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와 신사 (나가사키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스와 신사(나가사키시)는 일본 나가사키시에 위치한 신사로, 기독교 탄압 시기에 신토로의 개종을 강요하기 위해 건립되었다. 1625년 스와, 모리자키, 스미요시 세 신사를 합사하여 세워졌으며, 1634년에는 신사 등록과 축제 참여를 통해 기독교 신자를 색출하려는 정책이 시행되었다. 에도 시대에는 나가사키의 개방적인 지리적 특성을 활용하여 네덜란드 및 중국 상인들에게 일본 문화를 보여주는 역할을 했으며, 대규모 노 공연이 열리기도 했다. 메이지 시대에는 국폐중사로 지정되었고, 원자 폭탄 투하에서도 살아남아 나가사키 재건에 기여했다. 주요 축제로는 나가사키 쿤치, 원폭 희생자 추모 행사, 히나마츠리 등이 있으며, 2021년에는 궁사의 성희롱 의혹으로 권네기 전원이 사직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와 신사 - 스와 대사
스와 대사는 나가노현 스와 지역에 위치한 유서 깊은 신사로, 상사와 하사로 나뉘어 타케미나카타노카미와 야사카토메노카미를 주요 제신으로 모시며, 6년마다 열리는 온바시라 축제로 유명한 스와 신앙의 중심지이다. - 공식 웹사이트에 알 수 없는 변수를 사용한 문서 - 브루클린 미술관
브루클린 미술관은 1823년 브루클린 견습생 도서관으로 시작하여 현재 약 50만 점의 소장품을 보유한 뉴욕 브루클린 소재의 미술관으로, 다양한 분야의 예술 작품을 전시하며 특히 아프리카 미술과 여성주의 미술에 대한 기여가 크다. - 공식 웹사이트에 알 수 없는 변수를 사용한 문서 - 광주지방기상청
광주지방기상청은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 지역의 기상 예보, 특보, 관측, 기후 정보 제공 등의 업무를 수행하는 기상청 소속 기관으로, 1949년 광주측후소로 설치되어 1992년 광주지방기상청으로 개편되었으며, 기획운영과, 예보과, 관측과, 기후서비스과와 전주기상지청, 목포기상대를 두고 있다.
스와 신사 (나가사키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이름 | 스와 신사 |
로마자 표기 | Suwa Jinja |
일본어 표기 | 諏訪神社 (すわじんじゃ) |
한국어 표기 | 스와 신사 (스와진자) |
![]() | |
종교 | 신토 |
유형 | 신사 |
웹사이트 | 스와 신사 공식 웹사이트 |
위치 정보 | |
위치 | 일본 나가사키현 나가사키시 |
역사 | |
신앙 | |
모시는 신 | 건어명방신 |
건축 | |
행사 | |
예제 | 10월 8일 |
조직 | |
기타 정보 | |
사격 | 국폐중사 |
2. 역사
1614년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기독교 탄압령 이후, 나가사키 지역의 기독교 신자들을 신토로 개종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건립이 추진되었다.[2] 당시 나가사키는 일본에서 가장 많은 기독교 인구가 거주하는 곳이었으며, 이전의 많은 신토 신사와 불교 사찰들이 파괴된 상태였다.[2] 도쿠가와 막부는 기독교인들에게 불교와 신토로 개종하도록 강요하기 시작했고, 신토 숭배의 주요 거점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여겨졌다.[2]
1625년, 수험도 승려인 아오키 겐세이(1582-1656)가 나가사키 부교 하세가와 곤로쿠와 나가사키 다이칸 스에쓰구 헤이조의 지원을 받아[1] 스와 신사, 모리자키 신사, 스미요시 신사 세 신사를 합사하여 건립하였다. 초기에는 기독교인들을 색출하고 신토 신앙을 강요하기 위한 여러 정책과 행사가 시행되었다.
1634년, 모든 사람이 신사에 등록하고 기록해야 한다는 칙령이 내려졌고,[3] 신사 행사에 지역 주민들의 참여를 늘리기 위한 대규모 가을 축제가 열렸다.[2] 이러한 정책과 행사는 축제에 참여하거나 신사에 등록할 수 없는 남아있는 기독교인을 찾아내기 위한 목적이었다. 이를 거부하는 사람은 체포되어 고문을 받고, 기독교 신앙을 포기하지 않으면 처형될 수도 있었다.[2]
1555년 (고지 원년)에 나가사키 오리베 료 타메히데가 교토의 스와 신사의 분령을 현재의 후토산 기슭에 모셨다는 설과 사가현가라쓰시 (구 히가시마쓰우라군하마타마 정)의 스와 신사를 권청했다는 설이 있다.
2. 1. 건립 초기 (17세기)
1614년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기독교 탄압령 이후, 나가사키 지역의 기독교 신자들을 신토로 개종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건립이 추진되었다.[2] 당시 나가사키는 일본에서 가장 많은 기독교 인구가 거주하는 곳이었으며, 이전의 많은 신토 신사와 불교 사찰들이 파괴된 상태였다.[2] 도쿠가와 막부는 기독교인들에게 불교와 신토로 개종하도록 강요하기 시작했고, 신토 숭배의 주요 거점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여겨졌다.[2]1625년, 수험도 승려인 아오키 겐세이(1582-1656)가 나가사키 부교 하세가와 곤로쿠와 나가사키 다이칸 스에쓰구 헤이조의 지원을 받아[1] 스와 신사, 모리자키 신사, 스미요시 신사 세 신사를 합사하여 건립하였다. 초기에는 기독교인들을 색출하고 신토 신앙을 강요하기 위한 여러 정책과 행사가 시행되었다.
1634년, 모든 사람이 신사에 등록하고 기록해야 한다는 칙령이 내려졌고,[3] 신사 행사에 지역 주민들의 참여를 늘리기 위한 대규모 가을 축제가 열렸다.[2] 이러한 정책과 행사는 축제에 참여하거나 신사에 등록할 수 없는 남아있는 기독교인을 찾아내기 위한 목적이었다. 이를 거부하는 사람은 체포되어 고문을 받고, 기독교 신앙을 포기하지 않으면 처형될 수도 있었다.[2]
1555년 (고지 원년)에 나가사키 오리베 료 타메히데가 교토의 스와 신사의 분령을 현재의 후토산 기슭에 모셨다는 설과 사가현가라쓰시 (구 히가시마쓰우라군하마타마 정)의 스와 신사를 권청했다는 설이 있다.
2. 2. 에도 시대 (17세기 ~ 19세기)
1623년, 수험도 승려인 아오키 겐세이(1582-1656)가 나가사키에 왔다.[1] 그는 바쿠후와 나가사키 지방관의 지원을 받아, 종교적 열정과 조직 능력을 발휘하고, 요시다 신토 평의회의 권한을 받아 1626년에 스와 신사의 주요 구조물을 완공했다.[1][2] 1625년 (간에이 2년)에는 나가사키 봉행(長崎奉行)과 대관(代官) 등의 보호와 원조를 받아 아오키 겐세이(青木賢清)가 니시야마고 엔잔(西山郷円山)(현 마츠노모리 신사)에 사전을 건립하여 스와(諏訪)・모리자키(森崎)・스미요시(住吉)의 삼신을 합사했다. 아오키 겐세이는 키리시탄(기독교 신자)으로부터 "텐구" 즉 "악마"라고 비난받았다. 사전을 건설할 때 키리시탄 교도의 방해가 심했지만, 인부(건설 종사자)를 오무라에서 초빙하는 등 고심 끝에 일우(一宇, 한 채의 건물)의 작은 사찰을 건립했다.[4]새로운 신사에 대한 관심을 끌고 참석을 장려하기 위해, 사제가 뜨거운 물에 손을 담가도 상처를 입지 않는 모습을 보여주는 극적인 ''유타테사이'' 의식이 거행되었다. 이 행사와 뒤이어 열린 스모 경기에도 불구하고, 구경하러 오는 사람은 거의 없었다.[2]
1634년, 모든 사람이 신사에 등록하고 기록해야 한다는 칙령이 내려졌다.[3] 이 외에도, 신사 행사에 지역 주민들의 참여를 더욱 늘리기 위한 또 다른 시도로, 신사에서 대규모 가을 축제가 열렸다. 이 두 행사는 축제에 참여하거나 신사에 등록할 수 없는 남아있는 기독교인을 찾아내기 위해 만들어졌다. 이를 거부하는 사람은 체포되어 고문을 받고, 기독교 신앙을 포기하지 않으면 처형될 수도 있었다.[2] 같은해(1634년 (간에이 11년)), 나가사키 쿤치가 시작되었다. 나가사키 봉행(카미오 모토카츠, 사카키바라 모치나오의 두 사람 봉행제)의 원조를 받아 아오키 겐세이에 의해 9월 7일・9일(구력)을 제삿날로 제정했다.[4] 나가사키 봉행은 스와 신사를 나가사키 시민의 신사로 인정하고 스와 신은 나가사키의 진수가 되어 나가사키 시민은 모두 그 씨자가 되었다. 이 인정의 배경에는 키리시탄 종문을 일소하려는 의도가 있었다고 한다.[4]
1637년 (간에이 14년) 8월 - 돌의 큰 도리이(현재의 2번째 도리이)가 소마치(총 마을)의 헌납으로 완성되었다. 1638년 (간에이 15년) - 제사비를 정하고 매년 당선 1척 분의 구전은[5]을 급여했다. 1639년 (간에이 16년) - 2번째 도리이(목제)가 완성되었으며, 1645년 (쇼호 2년) - 목제의 2번째 도리이가 석재로 개조된다.(이 석조 도리이는 혼카와치노 스이진샤에 설치되어 있다).
스와 신사는 산비탈을 따라 두 번 이전되었는데, 1647년과 1683년에 각각 이전되었다.[1] 1650년 (게이안 3년) 11월 - 정전을 착공하여, 1651년 (게이안 4년)에 정전이 완성되고, 천궁이 행해졌다. 1653년 (쇼오 2년) 6월 - 대관의 스에츠구 헤이조가 자비로 스와 신사 배전을 건조하였다. 1654년 (쇼오 3년) - 스와 신사를 관람하는 데지마 체류 네덜란드인을 위해 처음으로 오나미토 오타비쇼에 잔교가 설치된다. 1656년 (메이레키 2년) - 쇼군도쿠가와 이에쓰나의 두창 완쾌를 축하하여 나가사키 봉행 이하 제역인들이 스와사에 노를 봉납했다. 이후 막부에 경사가 있었을 경우 축의의 신사 및 노를 봉납하는 것이 관례가 되었다.
나가사키는 일본에서 유일하게 개방된 항구가 있는 곳이었기 때문에, 네덜란드와 중국 상인들에게 일본 문화를 인상적으로 보여주는 것이 중요했다. 1638년부터는 축제 외에도, 쇼군의 직접적인 명령에 따라 스와 신사에서 대규모 노 공연이 열렸다. 이 공연은 신사의 큰 화재로 인해 값비싼 노 가면과 소품이 대부분 파괴된 1856년까지 계속되었다.
1678년 (엔포 6년) 7월 17일 - 소토우라마치(현 에도마치)에서 화재가 발생하여 에도마치의 스와 신사 기구 창고가 소실된다. 스와 신사 기구가 소실되었기 때문에 공부(구부)의 마을 사람들은 봉행소의 활과 철포 각 10정을 빌려 차고 여성은 복면으로 공부한다. (1679년(엔포 7년)의 설도 있다) 1679년 (엔포 7년) - 배전, 회랑, 노무대가 완성되었다. 1683년 (텐와 3년) 8월 - 진구지(신궁사)의 절 이름을 폐지하고 신도 일식이 된다. 1686년 (조쿄 3년) 9월 16일 - 주인장이 교부된다.
1790년 (간세이 2년) - 노무대 판장이 흰색 판이었기 때문에 소나무 그림이 그려진다. 1795년 (간세이 7년) - 본전에 레이겐 천황의 신한을 게시한다. 1796년 (간세이 8년) - 네덜란드인으로부터 설탕 1섬(254근 분)이 기부된다. 1799년 (간세이 11년) 8월 17일 - 이날 일어난 니시야마고에서의 화재로 잔교용 도구 창고가 소실되었다. 1800년 (간세이 12년) 4월 9일 - 나가사키 봉행의 요청에 의해 11일까지 3일 동안 시중 안전의 기도가 행해진다. 같은 해 9월 - 나가사키 봉행 히다 분고노카미의 기부은 3관문(貫文)으로 총문 앞의 긴 언덕 양쪽의 담을 돌담으로 개조한다.(이 석담은 현존하고 있다.)
1806년 (분카 3년) - 봉행의 요청에 의해 소장하고 있는 네덜란드 배 모형을 에도성으로 보내 쇼군의 상람에 제공한다. 1808년 (분카 5년) 7월 - 지쿠젠(후쿠오카현) 번주 쿠로다 씨가 유사시에 경내 중문 이하의 땅을 향후 50년 사용할 예정이다. 1809년 (분카 6년) 8월 - 총마치 봉납금으로 춤추는 마당 석담에 난간을 설치했다. 같은 해 9월 27일 - 춤추는 마당에서 3일 동안 오즈모 흥행이 열린다. 경내에 코헤이샤(康平社, 도서 명신)를 신설하고 마츠다이라 토쇼노카미(松平図書頭)의 영을 제사한다.(메이지 유신 후, 나가사키 토착 역인의 조상도 합사하여 조령사로 개칭) 1810년 (분카 7년) 8월 - 경내에 사격장이 설치된다. 1815년 (분카 12년) - 혼이시카이마치(本石灰町)의 나카무라 가에몬의 희사로 1번째 도리이에서 춤추는 마당까지를 돌길로 한다.
1823년 (분세이 6년) - 나가사키 봉행, 지방 역인, 씨자들의 기부금 1,000냥으로 가마와 제기 등을 수리했다. 1827년 (분세이 10년) - 총마치의 기부금 1,000냥으로 정전의 고케라 부키를 히와다 부키로 개조한다. 1832년 (덴포 3년) - 1828년 (분세이 11년)의 태풍으로 붕괴된 노무대와 회랑이 수복된다. 1835년 (덴포 6년) 8월 26일 - 청동 대도리이가 건립된다.
1857년 (안세이 4년) 9월 20일 - 정오에 일어난 실화로 인해 스와사가 전소. 삼사의 가마는 니시야마 묘켄사에 천궁했다. 같은해 12월 19일 - 가전이 완성되었다. 1858년 (안세이 5년) 3월 - 재흥일의 부담을 나가사키 회소(관립의 무역소)의 공금과 시향의 기부금으로 한다. 1864년 (겐지 원년) - 재건에 착수했다.
1871년부터 1946년까지 스와는 공식적으로 로 지정되었으며, 이는 등급이 매겨진, 전국적으로 중요한 신사의 중간 등급에 해당함을 의미했다.
2. 3. 메이지 시대 이후 (19세기 말 ~ 현재)
1871년부터 1946년까지 스와 신사는 국폐중사(国幣中社)로 지정되어 전국적으로 중요한 신사 중 중간 등급에 해당하였다.[2] 1868년(메이지 원년) 사와 노부요시 나가사키 부 지사에 의해 스와 신사의 신사 행사의 개혁이 이루어져 화려함을 금지하는 명령이 내려지고 봉납 춤이 전면 폐지되었다.[6] 1869년(메이지 2년) 9월 스와 신사의 여러 전각이 완성되어 준공 봉고제를 거행하였고,[6] 1870년(메이지 3년) 10월 17일 관명에 의해 씨족 명부를 만들어 나가사키현에 통달하고, 각 씨족에게는 씨족 증표를 수여함으로서 나가사키 주민들은 모두 스와 신사의 씨족이 되었다.[6] 1872년(메이지 4년) 7월 현사에 열거되었고,[6] 1874년 (메이지 7년) 8월 태풍으로 인해 청동 대도리가 붕괴되었다.[6] 1875년(메이지 8년) 3월 나가사키현 최초의 공원(스와 공원)이 조성되었으며,[6] 9월 8일 스와 제례일이 태양력의 10월 7일·9일로 개정되면서 중단되었던 봉납 춤이 소박하게 부활하였다.[6] 1893년(메이지 26년) 6월 11일 1874년(메이지 7년)의 태풍으로 붕괴된 청동 대도리가 재건되었다.[6] 1895년(메이지 28년) 5월 16일 청일 전쟁 승리 축하회가 개최되었고,[6] 7월 5일 국폐소사로 승격되었다.[6] 1903년(메이지 33년) 10월 26일 황태자 가네노미야 친왕(후의 다이쇼 천황)이 참배하였다.[6] 1914년(다이쇼 3년) 스와 신사에 일본 최초의 "영문 제비"가 등장했다.[6]1915년(다이쇼 4년) 11월 16일 국폐중사로 승격되었다.[6] 1945년 8월 9일 나가사키 원자 폭탄 투하에서 살아남았는데, 이는 신사가 다마조노산 남쪽 측면 중앙에 위치한 전략적 위치 덕분이었다.[2] 폭탄 투하 후, 지역 주민들은 우라카미 성당과 주변 가톨릭 교구들이 파괴된 반면, 스와 신사가 여전히 서 있었다는 점에 주목했다.[2] 이는 토착 일본 신의 힘을 보여주는 것으로 여겨졌으며, 스와 신사의 사제들은 나가사키 재건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2] 1984년, 대규모 재건축을 통해 신사가 수리 및 현대화되었으며, 에어컨과 유리창과 같은 편의 시설이 설치되었다.[2]
3. 주요 시설
3. 1. 본전
3. 2. 배전
3. 3. 기타 시설
스와 신사 경내에는 박호 신사와 이나리 신사가 있다. 박호 신사는 참배로 중간에, 이나리 신사는 배전 뒤편에 위치한다. 규모는 매우 작다.쇼와 22년(1947년) 10월에 설립된 스와 유치원이 경내에 있다. 유치원생들은 연중 행사를 통해 스와 신사의 행사나 축제에 참여하며, 나가사키 쿤치에서는 어린 아이로 참례한다.
메이지 6년(1873년), 태정관 포고에 의해 제정된 나가사키에서 가장 오래된 공원인 나가사키 공원이 신사 인근에 있다. 공원에는 비둘기나 잉어가 있는 광장, 찻집, 작은 동물원(동물 광장), 우에노 히코마, 모키 쇼조, 나가사키 진자에몬 쥰케이의 동상이 있다. 동물 광장에서는 1978년 5월부터 1999년 4월까지 에조히구마와 반달가슴곰의 혼혈인 곰 타로가 사육되어 인기를 끌었다.
스와 신사 주변에는 나가사키 역사 문화 박물관, 나가사키 현립 나가사키 도서관, 일본 은행 나가사키 지점 등이 있다.
4. 신앙 및 축제
대부분의 신토 신사처럼, 매년 수천 명의 사람들이 평화와 번영을 기원하기 위해 스와 신사를 방문한다. 이 신사는 또한 시치고산 및 성인식과 같은 행사를 위해 나가사키에서 가장 많이 찾는 곳이다.
스와 신사는 또한 많은 연례 축제를 개최한다. 이 축제는 신을 기리고, 신사 참배자들에게 공동체 의식을 제공하며, 신사 자체에 노출과 수입을 제공하는 공동의 목적을 수행한다.[2] 이러한 축제 중 일부는 일본의 모든 주요 신토 신사에 일반적이지만, 일부는 스와 신사 고유의 축제이다.
- '''원폭 희생자 추모 행사''' - 이 축제는 나가사키에 투하된 원자 폭탄으로 사망한 35,000~40,000명의 사람들을 위해 기독교, 불교 및 신토 숭배의 요소를 결합한다는 점에서 아마도 일본 전체에서 유일할 것이다. 매년 8월 9일에 열린다.
- '''인형 축제''' - 일본과 마찬가지로 스와 신사에서도 3월 3일에 인형 축제를 기념한다. 그러나 1980년대 이후 이 축제는 매력적인 20세 여성들이 신사의 골동품 기모노 컬렉션을 입고 라이브 인형의 날 행렬에서 포즈를 취하도록 선택되는 특이한 방식으로 기념되어 왔다. 젊은 여성들 간의 경쟁은 치열하며, 축제에 참가하려는 지원자가 자리를 훨씬 초과한다. 가장 아름다운 여성 두 명이 행렬에서 천황과 황후의 주요 역할을 위해 선택된다. 이 전통은 주로 스와 신사를 홍보하고 광고하기 위한 미디어 이벤트로 만들어졌으며, 매년 텔레비전 제작진이 축제를 방송하도록 초대된다.[2]
- '''군치''' - 스와 신사의 가장 유명한 축제인 이 축제는 지역 사회에서 신사의 새로운 중요성을 보여주고 숨겨진 기독교인을 사냥하는 방법으로 신사가 설립됨과 동시에 시작되었다. 군치는 매년 10월 7일부터 9일까지 열리며, 기온 마츠리 및 오사카의 텐진 마츠리와 함께 일본의 주요 축제 중 하나로 여겨진다. 중요 무형 문화재로 지정되었다.[2]
- '''유타테사이''' - 연극적 의식으로, 원래 야마부시가 수행했는데, 신관이 손을 끓는 물에 담가도 다치지 않음으로써 신과의 교감을 보여준다. 이 의식은 스와 신사 개장 시에 수행되었으며, 오늘날까지 계속 수행되고 있다. 다른 신토 신사에서는 매우 드물다.
4. 1. 제신
스와 신사는 타케미나카타노카미, 야사카토메노카미를 제신으로 모시고 있다. 모리자키 신사는 이자나기노오와 이자나미노오를, 스미요시 신사는 스미요시 삼신 (우와츠츠노오노미코토, 나카츠츠노오노미코토, 소코츠츠노오노미코토)을 제신으로 모신다.4. 2. 주요 축제
스와 신사에서는 신을 기리고 참배객들에게 공동체 의식을 제공하며, 신사 자체에 대한 관심과 수입을 증진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다양한 연례 축제가 열린다.[2]- '''군치''' - 스와 신사의 가장 유명한 축제로, 매년 10월 7일부터 9일까지 열린다. 기온 마츠리, 오사카의 텐진 마츠리와 함께 일본의 주요 축제 중 하나로 여겨진다.[2] 중요 무형 문화재로 지정되었다.
- '''원폭 희생자 추모 행사''' - 매년 8월 9일에 열리는 이 행사는 나가사키에 투하된 원자 폭탄으로 사망한 35,000~40,000명의 사람들을 위해 기독교, 불교 및 신토 숭배의 요소를 결합한다.[2]
- '''인형 축제''' - 매년 3월 3일에 열리는 축제이다. 1980년대 이후, 매력적인 20세 여성들이 신사의 골동품 기모노를 입고 행렬에 참여하는 독특한 방식으로 진행된다. 가장 아름다운 여성 두 명은 천황과 황후의 역할을 맡는다. 이 전통은 스와 신사 홍보를 위한 미디어 이벤트로, 매년 텔레비전 방송된다.[2]
- '''유타테사이''' - 신관이 끓는 물에 손을 담가 신과의 교감을 보여주는 의식이다. 스와 신사 개장 시에 수행되었으며, 오늘날까지 이어지고 있다.
4. 3. 기타 신앙
대부분의 신사에서는 그 당시의 운세를 적은 종이 쪽지 형태의 오미쿠지를 판매한다. 스와 신사는 일본에서 최초로 영어로 된 오미쿠지를 제공한 신사였다.스와 신사의 또 다른 독특한 특징은 "멈춤 사자"이다. 이들은 두 개의 돌로 조각된 수호 사자이며, 전통적으로 흡연과 같은 행동을 멈추고 싶다면, 그들의 앞다리에 종이나 끈을 묶고 도움을 청해야 한다고 전해진다.
5. 교통
나가사키 전기 궤도 호타루차야 지선(2~5계통) 스와 신사 정류장에서 하차한다. 나가사키 현영 버스 니시야마다이 방면 순환선, 타테야마 방면행, 야가미 방면행 등 다수의 노선이 있으며, 스와 신사 앞에서 하차하면 된다. 나가사키 버스 70번 후도야마행, 나가사키 바이패스 경유 나가사키 신치 터미널행 (하차만 가능하며, 바이패스 방면은 승차만 가능)을 이용할 경우에도 스와 신사 앞에서 하차한다.
6. 논란
2021년, 스와 신사의 궁사가 성희롱 의혹에 휩싸였다. 이후 권네기(權禰宜) 7명이 전원 사직하는 사태가 발생했다. 이는 2022년 나가사키 쿤치 중단의 한 원인이 되기도 했다.
7. 한국과의 관계
참조
[1]
논문
The Two Faces of Nagasaki: The World of the Suwa Festival Screen
https://www.jstor.or[...]
2004
[2]
서적
A Year in the Life of a Shinto Shrine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1996
[3]
논문
Review of A Year in the Life of a Shinto Shrine
https://www.jstor.or[...]
1996
[4]
문서
読みは「ひろまえ」、意味は「神の御前」。
[5]
문서
唐商人が宿泊した日本人宿元に対する礼金のこと。寛永のころの1隻分は9[[貫]]目で、これを宿元、内町、外町の三者で3貫目配分した。
[6]
문서
現在の[[長崎県立長崎東高等学校]]、[[長崎県立長崎西高等学校]]の源流となった学校。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