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자유민주연맹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세계자유민주연맹(WLFD)은 1954년 한국, 중화민국, 필리핀의 주도로 창설된 아시아민족반공연맹(APACL)에서 시작하여, 세계반공연맹(WACL)을 거쳐 1990년 명칭이 변경된 국제 기구이다. 냉전 시기 반공주의를 내세우며 각국의 자유민주주의 단체를 지원했으나, 네오나치, 전범, 암살 연루 등 논란에 휩싸이기도 했다. 1990년 소련 해체 이후 세계자유민주연맹으로 명칭을 변경하고, 매년 총회를 개최하며 자유민주주의 가치 확산을 위한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만의 공휴일 - 중화민국 국경일
중화민국 국경일은 중화민국 건국을 기념하는 쌍십절로, 타이완에서 국기 게양식과 축하 행사, 군사 퍼레이드가 열리며 해외 화교 사회에서도 기념되고 중국 본토에서는 신해혁명 기념일로 기념된다. - 대만의 공휴일 - 중화민국의 공휴일
중화민국의 공휴일은 정부 지정 법정 공휴일(신년, 2·28 평화기념일, 어린이날, 국경일, 음력 명절 등)과 비공식 기념일로 나뉘며, 과거에는 공휴일이었던 일부 기념일들이 현재는 기념일로 변경되었고, 소수 민족의 명절도 기념된다. - 반공주의 단체 - 우즈베키스탄 이슬람 운동
우즈베키스탄 이슬람 운동은 1998년 결성된 무장 이슬람 반대 단체로, 우즈베키스탄 정권 타도와 이슬람 국가 수립을 목표로 활동하다가 여러 파벌로 분열되어 각국으로부터 테러 단체로 지정되었다. - 반공주의 단체 - 북대서양 조약 기구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유럽의 안보를 위해 결성된 군사 동맹으로, 회원국에 대한 무력 공격을 전체에 대한 공격으로 간주하며, 냉전 시기 소련의 위협에 대응하고 동유럽으로 확장하여 영향력을 넓혀왔다. - 통일교 - 문선명
문선명은 통일교를 창설하고 원리강론을 통해 사상을 체계화했으며 국제 합동 축복 결혼식을 주재했으나, 메시아 주장과 교리로 비판받았고 다양한 논란에 휩싸인 인물이다. - 통일교 - 세계일보 (일본)
세계일보(일본)는 1975년 통일교와 국제승공연합의 자금으로 창간되어 친미·보수·반공 노선을 고수하며 극우 성향으로 평가받기도 하는 일본의 일간 신문으로, 현재 한국의 세계일보 등과 제휴하고 다양한 매체를 발행하고 있다.
세계자유민주연맹 | |
---|---|
지도 | |
기본 정보 | |
이름 | 세계자유민주연맹 |
약칭 | WLFD |
이전 명칭 | 세계반공연맹 |
설립 | 1966년 |
설립 장소 | 타이베이, 타이완 |
본부 | 타이베이, 타이완 |
사무총장 | 거융광 (葛永光) |
회장 | 饒穎奇 |
예산 | 2200만 신 타이완 달러 |
웹사이트 | wlfdroc.org.tw |
목적 | |
목표 | 반공주의 |
조직 구조 | |
전신 | 아시아민족반공연맹 |
기타 | |
관련 단체 | 반볼셰비키 국가연합 |
2. 역사
세계자유민주연맹(WLFD)은 1954년 6월 15일 대한민국 진해에서 창설된 아시아반공연맹(APACL)에 뿌리를 두고 있다.[3] 이승만 대한민국 대통령, 장제스 중화민국 총통, 엘피디오 키리노 필리핀 대통령이 주도하여 창립 총회를 열었으며, 베트남 공화국, 태국, 오키나와, 일본, 홍콩, 마카오 등도 대표단을 파견했다. APACL은 아시아 지역의 반공주의 운동을 지지하고 옹호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1966년 서울특별시에서 열린 제12차 총회에서 APACL은 세계반공연맹(WACL)으로 확대 개편되었다. 1967년 4월 1일 발효된 WACL 헌장은 6개 지역 조직(아시아, 중동, 아프리카, 유럽, 북아메리카, 라틴 아메리카) 설립을 명시했다.
소련 해체와 냉전 종식 후, 1990년 7월 벨기에 브뤼셀에서 열린 제22차 총회에서 WACL은 세계자유민주연맹(WLFD)으로 명칭을 변경했다. 1991년 8월 코스타리카 산호세에서 열린 제23차 총회에서는 연맹 회장직을 신설하고, 초대 회장으로 초자치를 선출했다.
세계 자유의 날(c=一二三自由日|p=Shìjièzìyóurì중국어)은 대한민국과 대만에서 1월 23일에 기념하는 기념일이다.[2] 이 날은 한국 전쟁의 옛 공산주의 전쟁 포로 약 2만 2천 명이 대만으로 돌아온 것을 기념하는 날이다. 그중 1만 4천 명의 중국군이 1954년 1월 23일 기륭항에 도착하여 "반공 영웅"이라는 칭호를 받았다. 이후 중화민국 정부는 이 군인들을 기리기 위해 1월 23일을 세계 자유의 날로 선포하고 전 세계 공산주의 확장에 맞서 싸우기 위해 "반공 연맹"(이후 세계 자유 민주 연맹으로 개칭)을 설립했다.
WACL은 설립 초기부터 여러 논란에 휩싸였다. 1978년, 영국의 반공주의 활동가 제프리 스튜어트-스미스(Geoffrey Stewart-Smith)는 WACL이 "나치, 파시스트, 반유대주의자, 위조품 판매자, 극악한 인종차별주의자, 그리고 부패한 자기 이익 추구자들의 집합체"라고 비판했다.[9] 1980년대에는 신나치, 전쟁범죄자, 사살대 관련 인물들이 조직 내에 존재한다는 비판을 받았다.[19]
2. 1. 아시아민족반공연맹(APACL) 창설 (1954년)
1954년 6월 15일 대한민국 진해에서 이승만 대통령의 제안으로 '''아시아민족반공연맹'''(Asian People's Anti-Communist League, APACL) 창립 총회가 개최되었다.[34] 이승만 대한민국 대통령, 장제스 중화민국 총통, 엘피디오 키리노 필리핀 대통령이 주도했으며,[3] 대한민국, 중화민국, 필리핀 외에도 베트남 공화국, 태국, 오키나와, 일본, 홍콩, 마카오 등이 대표단을 파견했다. APACL은 아시아 지역의 반공주의 운동을 지지하고 옹호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2. 2. 세계반공연맹(WACL)으로 확대 (1966년)
1966년 11월 3일부터 11월 8일까지 서울에서 아시아민족반공연맹(APACL) 제12차 총회가 개최되었다.[34] 이 총회에서 한국은 세계반공연맹 헌장을 제안했고, 본회의에서 채택되었다. 이에 따라 APACL은 발전적으로 해체되고, '''세계반공연맹'''(World Anti-Communist League, WACL)으로 확대 개편하기로 결정되었다.[35] 또한, 중화민국 지부가 첫 총회를 조직할 책임을 맡기로 결의했다.8개 장과 32개 조항으로 구성된 세계반공연맹(WACL) 헌장은 1967년 4월 1일 발효되었다. 헌장은 WACL이 6개 지역에 지역 조직을 즉시 설립해야 한다고 명시했다. 6개 지역 조직은 다음과 같다.
지역 | 조직명(현재 명칭) |
---|---|
아시아 | 아시아태평양자유민주연맹 |
중동 | 중동연대협의회 |
아프리카 | 아프리카자유민주기구 |
유럽 | 세계자유를 위한 유럽평의회 |
북아메리카 | 북아메리카자유민주연맹 |
라틴 아메리카 | 라틴아메리카민주기구연맹 |
설립 당시 핵심 멤버는 대만의 장제스, 대한민국의 박정희, 일본의 사사카와 료이치, 고다마 요시오, 그리고 통일교의 문선명 등 5명이었다.[35]
2. 3. 세계자유민주연맹(WLFD)으로 개칭 (1990년)
소련 해체와 냉전 종식 이후, 세계반공연맹(WACL)은 전 세계적인 정치 변화에 적응하고 더 많은 사람들의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1990년 7월 23일 벨기에 브뤼셀에서 제22차 총회를 개최하였다. 이 총회에서 대표들은 조직의 명칭을 "'''세계자유민주연맹'''"(WLFD)으로 변경하기로 결정하였고,[49] 이 결정은 1991년 1월 1일부터 효력을 발생하였다.1991년 8월 21일, WLFD는 코스타리카 산호세에서 제23차 총회를 개최하였다. 이 회의에는 라파엘 앙헬 칼데론 후르니에르(Rafael Ángel Calderón Fournier) 코스타리카 대통령과 중남미 6개국 부통령들이 연설을 하였다. 총회에서는 WLFD의 중심 역할을 강조하고 WLFD 활동을 조직하는 책임을 맡을 새로운 직책인 연맹 회장직을 신설하는 결의안이 통과되었다. 초대 WLFD 회장으로는 WLFD 중화민국 지부 회장인 초자치(Chao Tze-chi)가 선출되었으며, 1995년 재선되었다. 대한민국의 우채성(U Chae-sung)은 사무총장으로 임명되었다.
대만과 대한민국은 WLFD를 지속적으로 지원하고 있으며, 2013년 세계 자유의 날(1월 23일) 기념식에는 60개의 국가와 지역에서 400명이 참석하였고, WLFD 연차 총회도 함께 개최되었다.[49]
역대 지도자는 종신 명예의장이었던 구정강을 비롯하여 중국국민당 관계자가 역임해왔으며,[50] 국민당의 정권 복귀로 중화민국 총통이 된 마잉주는 2009년[51], 2011년[52], 2013년[53], 2016년[54] 세계 자유의 날 기념식에 참석했다.
2. 4. 한국과 세계자유민주연맹
1954년 6월 15일부터 18일까지, 대한민국 대통령 이승만의 제안에 따라, 대한민국 진해의 해군기지에서 '''아시아인민반공연맹'''(Asian People's Anti-Communist League, APACL) 제1회 대회가 개최되었다.[34] APACL은 나중에 '''아시아태평양반공연맹'''(Asian Pacific Anti-Communist League)으로 명칭을 변경했다.1961년 5월 16일, 박정희, 김종필 등에 의해 군사 쿠데타가 발생하고 박정희가 권력을 장악했다. 같은 해 6월 10일에는 대한민국 중앙정보부(KCIA)가 설립되었다.[37] 박정희 정권은 9월 30일 재건국민운동법을 개정하여 “승공(勝共)”이라는 단어를 만들었으며, KCIA의 보호 아래 문선명을 교주로 하는 통일교회(현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가 반공 운동에 적극 참여했다.
1966년 11월 3일부터 8일까지 서울에서 APACL(아시아자유연맹) 제12차 총회가 개최되었다. 한국은 세계반공연맹 헌장을 제안했고, 본회의에서 채택되었다. 이에 따라 APACL을 개편, 확대하여 '''세계반공연맹'''(World Anti-Communist League, WACL)을 설립하기로 결정되었으며, 중화민국이 제1차 총회 개최를 맡았다. WACL 설립에는 야로슬라프 스테츠코(Ярослав Стецько)가 큰 역할을 담당했다.[35] 설립 당시 핵심 멤버는 중화민국의 장제스, 한국의 박정희, 사사카와 료이치, 고다마 요시오, 그리고 문선명 등 5명이었다.
3. 주요 활동 및 논란
세계반공연맹(WACL)은 극우 인사, 나치 부역자, 독재 정권 관계자, 심지어 테러리스트까지 참여하면서 많은 비판을 받았다.[32] 1978년 WACL의 세계 회장이 된 로저 피어슨은 신나치와 연관이 있다는 워싱턴 포스트의 보도로 인해 회장직에서 물러나야 했다.[16][17][18] 미국의 존 매케인 상원의원도 1980년대 초 연맹의 미국 지부 이사회에 참여했으나, 이후 연맹과의 관계를 단절했다.[29][30][31]
1978년, WACL에서 영국 지부를 이끌고 탈퇴한 영국의 반공주의 활동가 제프리 스튜어트-스미스(Geoffrey Stewart-Smith)는 "세계 반공주의 연맹은 대부분 나치, 파시스트, 반유대주의자, 위조품 판매자, 극악한 인종차별주의자, 그리고 부패한 자기 이익 추구자들의 집합체이며, 반유대주의적인 국제기구로 진화했다"라고 비판했다.[9]
WACL은 이란-콘트라 사건과 관련하여 니카라과 게릴라를 지원하는 등, 중앙아메리카 및 아프가니스탄 반군에게 무기를 공급했다는 의혹을 받았다.[23][24] 이 기간 동안 WACL은 신나치, 전쟁범죄자, 사살대와 관련된 사람들이 조직 내에 존재한다는 비판을 받았다.[19] 문선명 목사의 통일교를 포함한 많은 단체들이 WACL의 연례 회의에 참여했다.
1980년대 WACL의 미국 지부인 미국 세계 자유 평의회(USCWF)는 존 K. 싱글로브(John K. Singlaub) 소장에 의해 설립되었다.[27] 그는 지미 카터 대통령의 한반도 주둔군 감축 결정에 공개적으로 반대하여 해임된 인물이다. 싱글로브는 이란-콘트라 사건에서 니카라과 게릴라를 지원하여 논란이 되었다.[27] 1981년, USCWF는 미국 반부정연맹(ADL)의 감시 대상이 되었고, ADL은 이 단체가 "극단주의자, 인종차별주의자, 반유대주의자들의 접촉 지점"이 되고 있다고 비판했다.[19][20] 이후 USCWF와 WACL은 이러한 요소들을 숙청하고 ADL 관찰자들을 초청하여 회의를 감시했다.[21] 1985년, ADL은 "1981년 이후 단체에서 인종차별주의자와 반유대주의자들을 제거하기 위해 상당한 진전이 있었다"고 발표했다.[22]
3. 1. 주요 활동
세계반공연맹은 1966년 11월 서울에서 개최된 제12차 아시아민족반공연맹(APACL) 총회 결의에 따라 발전적으로 해체되어 1967년 4월 1일 세계자유민주연맹으로 정식 발족하였다.[2] 1990년 벨기에 브뤼셀에서 열린 제22차 총회에서 조직의 명칭을 "세계자유민주연맹"(WLFD)으로 변경하였다.[2]주요 활동은 다음과 같다.
- 매년 총회를 개최하여 회원국 간의 협력을 증진하고 자유민주주의 가치 확산을 위한 활동을 전개한다.
- 한국 전쟁의 결과로 중화민국으로 돌아온 약 2만 2천 명의 반공 포로를 기념하기 위해 세계 자유의 날(1월 23일)을 제정하고 국제적인 행사를 개최한다.[2]
- 1971년 7월 마닐라에서 제5차 총회를 개최하여 북한의 게릴라 전법을 규탄하고, 닉슨의 중국 방문을 강력히 반대하는 성명을 발표하였다.
- 1987년 제30차 총회에서는 130개 국가와 국제기구 대표 475명이 참석하여 '자유를 통한 공동안보'를 주제로 회의를 개최했다.
- 1991년 8월 21일 코스타리카 산호세에서 제23차 총회를 개최하고 연맹 회장직을 신설하였다.
- 2006년 1월 19일 제34차 총회에서 헌장을 개정하여 연맹 회장의 권한과 책임을 명확히 하였다.
3. 2. 논란
세계반공연맹(WACL)은 극우 인사, 나치 부역자, 독재 정권 관계자, 심지어 테러리스트까지 참여하면서 많은 비판을 받았다.[32] 미국의 존 매케인 상원의원도 1980년대 초 연맹의 미국 지부 이사회에 참여했으나, 이후 연맹과의 관계를 단절했다.[29][30][31]1978년, WACL에서 영국 지부를 이끌고 탈퇴한 영국의 반공주의 활동가 제프리 스튜어트-스미스(Geoffrey Stewart-Smith)는 "세계 반공주의 연맹은 대부분 나치, 파시스트, 반유대주의자, 위조품 판매자, 극악한 인종차별주의자, 그리고 부패한 자기 이익 추구자들의 집합체이며, 반유대주의적인 국제기구로 진화했다"라고 비판했다.[9]
WACL은 이란-콘트라 사건과 관련하여 니카라과 게릴라를 지원하는 등, 중앙아메리카 및 아프가니스탄 반군에게 무기를 공급했다는 의혹을 받았다.[23][24] 이 기간 동안 WACL은 신나치, 전쟁범죄자, 사살대와 관련된 사람들이 조직 내에 존재한다는 비판을 받았다.[19] 문선명 목사의 통일교를 포함한 많은 단체들이 WACL의 연례 회의에 참여했다.
1980년대 WACL의 미국 지부인 미국 세계 자유 평의회(USCWF)는 존 K. 싱글로브(John K. Singlaub) 소장에 의해 설립되었다.[27] 그는 지미 카터 대통령의 한반도 주둔군 감축 결정에 공개적으로 반대하여 해임된 인물이다. 싱글로브는 이란-콘트라 사건에서 니카라과 게릴라를 지원하여 논란이 되었다.[27] 1981년, USCWF는 미국 반부정연맹(ADL)의 감시 대상이 되었고, ADL은 이 단체가 "극단주의자, 인종차별주의자, 반유대주의자들의 접촉 지점"이 되고 있다고 비판했다.[19][20] 이후 USCWF와 WACL은 이러한 요소들을 숙청하고 ADL 관찰자들을 초청하여 회의를 감시했다.[21] 1985년, ADL은 "1981년 이후 단체에서 인종차별주의자와 반유대주의자들을 제거하기 위해 상당한 진전이 있었다"고 발표했다.[22]
3. 2. 1. 논란이 된 참여 인사
세계자유민주연맹에는 논란이 된 여러 인사들이 참여했다. 주요 인물들은 다음과 같다.[32]인물 | 설명 |
---|---|
사사카와 료이치 | 일본의 우익 정치인이자 사업가, 제2차 세계 대전 후 A급 전범 용의자였다. |
고다마 요시오 | 일본의 우익 운동가이자 야쿠자 두목이었다. |
문선명 | 통일교 창시자였다. |
마리오 산도발 알라르콘 | 과테말라의 극우 정치인으로, 죽음의 부대 지도자로 알려져 있다. |
조르조 알미란테 | 이탈리아의 네오파시스트 정치인이었다. |
테오도어 오버랜더 | 나치 독일 정치인이자 나치 돌격대(SA) 장교였다. |
안테 파벨리치 | 크로아티아의 파시스트 지도자로, 우스타샤 지도자였다. |
오토 스코르체니 | 나치 독일 무장친위대(SS) 장교였다.[33] |
알프레도 스트로에스너 | 파라과이의 독재자였다. |
4. 조직
세계자유민주연맹은 1967년 4월 1일 발효된 세계반공연맹(WACL) 헌장에 따라 6개의 지역 조직을 두고 있다.[3]
조직명 | 관할 지역 | 설립 배경 및 특징 |
---|---|---|
아시아태평양자유민주연맹(APLFD) | 아시아 | 1954년 한국 진해에서 필리핀, 대한민국, 중화민국의 지원을 받아 아시아반공연맹으로 설립되었다. 아시아 지역의 평화와 번영을 위한 교류를 위한 비영리 국제기구이다.[3] 1983년 피지 회의에서 현재 명칭으로 변경되었다.[4] |
중동연대협의회(MESC) | 중동 | |
아프리카자유민주기구(OALD) | 아프리카 | |
세계자유를 위한 유럽평의회(ECWF) | 유럽 | |
북아메리카자유민주연맹(NALFD) | 북아메리카 | |
라틴아메리카민주기구연맹(FEDAL) | 라틴 아메리카 |
아시아 지역 조직은 세계연맹의 임무를 추진하는 주요 세력이었다.[3]
4. 1. 회원
세계자유민주연맹 헌장에 따르면, 연맹의 목적에 동의하는 국가, 지역, 국제기구는 회원 자격을 가질 수 있다.[4] 회원은 정회원과 준회원으로 구성되며, 정회원은 투표권을 갖는다.[4] 1980년대 말부터 1990년대 초까지 공산주의 국가들이 붕괴되자, 1990년 세계자유민주연맹은 현재 명칭으로 변경되었다.[3]4. 2. 지역 조직
세계반공연맹(WACL) 헌장은 1967년 4월 1일 발효되었으며, 헌장에는 WACL이 다음과 같은 6개의 지역 조직을 즉시 설립해야 한다고 명시되어 있다.[3]5. 한국 지부
한국은 1954년 이승만 대통령의 제창으로 중화민국, 필리핀 등 8개국이 모여 설립한 아시아민족반공연맹(APACL)의 창립 회원국이다. 1966년 11월 서울에서 개최된 제12차 총회 결의에 따라 아시아민족반공연맹을 발전적으로 해체하고, 1967년 4월 1일 세계반공연맹을 정식으로 발족하는데 주도적인 역할을 하였다. 세계반공연맹은 1990년 현재 명칭인 세계자유민주연맹으로 변경되었다.[1]
세계자유민주연맹(세계반공연맹)은 공산주의를 일소하고, 정의, 자유, 평화를 수호하기 위해 세계 자유민의 단결을 도모하며, 반공 전선을 형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1] 1971년 7월 마닐라에서 열린 제5차 총회에는 42개국 200여 명의 대표가 참석하여 북한의 게릴라 전법을 규탄하고, 닉슨의 중국 방문을 강력히 반대하는 성명을 발표했다.[1] 1987년에는 130개 국가와 국제기구 대표 475명이 참석한 가운데 '자유를 통한 공동 안보'를 주제로 제30차 총회를 개최했다.[1]
참조
[1]
웹사이트
MOFA asks for league funding despite criticism – Taipei Times
http://www.taipeitim[...]
2017-09-05
[2]
뉴스
NGO celebrates World Freedom Day
http://www.taipeitim[...]
Taipei Times
2002-02-03
[3]
뉴스
DPP caucus agrees to cut WLFD, APLFD budgets
http://www.taipeitim[...]
2016-11-06
[4]
서적
Asia in the Pacific Islands: Replacing the West
[5]
뉴스
Gæst hos fascismen
http://www.danskfolk[...]
Det fri Aktuelt
1988-09-18
[6]
웹사이트
WLFD – Deutschland
http://www.facebook.[...]
[7]
웹사이트
Aftonbladet debatt: Olof Palme var ett hot mot extremhögern
http://wwwc.aftonbla[...]
[8]
웹사이트
Tobias Hübinette: En introduktion till World Anti-Communist League
http://www.tobiashub[...]
[9]
웹사이트
McCain Advised Ultra-Right Group Tied to Death Squads
https://www.huffpost[...]
2008-11-07
[10]
뉴스
The Fascist Specter Behind The World Anti-Red League
1978-05-29
[11]
서적
Washington's War on Nicaragua
https://books.google[...]
South End Press
2015-01-06
[12]
서적
Old Nazis, the New Right, and the Republican Party
https://books.google[...]
South End Press
2015-01-06
[13]
서적
The funding of scientific racism: Wickliffe Draper and the Pioneer Fund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2007
[13]
학술지
The Funding of Scientific Racism: Wickliffe Draper and the Pioneer Fund (review)
http://muse.jhu.edu/[...]
2003-07
[14]
서적
Cold Breezes and Idiot Winds: Patriotic Correctness and the Post-9/11 Assault on Academe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15-01-06
[15]
서적
'Race,' Racism, and Psychology: Towards a Reflexive History
Routledge
2012
[16]
뉴스
Academics were funded by racist American trust
1990-03-04
[17]
서적
Theorizing Myth: Narrative, Ideology, and Scholarship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9
[18]
서적
The funding of scientific racism: Wickliffe Draper and the Pioneer Fund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2007
[18]
학술지
The Funding of Scientific Racism: Wickliffe Draper and the Pioneer Fund (review)
http://muse.jhu.edu/[...]
2003-07
[19]
뉴스
Anti-Semitism Charges Lead To Delay on Religion Prize
https://query.nytime[...]
New York Times
1988-04-19
[20]
간행물
Terrorism's Targets: Democracy, Israel and Jews
http://www.adl.org/t[...]
Anti-Defamation League
1981
[21]
서적
Hazardous Duty
[22]
웹사이트
ADL on the WACL & John McCain
https://web.archive.[...]
2016-11-07
[23]
뉴스
Guns, Goons, and Western Goals
The Guardian
1993-04-24
[24]
뉴스
McCain linked to group in Iran-Contra affair
https://www.usatoday[...]
2008-10-07
[25]
뉴스
The Village Voice
1996-02-27
[26]
뉴스
1994-08-06
[27]
뉴스
McCain linked to group in Iran-Contra affair
https://web.archive.[...]
2008-10-07
[28]
웹사이트
A shot across the bows
http://www.politico.[...]
Politico
2008-10-05
[29]
웹사이트
Meet the Press
https://www.nbcnews.[...]
2008-10-05
[30]
뉴스
US election: Democrats threaten to hit McCain on Iran-Contra link
https://www.theguard[...]
2008-10-07
[31]
뉴스
McCain tied to Iran-Contra group
https://www.nbcnews.[...]
2008-10-07
[32]
서적
Inside The League: The Shocking Expose of How Terrorists, Nazis, and Latin American Death Squads Have Infiltrated the World Anti-Communist League
https://archive.org/[...]
Dodd, Mead
[33]
웹사이트
World Anti-Communist Leaugue (WACL)
https://web.archive.[...]
[34]
서적
インサイド・ザ・リーグ 世界をおおうテロ・ネットワーク
社会思想社
1987-12-30
[35]
서적
インサイド・ザ・リーグ
[36]
서적
インサイド・ザ・リーグ
[37]
웹사이트
기관 기본정보 - 중앙정보부
https://theme.archiv[...]
국가기록원
2023-08-08
[38]
신문
The Fascist Specter Behind The World Anti-Red League
[39]
뉴스
Academics were funded by racist American trust
The Independent
1990-03-04
[40]
transcript
Meet the Press
http://www.msnbc.msn[...]
MSN
2008-10-05
[41]
뉴스
US election: Democrats threaten to hit McCain on Iran-Contra link
http://www.guardian.[...]
The Guardian
2008-10-07
[42]
뉴스
McCain linked to group in Iran-Contra affair
http://www.sfgate.co[...]
San Francisco Chronicle
2008-10-07
[43]
웹사이트
A shot across the bows
http://www.politico.[...]
Politico
2008-10-17
[44]
웹사이트
McCain tied to Iran-Contra group
http://www.msnbc.msn[...]
MSNBC.com
2008-10-07
[45]
뉴스
Guns, Goons, and Western Goals
The Guardian
1993-04-24
[46]
뉴스
McCain linked to group in Iran-Contra affair
http://www.usatoday.[...]
2008-10-07
[47]
뉴스
1996-02-27
[48]
뉴스
1994-08-06
[49]
웹사이트
Political group plans to invite Aung San Suu Kyi to visit Taiwan
http://focustaiwan.t[...]
Focus Taiwan
[50]
서적
世盟一甲子
五南圖書出版
[51]
웹사이트
總統出席「2009年世界自由日慶祝大會暨世界自由民主聯盟中華民國總會第53次會員代表大會」
https://www.presiden[...]
2009-01-18
[52]
웹사이트
總統出席「2011年世界自由日慶祝大會暨世亞盟年會」
https://www.presiden[...]
2011-01-22
[53]
웹사이트
總統出席「2013年世界自由日慶祝大會暨世亞盟年會」
https://www.presiden[...]
2013-01-23
[54]
웹사이트
總統出席「2016年世界自由日慶祝大會暨世盟中華民國總會第59次會員代表大會」
https://www.presiden[...]
2016-01-23
[55]
서적
Inside the League The Shocking Exposé of How Terrorists, Nazis, and Latin American Death Squads have Infiltrated the World Anti-Communist League
Dodd, Mead & Company, Inc., New York
[56]
웹사이트
Terrorism’s Targets: Democracy, Israel and Jews
http://www.adl.org/C[...]
Anti-Defamation League
[57]
뉴스
Anti-Semitism Charges Lead To Delay on Religion Prize
http://query.nytimes[...]
1988-04-19
[58]
서적
Hazardous Duty
[59]
웹사이트
ADL on the WACL & John McCain
http://www.adl.org/C[...]
[60]
웹사이트
La Liga Anticomunista Mundial, internacional del crimen
http://www.voltairen[...]
[61]
웹사이트
La Liga Anticomunista Mundial, internacional del crimen
http://www.voltairen[...]
[62]
문서
로베르토 다브이손의 깊은 연루
[63]
웹사이트
Inside The League by Scott Anderson, and Jon Lee Anderson.
http://www.123helpme[...]
[64]
웹사이트
Drugs, Guns and Nukes: Iran as the New 'Dope, Incorporated
http://www.globalres[...]
Global Research
2012-03-18
[65]
웹사이트
La Liga Anticomunista Mundial, internacional del crimen
http://www.voltairen[...]
[66]
웹사이트
La Liga Anticomunista Mundial, internacional del crimen
http://www.voltairen[...]
[67]
웹사이트
La Liga Anticomunista Mundial, internacional del crimen
http://www.voltairen[...]
[68]
웹사이트
La Liga Anticomunista Mundial, internacional del crimen
http://www.voltairen[...]
[69]
웹사이트
La Liga Anticomunista Mundial, internacional del crimen
http://www.voltairen[...]
[70]
뉴스
The Fascist Specter Behind The World Anti-Red League
1978-05-28
[71]
뉴스
Racial Purist uses Reagan Plug
Wall Street Journal
1984-09-28
[72]
뉴스인용
박창달 한국자유총연맹 회장, 세계자유민주연맹 총회 참석
http://article.joins[...]
중앙일보
2011-01-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