솔메이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소울메이트는 고대 그리스 철학에서 유래되어, 낭만주의 시인 새뮤얼 테일러 콜리지에 의해 처음 사용된 개념으로, 운명적인 사랑과 영적인 연결을 강조한다. 이 개념은 19세기 오컬트 단체, 신지학, 뉴에이지 운동을 거치며 발전했고, 현대에는 결혼관, 심리학, 대중문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다루어진다. 소울메이트는 종종 완벽한 관계를 의미하며, 이를 찾는 방법으로 기도, 자선 활동, 유사한 사람들과의 만남 등이 제시된다. 그러나 심리학자들은 소울메이트에 대한 비현실적인 기대를 경고하며, 개인주의적인 특성과 과도한 기대로 인한 관계의 어려움을 지적하기도 한다.
소울메이트(Soulmate)라는 아이디어는 고대 그리스 철학자 플라톤의, 한때 양성(兩性)을 가진 둥근 인간이 있었지만, 찢어져 남녀가 되었다는 구체인론에서 유래되었다고 여겨진다.[35]
소울메이트(Soulmate)라는 개념은 고대 그리스 철학자 플라톤의 구체인론에서 유래되었다고 여겨진다.[35] 이 용어는 근세 영국의 낭만주의 시인 새뮤얼 테일러 콜리지가 처음 사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36] 콜리지는 결혼 생활의 행복을 위해 '소울메이트'가 필요하다고 언급했는데, 이는 그의 불행한 결혼 생활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진심으로 하는 기도는 "바셔트"를 찾는 데 도움이 된다고 믿어진다.[22] 엘리에저는 이삭의 신부를 찾도록 돕기 위해 신에게 기도했다.[12] 레아는 결혼할 예정이었던 에서가 악한 사람임을 알고 다른 운명을 위해 기도하여 야곱과 결혼했다.[12]
일부 심리학자들은 특정 개인에게 소울메이트가 존재한다고 믿는 것은 비현실적 낙관주의라는 기대를 품는 것이라고 말한다.[5][28][29] 소울메이트의 개념은 매우 개인주의적이다.[42]
[1]
서적
Collins English Dictionary
William Collins Sons & Co. Ltd.
2. 역사적 기원과 발전
소울메이트라는 말은 근세 영국의 낭만주의 시인, 비평가, 철학자인 새뮤얼 테일러 콜리지(1772년 - 1834년)가 젊은 여성에게 보낸 편지에서 처음 사용했다고 전해진다. "결혼 생활에서 행복하려면 (중략) 불행해지지 않기 위해서는 가족이나 배우자와 같은 '소울메이트'를 가져야 합니다."라는 그의 말은, 그의 불행한 결혼 생활에서 비롯된 것으로 생각된다. 콜리지는 결혼 생활이 파탄된 후, 친분이 있던 시인 워즈워스의 의붓 여동생 사라에게 보답받지 못하는 사랑을 바쳤다. 하지만, 분명한 이유는 불분명하지만, 1980년대까지 이 말은 널리 퍼지지 않았다. 아마도 카를 구스타프 융의 ''The Archetypes and the Collective Unconscious''(원형과 집단 무의식, 1980년판)에서, 인간이 어떤 고차원의 세계에 갖는 존재로서 소울메이트에 언급되었기 때문이거나, 혹은 뉴에이지 운동에서 발전했거나, 로맨틱 코미디에 의해 널리 퍼졌다는 견해도 있다.[36]
19세기 후반의 오컬트 결사 룩소르의 헤르메스 형제단은, 남녀 커플은 이 세상에서도 사후에도 함께 영적으로 진화할 수 있다고 설파한다. 룩소르의 헤르메스 형제단은 이 "소울메이트" 교설을, 19세기 미국의 심령주의자이며 성적인 가르침을 설파한 로부터 가져왔으며, 랜돌프는 19세기 심령주의자 앤드루 잭슨 데이비스와, 영계(사후 세계)를 환시했다고 하는 18세기 신비가, 신학자인 에마누엘 스베덴보리의 저작에서 가져왔다. 20세기 점성술사이며, 점성술 통신 교육을 실시한 의 주최자 C.C. 자인(벤자민 P. 윌리엄스)은, 룩소르의 헤르메스 형제단의 가르침을 이어받아 "소울메이트" 교설을 설파했는데, 이것은 유대교 신비주의 카발라의 『조하르』 안에서 전해진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근대 신지학에서는, 인류는 원래 양성(兩性)을 가진 영적인 존재였지만, 영적으로 퇴화하여 물질적, 성별이 있는 존재로 타락했다고 생각하며, 근대 신지학의 영향을 받은 20세기 심령 치료가인 에드가 케이시는, 모든 사람은 반복되는 환생 속에서 짝을 찾고 있으며, 영적 성장, 영적 진화를 달성하고 업이라는 부채를 모두 해소하면, 소울메이트와 융합하여 근원으로 돌아간다고 한다.[32][37]
미국의 뉴에이지의 기수라고 불리는 배우 셜리 맥클레인이 자서전에서 여러 차례 소울메이트에 대해 언급한 것으로, 여성 독자들 사이에서 "소울메이트를 만나고 싶다"라는 마음이 높아졌다고 한다.[40] 맥클레인의 저서 『아웃 온 어 림』에서는, 소울메이트란, 빅뱅 때 서로에게 속하는 한 쌍으로 만들어진 존재이며, 그 전자기파 수는 완전히 동일하다고 설명되어 있다.[38]
근대 서양 여러 국가의 결혼관에서는, 많은 사람들이 행복을 위해, 자신의 소울메이트를 찾고 있으며, 운명의 상대와 연애 결혼을 목표로 한다(로맨틱 러브).[42] 20세부터 29세까지의 미혼을 대상으로 한 미국의 조사에서는, 94%가 소울메이트를 믿고 있으며, 특별한 사람, 소울메이트가 여기 아닌 어딘가에서 자신을 기다리고 있다고 생각한다.[42] 유럽의 젊은 층에게도 비슷한 경향이 있다. 소울메이트는, 완전하다고 느껴지는 누군가, 즉 완벽한 인간이 아니라, 그 사람에게 완전하다고 느껴지는 사람으로, 사회적 신분, 외모, 학력, 수입 등은 고려되지 않는다.[42] 소울메이트끼리의 인생관은 같으며, 같은 방식으로 생각하고 같은 것을 원하고 필요로 하며, 같은 것을 불필요하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다툴 일도 없다고 한다.[42]
운명적인 사랑은 서양 문학이나 동화 등의 픽션에서 자주 등장하는 주제이다. 현재는 소울메이트의 개념은, 할리우드 작품 등에 의해 널리 퍼지고 있다.[44]
근대 심령주의의 영향을 받은 전생 요법에서 사용되는 용어이다. 쓰키시로 히로후미는, 전생 요법에서 이 말이 강조되는 경우, 연인 찾기 워크숍이나 길거리 점술에 가까워지기 쉽다고 말하고 있다. 세속적인 윤회설에서는, 소울메이트(이상적인 배우자, 운명의 배우자)와의 만남이 목표가 되지만, 그곳에서의 환생은, 닫힌 관계성 안에서 반복되는 남녀 관계의 교차이다.[39]
소울메이트와의 만남을 목표로 하는 환생관에서는, 스피리티즘으로 대표되는 근대 심령주의에서의 윤회에 의한 부채의 변제나, 공정하고 평화로운 사회의 실현과 같은 사회적 윤리나, 근대 신지학에서도 볼 수 있는 혼의 진화나 능력 개발과 같은 내면적 윤리도 거의 보이지 않는다. 전생 요법의 개척자 브라이언 L. 와이스도, ''Only Love is Real: A Story of Soulmates Reunited''(1996년, 한국어 번역 『소울메이트 영혼의 배우자 - 상처 입은 인생을 치유하는 환생의 여행』 1996년)에서, 운명의 상대와의 만남을 목표로 하는 윤회론을 주제로 했다.[39] 정신세계의 책을 많이 번역해 온 야마카와 히로야 · 아키코 부부는, 와이스가 이 책을 출판한 이유는, 소울메이트라는 로맨틱한 이야기가, 윤회전생이나 전생을 사람들에게 이해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라고 말하고 있다. 야마카와 부부는, 이 책의 유행으로, "소울메이트를 만나고 싶다", "소울메이트와 결혼하고 싶다"라는 여성들이 많이 생겨났다고 말하고 있다. 또한 야마카와 부부는, 소울메이트인지 여부에 집착하거나 눈앞의 사람을 소홀히 하는 사람도 있지만, 영적으로 진화했을 때 소울메이트의 존재를 알아차리기 쉬워지기 때문에, 우선 눈앞의 사람을 소중히 해야 한다고 말하고 있다.[40] 스피리츄얼한 세계에서는, 인간에게는 영적인 레벨, 혼의 레벨의 높낮이가 있다고 여겨지는 경우가 있으며, 소울메이트를 만나기 위해서는 영적 성장, "혼의 레벨"을 높일 필요가 있다는 것이 종종 언급된다. 영적으로 진화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선행, 수행, 비전적 지식의 습득 등 다양한 의견이 있다.
또한, 소울메이트 관념을 확대하여, 이 말로 모든 인간 관계를 포괄하는 "혼의 교류"가 논의되는 경우도 있으며, 인간 관계를 "혼"에 초점을 맞춰 해석하고, 인간 관계란 혼이 그 운명을 다하는 장이라고 하는 논자도 있다.[39]
소울메이트를 찾는 방법의 한 예로는, 비슷한 사람들끼리 모이기 쉬운 장소에 가는 것 등이 있다. 인터넷상에서는, 소울메이트 체크리스트 작성도 효과적이다.[41] 또한, 매칭 사이트나 게시판 사이트가 이용되는 경우도 있다.
2. 1. 고대 그리스 철학
플라톤은 향연에서 아리스토파네스가 원래 인간은 팔다리가 넷, 머리는 얼굴이 둘인 존재였다는 생각을 제시하게 한다.[13] 제우스는 이 존재들을 반으로 갈랐고, 갈라진 각 개체는 잃어버린 짝을 찾아 헤매게 되었다.[13] 이렇게 갈라진 인간들은 비참한 신세가 되었다. 아리스토파네스는 "각자 다른 반쪽을 갈망하며 서로에게 팔을 두르고 얽히고설키며 하나가 되기를 원했다. 사랑은 모든 인간에게서 태어났고, 우리의 원래 본성의 반쪽을 불러모아 둘을 하나로 만들고 인간 본성의 상처를 치유하려 한다. 그러므로 우리 각자는 인간 전체의 '짝을 이루는 반쪽'이며... 우리 각자는 항상 자신과 짝을 이루는 반쪽을 찾고 있다. 사람이 자신의 반쪽을 만나면 놀라운 일이 일어난다. 둘은 사랑, 서로에 대한 소속감, 욕망에 사로잡혀 정신을 잃고, 잠시라도 서로 떨어지고 싶어하지 않는다. 이들은 함께 삶을 다하지만 서로에게 무엇을 원하는지 여전히 말할 수 없는 사람들이다."라고 말했다.[14] 소울메이트(Soulmate)라는 아이디어는 고대 그리스 철학자 플라톤의, 한때 양성(兩性)을 가진 둥근 인간이 있었지만, 찢어져 남녀가 되었다는 구체인론에서 유래되었다고 여겨진다.[35]
2. 2. 유대교
히브리어 단어 ''예디드''는 가까운 친구 또는 소중한 친구를 의미하며, 신명기 33장 12절에 처음 등장한다. 히브리어 단어 ''네페쉬''는 영혼을 의미하며, 창세기 2장 7절에 처음 등장한다.[8] 예디드 네페쉬는 16세기 시에서 처음 차용되었을 수 있다. 이 시는 창조주에 대한 사랑과 연결을 선언하며, "예디드 네페쉬, 아브 하라흐만 - 나의 소울메이트, 자비의 아버지."로 시작한다.[8] 18세기 랍비 야코브 엠덴의 기도서에는 이 시의 공식 제목이 "축복받은 하셈(이름)의 사랑을 향한 영혼의 각성 노래"로 기록되어 있다.[8]
유대교에서 ''바셔트''는 운명 또는 예정된 것을 의미하며, 특히 소울메이트에게 사용된다. 탈무드에 따르면, 남자아이가 형성되기 40일 전에 하늘에서 목소리가 들려와 누구의 딸과 결혼할지 알려준다고 한다.[8] 유대교 신비주의는 남편과 아내를 반쪽 영혼으로 이야기하며, 하나님은 이 세상에 들어올 시간이 된 영혼을 둘로 나누어 한쪽은 남자에, 다른 한쪽은 여자에 넣는다고 한다. 이 두 반쪽이 결혼을 통해 다시 만나면, 그들의 원래 연결과 사랑의 유대가 되살아난다.[9] 바알 셈 토브는 "모든 인간에게서 하늘로 곧장 닿는 빛이 솟아오르며, 함께할 운명인 두 영혼이 서로를 만나면 빛의 흐름이 합쳐져 그 연합된 존재로부터 더 밝은 빛이 뿜어져 나온다"라고 말했다.[10] 유대교에 따르면, 세상에 나올 모든 영혼은 짝을 이루어 하느님 앞에 서며, 이들이 세상에 도달하면, 이 짝들을 맺어준다.[21] 이들은 반쪽 영혼 또는 쌍둥이 불꽃이다.
정통 유대교에서는 성적인 생각이나 행동을 유발하는 것을 쳐다보는 것을 피하는 관습이 있다. 이와 관련하여, 요셉은 그녀를 뚫어지게 쳐다보거나 그녀에 대해 환상을 품지 않았기 때문에 그의 바셰르트와 결혼할 자격이 있었다고 주장한다.[27]
2. 3. 신지학과 뉴에이지 운동
신지학에서는 신이 남성과 여성의 성질을 모두 가진 양성(androgynous)의 영혼을 창조했다고 주장한다. 이 주장은 에드가 케이시에 의해 수정되었는데, 이후 이론에서는 영혼이 지구에서 장난을 치는 동안 업을 얻거나 "신으로부터의 분리"로 인해 남성과 여성으로 분리되었다고 본다. 여러 환생을 거치면서 각 반쪽은 다른 반쪽을 찾으며, 모든 업보가 정화되면 둘은 융합하여 궁극적인 존재로 돌아간다.[17][18]
마크 L. 프로펫과 엘리자베스 클레어 프로펫은 소울메이트를 여러 생애를 함께 한 별개의 존재로 정의하며, 이들은 특정한 임무를 완수하기 위해 서로에게 이끌린다고 한다.[19] 소울메이트는 많은 잠재적 영적 형제자매 중 하나로, 이들 간에는 큰 매력과 유대감이 있지만, 근본적으로는 형제/자매 관계에 더 가깝다.[20]
소울메이트라는 개념은 고대 그리스 철학자 플라톤의 구체인론에서 유래되었다고 여겨진다.[35] 이 단어는 근세 영국의 낭만주의 시인 새뮤얼 테일러 콜리지가 처음 사용했다고 전해진다.[36] 콜리지는 불행한 결혼 생활을 통해 "결혼 생활에서 행복하려면 '소울메이트'를 가져야 한다"고 언급했다. 1980년대까지 이 말은 널리 퍼지지 않았는데, 카를 구스타프 융의 저서나 뉴에이지 운동, 로맨틱 코미디의 영향으로 널리 퍼졌다는 견해가 있다.[36]
19세기 후반 룩소르의 헤르메스 형제단은 남녀 커플이 함께 영적으로 진화할 수 있다고 설파했다. 이들은 파스칼 베벌리 랜돌프의 성적인 가르침을 통해 이 교설을 가져왔으며, 랜돌프는 앤드루 잭슨 데이비스와 에마누엘 스베덴보리의 저작에서 영향을 받았다. 20세기 빛의 교회의 주최자 C.C. 자인은 룩소르의 헤르메스 형제단의 가르침을 이어받아 "소울메이트" 교설을 설파했으며, 이는 카발라의 『조하르』에서 전해진 것이라고 주장한다.
근대 신지학의 영향을 받은 에드가 케이시는 모든 사람이 반복되는 환생 속에서 짝을 찾으며, 영적 성장과 업의 해소를 통해 소울메이트와 융합하여 근원으로 돌아간다고 한다.[32][37]
셜리 맥클레인은 자서전에서 소울메이트를 여러 차례 언급하여 여성 독자들 사이에서 "소울메이트를 만나고 싶다"는 마음을 높였다.[40] 맥클레인의 저서 『아웃 온 어 림』에서는 소울메이트가 빅뱅 때 서로에게 속하는 한 쌍으로 만들어졌으며, 전자기파 수가 완전히 동일하다고 설명한다.[38]
근대 서양의 결혼관에서는 많은 사람들이 행복을 위해 소울메이트를 찾고, 운명의 상대와 연애 결혼을 목표로 한다. 미국의 조사에 따르면, 20세부터 29세까지의 미혼 중 94%가 소울메이트를 믿고 있으며, 특별한 사람이 자신을 기다리고 있다고 생각한다.[42] 소울메이트는 완전하다고 느껴지는 사람으로, 사회적 신분, 외모, 학력, 수입 등은 고려되지 않는다.[42] 소울메이트끼리는 인생관이 같고, 같은 방식으로 생각하고 같은 것을 원하기 때문에 다툴 일이 없다고 한다.[42]
운명적인 사랑은 서양 문학이나 동화 등 픽션에서 자주 등장하는 주제이며, 현재 소울메이트 개념은 할리우드 작품 등을 통해 널리 퍼지고 있다.[44]
근대 심령주의의 영향을 받은 전생 요법에서 소울메이트라는 용어가 강조되는 경우, 연인 찾기 워크숍이나 길거리 점술에 가까워지기 쉽다. 세속적인 윤회설에서는 소울메이트와의 만남이 목표가 되지만, 그곳에서의 환생은 닫힌 관계성 안에서 반복되는 남녀 관계의 교차이다.[39] 브라이언 L. 와이스는 ''Only Love is Real''에서 운명의 상대와의 만남을 목표로 하는 윤회론을 주제로 했다.[39] 야마카와 히로야 · 아키코 부부는 와이스가 이 책을 출판한 이유가 소울메이트라는 로맨틱한 이야기가 윤회전생이나 전생을 사람들에게 이해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라고 말한다. 이 책의 유행으로 "소울메이트를 만나고 싶다"는 여성들이 많이 생겨났다고 한다.[40]
스피리츄얼한 세계에서는 인간에게 영적인 레벨, 혼의 레벨의 높낮이가 있다고 여겨지며, 소울메이트를 만나기 위해서는 영적 성장, "혼의 레벨"을 높일 필요가 있다는 것이 종종 언급된다. 소울메이트 관념을 확대하여 모든 인간 관계를 "혼의 교류"로 논의하는 경우도 있으며, 인간 관계를 "혼"에 초점을 맞춰 해석하는 논자도 있다.[39]
소울메이트를 찾는 방법으로는 비슷한 사람들끼리 모이기 쉬운 장소에 가는 것, 인터넷상에서 소울메이트 체크리스트 작성, 매칭 사이트나 게시판 사이트 이용 등이 있다.[41]
2. 4. 기타 종교 및 신화
요가 가르침에서는 인간이 가진 7개의 에너지 센터인 차크라가 모두 조화롭게 일치할 때 두 영혼이 결합되어 완전함을 느낀다고 본다. 인도 서사시 라마야나에 나오는 부부 라마와 시타의 이야기는 사랑의 변화적인 힘을 보여주는 예시이다.[16] 랑카의 악마 왕 라바나에게 납치당한 시타를 구하기 위해 라마는 동료 하누만의 도움을 받아 라바나와 싸워 아내와 재회한다.[16]
소울메이트(Soulmate)라는 개념은 고대 그리스 철학자 플라톤의 구체인론에서 유래되었다고 알려져 있다.[35] 플라톤은 한때 양성을 가진 둥근 인간이 있었지만, 찢어져 남녀가 되었다고 주장했다.
'소울메이트'라는 용어는 근세 영국의 낭만주의 시인 새뮤얼 테일러 콜리지가 처음 사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36] 그는 불행한 결혼 생활을 통해 '소울메이트'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19세기 후반, 오컬트 결사 룩소르의 헤르메스 형제단은 남녀 커플이 영적으로 함께 진화할 수 있다고 믿었으며, 이는 파스칼 베벌리 랜돌프의 성적인 가르침과 에마누엘 스베덴보리의 저작에서 영향을 받았다. 빛의 교회의 C.C. 자인은 룩소르의 헤르메스 형제단의 가르침을 이어받아 "소울메이트" 교설을 설파했으며, 이는 유대교 신비주의 카발라의 『조하르』에서 전해진 것이라고 주장했다.
근대 신지학에서는 인류가 원래 양성을 가진 영적 존재였으나 타락하여 물질적, 성별을 가진 존재가 되었다고 보았다. 에드가 케이시는 모든 사람이 반복되는 환생 속에서 짝을 찾으며, 영적 성장을 통해 소울메이트와 융합하여 근원으로 돌아간다고 주장했다.[32][37]
뉴에이지 운동의 기수인 배우 셜리 맥클레인은 자서전에서 소울메이트에 대해 여러 차례 언급하여 여성 독자들 사이에서 "소울메이트를 만나고 싶다"라는 열망을 불러일으켰다.[40]
현대 서양의 결혼관에서는 많은 사람들이 소울메이트를 찾고 운명적인 상대와의 연애 결혼을 목표로 한다.[42] 소울메이트는 완전한 인간이 아니라, 그 사람에게 완전하다고 느껴지는 사람으로, 사회적 신분, 외모, 학력, 수입 등은 고려되지 않는다.[42]
운명적인 사랑은 서양 문학이나 동화 등에서 자주 등장하는 주제이며, 소울메이트 개념은 할리우드 작품 등을 통해 널리 퍼지고 있다.[44]
전생 요법에서는 소울메이트와의 만남이 강조되기도 하지만, 이는 세속적인 윤회설에 가깝다.[39] 브라이언 L. 와이스는 ''Only Love is Real''에서 운명의 상대와의 만남을 주제로 한 윤회론을 다루었다.[39] 야마카와 히로야 · 아키코 부부는 와이스의 책이 소울메이트라는 로맨틱한 이야기를 통해 윤회전생을 사람들에게 이해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고 보았다.[40]
스피리츄얼한 세계에서는 인간의 영적 레벨에 따라 소울메이트를 만나기 위해 영적 성장이 필요하다고 믿는 경향이 있다. 소울메이트를 찾는 방법으로는 비슷한 사람들끼리 모이는 장소에 가거나 인터넷을 활용하는 것 등이 있다.[41]
3. 현대적 의미와 특징
19세기 후반, 오컬트 결사 룩소르의 헤르메스 형제단은 남녀 커플이 영적으로 함께 진화할 수 있다는 "소울메이트" 교설을 설파했다. 이들은 파스칼 베벌리 랜돌프를 거쳐 앤드루 잭슨 데이비스와 에마누엘 스베덴보리의 저작에서 이 개념을 가져왔다. 20세기 빛의 교회의 주최자 C.C. 자인은 카발라의 『조하르』에서 전해진 것이라 주장하며 이 교설을 이어받았다.
근대 신지학의 영향을 받은 에드가 케이시는 모든 사람이 반복되는 환생 속에서 짝을 찾으며, 영적 성장을 통해 소울메이트와 융합하여 근원으로 돌아간다고 보았다.[32][37] 뉴에이지의 기수로 불리는 배우 셜리 맥클레인은 자서전에서 소울메이트를 여러 차례 언급하며, 빅뱅 때 서로에게 속하는 한 쌍으로 만들어진 존재라고 설명했다.[38]
현대 서양의 결혼관에서는 많은 사람들이 소울메이트를 찾고, 운명의 상대와 연애 결혼을 목표로 한다(로맨틱 러브).[42] 소울메이트는 완전한 인간이 아니라, 그 사람에게 완전하다고 느껴지는 사람으로, 사회적 신분, 외모 등은 고려되지 않는다.[42] 이들은 같은 인생관을 공유하며, 다툴 일이 없다고 여겨진다.[42]
전생 요법에서는 소울메이트와의 만남이 강조되기도 하지만, 이는 세속적인 윤회설에 기반한 닫힌 관계성 안에서의 반복되는 남녀 관계의 교차로 이어질 수 있다.[39] 브라이언 L. 와이스는 소울메이트를 주제로 한 저서를 통해 윤회전생과 전생을 사람들에게 이해시키려 했다. 야마카와 히로야 · 아키코 부부는 소울메이트에 집착하기보다 눈앞의 사람을 소중히 해야 한다고 조언한다.[40]
소울메이트를 찾는 방법으로는 비슷한 사람들끼리 모이는 장소에 가거나, 인터넷상의 체크리스트 작성, 매칭 사이트 이용 등이 있다.[41]
4. 소울메이트를 찾는 방법
유명한 영적 지도자들의 무덤에서 정기적으로 기도하는 것 또한 흔한 기도 방식이다. 구약성서 아가와 특정한 시편 (31, 32, 70, 72, 124)을 40일 동안 읽는 것은 자신의 "바셔트"를 찾는 방법으로 사용되어 온 고대 관습이다.[23][24]
유대교는 운명적인 상대를 믿지만, 운명은 자유 의지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만약 사람이 자신의 성격적 특성[25]을 개선하려 노력하지 않거나 악한 삶을 산다면, 더 자격 있는 다른 사람에게 운명의 상대를 빼앗기게 된다. 자신의 미돗을 개선하는 것은 일반적인 관행이다.[26]
정통 유대교에서는 성적인 생각이나 행동을 유발하는 것을 쳐다보는 것을 피하는 관습이 있다. 요셉은 그의 바셰르트와 결혼할 자격이 있었다고 주장한다.[27]
영혼의 짝을 찾기 위해 의로움 또는 자선 활동을 의미하는 '체다카'(tzedakah)를 수행하는 것이 권장된다.
5. 비판적 관점
심리학자나 전문가 중에는 소울메이트는 허구, 비현실적인 존재이며, 소울메이트 관념이 연인에 대한 과도하게 높은 기대를 형성하여 연인 관계, 인간 관계에 지장이 생기거나 비참한 생활을 하는 사람이 많다고 경고하는 사람도 있다.[44][43] 낭만적 사랑 이데올로기의 일종이며, 특별한 영혼의 끈인 소울메이트의 개념이 친밀한 사람과의 사이에 길러온 영혼이 담긴 유대를 무시하게 할 가능성이 있다는 의견도 있다.[44]
소울메이트 관념을 확대하여 인간 관계란 영혼이 그 운명을 완수하는 장이라고 하는 인간 관계의 해석은, 관심의 중심을 "공상과 상상으로 이행"시키고, 결과적으로 관심이 상대가 아닌 "(자신의) 영혼 그 자체"에 집중되어, "운명은 나에게 무엇을 요구하고 있는가?"라는 반성이 불러일으켜진다.[39]
6. 한국 사회와 소울메이트
7. 결론
참조
[2]
웹사이트
Do Soul Mates Exist? – AskMen
http://uk.askmen.com[...]
Uk.askmen.com
2015-10-22
[3]
웹사이트
The Complicated Idea of Beshert
https://www.sefaria.[...]
2024-05-09
[4]
웹사이트
Soul mate – Definition and More from the Free Merriam-Webster Dictionary
http://www.merriam-w[...]
Merriam-webster.com
2013-08-24
[5]
웹사이트
soulmate
http://www.naturalhe[...]
Natural Health Magazine
2013-09-16
[6]
웹사이트
Soulmate: Dive Deep Into The Idea of "The One"
https://www.beingawa[...]
2023-08-11
[7]
웹사이트
Why people still believe in the 'soulmate myth'
https://www.bbc.com/[...]
2023-06-13
[8]
웹사이트
Sotah 2a:9
https://www.sefaria.[...]
2024-04-29
[9]
웹사이트
A Talmudic Date with Destiny
https://momentmag.co[...]
2024-04-29
[10]
웹사이트
Soul Work Opens the Way to a Deeper Relationship
https://www.deseret.[...]
2024-04-29
[11]
웹사이트
Lilith
https://www.britanni[...]
2024-04-29
[12]
웹사이트
The Project Gutenberg eBook of The Legends of the Jews, Volume 1, by Louis Ginzberg
https://www.gutenber[...]
2024-04-29
[13]
웹사이트
The Greek Myth of Soulmates, When Human Became Humans
https://www.greecehi[...]
2024-04-29
[14]
뉴스
Plato's Other Half
https://www.laphamsq[...]
2024-04-29
[15]
웹사이트
The Physical & Spiritual Concept of Soulmates in Hinduism
https://vedicfeed.co[...]
2024-05-02
[16]
웹사이트
Rama & Sita, lovers & soul mates
https://dlehmanjr.me[...]
2024-05-03
[17]
문서
Suddenly We Were!: a Story of Creation Based on the Edgar Cayce Readings
A.R.E. Press
[18]
웹사이트
What is a Twin Flame?
http://www.soulevolu[...]
Soulevolution.org
2007-12-21
[19]
문서
Soulmates and Twin Flames: The Spiritual Dimension of Love and Relationships.
Summit University Press
[20]
문서
The Ascended Masters On Soulmates And Twin Flames: Initiation by the Great White Brotherhood: Volume 2.
Summit University Press
[21]
웹사이트
The Complicated Idea of Beshert
https://www.sefaria.[...]
2024-05-09
[22]
웹사이트
Solving the Shidduch/Marriage Crisis!
https://breslov.org/[...]
2024-05-09
[23]
웹사이트
Finding My Beshert
https://tobendlight.[...]
2024-05-09
[24]
뉴스
Women seeking bashert Prayer, mitzvot might help
https://jweekly.com/[...]
2024-05-09
[25]
웹사이트
Mussar Center – 48 Middot (One-page)
https://www.mussar.c[...]
2024-05-09
[26]
웹사이트
Middot Character Development
https://www.chabad.o[...]
2024-05-09
[27]
웹사이트
Enlighten Our Eyes
https://guardyoureye[...]
2024-05-09
[28]
웹사이트
Soul Mates Do Exist—Just Not In the Way We Usually Think
http://www.psycholog[...]
Psychology Today
2013-08-24
[29]
웹사이트
Do Soulmates Exist?
http://www.psycholog[...]
Psychology Today
2013-08-24
[30]
웹사이트
soul mate
http://ejje.weblio.j[...]
[31]
웹사이트
Soul-mate
http://dictionary.re[...]
[32]
웹사이트
What is a Twin Flame?
http://www.soulevolu[...]
Soulevolution.org
2015-10-22
[33]
웹사이트
ソウルメイトとツインソウルの違いとは?
https://koitatsu.com[...]
[34]
웹사이트
THE TRUTH ABOUT SOULMATES OR TWIN FLAMES
http://www.twinflame[...]
[35]
웹사이트
Where did the word soul mate come from?
http://blog.dictiona[...]
[36]
블로그
The Rime of a Romantic Poet: 10 Words Coined by Samuel Taylor Coleridge
http://blog.wordnik.[...]
2015-10-21
[37]
서적
Suddenly We Were!: a Story of Creation Based on the Edgar Cayce Readings
A.R.E. Press
1972
[38]
서적
アウト・オン・ア・リム
角川文庫
1986
[39]
기타
2005
[40]
서적
30冊の本
https://books.google[...]
PHP研究所
2011
[41]
웹사이트
Soulmate Checklist
https://soulmate.tok[...]
[42]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Human Development and Culture: An Interdisciplinary Perspective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5
[43]
웹사이트
Soul Mates Do Exist—Just Not In the Way We Usually Think
http://www.psycholog[...]
Psychology Today
2015-10-19
[44]
웹사이트
soulmate
http://www.naturalhe[...]
Natural Health Magazine
2015-10-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