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송희경 (1376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송희경은 1376년 고려 우왕 2년에 태어나 조선 초기의 문신으로, 1402년 과거에 급제하여 관직에 진출했다. 그는 명나라에 사신으로 다녀오고, 금산 군사 재임 중 과오로 곤장을 맞기도 했다. 1419년에는 세종의 명으로 일본에 외교 사절단을 이끌고 방문하여 외교 활동을 펼쳤으며, 이후 함양 군사를 거쳐 『태종실록』 편찬에 참여했다. 만년에는 담양에서 은퇴하여 1446년에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무로마치 시대의 외국인 - 신숙주
    신숙주는 조선 전기의 문신, 학자, 언어학자, 외교관, 정치인으로, 훈민정음 창제에 참여하고 세조 즉위 후 주요 관직을 역임하며 외교와 국방에 기여했으며, 《해동제국기》, 《동국정운》 등의 저술을 남기고 영의정을 지냈다.
  • 무로마치 시대의 외국인 - 왜구
    왜구는 13세기부터 16세기까지 한반도와 중국 연안을 약탈한 일본인 중심의 해적 집단을 지칭하는 명사로, 한국과 중국에서는 일본인을 비하하는 멸칭으로도 사용되며, 전기에는 일본인, 후기에는 중국인이 주를 이루었고, 약탈 외 무역 활동도 벌였으나, 16세기 말 해금 정책 완화와 해적 금지령으로 쇠퇴하였다.
  • 1376년 출생 - 노한
    노한은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으로, 음서로 관직 생활을 시작해 여러 요직을 거치며 조선의 기틀을 다지는 데 기여했다.
  • 1376년 출생 - 최윤덕
    조선 초기의 무신 최윤덕은 태종과 세종 시대에 대마도 정벌과 여진족 정벌을 통해 국방에 공헌하고 우의정과 좌의정을 거쳐 영중추원사에 이르렀으며 축성 사업에도 기여하여 '축성 대감'으로 불린 명장으로, 사후 세종의 묘정에 배향되고 정렬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 신평 송씨 - 송상현 (1941년)
    송상현은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교수로서 한국 법학 발전에 기여하고 국제형사재판소 소장을 역임했으며, 유니세프 한국위원회 회장 등 사회 공헌 활동에도 참여한 법학자이다.
  • 신평 송씨 - 송용식
    송용식은 대한민국의 언론인 출신 정치인으로, 합동통신 및 연합통신 편집국장과 한국프레스센터 이사장을 역임하고 제12대 국회의원을 지냈다.
송희경 (1376년)
기본 정보
이름송희경
한자 표기宋希璟
로마자 표기Song Hui-gyeong
생애
출생1376년
사망미상
가족 관계
아버지송복원(宋復元)
어머니정부인 신씨(貞夫人 平山 申氏)
부인초배: 정부인 이씨(貞夫人 光州 李氏)
계배: 정부인 민씨(貞夫人 驪興 閔氏)
자녀송계사(宋繼謝)
송사의(宋嗣儀)
송중유(宋仲裕)
송숙유(宋叔裕)
송계년(宋季年)
송말년(宋末年)
관력
주요 경력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
형조 좌랑(刑曹佐郞)
사간원 헌납(司諫院獻納)
성균관 직강(成均館直講)
승문원 교리(承文院校理)
집현전 부교리(集賢殿副校理)
예문관 응교(藝文館應敎)
지제교(知製敎)
경상도 관찰사(慶尙道觀察使)
추가 정보청백리(淸白吏)

2. 생애

송희경은 고려 우왕 2년(1376년)에 태어나 조선 세종 28년(1446년)에 사망한 문신이다. 태종 대에 관직에 진출하여 명나라에 사신으로 파견되기도 하였으나, 금산 군사 시절 죄를 지어 처벌받기도 하였다. 세종 대에는 일본과의 외교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였다.

함양군사로 재직하던 중, 세종 4년 1월 10일, 사헌부 집의 박안신 등에 의해 과거 금산군사 시절의 죄상이 거론되어 수령으로 부적격하다는 비난을 받았다.[10] 같은 해(1422년) 태종 상왕이 사망하자, 『태종실록』 편찬에 관여했다.[4]

2. 1. 초기 생애와 관직 진출

고려 우왕 2년(1376년), 충청도 공홍도 연산현 죽안방 균정리(충청남도 논산시 연산면)에서 태어났다[4].태종 2년(1402년) 봄, 과거 별과에 급제하여 태종 4년(1404년) 한림원에 들어갔으며, 태종 7년(1407년) 사간원 정언이 되어 청효루 보루각의 창영을 담당했지만, 명령 위반으로 파면되어 귀향했다[4]. 태종 9년(1409년) 사간원 헌납으로 복귀하여, 예문관|예문관한국어 수찬에 선발되었으며, 태종 11년(1411년)에는 성절사 서장관으로 명나라에 다녀왔다[4].

이후 지금산군사에 임명되었지만, 태종 15년(1415년) 5월 17일, 정향과 건육을 헌상하기 위해 사냥을 하던 중 노루[6]를 독점하려 한 군리 2명을 곤장으로 쳐 죽인 죄로 곤장 100대를 받고[5], 병사라고 항변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아 이듬해 1월 17일 형이 집행되었다[6]. 태종 17년(1417년)에는 임첨년, 최득비, 이무창과 함께 베이징에서 귀국했다[7]. 이 기간 동안 지제교를 겸했다[4].

2. 2. 명나라 사행

태종 11년(1411년) 성절사 서장관으로 明나라중국어에 다녀왔다.[4] 태종 17년(1417년) 임첨년, 최득비, 이무창과 함께 베이징에서 귀국했다.[7]

2. 3. 금산 군사 시절의 과오

태종 15년(1415년) 5월 17일, 지금산군사로 재직 중 정향과 건육을 헌상하기 위해 사냥을 하던 중 노루[6]를 독점하려 한 군리 2명을 곤장으로 쳐 죽인 죄로 곤장 100대를 받았다[5]. 병사라고 항변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아 이듬해 1월 17일 형이 집행되었다[6].

2. 4. 대일 외교 활동 (1419년-1420년)

세종은 1419년부터 1420년까지 일본에 외교 사절단을 파견했다. 이 사절단은 가마쿠라에 있는 아시카가 요시마사의 조정에 파견되었으며, 송희경이 이끌었다. 주된 목적은 일본 쇼군이 조선 조정에 보낸 메시지에 답신하기 위한 것이었다.[2]

일본 측은 이 사절단의 목적을 일본 중심의 세계 질서를 확인하려는 것으로 해석했을 수도 있다.[3] 그러나 송희경의 활동은 조선과 일본 간의 외교 관계에 대한 의례를 협상하는 데 더 집중되었다.[2]

1419년, 조선은 왜구 토벌을 위해 쓰시마 섬에 출병했는데, 이는 일본 측에서 응영의 외구로 받아들여져 위협으로 간주되었다. 무로마치 막부아시카가 요시모치는 조선 측의 의도를 파악하기 위해 무애 량예를 사신으로 파견했고, 조선은 일본 사신의 귀국에 회례사로 송희경을 발탁했다. 송희경은 1420년 윤 1월 15일에 한성부를 출발하여 부산광역시에서 쓰시마 섬, 이키 섬, 하카타를 거쳐 세토 내해를 동쪽으로 이동하여, 4월 21일 교토에 도착했다. 6월 26일 아시카가 요시모치를 알현하고, 10월 25일 귀국했다. 이때의 신분은 봉정대부, 첨지승문원|한국어사, 직집현전이었다.[8] 귀국 후에는 노고를 인정받아 선공감 정이 되었다.[9]

2. 4. 1. 파견 배경

세종은 1419년–1420년 일본에 외교 사절단을 파견했다. 송희경은 가마쿠라에 있는 아시카가 요시마사의 조정에 파견된 이 사절단을 이끌었으며, 그 목적은 일본 쇼군이 조선 조정에 보낸 메시지에 답신하기 위한 것이었다.[2]

일본 측은 이 사절단의 목적을 일본 중심의 세계 질서를 확인하려는 것으로 해석했을 수도 있다.[3] 그러나 송희경의 활동은 조선과 일본 간의 외교 관계에 대한 의례를 협상하는 데 더 집중되었다.[2]

1419년, 조선은 왜구 토벌을 위해 쓰시마 섬에 출병했는데, 이것이 일본 측에서 응영의 외구로 위협으로 받아들여지자, 무로마치 막부 아시카가 요시모치는 조선 측의 의도를 파악하기 위해 무애 량예를 사신으로 파견했다. 이를 받아, 조선은 일본 사신의 귀국에 회례사를 동반하게 되었고, 송희경을 발탁했다.

2. 4. 2. 일본에서의 활동

세종은 1419년부터 1420년까지 일본에 외교 사절단을 파견했다. 아시카가 요시마사의 조정이 있는 가마쿠라에 파견된 이 사절단은 송희경이 이끌었다. 그 목적은 일본 쇼군이 조선 조정에 보낸 메시지에 답신하기 위한 것이었다.[2]

일본 측은 이 사절단의 목적을 일본 중심의 세계 질서를 확인하려는 것으로 해석했을 수도 있다.[3] 송희경의 활동은 조선과 일본 간의 외교 관계에 대한 의례를 협상하는 데 더 집중되었다.[2]

세종 원년(1419년), 조선은 왜구 토벌을 위해 쓰시마 섬에 출병했는데, 이것이 일본 측에서 응영의 외구로 위협으로 받아들여지자, 무로마치 막부 아시카가 요시모치는 조선 측의 의도를 파악하기 위해 무애 량예를 사신으로 파견했다. 이를 받아, 조선은 일본 사신의 귀국에 회례사를 동반하게 되었고, 송희경을 발탁했다. 세종 2년(1420년) 윤 1월 15일에 한성부를 출발하여 부산광역시에서 쓰시마 섬, 이키 섬, 하카타를 거쳐 세토 내해를 동쪽으로 이동하여, 4월 21일 교토에 도착, 6월 26일 아시카가 요시모치를 알현하고, 10월 25일 귀경했다. 이때의 신분은 봉정대부, 첨지승문원|한국어사, 직집현전이었다.[8]

2. 4. 3. 귀국 및 이후 활동

세종은 1419년–1420년 일본에 외교 사절단을 파견했다. 가마쿠라에 있는 아시카가 요시마사의 조정에 파견된 이 사절단은 송희경이 이끌었다. 그 목적은 일본 쇼군이 조선 조정에 보낸 메시지에 답신하기 위한 것이었다.[2] 일본 측은 이 사절단의 목적을 일본 중심의 세계 질서를 확인하려는 것으로 해석했을 수도 있다.[3] 송희경의 활동은 조선과 일본 간의 외교 관계에 대한 의례를 협상하는 데 더 집중되었다.[2]

1419년, 조선은 왜구 토벌을 위해 쓰시마 섬에 출병했는데, 이것이 일본 측에서 응영의 외구로 위협으로 받아들여지자, 무로마치 막부 아시카가 요시모치는 조선 측의 의도를 파악하기 위해 무애 량예를 사신으로 파견했다. 이를 받아, 조선은 일본 사신의 귀국에 회례사를 동반하게 되었고, 송희경을 발탁했다. 1420년 윤 1월 15일에 한성부를 출발하여 부산광역시에서 쓰시마 섬, 이키 섬, 하카타를 거쳐 세토 내해를 동상하여, 4월 21일 교토에 도착, 6월 26일 아시카가 요시모치를 알현하고, 10월 25일 귀경했다. 이때의 신분은 봉정대부, 첨지승문원|한국어사, 직집현전이었다.[8] 귀국 후 노고를 위로받아 선공감 정이 되었다.[9]

이후 지함양군사가 되었지만, 1422년 1월 10일, 사헌부 집의 박안신 등에 의해 과거의 죄상이 거론되어, 수령으로 부적격하다는 비난을 받았다.[10] 같은 해(1422년) 태종 상왕이 사망하자, 『태종실록』 편찬에 관여했다.[4] 만년에는 판사재로 전라남도 담양군에 은퇴하여, 1446년 기곡향장(봉산면 (담양군)|label=봉산면|ko한국어 기곡리)에서 사망했다.[4]

2. 5. 만년

만년에는 판사재로 전라남도 담양군에 은퇴하여, 세종 28년(1446년) 기곡리에서 사망했다[4].

3. 가족 관계

관계이름비고
조부송겸정순대부, 판전객사사, 겸 춘추관 편수관사[4]
송현덕통훈대부, 겸 춘추관 기주관[4]
아우송공귀참판. 후에 영광군으로 이주[4]
동래 정씨한국어판서 정윤후의 딸[4]
송수지우군사 용, 증 통정대부, 병조 참의[4]
손자송복천분순부위, 증 가선대부, 병조참판, 겸 동지 의금부[4]



여산 송씨 분파 신평 송씨에 속하며, 대대로 묘소는 연산현 계룡산 북쪽 청암동에 있다.[4]

참조

[1] 서적 Frontier contact between chosŏn Korea and Tokugawa Japan https://books.google[...] 2000
[2] 서적 Diplomacy and Ideology in Japanese-Korean Relations: from the Fifteenth to the Eighteenth Century https://books.google[...] 1997
[3] 간행물 The Formation of A Japanocentric World Order http://journals.camb[...] 2005
[4] 문서 老松堂日本行録家蔵 1619
[5] 기록 『太宗実録』15年5月17日条 null
[6] 기록 『太宗実録』16年1月17日条 null
[7] 기록 『太宗実録』17年6月12日条 null
[8] 문서 『老松堂日本行録』157節 null
[9] 기록 『世宗実録』2年10月17日条 null
[10] 기록 『世宗実録』4年1月10日条 null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