이 세워졌다.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루르드는 종교적인 프랑스 레지스탕스의 중심지가 되었다. 1941년에 루르드를 방문했고, 1944년에는 루르드에서 평화 순례가 열렸다.[9]
발현 이후 루르드는 세계 주요 가톨릭 마리아 성지 중 하나가 되었다. 교황 요한 바오로 2세는 두 번 방문했고, 2007년, 교황 베네딕토 16세는 루르드의 성모 발현 150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특별 대사를 승인했다.[10]

1755년경, 루르드 인구의 약 40%는 농민, 약 40%는 장인(섬유업이 주), 8.5%는 채석업자와 건설업자, 약 13%가 상인이었다.[47] 이후 농업은 그 중요성을 잃어갔고,[48] 스페인과의 평화 조약 체결은 성의 전략적 이익을 잃는 것으로 이어져 감옥으로 전용되었다.[44]
프랑스 혁명 동안, 루르드는 혁명군에 장비와 식량을 제공해야 했다. 1790년에 오트피레네주가 신설되면서, 루르드는 주에 5개 설치된 군 중 하나가 되었다. 1795년에 스페인과 평화가 체결되었고, 이는 성의 비무장화로 이어졌다.[49][50]
2. 4. 19세기: 성모 발현과 순례지
베르나데트 수비루는 1858년에 루르드 서쪽의 포 강가 마사비엘 동굴에서 '흰 귀부인'이 여러 번 나타났다고 말했다.[51] 인근 주민들이 동굴 앞에서 기도하기 시작했고, 예배당 형태를 갖추었지만, '성모'는 베르나데트에게만 보였다.[52] 신자들의 유입으로 시장은 나무 울타리로 동굴 통행을 금지했다. 1858년 10월 초, 대중의 압력과 황후 외제니의 중재로 울타리가 제거되었다. 1862년, 성모 발현은 타르브 주교에 의해 공식적으로 인정되었다.[53] 1858년 이후 7,000건 이상의 치유가 보고되었지만, 그 중 69건만이 교회에 의해 공식적으로 기적으로 인정되었다.[54]
성역 사업은 발현과 같은 해에 시작되었다. 처음 지어진 예배당은 무염시태 대성당으로 대체되었고, 그 아래에는 노트르담 뒤 로제르 대성당이 건설되었다.[55] 이 두 바실리카는 모두 동굴 위에 있다. 도시의 일부는 교회에 의해 '성모 마리아의 도시'(cité mariale)라고 선언되었다.[56] 루르드 자치 당국은 종교 당국의 압력을 받으면서도 지역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중세 이래의 도시 거리를 확장하고, 북쪽에서 성을 우회하여 성역으로 연결되는 그로토 대로를 만들었다. 이후 토지는 분양되어 순례자를 맞이하는 상점과 호텔 건설이 이루어졌다.[57] 1899년 루르드 노면 전차가 운행을 시작하여, 루르드역에서 동굴까지, 그리고 제르 봉우리의 로프웨이로의 접근이 용이해졌다. 19세기 말, 루르드는 새로운 교구 교회로 사크레 쾨르 교회를 지었다. 성 베드로에게 헌정된 오래된 교구 교회는 1904년에 황폐해졌다. 오래된 교구 교회의 가구는 성으로 옮겨졌다.[58] 1950년대에는 교황 비오 10세에게 헌정된 거대한 지하 성당이 건설되었다. 현재의 루르드는 파티마, 로마, 쳉스토호바, 과달루페와 마찬가지로 세계적인 가톨릭 순례지 중 하나이다. 요한 바오로 2세는 1983년과 2004년 두 차례 순례를 방문했다. 2008년 9월, 베네딕토 16세는 성역을 방문했다.
2. 5. 현대
루르드는 프랑스 국내뿐만 아니라 국제적으로도, 무엇보다 성모 마리아의 도시이다. 1858년 2월에 역사가 시작된 가톨릭 순례지이다. 『그러나 1858년 이전에도, 다른 루르드가 있었다.[34]』 루르드의 땅은 여러 개의 계곡이 교차하는 지점에 위치하며, 라브당 지방의 빗장이라고 불린다. 구석기 시대부터 현대까지 아우르는, 확실히 광범위하게 문서화된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그 지식은 피레네 산맥 분야에서 필수적인 것이 되었다.새로운 루르드는 순례와 함께 탄생했다. 종교적으로나 사회적으로나 경제적으로나, 그 주제는 매우 크다.
여러 개의 계곡에 위치한 루르드의 땅에는 선사 시대부터 정착지가 있었다. 에스페리그 동굴에서는 거주 흔적(도구, 장신구, 도자기, 매장물 등)이 발견되었다.[35] 국립 고고학 박물관(fr)에는 『루르드의 말』이라고 불리는, 맘모스의 엄니로 조각된 7.3cm의 조각상(기원전 13000년경, 마들렌 문화 시대부터 구석기 시대까지의 것)이 있다.[36] 알루자 동굴에서는 신석기 시대와 청동기 시대의 흔적이 남아있다.[37] 더 대규모 발굴 작업을 통해, 아마도 루르드 지역 내에서 선사 시대의 중요한 정착지 흔적이 드러날 것이다.[38]

중세 시대에는 루르드와 루르드의 요새는 비고르 백작의 본거지였다.[39] 알비 십자군에서 성은 주의 빗장 중 하나로 여겨졌고, 서로 다른 파벌 간의 분쟁 대상이 되었다. 그 후 성은 샹파뉴 백작 및 나바라 왕의 지배 하에 놓였고, 필리프 4세 시대에 프랑스 왕의 손에 넘어갔으며, 백년 전쟁 중인 1360년부터 15세기 초까지 잉글랜드가 지배했다. 지배자들은 도시와 시장의 전략적 상황을 어떻게 활용할지를 알고 있었다.[40]
16세기와 17세기에 도시는 위기를 겪었다. 교구 교회는 인근의 생 페 수도원처럼 위그노 전쟁에서 파괴되었다.[41][42] 하지만, 루르드는 지리적 조건을 어떻게 이용할지 알고 있었다. 도시는 특히 바레주에 있는 『온천의 길』로 통했다. 바레주의 온천은 부상자 치료에 사용되었다.[43] 성은 『라브당 지방의 빗장』으로서 전략적으로 중요한 위치로 남아있었다.[44] 인구는 기근과 역병의 유행에도 불구하고 18세기에 증가했다.[45] 1696년에는 2315명을 기록했고, 1730년부터 1772년까지 1189명이 더 증가했다.[45] 그러나 프랑스 혁명 전야에는 약 2300명의 주민들에게 위기가 닥쳤다.[46]
1755년경 인구의 약 40%가 농민, 약 40%가 장인(섬유업이 주), 8.5%가 채석업자(슬레이트나 돌의 석공)와 건설업자, 약 13%가 상인이었다.[47] 이후 수년간 노동력이 증가하여 제조업에 특히 유익한 『도시 기능』에 직면하면서 농업은 그 중요성을 잃어갔다.[48] 스페인과의 평화 조약 체결은 성의 전략적 이익을 잃는 것으로 이어졌고, 성은 감옥으로 전용되었다. 그것은 즉, 부상자로 구성된 성의 수비대를 압박하는 문제가 되었고, 그들은 루이 16세에게 보낸 청원에 의해 보호받고 있었다.[44]
프랑스 혁명 동안, 그 전략적인 위치 때문에 도시는 혁명군에 장비와 식량을 제공해야 했다. 인구는 2741명이었다. 1790년에 오트피레네주가 신설되면서 루르드는 주에 5개 설치된 군 중 하나가 되었다. 그 후, 도시는 혁명 전쟁 중에 많은 의용병을 혁명군에 파견했다.[49] 1795년에 스페인과 평화가 체결되었고, 이는 성의 비무장화로 이어졌다. 성은 1797년부터 다시 부상병으로 구성된 수비대가 주둔했다.[50]
3. 지리
루르드는 프랑스 남부 피레네 산맥 기슭에 위치하며, 가브 드 포가 도시를 관통한다. 1858년 성모 발현이 일어난 마사비엘 동굴은 가브 드 포 강둑 근처에 있다.[11]
루르드의 기후는 해양성 기후(쾨펜 기후 구분에서 ''Cfb'')를 띤다. 연간 강수량은 약 120일의 강우일과 평균 1000mm 이상이다. 1985년 1월에는 -17°C, 2003년 8월에는 39°C가 기록되었다. 루르드의 기준 기상 관측소는 타르브-루르드-피레네 공항 지역의 타르브-오순-루르드로, 도시에서 약 9km 떨어져 있으며 해발 360m에 위치해 있다.[12]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연간 |
---|---|---|---|---|---|---|---|---|---|---|---|---|---|
최고 기온 기록 (°C) | 24.7 | 27.0 | 30.0 | 32.0 | 34.6 | 41.0 | 39.9 | 40.5 | 37.0 | 34.0 | 28.0 | 26.0 | - |
평균 최고 기온 (°C) | 11.0 | 12.3 | 15.4 | 17.1 | 20.7 | 23.8 | 26.1 | 26.3 | 23.7 | 19.8 | 14.4 | 11.6 | 18.5 |
평균 기온 (°C) | 6.3 | 7.3 | 10.0 | 11.7 | 15.3 | 18.4 | 20.6 | 20.7 | 18.0 | 14.6 | 9.6 | 7.0 | 13.3 |
평균 최저 기온 (°C) | 1.5 | 2.3 | 4.5 | 6.3 | 9.9 | 13.1 | 15.1 | 15.2 | 12.4 | 9.4 | 4.8 | 2.3 | 8.1 |
최저 기온 기록 (°C) | -18.2 | -16.5 | -12.0 | -4.9 | -3.8 | 1.0 | 0.5 | 1.5 | -0.1 | -4.0 | -9.9 | -17.0 | - |
강수량 (mm) | 135.1 | 109.5 | 120.7 | 149.9 | 139.6 | 103.9 | 82.5 | 87.1 | 94.9 | 121.9 | 145.5 | 136.1 | 1426.7 |
평균 강수일수 (≥ 1.0 mm) | 12.4 | 11.6 | 12.0 | 14.3 | 15.0 | 11.9 | 10.8 | 10.7 | 10.3 | 12.3 | 12.4 | 12.2 | 146.1 |
3. 1. 위치 및 지형
루르드는 프랑스 남부, 본초 자오선 근처의 피레네 산맥 기슭에 위치해 있다. 남쪽으로는 아네토, 몽테귀, 비뉴말 (3m)의 피레네 봉우리가 내려다보이며, 마을 주변에는 '뵈'와 '프티 제르'(세 개의 십자가가 있음), 그리고 '그랑 제르'(단일 십자가가 있음)로 알려진 1000m까지 솟아 있는 세 개의 봉우리가 있다. 그랑 제르는 피크 뒤 제르 푸니쿨라 철도를 통해 접근할 수 있다.루르드는 해발 420m에 위치하며, 남쪽의 가바르니에서 발원하여 급류를 이루며 흐르는 가브 드 포가 도시를 관통하는 중심부에 위치한다. 이 강으로 바레주와 코테레에서 여러 개의 작은 강이 흘러 들어온다.
가브 드 포의 고리에 의해 경계를 이루는 땅에는 '마사비엘'(''masse vieille'': "오래된 덩어리"에서 유래)이라고 불리는 암석 노두가 있다. 이 암석의 북쪽 면, 강둑 근처에는 1858년의 발현이 일어난 자연적으로 형성된 불규칙한 모양의 얕은 동굴 또는 석굴이 있다.[11]

코뮌으로서의 루르드는, 대략 해발 300m 지점에서 인접한 코뮌, 푸에이페레에 의해 분리되어 두 개의 지구로 나뉜다. 북부는 무를르 숲으로 이루어진 월경지, 남부는 루르드 시의 중심부가 있다.
루르드는 피레네 산맥의 기슭에 위치하며, 역사적인 지방 구분으로는 비고르 지방에 포함되며, 타르브의 남서 방향에 있고, 포 강이 흐른다. 성역은 시의 서쪽, 포 강을 따라 시에서 나가는 지점에 있다.
시는 성이 세워져 있던 바위 꼭대기 주변에 건설되었다. 아르젤레스 또는 가브 드 포라고 불린 빙하가 굴착한 결과, 빙하 분지가 생겨났다. 그것은 최종 빙기인 뷔름 빙하기(5만 년 전부터 1만 2천 년 전까지)의 마지막 단계에, 그 후에는 빙하가 녹은 후에 포 강 그 자체에 의해 만들어졌다. 분지의 남쪽은 제르 봉우리와 베우트 봉우리에서 시작하는 돌리네와 동굴을 갖춘 카르스트 석회암 산지가 다수를 차지하며, 포 강이 산지를 분단한다. 요새성의 석회암 융기가 차지하는 시의 중심에는 오래된 채석장이 몇 군데 남아 있다. 해발 800m의 사라잔 동굴과 루 동굴은 성역을 내려다보는 산지 안에 있으며, 빙하의 영향을 받은 카르스트의 형태가 보인다.[25]
3. 2. 기후
루르드는 대서양과 가깝기 때문에 해양성 기후(쾨펜 기후 구분에서 ''Cfb'')를 띤다. 일년 중 대부분 온화하며 여름에는 강수량이 적고 겨울에는 강수량이 꽤 많은 편이다. 연간 강수량은 약 120일의 강우일과 평균 1000mm 이상이다. 여름은 따뜻하고, 가을과 봄은 온화하며, 겨울은 춥다. 피레네 산맥과 가깝기 때문에 루르드는 다른 피레네 산기슭 지역과 마찬가지로 겨울철에 가끔씩 발생하는 한파의 영향을 받을 수 있다. 1985년 1월에는 -17°C, 2003년 8월에는 39°C가 기록되었다. 루르드의 기준 기상 관측소는 타르브-루르드-피레네 공항 지역의 타르브-오순-루르드로, 도시에서 약 9km 떨어져 있으며 해발 360m에 위치해 있다.[12]타르브 기상 관측소 (1982–2013)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연간 |
---|---|---|---|---|---|---|---|---|---|---|---|---|---|
최저 평균 기온(°C) | 1.0 | 1.5 | 3.6 | 5.7 | 9.6 | 12.9 | 15.0 | 15.0 | 12.0 | 8.7 | 4.4 | 1.8 | 7.7 |
평균 기온(°C) | 5.7 | 6.4 | 8.9 | 10.8 | 14.6 | 17.9 | 20.1 | 20.2 | 17.5 | 14.0 | 9.1 | 6.5 | 12.7 |
최고 평균 기온(°C) | 10.3 | 11.2 | 14.2 | 15.9 | 19.6 | 22.8 | 25.2 | 25.3 | 22.9 | 19.2 | 13.7 | 11.1 | 17.7 |
서리 일수 | 10.88 | 9.69 | 4.78 | 1.06 | 0 | 0 | 0 | 0 | 0 | 0.31 | 4.1 | 9.74 | 40.34 |
강수량 (mm) | 95.3 | 83.0 | 85.3 | 110.7 | 114.2 | 78.4 | 57.7 | 66.0 | 72.3 | 84.3 | 103.5 | 92.0 | 1041.8 |
강우 일수 | 10.59 | 9.5 | 10.16 | 12.53 | 12.91 | 9.75 | 7.19 | 8.47 | 8.53 | 10.28 | 10.16 | 10.29 | 120.35 |
4. 성모 발현과 순례
1858년 베르나데트 수비루에게 성모 마리아가 루르드에서 18차례 발현한 이후, 루르드는 주요 로마 가톨릭 순례지이자 기적적인 치유의 장소가 되었다. 첫 발현 150주년 희년인 2008년 2월 11일에는 약 4만 5천 명의 순례자가 참석한 야외 미사가 거행되었다.
2020년 루르드의 인구는 약 1만 5천 명이었고, 2011년에는 프랑스에서 파리 다음으로 제곱킬로미터당 두 번째로 많은 호텔(약 270개)을 보유했다.[14] 2012년에는 71만 5천 명, 2016년에는 57만 명의 순례자가 루르드의 성모 관련 행사에 참석했다.[13]
성모 발현 당시, 마사비엘 동굴은 마을 사람들이 가축을 방목하거나 장작을 수집하는 데 사용했던 공유지였으며, 불쾌한 장소라는 평판을 가지고 있었다.[19] 그러나 베르나데트에게 발현한 성모는 "원죄 없이 잉태되신 분"이라고 자신을 밝혔고, 이는 교황 비오 9세가 1854년에 정의한 교리와 일치했다. 성모는 베르나데트에게 땅을 파서 샘물을 마시라고 지시했고, 이후 이 샘물로 인한 기적적인 치유가 보고되기 시작했다.
성역 사업은 발현과 같은 해에 시작되었다. 처음 지어진 예배당은 무염시태 대성당으로 대체되었고, 더 많은 순례자를 수용하기 위해 노트르담 뒤 로제르 대성당이 건설되었다.[55] 1950년대에는 교황비오 10세에게 헌정된 거대한 지하 성당이 건설되었다. 19세기 말, 루르드에는 새로운 교구 교회로 사크레 쾨르 교회가 지어졌다. 성 베드로에게 헌정된 오래된 교구 교회는 1904년에 황폐해졌고, 가구는 성으로 옮겨졌다.[58]
교황 요한 바오로 2세는 1983년과 2004년 두 차례 루르드를 순례했고, 2008년 9월에는 교황 베네딕토 16세가 성역을 방문했다. 현재 루르드는 파티마, 로마, 쳉스토호바, 과달루페와 마찬가지로 세계적인 가톨릭 순례지 중 하나이다.
4. 1. 성모 발현
1858년, 성모 마리아는 베르나데트 수비루(옥시탄어로는 마리아 베르나다 소비로스)에게 루르드(현지 옥시탄어로는 로르다)에서 총 18차례 나타났다고 한다. 루르드는 주요 로마 가톨릭 순례지이자 기적적인 치유의 장소가 되었다.
1858년 2월 11일 저녁, 베르나데트 수비루는 언니 및 친구와 땔감을 가지러 갔을 때, 마사비엘 동굴에서 형언할 수 없이 아름다운 여인이 자신에게 나타났다고 보고했다. 그 여인은 베르나데트가 이름을 묻자 처음에는 알려주지 않았지만, 동굴로 다시 돌아오라고 말했다. 이후 방문에서 여인은 자신이 "원죄 없이 잉태되신 분"이라고 밝혔다. 이는 4년 전인 1854년 교황 비오 9세가 정의한 교리인 원죄 없이 잉태되심 교리에 대한 언급으로, 성모 마리아 자신이 원죄의 결과로부터 자유롭게 잉태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베르나데트는 가톨릭 신앙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만 있었기에 이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이해하지 못했지만, 본당 사제인 페이르말 신부에게 보고했다. 페이르말 신부는 처음에는 베르나데트의 주장에 회의적이었지만, 어린 소녀가 그 교리에 대해 전혀 알지 못한다는 것을 알고 확신을 갖게 되었다.[16]
여인은 베르나데트에게 특정 장소의 땅을 파고 거기에서 솟아오르는 작은 샘물을 마시라고 말했다. 거의 즉시 물로 인한 치유가 보고되었다. 오늘날 수천 갤런의 물이 샘에서 솟아나며, 순례자들은 그 물로 목욕할 수 있다. 신경 장애와 암 치유, 마비, 심지어 실명에 이르기까지 수많은 기적적인 치유가 그곳에서 기록되었다. 발현 동안 베르나데트 수비루는 로사리오 기도를 드렸다. 교황 요한 바오로 2세는 "성모 마리아의 로사리오는 숭고함의 열매를 맺도록 운명 지어진, 매우 중요한 기도이다."라고 썼다.[15]
성모 마리아가 성 베르나데트에게 한 말씀은 다음과 같다:[16]
- 1858년 2월 18일 (재의 수요일): 제 이름을 [적을] 필요는 없습니다. 15일 동안 여기로 와주시겠습니까? 이 세상에서 당신을 행복하게 해 주겠다고 약속하지는 않지만, 다음 세상에서는 그렇게 해 드리겠습니다.
- 1858년 2월 21일: (슬픈 어조로) 죄인들을 위해 기도하십시오.
- 1858년 2월 24일: 고행! 고행! 고행! 죄인들을 위해 하느님께 기도하십시오.
- 1858년 2월 25일: 가서 샘물을 마시고 거기서 씻으십시오. 거기에 있는 풀을 먹으십시오.
- 1858년 2월 27일: 고행! 고행! 고행! 죄인들을 위해 하느님께 기도하십시오. 가서 죄인들의 회개를 위해 땅에 입을 맞추십시오. 가서 사제들에게 이곳에 경당을 지으라고 전하십시오.
- 1858년 2월 28일: 고행! 고행! 고행! 죄인들을 위해 하느님께 기도하십시오. 가서 죄인들의 회개를 위해 땅에 입을 맞추십시오.
- 1858년 3월 2일: 가서 사제들에게 이곳에 사람들을 데려와 행렬을 하고 경당을 지으라고 전하십시오.
- 1858년 3월 25일: 나는 잉태되지 않은 자이다.
1858년, 베르나데트 수비루는 출생지인 도시 서쪽 포 강가, 마사비엘 동굴에서 '흰 귀부인'이 여러 번 나타났다고 말했다[51]. 열광한 인근 주민들이 모여 동굴 앞에서 기도하기 시작했고, 예배당 형태를 갖추게 되었지만, '성모'는 베르나데트에게만 보였다[52]。 신앙심 깊은 신자들의 유입으로, 시장 앙셀름 라카데는 나무 울타리로 일시적으로 동굴 통행을 금지했다. 1858년 10월 초, 대중의 압력과 황후 외제니의 중재로 울타리는 제거되었다. 1862년, 성모 발현은 타르브 주교 로랑스에 의해 공식적으로 인정되었다[53]。
4. 2. 루르드 샘물과 기적
베르나데트 수비루는 1858년 마사비엘 동굴에서 "원죄 없이 잉태되신 분"이라고 밝힌 성모 마리아의 발현을 목격했다고 보고했다. 성모 마리아는 베르나데트에게 특정 장소의 땅을 파고 거기에서 솟아나는 샘물을 마시라고 했고, 이후 물로 인한 치유가 보고되기 시작했다.[15]샘에서 솟아나는 물은 오늘날까지 수천 갤런이 솟아나 순례자들이 목욕할 수 있으며, 신경 장애, 암, 마비, 실명 등 수많은 기적적인 치유가 기록되었다.[15] 1858년 이후 7,000건 이상의 치유가 보고되었지만, 그 중 69건만이 교회에 의해 공식적으로 기적으로 인정되었다.[54] 발현 동안 베르나데트 수비루는 로사리오 기도를 드렸으며, 교황 요한 바오로 2세는 "성모 마리아의 로사리오는 숭고함의 열매를 맺도록 운명 지어진, 매우 중요한 기도이다."라고 언급했다.[15]
4. 3. 주요 순례지
매년 3월부터 10월까지 루르드의 성모 마리아 대성당은 유럽 및 세계 각지에서 대규모 순례가 이루어지는 곳이다. 동굴에서 솟아나는 샘물은 일부 가톨릭 신자들이 치유력을 가지고 있다고 믿는다.[17] 1860년 이후 약 2억 명이 이 성지를 방문했으며, 로마 가톨릭 교회는 기적으로 여겨지는 69건의 치유를 공식적으로 인정했다.[18]
전 세계에서 성역을 방문하기 위한 투어가 조직된다. 이 순례와 관련하여 종종 동굴에서 솟아나는 루르드 샘물을 마시거나 목욕하는 행위가 이루어진다.
1858년, 베르나데트 수비루는 마사비엘 동굴에서 '흰 귀부인'이 여러 번 나타났다고 말했다.[51] 1862년, 성모 발현은 타르브 주교 로랑스에 의해 공식적으로 인정되었다.[53] 성역 내 사실 인정국은 기록을 담당하며, 1858년 이후 7,000건 이상의 치유가 보고되었지만, 그 중 69건이 교회에 의해 공식적으로 기적으로 인정되었다.[54]
처음 지어진 예배당은 무염시태 대성당으로 대체되었고, 그 아래에는 더 많은 순례자를 수용하기 위해 노트르담 뒤 로제르 대성당이 건설되었다.[55] 1950년대에는 교황비오 10세에게 헌정된 거대한 지하 성당이 건설되었다. 현재의 루르드는 파티마, 로마, 쳉스토호바, 과달루페와 마찬가지로 세계적인 가톨릭 순례지 중 하나이다. 요한 바오로 2세는 1983년과 2004년 두 차례 순례를 방문했고, 2008년 9월, 교황 베네딕토 16세는 성역을 방문했다.
5. 문화 및 예술
루르드는 문학과 영화 등 다양한 예술 작품에 영감을 주었다. 에밀 졸라는 1884년 소설 『루르드』에서 마리 드 게르생의 믿음과 치유를 다루었으며,[1] 프란츠 베르펠의 1941년 소설을 원작으로 한 1943년 영화 『성녀 베르나데트의 노래』는 루르드에서 일어난 사건을 다루며 아카데미상 4개 부문을 수상했다.[1] 1960년 앤디 윌리엄스는 "성 베르나데트 마을"을 수록한 앨범을 발매했고,[1] 1963년 영화 『창백한 말』에는 루르드 장면이 중요하게 등장한다.[1] 어빙 월리스의 1984년 책 『기적』은 성녀 베르나데트 이야기를 바탕으로 한 추리 소설이며,[1] 2007년 영화 『잠수종과 나비』에는 루르드 여행 회상 장면이 나온다.[1] 2019년 다큐멘터리 영화 『루르드』는 루르드 순례자들의 모습을 담았고,[1] 2023년 영화 『기적 클럽』은 더블린에서 루르드로의 순례를 다룬다.[1]
5. 1. 문학
- 1884년 에밀 졸라(1840–1902)는 소설 《루르드》를 썼는데, 이 작품은 특히 마리 드 게르생의 믿음과 치유를 다루고 있다.[1]
- 1943년 영화 《성녀 베르나데트의 노래》는 프란츠 베르펠의 1941년 소설 《성녀 베르나데트의 노래》를 바탕으로 제작되었으며, 루르드에서 일어난 사건들을 다루고 있고, 1944년 아카데미상 4개 부문을 수상했다.[1] 프로듀서 윌리엄 펄버그는 골프 코스를 이용하여 마을과 주변 시골 지역의 모습을 세심하게 재현했다.[1]
- 1960년, 앤디 윌리엄스는 1959년 노래 "성 베르나데트 마을"을 수록한 앨범 《성 베르나데트 마을》을 발매했다.[1]
- 프레드 진네만 감독, 그레고리 펙, 안소니 퀸, 오마 샤리프가 출연한 1963년 영화 《창백한 말》에는 루르드에서 일어나는 장면이 플롯의 핵심으로 등장한다.[1] 이 장면은 현지에서 촬영되었으며 바실리카를 방문하는 실제 순례자들의 모습이 담겨 있다.[1]
- 어빙 월리스의 1984년 책 《기적》은 성녀 베르나데트의 이야기를 바탕으로 한 추리 소설이다.[1]
- 2007년 영화 《잠수종과 나비》에는 장도미니크 보비가 여자친구와 함께 루르드로 여행을 가서 마을 거리를 걷는 회상 장면이 등장한다.[1]
- 2019년 세자르 영화제 후보에 오른 다큐멘터리 영화 《루르드》는 티에리 드메지에르와 알반 테를레가 감독했으며, 루르드 현장에서 고군분투하며 여정을 떠나는 다양한 개인과 가족의 모습을 담은 친밀한 초상화를 제공한다.[1]
- 2023년 영화 《기적 클럽》은 더블린에서 루르드로의 순례에 관한 내용이다.[1]
5. 2. 영화
- 에밀 졸라(1840–1902)는 1884년 소설 《루르드》를 썼는데, 이 작품은 특히 마리 드 게르생의 믿음과 치유를 다루고 있다.[1]
- 1943년 영화 《성녀 베르나데트의 노래》는 프란츠 베르펠의 1941년 소설을 바탕으로 제작되었으며, 루르드에서 일어난 사건들을 다루고 있으며, 1944년 아카데미상 4개 부문을 수상했다. 프로듀서 윌리엄 펄버그는 골프 코스를 이용하여 마을과 주변 시골 지역의 모습을 세심하게 재현했다.[2]
- 1960년, 앤디 윌리엄스는 1959년 노래 "성 베르나데트 마을"을 수록한 앨범 《성 베르나데트 마을》을 발매했다.[3]
- 프레드 진네만 감독, 그레고리 펙, 앤서니 퀸, 오마 샤리프가 출연한 1963년 영화 《창백한 말》에는 루르드에서 일어나는 장면이 플롯의 핵심으로 등장한다. 이 장면은 현지에서 촬영되었으며 바실리카를 방문하는 실제 순례자들의 모습이 담겨 있다.[4]
- 어빙 월리스의 1984년 책 《기적》은 성녀 베르나데트의 이야기를 바탕으로 한 추리 소설이다.[5]
- 2007년 영화 《잠수종과 나비》에는 장도미니크 보비가 여자친구와 함께 루르드로 여행을 가서 마을 거리를 걷는 회상 장면이 등장한다.[6]
- 2019년 세자르 영화제 후보에 오른 다큐멘터리 영화 《루르드》는 티에리 드메지에르와 알반 테를레가 감독했으며, 루르드 현장에서 고군분투하며 여정을 떠나는 다양한 개인과 가족의 모습을 담은 친밀한 초상화를 제공한다.[7]
- 2023년 영화 《기적 클럽》은 더블린에서 루르드로의 순례에 관한 내용이다.[8]
6. 교통
루르드는 시내 중심에서 10km 떨어진 타르브-루르드-피레네 공항의 서비스를 받는다.[1] 많은 방문객들은 포 피레네 공항으로 비행기를 타기도 한다.[1] 루르드역은 SNCF 및 TGV 열차, 파리에서 출발하는 4시간 30분 소요의 고속 TGV 서비스를 포함하여 운행된다.[1] 많은 순례자들은 프랑스와 스페인에서 오는 버스 서비스를 통해 도착하기도 한다.[1]
7. 스포츠
루르드는 성지로 가장 유명하지만, 1948년부터 1968년까지 8번의 전국 선수권 대회를 우승하며 20세기 중반 프랑스에서 가장 성공적인 팀 중 하나였던 FC 루르드(FC Lourdes)라는 럭비 유니언 팀으로도 유명하다. 이 팀의 가장 유명한 선수는 51번이나 국가대표로 활약한 장 프라트(Jean Prat)였다.
또한 이 도시에는 아마추어 축구팀도 있다.
2015년부터 이 지역의 산악 자전거 코스에서는 매 시즌마다 국제 사이클 연맹(UCI) 다운힐 산악 자전거 월드컵 경기가 열리고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Répertoire national des élus: les maires
https://www.data.gou[...]
2020-12-02
[2]
백과사전
Lourdes
http://www.lexico.co[...]
Oxford University Press
[3]
사전
Lourdes
American Heritage Dictionary
2019-07-22
[4]
사전
Lourdes
Merriam-Webster
2019-07-22
[5]
웹사이트
INSEE commune file
https://www.insee.fr[...]
INSEE
2024-09-26
[6]
서적
The Challenge of Bernadette
Gracewing Publishing
2006
[7]
웹사이트
Saint Bernadette's First Vision at Lourdes
https://www.historyt[...]
2008-02-02
[8]
서적
Bernadette vous parle
https://archive.org/[...]
Médiaspaul
1999-04-15
[9]
학술지
Peace, Politics, and Piety: Catholic Pilgrimage in Wartime Europe, 1939–1945
2022-01-02
[10]
뉴스
Pope approves Lourdes indulgences
http://news.bbc.co.u[...]
2007-12-06
[11]
서적
Lourdes: Body and Spirit in the Secular Age
Penguin Books
1999
[12]
웹사이트
Fiche Climatologique Statistiques 1981-2010 et records
https://donneespubli[...]
Météo-France
[13]
웹사이트
Number of pilgrims in Lourdes each year
https://www.statista[...]
Statistica.com
[14]
웹사이트
Lourdes - The Skeptic's Dictionary
http://www.skepdic.c[...]
Skepdic.com
[15]
웹사이트
Rosarium Virginis Mariae on the Most Holy Rosary (October 16, 2002) - John Paul II
https://w2.vatican.v[...]
[16]
웹사이트
Miracle Hunter: Messages of Lourdes
https://www.miracleh[...]
[17]
웹사이트
The Basilica of Lourdes, France
http://www.sacredsit[...]
Sacredsites.com
[18]
웹사이트
Lourdes France, le site officiel des Sanctuaires vous accueille
http://www.lourdes-f[...]
Lourdes-france.org
2003-10-21
[19]
서적
Lourdes: Body and Spirit in the Secular Age
Penguin Books
1999
[20]
뉴스
Travelogue: a flight to the Ukrainian Catholic Church in Lourdes
http://www.ukrweekly[...]
2006-05-07
[21]
웹사이트
Population en historique depuis 1968
https://www.insee.fr[...]
INSEE
[22]
웹사이트
Association of Towns awarded The Europe Prize
http://www.czestocho[...]
www.czestochowa.um.gov.pl
[23]
문서
secrétariat général des sanctuaires
http://www.lourdes-i[...]
[24]
문서
http://www.lourdes-i[...]
[25]
문서
Quelques morphologies de rapport karst/glaciaire dans les Pyrénées (France)
http://www.biol.uni.[...]
[26]
서적
Histoire générale de Languedoc: avec des notes et les pièces ...,
1841
[27]
아카이브
Ms. Cartulaire de Bigorre
[28]
아카이브
Ms. Cartulaire de Bigorre
[29]
서적
Recueil des historiens des Gaules et de la France
1833
[30]
아카이브
Ms. Cartulaire de Bigorre
[31]
서적
Le couvent de Tarascon
1894
[32]
지도
Plan de Cassini
1757
[33]
서적
Guide de Lourdes et de la grotte
1892
[34]
서적
Lourdes de la Préhistoire à nos jours
Musée Pyrénéen et Ville de Lourdes
1987
[35]
서적
Les Hautes-Pyrénées (Carte archéologique de la Gaule)
Fondation Maison des Sciences de l'Homme
1997
[36]
웹사이트
http://www.musee-arc[...]
[37]
서적
Les Hautes-Pyrénées (Carte archéologique de la Gaule)
Fondation Maison des Sciences de l'Homme
1997
[38]
서적
Lourdes de la Préhistoire à nos jours
musée Pyrénéen
1987
[39]
서적
Lourdes de la Préhistoire à nos jours
musée Pyrénéen
1987
[40]
서적
Lourdes de la Préhistoire à nos jours
musée Pyrénéen
1987
[41]
서적
Lourdes de la Préhistoire à nos jours
musée Pyrénéen
1987
[42]
서적
Pyrénées Romanes
éd. Zodiaque
1978
[43]
서적
Lourdes de la Préhistoire à nos jours
musée Pyrénéen
1987
[44]
서적
Lourdes de la Préhistoire à nos jours
musée Pyrénéen
1987
[45]
서적
Lourdes de la Préhistoire à nos jours
musée Pyrénéen
1987
[46]
서적
Lourdes de la Préhistoire à nos jours
musée Pyrénéen
1987
[47]
서적
Lourdes de la Préhistoire à nos jours
musée Pyrénéen
1987
[48]
서적
Lourdes de la Préhistoire à nos jours
musée Pyrénéen
1987
[49]
서적
Lourdes de la Préhistoire à nos jours
musée Pyrénéen
1987
[50]
서적
Lourdes de la Préhistoire à nos jours
musée Pyrénéen
1987
[51]
서적
Lourdes de la Préhistoire à nos jours
musée Pyrénéen
1987
[52]
서적
Lourdes de la Préhistoire à nos jours
musée Pyrénéen
1987
[53]
서적
Lourdes de la Préhistoire à nos jours
musée Pyrénéen
1987
[54]
웹사이트
http://fr.lourdes-fr[...]
[55]
서적
Lourdes de la Préhistoire à nos jours
Musée Pyrénéen
1987
[56]
서적
Lourdes de la Préhistoire à nos jours
Musée Pyrénéen
1987
[57]
서적
Lourdes de la Préhistoire à nos jours
musée Pyrénéen
1987
[58]
서적
Lourdes de la Préhistoire à nos jours
musée Pyrénéen
1987
[59]
웹사이트
http://cassini.ehess[...]
[60]
웹사이트
https://www.insee.fr[...]
[61]
웹사이트
http://www.insee.f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